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an Treatment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Ibuprofen Compared to Supportive Management Affect Regional Brain Volum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 Pilot Study

        구재회,이금호,김혁기,이경미,최용성 대한신생아학회 2017 Neonatal medicine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erebral hemispheric volumes between pharmacologic treatment and supportive management of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retrospectively. The subjects of period 1 group were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hose PDA were treated with pharmacologic closure. Period 2 group were treated with supportive management. Regional brain volumes measur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12 infants were included. Their median gestational age was 27+6 (range: 24+1–31+1) weeks and birth weight was 1,065 g (range: 690–1,380).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pgar score, incidenc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culture proven sepsis. The regional brain volumes such as gray matter (Period 1 group, 76,833 mm3 [55,759–100,388] vs. Period 2 group, 79,870 mm3 [59,957–113,018], P=0.59), white matter (82,993 mm3 [63,130–121,311] vs. 92,576 mm3 [77,200–104,506], P=0.18), cerebrospinal fluid (17,167 mm3 [9,279–22,760] vs. 14,348 mm3 [7,018–27,604], P=0.94), basal ganglia (2,065 mm3 [1,697 –2,482] vs. 2,306 mm3 [2,065–3,009], P=0.18), and cerebellum (18,374 mm3 [14,843–24,657] vs. 18,096 mm3 [16,134–23,627], P=0.94)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Regional brain volum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pharmacological and conservative treatment in infants with PDA. Further wellcontrolled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advantages or disadvantages of supportive management without pharmacologic treatment of PDA.

      • 폐기물 가스화를 통한 에너지 회수 및 원료대체 재활용 특성

        구재회,임용택,박수남,김동주,정법묵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폐기물은 발생원을 기준으로 생활폐기물, 사업장폐기물 및 건설폐기물로 구분된다. 폐기물 처리는 재활용을 우선적으로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한계성과 경제성 등이 해결되어야 하며 이러한 이슈가 극복되지 않으면 재활용에는 한계가 따른다. 국내에서 도입된 네가티브 재활용 제도가 다양한 기술을 재활용로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중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로써만 인식되어온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에너지회수 기술 뿐 만 아니라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활용 기술로도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폐기물의 재활용은 물질재활용 기술로서 3R기술 위주로 재활용되어 왔으나 화학전환 기술에 의한 재활용을 위해서는 가스화 기술이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폐기물의 에너지 회수기술은 소각에 의한 에너지회수 또는 고형연료를 생산하여 연소보일러에 의한 에너지회수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술은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기술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열에너지와 화학에너지의 생산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에너지로의 회수 기술과 고효율 에너지 이용기술의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가스화를 통한 에너지회수 기술과 화학전환 기술로서 원료대체를 통한 재활용 기술로서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가연성물질이 함유된 폐기물의 대부분을 대상으로 적용이 가능하지만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기술에 따라서 합성가스의 생산품질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의 적정 발열량이 확보되어야 된다.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기준은 달리 적용되겠지만 저위발열량 기준으로 3,200 kcal/kg이상인 경우 안정적인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폐기물종류 및 이용기술에 따라서는 3,000 kcal/kg이상인 경우 합성가스 생산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폐기물 가스화를 통해 생산된 합성가스를 에너지회수 기술로서는 스팀터빈, 가스터빈, 가스엔진, 연료전지 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LNG, 경우, 석탄, LPG 등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가스연료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합성가스의 주요성분인 일산화탄소와 수소는 고순도 수소 및 고순도 일산화탄소 자체로도 원료대체가 가능하며, 화학촉매 또는 미생물촉매 전환 공정을 통해 다양한 화학원료로 대체하는 재활용기술로서의 적용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음식폐기물 건조펠렛의 연소 특성

        구재회,성호진,김양진,박혜정,김준석,김병국,김정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음식물류폐기물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통하여 음식물류폐기물을 연료로서의 활용가치를 높임으로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률을 증대할 수 있는 기술의 활용 방안의 고찰이 필요하다. 음식물류폐기물을 이용하여 생산한 Food Pellet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법적으로 고형연료 제품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연소보일러 기술도 상용화 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물류폐기물의 감량화율을 높이고 처리된 음식폐기물을 연료로 이용하기 위한 Food Pellet 연소보일러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즉, 음식물류폐기물 건조를 통해 생산된 Food Pellet의 특성분석 및 기초 연소특성을 파악함으로써 Food Pellet을 연소보일러의 연료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소보일러 설계,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방지시설의 설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Food Pellet의 특성 분석결과에서 보면, 휘발분이 67.8%, 고정탄소가 8.0%, 회분 16.1%로 측정되었다. 최소 O<sub>2</sub> 농도 도달시간이 62~71초 범위에서 나타나고, 최대 CO<sub>2</sub> 농도 도달시간은 42-59초 수준으로 나타남에 따라 최대 연소반응은 1분 전후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CO, CO<sub>2</sub>, O<sub>2</sub> 등 주요 농도의 경향을 고려할 때 연소로의 온도는 850~950℃ 범위로 운전하는 것이 연소에 좋은 것으로 일반적인 경향과 같이 나타났으며, CO 농도 관점에서의 연소효율을 고려하면 온도가 증가할수록 효율이 증가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상용규모 폐기물 가스화로에서의 공기사용 생활폐기물 가스화 및 가스엔진 발전 특성

        구재회,성호진,임용택,박영수,박수남,김나랑,윤영식,남성방,김동주,민재홍,김기현,민지홍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국내 중・소규모 지자체의 중・소규모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은 에너지 이용을 할 수 없거나, 에너지 회수율이 낮게 활용되고 있다. 중・소규모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폐열보일러에서는 품질이 낮은 스팀을 생산하므로 스팀터빈을 적용한 경우에는 발전효율이 매우 낮으며, 대부분 생산 스팀을 활용할 시설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미활용 되고 있는 중・소규모 지자체에 적합한 고효율발전이 가능하고 열풍 또는 온수 이용이 가능한 폐기물 가스화 발전시설을 보급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생활폐기물이 1일 50톤 정도 발생하는 지자체에 공기사용 생활폐기물 가스화 가스엔진발전플랜트를 구축하여 성능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0톤/일급 상용규모 고정층 공기사용 가스화로에서 생산된 합성가스를 가스엔진 발전시스템에 의해 전력생산량과 50톤/일급 가스화용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 및 가스화발전 시설의 소내 사용전력을 고찰하였다. 반입기준의 생활폐기물 50톤/일급 전처리 및 30톤/일급 가스화 발전 시설의 판매 가능한 전력량을 운전결과를 통해 고찰하였다. 공기사용 고정층 가스화 Pilot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가스엔진 발전이 가능한 합성가스 생산을 위해서는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을 3,500 kcal/kg이상으로 전처리 해야 하는 설계조건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50톤/일급 전처리시설을 이용하여 파쇄, 선별 및 탈수를 진행하였고, 건조는 진행하지 않은 전처리된 생활폐기물을 공기사용 가스화를 통행 생산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가스엔진 발전시스템에서 생산한 전력량은 약 800 kWe 이상 생산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소내전력 사용량은 약 250 kWe으로 전력판매량은 약 550 kWe로 도출되었다. 폐기물 가스화 발전의 경우 가중치가 1.0이므로 3,960 REC/yr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 상용규모 폐기물 가스화로에서의 공기사용 생활폐기물 가스화 및 가스엔진 발전 특성

        구재회,성호진,임용택,박영수,박수남,김나랑,윤영식,남성방,김동주,민재홍,김기현,민지홍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국내 중ㆍ소규모 지자체의 중ㆍ소규모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은 에너지 이용을 할 수 없거나, 에너지 회수율이 낮게 활용되고 있다. 중ㆍ소규모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폐열보일러에서는 품질이 낮은 스팀을 생산하므로 스팀터빈을 적용한 경우에는 발전효율이 매우 낮으며, 대부분 생산 스팀을 활용할 시설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미활용 되고 있는 중ㆍ소규모 지자체에 적합한 고효율발전이 가능하고 열풍 또는 온수 이용이 가능한 폐기물 가스화 발전시설을 보급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생활폐기물이 1일 50톤 정도 발생하는 지자체에 공기사용 생활폐기물 가스화 가스엔진발전플랜트를 구축하여 성능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0톤/일급 상용규모 고정층 공기사용 가스화로에서 생산된 합성가스를 가스엔진 발전시스템에 의해 전력생산량과 50톤/일급 가스화용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 및 가스화발전 시설의 소내 사용전력을 고찰하였다. 반입기준의 생활폐기물 50톤/일급 전처리 및 30톤/일급 가스화 발전 시설의 판매 가능한 전력량을 운전결과를 통해 고찰하였다. 공기사용 고정층 가스화 Pilot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가스엔진 발전이 가능한 합성가스 생산을 위해서는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을 3,500 kcal/kg이상으로 전처리 해야 하는 설계조건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50톤/일급 전처리시설을 이용하여 파쇄, 선별 및 탈수를 진행하였고, 건조는 진행하지 않은 전처리된 생활 폐기물을 공기사용 가스화를 통행 생산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가스엔진 발전시스템에서 생산한 전력량은 약 800 kWe 이상 생산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소내전력 사용량은 약 250 kWe으로 전력판매량은 약 550 kWe로 도출되었다. 폐기물 가스화 발전의 경우 가중치가 1.0이므로 3,960 REC/yr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사사: 본 연구는 환경부 ECO-Star Project “폐자원 에너지화ㆍNon-CO<sub>2</sub> 온실가스 사업단” 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No. 10-02-01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