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취수탑 인접 절토에 대한 안전검토 사례연구

        김준석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공용취수탑 부근의 사면을 절개하여 옹벽을 설치할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공용취수탑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사면의 토사를 제거하고 옹벽을 설치하였을 경우 취수탑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 은 미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조혈모세포이식시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

        김준석,김병수,서재홍,김열홍,신상원,최철원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1

        연구배경 : 조혈모세포이식시 발생하는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이라 함은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독성과 채집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중심정맥을 통하여 주사할 때 발생하는 부작용 및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골수에 생착하여 조혈기능이 정상화되기까지의 시기에 발생하는 감염을 제외한 모든 합병증을 말한다. 저자 등은 고려대 의료원 혈액종양내과에 내원하여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에서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의 양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고려대 의료원 혈액종양내과에 입원하여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45명(구로병원; 36명, 안암병원;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동종 골수이식은 17명 ,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은 28명이 시행받았다, 저자 등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급성 합병증으로 항암요법과 관련된 비혈액학적 독성(WHO기준),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 골수생착시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1) 고용량 항암요법과 관련된 비혈액학적 독성 ; 자각증상으로는 오심 및 구토가 전례에서 발생하였으며 46.7%(21/45)에서는 gradeⅢ이상으로 심하였으며 이학적 소견으로는 점막염이 89%(40/45)로 가장 흔히 발견되었다. 기타, 간독성이 11.1%(5/45), 신독성이 6.7%(3/45)에서 관찰되었다. 고용량 항암요법과 관련된 치명적인 비혈액학적 독성(간의 정맥폐쇄증후군, cytoxan에 의한 심근독성)으로 4.4%(2/45)에서 사망하였다. 2)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 : 동종 골수 이식시 환자의 중심정맥을 통하여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은 매우 경미하였다. 자가 조혈모 세포이식시 말초혈에서 혈액성분 분리기를 통하여 채집한 후 냉동보호제인 DMSO와 10%의 농도로 혼합하여 냉동보존(-80∼-180℃)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40℃수조에서 해동한 후 환자의 중심정맥을 통하여 이식하였다. 그 결과 평균 용적이 커서 DMSO가 보다 많이 포함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이식받는 환자들에서 오심, 열감 및 오한, 구토, 혈뇨 등의 합병증이 호발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3) 골수 생착시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 : 동종 솔수이식 환자에서 골수생착시기에 해당하는 무균실 입원기간 중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으로 급성 이식편대 숙주반응이 25%에서 발생하였으며 생착실패가 6.7%에서 관찰되었다. 급성 이식편대 숙주반응은 모두 grade Ⅰ,Ⅱ로 경미하였으며 생착실패를 보인 환자는 이식70일 만에 기존 백혈병이 재발되어 사망하였다.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는 3예에서 자연생착이 관찰되었다. 결론 : 조혈모세포이식시 비감염성 급성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항암요법과 관련된 독성,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합병증, 골수생착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들은 빈도가 낮고 경하지만 치명적인 경우도 있었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t the patients admitted to hemato-oncology departmen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5 to September 1997. Methods : Forty-five patients (17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8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evaluated for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such as regimen related toxicities, transfusion reactions of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complications associated whit engraftment. Results : 1)Regimen-related toxicities : The patients complained the symptoms of nausea, vomiting, anorexia, diarrhea, fatigue, myalgia, arthralgia, sore throat, and febrile sensation. Mucositis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regimen related toxicity with the incidence of 89%(40/45). The other regimen related toxicities were liver toxicity (11.1%, 5/45) and renal toxicity (6.7%, 3/45). The fatal regimen related toxicities such as veno-occlussive disease and cardiomyopathy, were observed at two patients. 2) Transfusion reactions of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 At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the transfusion of RBC depleted bone marrow blood were tolerable at all patients with minimal side reactions. At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side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85.7%) febrile sensation(78.6%), abdominal pain(28.6%), hematuria (28.6%), dyspnea (14.3%), seizure (7.1%), and sudden death(3.6%), were observed during the transfusion of thawed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mixed with DMSO for cryopreservatio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side reactions were assocaited with the transfusion volume and DMSO amount. 3)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ngraftment : Graft failure associated with leukemia relapse was observed at 1 case of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three patients, transplanted with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s, experienced delayed engraftments. The incidence of acute GVHD in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was 25%(grade Ⅰ,Ⅱ). All patients with acute GVHD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cyclosporin A, methotrexate, steroid therapy. Conclusion :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occured infrequently, and the severity was mild. But, fatal outcomes associated with acute non-infection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observed rarely.

      • KCI등재

        서해안 중부지역 연약지반의 침하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김준석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4

        연구목적: 실트질 함유가 높으며 다양한 응력이력 때문에 침하량 예측에 어려움이 있는 우리나라의 서 해안 중부지역의 연약점토지반의 침하량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3개의 경우에 대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침하판 침하량을 계측하였으며 Terzaghi의 일차원 압밀침하량, 쌍곡선법(hyperbolic method)과 Asaoka법을 모두 분석하여 실무에 유용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Terzaghi에 의한 예측값이 모든 경우에서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침하판 침하값에 비하여 111%~187%로 크게 예측하였다. 즉, 실제 지반의 침하량인 침하판 침하값이 Terzaghi 의 예측값에 비하여 53.4~89.9% 의 침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중부 서해안 점토질 연약지반 에서 Terzaghi방법에 의한 예상침하량은 실제 침하량보다 과다하게 예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Asaoka방법과 쌍곡선 방법은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실무에서는 실제 침하량 보다 작게 침하량을 예측할 경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실제 침하량보다 6~14% 크게 예측 한 쌍곡선 분석법이 안전측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tlement of soft clay soil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west coast of Korea, which has a high silt content and is difficult to predict settlement due to various stress histories. Metho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hree cases.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subsidence plate was measured in each cas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erzaghi's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settlement amount, both the hyperbolic method and the Asaoka method. Result: The predicted value by Terzaghi was analyzed to be the largest in all cases, and it was predicted to be 111% to 187% larger than the subsidence plate settlement value. That is, the subsidence plate settlement value, which is the amount of settlement of the actual ground, showed a settlement of 53.4~89.9% compared to the predicted value of Terzaghi.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expected settlement of the Terzaghi method in the clay soft ground of the central west coast of Korea is more than the actual settlement. Conclusion: It was analyzed that the Asaoka method and the hyperbolic method presented relatively similar results, and in practice, predicting the settlement amount smaller than the actual settlement amount may cause a risk, so the hyperbola analysis method predicted 6~14% larger than the actual settlement amount can be used as a safety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