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냉 ․ 해동 처리에 따른 품종별 딸기의 품질특성

        김희선,한귀정,이인경,김명환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6 No.04

        딸기는 독특한 향미 및 비타민 C와 페놀성 물질 함량이 높아 식품학적 가치가 우수한 작물이지만 과피가 약하고 대사속도가 빨라 쉽게 변질되는 작물이다. 죽향, 매향, 설향, 장희, 육보의 딸기 5품종을 -20℃ 냉동조건에서 7일간 냉 동한 후 4℃ 해동하여 냉동 딸기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 총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냉동 딸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과에 비해 감소하였고, 장희가 생과에 비해 0.5%로 가장 적게 감소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냉․ 해동 처리 후 증가하였고 장희가 26.27%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났다. 죽향을 제외한 나머지 품종에서 냉동 딸기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생과에 비해 증가하였 고 육보가 생과에 비해 27.61%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났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죽향과 장희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 에서 생과에 비해 약간의 증가율을 나타났다. 냉·해동 처리 후 죽향의 비타민 C 함량은 생과에 비해 7.8%로 증가하였 지만 나머지 품종에서 냉동 딸기의 비타민 C 함량은 생과에 비해 감소하였고 장희와 매향이 생과에 비해 4.3과 5.3% 로 낮은 감소율을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5품종 중 장희가 냉·해동 처리 후 생리활성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 KCI등재

        조선후기 기근 만성화와 구황식품 개발의 사회 . 경제적 고찰

        김희선,김숙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7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 No.1

        This treatise deals with chronic state of famine and exploitation of famine relief food in the later half of Chosun Period and especially in relation with socio-economic changes. There with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chronic state of famine and exploitation of famine relief food is studied mainly with a literary approach. The influential factors which lead to the chronic state of famine were not only climatic restrictions such as flood and drought but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foreign invasion (Japanese invasion and Ching's invasion), frequent breaking out of revol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agriculture (rice transplantation). And disorder of land system and cultivation of cash crops by the richer peasantry, lowering the economic status of the poorer peasantry who were a major constituents of the population, aggravated the famine state. Because the poorer peasantry were under the shortage of food, they had to seek something edible in the fields and mountains. In this process various kinds of famine relief foods were exploited by the poorer peasantry. The majority of famine relief foods were wild vegetables. Consequently the Chronic state of famine was a cause to introduce various edible wild vegetables into Korean food, which influenced modern vegetarian food habits and firmed the Korean's favorite taste to be hot and salty. These wild vegetables couldn't have a marvelous effect on the relief of starved people. Potatoes and sweet potatoes, which were newly introduced foreign crops, were encouraged to be cultivated for famine relief. But these tubers, unable to be staple food, didn't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population.

      • 아산시 주민의 영양섭취실태에 대한 종적연구

        김희선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4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utritional status of Asan residents surveyed by food intake records in the year if 2001 and 2002, longitudinall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January 2001 and 2002 with 491 subject (153 men and 266 women). A 24-hour recall survey was conducted by men to men interview with highly trained interview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in 2001 was 59±13 (62±11 for men and 57±14 for women). 2. The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64±6㎝ and 64±40㎏ for men and 152±6㎝ and 58±9㎏ for women,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about 4 cm and 4 kg smaller than Korean average for men and 4 cm and 0.5kg smaller for women. However, BMI values for both men and women were higher than Korean average, meaning that Asan residents are more susceptible to obesity than average Koreans. 3.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in 2002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2001 for both men and women. Vitamin C intakes were not different by regions, but higher in 2002 than in 2001. In summary, longitudinal results shows that overall nutritional status was improved by more nutrient intakes. The annu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helped Asan residents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 KCI등재

        Multiplying Femininity : Diversification of Sexualized Bodies in Korean Dance Divas in the 1980s

        김희선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이화음악논집 Vol.19 No.1

        댄스음악은 기본적으로 몸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섹슈얼리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여성댄스가수의 몸은 소비의 대상이자 남성들의 관음적 시선의 대상으로 여겨져 왔다(Susan McClary 1991; Ann Cvetkovich 1993, 155-169; Stan Hawkins 2004, 180-190). 한국에서 댄스음악은 1980년대에 주요 장르로 등장하여 2000년대에는 케이팝의 가장 중요한 대중음악 장르가 되었다. 한국대중음악에서 댄스음악의 연구는 섹슈얼리티의 논의로 국한되어 주로 여성 아이돌의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Kim Yeran 2011, 333-345; 김정원 2011, 46-78; 이수안 2008, 185-208; 2010, 206-242; 2011, 193-235; 차우진 2009, 270-283; 장유정 2010, 164-197; 김수아 2010, 79-119; 문강형준 2010, 281-296; Heather A. Willoughby 2006, 99-108; Jung Eun-young 2010, 29-236; Jie Wei 2010). 그러나 댄스음악이 처음 한국사회에 주요 장르로 부상했던 1980년대에 등장한 여성댄스가수들은 당시 전환기 한국사회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센세이션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현재 여성 아이돌 댄스음악이 재현하는 섹슈얼리티를 극대화하며 성애화의 대상으로서의 여성성을 넘는 정교하고 다양한 방식의 여성성-성숙미, 개성적, 도시적, 세련됨, 자기 주도적, 에로틱한 섹슈얼리티, 중성화된 여성성, 강남 중산층, 젊은 여성주체-등을 표상하였다. 이들 댄스 디바가 표상한 여성성은 전환기 한국사회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변화의 배경을 바탕으로 탄생한 새롭고 다변화된 한국여성의 등장을 상징하는데, 이들이 재현한 여성성은 한국사회에 오랫동안 지배적으로 존재한 여성성과 여성역할을 재호명하기도 하지만 한편 이에 저항하거나 해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기존 한국 여성음악 연구에서 제외되어 온 1980년대 여성댄스 가수들이 표상한 다양한 여성성의 성격을 고찰함으로서, 여성댄스음악을 통해 표상되는 몸이 남성 주체의 성적 판타지의 타자로 대상화되는 섹슈얼리티의 대상이라는 단일한 해석을 넘어 이들의 몸을 물적, 상징적, 사회적 조건과 계층, 시대, 젠더가 각인되어 교차하는 장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기존 여성음악연구와 대중음악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이들이 댄스음악이라는 시대의 새로운 음악양식을 통해 변화하는 동시대 문화산업계에 자신들의 곤고한 지위를 획득하고 시대의 풍경을 변화시킨 적극적 담지자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 Bacteroides fragilis군에 대한 β-lactam 항생제의 감수성상 및 β-lactamase inhibitor의 작용에 관하여

        김희선,정재규,김성광 대한화학요법학회 1988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6 No.2

        환자 재료에서 분리한 bile 저항성인 Bacteroides군 40주를 분류하면 B.fragilis가 32주 B. thetaiotaomicron이 4주 B. vulgatus가 2주 B. uniformis가 2주였다. 분리주는 chloramphenicol에 대해서 전주가 감수성이나 penicillin에 대해서는 내성이였다. 이외 tetracycline, clindamycin, 및 erythromycin에 대해서 다제내성주가 많았다. β-lactam에 대해서 균종별 차이는 있으나 moxalactam, ceftizoxime, ampirin, carbenicillin 및 methicllin에 대해서는 내성도가 높았다. 그리고 균종별로는 B. fragilis가 타 균종에 비해 감수성이 높았다. β-lactamase inhibitor인 subactam 및 clavulanicacid의 작용은 일부 균주를 제외하고는 강한 synergy 작용을 나타내었다. Indole 산생과 β-lactam 감수성 관계는 균종벼르 약제별 차이가 있으며 cephalosporin계의 어떤 약제에 대해서 양성주는 감수성도가 낮으나 penicillin계의 어떤 약제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았다. 그리고 indole 양성균종에 enzyme inhibitor의 작용이 길항적으로 나타나는 예가 많았다. Fourty isolates of Bacteroides fragilis group (B. fragilis 32 B. uniformis 2, B. thetaiotaomicron 4, B. vulgatus 2) were examined the susceptibility to several β-lactam antibiotics and be activities of β-lactamase inhibitors. All strains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but most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and showed multiple resistancy to teracycline, clindamycin, penicillin, and erythromycin by disc diffusion method. Against β-lactam antibiotics,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moxalactam and ceftizoxime, ampicillin and amoxicillin, but resistant to cefoperazone, cefamandole, cefapirin, carbenicillin and methicillin, and strains of B. fragilis were generally more sensitive to these drugs than that of other species. Both sulbactam and clavulanic acid combined with ampicillin and amoxicillin, respectively showed different degrees of synergy against most strains and indifferent and antagony against remaining strains, although all strains produced β-lactamase. Indole positive strains were less sensitive to some derivates of cephalosphorin, but more resist to some derivates of penicillin, and less effective to enzyme inhibi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