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나은,정혜진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4
치안서비스에 대한 시민사회의 요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 치안’과 같은 새로운 경찰활동의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다. 치안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폴리스랩 2.0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순찰 로봇이 선제대응형 과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순찰 로봇이 치안 R&D과제로 추진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로봇에 대한 시민의 사회적 수용에 관한 국내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의 사회적 수용 이론을 적용하여 순찰 로봇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분석 결과 사회적 수용에 긍정적인 직접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신뢰 및 인지된 유용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의 사회적 신뢰와 사회적 수용에 대한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아울러 사회적 신뢰는 인지된 위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된 위험이 기술 수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순찰 로봇의 사회적 수용요인을 향상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ies, robots can now be commonly found in public spaces. During the COVID-19 period, robots served as substitutes for the police in activities aimed at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there's a growing number of regions introducing secure robots. However, there's a lack of research on the social acceptance of secure robot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ocial acceptance factors concerning secure robots among public.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trust and perceived benefit directly provide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acceptance.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enefit and perceived risk on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trust on social acceptanc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the social acceptance factors of secure robots.
부숙도에 따른 우분유래 바이오차의 표면특성과 질소 및인의 침출 거동 연구
김나은,이희연,권기훈,송호철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3 지하수토양환경 Vol.28 No.6
Continuous increase of domestic meat consumption has inevitably increased generation of livestock manure and causedsevere environmental impacts on ecosystem and human beings. This work produced biochar from cattle manure sampleswith different composting aging stages and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the produced biochar. The result ofthermogravi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manure initiated at <600oC. The biochar yield washigher for the manure with a longer pre-composting period due to the elimination of microbially metabolized carbonsduring composting process. The result of FT-IR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surface functional groups werereduced during pyrolysis while enhancing the graphitic structures of the carbon framework. Manure samples tended toleach out N and P in leaching tests, with its amount higher for aged one than fresh one. However, their leaching wassubstantially suppressed when the manure was produced into biochar. In XPS spectra, it was found that N and P in themanure incorporated into biochar surface to form N-doped graphitic carbon and P-N-moieties, respectively. The findingsof this work suggest that the thermochemical process can be of a viable option to valorize into biochar for potentialenvironmental applications as well as to alleviate undesired nutrients loading to the environment.
여행사 웹사이트의 브랜드 신뢰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오프라인 기업 브랜드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나은,김민화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0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2 No.1
Because the number of travelers using web-sites related to travel has been increased in the internet age, many new online travel companies have entered into the market and the existing online travel companies use positively the online channel, which means that the existing companies have been changed to brick and click retailers. Because over half of internet users go shopping on the internet, people are now in the time when the online commercial transaction is generalized. However, the trust level in online companies is still lower than that in offline companies, which is an important obstacle for online companies to overcom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service quality and the online brand image on the trust level in travel web-sit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rust level of offline bran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level of online brand and customer loyalty. In this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employed for hypothesis test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 of online brand image on the trust level in online brand was much larger than e-service quality. It means that customers more depend on brand images or popularity rather than the e-service quality that they experienced. Also, in the case of the offline brand's confidence group, the effect of online brand trust on the loyalty was about the half compared to the non-confidence group.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online travel companies that do not have any offline parent company to be trusted on online brand by customers compared to the case of brick and click retailers. 인터넷 시대의 도래로 여행 관련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여행자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신규 온라인 여행업체가 대거 시장에 진입하고 기존의 오프라인 여행사도 온라인 채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복합기업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인터넷에서 쇼핑을 하는 등 온라인 상거래는 보편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온라인 기업에 대한 신뢰 수준은 오프라인 기업 대비 낮으며, 이는 온라인 기업이 풀어야할 큰 과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e-서비스품질과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가 여행사 웹사이트에 대한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한편, 온라인 브랜드 신뢰와 여행사 웹사이트에 대한 고객 충성도의 관계에서 오프라인 브랜드 신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확인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성분석 등 예비분석을 통해 각 측정 차원을 확인하고,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e-서비스품질 보다 온라인 이미지가 온라인 브랜드 신뢰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며, 오프라인 브랜드 신뢰 집단의 경우 온라인 브랜드 신뢰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비신뢰 집단보다 절반 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들이 실질적으로 경험한 서비스품질 보다는 인지된 이미지나 주위의 평판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오프라인에서 모기업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순수 온라인 여행업체의 경우 복합기업 대비 온라인 브랜드에 대한 고객 신뢰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참여형 국가R&D 과제 경향 분석
김나은,홍정석,정혜진 한국정부학회 2023 한국행정논집 Vol.35 No.4
지난 20여 년 동안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개발을 위해 참여형 연구개발사업의 숫자와 예산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국가R&D사업 가운데 국민이 참여한 사업의 연구 분야와 주제에 대한 경향에 대한분석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수행된 시민참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총 2,211개의 과제에서 제시된 4,612개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LDA 토픽모델링 및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토픽 모델링에서는 총 8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해당 토픽들은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국민건강, 환경 등의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제3차 및 4차 과학기술기본계획과 국가R&D과제의 참여적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동향 파악을 위해 시기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차이점 등을 분석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공지능, 연구관리, 리빙랩 등의 키워드가 높은 연결 중심성 지수를 나타내었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도출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민참여형 국가R&D과제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numbers and research amounts of participatory research programs enabling people recogniz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have increased since the last two decad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dealing with the themes and topics of participatory research in national R&D projects. The present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 of participatory R&D projects conducted from 2002 to 2022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pecifically, we performed LDA topic modeling an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using 4,612 key words from 2,211 research projects. We illustrated 8 topics related with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pollution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Furthermore, we conducted key word network analysis dividing the period into the Third and Fourth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Acts. Though central key words of two network analysis were various to some extents, a number of key word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oject managements and living labs show high conne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research in national R&D projects.
현대 판타지 웹소설 흥행요인 분석: 『재벌집 막내아들』 사례를 중심으로
김나은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60
본 논문에서는 현대 판타지 웹소설의 주요 흥행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회귀, 빙의, 환생 모티프는 현대 판타지 장르 웹소설에서 자주 적용되는 서사구조이며, 순문학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매력적인 주인공은 웹소설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을 결정하며, 독자들은 주인공의 서사, 역할, 그리고 성장 과정에 강한 대리만족을 느끼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판타지 웹소설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서사구조와 주인공 캐릭터를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이들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특정 사례의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사례 연구를 실시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재벌집 막내아들>은 웹소설의 흥행 공식인 회귀 코드를 적용하고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하는 산경 작가의 현대 판타지 웹소설로 2017년 2월 20일 연재 시작부터 2018년 1월 11일 완결까지 문피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투데이 베스트 1위를 놓친 적이 없는 작품이다. 이러한 인기를 발판으로 2022년 JTBC에서 주말 미니시리즈로 방영되며 현대 판타지 웹소설이 드라마화에 성공해서 최고의 흥행성적을 거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본 연구의 연구 사례로 선정하였다. 상업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웹소설에서 독자들이 열광하는 서사구조와 주인공 캐릭터가 어떻게 구축되고 소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 판타지 웹소설에서 주로 보여지는 전형적인 서사구조와 주인공 캐릭터를 제시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독자들의 몰입도를 높이고 주인공과 공감하고 공존함으로써 현대 판타지 웹소설 작품의 매력을 한층 높이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main box office factors of modern fantasy web novels. Regression, inscription, and reincarnation motifs are narrative structures frequently applied in modern fantasy web novels and are the biggest featur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pure literature. In addition, the attractive protagonist i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the web novel and determines the overall flow of the work, and the reader feels strong surrogate satisfaction with the protagonist's narrative, role, and growth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plores the unique narrative structure and protagonist characters found in modern fantasy web novels and analyzes their influence on their work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pecific cases. The subject of this paper, “The Youngest Son of a Chaebol House,” is a modern fantasy web novel by Sankyung author who applies the regression code, which is the box office formula of web novels, and sets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nd has gained explosive popularity in Munpia from the beginning of publication, and refers to a chart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number of views per day (24 hours) from 1st to 103rd (PC) and 107th (mobile) when clicking “Best” on today's best web novel platform Munpia. It is a work that has never missed the top spot. Based on this popularity, it was aired as a weekend mini-series on JTBC in 2022, and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for this study as a monumental work that achieved the highest box office success due to the success of modern fantasy web no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readers are enthusiastic about and how the main character is built and consumed in web novels where commerciality is paramount.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esent and analyze typical narrative structures and main characteristics that are mainly shown in modern fantasy web novel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erive an understanding of how to increase the readers' immersion and to empathize with and coexist with the main character to further increase the attractiveness of modern fantasy web novel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