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우울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염영란 ( Young Ran Yeom ),최금봉 ( Keum Bong Choi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2

        본 연구는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 중재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찾아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나아가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우울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였다. 연구결과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 중재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및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본 연구결과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상자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는 중재전 29.38점에서 사후에 24.97점으로 4.41점 감소하여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지각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을 하는 동안 스트레스 완화 중재의 목적으로 명상과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해서 본 연구와 같은 스트레스 지각 도구를 사용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가 중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2.20점 감소한 결과를 보인 국외의 선행연구와 일치한다(Ratanasiripong et al., 2012). 또한 Yazdani 등(2010)의 연구에서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8세션으로 나누어 스트레스 관리로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실험군의 스트레스가 대조군에 비해 .47점 감소함을 보고하였다. 더불어 우울과 불안도 감소하여 스트레스 정보제공, 근육이완, 호흡명상 및 사고전환 등이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정신과 교과목에서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명상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제공이 이루어진다면 가치가 있는 중요한 역할일 것이라고 제시하였다.본 연구에서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 중재 전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는 50점 만점에 실험군에서 29.38점, 대조군에서 30.17점으로 나타나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지각이 중간 이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군 모두 스트레스가 높은 부분을 나타낸 문항은 자신이 해야 되는 일에 대한 대처(68.2%)나 일의 진행에 대해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63.5%)고 느끼는 부분인데 이는 간호대학생들은 타대학생들에 비해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은 교과과정에서 이론적인 학습이나 교내실습은 물론 임상실습을 통한 과정 속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잘해내야 하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며, 인생의 주기별 특성상 아직 정신적으로 미성숙하기에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음챙김 명상과 같은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 제공이 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본 연구결과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상자의우울 정도는 중재전 16.41점에서 사후에 12.41점으로 4.00점 감소하여 대조군보다 우울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상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의 우울점수가 1.29점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의한 결과를 보인 Yazdani 등(2010)의 연구와 유사하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불교식 사심사관의 명상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후에 실험군에서 5.21점의 우울감소를 보여 대조군과 유의한 결과를 보고한 연구(Choi, 2001)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스트레스 요인 관련 문헌고찰 연구(Del Prato et al., 2011)에서도 간호교육가들에 의해 MBSR 같은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고하여 미래의 간호전문직을 담당하게 되는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사회화를 지지하는데 전환이 되는 간호교육을 제안하였다. 우울의 대부분은 스트레스 이후에 남아있는 무력감, 좌절, 죄의식, 분노 등이 자신에게 내재화됨으로써 발생되므로 그 감정에 바로 집중하여 바라보아 의미생성체계 자체를 해체시키면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명상요법이 일상화된다면 간호대학생뿐 아니라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모든이들에게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본 연구에서 명상프로그램 중재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도 사후조사에서 미약하나마 스트레스 지각(0.20)과 우울 감소(0.26)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시험효과일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자료조사를 진행하는 과정동안에 대상자가 사전조사 경험 후 더 설문지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총 점수 변화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제공한 실험군보다는 스트레스 지각이나 우울 점수 차이가 커 두 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간호학이 추구하는 인간에 대한 전인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간호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 대처나 우울예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은 확실히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본 연구결과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정도는 중재전 72.38점에서 사후에 75.90점으로 3.52점 증가하여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이치, 필라테스, 자이로키네시스와 같은 정적인 동작 내용의 프로그램을 15주간 수업에 적용하여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보고한 연구(Caldwell, Harrison, Adams, Quin, & Greeson, 2011)와 유사한 결과이다. 그러나 부다의 호흡과 명상, 직관법의 구성으로 간호대학생에게 명상요법을 시행한 후 자기효능감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결과(Kim & Lee, 2000)와 다른데, 그 이유로 실험군 대상자의 개별적 성격에 따른 참여태도에 따라 자기효능감 점수가 차이가 있으므로 중재 전 성격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지도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Choi와 Lee (2012)의 연구에서도 동일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더라도 개인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력이 크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현실적인 전략에 대한 인식전환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본 연구에서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군의 자기효능감은 중재 전 중간정도에서 중재 후 향상이 되어 상대적으로 대조군이 감소한 것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점수 향상 폭은 크지 않았다. 그 이유로 이미 성인이 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8주라는 단기간에 변화를 예측하고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본 연구에서 선택해서 측정한 자기효능감 도구의 신뢰도가 .67로 다소 낮은 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사료된다. Del Prato 등(2011)은 간호교육가들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요인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간호전문직의 사회화를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전략이 간호교육가들에 의해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수행될 때 간호전문직의 사회화가 원활하게 정착되어 간호실무나 학교현장의 위상은 높아질 것이다.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간호대학생 대상 맞춤식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우울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향후에 더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세심한 계획으로 간호대학생이 안고 있는 다양한 특수성을 고려해서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중재가 횡적·종적 연구로 이루어진다면 최근에 양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의 교육현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서 궁극적으로 간호전문직의 질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불안이나 우울 등에 초점을 맞추어 그 효과를 보고자 구성해왔던 방식에서 더 진전하여 간호대학생이 자신을 성찰하는 훈련을 통해서 문제의 해결점을 찾는데 효과적인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진화된 국외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토대로 간호대학생에게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한 후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본 첫시도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본 연구가 간호대학생에게 그들에게 맞는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의의는 있지만 몇 가지 제한점은 있다. 첫째, 중재연구 진행 상 대상자 수를 한정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우므로 향후 그 수를 확대하고 효과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신뢰도가 다소 낮아 추후 연구에서는 다른 도구의 사용을 시도해 볼 것임을 권장한다. 셋째, 실험군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행하는데 있어 프로그램이 더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전문가의 수를 충분히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제공에 한정된 시간으로 구성하여 아쉬움이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 프로그램 계획시 이를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Due to the academic demands from a theory and practice-based educational program, nursing students often experience psychological burd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s on nursing studen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 (n=29) that participated in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30).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120 minutes a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The data were collected prior and after the intervention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the t-test. Result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tress(t=-10.33, p<.001), depression (t=-2.17, p=.035), and self-efficacy (t=2.57, p=.013) sco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renc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a supportive evidence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as a behavioral intervention to reduce stress, depression and increase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自己灣入에 관한 예비 연구

        박성봉,김영미,전성일,이기철,김영훈,정영조,이영렬,이정호,최영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목 적 : 정 신분열병 환자의 자기만입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들 및 질병연관 변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환자들의 자기만입과 병식 사이의 연관성. 자기만입과 자존심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신과 의사가 병록지와 면담을 통하여 대상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인구학적 변인들 및 질병연관 변인들에 관한 자료를 얻고 환자들의 병식 정도를 평가한 후, 환자들로 하여금 자기보고형의 자기만입 척도와 자존심 척도를 시행하게 하였다. 총 111명의 환자가 연구대상으로 선택되었다. 결과: . 1)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자기만입 척도 점수를 나타내었다 2) 질병연관 변인들 중 하위집단 사이에 자기만입 척도 점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은 없었다. 3) 자기만입 척도 점수와 병식 점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자기만입 척도 점수와 자존심 척도 점수 사이에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 론 : 본 예비 연구의 결과로 보아 정신분열 병 환자의 병식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자기만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자기만입이 심할수록 환자의 자존심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자 환자들이 남자 환자들보다 자기만입에 더 취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정신분열 병 환자의 이해와 치료를 위하여 자기만입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variables and illness related variables which may affect the severity of self-engulfment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 also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gulfment and insigh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gulfment and self-esteem. Methods : Data on demographic variables and illness related variables for the subjects were gathered from hospital records and clinical interviews by the psychiatrists. Degree of insight for the subjects was assessed through clinical interviews by the psychiatrists. Degree of self-engulfment and self-esteem for the subjects was assessed from the self-engulfment scale and the self-esteem scale respectively. A total of 111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The female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males on the self-engulfment scale. 2) There was no illness related variable, which exhibit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ubgroups on the self-engulfment scale.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ngulfment scores and the insight 4) There was a significantly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ngulfment scores and the self-esteem scor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 that self-engulfment may develop despite lack of insight and that there was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lf-engulfment and self-esteem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t also suggests that females are more subject to self-engulfment than males. So, authors suggest that it is valuable to do further studies of self-engulfment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 연구 :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특성 Standing Stock and Distribution of pelagic Zooplankton

        최영찬,고유봉,오봉철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6 基礎科學硏究 Vol.9 No.2

        제주도 서부 고산 연안 용승역에 출현하는 표충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용승역과 그 인접 외해역에서 1993년 4월부터 1994년 3월까지 격월로 부유성 요각류, 화살벌레류, 익족류 및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Siphonophora 와 Thaliacea)을 조사하였다. 요각류는 6월과 11월에 각각 235ind./㎥, 301ind./㎥로 2차례에 걸쳐 피크를 보여 제주도 주변 연안해역과 일치하고, 출현 개체수에 있어서도 용승역이라고 해서 특별히 높지는 않았다.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은 용승역과 외해역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는 반면, 인접하는 중간역에서만 6월과 11월에 75~458ind./㎥로 다량 출현하는 특성을 보였다. 동물 플랑크톤의 평균 생물량은 35.8ind./㎥으로 11월에 가장 높고 1월에 가장 낮았다. 화살벌레류는 Sagitta의 사체가 6월과 11월의 용승역에서 43~74%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11월의 용승역에 출현한 Sagitta는 48~71%가 요각류인 Oncaea venusta O. mediterranea 및 Candacia bipinata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 있었다. 또 각을 갖고 있어서 그 분포가 제한을 받는 유각 익족류는 외해역에서 는 전혀 출현하지 않은 반면, 용승역에서 용승현상이 강한 시기인 11월에 27~64ind./㎥의 높은 밀도로 출현하므로써 요승에 의한 상승류를 이용, 적응하는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Daytime surface zooplankton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April 1993 to March 1994 at six stations around upwelling and adjacent areas of Gosan, western part of Cheju Isl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occurrence, biomass and some other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in these areas. Copepods had two peaks in the abundance in June(235 ind./㎥)and November(301 ind./㎥), but were not especially abundant in upwelling area. While gelatinous organisms seldom occurred in the upwelling and the outer area with high density of 75ind./㎥(in June) and 458 ind./㎥( in November) at the intermediate area, seasonal values of biomass with mean of 35.8ind./㎥ were the highest in November and the lowest in January. Abundance of chaetognaths(mainly Sagitta spp.) ranged 15~37 ind./㎥, and carcasses of Sagitta occurred very highly in the upwelling area in June(54% of total Sagitta organisms) and November(70.5%). Especially 48~77% of sagitta individuals in upwelling area in November was attached by Oncaea mediterranea, O. venusta and Candacia bipinata. Pteropods with shells were sampled only in the upwelling area during strong upwelling season (November, 27~64 ind./㎥),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scending behavioral adaptation form the bottom water by upwelling.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유연차체-현가 시스템이 동특성 및 주행진동해석

        최영휴,권봉철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7 産技硏論文集 Vol.11 No.-

        In this paper, the dynamic characteristics and transient vibration of the semi-trailer with the air suspension and air kingpin were analyzed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same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ame semi-trailer but with the mechanical suspension and pivot kingpin. The comparison of both results shows that the air suspension and air kingpin can significantly reduce vibration in the semi-trailer. Key words : Semi-trailer, Dynamic characteristics, Transient vibration, Air suspension, Air kingpin, FEM.

      • KCI등재후보

        안면부에 발생한 고정형 스포로트리쿰증 3례

        최윤애,류영욱,정재봉,송준영,이규석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3 계명의대학술지 Vol.12 No.3

        We experienced 3 cases of fixed type cutaneous sporotrichosis confined to the face. Case 1 was a 32-month old child, affected over the nose. Case 2 was a 25-year old man, affected over the left cheek. Case 3 was a 71-year old man, affected over the nose. Histopathologically,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with pseudoepitheliomatous hyperplasia was observed. Mycologically, typical dark brown to black colored colonines with moist, wrinkled and membranous surfaces were cultured. All patients were completely cured by oral administration of saturated KI and itraconazole combined therapy in a short period(40-90 days).

      • 고진공내의 1,2-디클로로벤젠 및 m-크실렌 용매하에서 n-프로필아민과 브롬화갈륨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최성용,김세경,강봉수,김영철,안홍주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94 環境科學論文集 Vol.15 No.-

        고진공내의 1, 2-디클로로벤제 및 m-크실렌 용매하에서 n-프로필아민의 용해도를 5, 15, 25℃에서 브롬화갈륨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의 두 경우에 대하여 측정하여 보았다. 브롬화갈륨이 존재하지 않을 때 m-크실렌에서 n-프로필아민의 용해도가 1,2-디클로로벤젠에서 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은 n-프로필아민과 m-크실렌의 상호작용이 n-프로필아민과 1,2-디틀로로벤젠에서 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롬화갈륨이 계내에 존재할 때에는 용액내에서 n-프로필아민과 브롬화갈륨이 불안정한 complex를 형성한다고 생각되어 이 complex를 여러 경우로 가정하여 계산하여 본 결과 ??·GaBr₃이 1 : 1 complex가 형성됨을 알았으며, 이 complex는 용액내에서 다음 화학평형식에 의해 이루어지다고 보았다. ??·GaBr₃? ??+ 1/2 ?? 또한 이 complex에 대한 엔탈피, 자유에너지 및 엔트로피 변화도 산출 하였다. The solubilities of n-propyl amine in 1, 2-dichlorobenzene and m-xylene in high vacuum have been measured at 5℃, 15℃ and 25℃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gallium bromide. When gallium bromide does not exist in the system, the solubilities of n-propyl amine in m-xylene is greater than it is in 1, 2-dichlorobenzene, indicating a stronger interaction on n-propyl amine wiht m-xylene than with 1, 2-dichlorobenzene. In the presence of gallium bromide in the system, it coule be thought that n-propyl amine forms unstable complex with gallium bromide. The complex has been assumed in various ways and it was evaluated that instability constant K value was relatively constant under the assumption of 1 : 1 complex, ??·GaBr₃ The complex would form the following chemical equilibrium equation in the solution. ??·GaBr₃ ? ?? + 1/2 GaBr₃ The change of enthalpy, free entropy for the equilibrium of the complex were also calculated.

      • 童蒙先習 硏究

        崔鳳永 한국항공대학교 1984 論文集 Vol.22 No.-

        In thispaper Dongmongsunseb, the Confucian textbook for children in Yi-dynasty, is treated in three aspects 1, Clearing up the author of this book. 2. Explaining the background and motive of writing this book. 3,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is book.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ir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author of this book is Park, Sei-Mu and the co-author is Min, Je-In. Second, this book is written to teach children more intensive Confucian doctrine after the sufferings of Confuian scholars in the times of king Yensan and Jungjong Third, themain body of this book is composed of Confucian Classics (Principles) and Confucian history (Practice), And thecontents of every minor parts is also highly structured according to the unfolding of concepts.

      • KCI등재후보

        하청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최홍열,고상백,장세진,차봉석,임형준,이상윤,김재용,강동묵,조수헌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1

        목 적 : 하청노동을 이용한 노동 유연화 전략은 근로자들의 고용을 불안정시키고, 근로자들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고용현황을 조사하고, 기존의 업체중심의 건강평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또한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평가의 현재적 의미와 사회적 배제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모기업과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정기건강진단(일반, 특수)과 채용건강진단 자료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건강진단에서 누락된 비정규직을 포괄하기 위하여 SF-36을 이용하여 건강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결 과 : 조선업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고용기간은 짧고, 빈번한 노동이동 현상을 보였다. 3년간 건강진단 수검 현황을 통해 살펴볼 때, 1998년 수검자중 2000년까지 연속해서 검진 받은 수검자는 40.3%였다. 건강진단 결과 유소견자 규모를 통해 모기업과 하청업체간의 건강수준을 비교해 보았다. 모기업은 일반질병 요관찰자와 질병자를 포함한 유소견자가 1,011명으로 약 10 %의 유소견율을 보이고 있고, 질병자의 경우 596명으로 유병률이 5 %를 상회하고 있다. 반면 하청업체의 경우 1,967명의 수검자중 유소견자가 115명으로 6 %의 유소견율을 보이고있고, 질병자는 82명으로 4 %의 유병률을 보이고있다 채용건강진단을 받은 수검자는 6,260명 이었으며, 이 중 유소견자 수는 2,373명으로 전체 수검자의 37.9 %를 차지하였다. 건강설문지의 경우는 전체 건강수준의 총합은 하청보다 원청 근로자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정기건강검진 결과는 하청근로자들이 고용형태에 따라 검진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아, 건강 근로자 효과로 표현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채용건강진단 결과는 다른 측면에서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수준의 현실적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건강문제를 감시하고 개선하려면 기존의 업체 중심의 접근으로는 하청 근로자의 건강문제를 제대로 다룰 수 없고, 업종과 지역을 동시에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기 고용 근로자 및 비정규직 근로자를 사회보장의 확충과 모기업의 연대책임 강화 및 기업복지 차원에서 포괄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Objectives : The strategy for the labor flexibility through subcontracted labor have brought a negative effect on the lives of the worker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unstable employ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of subcontracted firms and the health status of them, and to find out some problems which have been caused in the process of health eval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xclusion. Methods : We reviewed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and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in order to compare health status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with those of the parent firm workers. The SF-36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ssess th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Results : The result shows that compared to the working duration of the parent firm workers, those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were shorter, and the job transfer rate was higher. In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the prevalence of occupational and general disease was higher in the parent firm(10%) than in the subcontracted firms(6%).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rker's health manage- ment. Among 6,260 workers who received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the prevalence of disease was 37.9%. Mean scores of health status measured by SF-36 were lower in the subcontracted firm than in the parent firm. Conclusions : Due to social exclusion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from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have the healthy worker effect.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could be a more appropriate indicator which is able to assess the health status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than the periodical health examination.

      • KCI등재

        사후분해 시체에 대한 법의학적 접근

        최영식,이상용,김유훈,조갑래,이봉우,양경무,정낙은,서중석,이한영,이원태,강현욱 大韓法醫學會 2000 대한법의학회지 Vol.24 No.2

        Disposal of a homicide victim by dismemberment is rare, but individual cases are on record in most major medicolegal departments. Recognition of postmortem mutilation may be of importance in the interpretation of certain murders committed by sexual perverts and other mentally deranged individuals and sometimes performed for the sole reason of easier disposal of the body. Postmortem dismemberment is usually readily recognizable as such; The edges of the injuries are dry and lack evidence of bleeding. The joints may be disarticulated without fracture, or the use of an axe or saw may be evident from examination of bones. Parallel horizontal or oblique furrows in the bone surface are caused by skipping of the saw prior to establishing depth. Such patterns on the bone may assist in identifying the particular saw involved. So we report 25 dismembered corpses that autopsied in National Institut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This paper can help in attempting to establish not only the first criminal investigation steps but also the medicolegal approach methods in unidentified and dismembered deaths.

      • 허혈성 심질환에 있어서 아데노신 급속 정맥투여후 관동맥압의 변화에 관한 연구

        봉종대,오종용,배성한,신원용,김철현,이광희,최태명,현민수,김성구,권영주 순천향의학연구소 199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4 No.2

        Background: Adenosine interacts with A1 receptors present on the extracellular surface of cardiac cells, activating K+channels in a fashion. It produces coronary vasodilatation and AV nodal block. The half-time is one to six second and has ultra-short action. In ischemic heart disease, fractional flow reserve(FFR) can be achieved safely with intravenous adenosine infusions at a rate of 150㎍/kg/min which cause maximal coronary hyperemia. Purpose: We investigated the patients who have had ischemic heart disease(n=8). After adenosine intravenous administration(150㎍/kg/min), the effect cause maximal hyperemia of coronary artery. During peak maximal hyperemia, we reported clinical findings, coronary hemodynamics and electrocardiogram findings. Methods: After diagnostic coronary angiography and left ventriculography, catheter was advanced into the ostium of coronary artery. We investigated coronary hemodynamics such as systolic coronary artery pressure, diastolic coronary artery pressure, mean coronary artery pressure and heart rate. To assess the use of adenosine for determination of fractional flow reserve, hemodynamics and electrocardiogram were measured at basal state and during peak maximal hyperemia. Results: Symptoms developed 1.5-2 minute after adenosine intravenous administration and each symptom disappeared 2-2.5 minute after adenosine administration. Two patients represented asymptomatic appearance and six patients complained of flushing, chest pain, palpitation and headache. In eight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1.5 minute after venous administration of 150㎍/kg/min of adenosine, coronary artery pressure decreased and hear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Conduction abnormalities after administration of 150㎍/kg/min of adenosine were transient 2nd degree AV block 2 cases(25%). Conclusions: Adenosine is a potent ultra short-acting vasodilator. Although coronary artery pressure decreased and heart rate increased and mild cardiovascular symptoms occurred after continuous infusion of 150㎍/kg/min of adenosine, it is useful as an agent for determination of fractional flow reser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