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일상 Ⅱ : 경희대학생의 시간활용에 대한 실태연구

        권준모,심정아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2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8 No.-

        경희대학교 서울 캠퍼스에 재학중인 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갖는 수업시간, 수업준비시간, 교양독서시간, 운동시간, 대화시간, 오락시간 등을 설문지에 분단위로 기록하였다.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하루 평균 약 2시간 40분의 수업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수업을 위하여 약 1시간 16분 정도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랍게도, 학생들은 교양독서를 읽으면서 보내는 시간이 약 27분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신체적인 운동을 하면서 보내는 시간 역시 13분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의 결과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211 students in Kyunghee University were questioned on how they spent a day to investigate their everyday life. They were asked the time spent on the lecture-taking lecture-preparation, the autonomous liberal reading, exercise, conversation, pleasure, etc. It was found that on the average the students spent 2 hours 40 minutes a day for the lectures and about 1 hour 16 minutes to prepare them. Surprisingly, they spent only about 27 minutes on the average for autonomous liberal reading. Moreover, they spent less than 13 minutes on physical exercise. The result and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일상Ⅱ : 경희대학생의 시간활용에 대한 실태연구 How Students in Kyunghee University Spend a Day

        권준모,심정아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2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18 No.-

        경희대학교 서울 캠퍼스에 재학중인 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갖는 수업시간, 수업준비시간, 교양독서시간, 운동시간, 대화시간, 오락시간 등을 설문지에 분단위로 기록하였다.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하루 평균 약 2시간 40분의 수업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수업을 위하여 약 1시간 16분 정도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랍게도, 학생들은 교양독서를 읽으면서 보내는 시간이 약 27분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신체적인 운동을 하면서 보내는 시간 역시 13분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의 결과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211 students in Kyunghee University were questioned on how they spent a day to investigate their everyday life. They were asked the time spent on the lecture-taking lecture-preparation, the autonomous liberal reading, exercise, conversation, pleasure, etc. It was found that on the average the students spent 2 hours 40 minutes a day for the lectures and about 1 hour 16 minutes to prepare them. Surprisingly, they spent only about 27 minutes on the average for autonomous liberal reading. Moreover, they spent less than 13 minutes on physical exercise. The result and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학생과 교수입장에서 본 면학분위기 향상 요인에 대한 차이점 연구 :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강인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21세기에 한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중의 하나는 그 나라의 대학의 경쟁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대학의 경우는 외국 선진국가에 비해 아직은 많은 점에서 부족한데, 특히 면학분위기와 관련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1999년 10월 경희대학교에서 270명의 교수와 440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학분위기 향상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과연 교수와 학생들이 중요하다고 보는 면학분위기 향상 요인은 무엇이며, 이들간에는 어떤 인식의 차가 있는지, 그리고 면학분위기 향상을 위한 요인과 학생들로부터 좋은 강의평가를 받기 위해 필요한 요인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면학분위기 조성에 중요한 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순위에 있어서 교수와 학생들의 입장이 비슷하였나 가장 특이한 사항으로서, 교수들은 '성적평가의 엄정성'을 제일 중요한 항목으로 생각하는 반면, 학생들은 '교수와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항목을 가장 중요시 여긴다는 점이다. 나아가 면학분위기 조성에 필요한 항목과 좋은 강의 평가를 받기 위해 필요한 항목에 대한 교수와 학생들간의 인식도 대부분의 경우 비슷하였으나, 약간의 차이가 있음도 알 수 있었다. 곧 공부를 많이 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일 중요한 사항을 엄격한 성적 평가로 본 반면, 인기 있는 강의가 되기 위해서는 강의방식의 다양성이 중요하다고 지적한 점이다. 중요한 것은 앞서 지적했듯이 교수와 학생들 모두 현재보다는 좀더 공부를 열심히 하고, 열심히 시키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는 일치한다는 점이다. 대학의 경쟁력, 학생들의 경쟁력은 결국 대학에 들어와서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고 공부시키는가에 좌우된다고 볼 때, 좀더 구체적이고 실천성 있는 '면학분위기 조성'에 대한 제도적, 행정적, 그리고 교수-학습 환경적 차원에서의 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competencies of a county.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in Euro-American countries, universities of Korea are relatively in a low level in terms of general qualities and atmospheres related to education. Among many factors and ways to improve the general qualities of universities of Korea,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particularly how faculty and students respectively perceive and rank important factors needed to produce effective teaching and loaming environments, i.e., how to make students study hard during their school years. A survey composed of 10 questions was distributed to 270 faculty and 4409 students at Kyung Hee University during October, 1999. The result shows that percep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faculty and the students abou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were not obviously observed: In fact, the ranking order of factors were mostly similar to both sides, except one: The faculty ranked 'strict grad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effective learning and teaching environments, while the students,'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faculty and the students.' As for ranking factors needed to acquire a good course evaluation result from the students, the faculty perceived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mportant is, as this case study shows, that both the faculty and the students realize and agree with necessity that they all should study harder than now and pedagogically and administratively diverse methods and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for constructing better learning environments.

      • 대학생의 전공 선택 자율성과 대학생활

        이경희,권준모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6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2 No.1

        본 연구의 주요 가설들은 지지되었다. 예측한 바와 같이 전공 선택의 자율성은 전공의 만족도, 흥미도, 적성과의 부합정도, 대학원 전공 등에서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여 주었다. 특히 전공 선택 자율성 변인의 효과 차이를 더욱 분명히 하기 위하여 자율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양분하고 중간집단을 제외했을 경우, 자율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전공의 만족도, 흥미도, 적성과의 부합정도, 대학원 전공에서 30-40%나 높은 척도상의 응답을 보여 주었다. 또한 전공에 대한 자부심도 자율성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생들의 입학시 전공 선택의 자율성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전공을 더 즐기며, 적성과 일치한다고 생각하며,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해도 같은 전공을 계속하는 등 전반적으로 자신의 전공에 대한 애착과 흥미를 가지고 더 만족을 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전공 선택의 자율성이 높은 집단은 전반적인 대학생활의 만족도와, 경희대학에 관한 평가를 높게 할 것이라 예측했다. 예측한 바와 같이 전공 선택의 자율성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전반적인 대학생활에 더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흥미롭게도 그들은 경희대학을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평가하였다. 대학의 입시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행정가들이 주목해야 할 중요한 결과이다. 입학시 전공 선택의 자율성 여부가 자신의 전공 및 학업에 관련된 요인들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모교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전공 선택의 자율성은 졸업 후 진로와도 상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전공 선택의 자율성이 높을 수록 자신의 전공이 장래성이 있다고 지각하였으며, 취업 분야도 자신의 전공과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전공 선택의 자율성이 낮은 집단은 현재 전공과 관련이 적은 분야로 진출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전공 선택의 자율성이 높을 수록 자신의 취직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을 하였고, 자신의 전공이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기 더욱 용이하다(취업의 유연성)는 응답을 보였다. 그러나 취업 직종의 사회적 인정도는 전공 선택의 자율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예상한 가설들이 모두 지지를 받은 것은 아니다. 전공 선택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전공에 관한 흥미, 몰입도, 적성이 높으므로 학업 성적이 더욱 높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4학년까지의 평균학점은 이와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여학생의 평균학점이 남학생에 비하여 높은 사실은 발견되었으나, 자율성이 높은 집단이 자율성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성적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평균학점은 전공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적성 등과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결과 부분에서 간략히 밝힌 바와 같이 학업 성적이 위의 변인들과는 어느 정도 독립적이며, 오히려 개인적 성실성, 지적 능력, 지각된 성적의 중요성 및 관련성 등의 변인과 더 상관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결과는 참가자에게 직접 자신의 성적을 기입하게 함으로 인해 생긴 참가자의 솔직하지 못한 응답에 원인이 있을 수도 있다. 지지 받지 못한 또 하나의 가설은 자율성이 낮은 집단이 자신의 전공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하므로, 대학 생활에서 학업 이외의 활동인 서클활동, 과외활동, 혹은 학생운동 등에 더욱 적극적일 것이라고 예측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가설과 달리 전공 선택의 자율성과 학업 이외의 교내 활동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대학 생활에서의 서클활동, 사회활동, 및 학생운동 등의 참여도는 전공 선택의 자율성 및 전공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와는 어느 정도 독립적임을 나타낸다. 대학생활의 과외활동은 오히려 학생들의 개인적 성격(내향성, 외향성 등)이나 개인적 믿음(정치적, 사회적 믿음)과 더 관련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면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적인 제약 중 하나는 전공 선택의 자율성을 묻는 설문이 학생들의 4년전에 있었던 사실에 대한 회상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인간의 기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왜곡되며, 그 왜곡은 사건이 있은 후에 생긴 다양한 경험과 관련이 깊다. 또한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의 자기 중심적 편향(self-centered bias)에 의하면, 인간은 좋은 결과는 자신에게 책임을 돌리고(내적귀인), 좋지 않은 결과는 남에게 원인을 돌리는 경향(외적귀인)이 있다(Bradley, 1978 ; Greenwald. 1980 등). 예컨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공을 선택함에 있어서 전적으로 자율적이고 전적으로 타율적인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타율성과 자율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공을 공부해 보고 자신과 적성이 맞고, 만족스러운 학생들은 자신이 원인이 된 자율적인 선택 과정을 더 기억하고, 믿으려 하며, 강조할 것이고, 전공이 만족스럽지 못한 학생들은 외부적 원인으로 그 탓을 돌리는 경향이 있어, 선택과정의 타율적인 면을 더 기억하고, 믿으려고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전공 선택의 자율성이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전공 선택의 자율성과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실제로 상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전공에 대한 높은 만족감이 생산한 인지적 부산물(epi-phenomenon)에 불과할 가능성이 있다. 즉 인과관계의 방향이 시간적으로 뒤에 있는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시간적으로 앞선 전공 선택의 자율성을 회상하여 응답하는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이를 고려하며, 설문에서는 전공 선택의 자율성을 먼저 질문하였으나, 이러한 가능성을 결과분석에서 완전히 배제하려면, 4년 동안의 추적연구(follow-up study)가 적절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중요한 교육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전공 선택의 자율성은 대학교 시험 성적과 같은 학업 성취보다는 전공에 대한 흥미도, 만족도 등과 같은 전공과 관련된 정의적 요인(affective factors)과 관련이 깊다는 점이다. 이는 나아가서 전공뿐만 아니라 대학 전반 생활에 관한 정의적 요인 및 졸업생으로써 모교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97학년도에 실시할 학부제와 관련지어 고려해 보면, 학부제를 통해 전공 선택 자율성의 폭을 넓힘은 학생들이 전공 분야 학문에 대한 흥미와 만족을 높이는 학생 개인적인 이득 뿐 아니라 이를 통한 수업의 원활한 진행 및 학업의 참여도 증가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더욱이 학생들은 학교 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켜, 고질적인 학생과 학교측의 갈등을 줄일 수 있으며, 경희대학교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예상을 할 수 있다. 또한 긍정적인 미래관 및 전공과 관련된 분야로 취업의 증가는 졸업생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들이 입사 후 남들 보다 우수한 역량을 발휘하는 바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학부제를 통한 전공 선택 자율성의 증가는 학생들에게만이 아니라 학교측에도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웨어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데상트’와 ‘나이키’의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박은하(Eun ha Park),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스포츠 레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관련제품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졌는데, 이것이 라이프스타일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또한 그 라이프스타일이 특정 브랜드의 소비자인식과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포츠브랜드 ‘나이키’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스포츠브랜드 ‘데상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며 브랜드에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 년 5월 한달 간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각자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갖고 있다. 특히 전공특성이 각각 뚜렷한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학생들은 라이프스타일 또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예술디자인대학 학생들은 라이프스타일 유형중 유행추구형에 가까웠다. 그리고 체육대학 학생들은 단과대학 특성에 맞게 단체여가지향형, 운동선호형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갖고 있었다. 공과대학 학생들은 건강추구형, 유행추구형, 운동선호형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가까운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있었다. 세 개의 단과대학마다 다른 라이프스타일과 브랜드에 관한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공통적인 인식으로 데상트는홍보 및 마케팅, 나이키는 합리성이 있는 가격설정으로개선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브랜드인지도와 그에 대한 구매여부, 사용 후 인식 변화 또한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브랜드 제품 사용 후 개선 방향 또한 제시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제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라이프스타일과 스포츠 제품의 관심도가 구매와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poses questions on the lifestyle can lead to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of a particular brand and as the sports leisure industry develop, it became higher interest in sports-related products, this is where there is some relevance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lifestyle of students to determine its impact on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for the 'Descent' and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for the 'Nike' to understand the relevance, trying to present the improvements. We conducted an internet questionnaire survey for students of Kyunghee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 in May 2016. First, students of the University of Art&Design were close to the lifestyle trend pursuit type. Second, student of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had the type of life style of group leisure preference. Last, Student of Institute of Technology, have a lifestyle close to the type of pursued a health type, trend pursuit type, a exercise preferred type. Three colleges were presented improvements in common to 'Descent’ is 'marketing ',' Nike' is ' pricing in the rationality’. Through this study, brand awareness and whether or not to purchase the product and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after use, are also seen to be associated.

      • KCI등재후보

        대학촌 옥외환경에 대한 색채 분석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일대를 사례로 -

        안나겸(Nagyeom Ahn),민병욱(Byoungwook Min)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20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3 No.2

        장소의 정체성은 지역 사회의 활력을 측정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국의대학촌의 정체성에 대한 비판이 많이 제기되어왔다. 한경관의 색채는 장소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는데, 이 연구는 대학촌의 경관색채구조를 조사하고 정체성 발현장치의 일부로서 현재 경관색채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일대의 경관색채를 조사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거주자 및 학생과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주요 보행 경로와 교차로 구성된 사이트에서 대표성을 지니는80장 이상의 사진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한국 표준 색상 분석 응용 프로그램이 색채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사진의 색상 수를 32로 줄인 다음 사진의 표면비율로 상위 10가지 색상을 추출한 다음 IRI 이미지 스케일에 따라 형용사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Identity of a place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o measure the liveliness of a communit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riticisms about lacking identity in campus towns in Korea. Believing that landscape color takes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a place,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landscape color structure of a campus town and analyze the meanings of current landscape color settings as a part of an identity generator. For data collection, over 80 photographs were taken in the site composed of the main pedestrian paths and nodes based on the interview with residents and students who frequently use the spaces. The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application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olor of the photographs. Having reduced the number of colors in a photograph to 32, top 10 colors in the order of surface proportion in the photograph were extracted, and then the meanings of adjectiv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RI image scale.

      • KCI등재후보

        풍류문화에 입각한 대학 예술교양교육 발전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우리가락으로 만나는 세상’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준영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2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and orientation of liberal art education in universities have been ongoing. However, most of these discussions have been based on Western philosophy and educational theory since modern times. In this study, I tried to link our traditional culture "Pungnyu" with liberal art education in university, and analyzed the case of the ‘The World We Meet with Traditional Music’ class at Humanitas College of Kyung Hee University in that wa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asks of three semesters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o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interpreting them in connection with the "Pungnyu Culture", suggest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ability of students to find the essence of art and recreate it in their own way rather than unilateral knowledge transfer in liberal art education, and strengthening the ability of professors to lead this process is essential. Second, liberal art education in universuty should not be about nurturing high-end appreciators or cultured people, but it should reach the level of fostering world citizens, "Pungnyu Human", who can reason and solve all problems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rough art methods. Third, it is necessary to exchange and integrate with each other, such as a group of art subjects, such as a variety of art genres. Fourth, the previous relative evaluation method is inconsistent with what the arts are aiming for, requiring a shift to P/F evaluation or absolute evaluation. Fifth, the "Pungnyu Culture", which recognizes the world through the arts and looks back on itself, shows a desirable combination of life and art. In order to restore the "Pungnyu Culture",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the compulsory required completion of the liberal art education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대학 예술교양교육의 필요성과 지향에 관한 논의는 그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 논의들은 근대 이후 서구의 철학과 교육론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고에서는 우리 전통의 ‘풍류문화’와 대학 예술교양교육을 연결해보려 했고, 그 방법으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우리가락으로 만나는 세상’ 수업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2020년 2학기부터 2021년 1학기까지 3개 학기 수업의 과제를 분석하고 이를 풍류문화와 연결해서 해석해 본 결과를 대학 예술교양교육 발전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대학 예술교양교육에서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보다는 학생 스스로 예술의 본질을 찾아내고 이를 본인의 언어로 재창조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과정을 이끌어 나갈 교수자의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다. 둘째, 대학 예술교양교육은 고급 감상자나 교양인을 길러내는 수준이어서는 안되고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문제들을 예술의 방법으로 사유하고 풀어나갈 수 있는 세계시민, 즉 ‘풍류인간’의 양성에 도달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예술장르의 교류가 일어나는 풍류회와 같이 예술교과 간 묶음과목의 구성 등 교류와 통합이 필요하다. 넷째, 평가 방식에 있어 종전의 상대평가 방식은 예술이 지향하는 바와 모순되는 지점이 있으므로 P/F방식의 평가나 절대평가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다섯째, 풍류를 통해 세계를 인식하고 본인을 돌아보는 ‘풍류문화’는 삶과 예술의 바람직한 결합을 보여준다. 풍류문화의 회복을 위해 대학 예술교양교과의 필수 이수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부족한 점과 거친 결론이 대학 예술교양교육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 내는 마중물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대학생의 일상 : 경희대학생의 시간활용에 대한 실태연구

        권준모,이경희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8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4 No.1

        212 students in Kyunghee University were questioned on how they spent a day to investigate their everyday life. They were asked the time spent on the lecture-taking lecture-preparation, the autonomous liberal reading, exercise, conversation, pleasure, etc. It was found that on the average the students spent 3 hours a day for the lectures and about 2 hours. to prepare them. Surprisingly, they spent only about twenty minutes on the average for autonomous liberal reading. Moreover, they spent less than 17 minutes on physical exercise. The result and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의 변화에 따른 교원의 지위와 대학의 자율성

        서윤호,전윤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60 No.-

        With the phenomenon of university corporatization, university restructuring in our current society is in full swing and the internal division of university faculties is being advanced. Until now, the status of university faculties has been governed by education-related laws such as the private school law and higher education law. However, these laws were legislated at a time when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ere on the path of continuous growth, so they are unsuitable for the current university situation, entering the period of university restructuring. Conventionally, the labor law has neglected the regulation of university faculties, while entrusting its legislative reform to the educational laws. As a result, the protection of university faculties during university restructuring is becoming significantly weaker than that of ordinary workers. Thus, to support or promote university restructuring, which is inevitable in response to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conversely, it is in the field of labor law necessary to actively include university faculties that face university restructuring as the objects of protection. At the same time, conversely, the legislative alternatives and disciplines suitable for university restructuring are being requested in education-related laws such as the private school law and higher education law.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posal for legislative improvement classified into liquidation-type university restructuring and survival-type university restructuring. For universities that are expected to encounter difficulty in normal management because of the accumulation of shortages regardless of misconduc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corporate dissolution incentives and the dismissal compensation for university faculties are balanced so that the university can be closed in an orderly manner wherein pain is shared fairly. To this end, various legislative supports must be sought, and the most crucial imperative is to quickly establish a social safety net for university faculties. At the same time, in the survival-type university restructuring that has a strong effect on the existence of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and the personal lives of university members, it is necessary for the university members to advocat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procedures of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o properly reflect their intentions. In particular, it is crucial to ensure that the university members actively participate in democratic decision-making in the course of department integration and abolition. 현재 우리 사회는 대학의 기업화 현상과 함께 대학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교원 내부의 분화가 촉진되고 있다. 지금까지 대학교원의 지위는 사립학교법이나고등교육법 등 교육관련 법령이 규율해 왔다. 그러나 이들 법령은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던 시기에 입법된 것이어서 대학구조개편기에접어든 현재 대학의 사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종래 노동법은 대학교원에 대한입법정비를 교육법령에 맡긴 채 그 규율을 등한시해 왔고, 그 결과 대학구조개편기에 대학교원의 보호가 일반근로자에 비해서도 취약한 정황이 뚜렷해지고있다. 그러므로 학령인구 감소에 수반된 대학구조개편기에 대응하여 부득이하게 요청되는 대학구조조정을 지원 내지 촉진하기 위해서는 노동법 차원에서도대학구조조정에 맞닥뜨린 대학교원을 그 보호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포섭하는 한편, 사립학교법 등 교육관계법령에서도 대학구조개편기에 적합한 입법적 대안과 규율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대한 입법개선안은 청산형 대학구조조정과 존립형 대학구조조정으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비위와 관련 없이 정원미달이 누적되어 정상적인학교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에 대해서는 법인해산장려금과 교원에대한 면직보상금이 균형 있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당사자들이 공평하게 고통을 분담하는 질서있는 폐교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입법적 지원이 모색되어야 하는 바, 그 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대학교원에대한 사회안전망을 서둘러 갖추어 나가는 것이다. 동시에 대학 및 학과의 존립과 학내 구성원의 신변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존립형 대학구조조정에 대한대학본부의 의사결정 과정과 절차에 대해서 학내 구성원의 의사가 적절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그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권을 서둘러 마련할 필요도 있다. 특히학과통폐합의 과정에서 교원들의 민주적 의사결정 참여보장은 매우 중요하다.

      • A Right to Access Confidential Peer Review Materials in the U. S. A.

        Park, Nam Gi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4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0 No.1

        우리나라 대학교수 신규 채용의 타당성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응시자에 대한 평가가 극히 주관적일 수밖에 없고, 평가자료 또한 공개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일부대학에서는 신규채용과 관련하여 금품이 수수되고 있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신규채용 뿐만 아니라 대학교수의 승진에 있어서도 일부 사립대학에서는 대학 운영자가 재정 여건이나 대상자의 근무기간, 혹은 재단과의 관계 등 교수의 자질과 무관한 기준을 자의로 적용해 승진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는 것이 대학사회에 널리 알려져 있다. 설령 자신이 여러 면에서 더 뛰어나다고 생각됨에도 불구하고 정당하지 않은 이유로 신규채용에서 탈락되거나, 더 뛰어나지 않은 동료는 승진을 했는데 자신은 제외되었다고 생각되더라도 항의하지 않고 지나치는 것이 우리의 문화이다. 만일 이런 사항에 대해 항의하면 좁은 대학사회에 좋지 않은 이미지만 널리 알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 뿐이라는 우려가 침묵의 문화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정년보장·승진·신규채용에서 부당하게 탈락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동시에 경쟁했던 다른 동료의 대외비자료 공개를 요청할 수 있는가가 큰 쟁점으로 되어있다. 이 권리에 관한 논쟁이 심화된 것은 미국의회가 시민법 제7조(신규임용·보수·근무조건 등에 있어서 인종·종교·성·출신국에 따른 차별 금지)를 대학교에 적용하면서부터였다. 이때부터 미국의회는 평등고용기회위원회에 제소된 사건에 관하여 증거가 될 모든 자료를 요청할 수 있는 폭넓은 권한을 부여하기 시작했다. 고등교육기관과 관련된 경우에는 고등교육기관의 학문자유 보장과 차별 금지 사이에 조화를 이루려고 시도했다. 동료의 평가 자료 공개 요청권이 계속 논란의 대상이 되는 이유는 대학이 관련 자료 공개를 거부할 특권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 연방법원 간에 서로 다른 판결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미국 최고법원은 (1) 동료의 평가 자료 공개 거부 특권이 인정되지 않으며, (2) 학문의 자유권이 동 자료 공개 거부 특권 인정으로 확대 해석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펜실베니아대학 내 평등고용기회위원회, 1990). 하지만 이 결정이 모든 사람이 모든 경우에 동료 평가 자료 공개 요구권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동료 평가 자료 공개 요구권이 인정되는 상황과 인정되는 논리적 근거를 밝혀 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 대학에서 신규채용·승진·정년보장을 신청했다가 거부당한 사람이 어떤 경우에 동료 평가 자료 공개를 요청할 수 있는가를 밝혀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동료 평가 자료'의 범위를 밝히고, 동 자료의 공개 요청권을 둘러싼 찬반론을 정리해 본다. 본문 중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있으나 이해를 돕기 위해 동료 평가 자료 공개반대와 찬성의 논거를 간단히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동료 평가 자료 공개 반대 논거로는 대학(기관)의 학문의 자유, 위축 효과, 대학 구성원의 화합 저해 등이 들어지고 있고, 동 자료 공개 찬성 논거로는 의회의 평등고용기회권(Title Ⅶ) 적용 범위 확장, 평등고용기회위원회의 조사권, 인종과 성 차별 문제의 심각성, 그리고 대학기관의 학문의 자유 주장의 오류성 등이 들어지고 있다. 동 자료 공개 요청권이 발동될 상황을 밝히면서 아울러 학문의 자유 원칙과 차별 금지원칙을 보장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한다. 이 논의는 대학교수 신규임용 등에 있어서 학연·지연·성(性) 등에 따른 차별이 공공연히 발생하는 우리의 상황에서 이러한 불합리한 기준보다는 연구 및 교수능력에 따른 임용이 되게 하기 위하여 어떤 상황에서 어떤 논리적 근거로 응시자들의 평가 자료를 공개하게 할 것인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