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 연구

        노지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ways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analyzing th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who support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schools. Research instrument is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conferences and related precedent studi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otal 27 questions in details classified into 8 items (sex, age, educational background, class of position, length of service, working place, number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marital status) as factors related to the personal background of answerers and 6 items (job, performance rating, pay, working conditions, huma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s factors related to job. The subjects of study are 200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under raking 6th served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and educational offices located in Gyeonggido. 153 sheets were received from them and 153 is the final number of the subjects. To test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instrument,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s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is thesis, such basic statistics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produced by using SPSS program.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udy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and analysi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and educational offices, it showed that common level appeared generally in 6 areas. Among them job area’s score (M=3.56) is a few higher, but pay area (M=2.90),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rea (M=2.89) is in common level, performance rating area (M=2.64), working condition area (M=2.63), huma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M=2.63) don’t reach common level. After analyzing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factors related to job as background variable,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as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 men’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women’s job satisfaction. In T-test between both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performance rating, working conditions,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rea. Second, as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the more aged people are the more job satisfaction they have. In job,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re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as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educational career people have the less job satisfaction they have. Only in performance rating a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as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class of position, the higher position people have the more job satisfaction they have. In 5 areas of job, performance rating, pay,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mong 6 are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ixth, as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working place, the job satisfa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served in educational offices were high, that is the same as the results of the precedent studies. In performance rating, working condition,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eventh, as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numbers of personnel, the more co-workers people have the more job satisfaction they have. In job, pay, performance rating,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Eighth, as for as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married officials had more job satisfaction than unmarried officials’ job satisfaction. In job, performance rating,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the way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First, in performance rating area, objective and fair assessment should be performed by improving the system of promotion, transference and performance rating and the chance of job training will be given to employees in right time.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can be helped to do self-actualization by increasing the chances of job training to improve professional abilities. In transference, enforcement of circulation service among upper institutes and schools can give vitality to organization by more understanding of difficulties among them. Therefor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to assign jog circularly is neede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and specificity by working in such various places as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and educational offices. Also, female officials should have disadvantages in promoting and transferring.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working conditions area, disposition of proper sized administration office and investment for welfare facilities and office machines should be performed. Also, for female officials to concentrate on their job, daycare centers in each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rea, education for officials should be performed considering the unique situation of dualistic educational organization. Especially in schools in which a few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serve, to solve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officials chances of job training and seminar should be increased and informal organization should be also revitalize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pay area, it is true that officials pay is lower than employees’ pay in companies and also a gap between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and teachers whose pay system is the best among public officials’ increase the job dissatisfaction. Especially compared with teachers’ pay system that recognize educational career when computing starting sala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starting salary has a big gap. Due to this gap their frustration is large. Therefore job satisfaction can be enhanced by raising pay, establishing new allowances, starting salary to recognize their educational career and certification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developable possibility and recognition area, the social valu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should be higher. It is true that the prevalent trend to make ligh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 in even teachers as members of it as well as common citizen drop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morale. Therefore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status should be higher by offering publicity data to change social recognition of them. Finally, 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burden on their task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in each school should be increased by such revision of law as revision of compute standard of local public officials’ number. Also, when one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 serves in a small school, the way to dispose a middle raking official but a newcomer is needed. 본 연구는 일선학교에서 지원행정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도구는 참고문헌 및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한 설문지이다. 설문지의 구성은 응답자의 인적, 개인적 배경에 관한 요소로써 성별, 연령, 학력, 직급, 근속기간, 근무기관, 교육행정직원수, 결혼여부 등 8개 항목과, 직무관련 요소로써 직무, 인사, 보수, 근무조건,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 발전가능성 및 인정 등 6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27문항으로 세분화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초ㆍ중ㆍ고 및 교육청, 직속기관에서 근무하는 6급 이하 지방교육행정공무원 200명이며, 이중 회수된 설문지는 153명이며, 최종 통계 처리된 인원도 153명이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먼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본적인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차이검정(t-test),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ㆍ중ㆍ고 및 교육청, 직속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조사 및 분석한 결과 6개 영역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6개 영역 중 직무영역(M=3.56)은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보수 영역(M=2.90), 발전가능성 및 인정영역(M=2.89)은 보통 수준이며, 인사 영역(M=2.64), 근무조건 영역(M=2.63),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 영역(M=2.63)은 보통 수준에 못 미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를 분석하면, 첫째, 성별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는 남성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이 여성 교육행정직 공무원들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집단간 차이분석에서는 인사영역, 근무조건영역, 발전가능성 및 인정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령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는 대체로 연령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는데, 직무영역과 발전가능성 및 인정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력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 분석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영역에서 유일하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직급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 분석에서는 직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영역, 보수영역, 인사영역, 발전가능성 및 인정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근속기간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 분석에서는 근속기간이 길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영역, 보수영역, 인사영역, 근무조건 영역, 발전가능성 및 인정영역 총 6개 영역 중 5개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섯째, 근무처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 분석에서는 교육청이나 직속기관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들의 만족도가 다른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높게 나타났다. 인사영역과 근무조건, 발전가능성 및 인정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곱째, 교육행정직원수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 분석에서는 함께 근무하는 동료 직원 수가 많을수록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직무영역, 보수영역, 인사영역, 발전가능성 및 인정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덟째,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 분석에서는 기혼인 교육행정직들이 미혼인 교육행정직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무영역, 인사영역, 발전가능성 및 인정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위 결과를 토대로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사영역에 있어서 승진제도 및 전보발령, 근무성적평정제도의 개선을 통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적절한 시기에 직무훈련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성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연수의 기회를 증가시켜 교육행정직들의 자아실현을 이루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특히 전보에 있어 상급기관과 학교근무의 순환 근무 실시로 서로 간에 애로사항을 이해할 수 있는 폭을 넓혀 줌으로써 조직에 활력을 넣어야 할 것이다. 초ㆍ중ㆍ고 교육청을 고루 근무하게 하여 다양한 업무 경험으로 전문성 향상과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순환보직제 확립이 필요하다. 또한 여성공무원이 승진 및 전보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근무조건영역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정한 규모의 행정실 배치와 후생 복지 시설 및 사무기기에 대한 투자가 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공무원이 업무에 집중 할 수 있도록 각 단위 학교 내에 유아방 설치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영역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와 행정직의 이원 조직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소수의 교육행정직이 근무하는 학교의 경우 교사와 행정직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직무 연수 및 세미나의 기회를 확대하고, 비공식적인 조직의 활성화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보수영역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공무원 보수체계가 민간 기업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이 사실이고, 공무원 중에서도 가장 보수체계가 잘 자리 잡힌 교사와의 격차 또한 불만족을 가중시키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초봉 산정시 학력을 인정하는 교사와 초임 교육행정직의 보수는 많은 격차를 내고 있고, 이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은 크다. 그러므로 보수의 인상, 교육행정직 수당의 신설, 학력과 자격에 대한 호봉을 인정함으로써 만족도를 높여주어야 한다. 발전가능성 및 인정영역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행정직의 사회적인 평가를 높여주어야 할 것이다. 즉 교육행정 조직의 경시풍토가 일반인들은 물론 조직구성원인 교원들 사이에도 퍼져 교육행정직들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사회적 인식 전환을 위한 홍보 및 자료를 제공하여 교육행정직의 위상을 높여 주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행정직의 업무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공무원 정원 산정 기준의 수정 등의 법규 개선을 통하여 단위 학교 내의 교육행정직원수를 늘리고, 소규모 학교에서 1명이 근무할 때에는 신규발령이 아닌 중간계급의 직원을 발령 내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이커머스 OTT 교육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태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38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보급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불러왔다. 시각 콘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서비스의 등장으로 정보화 시대에 있어 다양하고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미용 산업에서도 OTT 서비스를 이용한 교육 및 마케팅이 자연스럽게 활용되고 있다. 과거부터 이어져 오는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과 더불어 언제든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온라인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헤어트랜드 및 기술정보의 흐름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필수 전략이 되고 있으며 개인의 실무능력을 빠르게 성장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서비스교육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OTT 서비스교육을 시청한 경험이 있고, 경기도와 충청도에 소재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들에 한하여 10대~50대 남녀를 편의추출 하였으며, 설문지 606부(97.7%)를 IBM SPSS Statistics 26.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OTT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이 유의한 경우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는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는 비모수 검정(Kruskal-Wallis의 H)을 실시하여 같이 제시하였다.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활용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 α는 .05이하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의 직무활용, 직무성과와 교육만족도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은 직책(F=12.490, p<.001), 학력(F=5.281, p<.001), 근무기간과(F=6.190, p<.001) 연령(F=3.133,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직책(F=27.630, p<.001), 근무기간(F=21.288, p<.001), 연령(F=16.579, p<.001), 학력(F=7.105, p<.001)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만족도는 직책(F=14.841, p<.001), 근무기간(F=5.789, p<.001), 학력(F=4.413, p<.01), 연령(F=3.020,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둘째, 프랜차이즈 미용종사자의 OTT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OTT 교육특성은 교육만족도(r=.83, p<.01), 직무활용도(r=.82, p<.01), 직무성과(r=.66,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은 교육만족도(r=.80,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도(r=.76, p<.01)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정보성(=.2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성(=.26), 신뢰성(=.22), 유희성(=.18)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성, 신뢰성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OTT교육특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2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성(=.26), 유희성(=.24), 정보성(=.17)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넷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성과를 독립변인, 교육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781.894,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는 .57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B=.68, t=27.962, p<.001)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 하위요인 직무할당(B=.23, t=4.720, p<.001), 업무수행(B=.45, t=9.134, p<.001)는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향력을 살펴보면 업무수행(=.51), 직무할당(=.23) 으로 업무수행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절대적합지수의 경우 값(=189.538, df=38)의 p 값이 .000로 ‘모형은 자료를 완벽하게 설명한다’ 라는 영가설이 기각됨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에 충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절대적합지수 중 RMR .01, GFI .94로 기준치를 충족 하였으고,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표준적합지수(NFI)가 .97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으며, 비교준적합지수(IFI)는 .98으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다. 또한 상대적합지수(CFI) 역시 .98로 기준치(≥0.9)를 충족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에 경로계수.91(p<.001)로 유의한 정적 영향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활용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49(p<.001)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28(p<.01) 나타남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경로계수.32(p<.001) 나타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종사자들의 연령, 학력, 근무기간, 직책에서 OTT 교육특성의 (정보성, 신뢰성, 유희성, 편의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OTT 서비스교육을 통해 미용 종사자들에게 알맞은 차별적인 시각적 전략과 최신트랜드 컨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교육특성을 활용하여 미용종사자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ing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society. With the advent of OTT services that focus on visual content, various and desired informa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obtained in the information age, and education and marketing using OTT services are naturally being used in the beauty industry. Along with offline education that has been going on since the past, the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study on their own at any time is an essential strategy to quickly learn various hair trends and technical information flow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service education for franchise beauty worker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men and women in their teens to 50s were conveniently extracted only from franchise beauty worker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606 (97.7%)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statistics program and AMOS 26.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T usage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OTT education performance, job uti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If the variance analysis is significant, a post-analysis was conducted, and a post-test of Scheffe was conducted in the post-analysis. If you are not satisfied with normality and equality, we conducted a nonparametric test (H of Kruskal-Wallis) and presented it together.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utiliz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utilization (F=12.490, p<.001), academic background (F=5.281, p<.001). Job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27.630, p<.001), working period (F=21.288, p<.001), age (F=16.579; p<.001),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14.841, p<.001), and age (F=3.05, 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83, p<.01), r=.82, p<.01).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76, p<.01). Third,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showed that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job utilization. O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ve a static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the ranking that affects job performance has the highest convenience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s, followed by information and reliability.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 convenience (=.27)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liability (=.26), playability (=.24), and informationability (=.17) Fourth,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icians was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ob performance as independent variable and education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 (F=781.894, p<.001) model had a modified coefficient (Adj) of .57. Job performance (B=.68, t=27.962,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sub-factor job assignment (B=.23, t=4.720, p<.001) and job performance (B=.45, t=9.134, p<.001)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Looking at its influence, it showed a high impact on work performance (=.51) and job assignment (=.23).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it is the p-value of the absolute fit index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189.538, df=38).In 000, the English hypothesis that "the model explains the data perfectly" was rejected, which does not meet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However, RMR.01, GFI.94 of the absolute conformity index met the reference value, and in the case of incremental conformity index, the standard conformity index (NFI) met the reference value (±0.9) with .97, and the comparative quasi-conformity index (IFI) was .98. The relative fit index (CFI) is also .98, which meets the reference value (±0.9), and the conform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as been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OTT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with a path coefficient of .28 (p<.01). Job performance is a route factor of .32 (p<) for educational satisfaction.0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Taken together,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 satisfaction differed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reliability, playability, convenience) in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period, and responsibilities of franchise workers.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beauty workers by utilizing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that focus on discriminatory visual strategies suitable for beauty workers and latest trend contents through OTT service education.

      •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강원도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를 중심으로

        하명의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special-class teachers in Gang won-do.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below.First, are there any causal differences of job str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sex, age, posses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licence, educational career experiences, location of the school, and the workload?Second, what is the effect of each variable, the educational and non-educational task, on the job stress?Third, what is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prior researches, an instrument was developed to fit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14 special-class teachers working at 205 elementary schools in Gang won-do. 12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ack, data was analyzed by analysis using cross-analysis. t-test for the two variables, one-way ANOVA to compare the mean, and correlation-analysis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used.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below.First, teachers didn't think their performance appraisal was rated as good as they did and high level of job stress was shown in many criteria especially in their 20s.Second, the education planning, assessment and evaluation, and IEP planning were viewed as a burden and the stress about lack of time to study and low rating for their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very high. The answers reported that the performance of non-educational tasks was also rated low and when they got over 3 non-educational tasks, their stress level was increased in physical symptoms, discontent with supporting system, pressure of the tasks, lack of time for the tasks during working hour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Third,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rated low in instructional modification and making materials for inclusion, study time for teaching, and the evaluation method and teachers in their 20s rated lowest about the criteria.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ed between job stress-educational satisfaction related to both educational and non-educational task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reported between educational and non-educational job stress.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 that reduction measures for job stress of special-class teachers.First, measures for changing perception towa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ir performance should be provided. Supporting systems like mentor programs for the teachers in their 20s are also needed.Second, to increase study time for teaching, the educational tasks of special -classes should be reduced by providing IEP guide line at the national level, simplifying and integration of educational plans, and in-service training and information sharing for assessment and evaluation methods.Third, as shown from data, the teachers' job stress who have over 3 non-educational tasks was highest and the correlation was negative between job stres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measures to reduce non-educational task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내 일반학교 특수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이 궁극적으로 교육성과를 떨어뜨리게 되는지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첫째, 업무에 대한 특수교사의 스트레스 요인은 성별, 연령별, 특수교사 자격소지 유무, 교육경력별, 학교 급지별, 업무량별로 차이가 있는가?둘째, 특수학급 업무와 특수학급 이외의 일반 업무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셋째, 직무스트레스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논문들에서 사용된 질문지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연구목적과 내용에 맞게 제작하여 강원도 내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205개 일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특수학급 담당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고 128부를 회수하여 교차분석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범주가 두 가지인 변인에 대해서는 t-test 분석을 사용하였고, 각 문항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평균을 비교하였으며 스트레스와 교육만족도 관련 분석은 상관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업무에 대한 근무평가를 잘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항목에서 20대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둘째, 특수학급업무와 관련해서 교육계획의 수립, 진단평가, IEP의 수립에 부담을 느끼며 연구투자시간의 부족과 근무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일반 업무와 관련해서도 업무 담당에 따른 근무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업무의 수가 3가지 이상인 경우 신체적 증후, 조직지원체계, 업무 과중, 업무에 대한 압력, 직무 요구, 근무 시간 내 일반 업무 소요시간, 수업 관련 직무요구, 수업만족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셋째, 교육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20대가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으며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수정 및 교재 제작에 대한 만족도, 수업 연구 시간의 부족, 평가 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수교육업무 관련 직무스트레스-교육만족도, 일반 업무 관련 직무스트레스-교육만족도 간에 약간의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육 업무 관련 직무스트레스와 일반 업무 관련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약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들의 여건 개선과 직무스트레스 경감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첫째, 특수교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직무에 대한 보상을 제대로 받을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20대의 경력이 낮은 교사들을 위해 멘토링 제도와 같은 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둘째, 국가 수준에서 IEP 가이드라인 제시, 각종 교육계획의 통합 및 간소화, 진단 및 평가에 대한 연수와 정보의 공유를 통해 특수학급 업무를 경감하여 교육 연구 투자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일반 업무량이 3가지 이상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고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육만족도와 유의미한 음의 관계가 있음을 보이므로 특수교사의 일반 업무 경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재수학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품질이 학습성과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영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22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reality of lack of research on exam re-takers, despite the fact that among all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takers, the number of re-takers have remained high for several recent years at ratios exceeding 20%, and that this is the first time a gap appears in public education dur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cess.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factors on learning outcomes and word-of-mouth intention by surveying exam re-takers on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educational service quality, learning outcomes, and awareness in word-of-mouth intention at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Ultimately, through the supply of customized educational service for exam re-takers by the manager of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exam re-taking will improve, and this in turn, will provide basic data for aiding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center.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objectives, thre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up. First, how can the awareness in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educational service quality, learning outcomes, and word-of-mouth intention at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re-preparation be described? Second, how can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educational service quality, learning outcomes, and word-of-mouth intention depending on the exam re-taker’s personal background be described? Third,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outcomes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exam re-takers? In order to resolve the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examinees currently registered at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as subjects, and a research analysis was performed on 448 subjects that have submitted valid respons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awareness on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educational service quality, learning outcomes, and word-of-mouth intention at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re-preparation was analyzed, the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was in the order of instructor factor(4.03)>educational program (3.79)>entrance exam consultation (3.71)>physical environment(3.27)> cost factor(3.24), educational service quality was in the order of usefulness(3.85)>reactivity(3.84)>confidence(3.60)>substance(3.11), learning outcomes was in the order of cognitive effect (3.93)>affective effect (3.91), and word-of-mouth intention was found to be 3.70. Second, when the gender difference in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educational service quality, learning outcomes, and word-of-mouth intention depending on the exam re-taker’s personal background was analyzed, physical environment, the sub-factor of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at private tutoring centers, and affective effect, the sub-factor of learning outcom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males than females. In the area of high school, subjects that have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physical environment when compared to subjects that have graduated from special-purpose high schools.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difference in major research variables depending on major fields, in the area of post-hoc result of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 for liberal arts, compared to natural sciences, art, music, physical education, or other majors. In educational program and entrance exam consulta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 for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compared to those with majors in art, music, physical education, etc.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 for liberal arts compared to natural sciences in cost factor, instructor factor, quality and reactivity of educational service, confidence, and word-of-mouth inten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liberal arts majors compared to other majors such as art, music, physical education, etc., in cognitive effect, the sub-factor of learning outcomes. In the average score of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of last year, only word-of-mouth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records rating and total count of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of this year, no difference was observed. After analysis of private tutoring center type, self-study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integrated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or private boarding tutoring centers in physical environment and integrated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and private boarding tutoring cent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self-study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in educational program. Cost facto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integrated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and self-study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compared to private boarding tutoring centers, and entrance exam consult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private boarding tutoring centers than in self-study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Scores i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onfidence, substance, and word-of-mouth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 for integrated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and self-study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compared to private boarding tutoring centers, and reactivity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for self-study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compared to private boarding tutoring centers. The average values for private boarding tutoring centers and self-study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exceed general levels in cognitive effec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ducational program and substance for monthly income levels of parents. Third, when the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outcomes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exam re-takers were analyzed, the findings were that physical environment, reactivity, and usefulness for overall learning outcome, and physical environment, reactivity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usefulness for awareness effect of learning outco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nd confidence showed negative effect. Physical environment of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and substance and usefulnes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were found to provid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word-of-mouth intention, educational, cost factor, confidence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ognitive effect, and affective effect in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level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first, by considering personal background, private tutoring centers must improve facilities and reinforce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female students, and run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liberal arts or natural science fields. Second,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outcomes, overall effort must be exerted in educational environment, psychological counseling of students, etc. Third, in order to increase word-of-mouth intention, private tutoring centers must construct differentiated programs and reasonable tuition, and enhance intimacy with students to improve grades and study habits. Fourth, integrated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must upgrade educational facilities. Private boarding tutoring centers must improve facilities and modify tuition to rational rates.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centives for students to actively introduce the centers to acquaintances. Self-study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college entrance re-preparation must create necessary special classes, and provide entrance exam consultations through speedy analysis of mock examinations. 본 연구는 최근 수년 동안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생 중 재수생의 비율이 20%를 상회할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평생교육과정 속에서 처음으로 공교육이 단절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재수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재수생을 대상으로 재수학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교육서비스 품질, 학습성과, 그리고 구전의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성과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재수학원 운영자가 재수생에게 최적화된 교육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재수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고, 이것이 성공적인 경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재수학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교육서비스 품질, 학습성과, 구전의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재수생의 개인배경에 따른 교육서비스 만족도, 교육서비스 품질, 학습성과, 구전의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재수생의 학습성과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수학원을 다니고 있는 수험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그 중 유효한 응답을 한 448명 대상으로 연구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수학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교육서비스 품질, 학습성과, 구전의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 만족도는 강사요인(4.03)>교육프로그램(3.79)>입시컨설팅(3.71)>물리적 환경(3.27)>가격요인(3.24) 순이고, 교육서비스 품질은 유용성(3.85)>반응성(3.84)>확신성(3.60)>내용성(3.11) 순이며, 학습성과는 인지적 효과(3.93)>정의적 효과(3.51) 순이고, 구전의도는 3.70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재수생의 개인배경에 따른 교육서비스 만족도, 교육서비스 품질, 학습 성과, 구전의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학원 교육서비스 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과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인 정의적 효과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학교에서는 일반고 출신들이 특목고 출신보다 물리적 환경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른 주요연구변수들 간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후검정 결과 교육서비스 만족도에서는 문과가 이과와 예‧체능 및 기타 전공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교육 프로그램과 입시 컨설팅에서는 문과와 이과가 예‧체능 및 기타 전공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요인과 강사요인, 교육서비스 품질과 반응성, 확신성 그리고 구전의도에서는 문과가 이과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효과에서는 문과가 예‧체능 및 기타 전공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도 수능성적 평균에서는 구전의도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내신등급과 올해 수능을 보는 횟수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유형에 따른 분석결과, 물리적 환경에서는 독학재수학원이 재수종합학원과 기숙학원보다,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재수종합학원과 기숙학원이 독학재수학원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요인에서는 재수종합학원과 독학재수학원이 기숙학원보다, 입시 컨설팅에서는 기숙학원이 독학재수학원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교육 서비스 품질과 확신성, 내용성, 구전의도에서는 재수종합학원과 독학재수학원이 기숙학원보다, 반응성에서는 독학재수학원이 기숙학원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인지적 효과에서는 기숙학원과 독학재수학원의 평균값이 보통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부모님의 월 소득 수준에서는 교육 프로그램과 내용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재수생의 학습성과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학습성과에는 물리적 환경, 반응성, 유용성이, 학습성과의 인지적 효과에는 물리적 환경, 교육서비스 품질의 반응성, 유용성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고, 확신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서비스 만족도의 물리적 환경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내용성과 유용성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전의도에는 교육서비스 만족도의 교육 프로그램, 가격요인, 교육서비스 품질의 확신성, 인지적 효과와 정의적 효과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첫째, 개인배경을 고려하여 학원은 여학생을 위한 학원시설의 개선과 심리상담을 강화하여야 하고, 문‧이과 학생들의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환경, 학생들의 심리상담 등 전반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구전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원은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합리적인 수강료를 구성하고, 학생과의 친밀도를 높여서 성적과 학습습관을 향상시켜야 한다. 넷째, 재수종합학원은 교육시설을 개선하여야 한다. 기숙학원은 시설개선과 수강료를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주변에 소개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독학재수학원은 필요한 특강을 개설하고, 신속한 모의고사 분석을 통한 입시상담을 진행해야 한다.

      • 일반계고등학교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과 학교 교육만족도 및 애호도 관계분석

        김우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22

        이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만족도, 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 요인을 파악하고, 교육서비스 품질, 만족도, 애호도에 지각 차를 분석한 후, 그 변수들 간 구조적 인과 관계와 영향력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08년 2월 현재 인천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6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 565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황인호(2005)가 개발한 도구를 원용하고, 자료 분석은 SPSS15.0(ver)과 AMOS 7.0(ver)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첫째,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차원)은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6개 차원으로 확인된 것과는 달리 7개(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실성, 공감성, 내용성, 유용성)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문계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다르다는 것은 학교경영자들이 학교를 경영할 때, 학교 설립 목적과 특성에 맞게 경영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둘째, 교육서비스 품질, 만족도, 애호도에 대한 지각은 전체적으로 보통(4.0)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성별, 학년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지각된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조직 내부 요인들, 즉 학생들의 기대에 대한 학교장의 무지, 잘못 설정한 교육서비스 품질 기준, 품질 기준에 어긋난 교육서비스, 학교의 약속 불이행 등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남녀의 성차를 고려하고, 학년에 따른 학생들의 기대를 충족하며,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교육적 배려가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셋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모형은 ‘교육서비스 품질의 각 구성요인 → 만족도 → 애호도’의 관계로 통합적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즉, 이 연구 모형은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을 원인 변수, 학생 만족도를 결과 변수로 하고, 이어서 학생 만족도를 원인변수, 애호도를 결과변수하고 있으며, 그 변수들 간 인과 관계를 구조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의 전반적인 만족도, 애호도를 높이려면, 무엇보다도 교육서비스 품질의 각 구성요인들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넷째, 교육서비스 품질의 요인 중 유형성, 확신성, 공감성, 유용성이 만족도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공감성〉유용성〉확신성〉유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애호도에 유의한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유형적인 것보다 무형적인 것을 더 중요시하므로 학교와 교사는 학생들에게 공감성과 확신성을 심어주고,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해야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만족도, 애호도를 높이려면, 교육서비스 제공자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을 파악하여 세분화된 교육경영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러한 교육경영 전략은 다양한 교육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학교에 대한 애호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리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omponen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loyalty level perceived by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level,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those variabl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conducted research with the subjects of 565 students in six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Incheon area in February 2008. For the instrument of assess, I applied the one that was developed by Hwang in-ho (2005), and for data process, I used SPSS 15.0 version and AMOS 7.0 version i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First, when viewing the component (dimens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even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e, certainty, sympathy, contents, usefulness) different from those in special high school which showed six dimensions. As it was shown above, the result of difference between special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i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means that there needs different management fit to the purpose and trait of the school establishment when the school manager operates school.Second, percep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level showed lower score than the average (4.0) in general and there was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school grade, and academic achievement. It means that there needs to improve the inner factors of school structure influencing service perceived by students. That is to say, they need to correct principals' ignorance about the expectancy of students, wrong-establish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tandard, unfit educational service deviated from quality standard, and unfulfilled promise by school, to consider the difference in gender, to fulfil the expectancy of students per school grade, and to take consider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education.Third, the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showed integrated route of relation 'each component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 satisfaction → loyalty level'.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model takes the componen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s the causal variable and student satisfaction level as the consequent variable and then student satisfaction as the causal variable and loyalty level as the consequent variable, and form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ose variables with structure. It menas that, first of all, there needs to improve each component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o as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loyal level in the whole.Fourth, it showed that amo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pattern, certainty, sympathy, and useful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the strength of influence power was shown as sympathy> usefulness> certainty> pattern.Satisfaction had positive[+]influence on loyalty level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more consider invisible things than visible ones, so that schools and teachers have to bring sympathy and certainty into students and operate student-based curriculum.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educational service suppliers to grasp componen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get segmented educational management strategy. I expect that this educational management strategy will be helpful to satisfy the need of various education demanders and increase the loyal level to school.

      •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요인과 만족도가 연속수강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22

        본 연구는 학원에 수강 중인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 요인을 파악하고, 그 변수들 간 구조적 인과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학원의 서비스 질 향상과 경영성과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원교육 서비스산업에서 고객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전략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15년 1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45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다. 측정도구는 기존 문헌들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하여 이용하고, 자료 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 중 반응성과 공감성, 내용성, 유용성 요인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유용성> 공감성> 내용성, 반응성 순으로 나타났다. 연속수강의도에는 유용성 요인만이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학원에 대한 만족도는 연속수강의도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 중 내용성과 유용성 요인이 구전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유용성> 내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학원에 대한 만족도는 구전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 교육 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과 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학원교육 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 중 반응성, 공감성, 내용성, 유용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유용성> 공감성> 내용성> 반응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 중 유용성 요인만이 연속수강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등학생 수강생들이 지각한 학원에 대한 만족도는 연속수강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연속수강 의도는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에 대한 만족도는 구전의도에도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의 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원 경영자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을 파악하여 중점적으로 노력해야 할 교육서비스가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기대에 부응하는 효과적인 학원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education service, such as satisfaction,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word of mouth of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analyzed structural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different variables. Also, it aim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 among satisfaction,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word of mouth and to sugges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er-oriented service strategy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service industry. For this, I researched 454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Kyungi metropolitan area in January, 2015. I modified and utilized the tools u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for the measurement, and applied SPSS 18.0 and AMOS 18.0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 follows below. First, among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services, reactivity, empathy, contents, and usefulnes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amount of its effect was shown to be usefulness, empathy, contents, and reactivity in decreasing order. Regarding the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only usefulness was shown to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 Also, high school students’satisfaction rat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Second, among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educational service, contents and usefulness had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The amount of its effect was shown to be usefulness and contents in decreasing order. Also,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rat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Third, structural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mong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word of mouth showed that reactivity, empathy, contents, and usefulness had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The amount of influence was shown to be usefulness, empathy, contents, and reactivity in decreasing order. Also, among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educational service, only usefulness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In addition, high school students’satisfaction rat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The satisfaction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was also proved to have direct and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This study needs to observe and make up what effort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operators have to make in regard to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for improvement of students’ satisfaction,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word of mouth. Such effort will fulfill the needs of students who are consumers of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management strategy.

      • 심폐소생술 시청각 매체 교육의 직업군에 따른 교육 몰입과 교육만족 차이 및 관계

        정희선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22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시청각 매체 교육에 대한 교육 몰입 및 교육 만족이 직업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와, 교육 몰입이 교육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심폐소생술 시청각 매체교육의 몰입도와 만족도는 직업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둘째, 심폐소생술 시청각 매체교육의 교육몰입은 교육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 시청각 매체 교육에 참여한 교육생의 직업군에 따른 교육몰입 및 교육만족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2021년 3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H교육원 교육생 100명을 대상으로 교육몰입 및 교육만족에 대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집된 설문지의 문항에 대한 응답을 누락하였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킨 후, 분석 가능하고 유용한 자료를 입력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 및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셋째,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각 매체 교육 만족의 방법 만족은 수상안전관련종사자가 다른 직업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방법 만족을 제외한 다른 모든 하위요인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시청각 매체 교육 몰입의 모든 하위요인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음으로 교육몰입은 교육만족의 하위요인 중 교육집중과 교육수준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시간, 재미, 학습수행에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심폐소생술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기관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의 실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시청각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직업군에 맞도록 교육방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flow to CPR audio-visual media education differ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and how educational flow affects education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formulated. First, the degree of immersion and satisfaction in CPR audiovisual media education differ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group. Second, the educational flow of CPR audiovisual media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o verify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flow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groups of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CPR audio-visual media education, education immersion and education of 100 trainees at H Education Center located in Seoul from February to March 2021 were conduc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given to measure participant satisfaction. Data from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unreliable due to missing or invalid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Valid data a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by inputting available and useful data. The specific statistical treatments used are as follows. First,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Second,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satisfaction of audiovisual media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in water safety-related workers than other occupation groups, but all other sub-factors except method satisfac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und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all sub-factors of immersion in audiovisual media education. Second, education flow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concentration and education level among the sub-factors of education satisfaction but did not have any effect on education time, fun, and learning performance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nstitutions that plan and implement CPR education need to actively use audio-visual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 effect of CPR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education methods to suit various occupational groups.

      • 창업보육센터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보윤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22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벤처기업이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시기까지 시설, 기술, 행정, 경영지원뿐만 아니라 입주 지원까지 다양한 지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은 입주업체들의 기업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조직문화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창업기업을 움직이는 심장이며 그 영향력은 실핏줄을 타고 회사의 가장 사소한 결정에까지 미친다. 조직문화마저 없다면 스타트업은 제품, 고객, 시장 어느 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한 그저 꿈을 좇는 집단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동안 창업보육센터의 지원프로그램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나 효율성, 전담 인력의 전문성 향상과 지원프로그램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가 조금씩 시도되고 있지만,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 구성 요인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과 창업기업에게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실천중심설계가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교육만족이 조직문화에 그리고 조직성과에 주는 영향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 연구 모형과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창업기업과 창업보육센터에게 실질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총 120명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 항목의 타당성과 가설 검증을 실행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 중 신뢰성과 실천중심설계는 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보육센터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실천중심설계)과 교육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조직문화(공유가치, 전략, 구조) 중 반응성이 조직문화 중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실천중심설계가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직성과(내부 프로세스, 경쟁사 대비 성과) 중 내부 프로세스에는 실천중심설계와 조직문화에 해당하는 전략과 구조가 영향을 미치고, 경쟁사 대비 성과 관계에서도 동일한 변수(실천중심설계, 전략, 구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문화 중 전략과 구조는 교육 만족과 내부 프로세스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조직문화 그리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이론적 기초로 한다. 특히, 창업보육센터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 요소 중 직접 실천하는 실천중심설계의 중요성과 함께 교육 서비스품질과 조직문화 간 유의미한 관계를 제시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실천중심의 중요성을 발견, 향후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커리큘럼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Business incubation centers have been playing a diverse supportive role not only in providing facilities, technology, administrative, and management support but also in offering tenancy support until venture companies can sustain themselves. Particularly,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se incubation centers play a very crucial role in the growth of tenant companies.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organizational culture as a factor influencing business performance due to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s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is the heart of a startup, with its influence extending to even the minutest decisions within a company. Without a solid organizational culture, a startup might be just a group chasing dreams, unable to develop products, customers, or market strategies adequately. While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the impact of incubation center support programs on management performance, efficiency, and the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dedicated personnel,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se educational programs on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at business incubation centers, which include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practice-oriented desig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A total of 120 sample groups were colle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hypothe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and practice-oriented design amo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incubation center's educational programs positively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practice-oriented desig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hen taken as independent variables, show that responsiveness affects strategy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actice-oriented design impacts structure. Third, amo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nal processes, performance compared to competitors), it was found that the strategies and structures corresponding to practical design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ve an impact on internal processes, and the same variables (practical design, strategy, structure) have an impact on performance compared to competitors. Fourth, strategy and structure within organizational cultur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rnal process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impact of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at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aspects of service quality a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ul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s at business incubation cent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actice-oriented aspects. Keywords: Business Incubation Center, Educational Service Quality, Educ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