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기업 인스타그램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에 따른 가상고객환경에서의 상호작용경험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보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customer interaction platform, companies are increasingly using SNS. Recently, companies are paying attention to Instagram as a communication channel of interaction with consumers. In a real-time connected Internet environment, companies are constantly building relationships by interacting with us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customers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ssage types. The study divided the message types provided by the corporation into the rational appeal and the emotional appeal type. Based on Internet-based Virtual Customer Environment(VCE), which the interactions were classified into virtual environments, that is,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users through online, the interaction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pragmatic, usability, hedonic, and sociability. In addition, in terms of interaction, the effect of four communication message types were analyzed on the influence on visiting intention.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message types on interaction experience and visit inten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l four sub-factors of interaction experience, which are pragmatic, sociability, usability, and hedonic,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visiting intention. In addition, among the four sub-factors, the influence of the usability interaction was the highest, and the hedonic, sociability, and pragmatic interaction were influenced in that ord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communication messages, regression analysis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rational appeal message type, four sub-factors of interaction experiences, including usability interaction experience fairly affected visiting inten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emotional message, pragmatic interaction experience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visiting inten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hedonic, usability, and sociability inter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visiting inten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experience on the visitor's int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mmunication message, so that the importance of the message type provided by the tourism company was confirm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our interaction experiences of VCE a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visiting intention. Hotel enterprise needs to provide various interaction experience such as using virtual environment on Instagram. In addition, among the four interaction experiences,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visitor's intention is usability interaction experience,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construct the VCE with increasing ease of use and convenience. Also, in that the effective interaction experience in terms of the message types is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utilizes the interaction environment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of the hotel enterprise 고객 상호작용 플랫폼으로 기업들의 SNS활용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기업들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채널로 인스타그램에 주목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연결된 인터넷 환경에서 기업은 이용자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관계 구축을 하고 있으며, 고객에게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기업 중 관광정보 또는 자사와 관련된 정보들을 다양한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호텔의 인스타그램에 대한 고객의 상호작용 경험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유형을 이성소구와 감성소구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인터넷 기반 가상 고객환경 VCE(Internet-based Virtual Customer Environment:이하VCE)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작용을 가상환경, 즉 온라인을 통해서 기업과 이용자 간 이뤄지는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분류한 것으로, 인스타그램에서 상호작용 경험을 실용적, 사용적, 쾌락적, 사회적 측면 총 4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측면에서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에 따라서 4가지 측면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거쳐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경험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 경험의 4가지 하위요인인 실용적, 쾌락적, 사용적,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 모두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개의 하위요인 중 사용적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쾌락적, 사회적, 실용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메시지 유형에 따라 집단 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성소구 메시지 유형의 경우 사용적 상호작용경험을 포함한 4가지 상호작용경험이 방문의도에 고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감성적 메시지의 경우는 실용적 상호작용경험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쾌락적, 사용적, 사회적 상호작용이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에 따라 발생되는 이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광기업이 제공하는 메시지유형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VCE가상환경에서 상호작용 환경의 4가지 상호작용 경험들은 모두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호텔기업들은 고객이 가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4가지 상호작용 경험 중 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는 사용적 상호작용경험으로, 사용 용이성과 편리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VCE가상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성적 메시지와 감성적 메시지 유형에 따라서 효과적인 상호작용 역시 다르게 나타나, 호텔 기업의 특성과 전략에 적합한 상호작용 환경을 활용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요가수행체험

        김보윤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의 일환인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통한 요가수행 경험의 본질적 특성과 그 의미를 명료화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요가수행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12명의 즉각적이고 주관적 요가수행 체험의 묘사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요가 수행 체험의 본질적인 특성들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심층면담(Depth Interview)'의 방법을 통하여 요가수행 개개인의 체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현상학에 근거한 체험적 기술과 분석의 방법에 의하여 자료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이에 따른 논의를 근거로 할 때, 다음의 사항들이 연구의 결과로서 명료화되었다: 첫째, 요가수행의 정의적 요소로서 다음의 3가지 측면들이 부각되었다: 1) 독특한 체험으로서의 요가수행, 2) 자유로운 행위로서의 요가수행, 3) 자기확신적 체험으로서의 요가수행. 둘째, 수집되어진 연구 참가자들의 기술과 분석 그리고 심층 면담자료를 토대로 분류화와 개념화작업을 통하여 참가자들의 요가수행의 본질적 의미가 다음과 같이 부각되었다: 1) 신체의 변화: (1) 신체상태의 인식, (2) 체형과 자세교정, (3) 유연성 강화, (4) 통증완화, 2) 정신의 변화: (1) 스트레스 해소, (2) 긍정적 평가, (3) 자신감 고취, 3) 호흡의 변화. 연구 결과들에 관련된 논의를 통하여 볼 때, 연구 참가자들의 요가 수행을 통한 체험의 의미는 저마다 독특한 특성과 함께 주관적 가치와 척도를 내포하고 있다. 요가의 본질적 구조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행하는 수행자의 심리상태·감정·느낌·생활환경 등의 모든 요인들의 복합적인 국면과 상황들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요가를 수행함에 있어 호흡의 통제를 통해 마음을 다스리고 다시 마음의 절제를 통해 육체의 평온을 얻을 수 있는 상호 연결성과 동시성의 요구가 바로 요가의 바탕이 되며 이는 결국 요가수행의 목적인 심신의 조화로움과 육신과 정신의 해탈이라는 새로운 인격체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요가수행의 참된 가치는 분리된 관계가 아닌 모든 대상이 상호 연결된 자아의 추구, 혹은 모든 관념과 표상으로 부터의 해탈을 통한 존재의 부재와 이를 통해 새로운 존재의 실존으로의 생성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tial nature and meaning of Hatha Yoga performance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In doing this study, the main focus was directed into performer's own subjective aspect of yoga experience. 'Depth Interview based on the Hatha Yoga experience of 12 research participants was used to collect.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hemes and meanings.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 of this study based on participants' experiences of Yoga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essential definition of the Hatha Yoga experience would be defined the following three component concepts: 1) uniqueness, 2) freeness, and 3) self-confirmed. Secondly, based on performer's experience of Hata Yoga, the following three thematic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ir experience: 1) change of body - (1) recognition of body status, 2) experience and posture change, 3) enhancing agility, and 4) care for sickness. 2) change of mind - (1) overcome of stress, 2) positive evaluation, and 3) enhancing confidence. 3) change of breathing. In conclusion, Hatha Yoga would be the tool for changing and developing the bodily, mental, and breathing habit and experience in ordinary life process. For performers, this movement form offers the chance for maximizing their potential so high in terms of bodily development.

      • 스마트기기를 통한 초등학생의 디지털 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보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서,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을 당사자의 시각에서 조망해봄으로써 경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밝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테크놀로지 통합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실제적인 경험의 목소리를 고찰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랐다. 스마트기기 중독 자가 진단에서 일반 사용자군에 속하며 자신의 경험을 생생하게 잘 표현할 수 있는 3,4,5,6학년 학생 9명을 전형적 사례 표집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심층 면담에 앞서 사전 활동지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이 관련 경험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자료 분석의 전 과정에서 ‘판단 중지’를 실시하여 의식의 지향성을 멈추고 현상을 ‘본질 직관’하고자 노력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 속성보다는 공통적 속성을 발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연구 결과 총 272개의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anet), 47개의 구성된 의미(fomulated meaning), 18개의 주제(themes), 6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s)이 도출되었다. 이 주제와 주제 모음들은 연구 문제의 답으로서 경험의 본질을 구성하는 의미구조라고 판단되었으며, 연구자는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을 획득, 관계, 놀이, 정체성, 통제, 문제해결이라는 구조로 이해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은 ‘선물 받은 입장권’으로서 스마트기기를 획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후 초등학생들은 주로 관계 맺기와 놀이의 맥락에서 디지털 활동을 하면서 ‘항상 연결된 너와 나’, ‘한 가지로 누리는 즐거움’을 경험한다. 또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의 전반에 걸쳐 이중적인 정체감과 자유와 통제 사이의 갈등을 겪는데, 이는 ‘멋진 나와 그렇지 못한 나’, ‘내 맘대로 하고 싶지만’이라는 인식으로 나타난다. 초등학생들은 스마트기기로 디지털 활동을 하며 겪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더 나은 사용을 위한 고군분투’ 단계로 나아간다.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일상 경험적 측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측면, 테크놀로지 통합 학습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일상 경험적 측면에서는 첫째, 초등학생들이 스마트기기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사회적 차원의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자녀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있어서 부모가 일관적인 양육 태도를 견지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이 요구된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측면에서는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소재로서 초등학생의 일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역량 중 ‘표현과 생산’, ‘이해와 비평’에 초점을 둔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역량과 관련하여 ‘윤리와 보안’, ‘웰빙과 문화’에 집중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테크놀로지 통합 학습 측면에서는 첫째,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통합할 때 그 사용방안에 있어서 학습자에게 자율적인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스마트기기 기반 온라인 학습을 설계할 때에는 학습자의 동기를 확실히 유발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학습자의 문화에 대한 이해는 교수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의 본질적 의미가 초등학생의 삶과 밀접하게 연계된 교육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As a basic research,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activity experience through smart devices by viewing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tried to draw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echnology integrated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 set in this study is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activity experiences through smart devices?”This study followed a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examine the voi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tual experiences. As a typical case sample, nine students in grades 3, 4, 5, and 6 were sampled, and they belonged to the general user group in self-diagnosis for smart device addiction and were able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vivid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In addition, prior to the in-depth interview,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a preliminary activity sheet so that they could activate the relevant experiences. In the entire process of data analysis, the researcher tried to stop the orientation of consciousness and to intuit the essence of the phenomenon. By apply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he researcher trie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focusing on discovering common attributes rather than individual attributes of the study participants.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272 significant statemanets, 47 fomulated meanings, 18 themes, and 6 theme clusters were derived. These themes and theme clusters were considered to be the semantic structures that constitute the essence of experience and as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was able to understand the digital activity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mart devices in the structure of acquisition, relationship, play, identity, control, and problem solving.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digital activities through smart devices begins with acquiring smart devices as “gift tickets”. Since th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inly engage in digital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 and play, and experience ‘always connected you and me’ and ‘the joy of having one thing.’ In addition, throughout the experience of digital activities through smart devices, there are a dual sense of identity and a conflict between freedom and control, which are indicated by the perception that ‘I'm cool and I'm not,’ and ‘I want to do what I wa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o to the stage of ‘struggling for better us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y face while doing digital activities with smart devices.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e aspect of everyday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sp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he aspect of learning in which technology is integrated. In terms of everyday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ocial alternatives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enjoy leisure in various ways other than smart device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help parents maintain a consistent parenting attitude in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devices.In term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veryday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 subj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cond, when design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cus on “expression and production” and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f digital literacy performance competency. Third, with regard to digital literacy foundation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thics and security’ and ‘well-being and culture’ when composing educational content.In terms of technology-integrated learning, first, when integrating smart devices into a cla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rners with an opportunity of autonomous choice in terms of how to use them. Second, when designing smart device-based onlin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reliably induce learners' motivation or control their departure from learning.Understanding the learner's culture is the most important premise for instructional design. It is hoped that the essenti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experience through smart devices identified in this study will lead to education closely linked to their lives.

      • 창업보육센터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보윤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벤처기업이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시기까지 시설, 기술, 행정, 경영지원뿐만 아니라 입주 지원까지 다양한 지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은 입주업체들의 기업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조직문화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창업기업을 움직이는 심장이며 그 영향력은 실핏줄을 타고 회사의 가장 사소한 결정에까지 미친다. 조직문화마저 없다면 스타트업은 제품, 고객, 시장 어느 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한 그저 꿈을 좇는 집단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동안 창업보육센터의 지원프로그램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나 효율성, 전담 인력의 전문성 향상과 지원프로그램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가 조금씩 시도되고 있지만,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 구성 요인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과 창업기업에게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실천중심설계가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교육만족이 조직문화에 그리고 조직성과에 주는 영향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 연구 모형과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창업기업과 창업보육센터에게 실질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총 120명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 항목의 타당성과 가설 검증을 실행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 중 신뢰성과 실천중심설계는 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보육센터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실천중심설계)과 교육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조직문화(공유가치, 전략, 구조) 중 반응성이 조직문화 중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실천중심설계가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직성과(내부 프로세스, 경쟁사 대비 성과) 중 내부 프로세스에는 실천중심설계와 조직문화에 해당하는 전략과 구조가 영향을 미치고, 경쟁사 대비 성과 관계에서도 동일한 변수(실천중심설계, 전략, 구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문화 중 전략과 구조는 교육 만족과 내부 프로세스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조직문화 그리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이론적 기초로 한다. 특히, 창업보육센터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품질 요소 중 직접 실천하는 실천중심설계의 중요성과 함께 교육 서비스품질과 조직문화 간 유의미한 관계를 제시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실천중심의 중요성을 발견, 향후 창업보육센터의 교육 커리큘럼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Business incubation centers have been playing a diverse supportive role not only in providing facilities, technology, administrative, and management support but also in offering tenancy support until venture companies can sustain themselves. Particularly,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se incubation centers play a very crucial role in the growth of tenant companies.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organizational culture as a factor influencing business performance due to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s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is the heart of a startup, with its influence extending to even the minutest decisions within a company. Without a solid organizational culture, a startup might be just a group chasing dreams, unable to develop products, customers, or market strategies adequately. While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the impact of incubation center support programs on management performance, efficiency, and the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dedicated personnel,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se educational programs on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at business incubation centers, which include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practice-oriented desig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A total of 120 sample groups were colle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hypothe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and practice-oriented design amo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incubation center's educational programs positively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practice-oriented desig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hen taken as independent variables, show that responsiveness affects strategy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actice-oriented design impacts structure. Third, amo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nal processes, performance compared to competitors), it was found that the strategies and structures corresponding to practical design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ve an impact on internal processes, and the same variables (practical design, strategy, structure) have an impact on performance compared to competitors. Fourth, strategy and structure within organizational cultur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rnal process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impact of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at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aspects of service quality a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ul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s at business incubation cent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actice-oriented aspects. Keywords: Business Incubation Center, Educational Service Quality, Educ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와 이바나 처벅(Ivana Chubbuck) 연기 훈련법 비교 연구 : 정서적 기억과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김보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과 절차들에 근본을 둔 리 스트라스버그와 이바나 처벅의 훈련법 중에서도 ‘정서적 기억’(Emotional Memory)과 ‘트라우마’(Trauma)에 초점을 맞춰 비교 분석하고, 정서 기억의 한계를 파악하여 더 나은 연기론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우선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과 ‘정서 기억’ 활용에 영향을 받은 리 스트라스버그, 우타 하겐, 이바나 처벅 훈련법의 발전 궤적을 정리하고 알아보며, 시스템에서 테크닉으로의 진화에 대한 이해를 구축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주요 인물인 스트라스버그와 처벅의 ‘메소드’와 ‘테크닉’ 연기론을 면밀히 살펴보며, 각자의 훈련법과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두 지도자의 주된 훈련법인 ‘메소드 훈련의 12단계’와 ‘처벅 테크닉의 12가지 도구’에 대한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나아가 본 논고의 주요 과제인 ‘정서적 기억’과 ‘트라우마’를 중점으로 훈련법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은 수많은 논란 속에서도 아직까지 실용성을 입증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서 기억’의 발전 과정과 훈련법의 이해를 도왔으며,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정서 기억 훈련법의 방향을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살펴보며 스트라스버그와 처벅이 사용하고 있는 ‘정서 기억’ 활용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극복할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두 지도자의 연기 훈련법 중에서도 ‘정서적 기억’과 ‘트라우마’에 초점을 맞춰 비교해 봄으로써, 정서 기억 훈련의 장점과 한계를 파악하고 이상적인 정서 기억 훈련 방법에 대한 고민을 추동하여 다각적인 연구로 이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Lee Strasberg’s and Ivana Chubbuck’s acting training methods, which derive from Stanislavsky’s Systems and procedures, particularly focusing on ‘Emotional Memory’ and ‘Trauma’. The goal is to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Emotional Memory for enhanced developmental outcomes promote the development of better acting theory. Initially, we delve into the developmental paths of the training methods by Lee Strasberg, Uta Hagen, and Ivana Chubbuck, all influenced by Stanislavsky’s system and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Memory’. This exploration aids in understanding the transition from the foundational system to specific techniques. Following this, we meticulously examine the acting theories of ‘Method’ and ‘Technique’ as proposed by Strasberg and Chubbuck, the central figures of this study. This study delv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wo primary training methods used by the leaders: the ‘12 Steps of Method Training’ and the ‘12 Tools of Chubbuck Technique’. A detailed examination was further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ese methods differ, particularly in their approach to key concepts like ‘Emotional Memory’ and ‘Trauma’, which are central to this research. This examination includes identifying and outlining their distinctive train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This paper primarily examines and contrasts the training methods of two teachers, concentrating on ‘Emotional Memory’ and ‘Trauma’, to highlight their differences. This investigation not only demonstrates the practicality of these methods amidst various controversies but also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and application of ‘Emotional Memory’, a technique still prevalent in training. In the concluding analysis, we reviewed existing research and pinpointed the limitations in Strasberg and Chubbuck’s application of ‘Emotional Memory’. We also explored potential strategies to address and surmount these limitations. Therefore, the esse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analysis of the training approaches of these two teachers, with a specific focus on ‘Emotional Memory’ and ‘Trauma’. This approach helps in pinpointing both the strengths and weaknesses(*limitation) of Emotional Memory training. The study aims to stimulate a broader dialogue on the optimal use of Emotional Memory in training, thereby paving the way for a comprehensive and diverse range of research in this field with a view to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training methodologies.

      • 생물교육전공 예비과학교사들의 교육실습 과정 사례 연구

        김보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들의 교육실습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학생 10명을 연구 대상으로 교육실습기간인 2005년 10월과 2006년 4월 한 달간 연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분석의 일반적인 절차를 이용하여 참여관찰, 심층면담, 설문, 저널 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공식적으로 기록하고 저장하였으며 주제별 약호화(coding)과정을 거쳐 주제별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자료에 대한 주제(theme) 및 의미 생성 작업을 거쳤다. 또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트라이앵귤레이션, 동료연구자에 의한 조언과 지적 등의 신뢰성 준거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생물전공 예비과학교사의 교육실습 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과학교사들은 그들의 중등학교 과학수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재 중등학교 수업도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이에 본인들은 교육실습에서 이와는 다른 형태의 수업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생들이 실시한 과학 수업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에 교생들이 수업준비를 위해 소요한 시간은 10시간 이하가 가장 많았고 수업 준비를 위해 이용한 자료로는 교과서가 가장 주된 자료였다. 교생들은 공통적으로 설명식 수업을 하고 있었으며 주로 중학교 교생의 경우에만 실험수업이 있었고 고등학교 교생들 간에는 문제 풀이 수업이 공통적이었다. 이는 교생들이 교과서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입시와 관련되어 다양한 형태의 수업 시도에 있어 현실적인 여건이 바탕이 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생들이 느낀 교육실습의 의의에 대해서 교생들은 수업을 하며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학생들의 수준파악과 흥미유도였고 또한 돌발 상황 대처에 미숙하여 당황하였으며 이러한 것을 경험하며 교사가 되어봄을 느꼈다. 교육실습을 통해 교직에 긍정적인 생각이 강해졌으며 교직에 보다 큰 의미를 갖게 되었고 교사가 되고자하는 의지를 굳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실습을 통해 느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생들의 의견에 대한 결과로 교생들은 실습 때 수업을 하고 학생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교과 교육학 관련 과목에서 다양한 수업 방법에 대해 배우고 실제 학습지도안을 만들어 본 것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교생들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서 교과 교육학 분야와 같이 실제 현장에서 직접 응용할 수 있는 과목이 전공이나 일반 교육학과 달리 너무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질적 분석을 통해 교육실습은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의미를 줄 수 있을 만한 ‘좋은 경험’으로 인식되었으나 짧은 기간으로 인해 교사로서의 진로 확인에 대한 성과는 이루었으나 실습을 통해 대학 강의에서 습득한 지식을 적용하고 검증하며 심화시키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교육실습의 본래 취지에 맞는 좀 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겠다.

      •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시티서울 전시 분석 : 2010년 이후 4회의 전시를 중심으로

        김보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각종 미디어 기술은 발전을 거듭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의 환경은 인간중심적인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미디어아트와 미디어아트 전시를 바꾸어 놓았다. 이에 따라 국내 최초 미디어 특화 비엔날레인 미디어시티서울 전시의 경향 또한 변화하였으며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전시의 분석을 통하여 그 변화가 인간중심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미디어 환경 변화로 인해 발견되는 특징들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미디어시티서울 전시를 분석하였다. 이후 동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주제 도출 과정, 출품된 미디어아트 작품들의 경향, 해당 년도의 전시가 가지는 의의로 나누어 살펴보고, 전시가 어떤 양상을 보이며 변화해 나가고 있는지 검토했다. 그 결과 2010년 이후의 전시가 미디어의 시대적 환경 변화를 수용해 가며 이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회에서 5회까지의 전시는 비엔날레의 대중화를 목적으로 미디어의 기술적 화려함과 시각적 이미지를 강조하는 축제형식의 전시로 진행되었다. 이에 반해 6회의 전시는 인문, 사회, 정치 등 동시대적 일상을 주제로 인간과 미디어 사이에서 소통과 상호작용의 매개체가 되는 미디어의 모습을 강조하였다. 7회 전시는 인간 개인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미디어를 주제로 그 파급력과 영향력을 강조하는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8회에서는 영상 미디어 매체에 초점을 맞추고 가시화되지 않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정체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9회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매체 기술적 발전을 토대로 미디어가 보여주는 미래성에 관해 되돌아보는 주제로 신기술 기반의 미디어아트가 인간과 만나는 과정을 보여주는 양상이었다. 2010년 이후 이루어진 전시는 시각적 이미지를 강조하려는 양상에서 미디어가 인간 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었음을 인식하고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과 소통 체계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출품 작품에서는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게 된 미디어아트 작품들이 인간중심적인 발전 방향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간 개개인과 신체 및 정서적으로 교감하고 상호작용하려는 양상들이 나타났음을 살펴보았다. Until today,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techniques has been continuing, and based on such change the environment is evolving more focused on human. Such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has also brought change to media art and media art exhibition. Accordingly, Korea’s first media specialized Biennale Media City Seoul exhibition’s inclination has also altered. Based on the analysis since 2010, this study shows that the exhibition trend has developed towards human-focused direction. The study, first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discovered from the media environmental change, and then analysed the Media City Seoul exhibition. Hereafter, based on contemporary background, the study concentrated on the subject deduction process, trends of submitted media art pieces, and the definition to each year’s exhibition.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aspects and changes in exhibitions. Thereupon, exhibitions after 2010 showed that it embraced media’s chronological environmental change, developing a different direction than before. The first five shows were in festival forms to popularize Biennale, emphasizing media’s technical fancy and visual image. Contrarily, the 6th exhibition was about humanities, society, politics etc. of contemporary everyday life, displaying media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the media. The 7th exhibition which concentrated on the human individual and the closely related media, thus, exhibited art pieces that stresses the ripple effects and influence of the media. In the 8th, it focused on video media medium and contemplated on the identity of East Asian countries. In the last show, the 9th exhibition, aimed to look back at the futurity the media shows based on technical change of the medium by chronological flow. It tended to show the process of new technological media art meeting human. In exhibitions after 2010, the media recognized the intimacy between human society and the media, thus, shifted from concentrating on visual image to emphasizing the role media has to the society and as a communication system. Also, with the technology development, the submitted art pieces presenting in various forms, proved that the art pieces were developing into a human-focused direction and showed the tendency to commune and interact with human individuals and their physical body and emotions.

      •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현황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김보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오케스트라의 개념과 청소년기 기악교육의 중요성을 통해 오케스트라의 긍정적인 효과를 교육적, 정서적, 사회적 효과로 정리하였다. 특히 청소년기는 변성기로 인해 가창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기악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음악성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악활동과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협동심과 타인을 배려하는 점도 배울 수 있어서 오케스트라 활동이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현재 운영 중인 오케스트라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서울과 경기를 중심으로 70여개가 있다. 오케스트라의 운영에 대해서는 재정적인 문제, 악기 편성의 문제, 입시위주의 교육과 관련된 문제, 연습공간의 부족, 전문강사의 부족이 있었지만 또한 청심중학교 오케스트라, 오산 물향기 오케스트라 등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청소년 오케스트라도 있었다.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지역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담당자 및 지휘자 총 5명을 만나 직접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에서는 조직운영과 재정적인 문제, 연주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영 방안에서는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현황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오케스트라 운영방안을 오케스트라 조직운영, 연주프로그램, 재정문제, 지역 단체들과의 교류적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청소년 오케스트라 활성화 방안에서는 주 5일 수업제 시행을 이용한 오케스트라 운영, 1인 1악기 실시를 통한 단원모집과 함께 악기 편성, 지도교사 및 강사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 5일 수업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청소년 오케스트라를 운영한다면 시간활용과 효율성에 있어서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peration status of youth orchestras and suggest plans for their activation. In theoretical backgrounds, positive effects were arranged in terms of educational, emotional and social effects through concepts of the orchestra and importance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during adolescence. Particularly, in view of difficulties in singing due to mutation during adolesce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ir own emotion and musicality can be expressed through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Also, cooperative mind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may be learned through instrumental music and orchestra activities, thus being identified as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youth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atus of currently operated orchestras indicated that there were about 70 of them around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ereas the orchestra operation involved financial problems, musical instruments' organization problems, problems associated with education with emphasis on entrance exams, shortage of practicing spaces, shortage of professional instructors, there were also youth orchestras operated in an exemplary manner such as Cheongshim Junior High School Orchestra and Osan Mulhyanggi Orchestra. To find the operation status of youth orchestras,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meeting with a total of 5 people consisting of operators and musical directors of youth orchestras in Gyeonggi Province areas. In the interviews, an emphasis was placed on dealing with operations of the organization, financial problems, and contents related to performance programs. In order to operate the youth orchestras, these were suggested in the aspects of operation of orchestra organization, performance program, financial problem, and exchange with regional groups on the basis of status and problems of youth orchestras. For activation of youth orchestras, orchestra operation using enforcement of the class system featuring 5 days a week, recruiting orchestra members and organization of musical instuments through implementation of one musical instrument per person, together with operation plans for guidance teachers and instructors. If the 5 day-week class system is actively utilized for operation of youth orchestras, then achievement of some great effects in time utilization and efficiency may be expected.

      • 외로운 사람들의 미니멀 라이프 : 「검은 까마귀」 외 2편

        김보윤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 beings have an excessive amount of desire to possess beyond what is needed to survive. A minimal life is a lifestyle of focusing on true happiness instead of nonpossession by refusing to be dominated by excessive desire to possess and reducing unnecessary luggage. This lifestyle of pursuing tranquility focusing on inner life spread from anxiety about life in the future after a huge disaster and bubble economy. The central characters of three novels, The Black Crow, Gravel Riding, and My Wife's Carrier, are a graffiti artist, accountant, and director of photography, respectively. These novels are set in a social environment where people lead a fierce life in the modern society. In My Wife's Carrier, the transurfing tarot cards offer a set of guidelines about how to live in the reality. With these cards, the investigator made an attempt at an image of people being influenced by words of others or books in life whether they wanted or not. In a novel, the background works to make the characters of the protagonists concrete, encompass even the details of their acts, and add flavor to the story with a new challenge. In these three practice novels, the fronts of narratives present Yu-seon, who gets hurt by comment terror attacks on SNS, Gi-jeong, who has lost his normal daily life due to glaucoma, and a young couple, who are tired due to the busy schedule of the photography director and their different lifestyle, respectively. This social pathological phenomenon is revealed in various desires and suppressed pain. Living in the modern civilized society, human beings should make important efforts not to get lost in society and find their own identity rather than chasing after the desire granted by the society. The three practice novels show an attempt at becoming a subject in one's own life through the central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