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책창업대학원의 교육 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진로선택확신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진학동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홍종득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책창업대학원의 교육 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진로선택확신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진학동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평생직장 개념으로 별 걱정 없이 생활하던 근로자가 정리해고 등의 이유로 전혀 경험이나 전문성없이 무작정 서비스업종 창업에 나서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청년층도 취업의 어려움을 심각하게 겪고 있어 창업을 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 이들 창업자들의 실패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안정적인 성공을 증진하기위해서 상당수 대학에 창업전공 학위과정이 개설되었고,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확산될것으로 예상된다. 창업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시간이 갈수록 더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창업교육 커리큘럼들이 필요충분한 정도의 내용을 담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질적으로 모두 훌륭한 것인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대학들이 창업관련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와 제공자인 학교 및 학과 등의 여건을 충분히 분석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등 일련의 절차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활용될 지침의 제시가 필요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창업전문가 양성과 기업가정신 확산을 위해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확보한 신규 (예비) 창업자에게 창업에 필요한 정보와 실무적인 지식 등 현장중심의 창업교육을 실시하고자 1차로 2004년에 전국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수도권(호서대, 중앙대), 영남권(경남과기대), 호남권(예원예술대), 충청권(한밭대) 등 전국 5개 대학을 지정하여 최초의 국책창업대학원 5곳이 탄생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차로 2014년에 새로이 전국 5개 대학을 지정하여 전국적으로 2017년 현재 10개 대학에 창업학 석사과정이상의 학위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새로이 지정된 국민대, 계명대, 부산대, 성균관대, 연세대 등 5개를 포함하여 10개 국책창업대학원의 현황을 소개하고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창업대학원의 우선 과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창업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 그리고 진로선택확신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서비스품질에서는 유형성이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신뢰성, 확신성, 응답공감성의 순으로 나왔다. 교육만족도에서는 수업운영, 졸업 및 진로, 교육과정, 교육여건의 순으로 나왔다. 교육만족도에서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왔으나 교육과정이나 여건 등 기술적, 물리적 측면에서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진로선택확신에서는 평균 3.66으로 ‘보통이다’와 ‘그렇다’의 중간정도로 나왔고, 그에 앞서 창업대학원 진학동기에서는 내적동기는 평균 4.01, 외적동기는 평균 3.66으로 내적동기가 외적동기보다 높게 나왔다. 둘째, 교육 서비스품질이 상승하면 창업대학원 학생들이 진로선택확신이 직접적으로 상승하기도 하지만 교육만족도를 상승시켜 진로선택확신을 상승시키기도 한다.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교육만족도가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의 순으로 나왔다. 셋째, 교육 서비스품질이 상승하면 교육만족도를 경유하여 진로선택확신을 유의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총효과 중 교육만족도를 경유한 간접효과의 비중이 66.47%로 매우 높게 나와 교육만족도가 창업대학원 진학 학생들의 진로선택확신에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내적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내적동기가 낮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왔다. 다섯째, 외적 진학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외적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력이 외적동기가 낮은 집단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진로선택확신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왔다. 핵심주제어 : 창업대학원, 교육 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진학동기, 진로선택확신

      • 아나운서의 신뢰성·매력도, 방송사 이미지가 뉴스 프로그램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표지우 延世大學校 政經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방송사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시청률뿐만 아니라 수용자 평가에 따른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선호도 및 만족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다매체, 다채널 시장 환경에서 각 방송사는 수입극대화를 위해 치열한 시청률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시청자들은 각 방송분야, 장르별 프로그램을 시청한 후, 그 프로그램의 질과 만족도에 따라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즉, 각 방송사는 높은 품질의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 비해 질적 경쟁력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결과에 따르면 아나운서의 신뢰성(전문성, 믿음성)과 매력도(유사성, 친밀성, 호감성), 방송사 이미지는 텔레비전 채널선택을 비롯하여 프로그램의 선호도와 만족도 형성에 관계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나운서의 신뢰성(전문성, 믿음성)·매력도(유사성, 친밀성, 호감성), 방송사 이미지와 뉴스 프로그램의 선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중·고교 학생들과 연세대학교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설문지 150부 중 유효 설문지는 총 136부였다. 자료는 SPSS와 AMOS통계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 χ2검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아나운서의 신뢰성(전문성, 믿음성)·매력도(유사성, 친밀성, 호감성), 방송사 이미지가 시청자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뉴스 프로그램 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지지되었지만 시청자들의 만족도가 뉴스 프로그램 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기각되었다. 이는 아나운서의 신뢰성(전문성, 믿음성)·아나운서의 매력도(유사성, 친밀성, 호감성), 방송사 이미지가 높을수록 시청자들의 선호도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시청자들이 아나운서의 신뢰성(전문성, 믿음성)·매력도(유사성, 친밀성, 호감성), 방송사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뉴스 프로그램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지만, 시청자들이 아나운서의 신뢰성(전문성, 믿음성)·아나운서의 매력도(유사성, 친밀성, 호감성), 방송사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거나 낮다고 해서 뉴스 프로그램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하기엔 다소 미미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방송사들은 시청자들이 뉴스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채택해야 하는 속성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독과점적인 구조를 형성했던 지상파 방송사를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사와 종편 방송사, 위성 방송사 등 방송사들 간에 치열한 경쟁구도 속에서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률 확보 즉, 경쟁력 우위를 위해서는 아나운서의 신뢰성(전문성, 믿음성)·매력도(유사성, 친밀성, 호감성), 방송사 이미지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도 잊지 말아야 한다.

      • 대학 및 학과 선택변인과 선택만족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인접 K대학교를 중심으로

        임동현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 대학환경은 저출산 현상에 따른 학령인구의 자연감소로 인하여 향후 2011년을 정점으로 점차 대학진학 학령인구는 격감하여 대학 입학정원의 공급초과현상이 지속될 경우 대학의 총체적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대학의 위기는 특히 지방소재 대학부터 이미 시작되고 확산되어졌으며, 이제는 수도권과 인접한 대학 간에도 치열한 학생유치 경쟁과 함께 신입생 미충원으로 인한 심각한 사태가 우려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입생들의 특성과 대학을 선택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에 인접하고 있는 대학의 특성을 잘 나타내주는 수도권과 인접한 중규모 사립대학인 K대학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및 학과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신입생들의 입학단계에서 개인사항,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 및 학과 선택에 미친 영향요인과 대학 신입생들의 배경요인에 따라 각 변인들이 가지는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 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대학 및 학과 선택과정에서 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에 입학하기 직전 신입생들 중 7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일부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749부를 회수하여 SPS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들의 탐색단계로 대학을 알게 된 계기는 주변사람들, 대학을 잘 알게 해준 매체로는 인터넷, 학생들의 전공학과 선택 시기는 고등학교 재학 중, 전공학과 선택 시 고려사항은 적성과 흥미로 응답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신입생들의 탐색단계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외부환경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외부 변수의 작용이 신입생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대학당국에서는 주변 정보원과 신입생들에게 대학 및 학과 선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선택단계 이전부터 꾸준히 제공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입생들의 지원단계로 대학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시기는 원서작성시기, 학교를 지원한 가장 큰 이유는 전공이 마음에 들어서, 학교를 선택한 동기는 본인스스로 결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주는 의미는 대학이 신입생유치를 위한 고객중심의 정책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신입생들의 등록단계에서 대학에 2개 이상 복수 합격하여 최종 선택한 이유는 원하는 학과, 통학거리와 교통편의가 대부분 선택요인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인접한 대학에 입학하는 신입생들은 대학선택에 있어서 대학의 인지도 보다 원하는 학과와 통학거리를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자신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선택요인은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 단계에서 자신이 원하던 전공분야와의 일치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취업문제와 함께 보다 좋은 직업에 대한 선택 경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신입생들의 대학 선택에 대한 만족도가 전공학과 선택 만족도 보다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신입생들의 대학 선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과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은 그들의 삶, 가치관과 함께 계속하여 변화하고 있다. 그러한 영향에 따른 신입생들의 배경 특성과 선택요인에 대한 연구를 관련 분야의 연구 자료와 함께 앞으로 더욱 축척해 나가고 대학은 그에 따른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학 조직의 존립과 변화의 긍정적인 지향점은 신입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장점을 극대화시켜 대학발전을 통한 경쟁력을 강화하여 신입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 세무사 사무소에 대한 고객선택 요인의 실증연구 : B지역의 세무사 사무소와 고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허창식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studies o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lients to choose tax accountants offices with these related factors such as 1) quality of services, 2) physical environment, 3) recognition channel through investigating 200 clients in B region.The results are as follows.<Hypotheis 1> The more business capability and careers tax accountants have, the more preference clients have.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it is proved that the regression model can explain 60.4% of the hypothesis, and business capability(=.777) has meaningly positive effects on the preference of clients. <Hypotheis 2> The higher level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facilities the tax accountants offices have, the more preference clients have.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it is proved that the regression model has no significance statistically(p>.05). Accordingly, <Hypothesis 2-1: The higher level of physical environments the tax accountants offices have, the more preference clients have> is abandoned. <Hypotheis 3> The better reputation the tax accountants offices have, the higher level of trust clients show.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it is proved that the regression model can explain 2.8% of the hypothesis, and the reputation(=.169) has meaningly positive effects on the preference of clients.<Hypotheis 4> The lower fee the tax accountants offices offer, the more preference clients have.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it is proved significant and therefore the hypothesis 4 is supported. <Hypotheis 5> There is a difference for clients to choose tax accountants offices according to the factors such as population and society. After crosstab analysis, people in their twenties are influenced by estimation of people around them(34.8%) and people over fifties obtain information by visiting the offices in person. It proved to be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e, the hypothesis 5-3(The channel to choose tax accountants offices depends on scholastic attainments) is supported.This thesis is of value in that it brings a new aspect of behaviors to choose stores in a professional service industry, unlike choosing products and stores in the existing manufacturing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 with factors such as distance, cost, quality of service, kind service, and indoor atmosphere indicated by many preceding studies (Granzin & Olsen(1997), Rumore, et al.(1999), Yang Hoi Sung(1996)). It means that clients'' choice should be applied separately according to types of industry and it has significance because of supporting related preceding studies. Therefore, a professional service industry like tax accountants offices needs professionalism and practicable executive abilities for service and a low price strategy. 본 연구는 세무사 사무소의 고객선택요인을 밝히기 위해 관련요인을 ① 서비스의 질, ② 물리적 환경, ③ 인지경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B지역 세무사 사무소 이용고객 200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 후 관련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가설 1> 세무사사무소의 업무능력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고객의 선호도 또한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검증결과 회귀모형의 전체설명력은 60.4%였으며, 업무능력(=.777)이 고객의 선호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 세무사사무소의 고객에 대한 물리적 환경과 시설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검증결과 회귀모형의 유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세무사사무소의 물리적 환경의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 2-1은 기각되었다. <가설 3> 세무사사무소의 평판이 높을수록 고객의 신뢰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검증결과 회귀모형의 전체설명력은 2.8%였으며, 평판(=.169)이 고객의 선호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 세무사사무소의 가격전략이 저가일수록 고객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검증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무사사무소의 가격전략이 저가일수록 고객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4는 지지되었다. <가설 5> 세무사사무소의 선택경로는 고객의 인구사회적 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다. 교차 분석 결과 20대의 경우 주변사람의 평가에 보다 많은 영향을 받고(34.8%), 50대 이상은 직접방문해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무사사무소의 선택경로는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다라는 가설 5-3은 지지되었다.이상의 연구를 통해 볼 때 기존 제조업 중심의 상품선택이나 쇼핑점 점포선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전문용역서비스업에서의 점포 선택행위에 대한 새로운 면을 입증시킨 점에서 그 가치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 동안 거리, 가격, 제품의 질, 친절한 서비스, 실내분위기 등 Granzin & Olsen(1997), Rumore, et al.(1999), 양회성(1996) 등의 많은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요인들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고객의 점포선택이 업종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관련선행연구들이 밝히고 있는 점을 더욱 지지해 준 결과로서 그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세무사사무소와 같은 전문서비스업일수록 서비스용역에 대한 전문성과 응용력을 갖는 경륜에 다소 저가의 전략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 대학의 창업강좌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효과 : 강사의 특성과 창업효능감을 중심으로

        박현조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Recent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has been rapidly growing, due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not only government ministries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due to the support policy of the government bu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s and universities as well. In particular, as part of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development project in 2012,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were established in 61 universities around Korea, and the number of entrepreneurship courses also has been rapidly increasing. Following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any research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isting research have mostly focused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ch as to mentally challenge, achievement nee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locus of control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owever, these variables can only be understood through psychological measurement tools or specially designed questionnaire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institutions opera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use and for developing programs.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influence the two particular factor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structor characteristics (focused on expertise) and education content, has on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urthermore,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measurements for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However, start-up efficacy has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entrepreneurship success and entrepreneurship activity. Thus, this research selec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the main variabl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utcome,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assistance in desig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t institutions that oper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gard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re have been research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elf-leadership, progressive spirit, autonomy, risk sensitivity, etc.) who are the consumers (Kang Jae-hak, 2015; Kim Su-hyeon and Yu Bong-ho, 2013). Other research have focused on the components (content of education, method of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 etc.)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e Seong-heon and Lee Kang-il, 2008; Lee Hong-ju, 2014; Ma Jong-sik, 2013; Cho Eun-ju, 2014).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 and content of education among the various factor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research seek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education performanc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start-up efficacy. Education performance indicates the results of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education experience at the dimensions of the individual and the system. It focuses on the results rather tha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usually signifies positive results (Ysseldykey, 1998). This research seeks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measuring education performance through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in doing so, it seeks to examine the types of influence education performance has on start-up efficacy. The second variabl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ntrepreneurship intention. In order to vitalize entrepreneurship, individuals must decide to start new businesses,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the individual’s entrepreneurship decision making and a precedence factor of action (Yoon Bang-seop, 2004; Krueger, 1993). In reviewing existing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the individual’s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re are many that have analyzed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nnovativeness, risk sensitivity, progressive spirit, locus of control,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uch research conclude that these factors do influence entrepreneurship intention (Miller, 1993; Lee Jae-seok, 2015). As the main variable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has been frequently used, but there has also been an increasing interest recently in ‘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the probability of entrepreneurship success. Consequently, this research also seek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adding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dicates the individual’s confidence in his or her degree of entrepreneurship ability—in other words, the self-efficacy of the individual. ,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can be expressed as self-competence on entrepreneurship. It has to do with the individual’s confidence that they can do well as an entrepreneur. There has been research outcome that designate start-up efficacy as the factor that most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ship intention (Yoon Bang-seop, 2004; Jeong Dae-yong and Chae Yeon-hui, 2016). In a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apabilities of Chinese youth entrepreneurs on entrepreneurial success, Zhao Jingjing (2016) has argued tha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and to strengthen it in order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has used a sample of 427 university students taking an entrepreneurship course at University Y.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413 valid survey results among the total of 427 questionnaires. The basic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ample are as follows: in gender ratio, the percentages of males and females were similar (58.2% and 40.9% respectively), and most of the students were seniors at the university (47.4%). Majors of the students were evenly distributed, and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have much exposure to entrepreneurship competitions 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Characteristic of instructor and content of educ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n influence on the education performance and the intentions for entrepreneurship of the studen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that these factors have on start-up efficacy, a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path analys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 of instru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ducation performance at .202 (p< .01), but i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p> .1). This means that the instructor’s possession of entrepreneurship qualification or more specializ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ducation performance. On the other side, the content of education had positive influences on both education performance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t .726 (p< .01) and .982 (p< .01) respectively. From this, it can be deduced that content of education had a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both education performance and education intention. However, the factor that influenced start-up efficacy was education performance more than intention for entrepreneurship (p> .1). The effect size was .686 (p< .01). In examining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operating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 and the systematic and internally stable composition of the content of education. In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in universities around Korea, as part of the LINC project and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economy vitalization policy. Along with this, the number of entrepreneurship courses has exponentially grown. There was a shortage of entrepreneurship instructors, and there was also an increase in demand for training exper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designated graduate schools of entrepreneurship in an effort to train exper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sequently, graduate schools of entrepreneurship with the objective of trai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ts and develop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curriculum must contribute not only to training experts but also in establishing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active research on the content of education. Furthermor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stitutions of universities that design and oper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must thoroughly review not only the background of instructors such as their characteristics but also whether the course content has been appropriately designed to meet the educational objective.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instructors and contents of education on education performance,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start-up efficacy. The research sample was students in entrepreneurship courses during the 2016 spring semester in University Y located in Gangwon Province. However, since the research sample is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in one university,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outcomes. For future research, surveys need to be conducted at universities around Korea with courses in entrepreneurship, to compare if results are similar. Such future research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meaningful information in the oper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우리나라 창업교육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으로 인해 정부 각 부처 및 산하기관 뿐 아니라 창업관련 민간기관과 대학 등에서 창업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청년 창업을 장려하고 있는 정부정책에 의해 대학 내에 창업교육센터가 설치되고 아울러 창업강좌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창업교육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도 많아졌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창업교육 중 창업강좌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효과를 강사의 특성, 교육내용, 교육성과, 창업효능감, 창업의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는 4년제 대학에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는 창업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 수강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7개 과목, 413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서비스의 요소 중 강사의 특성은 교육성과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의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교육내용은 교육성과와 창업의지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내용이 좋을수록 창업의지가 증가한다는 기존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창업의지의 선행요인으로 최근 부각되고 있는 창업효능감은 교육성과로부터 정(+)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창업의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창업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창업강사의 전문성 등의 강사특성도 중요하지만 교육내용을 체계적이고 내실있게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공공기관과 대학생의 중요도 인식 비교분석 :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준일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youth unemployment rate used to be 7~8% until 2013 and after that it has been constantly rising. As of 2017, The Youth unemployment has been listed as the Government’s agenda with the highest youth unemployment rate of 11.2% since the foreign-exchange crisis. The basic cause of youth unemployment is due to the mismatch between the competency required from fields and the competency that the youth has. The Government suggest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inefficien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blem and is trying to expand the ‘Setting conditions for competence based society’.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the perspective of core competency which is the kea area of the NCS based recruitment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looked into what should be reflected to university education to improve core competence that the companies require with understanding the changing factors of students group perspective by experiential and organizational attribute. Accordingly, this study sampled 306 students and 77 public institution job description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perspective between public institution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Innovation Cities. The result by analysis of frequency, t-test, and chi-square test is as follows. The analysis of each core competency item showe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students in 5 items which are communication ability, mathematical skills, self-development abilit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and technical skills. And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ternship and NCS based recruitment than the students who haven’t are close to the perspective of core competency that the companies have. This study analyzed perspective difference of direct subject of NCS core competency, namely companies and university students through practical examples. On that basis, it suggested implication to be reflected to university education to improve undergraduate student core competency, which has great significance. As a result, the importance perspective of core competency has difference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undergraduate students. It is analyzed that the importance perspective has meaningful influence depending on the experiential and organizational attribute. First, it is needed to form a consensus about necessity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Second, it is needed to invigorate and complement NCS based curriculum in university. Third, it is needed to offer the opportunity to develop core competency through experience. 우리나라는 2013년까지 7~8% 수준을 유지하던 청년실업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7년 현재, 외환위기 이후 역대 최고치(11.2%)를 기록하며 청년 실업문제가 정부 아젠다(agenda)로 설정되었다. 이러한 청년 실업의 근본 원인은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competency)과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직무능력(competency)간에 발생하는 미스매치(mismatch) 현상 때문이다. 정부는 이러한 비효율적인 인적자원개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제시하고 ‘능력중심 사회를 위한 여건 조성’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중 본 연구는 NCS기반 능력중심 채용의 핵심영역인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공공기관과 대학생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경험적·조직적 특성에 따른 학생 집단 인식의 변화 요인을 파악하여, 기업이 요구하는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대학교육에 반영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혁신도시에 위치한 공공기관과 대학생 두 집단의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공공기관 직무기술서 77건과 재학생 306명을 표집하였고, 빈도분석, t-test,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기초능력의 항목별 분석결과 공공기관과 학생 사이에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기술력 등 총 5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그리고 인턴십 및 NCS 기반 채용 전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기업이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에 근접하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NCS 직업기초능력의 직접적인 주체, 즉 기업과 대학생의 인식차이를 실제적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해 대학교육에 반영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결과적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공공기관과 학생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험적・조직적 속성에 따라 중요도 인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직업기초능력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 내 NCS 기반 교육과정을 보완하고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경험을 통한 직업기초능력 함양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취업준비 관련 요소가 취업효능감, 취업태도 및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현복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find a job and the economy is unstable, the degree of difficulty in job searching that university students feel gives rise to the decline of job-seeking activity and overheated cost competition. This treatise used job efficacy, job attitude, and job anxiety as tools for measuring university students' confidence in job-seeking. And to analyze students’ behavior for job preparation, the three main 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8 specific 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were classified. For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35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who preparing for their job, and the effect of job preparation behaviors on job efficacy, job attitudes, and job anxiety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employment preparation expenses for one year of university students were ₩ 1,420,000,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xpenditure for individual employment preparation expenses was up to 16 times. The highest frequency elements that university students prepare in advance for their job preparation was the study for certificates and the accredited language credits like TOEIC and TOEIC speaking. The response rates were 80% and 70%, respectively. And it was found that, on average, three items of behavior were experienced for job preparation. Among the major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preparation expenses spent, the higher the sense of job efficacy was. The effect of major factors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n job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has not been verified. The definite factors for job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have positive effects, but if they do not If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study activities, expert employment consulting, and interview preparation training, it was found that they felt more anxious about finding a job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According to the job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presented on job efficacy, job attitudes, and job anxiety.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universities will effectively support students' job search activities so that they can restore their confidence in job search and perform active job search activities. 국문 요약 대학생의 취업준비 관련 요소가 취업효능감, 취업태도 및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취업경쟁이 심화되고 경제적인 불안상황이 지속되면서, 대학생이 체감하는 높은 취업장벽은 구직활동의 저하와 과열된 비용지출 경쟁을 야기하였다. 본 논문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이 구직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대학생의 취업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대학생의 구직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취업효능감, 취업태도, 취업불안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학생의 취업준비에 관련된 요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취업준비 주요 3가지 요인과 구체적인 취업준비행동 8개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조사 방법은 취업을 준비 중인 대학생 및 졸업생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취업준비행동이 취업효능감, 취업태도,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이 1년간 지출하는 취업준비비용은 142만원이었으며, 개별 취업준비비용의 지출정도의 차이는 최대 16배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가장 높은 빈도로 수행한 항목은 자격증 취득 80%, 공인어학점수 취득 70%이었으며 취업준비를 위해 평균 3항목의 행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취업준비 주요요인중 취업준비비용 지출정도가 커질수록 취업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준비비용 지출정도와 학점이 높아짐에 따라 긍정적인 취업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 주요요인이 대학생의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검증되지 않았으며, 대학생의 취업불안은 취업환경 등 사회적 환경과 대학생의 인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의 구체적인 취업준비행동 요인은 취업효능감, 취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터디 활동과 전문가 취업컨설팅, 면접대비교육의 경우 참여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취업불안을 보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취업준비에 관련된 요소에 따라 취업효능감, 취업태도, 취업불안에 미치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시작으로 대학이 대학생의 취업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대학생이 구직자신감을 회복하고,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대학의 SNS 홍보활동이 재학생 SNS 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예은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학은 정체성 확보 및 이미지 개선을 통한 차별화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와 맞물려 다른 대학들과 차별화할 수 있는 대학홍보의 역할이 중요하다. 뉴미디어인 소셜미디어가 등장하고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반화도면서 학생들은 SNS를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대학정보를 습득하고 끊임없이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강력하고 관계성이 강한 소셜미디어는 어느 대학도 무시할 수 없는 매체가 되었으며, 최근 대학들은 SNS상에 대학 계정을 별도로 만들어 대학의 홍보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이미지와 대학 SNS 홍보활동의 어떠한 요인이 재학생 SNS 만족과 재학생 SNS 태도, 대학 SNS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이를 통해 홍보매체로써 SNS의 전략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SNS의 개요,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사용자 만족·태도·구전의도, 그리고 대학홍보 및 대학 이미지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대학 이미지가 재학생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강원도 원주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모형과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을 이용하여 SNS 품질 특성과 SNS 광고 속성, 그리고 대학 이미지 요인들이 재학생 SNS 만족과 재학생 SNS 태도, 대학 SNS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특히 SNS 광고 속성은 재학생 만족과 태도에 중요한 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조직인 대학에서 홍보 목적으로 SNS를 활용할 시 살펴보아야 할 요소들을 다양한 차원에서 검증해보았다는 점이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으로 재학생 SNS 만족과 재학생 SNS 태도, 대학 SNS 구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했다. 셋째, 본 연구가 대학 교직원에게 대학 SNS 홍보효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Facing intense competitions among universities due to the decreasing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structure, universities need a strategy of differentiation through securing their identity and improving their image. In particular, the rapid decreas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makes the role of university public relations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because public relations affect the formation and reinforcement of a university’s image that can differentiate the university from other universities. Recently, as smartphones have become generally used, and social media have emerged as a new medium, students are using SNS to acquire university information and continuously share the information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s such, social media have undeniably become a strong relationship enabler, and universities are actively utilizing them as a means of public relations by creating a separate college account on S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at components of university public relations through SNS activities and university image affect students’SNS satisfaction and their SNS word of mouth intention and thereby explore the strategic ways of utilizing SNS as a medium for public relations.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the characteristics, usage, and utilization of social media and SNS as well as user satisfaction, attitud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about university public relations and university image. The research model (i.e., hypotheses posed on it) was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in Gangwon-do Wonju. This study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found that SNS quality attributes, SNS advertisement attributes and university image—were associated with the effect of student SNS satisfaction, student SNS attitude, university SNS word of mouth intention, In particular, SNS advertisement attributes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students’ SNS satisfaction and the students’ SNS attitude.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the study claim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 the study suggested and examined various factors that a university, a nonprofit organization, should consider when utilizing SNS for public relations. Second, this study suggests its applicability to future research in that it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to examine the factors directly affecting students’ SNS satisfaction with and students’ SNS attitude and their SNS word-of-mouth intention. Thir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f practical help to university faculty and staff by providing them with information on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university public relations through SN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samples for this study we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geographic area, making it hard to generalize the findings to the rest of the population.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findings. Second, there were relatively few measurement items for some variables; more items should be employed in future research.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providing strategic guidelines for university public relations through SNS.

      • 전문대학의 신입생 유치를 위한 효율적인 온라인 매체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김봉년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전문대학이 대학의 존립과 성장, 발전을 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하며 대학을 홍보하고 있으나 그 효과를 검증하고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실증적 이고 구체적인 홍보 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대부 분의 연구가 전문대학의 지역적?사회적 인식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천편일률 적으로 온라인 홍보의 중요성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 따라 단순 히 노출의 효과만을 고려해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기 보다는 홍보 시기와 홍보 대 상을 좀 더 세분화하여 온라인 매체를 통한 대학 홍보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 및 홍보 대상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실증조사 대상으로 서울, 경기, 인천 권역의 5개 전문대학의 신입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다 음과 같이 몇 가지 특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대학 진학을 결정한 시기는 출신 고교 유형에 따라, 일반고등학교 출 신의 전문대학 재학생은 대입 합격자 발표 이후와 대학 지원이 이루어진 12월에 서 2월 사이에 진학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성화고등학교 출신의 전문 대 재학생은 고3 때부터와 대학 지원 직전에 전문대학으로 진학을 결정하여 뚜렷 한 차이를 보였다. 합격 시기에 따라서는 수시 1?2차 합격자는 정시 및 추가 합 격자에 비해 조기에 전문대학으로의 진학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의 진학을 결정하는데 높은 취업률과 본인의 적성, 대학의 이미지 및 명성, 특성화된 학과의 순으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i - 셋째, 전문대학 광고를 인지한 매체는 일반고등학교 출신의 재학생과 정시 및 추가 합격자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배너광고와 입시정보 사이트 배너광고의 온라 인 매체를 통한 전문대학을 인지하였으나, 특성화고등학교 출신의 재학생과 수시 합격자는 홍보 리플렛과 브로슈어 등의 대학에서 발행하는 인쇄 매체를 통해 전 문대학을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문대학에 대한 정보의 획득 경로를 파악한 결과, 일반고등학교 출신의 재학생과 정시 및 추가 합격자의 경우, 대학 홈페이지 및 입시 정보 사이트 등 온 라인 매체를 통한 경로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였으나, 특성화고 출신의 재학생과 수시 합격자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체인 각종 홍보 자료를 통해 정보 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고 매체들이 전문대학의 진학을 결정하는 영향력을 보면, 대학 리플렛 및 브로슈어, 대학 홈페이지, 입시정보 사이트, 인터넷 커뮤니티 순으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4대 매체와 지하철, 버스 등의 각종 교통광고, 각종 전광판 및 옥외 광고 등의 오프라인 매체는 전문 대학 진학을 결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매체가 전문대학의 진학을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력을 보 면, 대학 홈페이지, 입시정보 사이트, 인터넷 커뮤니티의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급변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 고 수험생들이 대학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의 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의 홍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매체 선정 및 활용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고 한다. 수시 모집 기간에는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높은 취업 률과 적성, 특성화된 학과를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로 한 홍보 리플렛 및 브로슈어 등의 인쇄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양질의 콘텐츠를 포함한 대학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홍보 전락을 제안한다. 정시 모집 기간에는 일반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 으로 인터넷 포털 사이트 배너광고, 입시정보 사이트 배너광고 등의 온라인 매체 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홍보 전략을 제안한다.

      • 地方自治團體의 地域特化産業 推進實態와 地域社會發展과의 關係 硏究 : 原州 醫療器機 産業을 中心으로

        이상범 延世大學校 政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지방자치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역특화산업이 지역사회발전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주시에서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의료기기 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식산업시대를 맞이하여 국가간의 경쟁보다는 지방자치단체간 경쟁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는 열악한 지방재정으로 중앙정부의 지원 없이는 지역특화산업을 육성시킬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지역의 자본과 기술을 이용하여 중앙정부로 하여금 지원 받을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여야 되며, 이를 위해서 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 큰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지역특화산업의 육성은 단순히 지역의 특화정도에 따라 산업을 분류하고 육성해서는 안되며, 보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고 다양한 정책개발과 판로확대 등을 통해야만 지역경제가 회생하며 소득이 증대될 수 있다. 지역특화산업과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특화산업의 성공은 지역경제활성화는 물론 지역 이미지상승으로 이어져 부가적 효과가 매우 높다고 조사되었다. 원주시의 경우 의료기기 산업단지 입주업체의 지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거의 모든 항목에 불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각종지원을 더욱더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 부서를 대폭 강화하여 입주기업의 애로사항을 상담하고 해결해 주는데 전념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타 자치단체에 비교우위의 성공을 거두기 위하여 원주시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고객(기업)을 유인하고, 입주한 기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종사원들에게 제공되는 복지시설을 첨단산업단지에 어울리도록 보완, 확충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식당 및 매점, 휴게실, 체육시설 등 종사원들의 생산성 향상과 연관되는 공동이용시설의 투자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 행정 및 경영관련 서비스 제공이 원활히 이루어 져야 한다. 창업 초기 성공에 대한 의지를 전문가에 의해 확고히 심어주어야 한다. 각종 행정적인 정보, 신고, 허가 등 각 기업들에게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정 및 경영서비스 지원이 원활해야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인식되어 많은 기업이 이전해 올 것이다. 셋째, 정기적으로 국내외 의료기기 시장 정보를 조사하고 정확한 정보를 입주기업에 제공하여 기업들이 시장감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또한 각 기업의 판매 마케팅을 위한 홍보, 전문전시회 참가 등을 적극 지원하고, 판매업체와의 연계 및 수출입 절차정보 및 대행도 지원해야 한다. 넷째, 창업기업의 취약부분인 재무, 회계, 법률분야에서 기업이 요구하기 전에 전문가가 찾아서 상담해 주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지역특화산업이 제한된 자원으로 성공하기 위한 약자의 전략은 집중화밖에 없다고 하겠다. 비교우위에 입각한 우선 순위별 선택과 집중으로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핵심분야를 선택 지원대상을 분명히 하고 집중 지원하여야 한다. 또한 정기적인 평가와 강력한 기술검증시스템을 통하여 "선택과 집중"을 원칙으로 옥석을 가려 지원을 하여야한다. 다섯째, 첨단의료기기기술혁신센터(TIC)에 보유하고 있는 연구장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원주지역에 입주한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거나, 이동이 가능한 장비는 배달 대여, 또는 정기적으로 이동차량을 이용한 장비활용 등으로 고가의 장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활성화하여야 한다. 여섯째, 의료기기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들과 외부업체와 연계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하고, 금융기관 및 연구기관 그리고 관련단체와도 교류하여 상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네트워킹 서비스도 활발히 제공되어야 한다. 일곱째, 지역특화산업의 성패는 자치단체와 협력대학의 높은 관심과 지원에 달려 있다. 조성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지원팀을 강화하고, 전문매니저를 확보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함은 물론 재정적 지원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결국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하여 많은 전문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원주시와 연세대학교가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는 의료기기 산업은 지역내의 인력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역특성을 살림으로써 타 자치단체의 우수성공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따라서 관련된 원주시와 연세대학교에서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그 결과 군사도시의 이미지에서 세계적인 의료기기 산업도시로 발전할 것이다. 연세대학교의 이미지 또한 크게 상승될 것이며 국가의 전략적 산업으로 도약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how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which each local government has carried out for many years, can have effect on the local community growth and economy. In compliance with this research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y is selected as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in Wonju. At the moment of the so-called knowledge industry age, the reality has shown us that the competition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s. So a local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the self-competitiveness for the national growth Except some local governments,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n financial difficulties and without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no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can be promoted. So a local government should use it's capital and technology to show it's vision which could be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addition, Both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and the local council make a lot of concern and effort for this. The specialized local industry should not simply be classified nor be raised on the degrees of the specialization,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local economy should be revived and the local income should be increased through the application to the new technology, the diversified policy improvement, and the extension of the sales distribution channel. From the survey of the specialized local industry, the success of this industry can result in its economic growth, the improvement of its image, and the value added effect. This survey shows that Wonju authority concerned should improve their support because many occupied companies in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ial park have complained of the poor supports. The organization, which consists of some special advisors, would be extended and pay close attention to find a solution to the difficulti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kinds of difficulties and to win the comparative advantage with the other local governments,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y in Wonju should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ttract many companies and to help them succeed, the supplementary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offered in this latest industrial park. Especially to increase productivity of all employees in the park, the investment of the public facilities such as booths, cafeterias, resting place and the sports facilities should be made up. Second, services such as the business and administrative affairs should be smoothly offered. In starting an enterprise the secure way to success should be given by special counselors in the park. If these kinds of services including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reporting, and permission are well prepared, this industrial park would be recognized as the most favorable place for the starting companies. And this will keep on attracting much interest for the moving-in companies. Third, the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analysis should be periodically given for the companies to comprehend their market trend. In addition, the positive support for the companies such as their promotion, participation in the exhibition, and the sales agency services including export/ import should be available. Fourth, every company in the start line would face the weak points such as finance, accounting, and legal solutions. Advices for them should be presented before the companies try to ask for. There is nothing but focus as small companies with the limited resources can take its first strategy for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Selection and focus in consideration with the comparative advantages should be used as the first strategy for supporting the core technology area. Selection and Focus should be the main principle. That is, the periodical valuation and the accurate technical verification system should be followed for the differentiation between which company is good and which is not. Fifth, there should be the supporting systems that the R&D instrument (equipment) in 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would be prepared for the best use. That is, a lot of incentives and the lease of the movable equipment should be set up for the companies in the industrial park in Wonju. Sixth, services connecting the companies with financial institutes, R&D institutes, and the other institutes to share their information should be consistently presented in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ial park. Seventh, the key factor of the success in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is up to the great concern and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from the cooperated colleges. The specialized advising team, which can utilize the built-up infrastructures and give the financial support to the companies, should be extended because lots of advisors are needed for the success.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y which Wonju has cooperated with Yonsei University has maximized its local human resources and has highly evaluated as a success case in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ies. As a result, Wonju and Yonsei University will concentrate on the support to that industry. The image of Wonju will be changed form the military base to the worldwide medical appliances industrial city through all these efforts. And also the image of Yonsei University will be improved so that this industry can be the take-off as the national strategic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