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간에 의해 소모되어 원형을 잃어가는 사물의 회화적 표현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임지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explains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work based on my experience of moving my attention to objects and landscapes in the everyday life and expresses minds about the objects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work. As expression techniques, permeating, overlapping and moving of the brush are used to express the texture and to organize the delivery effects of the part of my focus. Time is clearly not something that can be seen by the eyes. Therefore, we recognize time with objective index such as date and time and it is changed and becomes extinct by flow and we can feel the resulting product distorted by physical force. In the <<Flowing and Stagnant Water>> series, focus is made on the subjects which change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oneself is linked to the subject and the time is the resulting product which recognizes internal time. In this thesis, the backgrounds for capturing such subjects and the method and process of transferring them to painting are stated. In the work, the green candle which is easily burned by fire, the teddy bear which is kept from childhood, the tangerine which are rotten and pressed due to long neglect, the neon sign of barbeque restaurant which has the form of pig family, the slippery soap, the balloon which lost half of its air and the flower (lily magnolia), etc. are subjects and observed for their changes and a pictorial approach was attempted. These are subjects which could be seen anywhere in the ordinary live. Be placing these subjects in the right center of the screen, heart rendering and regrettable emotions which are felt from the subjects are calmly expressed. As techniques of expression, after taking photos of the subjects using the cropping method, they are expanded, and pictorial work is done. While they are transferred through pictorial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omitting elements which are thought to be unnecessary, contrasts of colors were made, subjects were emphasized through expansion, omission and contrasts of colors and paints and pigments with high chroma were used on cloth. Depending on the texture of the subjects, by differing the amount of water and brush movements, sensual characteristics felt from the subjects were visually expressed. Also, by listing subjects having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that they are objects which are expended and become extinct by time is emphasized. 이 논문은 본인의 일상에서 사물과 풍경에 시선을 옮기게 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작업의 제작배경을 설명하고, 작업의 소재가 되는 사물에 대한 심상을 표현한다. 표현기법으로는 스밈과 중첩, 붓의 움직임을 통해 재질감 표현과 본인이 강조하는 부분의 전달 효과를 정리하면서 서술한다. 시간은 눈앞에 분명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일시와 같은 객관적인 지표로 시간을 인식하며, 흐름에 의해 변질되고 소멸하며, 물리적인 힘으로 왜곡되는 결과물로 우리는 시간을 느낄 수 있다. 《흐르는, 고인 물》 연작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대상에 주목하여 본인과 대상을 결부시키고 내적 시간을 인식하는 결과물이다. 이 논문에서 이러한 대상들을 포착하게 된 계기와 회화로 옮기는 방식과 과정을 서술한다. 작업에는 불에 쉽게 녹아 들어가는 초록색 향초, 어린 시절부터 간직 하고 있는 곰 인형, 오랜 기간 방치하여 썩어 눌러버린 귤, 돼지 가족을 형상하고 있는 고깃집의 네온사인, 미끈거리는 비누, 절반쯤 공기가 빠져있는 풍선, 꽃(자목련) 등을 소재로 하여 변화상태를 관찰하고 회화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들은 너무나 당연하게 일상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대상들이다. 이러한 대상들을 화면의 정중앙에 배치함으로써 대상에게서 느꼈던 애달픔과 안타까움 등의 감정을 담담하게 표현한다. 표현방식에서는, 대상을 크롭핑(Cropping)방식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한 후, 이를 대상을 확대하여 회화작업으로 진행한다. 회화작업으로 옮기면서,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소를 생략하는 과정을 통해 색채의 대비가 만들어지며, 확대와 생략, 색채의 대비를 통해 대상을 강조하며, 천 위에 채도가 높은 물감과 안료를 사용한다. 대상의 질감에 따라 물의 양과 붓의 움직임을 달리함으로써, 대상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적인 특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변형이라는 성질을 가진 대상들을 나열함으로써 시간에 의해 소모되고 소멸하는 사물임을 강조한다.

      • 에이미 텐의 『조이럭 클럽』에 나타난 모녀관계 연구

        임지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examines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in Amy Tan's The Joy Luck Club(1989),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changeable and dynamic Chinese American female identities. Jing-mei comes to understand her mother's dream for her by realizing the changeable nature of the jade necklace and joining Joy Luck Club both of which are the mother's legacies ranging across two cultures. Wayverly suggests that her "two-faced" identity disrupts cultural stereotypes of Chinese Americans, discovering that her "tricky" identity has been handed down from her mother. On the other hand, Rose come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peaking out with the help of her mother. Finally, Lena embraces her mother's "tiger spirit" that defies patriarchal gender stereotypes. In The Joy Luck Club, the mothers facilitate the daughters' inventions of dynamic identity by remembering the painful past, sharing their stories, and entrusting the daughters with the task to create their own identities. 이 논문은 변화가능하고 역동적인 중국계 미국 여성의 정체성의 출현에 초점을 맞추어 에이미 텐의 『조이럭 클럽』(1989)에 나타난 모녀관계를 검토한다. 징메이는 어머니가 주신 옥목걸이의 변화무쌍한 특성에서 오는 메시지를 깨닫고 두 문화권에 걸친 어머니의 유산인 조이럭 클럽에 가입함으로써 어머니의 꿈을 이해하게 된다. 웨이벌리는 그녀의 " 교묘하면서도 영리한 " “tricky”라는 특질이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았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자신의 "이중적으로 보이는 얼굴"에서 획득가능한 정체성이 백인들의 중국계 미국인들에 대한 문화적 고정 관념을 깨뜨릴 수 있음을 제시한다. 한편으로 로즈는 어머니의 도움으로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고 남편과의 문제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 마지막으로 리나는 가부장적인 성 고정 관념을 거부하는 어머니의 "호랑이 정신"을 포용한다. 『조이럭 클럽』에서, 어머니들은 고통스러운 과거를 기억하고 딸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딸들에게 그들만의 정체성을 창조하는 일을 장려함으로써 역동적인 정체성의 창조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 실내공간 구성요소로서의 색채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임지현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Color enrich the meaningfullness in Interior environment greatly and the color preference is caused by emotional factor, spatial quality Factor and aesthetic factor. So it can be told that color is the source of stimulation which causes various psycologlcal response. In the Inteior space, this trend is bound to produce a notable effect in the color design for the built environment and the color can affect human feeling, and further more, it can create a certain psychological mood among people. Thus the more complicated the visual environment becomes, the harder it becomes to decide the color - effect in design. In this respect, a designer In works, needs of coherent and empirical information about 'color" which can provide people with comfortable environment. In reality, however, most color - image works are being done by experiential and intuitive side. and it can be hardly expected that any coherent approaches are satisfactorily introduced in their works. The reasonableness of this study was recognized through multi - disciplinary approach of related the theories for the color plan. The conception which is the strating point of this study was confirmed and the characterics of the perceptional reponse of color and the theory of visual perception were confirmed. A esthetic response and visual preference in the point of Action for objectification of visual quality were investigated and the systimatic frame work a t whole enviromental demension was studied, this study suggests the coherent and useful information and system. It can be approached for the color plan effectively.

      • Anton Webern의 'Drei Gesang op.23'에 관한 硏究

        임지현 淑明女子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ing "Drei Gesa¨ng Op.23" of Anton Webern who contributed much to modern music in the early and mid 20th century and there upon reviewing his unique styles, forms and music world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 1. The whole pieces is based on a basic original tone row, while such eight tone row as P_0, P_6, I_0, I_6, R_0, R_6, RI_0, and RI_6 are used in all the works. 2. All the three pieces are in into two or four parts, and feature the contrast of a, b, a′, b′ and the classic tendency of restatement, thus showing some romantic traits. 3. The pieces also feature some techniques of counterpoint since each Vocal parts are being exchanged, intersection, elision, and connected with canon, crab canon. Morever, they also feature the symmetrical, independent structure of vocal and accompaniment. 4. Rhythms are diverse, but static, irregular. Specifically, the resting stages are being used for connection, there by showing no clear distinction. 5. The melodies are characteristic of leaps, small of large. In particular, the treatment of lengthening the vocal melodies is prevailing throughout the piece. Because Webern's melodies are being melted down in the harmony, his melody forms should be understood on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conventional ones. 6. In this piece such religious implications as pursuit of eternity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harbored. In his other pieces such as 31 works vocal ones and instrumental ones his religious can be detected. All in all, it is conceived that art develops as classic is connected with modern music affecting the sound-arrangement music. Th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orms of music are an aspect of culture superceding time and space.

      • 아동성장서사에서 인물의 성장 양상 연구

        임지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성장서사에서 작중인물의 성장 요인과 성장 양상을 탐색하였다. Ⅱ장에서는 성장의 개념과 아동성장서사의 범주를 고찰하였다. 이는 성장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살펴봄으로써 성장소설에서 성장에 부여한 틀에서 벗어나 아동성장서사의 범주를 정립해 나가고 자 함이다. 성장은 전 생애에 걸쳐서 이뤄지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본 연구자는 지금 현재의 경험과의 대면 과정에서의 심층적이고 복합적인 성장의 요소를 강조하는 현재진행형(the present progressive)의 관점을 주춧돌로 하여 성장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 관점에 근거하여 성장의 개념을 부정적이고 불안한 자아가 현재에 처한 삶의 장애가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로 변화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따라서 아동성장서사에서 성장은 시련과 변화를 전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원유순의 『까막눈 삼디기』, 『우리 엄마는 여자 블랑카』, 『열 평 아이들』, 배익천의 『오미』, 이규희의 『악플전쟁』, 송재찬의 『무서운 학교 무서운 아이들』, 김선희의 『흐린 후 차차 갬』, 정채봉의 『하늘새 이야기』, 재클린윌슨의 『일주일은 엄마네, 일주일은 아빠네』, 우메다 슌사쿠의 『모르는 척』, 모카의 『어디, 뚱보 맛 좀 볼래?』, 로버트 킴멜 스미스의 『그래도 엄마 아빠를 사랑해요』 등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아동성장서사에 구현된 작중인물의 성장 요인을 고찰하였다. 작중인물들은 성장 전과 성장 후의 관념이 바뀐다. 성장 전 아동이 겪고 있는 시련의 모티프인 차별, 폭력, 열등감이 플롯을 만나 시련의 경험을 구체화한다. 이 때 작중인물이 겪게 돼는 시련은 관계의 회복이라는 성장의 계기를 통해 극복해 간다. 관계는 자신, 타자, 사회와의 관계로 구분해 본다.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라는 말처럼 인간의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유롭기가 쉽지 않다. 특히 성인보다 더 관계지향적인 아동기에 관계 회복은 성장의 계기가 된다. 자신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열등감을 극복하고 타자와의 관계 회복을 통해 폭력과 소외로부터 벗어난다.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회복을 통해 차별을 극복하게 된다. Ⅳ장에서는 아동성장서사에서 구현된 작중인물의 성장 양상을 고찰하였다. 서사의 본질을 자아와 세계의 대결로 볼 때, 아동성장서사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에 따라 성장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오미』에서는 자아가 세계로 편입 되는 과정으로 성장이 진행된다. 『일주일은 엄마네 일주일은 아빠네』에서는 자아와 세계의 대화적 화해 과정을 통해 성장이 이뤄진다. 『하늘새 이야기』는 자아와 세계가 합일이 되어 동심적 세계를 지향하는 성장 양상을 보인다. 『오미』에서 작중인물 오미는 통과제의적 경험을 겪고 극복하면서 사회에 편입된다. 아버지, 작은아버지, 할머니의 죽음, 여동생과의 이별을 겪고 그 시련을 극복해나가면서 5살 코흘리개에서 눈물을 삼키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는 강인한 인간으로 성장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오미의 성장과정은 진주가 만들어 지는 과정에 비유된다. 『일주일은 엄마네 일주일은 아빠네』에서 작중인물은 자아와 세계가 대화적 관계를 통하여 조화를 이루려는 방향으로 성장해 간다. 대화적 관계는 작중인물이 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일주일은 엄마네 일주일은 아빠네』에서 앤디는 주변 인물과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흔들렸던 정체성을 바로잡아 가며 성장해 간다.『무서운 학교 무서운 아이들』에서는 학교폭력을 해결하고자 하는 주인공이 선생님께 편지라는 매체로 대화를 시작하면서 성장의 문을 연다. 『하늘새 이야기』에서는 아동인물과 세계는 하나가 된다. 여기서 세계는 아동인물의 눈으로 발견하게 되는 주관적인 세계이다. 그래서 자아와 세계의 융합은 동심으로 회귀됨을 말한다. 이는 해탈의 경지를 말하며 현실에서 겪는 시련을 극복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현실 자체를 초월하게 되면서 성장하게 된다. Ⅴ장에서는 아동성장서사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아동성장서사가 갖는 시련극복과 성장 과정의 묘사는 독자의 성장까지도 이끌 수 있다. 아동성장서사는 독자의 자아존중감 형성, 정서발달, 조망수용능력 발달, 도덕적 이해와 사회적 관습 이해, 미래 체험을 통한 긴장감 완화 등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아동성장서사의 작품을 분석하여 성장 요인과 성장 양상을 구체화 하여 아동성장서사의 독자적인 특징을 고찰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동성장서사에 대한 더 많은 작품 분석, 아동성장서사에 나타난 갈등구조 연구 등 후속 논의를 통해 아동문학연구가 새로운 한 걸음을 내딛기를 기대해 본다.

      • 직무특성을 고려한 동기부여 수준이 직무 스트레스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임지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요약 직무특성을 고려한 동기부여 수준이 직무 스트레스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 자원에 의존도가 높은 호텔 산업은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에 따라서 이익 창출에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세부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 접점에서 근무하는 호텔 종사원들의 동기부여 수준, 직무 스트레스, 고객지향성의 상관관계를 좀 더 세밀히 연구하고자 한다. 호텔에서 종사하고 있는 서비스 접점의 직원이 지각하는 동기부여 수준(MPS)이 직무 스트레스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호텔 직원이 지각한 동기부여 수준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효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 대상은 서울 소재 특 1급 호텔의 서비스 접점에서 근무하는 서비스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기법을 이용한 자기기입법을 통해 350부를 조사하여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30부를 제외한 총 320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7.0을 활용하여 요인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 분석방법으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이처럼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을 고려한 동기부여 수준(MPS)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조직 문화, 역할 과부하, 대인관계 및 자율성, 고용 불안정 이렇게 4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동기부여 수준(MPS)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역할 과부하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요인에 유의적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을 고려한 동기부여 수준(MPS)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동기부여 수준(MPS)에 따라 고객 지향성은 유의적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 대인관계 및 자율성, 고용 불안정 이렇게 3개의 요인이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무특성을 고려한 동기부여 수준(MPS)을 높여 호텔 직원의 고객지향성을 높인다면, 호텔 기업의 목표인 고객 만족을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호텔 기업은 인적 자원의 의존도가 높기에 효율적인 인적 자원 관리가 더욱 중요하며, 다양한 직무, 자율성, 그리고 주기적인 피드백을 주면서 직원의 동기부여 수준을 꾸준히 높여야 하겠다. ABSTRACT The influence of motivation level considere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perceived motivation level on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Hotel employee's perceived motivation level effect on job stress. The survey is conducted to employee who is working at customer encounter among five star hotel companies located in Seoul with questionnaire survey and personnel interview. The sample collected 320 pieces out of total 350 questionnaire, 30 unsuitable pieces were not selected for this study. For final valid date proc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 ver. 17.0 were verified after identifying model's suit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perceived motivation level(MPS) on job stress. Hotel employee's perceived motivation level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Job stress was classified as 4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overloaded role, interpersonal and autonomy, job insecurity. 3 job stress factors except job insecurity in accordance with motivat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perceived motivation level on customer orientation. Customer orientation in accordance with motivat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Thirdly, job stress factor 1(organizational culture), job stress factor 2(overloaded role), and job stress factor 3(interpersonal and autonomy) indicated on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motivation level(MPS). It will influence to increase hotel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and be able to establish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hotel company's goal. Hotel industry has a high dependence on human resource and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more important. Various job duties, autonomy, and periodic feedback will be needed to elevate motivation level.

      • 공감하고 실천하는 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수업 : ‘정서적 감정이입(affective empathy)’을 적용한 수업 방안 모색

        임지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newly perceived historical consciousness, related to students' proper awareness of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and their interest in the historical issues that have led to the present, has fostered within students the power to make a better future on their own. As such,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may enable a citizen's consciousness to make the right decision on a given problem and to practice it at the same time, as to cultivate such a democratic citizen's historical consciousness. Meanwhile, Barton and Levstik, who emphasized tha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promoting common good and participatory democracy, insisted that historical empathy is a useful principle of instruction for cultivating citizenship. In particular, criticizing the emphasis on only cognitive inquiry, they suggested that affective factors such as sympathy and identification should be actively combined into historical empathy. Barton and Levstik's views have been developed by researchers locally and abroad into the discussion of re-conceptualization in order to properly combine historical empathy with the cognitive inquiry processes and affective elements. It is clear that these discussions are possible logics when integrating concepts based on the studies of scholars and teaching strategies of teachers.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 of re-conceptualization of historical empathy and analysis of class cases using sympathy and emotion, this study specifically designed a teaching plan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historical empathy applying affective dimension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growth of students as democratic citizen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lass, this study tried finding that Barton and Levstik's ‘affective empathy’ called ‘caring’, embodies the driving force that students lead the knowledge and consciousness of history learned in classes to the practice of action as the core of the civic competency. In conclusion, historical empathy should be conceptualized as the principle of instruction that combines both tools of cognitive inquiry and affective elements.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affective empathy' called 'caring' is a factor that exerts more aggressive sympathy among students and how it could be used as a key teaching principl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at it plays a role in promoting interest in the 'common good', such as human rights, peace, and coexistence.

      • 대학생의 자기노출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불안의 조절효과

        임지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노출,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자기노출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 간에 사회불안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전라, 경상, 제주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380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하여 총 36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Mattick과 Clarke(1998)이 개발하고, 김향숙(2001)이 번안한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불안을 측정하는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척도와 수행상황에서의 불안을 측정하는 한국판 사회적 공포척도를 통합하여 사용하였고(총 39문항, 5점 Likert 척도), 자기노출을 측정하기 위하여 Joaurard(1964)의 자기노출검사를 한병현(1996)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총 24문항, 5점 Likert 척도), SNS 중독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오윤경(2012)이 개발하고 조성현, 서경현(2013)이 보완한 척도(총 20문항,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각 척도의 전체와 하위 영역별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노출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이 조절역학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절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자기노출과 사회불안 모두 SNS 중독경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은 조절효과를 보임에 따라, 자기노출을 많이 하는 집단 중, 사회불안이 높은 경우 SNS 중독경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을 높이는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SNS 중독을 예방하고 상담 개입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불안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disclosure, SNS addiction tendency, and social anxie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Question 1. Does social anxiety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solve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er targeted 380 students in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Choll, Gyong sang, and Jeju. A total of 368 copies of the 3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12 copies that were nonresponsive or inadequately responded. This study used to assessment scale of Mattick and Clarke(1998) and translated and revised by Kim Hyang Sook(2001) for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social phobia scale(39 items, a 5-point Likert scale), developed by Joaurard(1964) and revised by Han Byung Hyun(1996) for self-disclosure(24 items, a 5-point Likert scale), developed by Oh Yun Kyong(2012) and revised by Cho Sung Hyeon, Suh kyung Hyun(2013) for SNS addiction tendency(20 items, a 4-point Likert scale).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 for Window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ta,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determine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 s correlation test.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main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ll the variables of self-disclosure, SNS addiction tendency, and social anxiet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tatic correlations. Second,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anxiety was demonst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SNS addiction tendency. To sum up the above findings, all the variables of self-disclosure, SNS addiction tendency, and social anxiet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tatic correlations. and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anxiety was demonst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the groups with high self-disclosure, high social anxiety showed high SNS addiction tendency.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risk factor to increase the tendency to add to SNS. So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supporting material to help relieve social anxiety by providing basic data that can help to prevent SNS addiction and establish counseling intervention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