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창업교육과정 만족도가 기업가적 기민성,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특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원희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After 2010,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jobs, the government is putting forward the revitalization of start-up as a national agenda. Even though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the essential factor for the revitalization of start-up through the creation of new opportunity and value, many studies have mixed views for the methodology to enhanc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cite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the first step of the revitalization of start-up, the capacity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Opportunity Recognition should be equipped with as the prerequisite to hav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ims to check the role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to reinforce this capacity. In addition, i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be proceeded in the future through the comparison by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curriculum course VS non-curriculum course). This study will be progressed on the proc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the university before they take their first step into the society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it, it will compare the Entrepreneurial Alertness,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ter satisfaction level by the process that has been divided into two tracks (curriculum course VS non-curriculum course). The most essential opportunity recognition factor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trepreneurship has been placed as the parameter, it shall check i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to raise the capacity of Opportunity Recognition has the effect or it become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level. The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total 224 university students(excepting insincere surveys 24), data have been collected by dividing 100 students who completed the Entrepreneurial curriculum course, 100 students who completed the Entrepreneurial non-curriculum course. It has been checked if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has any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Alertness,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gether if there is any moderating effect of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process as well.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for the achievement of research purpose and the empirical research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Alertness. Third,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pportunity Recognition. Fourth, the Entrepreneurial Alertness has th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and Opportunity Recognition. Fifth, the Opportunity Recognition has th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the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Opportunity Recognition have the doubl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Last, the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have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could be discovered in the relationship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couldn’t be discovered in the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The study result like this suggests that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increases the capacity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Opportunity Recognition to develop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essential in the start-up and has the effect; it shows the effect chang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 In addition, it showed the result that the Entrepreneurial non-curriculum course(non-grade) rather than the Entrepreneurial curriculum course (grade) has the effect more i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shall have to establish the curriculum as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pable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Opportunity Recognition, it shows that we should move toward the education of practice-oriented rather than theoretical process.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direction setting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2010년 이후 정부는 일자리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창업활성화를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새로운 기회와 가치창출을 통한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의지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법론 적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활성화의 첫걸음으로 창업의지를 꼽았으며 창업의지를 가지기위한 선행조건으로 기업가적 기민성·기회인식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 창업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교육과정별(교과과정 VS 비교과과정) 비교를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에 첫 발을 내딛기 직전 대학에서의 창업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창업의지에 대해 진행 할 것이며 크게 2가지 트랙(교과과정VS비교과과정)으로 나뉘어 있는 과정별 이수자 만족도에 따른 기업가적 기민성, 기회인식, 창업의지를 비교 할 것이다. 경영학과 창업학을 구분 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기회인식 요소를 매개 변수로 놓았으며 기회인식 역량을 높이기 위한 기업가적 기민성의 개인특성이 영향을 끼치는지 만족도에 따라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살펴 볼 것이다. 총 22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하였으며 불성실 설문 24명을 제외한 창업교과 이수자 100명, 비교과 이수자 100명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수집 하였다. 대학창업교육과정 만족도가 기업가적 기민성,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대학 창업과정특성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및 이를 토대로 한 실증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는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 둘째,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는 기업가적 기민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 셋째,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는 기회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 넷째,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와 기회인식 관계에서 기업가적 기민성은 매개효과가 있다. 다섯째, 기업가적 기민성과 창업의지 관계에서 기회인식은 매개효과가 있다. 여섯째,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와 창업의지 관계에서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지는 이중 매개 효과가 있다. 마지막, 대학창업교육과정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은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는 창업의지에 조절적 효과가 있으며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 그리고 창업의지의 관계에서도 조절적 효과를 발견 할 수 있었지만 대학창업교육과정 만족도와 기업가적 기민성 관계에서는 조절적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 창업교육과정이 창업에 필수적인 창업의지를 키우기 위한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 역량을 증대 및 영향을 끼치는 것을 시사하며 교육 만족도에 따라 그 효과는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창업교과과정(학점) 보단 창업비교과과정이(비학점) 창업의지에 더욱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창업교육과정이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의 역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으로 커리큘럼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이론과정 보단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창업대학원 진학동기 및 진학선택 확신 요인에 관한 연구

        김지원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창업지원정책 중에 하나로 설립․운영되고 있는 국책창업대학원에 진학하는 학습자들을 창업교육 지원사업의 참여자들이라고 인식하고, 창업대학원에 유입되는 교육참여자의 특성과 니즈를 파악하여 창업대학원을 선택하는 결정 요인과 진학결정 이후 선택에 대한 확신요인으로 교육과정 및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을 통하여 향후 창업교육 전문기관으로서 창업대학원의 질적 제고와 창업대학원에서 배출된 창업지원인력들이 창업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한 체계적, 학문적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내 3개 창업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창업대학원 진학을 결정하게 된 동기를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특성지각요인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창업대학원 진학동기 및 진학 결정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창업대학원의 교육과정 및 교육서비스를 포함하는 학업관련 요인이 재학생의 진학선택에 대한 확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창업대학원 교육과정 및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대학원 진학 동기에 대한 내적요인으로는 실제 창업 및 창업 분야 컨설턴트로서 성취나 기존 창업관련 업무와 관련된 전문성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업대학원 진학을 고려하였으나, 창업대학원 진학선택 확신요인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창업대학원 진학 동기에 대한 외적요인으로는 재정접근성, 장래성, 대외평판은 진학결정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창업대학원 진학선택 확신요인으로는 창업대학원의 장래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대학원의 학업만족 요인은 교육과정, 교육여건, 졸업 및 진로가 대학원 진학선택 확신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창업대학원 진학결정 및 진학선택 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요인을 분석한 결과 창업대학원의 장래성, 교육여건, 졸업 및 향후진로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났으며 그 중 졸업 및 향후진로가 가장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원 진학선택 확신요인에서 교육 서비스 품질과 같은 진학선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창업대학원과 관련있는 자들에 의한 긍정적인 구전효과가 발생하여 창업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는 수요자들에게 대학원 진학을 권유하거나 조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for systematic and academic change i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as the future professional institution for Business Start-up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students who enter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which is founded and operated as one of the Business Start-up supporting policy, as the participants i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upporting Work and find the attributes and needs of those participants to provide proof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satisfaction about the education service as the decision factor to choos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and the confidence factor for their choice after making decision to enter the school. This study had the students of three Graduate Schools of Business Start-up to answer for the motivation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and classified those motivations into internal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Then, i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for entering the school and the factors in making decision for entering the school. Especially, a survey was carried with the questions mad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urriculum and satisfaction of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in order to confirm how the academic factors, such as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 service can have influence on the confidence of the student of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internal motivation for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was originally to enhance the accomplishment as a consultant in the business start-up and related field or the professionality in works related to existing business start-up job. However, the statistic result showed that this motivation was not really connected to the confidence factor for their choic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Second, for the external motivation for entering the Graduate of School of Business Start-up, there were factors, such as financial approach, prospect for the future, public reputation, which showed to have significant corelation with their decision for entering the school. And for the factors that gave confidence for their choice of entering the school, the prospect for the future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onfidence. Third, the factors for satisfaction about the education of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such as education curriculum, education environment, graduation and future career, showed to have significant corelation with the confidence the students have for their choic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factor that affects the confidence about their choice for deciding and choosing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the prospect for th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prospect for graduation and future career show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And among others, prospect for graduation and future career showe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to their confidence. And lastly, for the factor that gives confidence for their choosing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bout the education service, the more it creates orally transmitted advertising effect from those related to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that they recommend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to those who are considering going to Graduate Schools of Business Start-up.

      •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성미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있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로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기업가정신의 3가지 요인(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규범, 네트워크, 신뢰)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대학생의 창업의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문제해결)이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 사회적 자본과 대학생의 창업의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의해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과 사회적자본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로 기업가정신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기업과정신과 대학생의 창업의지간에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대학생의 창업의지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선택을 위해서는 창업과 기업가정신교육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부와 지자체, 대학에서는 효과적인 진로결정을 위해 교육·프로그램·정책수립 시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대해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고용률 증대 및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더욱더 확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mainly from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self-efficacy of the career decision influences the Moderating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re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technological innovation, danger sensitivity, and enterprisingness)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tart, and the effecentrepreneurial intentionsts of social capital (norms, networks, and trust)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tart. And whether the self-efficacy (self-evaluation, occupational information, setting goals, troubleshooting) of the entrepreneurship college student's founding ground career plays a role in coordination, the social capital and the self-efficacy of the college student's founding ground career I understood about the role of regulation. For this reason,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corporate spirit and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whether their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making has a Moderating effec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Japan and abroad. The analysis first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affecte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to start a bus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affected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 busines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has a Moderating effects on the establishment of companies and mental college studen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has a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 busines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oundation and entrepreneurship are important for effective choice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is, governments, municipalities and universities will have to give priority to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for effective career decisions. In addition,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rporate spirit and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should be further expanded, as well as the effects of regulat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s.

      • 벤처캐피탈의 운용현황과 연구 동향

        고은비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벤처캐피탈의 운용현황과 연구 동향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 전공 고 은 비 1997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9년 코로나19를 거쳐오면서 벤처캐피탈 은 다양한 형태와 더불어 매년 꾸준히 규모가 증가하였으며, 지속적인 정부, 민간자본 지원 등 을 통해 대규모 자금 확대로 글로벌 유니콘 기업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었다. 코로나19 직전까지의 벤처캐피탈은 혁신분야 및 신진 기술 분야의 투자 증가와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 등으로 벤처투자가 증가하였다. 또한 오랫동안 VC 생태계의 중심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최근 유럽, 인도, 동남아 등으로 다양화 되고 있다. 벤처 산업 뿐만 아니라, 벤처캐피탈의 운용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벤처캐피탈의 운용 현황과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벤처기업이 당면한 자금 조달과 운용의 어려움을 이 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23년 9월까지의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및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벤처캐피탈 운용현황에 대한 문헌들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벤처캐피탈 관련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되지 않은 분야와 연구 방법들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타당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벤처자금의 확대와 더불어 벤처투자가 활성화된 시점에서 현재까지의 벤처캐피탈과 관련된 연구와 문헌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 설정이 필요하 다. 더불어, 벤처캐피탈 연구 동향에 대한 질적연구 및 양적연구가 전반적으로 활성화 될 필요 가 있다. 주제어 : 벤처캐피탈, 벤처캐피탈 현황, 벤처 생태계 Going through the IMF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COVID-19 in 2019, venture capital has steadily increased in size every year along with various forms, and has become a global unicorn company through large-scale expansion of funds through continuous government and private capital support. We were able to promote growth. Just before COVID-19, venture capital investment increased due to increased investment in innovative fields and emerging technologies, growth of the startup ecosystem, and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diversifying from Silicon Valley in the United States, the center of the VC ecosystem for a long time, to Europe, India, and Southeast Asia. Not only the venture industry, but also the operation of venture capital is constantly changing, and examining the operation status and research trends of venture capital allows u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raising and operating funds that venture companies face and come up with various ways to solve them. It can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do so.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academic papers and thes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rom 1997 to September 2023 on the current status of venture capital operations. Through this, we aim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venture capital-related research and provide feasibility in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unstudied areas and research methods. With the expansion of venture capital,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organize research and literature related to venture capital from the time venture investment was activated to the present, examine research trends, and se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omote overal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venture capital research trends.

      • 개인적특성요인과 환경적인식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예술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박지선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청년 실업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취업의 대안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대학 전공 분야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제도적 지원의 협소로 인해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저조한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의지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자 하며, 또한 그들의 창업의지를 보다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안들을 도출해보았다. 연구방법으로 국내 예술계열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결과에 대해 신뢰성 및 타당성을 분석한 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가설 검증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설검증결과 국내 예술계열 대학생은 학업 과정에서 개인적 특성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분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에 비해 환경적 요인에 대한 역량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이 상경계열 및 공학계열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독립변수로는 잠재적 창업가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개인적 특성 요인(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혁신성)과 환경적인식 요인(네트워크, 정부의 창업지원제도, 경기 상황)을 선정하였고, 조절변수로서 창업효능감(자기효능감), 그리고 종속변수로서 창업의지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했다.

      •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이하연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경제가 급속도로로 발전했으나 변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발생했다. 저 출산 및 고령화, 환경오염, 실업률 증가, 지역 사회의 붕괴와 사회적 가치 창출 과 공유 미흡등 사회적인 약자가 증가하고 그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해지면서 사회적 서비스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과 비영리 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을 말한다(사회적기업진흥원, 2017). 사회 전반적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전들은 많다. 하지만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기업 창업은 많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생, 대학원생들의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과 벤처 창업 의지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으로는 개인적 특성(위험 감수성, 혁신 추구성, 진취성, 사회가치지향성), 사회문제 상황인식(문제인식, 관여도), 대학의 사회적 기업 정보 등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을 검증해 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대학생 대학원생들의 개인적 특성(혁신 추구성, 진취성, 위험 감수성, 사회가치지향성)은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사회적 기업정보는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문제 상황인식에서는 관여도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문제인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개인적 특성과 대학의 사회적 기업정보는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유의미한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개인이 사회 문제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고 있더라도 사회적 기업에 대한 창업의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번 연구의 한계점인 표본의 다양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사회적 기업 창업 의지에 미치는 새로운 요인들을 발견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After the currency crisis in Korea, the economy rapidly developed, but in the process of change, several social problems occurred. Social infirmities such as childbirth and ag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d unemployment rate, collapse of local communities and creation of social value and inadequate sharing have increased, social services are lacking consideration for them It was an important era. A social enterprise is an intermediate form between a commercial enterprise and a non-profit enterprise, and refers to an organization that conducts sales activities such as the production and sale of goods / services while pursuing social purposes with priority.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2017) As society as a whole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social problems and creative ideas and challenges of social enterprises. However, there are not many founding companies of social enterprises to 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this kind of reality, in this thesis, we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the founding will of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social enterprises. We conducted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founda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willingness to start ventures. Effects that affect social enterprises' intention to establish will includ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isk sensitiveness, setting of additional innovation, innovation, social value orientation), awareness of social problem situations (recognition and involvement of problems), universities Information on social enterprises of the company was selected. Based on these factors, we are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for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nd through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I had done. The main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university student graduate students (establishment of additional innovation, advancement, danger sensitivity, social value orientation) influence the founding will of social enterprise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univers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ounding will of social enterprises. Thirdly, in recognition of social problem situations, it has been found that positively affecting only involvement and problem recognition does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on social enterprises in the univers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the founding will of social enterprises, but individuals recognized the situation on social problems Even though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unding will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future research, we must continue research to find new factors on social enterprises' intention to secure the diversity and accuracy of specimens, which is the limit of this research.

      • 대학생의 개인적, 환경적, 교육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서윤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내 경제상황의 어려움으로 인한 기업의 고용감소와 그에 따른 일자리 부족 때문에 청년 실업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고, 일자리에 대한 취업의 다른 대안 중 하나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교양과목으로 이루어진 창업강좌를 수강하는 국내 대학생들이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에 따른 창업의지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자 하며,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지금보다 좀 더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교육적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국내 창업교육을 받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이고,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그리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을 검증할 것이며, 가설 검증 결과를 분석할 것이다. 독립변수로는 잠재적 창업가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개인적 특성 요인(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혁신성), 환경적인식 요인(네트워크, 정부의 창업지원제도), 교육적인식 요인(창업강좌)을 선정하였고, 조절변수로는 대학의 창업멘토링 프로그램, 종속변수로는 창업의지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했다. 본 연구는 멘토링이 대학생들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향후 대학생들이 창업의지를 가지는데 창업멘토링의 필요성과 효과를 제고하고 창업멘토링에 대한 연구 및 실무확대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 번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 요인은 성취욕구, 위험감수성, 혁신성 중에서 성취욕구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은 부분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위험감수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은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위험감수 역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은 부분조절효과를 보였다. 개인적 특성 중 세 번째인 혁신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혁신성 역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은 부분조절효과를 보였다.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은 부분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대학생의 환경적 특성요인인 네트워크와 창업지원 중에서 네트워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 멘토링 이용정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네트워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환경적 특성요인 중 두 번째인 창업지원제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 역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대학생의 환경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대학생의 교육적 특성요인인 창업강좌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은 조절효과가 없다고 보였다. 그러나 대학생의 환경적 특성요인인 네트워크 환경과 창업지원제도, 교육적 특성인 창업강좌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멘토링이 유의한 수준을 벗어났을 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는 볼 수 없다.

      • 국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특성과 차이점에 관한 연구

        김성일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교육부의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2012년∼2016년)」에서 창업교육을 총괄 지원하기 위해 2012년 대학에 설치된 전담조직인 창업교육센터의 특성을 분석하고 활성화된 그룹과 비활성화된 그룹간의 차이점을 도출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2017년에 새롭게 지정된 LINC+ 사업(2017년∼2021년) 창업교육 분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전 연구들이 대학 창업보육센터 중심의 분석을 통해 결과를 종합하고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들과는 달리 대학의 창업교육센터를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에 대한 선행 문헌연구, 대학정보공시 DB 분석,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대한 구조적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를 분석하여 활성화된 대학 그룹과 비활성화 대학 그룹의 특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창업교육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 교직원, 연구자, 공무원, 학생 및 창업지원 기관의 이해 관계자에게 대학 창업교육 관련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which are organizations, established at universities in 2012 to take full charge of and suppor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LINC) Fostering Project(2012 to 2016)」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o extract differences between activated groups and nonactivated groups. This study is also focused on suggesting political implication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the new LINC+ project(2017 to 2021), designated in 2017. This study targets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while the preceding studies have suggested implications by integrating and comparing the findings, based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oriented analyses. For achiev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university groups and nonactivated university group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analyzed by examining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domes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analyzing database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vestigating the present state, revealed in the developed 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 management.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 would provide information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mplications to university faculty, researchers, public officials, students, and the persons involved of entrepreneurship support institut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 창업자 및 투자자의 성별이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배혜경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자의 성별 및 투자자의 성별에 따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이 조절효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의 성별은 투자자의 성별에 따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 창업자의 성별과 투자자의 성별이 같은 경우,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창업자의 성별과 투자자의 성별이 다른 경우에도,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창업자의 성별은 투자자의 성별 및 투자자 집단에 관계없이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창업자의 성별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의 관계는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넷째, 투자자 집단의 특성은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ICT 분야의 동일한 사업계획서에 창업자의 성별 및 사회적 자본만을 다르게 표기하여 창업전문가 집단인 창업대학원생 및 스타트업 지원경험이 있는 창업유관기관 직원, 벤처캐피탈리스트, 엔젤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실험형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3명의 설문결과를 취합하고, 교차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창업자의 창업투자유치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하여 창업투자생태계에서 여성 창업자 및 여성 투자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창업자의 성별은 투자자의 성별에 따라 사업타당성과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창업자의 성별과 투자자의 성별이 같은 동성 그룹은, 사업타당성 및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친다. 창업자의 성별과 투자자의 성별이 다른 이성 그룹은,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친다. 창업자의 성별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창업자의 성별은 창업투자유치 가능성 중 사업타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는데 통제변수로 투자자의 성별과 투자자 집단을 투입한 경우 창업자의 성별은 창업투자유치 가능성 중 사업타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었다. 또,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및 투자자 집단특성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은 창업자의 성별은 투자자의 성별에 따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창업자성별-투자자성별 그룹을 동성그룹과 이성그룹으로 나눴을 때 동성그룹은 사업타당성 및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성그룹은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 창업자의 성별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과의 관계에서 통제변수로 투자자의 성별과 투자자 집단을 투입했을 때는 창업자의 성별이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창업자의 성별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과의 관계에 투자자의 성별이라는 중요한 변수가 있음을 시사한다. 즉, 선행연구에서 검증되어진 것처럼 남성 창업자에 비해 벤처캐피탈이나 엔젤 자금조달을 시도하는 비율이 낮은 여성 창업자는 동성인 여성 벤처캐피탈리스트로부터 투자를 받는 것을 더 선호하고, 여성 벤처캐피탈리스트는 남성 벤처캐피탈리스트보다 전체 투자금액은 작지만 여성 창업자에게 더 많은 투자를 한다. 결과적으로 여성 벤처캐피탈리스트 및 여성 엔젤투자자 등 여성 투자자의 역할이 여성 창업자의 창업투자유치가능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본 연구결과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ohl 등(2007)이 주장했듯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여성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 창업생태계에서도 성장가능성이 높고 확장성 있는 기술 산업에서 여성창업벤처의 활성화를 위한 창업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여성창업에 영향을 주는 여성 투자자 즉, 여성 벤처캐피탈리스트, 여성 엔젤투자자를 양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샘플 수는 확보하였으나, 전체 샘플의 크기가 173개로 작다. 이와 같은 샘플 크기의 한계는 여성 창업자 및 여성 투자자의 숫자가 남성에 비해 적어 표본집단을 확보하기 어렵고 투자자 집단인 벤처캐피탈과 엔젤투자자의 성별 통계수치가 부정확하며 투자자 정보 중 공개된 성별 통계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한계점에 따른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발견한 몇 가지 연구결과를 향후 국내 창업투자생태계를 대상으로 연구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창업자의 성별 및 사회적 자본과 투자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된 사례가 비교적 적으므로, 여성 창업자의 창업지원 및 육성 측면에서 어떠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국내 창업투자생태계에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의 조절효과 검증

        오세나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급변하는 미래 사회 환경에서의 청년 실업문제 및 직업진로에 대한 불안 요소 극복을 위해서는 다양성에 대응하는 유연한 태도와 주도적인 진로 개발 역량 함양을 통한 실천적 자세가 요구된다. 특히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혁신이 요구됨에 따라 기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비단 취업에만 국한되는 요구 역량이 아니며,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창업 생태계에서 창업 지원 정책을 대하는 대학생의 수요와 창업의지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기업가정신 교육 경험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 기업가정신, 진로탄력성과 같은 개인의 내적 영향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통해 기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활성화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기업가정신과 진로탄력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를 조절변수로 하는 연구 모형을 상정하였으며, 기업가정신 및 진로탄력성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 또는 창업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으로 통제한 상태에서 해당자를 대상으로 2023년 3월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3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오류 응답의 설문 7부를 제외한 123부의 설문지에 대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진취성’과 ‘위험감수성’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진로탄력성의 ‘유연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교육은 기업가정신의 ‘혁신성’과 결합하여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조절하며,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위험감수성’과의 결합은 창업의지에 조절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교육은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 모두 창업의지에 조절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기업가정신 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의지 촉진에 부분적으로나마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과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에 그 영향이 미미하다는 결과는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확대되고 있는 창업 지원정책과 더불어 대학과 창업 보육기관 등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식의 기업가정신(창업 관련) 교육이 활성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교육 내용의 영향을 부분적으로만 받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기각된 영향요인에 대한 필요성의 반증이며, 기업가정신 교육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발전 방향성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교육의 내용과 방식 및 학습자 분석 등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후속 연구과정에서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진로탄력성의 영향요인 검증 및 다양한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youth unemployment and alleviate anxieties surrounding career choices in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a practical approach involving a flexible attitude towards diversity and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is required. Especially for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social engagement, the deman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need for innovative responses to ongoing changes. This demand for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extends beyond employment and is expected to influence the chang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expanding startup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career resili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internal factors, such as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sili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tudy aims to confirm and promote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in enhancing these factors. To achieve this,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with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sili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in March 2023 among college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or startup-related programs. A total of 130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fter excluding 7 surveys with invalid responses, empi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remaining 123 survey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of entrepreneurship significantly influenc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the innovativenes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career resilience's creativity, challenging spirit, and future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the flexibi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Third,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hen combined with the innovativeness of entrepreneurship, but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hen combined with the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Four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any dimensions of career resilience, including creativity, flexibility, challenging spirit, and future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partial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promoting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and justific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argeting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limited impact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factors that have been rejected,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impact factors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silience,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vari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related studies, including the content, methods, and learner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