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畜産自助金制度의 國際經濟法的 接近 및 發展方案 硏究 : WTO/DDA 農業補助金 중심으로

        김성 高麗大學校 法務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32446

        UR 협상이 도출한 새로운 세계무역질서를 규율하기 위하여 WTO(세계무역기구)가 1995년 1월 1일을 기하여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농업분야는 WTO 출범과 함께 본격적으로 국제경제법의 규율을 받게 된 것이다. WTO체제하에서의 시장개방은 우리농업에 커다란 경제적․사회적 충격이었다. 그러나 이후의 WTO 뉴라운드인 DDA 협상과 자유무역협정(FTA) 확산은 시장개방을 확대․가속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는 농업분야에서 정부역할을 강요하고 있으며, 한․칠레 FTA로부터 한․미 FTA, 한․EU FTA 등에 새로운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정부대책의 실행에는 예산 동반이 필수적이고, 이는 정부 보조금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WTO 농업협정에서는 무역왜곡을 촉발하는 각국의 농업보호 조치를 제재하기 위해 국내보조와 수출보조에 대해 규제하고 있으며, WTO/DDA에서는 보다 강력하게 규제 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런 환경변화에 생산자인 농가(단체포함)가 스스로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금을 공동 부담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지원하는 정책이 농산물자조금제도(Agricultural Checkoff Program)이다. 농산물자조금제도는 생산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힘을 모아 조성한 자금으로 소비촉진, 연구, 교육 등 다양한 시장개척(Marketing) 활동을 전개하여 해당 농산물에 대한 시장수요를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농가의 수익향상으로 연계하자는 목적이다. 우리나라의 농산물자조금제도(Agricultural Checkoff Program) 중 가장 발전된 부문이 축산자조금제도이며 시행 후 그 성과도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의 농산물자조금제도는 1990년에 제정된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에 그 근거규정을 둔 이래 현재까지 불과 20년의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관련 품목의 모든 농가가 의무적․강제적으로 참여하는 의무자조금제도는 2002년에 「축산물의 소비촉진 등에 관한 법률」(「축산자조금의 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로 법 제명 변경, 2006)이 제정되면서 그 근거법률을 갖게 되었고, 양돈농가들이 2004년도에 최초로 의무자조금제도를 시작하여 그 역사가 일천하다. 농산물자조금제도(Agricultural Checkoff Program) 중 축산자조금제도는 「축산자조금의 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이라는 국내법적 근거와 함께 가장 활성화되어 있다. 정책적으로도 2009년 9개 품목에 223억 원, 2010년에는 262억 원을 예산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지원규모도 증가하고 있어 그 중요성을 반증하고 있다. 그러나 축산자조사업에 대한 정부지원은 농업협정의 감축대상 보조로 볼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른 논란의 소지도 존재하고 있다. 또한 DDA협상에 제출된 협상안을 보면 보조금에 대한 크게 제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의 지원은 더욱더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축산자조금제를 WTO/DDA 규율에 합치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 볼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즉, WTO/DDA체제하에서의 보조금 분쟁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인 운영방안이 무엇인지 모색해 보는 것이다. WTO/DDA 규율 합치를 위해 정부지원을 생산과 연계되는 점을 차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WTO에 제소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도 고려해 봤다. 즉 당초 WTO 출범시 농업보조금에 대해 SCM협정 적용을 면제하였으나 일정 시일이 지남에 따라 면제조항이 법적 효력을 상실한 점을 WTO 이해당사국들과 협의하여 부활시키는 방안을 생각해 본 것이다. 자조금을 운영하는 미국, 유럽, 호주와 뉴질랜드 등과 연계하여 DDA에서 축산자조사업을 허용보조로 전환토록 협상을 이끄는 방법도 고려해 보았다. 또한 가장 효과적인 대책으로 개도국 지위 유지를 생각해 보았다. 또한 국내의 정책적 관점으로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았는데 우선 당초의 자조금의 특성과 목적을 고려해 축산농가가 전적으로 자조금을 부담․운영하는 방안을 생각해 봤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정부 보조금의 용도를 특정분야에 한정하여 사용해 보조금 분쟁 소지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았다.

      • WTO/DDA하의 수산보조금 규제 및 철폐에 관한 연구

        이덕성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32399

        Ⅰ. Background of Study The world is facing a global fisheries crisis. The need for effective WTO disciplines on fishing subsidies arises in the context of the dangerous predicament now confronting the world's wild-capture fisheries and the communities that depend on them for their livelihoods. Harmful fishing subsidies are a real part of the problem. The widespread and severe overcapacity of the fishing Industry is in many cases directly supported by huge government payments made to fishing interests. These subsidies often allow fleets to operate where it would otherwise be unprofitable to do so, and can lead directly to overfishing and other unsustainable fishing practices. Disciplining subsidies must be part of the solution.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primary energies of fisheries conservationists and policy-makers should remain directed toward improving fisheries management regimes, and it is with good reason that WWF itself dedicates far more of its resources to issues of fisheries management than to its initiative to reduce and reform harmful fishing subsidies. Nevertheless, the massive and usually inappropriate subsidies provided by some governments today are a specific and significant problem that requires a dedicated response. Correcting the distortions caused by these subsidies would be an important complement. and in some cases perhaps a prerequisite, to improved fisheries management. As discussed in the WTO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this endeavor. The Doha Declaration calls for WTO disciplines that are specific to fishing subsidies and oriented toward win-win-win results. On November 14, 2001, trade ministers meeting at the Fourth Ministerial Conference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in Doha, Qatar, agreed to include fishing subsidies on the list of issues to be addressed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round of global trade talks. Specifically, the "Doha Declaration" commits WTO members to "clarify and improve" WTO disciplines on fishing subsidies. The mandate calls for specific treatment of fishing subsidies. Although the Doha mandate does not dictate the form that improved disciplines on fishing subsidies should take, it clearly requires specific and explicit attention to fishing subsidies within the WTO rule system. Ⅱ. Defining "fishing subsidies" New WTO fishing subsidies disciplines must be sufficiently comprehensive to cover all significant fishing subsidy programs. This means, among other things, that (a) the definition of "fishing subsidies" should include all subsidies that confer a commercial benefit on individuals or enterprises engaged in fishing, even if the subsidy is not granted directly to them including all governmental financial contributions to or on behalf of fishing interests, including, e.g., government-to-government payments for access to EEZ fisheries, (b) new disciplines must avoid inappropriate distinctions or exclusions, such as more relaxed disciplines for "domestic" fisheries than for "high seas" fisheries; (c) public "fisheries management services" should not be considered "subsidies" for the purposes of new WTO disciplines; (d) the "fishing industry" should include all "wild capture" fisheries; and (e) subsidies to ports, processors, transporters, marketers, or other actors should be considered "fishing subsidies" if they benefit fishing enterprises in accordance with existing SCM jurisprudence for "pass through" subsidies. Ⅲ. SCM Agreement(Traffic Rights Approach) 1. A red light to prohibit the most harmful fishing subsidies. Subject to certain exceptions enumerated below, and to provisions for the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following fishing subsidies should be explicitly prohibited by new WTO "red light" provisions: Subsidies that, by nature of their design, are likely to contribute to increasing or maintaining fishing capacity or effort, such as subsidies for ① fishing vessel construction or repair ② vessel modernization or gear aequisition/improvement ③ maintaining employment in the fishing sector ④ transfer of capacity to foreign or high seas fisheries, including through joint ventures ⑤ access to foreign fisheries ⑥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ishery technology ⑦ subsidies contingent on fishing ⑧ fuel subsidies ⑨ bait or ice provided in kind ⑩ subsidies to marine insurance ⑪ subsidies to other operating costs ⑫ promises to reimburse vessel owners for fines or impoundments imposed by foreign authorities. 2. A green light to allow environmentally positive fishing subsidies. Subject to certain conditions enumerated below, the following classes of fishing subsidies should be protected from challenge under most current or future WTO subsidy rules; ① subsidies to research activities (including data collection) aimed at improving the management of fishery and other marine resources, or at the development of fishing gear or techniques to protect and preserve marine resources and ecosystems; ② subsidies to the adoption of environmentally preferable fishing gear, techniques, or practices (including, for example, in conjun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marine protected areas or no-take zones), especially where transaction costs discourage their adoption or where such techniques are more expensive than less "clean" alternatives: ③ subsidies to assist fishers in the adoption of fishing gear or techniques necessary to meet safety or sanitary standards; and ④ subsidies that are designed to and in fact do lead to the reduction of fishing capacity in overcapacity fisheries. 3. An amber light to discipline all remaining fishing subsidies. The foregoing red and green lights cover most significant classes of fishing subsidies. For the remainder, new "amber light" disciplines are necessary. Specifically, new amber light provisions should require the withdrawal of any subsidy deemed to have "adverse effects" and should cover ① any "emergency relief" subsidies exempted from the new red light prohibitions and ② 311 other fishing subsidies not otherwise covered by the new red or green lights.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adverse effects" In order for new" amber light" provisions to be effective in disciplining harmful fishing subsidies, current SCM definitions of harm must be clarified to cover economic distortions at the fisheries production level. Technically, this should be accomplished by (ⅰ) clarifying the SCM' definition of "serious prejudice" to include ① changes in relative catch shares; ② decreases in landing prices; or ③ Increases in fishing capacity or effort, as measured by certain economic indicators; (ⅱ) clarifying the SCM's definition of "injury to a domestic industry" to allow consideration of catch share, production costs (including yield per unit effort), and fleet or enterprise revenue in lieu of direct evidence of changes in import volume or import prices, and (ⅲ) creating a rebuttable presumption of "nullification or impairment" in any case where a subsidy is granted to an enterprise or fleet engaged in the production or sale of a product subject to an existing GATT tariff binding. Ⅳ. Conclusion Clarifying and Improving Fishing Subsidies Disciplines offers a detailed discussion of specific proposals for new WTO fishing subsidies rules. At the heart of these are proposals that build on the "traffic light" approach of the current SCM. Thus, the provisions include a "red light" prohibition on the most harmful fishing subsidies, a "green light" to protect fishing subsidies that contribute to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n "amber light" to discipline those subsidies that fall between the harmful and beneficial extremes. Following the discussion of these basic disciplines, Part Ⅴ explores ideas for: improving the monitoring, reporting, and transparency of fishing subsidies; accommodating the interests of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and establishing institutional mechanisms to ensure the effective and 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the new fishing subsidies rules. This last sec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since the willingness of governments to adopt innovative institutional mechanisms has a direct bearing on the location of the "thin green line."

      • WTO/DDA農業協商進展과 中國의 中期 쌀産業 政策에 관한 연구

        왕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2399

        Chinese agriculture was largely changed undergoing the Deng xiao ping's innovative policies in 1978, but still remained relatively imbalance between rural and urban development. Therefore, China is approaching the solution through the 11th 5year-plan, new rural construction. Since rice industry holds the highest status in the Chinese agricultural industry, growth of rice industry is an index of further development in agricultural industry.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hinese rice industry's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impact of WTO/DDA agriculture agreement on Chinese agricultural industry, in the view of globalization. In order to become more competitive and increase exportation in the global market, Chinese should plan a "long-lasting agricultural management", which is, not only consider agriculture as a internal rice production and domestic supplement, but also as an important industry having social and environmental function. On this study I have searched for a solution to rice-industry's mid-term measures. Hereafter I suggest that the Chinese long-term measures should be planed to study about outer-factor like environmental and plural function of rice.

      • WTO 체제의 개발도상국 특별대우 규정 연구

        김봉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383

        본 논문은 개발의 유용한 수단으로서 무역의 역할과 개발에 기여할 WTO의 임무를 인식하며, 다자무역체제로 개도국들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고안된 개도국 특별대우(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for developing countries)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국제법상 차등대우(differential treatment)에 해당하는 개도국 특별대우를 주목하는 이유는 차등대우를 통하여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결과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즉, 동일하지 않은 것을 동일하게 대우하는 것은 오히려 불평등을 조장하게 된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개도국 특별대우는 실질적 평등의 달성을 위해 필요하다. 문제는 DDA 협상에서 개도국 특별대우에 대한 맹목적인 요구가 이어지고 있고, 개도국 특별대우의 성격과 적절한 유형에 대해 선진국과 개도국 간 대립이 지속됨에 따라 협상의 교착상태가 장기화되는 요인들 중 하나로 작용한다는데 있다. 국제법상 차등대우에 해당하는 개도국 특별대우가 실질적 평등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동시에 WTO는 회원국간 권리와 의무의 균형이 중요한 국제기구로서, 무역 협상은 WTO 규범에 반영되어 있는 미세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신규 규범을 도출해 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개도국 특별대우 규정의 효용성을 제고하는 한편, 회원국간 합의 도출을 위한 방안을 고민함으로써 DDA 협상의 교착상태를 타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본다.

      • Understanding of "Zeroing" in anti-dumping procedures and Korea's negotiation strategy

        김보연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0 국내석사

        RANK : 231996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legal issues of “zeroing” and analyze its practical applications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 strategy in Doha Development Agenda (DDA) and Free Trade Agreement (FTA) negotiations.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refereed to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members’ proposals submitted to DDA negotiation Group on Rules and its FTA agreements Korea negotiated so far. It suggests some guidelines for reform of current rules in the context of calculation of dumping margin and implies Korea’s negotiation strategies. Main conclusion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erm of zeroing and participate in WTO disputes involving zeroing as the third country in order to avoid losing a suit with respect to prohibiting the use of zeroing. Second, it is crucial to announce the problem of the practice of zeroing in investigation and reviews and find more supporters to revise the provisions of Anti-Dumping Agreements (ADA) under WTO agreements concerning the practice of zeroing. More proposals concerning the prohibition of zeroing in the calculation of dumping margins in all AD proceedings should be submitted by more allied countries so that they support influences on amendment of the provisions. Third, in order to put texts relating to prohibition on zeroing of dumping margin into Korea’s FTA Agreements, this thesis identifies whether previous Korea’s FTA agreements have the texts which clarify the principle of calculation of dumping margin and suggests Korean government to find out their future negotiating partners whether they are concerned with zeroing issue or not. It is imperative to prevent other countries from adding more dumping margins.

      • FTA의 경제적 효과와 한국의 노동시장

        김민주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1963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will have an overall positive effect upon the labor market in Korea. Furthermore, the effect will be more significant over the long term rather than over the short term. As part of the effects in this process, an industrial restructuring is likely to occur both in a short and long term and cause the risk of unemployment in the industries concerned. Moreover, the labor market would be out-of-balance due to the inefficient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in the labor market until it starts its own correction. The potential pressure of the restructuring in this process would inflict damages to workers, industries and job markets. Although, outcomes of the FTA will result in an overall positive impact, workers must be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to be proficient in all areas. Workers must be careful in certain industries and job sectors with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manpower in order to avoid any inefficiency of excessive demand for manpower. In the light of these phenomena, it is crucial to provide comprehensive employment services, including re-education and re-training programs for those who are confronted with the risk of unemployment.As to the crucial policy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ursuit of FTA negotiations are: 1)the nature of negotiations, 2)reactions of the internal local groups, 3)political issues of negotiations, and political leadership. However, the single most significant reality would be how those enterprises or their workers who are faced with the crisis of dismissal or already laid off could be relieved.Negotiation of the FTA will bring many complications among those interested in Korea. In particular, an analysis of the impacts on the settlement of FTA matter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labor market indicates that a reduction is expected to rise in the production bases of farm products, vegetables, and other products. Therefore, the loss from those engaged in this field is anticipated to be severe. Furthermore, the most severe impact is anticipated for workers with low education, workers engaged in agricultural sector and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mid-level workers with technical licenses. Accordingly, it requires workable solutions to support them with comprehensive employment services.The most adversely effected industries and jobs as a result of FTA must be the top priority.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compensate income and facilitate new jobs.Any potential fields in which continued restructuring may occur should be accompanied by developing new systems so that merger and acquisition can be facilitated in order to prepare them to better compete in this changing work environment.Compensation or relief measures against the effects of FTA upon the labor market cannot be individually executed by the concerned industries. However, as the damage increases in the short and mid-term basis, especially in those workers of certain industries, it is expected this study would resolve the problems of coping with the measures by suggesting the placement support services for new jobs and re-education or re-training programs. FTA 체결이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에 미칠 효과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며, 단기보다는 중기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클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지만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에서 산업별로 단기와 중기에 걸쳐 산업구조조정이 발생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해당 산업에 집중되어 있는 학력 직종 기술수준별 근로자들에게는 실직의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새로운 균형상태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노동시장에서는 비효율적인 인력수급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총량적으로 볼 때 FTA의 체결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게 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조정의압력 때문에 피해를 보게 되는 근로자 집단이 존재하며, 또한 인력수요 증가가 나타나는 산업이나 직종에서도 그 산업이나 직종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이 갖추어져야만 필요 인력의 초과수요라는 비효율성을 피할 수 있으므로 실직의 위기로 몰리게 되는 피해 집단에 대한 재교육 및 훈련과 전직지원 서비스를 포함한 포괄적인 고용서비스의 제공이 매우 중요하다.FTA 협상을 추진하는 데 고려해야 할 국내의 정책적 여건으로는 협상 사안의 성격, 내부 집단의 반응, 협상 사안의 정치 쟁점화 및 정치적 리더십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FTA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시장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하거나 퇴출되는 근로자 및 기업들을 과연 어떤 식으로 구제할 수 있는가의 문제다.한국에서도 FTA의 체결은 많은 이해집단간의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동북아 시대의 중요성을 감안한 앞으로의 한․중․일 FTA의 체결이 노동시장에 가져오는 영향을 분석해 보면, 생산물 측면에서는 작물 채소 및 기타 업종의 생산기반 위축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 부문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반발이 심하게 나타날 것이다. 또한 학력별로는 저학력 근로자, 직종별로는 농업관련종사자와 과학관련 기술종사자, 기술수준별로는 기사자격을 전후한 중간 단계 수준의 근로자들의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포괄적인 고용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따라서 이 분석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따르면, 무역자유화에 의해 피해를 입는 대상을 구분하는 데 있어 인력수요의 감소가 나타나는 관련산업과 직종을 우선적인 범위에 포함시키고, 중기보다 단기에 나타나는 피해가 크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이들의 소득을 보전해 주고 전직을 추진할 수 있는 제도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구조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분야는 해당 사업체들의 전업 및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인수합병을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하는 한편, 피해 가능성이 있는 근로자들에게는 현재 일하고 있는 산업, 직종, 학력수준, 기술수준 등을 고려한 전직지원서비스와 교육 및 훈련서비스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물론 FTA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상이나 구제대책은 산업별, 직종별, 학력별, 기술수준별로 각각 개별적으로 만들어질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을 고안하는 데 있어서는 중기보다는 단기의 피해에 대응하는 방향에 우선적인 고려가 요구된다. 그리고 특정 산업에서의 근로자들이 피해가 크기 때문에 그 산업에 대한 대응방안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 직종별 분석에서 어떤 종류의 전직지원 서비스가 필요할 것인지, 기술수준별 분석으로부터 어떤 수준의 재교육 및 훈련이 이러한 정책을 잘 보완할 수 있을 것인지 등에 대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 제로잉 관행의 WTO 반덤핑협정 합치성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제로잉 관행을 중심으로

        조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9581

        덤핑이란 수입국에 판매될 때의 상품가격이 수출국의 시장에서 판매되는 동종상품의 가격보다 낮은 경우에 발생하는 국제 가격차별 상황을 의미한다. 이러한 덤핑은 역사적으로 국가들의 상품시장 간 가격차별의 대상으로서 논의되어 왔으며 20세기에 들어와 불공정한 국제무역행위로서 비난받아야 하는 관행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었다. 그 결과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 이하 'GATT') 1994 제6조 및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 : 이하 'WTO') 반덤핑협정(Agreement on Implementation of Article Ⅵ of the General Agreement)을 신설하게 되었고 관련 규정들은 다수의 국가들의 무역구제조치로써 기능하게 되었다. 불공정한 덤핑의 규제를 위해 반덤핑 조치를 부과할 경우 덤핑마진을 산정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제로잉(zeroing)이다. 제로잉이란 정상가격보다 수출가격이 높은 경우의 덤핑마진을 󰡐0󰡑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이를 사용할 경우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덤핑마진이 부풀려지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산정방식에 대하여 관련 협정에의 위반성을 주장하며 동 관행을 폐지하자는 의견이 다수의 국가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점과 논의에도 불구하고 GATT 1994와 WTO 반덤핑협정에서는 명시적인 제로잉 관련 규정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이의 허용이나 금지여부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지 않고 있어 결국 제로잉의 허용을 주장하는 측과 금지를 주장하는 측 모두 같은 규정을 두고 해석의 차이를 보여 왔다. 이와 같은 제로잉 관행의 WTO 반덤핑협정의 합치성 여부를 두고 WTO 회원국들의 입장은 제로잉 관행에 전면적으로 반대하는 반덤핑 프렌즈 그룹 국가들과 이에 반대하여 동 관행에 찬성하는 미국의 태도로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도하개발아젠다(Doha Development Agenda : 이하 'DDA') 규범협상의 반덤핑 분야에서 동 쟁점은 가장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이지만 회원국들 간에 단순히 덤핑마진의 산정방식의 여부에 대한 견해 대립 뿐만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덤핑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인해 협상 타결을 위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어 그에 대한 각국의 대응방안과 해결책의 모색이 요구된다. 실제로 그 동안 반덤핑 위원회에서의 논의현황과 각국의 제안서를 토대로 2007년 11월 의장이 배포한 '반덤핑협정과 보조금협정에 대한 의장초안'(Draft Consolidated Chair Texts of the AD and SCM Agreements)의 경우 초안의 내용 중 제로잉과 관련된 조문에 있어 상당부분 미국의 입장을 그대로 수용한 결과 반덤핑 프렌즈 그룹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들의 반발을 가져왔다. 따라서 결국 2008년 12월에 다시 배포된 '반덤핑협정과 보조금협정에 대한 의장초안 수정안'(New Draft Consolidated Chair Texts of the AD and SCM Agreements) 에서는 기존 초안의 내용을 대폭 수정하여 현행 반덤핑협정 수준으로의 복귀가 이루어졌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협상이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여전히 각 국가 간의 이해관계를 좁히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GATT 시절부터 제로잉에 관한 논의가 있어왔지만 본격적인 논의가 촉발된 사건은 EC-Bed Linen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중평균 대 가중평균 비교방식에서 제로잉 관행의 위법성이 밝혀지게 된 의의가 있으나 여타 비교방식 하에서 제로잉 관행의 WTO 협정 합치성 여부 및 원심 이외에 재심에서 제로잉 사용의 합법성 여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가 존재하였다. 동 사건 이후 EC는 제로잉 관행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 현재 WTO 회원국 중 유일하게 반덤핑판정을 위한 덤핑마진 산정 시 제로잉 관행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다수의 국가들로부터 제소되었고 그 결과 WTO 분쟁해결기구에 제로잉과 관련하여 제소된 사건들은 대부분이 미국의 관행에 대한 협정 위반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은 EC와 일본과의 제로잉 분쟁을 거치면서 최종판정에서 동 관행의 협정 위반성을 폭넓게 확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심조사단계에서의 모델 제로잉 이외의 여타 방식에 의한 제로잉의 경우를 폐지하고 있지 않아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US-Zeroing(EC), US-Softwood LumberⅤ (Article 21.5-Canada), US-Zeroing(Japan), US-Stainless Steel (Mexico) 등 일련의 사건들에서 유사한 사안의 분쟁임에도 불구하고 패널과 상소기구의 견해가 반복적으로 상반되게 도출되어 논란이 되었다. 그 동안의 패널과 상소기구의 판정을 통해 제로잉 관행의 WTO 반덤핑협정 위반성이 폭넓게 인정되어왔으며 현재 가장 논란이 되었던 재심 단계에서 가중평균 대 거래 비교방식하의 단순 제로잉 관행의 경우 2009년 EC의 제소사건에서 패널이 상소기구의 견해를 받아들임으로써 그 위법성을 패널과 상소기구 모두에서 확인한 바 있으나 이로써 제로잉과 관련된 모든 쟁점에 관한 논란이 완전히 종식된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제로잉 관행에 반대하는 국가들은 여타 국가들과의 공조를 통해 제로잉 관행에 대한 미국의 태도를 철회시키는데 힘써야 할 것이며 현행 제로잉 관련 논란의 시발점이 협정 상 제로잉 금지에 관한 명시적 규정의 부재임을 인식하고 규정의 명확화와 현행 조문의 개정작업이 신속하게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제로잉 관행의 위법성을 주장하면서 현재 진행 중인 DDA 규범협상의 결과에 대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제로잉 관련 주장을 반박할 수 있도록 철저한 분석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WTO法에서의 實質的 公正性 確保方案에 관한 硏究

        김나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박사

        RANK : 134079

        International trades have important roles in economic growth, alleviating poverty, and enhancing development. Here, WTO, by establishing fair trade systems, need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increase of actual income, and rise of social welfare levels through free trades. It is, however, a difficult issue to deal with to draw coordination between countries of various interests and to balance the interests among them. As for the fact, ‘fairness’ is one of the key issues rising from the disputes in establishing WTO law, among countries not economically equivalent but following the ‘one size fit all’ philosophy. The issue of fairness also rises from the added burdens from implementing substantive duties of the agreements, and, also, from the impasses of current DDA negotiations. The goals of law order under WTO are to pursue ‘substantial fairness’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economic developmental stage of each country, while also pursuing formal fairness by recognizing the substantial duties and conditions of competitions based on nondiscriminatory principles. The principle of fairness need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WTO’s goal of pursuing trade liberalization that can help protect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not simply centered on complete economic efficiency. In the present work, analyses of establishing ‘S&D treatment’ and the need for securing it to enhance ‘substantial fairness’ are given, pursuing sustainable developmental goal in accordance with the WTO laws and orders. Especially, as a specific example, based on the analyses of negotiation proposals on environmental goods in DDA, a ‘fair development mechanism’ is proposed as a legal policy to secure ‘substantial fairness.’ For the WTO to grow into a place of co-existence where countries can coordinate, it is required to prepare for a standard of judgments to secure fairness in legally interpreting regulations while gathering and reflecting opinions of various countries. Especially at the current standpoint where the issue of climate change is getting more important, co-operations between countries need to be established to reflect international interests in environmental issues and to respect the general valu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is respec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more strict conditions regarding the fair treatment ‘among countries of different economic development stages’. Especially, discussions on ‘S&D treatment’ under WTO law, based on substantial fairness, posses values as an important theory and a measures to boost particip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the level of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D treatment’ still stays on a low level. In legal interpretation of WTO agreements, the reconsideration of ‘substantial fairness’ and appropriate responses in technical and financial supports to securely implement the ‘S&D treatment’ can mitigate conflict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may lead to sound competition toward trade liberalization. The present work aims at proposing directions of fair development mechanism to substantially supplement legal effects of ‘S&D treatment’ as a means to enhancing fairness, based on analyses of WTO agreements focusing on substantial fairness. The author believes that conflicts among countries regarding the application and legal effect of substantive regulations related to ‘S&D treatment’ can be presented as legal tasks to provide a standard of judgment that can be utilized as a standards in interpreting and theoretically approaching the fairness principle under WTO law.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D treatment’ based on substantial fairness can be secured by respecting developing countries’ needs in applying existing regulations and also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supplementing the institution to secure ‘S&D treatment’ implementations. This kind of approach can be stated as having been materialized based on the theory of substantial fairness. If the foundation of substantive rights and duties based on WTO law and the legal approach based on substantial fairness are respected, developing countries’ legitimate expectations can be respected from the viewpoint of fairness, thus the substantial fairness can be realized. As a conclusion, fairness principle to materialize the trade liberalization under WTO law is required to secure legitimacy of regulations, the relations between the formal fairness and the substantial fairness, the former stressed by the developed countries while the latter by the developing ones, can be approached in a mutually complementary manner to materialize the fairness principle. The efforts and cooperation to form conditions for fair competition will mitigate conflicts among countries, and, will, further, be a foundation to establish fairness under WTO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