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골프선수들의 심리적 방해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김보연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sources of psychologic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experienced and used by golfers. For this purpose, I questioned high school golf athlete and pro golf membership who activity Chon-buk in 2001. The sample data was selected through multipl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was 60.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4 personal data questions and 23 psychological stresses and coping strategies questions. This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reported high significance level. The statistics employed by this study were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that were derived from these processe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according to population-statistic character in psychological stress of golfers. 2.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according to population-statistic character in coping strategies of golfers. 3. There was a concern in psychologic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golfers.

      •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학습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보연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하여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지각된 유용성·용이성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부터 실시간 원격수업 수강 경험이 있는 일반대학 재학생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33명의 응답을 모두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SPSS 27.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학습전략 및 학습지속의향 검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검사지를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학습전략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용이성은 학습지속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전략 하위요인 중 조절효과를 나타낸 요인은 학문적사고와 상호작용이었으며, 단순인지전략, 복합인지전략, 시간 및 노력관리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실시간 원격수업의 학습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시간 원격수업이 유용하다고 느끼도록 해야 할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학습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급격하게 늘어난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전반에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실시간 원격수업 활성화를 위해 학습전략을 강조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응답자들이 각각 다른 실시간 원격수업을 수강하였으나 이러한 수업 유형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실시간 원격수업 유형별 표본수를 충분히 확보하여 실시간 원격수업 유형별 학습지속의향 차이 분석 등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uses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investigat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persistence learning in universities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ease of use and learning persiste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33 students from universities who had experience in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0 to the first semester of 2022. All 233 responses were used as analysis target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persistence tes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modified and adap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 test paper used in the previou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learning persiste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ing persist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ease of us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strategy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learning strategy, the factors that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were academic thinking and contact with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persistence learning of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use learning strategies in the learning process as well as to make them feel usefu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on persistence learning in the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of universities and the need to emphasize learning strategies to revitalize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respondents took different class, but failed to consider these class type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such as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sistence learning by type of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by securing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by type of real-time remote class.

      • 새우의 대망행동에 관한 연구

        김보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우만을 선택적으로 어획할 수 있는 어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현제 사용하고 있는 조망어구를 1/8로 축소 제작한 모형어구와 여기에 땅후릿줄을 부착한 모형어구를 5.0L × 1.0W × 0.8H(m)의 크기의 예인수조에서 0.2m/sec로 예인할 때 조우하는 민새우와 마루자주새우의 반응행동 특성과 끝자루 모형어구 내에서의 행동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민새우와 마루자주새우가 예인수조 내에서 끌려가는 모형어구와 조우한 마리 수는 각각 96, 216마리로 48, 72%를 차지하였으며, 민새우보다 마루자주새우가 24%나 높았다. 2. 모형어구와 조우한 민새우와 마루자주새우가 모형어구에 반응한 마리 수는 각각 73, 186마리로 76, 86%를 차지하였으며, 민새우보다 마루자주새우가 10% 높았다. 3. 민새우와 마루자주새우가 땅후릿줄이 부착된 모형어구와 조우한 마리 수는 각각 118, 231마리로 59, 77%를 차지하였으며, 땅후릿줄이 없는 경우보다 각각 11, 6%로 높았다. 4. 민새우와 마루자주새우가 땅후릿줄이 부착된 모형어구에 반응한 마리 수는 각각 95, 207마리로 80, 90%를 차지하였으며, 땅후릿줄이 없는 경우보다 각각 4, 14% 높았다. 5. 끝자루 모형어구 내에서의 새우의 행동은 밑면과 옆면의 아래쪽에서 정지된 상태로 있거나 아주 조금씩 이동하는 경우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with the fundamental data which develops the selective fishing gear. Two types of the model nets were prepared based on the Tauti's Similarity Law of Fishing Gear in 1/8 scale considering the dimension of the experimental tank. One of two model net was constructed without tickler chain and the other with tickler chain front ground rope. The experimental tank was made the dimension were 5.0L × 1.0W × 0.8H(m). The model net towed the speed of 0.2m/sec in the tank. The study analyzed the behavior pattern of the shrimp responded to the model net as well as the behavior pattern of the shrimp in the cod end model net.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umber of Parapenaeopsis tenellus and Palaemon gravieri encountered the model-net is towing in the towing-tank were 96(48%), 216(72%), respectively. 2. Number of the Parapenaeopsis tenellus and Palaemon gravieri responded to the model-net is towing in the towing-tank were 73(76%), 186(86%), respectively. 3. Number of Parapenaeopsis tenellus and Palaemon gravieri encountered the model-net with tickler chain is towing in the towing-tank were 118(59%), 231(77%), respectively. 4. Number of the Parapenaeopsis tenellus and Palaemon gravieri responded to the model-net with tickler chain is towing in the towing-tank were 95(80%), 207(90%), respectively. 5. The behaviour pattern of the shrimp in the cod-end model net was a standstill at the base of net's side and bottom or a movement by little and little.

      • 연소시퀀스에 따른 다단연소사이클 액체로켓엔진의 시동특성 분석

        김보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성능, 고추력, 고효율 재사용이 가능한 차세대 발사체로서 다단연소사이클 액체로켓엔진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단연소사이클 엔진의 시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단연소사이클 엔진용 시동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시험엔진 연소시험데이터를 활용하여 엔진용 시동해석 프로그램 사용가능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새롭게 개발하는 추력개량엔진의 시동특성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시퀀스에서 추력개량엔진의 시동특성 변화와 동특성 경향을 분석하였다. 초기시동구간은 급격한 물리적변화가 일어나므로 안전상의 이유로 연소시험으로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때문에 시험 조건이나 시동 시퀀스에 대한 해석적 분석의 선행될 필요가 있다. 로켓엔진의 시동 시퀀스는 안정적으로 점화하면서 시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최대한 빠르게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만들어 추력과 관계없는 추진제의 소모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MFV(메인연료밸브)가 열리는 시점은 고정시킨 채, GOV(산화제밸브) 개방시간, GFV (예연소기 연료밸브) 개방시간, 시동터빈 종료시점, THCV 개도를 조절하여 연소시퀀스와 시동특성 관계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ged combustion cycle liquid rocket engine as a next-generation launcher that can reuse high performance, high power, and high efficiency. In this study, a start analysis program for a staged combustion cycle engine was developed to understand the start-up characteristics of a staged combustion cycle engine, and the availability of a start-up analysis program for the engine was determined using test engine combustion test data. In addition, the start-up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veloped thrust improvement engine were analyzed. In addition, changes in starting characteristics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rust improvement engines were analyzed in various sequences. Since the initial starting section undergoes a rapid physical change,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it with a combustion test for safety reasons. Therefore, analytical analysis of test conditions or starting sequences needs to be preceded.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amount of propellant consumption unrelated to thrust by reducing the starting time of the rocket engine while stably igniting it and making it reach its normal state as soon as possible. The tenden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bustion sequence and the start-up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adjusting the opening time of the GFV, the opening time of the GOV, the closing time of the starting turbine, and the opening rate of the THCV.

      • 반려견의 Omega-3 섭취에 대한 견주들의 의식 및 실태조사

        김보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반려견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가족의 빈자리를 가족과 가족의 구성이 아니라 지금은 반려견이 채워나가고 있다. 그만큼 변화하는 가족 구성원에 반려견이 우리들 삶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반려견과 정서적 교감을 하면서 사람과 점점 더 가까워지고, 가까워지는 만큼 반려견의 건강 또한 반려견을 키우는 견주에게는 깊은 관심사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려견을 키우는 견주에게 Omega-3 섭취에 대한 의식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반려견의 주된 질병은 피부병, 심혈관계 질병, 비만 등을 예로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질병들로 인하여 견주들은 반려견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찾게 되었다. 지금 사람 또한 Omega-3 영양성분을 권장하는 추세이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반려견을 키우는 견주들에게 Omega-3에 대한 의식 및 실태조사를 100명에게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조사는 반려견을 키우는 반려견미용학원 학원생 및 애완동물과 전공 학생, 동물병원과 펫샵, 훈련소에 근무하는 직원과 일반 반려견을 키우는 견주분에 대해 조사하고, 2012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설문에 응한 응답자의 성향은 여성이 83%로 차지하였고, 미혼이 78%로 나타났다. 반려견의 관리는 동물병원과 인터넷을 통해 전문 지식을 습득하며 반려견 문화이식 수준은 발전을 하고 있으나 큰 변화는 못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mega-3는 동물병원, TV, 인터넷, 친구 등을 통하여 접하면서 Omega-3의 효과에 대해 알고 있었고, 반려견에게 Omega-3를 먹인 적이 없는 견주도 반려견의 건강을 위해서는 Omega-3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 된다면 먹여볼 의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반려견에게 Omega-3를 먹여본 견주는 반려견의 식품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영양제 선택 시 선호하는 타입이 있었고, 설명서에 적힌 성분표시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Omega-3가 동물성인지 식물성인지 여부에 따라 육식동물인 반려견에게 우수한 성분의 Omega-3를 효율적으로 섭취 이용되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견주들이 Omega-3가 포함된 식품을 반려견에게 먹일 때, 정확한 전문 정보를 접하게 된다면 반려견이 Omega-3를 섭취하는 경우도 늘어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부디 이 결과들이 많은 견주들의 사랑하는 반려견의 건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가족갈등이 청소년의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에 의해 조절된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

        김보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족갈등이 청소년의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에 의해 조절된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족갈등과 가족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응집력은 의사소통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74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도구로 가족갈등 척도(FES-K), 가족만족도 척도(FSS), 가족응집력 척도(FES-K), 의사소통 척도(FCS)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SPSS Macro를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변인간의 관계분석을 하고, Amos 22.0을 이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Hayes(2013)의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hrout와 Bolger(2002)가 제안한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실시하여 조절된 매개효과의 효과와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갈등은 청소년의 가족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족갈등은 가족응집력을 매개하여 가족만족도에 부적영향을 미쳐 가족만족도를 떨어뜨린다. 셋째,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 사이에서 의사소통은 조절효과를 지닌다. 넷째, 가족갈등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을 통해 가족응집력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지닌다. 본 연구는 가족갈등과 가족만족도에 대한 매개효과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에 그치지 않고, 가족응집력의 매개변인이 포함된 경로에서 의사소통에 의해 조절된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라는 종합적인 모형 내에서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족갈등이 높아 가족응집력을 매개로 가족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때,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를 높여, 청소년의 가족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 무의식 속에 나타난 불안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보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불안’은 현대에 가장 중요시 되는 정신건강의 핵심으로, 각 계에서의 연구대상이 되고 있는 주제이다. 외적, 물적으로 다양한 변화와 함께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풍요로워지고 있는 반면 정신적인 소외와 피폐로 인한 부정적인 현상들이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인간의 정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했다. 인간의 외로움과 소외현상 안에는 ‘불안’이 존재하고 있고, 이러한 불안은 정신분석 학자인 지그문트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이론을 중심으로 하며 그 근원을 무의식에서 찾는다. 본 논문은 프로이드가 제창한 무의식을 시작으로 해 본인의 그림을 분석한다. 의식은 거대한 빙상의 뿌리와 같은 무의식의 일부이며 인간의 불안은 이러한 무의식을 기반으로 감정이 발현 된다. 현대인들은 정신 건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무의식에 집중을 해야 하며 특히 불안의 발현에 대해서 무의식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무의식은 과거의 기억을 담는 곳이기도 하고 사람이 인식하기 매우 어려운 깊은 곳에 잠재되어 있으며 스스로가 자각하기 어려워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 모습을 드러낼 때가 많다. 이러한 특성으로 불안의 감정의 뿌리는 다양한 시각으로 의논이 되고 있으며 의학계 뿐 아니라 현대 미술에서도 인간의 내면적, 무의식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의식을 미술로 끌어온 초현실주의의 그림이 시작되면서 병적인 정신을 시각화 할 수 있게 된다. 본인은 ‘무의식 속에 나타난 불안감의 심리에 관한 연구’ 라는 주제로 ‘불안’이라는 심리를 가진 주체를 어떻게 표현했는지 설명하려 한다. 프로이드에서부터 시작해 경험적 불안을 거쳐 시각적 발현까지의 과정을 정리한다. 불안을 표현한 초현실주의 작가의 작품을 통해 초현실주의의 심리표현에 대해 연구하고 본인이 구현한 시각적 불안과 무의식의 모습을 통해 불안한 인간의 모습을 재조명해 본다. 결국 본 연구는 프로이드의 불안에 초점을 두고, 본인의 무의식과 경험적 불안을 분석함으로서 본인 회화의 내용적, 심리적 측면이 작품 제작에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고찰한다. 이를 통해 인간 내면의 무의식과 작업 간의 연결성과 의미를 찾아 앞으로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Human anxiety is the core of mental health acquiring the greatest importance today, and it is the theme of the object of study in all walks of life. Human society became prosperous together with a technical development as well as diverse changes in the external and material aspect, whereas negative phenomena came to the surface owing to mental alienation and impoverishment, and nowadays the concern to human spirit began to be focused. ‘Anxiety’ exists inside human loneliness and alienation phenomenon, and the study of this anxiety was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a psychoanalyst Sigmund Freud (1856~1939), and its source is based on subconscious. This thesis starts from subconscious which Freud advocated and analyzes my picture. Consciousness is the part of subconscious like the root of huge ice and human anxiety reveals the emotion based on this subconscious. In order to study mental health, modern people have to focus on subconscious, and especially the study of subconscious is essential in the revelation of anxiety. Unconsciousness is the place to contain the memory of the past and is latent in the deep place which is very difficult for man to recognize, and it is difficult for man to be aware of subconscious for himself, and subconscious reveals its shape of itself in many case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root of anxiety emotion is argued in various angles, so the discussion over human internal subconscious is focused much in the medical circle and the modern art circle. As the picture of surrealism which has drawn subconscious into art starts, people can visualize a pathologic mind. I am explaining about how man expressed the identity with the mind of ‘anxiety’ with the subject ‘Study on the anxiety through the subconscious’. I start from Freud, pass through the empirical anxiety, and arrange the process of a visual revelation. Through the works of a writer of surrealism who expressed anxiety, I study the mental expression of surrealism, and review an anxious human shape through the visual anxiety and the subconscious shape I materialized. At length, this study focuses on Freud’s anxiety, analyzes my subconscious and empirical anxiety, and reviews what kind of meaning the content and mental aspect of my picture has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s. Through this, I search for the connection and meaning between human latent subconscious and the work and grope for a progressive direction in future.

      •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 엄마와의 분리불안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김보연 배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서 엄마와 분리로 겪게 되는 불안을 극복하기까지 영아가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 알아보고, 또한 영아의 분리불안 극복과정에서 엄마와 교사가 느낀 어려움은 무엇인지, 영아의 분리불안 극복을 돕기 위한 엄마와 교사의 적응 전략에 대한 실행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1세 영아의 분리불안 극복과정 동안 엄마가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이고, 영아를 적응시키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는가? 2, 만 1세 영아의 분리불안 극복과정 동안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이고, 영아를 적응시키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는가? 3,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서 엄마와의 분리불안 극복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으로 만 1세 영아 3명과 만 1세반 담임교사이면서 연구자인 A교사와 연구자와 같은 학급 짝 교사로 초임교사인 B교사이다. 연구기간은 2015년 3월부터 5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참여관찰일지, 면담일지, 전화면담일지, 연구자와 동료교사의 저널쓰기 및 연구에 필요한 문서 자료 등을 가지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함축된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유목화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엄마는 영아와 분리불안 극복과정동안 정서적인 어려움을 느꼈다. 분리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의 부정적인 정서로 인한 어려움으로 엄마는 자녀의 건강과 또래관계를 우려했으며, 영아의 분리불안이 극복되기까지 참고 기다려주기 힘들어서 어린이집 등원을 포기하려 했다. 엄마의 행동과 태도에 따라 영아의 분리불안 극복이 좌우되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적응 전략이 나타났다. 영아를 적응시키기 위한 엄마의 전략으로는 어린이집 등원을 미리 예고해주기, 헤어짐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단호하게 뒤돌아 서기, 규칙적인 등・하원시간 그리고 약속 지키기, 정서적 위안 주기, 칭찬과 격려하기가 도출되었다. 둘째, 교사는 영아의 분리불안 극복과정을 알지 못해 힘들어하였으며, 반복된 일상과 끊임없는 울음으로 교사의 신념이 흔들리고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아동학대의 두려움, 학부모와의 신뢰관계 형성하기의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영아를 어린이집에 적응시키는 교사의 전략으로 극복과정동안 적응을 돕는 교사의 역할 수행은 영아를 적응 시키는데 도움 되었다. 영아를 적응시키기 위한 교사의 전략으로는 영아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다른 곳으로 주의 끌기, 적절한 반응과 격려하기, 마음 읽어주며 따뜻하게 대하기, 함께 놀이하며 규칙 알려주기, 어려움 돕기, 흥미로운 환경 만들어주기가 도출되었다. 셋째, 영아는 분리불안 극복과정에서 보이는 현상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 극복 과정은 울음, 거부, 무기력, 교사, 또래, 적응 단계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영아마다 분리불안을 극복하는 적응기간의 차이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영아의 분리불안 극복기간은 다르게 나타났지만, 보이는 영아의 행동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때, 영아의 분리불안 극복과정동안 엄마와 교사가 느낀 정서적 어려움 해소와 영아를 적응시키기 위해 도울 수 있는 방법으로 엄마와 교사의 적응 전략을 도출하는데 필요함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