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도시에 조성되는 한국정원의 전통성 증진방안 연구

        정일환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서울시를 비롯한 자치단체에서는 외국도시와 교류사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외국도시와 교류사업의 하나로 일회성 행사보다는 우리나라의 문화를 외국에 알릴 수 있는 한국전통정원 조성사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그동안 외국도시에 있는 한국정원 조성사례를 통하여 앞으로 외국에 조성되는 한국정원은 우리의 전통성이 제대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정원문화를 정확히 알릴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연구논문은 대상지가 외국이라는 지리적으로 불리한 여건 때문에 그동안 많지 않았다. 한국전통정원 조성사업은 우리 문화를 외국에 알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이지만 기존 논문에서는 대부분 한국성, 전통개념 등을 분석한 설계 위주로 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비롯한 공공기관에서 외국도시에 조성한 한국정원을 중심으로 조성목적 및 경위, 부지의 여건, 전통성 표현, 사업의 성과를 조사하는 등 기존의 논문과 차별성을 두었다. 우리나라의 호암미술관 희원, 월미공원 전통정원 조성사례와 외국도시에 조성된 한국(서울)정원 8개소의 사례를 조사하여 전통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외국도시에 조성하는 한국정원 조성공사는 양국간 문화적∙법적 차이 등으로 국내에서 시행하는 것보다도 어려운점이 훨씬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도시에 한국전통정원을 조성하려면 기존에 추진하였던 시행과정 중 시행착오를 겪었던 사항을 참고하여 계획한다면 문제점을 최소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통정원을 외국도시에 조성한 이후 유지관리가 잘 되고 있는지는 현지에서 알려주거나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기에 준공식이 끝나면 많은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멀어져 갈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따라서 조경관련 학자, 조경설계 및 시공 전문가, 공무원, 조경학과 학생 등 조경전문가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통성 표현, 시스템적인 유지관리 방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논문의 연구결과는 전통정원 조성계획 단계, 전통정원 조성 단계, 전통정원 유지관리 측면으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첫째, 전통정원 조성계획 단계에 있어서는 해당국가의 공원조성 관련 법규 등을 사전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고, 한국의 정서가 흐르는 전통과 현대가 조화로운 공간이면서도 환경친화적이며 현지공원과 조화를 이루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한국정원에 식재할 조경수목 선정은 우리나라 전통정원에 적합한 수종이면서 현지에서 생육이 잘되고 구입이 용이한 수종을 선정하여야 사업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전통성 재현을 위한 전통시설물의 형태는 원형을 따라야 하며, 기능에 대하여는 현지여건 등 정원 컨셉에 맞추어 재해석 할 수도 있겠지만 가능한 외국의 현지인들에게 우리문화를 정확히 알리기 위하여 원형에 가까워야 한다. 둘째, 전통정원 조성 단계에서는 현재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통관문제 등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우리의 전통문화를 제대로 알리기 위하여 예산 등 일정부분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현지에서 시행하는 공사는 능력이 있는 전통장인이 직접 시공하여 한국전통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일반인이 이해하기 힘든 방지 등 전통시설은 설명하는 안내판을 설치하여 현지인들에게 우리 문화를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유럽인들은 우리나라 정자와 같은 목조건축물과 석조건물에서는 볼 수 없는 단청에 대하여 호기심을 가지고 있어 1개소 정도는 단청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통정원 유지관리 측면에서는 공원조성 계획단계에서부터 협약서에 명시하여 시스템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파손되기 쉬운 전통시설물은 예비자재를 충분히 확보하여 시설물 인계시 관리기관에 제공하고 현지외국인의 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기존 시설물을 노후화 될 때까지 계속 유지하기 보다는 시대에 적합한 전통요소를 5년 또는 10년 단위로 재정비계획을 수립하여 우리의 다양한 전통문화를 홍보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주이용대상인 현지인의 이용증진을 위하여 정원 안내책자나 영상물 등을 준비하고 행사유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주요어 : 한국전통정원, 전통성, 자연관, 교류사업, Abstract In addition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e autonomy organizations including Seoul city, is gradually increasing the exchange programs with foreign cities. Rather than just one-time events with foreign citi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Korean traditional garden is coming to fore as a method to inform Korean culture to a foreign country. When considering this matter, it is very important for upcoming Korean gardens in foreign cities to properly present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studying the cases of previously created Korean gardens in foreign cities. This is because there is a need to deliver accurate Korean gardening culture to the foreigners. Due to the disadvantaged conditions, where the target region is foreign countries, there weren’t much research studies done on Korean traditional gardens in foreign cities. Korean traditional garden projects are important for the nation as it’s publicizing the Korean culture to foreign countrie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are mainly done on the designs, which analyzed the traditional concepts and Korean style. This study have placed differentiation with the other existing studies and studied the purpose and prehistory of establishment, the condition of the project sites, the traditional expression and the result of projects based on the Korean gardens in foreign cities, which are established by Seoul cities or other public organizations. And, we took this opportunity to come up with a plan to improve traditions by studying the Hee-won traditional garden in Ho-Am Museum, Wol-mi Park, and 8 Korean (Seoul) gardens in foreign cities. Due to the leg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establishing a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a foreign city is much difficult than working in domestic. Therefore, if trial and error from previous cases is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foreign cities, then the problems will be minimized. Also, since there is no way to check the maintenance after completing a construction for traditional garden in foreign cities, unless they visit the project sites or someone in project site informs them, it is out of people’s attention. Therefore, we’ve researched and analyzed traditional expressions and systematic maintenance plans through surveying landscape professionals such as landscape associate scholars, landscape design and construction professionals, government, landscape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planning phase of traditional garden, developing phase of traditional garden and maintenance of traditional garden. First, an adequate review of local laws related to garden establishment is required at the planning phase of traditional garden these gardens should be a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lace where Korean emotions are well expressed and must be an environmental friendly and should form a harmony with the other local parks. The selection of landscape trees for Korean gardens should be the one,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traditional garden, and should grow well and easy to purchase in that country so it will occur less disruptions. The features of the traditional facilities can be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local conditions and the concepts of garden; however, in order to present traditions of Korea, the forms of traditional facilities must follow original form. Second, the local governments, which currently promote these projects, may have limitations on clearance issues; therefore, in order to inform Korean traditional culture properly, the government must provide supports on budget or other issues during the developing phase of traditional garden. The construction at foreign cities must be done by master craftsman to ensure Korean traditions and must place informational signs on tradi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actively inform Korean culture to the foreigners. Especially, Europeans are very interested on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such as Korean pavilion, which is hard to find from wooden structure or stone buildings, therefore, there must be at least one Dancheong in Korean gardens. Third, in the aspect of maintai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systematic maintenance requirements must be indicated on the agreement form since the planning phase of the traditional garden. The fragile traditional facilities must secure sufficient reserve materials and given to the local maintenance organization once the construction is complete. There is a need to publicize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of Korea, therefore, rather than keeping the existing facilities until it age, establishing a reconstruction plan for every 5 or 10 years will be great idea. In addition, in order to create interest of the main audiences, the local residents, there must be informational booklets or audio visual about the garden and should host various events. Key-words : Korean traditional gardens, traditions, nature view, exchange programs

      • 한국정원의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장신구의 조형연구 : 정원수를 중심으로

        최영임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의 자연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은 인간의 다양한 활동에 영향과 영감을 주었다. 이러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려는 인간의 바램은 자신의 사적 공간인 '집'에 자연을 옮겨다 놓는 '정원' 이란 문화로 표출 되었다. 정원의 예술적 형태와 가치는 건축물을 돋보이게 하는 여유 공간이라는 설계상의 기능을 넘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열망이 표출된 정신적 공간이라는 점이다. 이런 미적 생활공간인 '정원'은 일찍이 '자연스러움'이 진정한 아름다움의 미학임을 알고, 이를 통해 자연의 고유형상을 만끽하고자 하는 인간에 의해 각 나라의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어져왔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원의 구성요소 중, 우리고유의 문화를 상징하면서 동시에 서구인들에게 동양의 정신문화와 더불어 정적인 아름다움을 불러일으키는 한국전통정원의 '정원수'를 통해 시대와 문화를 아우르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조형적으로 표현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한국의 사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정원수의 다양한 '색감과 형태'를 장신구에 적용하여 단아한 정중동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장신구를 제작하는 과정으로 우선, 한국정원의 일반적 특징을 고찰한 후, 정원수의 종류와 조형성 이에 상응하는 상징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원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었던 여섯 종류의 정원수를 선정하여, 이들의 사실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각각이 나타내는 이미지와 색상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현대생활에서 관조의 대상에 그치는 한국 정원수의 정취를 현대적인 장신구로 표현함으로써, 자연의 아름다움을 시각화하고 옛 선조들의 생활 속 멋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전통적인 한국정원의 이미지에서 보이는 정원수의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조형적 형태에서 나타나는 단아하고 간결한 선을 장신구디자인에 적합하게 적용·재구성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정원에서 나타나는 정원수의 아름다움이 일상 생활속에서 미적 즐거움을 주는 장신구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데 목적이 있다. Infinite interests of human being in nature influences and inspires him in many aspects. The human desire of appreciating the beauty of nature is expressed with 'garden' culture as he creates his own nature in his private space 'house'. Garden is not only material space that brings out the beauty of a building but also spiritual space that expresses human desire for the beauty of nature. Garden, aesthetic living space is a means of realizing the real beauty of nature, and is expressed in many different ways according to different cul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beauty of nature by moulding flowers and trees of the Korean garden that symbolizes our tradition while attracting the westerners' attention to the stillness beauty of the east. In this study, the variety of colors and shapes of the flowers and the trees, which changes in four different seasons is applied to ornaments to express their gracious beaut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naments, the general features of the Korean garden was examined, the kinds and the shapes of the flowers and the tre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relevant symbolism. As a result, six different kinds of flowers and trees were selected, and their colors and shape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design ornaments. The study tries to visualize the beauty of nature and to revive the stylishness in daily life of ancestors by designing the six kinds of flowers and trees into ornaments. As a result, it was able to express the beauty of nature by applying and reconstructing the gracious and fine lines, which are based on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flowers and the trees reflected by the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garden, to the design of ornaments.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beauty of the flowers and the trees in the Korean garden can be designed into ornaments appreciated in daily life of contemporary people.

      • K-가든(K-GARDEN)의 재현적 특성 연구

        백지은 순천대학교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K-팝(K-POP)’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대중문화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한국 영화, 음식, 패션 같은 ‘K-컬처(K-CULTURE’)를 세계화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이어지 고 있다. 조경분야에서도 ‘K-가든(K-GARDEN)’ 이라는 이름으로 중앙 정부(산림청)가 나서서 ‘정원진흥기본계획’ 수립과 ‘K-가든 모델’ 개발을 통하여 한국정원의 세계화를 도모하고 있다. K-가든에 대한 합의된 개념 정의는 없으나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을 일컬을 때 많 이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1개국 41개소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한 국 고정원을 복제하거나 변형하여 재현한 것으로 고정원 재현의 완성도가 만족스러운 것도 아니고, 창의성이 있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다. 이는 한국정원에 대한 합 의된 개념이 없고, 한국정원의 세계화라는 기치를 내건 K-가든의 개념이나 성격이 모 호한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K-가든’과 관련된 정책연구와 선행연구들에서 K- 가든의 이론적 개념과 정체성을 정립하고 재현 특성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K-가든으 로 언급되는 사례를 검토하여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K-가든이 가진 재현적 특성을 정 리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올바른 ‘K-가든’ 조성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 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K-가든은 “전통 정원 문화와 지역의 고유성을 바탕으로 동시대성과 대중성을 담고 있는 현대의 한국정원”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K-가든은 한국성 계승의 가치, 재해석 을 통한 변주가 가능한 설계, 현대 도시인에 필요한 기능 측면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K-가든의 고유한 성격을 바탕으로 한국정원의 재현(재해석) 요소를 공간구 조·구성, 형태와 재료, 상징과 의미 세 가지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K-가든의 사례를 공간 성격에 따라 분류하여 요소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구조와 구성’을 중심으로 한 유형은 자연환경의 변형과 훼손 최소화, 차폐 와 차경의 적극적 활용 등이 특징적이다. 다만 해외조성 한국정원의 경우 대부분 기조 성 공원 혹은 박람회장 내에 조성되어 공간구성 원리의 적용이 어려운 한계를 보였다. 둘째, ‘형태와 재료’를 중심으로 한 유형은 지역성이 반영된 점경물과 자연재료로 컨셉 을 설정하거나 인공물과 자연물의 적절한 조화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멋이 더해지도 록 연출하는 형태를 보였다. 이 유형 역시 전통 재현 국내정원 사례는 대부분 전통요 소와 첨경물의 직접활용 형태가 많이 나타나 획일적 경관을 연출하였다. 셋째, ‘상징과 의미’를 중심으로 한 유형은 작품관람 자체로 이용객에게 다양한 의미를 주는 공간 연 출, 전통문양 및 토속적 색감을 시각화하는 실험적 태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K-가든의 특성을 발견하고 재현(재해석) 요소를 구분하 여 국내·외의 K-가든, 한국정원, 전통 재현 정원 등을 사례로 작가의 의도와 조성 개 념, 정원 요소를 분석하여 K-가든의 특징과 공통적 요소를 발견하고 유형화고자 하였 다. K-가든은 유형별로 변별적인 특징이 있지만 주변 환경과의 조화 고려, 시간의 흐 름과 기후 등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화하도록 연출, 한국 고유의 미의식 활용, 전통요 소의 재현 등은 공통적이다. 본 연구는 K-가든의 개념정립과 특성에 대한 연구의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 를 둔다. 다만 K-가든이 ‘한국정원’ 또는 ‘전통정원’과 재현 방법이나 특성이 유사하여 분석방법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때문에 추후 한국정원의 세계화라는 측면에 서 K-가든의 개념 정립과 설계 방향이나 기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orean popular culture has become an important resource for raising the status of Korea in recent years,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Beyond ‘K-POP’, ‘K-CULTURE’ such as Korean movies, food, and fashion is also riding the wave of globalization. In this regard, the landscape industry is also trying to globalize Korean gardens under the name of ‘K-GARDEN’. Korean garden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harmony and adaptation of nature and human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among foreigners as they are introduced to overseas through Korean dramas and other media. There is no agreed-upon conceptual definition of K-garden, but it is often used to refer to Korean gardens that have been built overseas. Korea started to build them in the 1990s, and most of them were invited to the garden exhibitions of the relevant countries or built for friendship with twin cities. As of 2015, there are 41 Korean gardens in 21 countries overseas. These elements have the advantage of clearly revealing the identity of Korean garden culture, but they also have the limitations of simplifying, fixing, and typifying Korean gardens. There are not always able to fully express their beauty due to factors such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 species of plants plante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composition and design of Korean gardens should be preceded by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of Korean garden culture and Korean traditional element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the expression of Koreanity in Korean gardens has been limited to the direct reproduction of traditional gardens or that the identity of Korean gardens has not been properly understood. The view is that it is not a good idea to reproduce or modify Korean traditional gardens, and it is not creative either. This is also because there is no agreed-upon concept of Korean gardens, and the concept or nature of ‘K-garden’s is ambiguous.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Korean gardens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as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form and scope. In this context, this study clarifies the meaning of the term K-garden and presents concrete criteria and emotional examples. It must no longer remain in the past, but must be reborn as a globalized Korean garden that represents this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theoretical concept, identity, and character of K-garden as an element of Korean garden culture. In addition, we analyze the patterns in which K-gardens are represented or reinterpreted in modern spaces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we will establis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proper construction of K-garden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K-garden industry in the future.

      •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의 구성요소 연구

        황민하 동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2

        In this study, it is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design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Built in Oversea. Since the 1970s, the korea traditional garden began to create the latest coming in 2014, has continued. Most of these municipalities in the garden the other side of the sister city relationship and friendship between the two cities to celebrate or chops, or for the purpose of composition, Garden Fair continues to exhibit the work, and if that is maintained. In this study, it is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data for Korea traditional garden in oversea any design elements are introduced in Korea make a garden, how much of each design elements has been introduced, the design element is introduced into the korea traditional garden which design elements of any garden make a circular design, but also overseas in Korea for the garden to create awareness about the analysis of how to appear investigated. Based on these various operations overseas design element of Korea Garden what are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problem, how and what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proposed improvements f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also. These studies are made by the 10 korea garden built in oversea , and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sign elements of Korean garden built in oversea, was typified water design elements, terrain design elements, building design elements, and garden ornaments. The research results on the type of design elements, water design elements, terrain design elements, building design elements, and garden ornaments can include, but are not commonly viewed in the garden each, introduction has not been at all the design elements of either Korea garden in oversea. There is also a garden specific gravity has been introduced very thin, to appear image of the Korean garden is very different. Secondly, showed a frequency most among the design element introduced into the design element of Korean gardens in oversea is construction in the destination 10 to the Fence(Damjang)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building, the Flower Wall(Hawgae) is 9 place, the Pond(Jidang) is 8 place, the Bridge is 8 place, and the Island( 6 places), was the order. Third,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the design prototype of the design elements of Korea garden in oversea, Changdeokgung AeryeonJi, Changdeokgung Buyonji, Hayopujon, Hadong Chechampan home, and Changgyeonggung Tongmyungjeon was design prototype. Fourth, the Korean garden built in oversea, it was confirmed that it is composed of units of one or more spaces of spatial composition on. A result of the fifth, we analyzed the recognition of design element of Korea garden in oversea, in terms of legitimacy, the overall average is 2.67, Korea garden in Mitsuike Park is the most highly at 2.17. If you look at as a result, these gardens shall have atmosphere of Korea traditional garden. Finally, analyzed the design elements of Korean gardens as 10 place, was performed inquiry survey, the results occurred four problem. The problem is a design element selection, material elements to make a design elements, decoration of the design element, and combination between the design elements. In conclusion, the above studies suggested ways to improve. Improvement of the components of the firs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hoice of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of the traditional garden Korea archives to build, and for this purpose first the literature of Korea traditional garden building, this should be a priority surveying the investigation shall be to organize a garden that was proposed. In addition, abroad to create a korea traditional garden, when you need to create a model that should be applied. The problem is to make the material of design element of the oversea garden generated due to the laws of that country, as appears to be excessive costs. To respond to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f the country in advance so that the design should be action. In the case of plant material as possible by studying the vegetation of the country's plans to make planting vegetation or incorrect use of the landscape due to the lack of gender expression appearing Korea does not appear to be a problem.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is processed in the course of preparation or ingredients costs should not be excessive. Anywhere in the supply of materials and processing should be done in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study shall be carried out in advance. To do this, the material of the main countries that supply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should be database. And also build a database of professionals should be placed. In particular, Korea's garden,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re likely to be actively create elaborate preparation for the region that will be proposed. The design of components, the most important issue to be addressed in a future issue. Moreover, the composition of the Korea Overseas properties are implemented in the garden Korea, South Korea is clearly the authenticity of garden design should be expressed in order to be in any hurry to discuss about the need to start now. Until now, the discussion i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radition not conclude though not significantly the show because it has reached to a level of more experts in various fields which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help put an end to this discourse should be. Korea garden in oversea is exposed to the authenticity of the garden is also important. Foreigners in Korea but it is also crucial to understand the gender subject and i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unilateral incorrect results also be aware that better and should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The introduction of foreign elements in the wrong understanding about Korea Garden apparent if the problem can be solved naturally, because as mentioned above you can see clearly the identity of Korea garden archives once again emphasize building. Problem of combination between the design elements, must be the task of selecting a design language and design concept design to design a garden of overseas once decide a clear theme of the Korean garden, can be expressed as appropriate when the theme I want to emphasize that. Since it is a procedure with the mixture of locality, is to decide whether to create a garden with what nature land constant ultimately, this may be also a matter of designer purely. Of course, as mentioned above, it should be suggested a various desired model. and if it will design on the korea garden in oversea as based on it, it can be solved. Then, combining the garden of a different natu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designer understand correctly Korea Garden, can be solved by designing the garden with a design concept and a clear theme, which is also desirable model Korean garden in overseas I think it necessary to be able to reduce possible errors through. 본 연구는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에 도입된 구성요소에 대한 전모를 밝히고자 진행되었다. 해외조성 한국정원은 1970년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최근 2014년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되어오고 있다. 이들 정원들은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에서 상대편 자매도시와의 결연을 축하하거나 두 도시간의 우의를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거나,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작품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를 토대로 해외조성 한국정원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도입되었는지, 각각의 구성요소가 얼마나 많이 도입되었는지, 도입된 구성요소가 한국전통정원 가운데에서 어떤 정원의 어떤 요소를 원형으로 디자인되었는지, 또한,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에 대한 인식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이러한 제반 작업을 토대로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의 구성요소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이고 그러한 문제점을 어떻게, 무엇을 통해서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도 연구과제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해외에 조성된 10개 정원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의 구성요소는 수요소, 지형요소, 건축요소, 점경물로 유형화되었다. 수요소는 지당, 섬, 입수장치, 계류, 수로, 우물, 샘, 담장하부수로, 폭포, 다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형요소는 화계, 석단, 화오, 돈대, 구릉으로 구성되어 있고, 건축요소는 대문, 협문, 담장, 정자, 재실, 누각, 살창 등이고, 점경물은 굴뚝, 경석, 물확, 장승, 석련지, 벅수, 솟대, 장독대, 해태, 맷돌, 괴석, 불노문, 석탑, 석등과 같이 다양한 편이었다. 구성유형에 관한 연구결과 해외조성 한국정원에서는 수요소, 지형요소, 건축요소, 점경물은 각각의 정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어느 한 요소가 아예 도입이 되지 않거나 비중이 아주 약하게 도입된 정원도 있어 한국정원의 이미지가 아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해외조성 한국정원에 도입된 구성요소 가운데에서 가장 많은 출현빈도를 보인 것은 건축요소 가운데 담장으로 10개 대상지 모두에 조성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화계(9개 정원), 지당(8개 정원 10개소), 다리(8개 정원), 정자(7개 정원, 9개소), 섬(6개 정원), 입수장치(6개 정원), 석단(6개 정원), 대문(6개 정원), 협문(6개 정원), 굴뚝(6개 정원), 경석(6개 정원) 괴석(6개 정원) 순이었다. 셋째, 해외조성 한국정원의 구성요소의 디자인원형을 살펴본 결과, 수요소의 디자인원형은 지당의 경우 무도지당의 경우에는 창덕궁(昌德宮) 애련지(愛蓮池), 원도지당의 경우에는 창덕궁(昌德宮) 부용지(芙蓉池), 달성의 하엽정(荷葉亭) 지당, 하동 최참판댁 지당이며, 입수장치는 창덕궁(昌德宮) 애련지(愛蓮池)와 창경궁(昌慶宮) 통명전(通明殿) 연지로 나타났다. 넷째,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은 공간구성 상 1개 혹은 몇 개의 공간단위로 구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단위공간의 구성은 공간의 규모와도 상관되겠지만, 그것보다는 공간에 어떠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가에 따라서 달리 나타나게 된다. 공간단위는 결국 구성요소를 통해서 채워지게 되며, 여기에서 그 공간의 성격이나 경관적 이미지 더 나아가서는 한국성의 표현여부가 나타나게 된다. 다섯째, 해외조성 한국정원의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전통성 측면에서는 전체 평균이 2.67이었으며 일본에 조성된 미쓰이케고헨 코리아정원이 2.17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광저우 해동경기원 2.38, 오사카 한국정원 2.39, 프랑크푸르트 한국정원 2.54, 베를린 서울정원 2.63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볼 때, 이들 정원들은 한국적 분위기가 제대로 연출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후쿠오카 한국정원은 3.31로 전통성이 가장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몽골 서울숲 및 파리 서울정원도 전통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 10개 한국정원에 시각적 선호를 파악해본 결과 미쓰이케고헨 코리아정원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다음은 프랑크푸르트 한국정원, 오사카 한국정원, 광저우 해동경기원 순으로 나타났다. 시안 순천정, 몽골 서울숲, 후쿠오카 한국정원은 시각적 선호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외에 조성된 10개의 한국정원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인식도조사를 실시한 결과 해외조성 한국정원에서 한국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네 가지의 문제점이 드러났는데, 그것은 구성요소 선택의 문제, 구성요소를 만드는 재료의 문제, 구성요소의 의장문제, 구성요소간의 조합의 문제로 정리되었다. 이상의 연구에 대한 결론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개선방안으로는 먼저 구성요소의 선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선결과제는 한국전통정원의 아카이브(archive)를 구축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문헌자료의 구축, 현황측량이 우선되어야 하고 조사된 정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전통정원이 해외에 조성될 때, 적용해야 할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도 제안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구성요소를 만드는 재료의 문제는 해외정원이 조성되는 해당국의 법규로 인해서 발생되는 것과 과다한 비용이 발생해서 나타나는 문제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당해국가의 법규에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인이 되도록 사전에 조치를 하여야 하며, 식물재료의 경우에는 해당국가의 식생을 최대한 연구하여 식재계획을 세워서 식생경관의 부족이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한국성 표현의 문제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재료를 준비하거나 재료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과다한 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재료의 수급과 가공이 어느 곳에서 시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철저한 사전조사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려면 주요 국가의 재료수급문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그것을 가공하는 전문가들의 수급문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해놓아야 한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향후 한국정원이 활발하게 조성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치밀한 사전준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구성요소의 의장문제는 향후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더구나 해외에 조성되는 한국정원에서 한국성이 구현되고, 한국정원의 진정성이 뚜렷하게 표현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디자인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지금부터 서둘러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지금까지 전통의 현대적 해석에 대한 담론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확연하게 결론을 지을 수준까지 당도했다고 보이지 않기 때문에 더욱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이러한 담론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국정원의 진정성이 드러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외국인들이 한국성을 이해하는 것 역시 중대한 과제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무턱대고 전통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것도 잘못된 결과를 나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면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자는 말이다. 외래요소의 잘못된 도입은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가 분명해질 경우 자연히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한국정원의 정체성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아카이브 구축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 구성요소간의 조합의 문제는 일단 해외정원을 설계하는 설계가가 한국정원의 뚜렷한 주제를 정하고 그 주제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설계개념과 디자인 언어를 선택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장소성의 혼재란 결국 일정한 땅에 어떠한 성격을 가진 정원을 만들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순서이기 때문에 이것은 순전히 디자이너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다. 물론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해외조성 한국정원의 바람직한 모델을 다양한 차원에서 만들어 내고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해외에 조성될 한국정원을 설계한다면 이러한 문제는 자연히 해결될 수도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성격이 다른 정원을 결합하는 것 역시 디자이너가 한국정원을 제대로 이해하고 뚜렷한 주제와 설계개념을 가지고 정원을 설계한다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고, 이것 역시 해외 한국정원의 바람직한 모델을 통해서 오차를 가능하면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타슈켄트 서울공원 고찰을 통한 한국전통정원의 국외 조성여건 이해

        김재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creating "Seoul Parks" with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in seven capital cities of foreign countries, including Ankara, Cairo, Paris, Berlin, Tehran, Ulaanbaatar, and Tashkent, with the aim of promoting friendly cooper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ost recently established "Tashkent Seoul Park" among the various Seoul Parks created overs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conditions that arise when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abroa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ashkent Seoul Park, and the time range is from 2009 to 2015. Through the "Seoul City Records Management System," official documents from Seoul City written during the creation process of Tashkent Seoul Park and documents stored in the archives of the Seoul Eastern Park and Green Space Management Office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207 documents collected were classified chronologically, and the creation process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each official document was extracted and conceptualized into short phrases and clause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conceptualized contents were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levance of their meanings, and the attributes of each category were organi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roposed by Strauss & Corbin (1998), the conditions for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15 creation conditions were derived,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human-environment conditions,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and legal/institutional conditions. The first category, human-environment conditions, includes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mong relevant stakeholders’, ‘a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urban park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consensus-building’, and ‘the administrative capacity of the host country’.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re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the most significant one i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mong stakeholders’. The project progresses through the agreement of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the client, service provider, government agencies, the host country's government, and local Korean cultural associations or Korean communitie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require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effort for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is a delay in the consultation process and complaints of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design documen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urban parks’ was also confirmed. In South Korea, most urban parks are created and managed through public funds. However,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limited budgets, there is a difference in maintaining and managing parks, as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revenue comes from recreational and commercial facilities within the park, which are used by citizens. Due to the limitations of language communication, there are difficulties in conveying intentions and reaching agreements throughout the entire project process. The process of conveying intentions from Seoul City through embassies takes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the communication is not always smooth. The administrative capacity of the host country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ject. Despite the cooperative efforts and administrative endeavors of the Uzbekistan government and Tashkent city,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timeframes between Seoul City and the host country were observed during the practical process. As for the second category,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the factors include the landscape conditions of the target si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construction conditions, differences in plant characteristics, and local material supply conditions. The landscape conditions of the target site are crucial for creating the ambianc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Traditional fences and landscape mounding were incorporated along the boundaries of Seoul parks. Flower beds were installed to obstruct views from the outside landscape and direct the focus inward, enhancing privacy and creating a sense of tranquility within the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construction conditions affect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quality. Uzbekistan has a dry and hot summer, while the winter is mild with significant rainfall and snowfall. Due to these climat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difficulties in landscaping during winter, but the climate with abundant rain and snow in Uzbekistan led to unexpected issues such as ground subsidence due to weak soil,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project. Due to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trees," issues arise regarding the supply of landscaping trees and variations in landscaping styles. This poses constraints on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Additionally, the "local material supply conditions" also present constraints on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atched roofs, which are traditionally used, they require regula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However, due to difficulties in sourcing local thatch materials, they are often replaced with plastic. Third category,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inding agreements and legal documents,"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project delays,"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scale and budget," and "focus on construction stability and modern construction practices." Agreements serve as the basis for all negotiations, from the inception of the project to the completion and handover of facilities. The process of drafting agreements that mutually bind the involved parties is of great importance.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have become a significant issue in project negotiations. Delays in customs clearance result in time and economic burdens, preventing timely supply of necessary materials and hindering subsequent construction processes carried out by dispatched personnel. "Project delays" occur due to the time-consuming process of selecting the initial target site and are also influenced by local climate conditions. Delays in transportation and customs procedures, as well as delays in local administrative processes, have been identified as causes of project delays. Th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analyzed to be highly positiv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scale and budget," it was found that the project expanded to more than twice the initial scale, but the budget was not adjusted accordingly, highlighting an issue. Construction technology reviews and expert technical consultations emphasize the focus on "construction stability and modern construction practices." The sustainability of the park is prioritized over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considering the national reputation and the goal of fostering friendly relations between cities. The "intent of the client" in dealing with various problem situations during the project process becomes a crucial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Unlike domestic projects, overseas projects face unforeseen challenges. The client is making direct efforts to persuade the host country and resolv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on conditions and the outcom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the various challenges that may arise in future projects aimed at introducing Korean garden culture abroad can be minimized, and the creation of more complete traditional gardens can be facilitated. 서울시는 외국 도시와 우호 협력을 목적으로 7개국 수도인 앙카라, 카이로, 파리, 베를린, 테헤란, 울란바토르, 타슈켄트에 한국전통정원을 테마로 한 ‘서울공원’을 조성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국외에 조성된 여러 서울공원 중 가장 최근 조성된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 과정을 고찰하여 국외에서 한국전통정원을 조성할 때 발생하는 다양한 여건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크게 국외 전통정원의 조성 특징과 관련된 연구와 전통 재현의 방식에 관한 연구로 구분된다. 기존의 연구는 국외에 완공된 전통정원의 연출 방식과 형태 등 결과물에 집중되고 조성여건을 통해 결과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타슈켄트 서울공원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이다. ‘서울시 기록관리시스템’을 통해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 과정에서 작성된 서울시 공문서와 서울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서고에 보관된 문서철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총 207건의 문서들을 시간순으로 분류한 후 조성 과정을 기획, 계획, 설계, 시공 단계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공문서에 수록된 정보를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짧은 구와 절로 이루어진 정보로 추출하고 개념화하였다. 이후 개념화된 내용들은 의미의 연관성에 따라 범주화하고 각 범주의 속성들을 정리하였다. Strauss & Corbin(1998)이 주장한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전통정원의 국외 조성여건을 이해하였다. 연구 결과로 조성여건 1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인문환경 여건, 자연환경 여건, 법적·제도적 여건의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첫째 인문환경 여건은 ‘관련 주체별 지향점의 차이’,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이해 부족’,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 차이’, ‘의사전달과 합의의 어려움’, ‘상대국의 행정력’이었다. 한국전통정원의 국외 조성에서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관련 주체별 지향점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발주처와 용역업체, 정부기관과 상대국 정부, 현지 고려문화협회나 한인회 등 다양한 관련 주체들의 합의를 통해 사업을 진행하게 되며 지향점의 차이로 인해 이해와 설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이해 부족’은 설계서의 협의, 검토의 어려움 호소 및 협의 과정의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 차이’ 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의 경우 도시공원의 대부분이 공적자금에 의해 조성되고 관리되는데 반면 예산이 취약한 개발 도상국의 경우 시민들이 이용하는 도시공원의 경우 상당수가 공원 위락시설이나 판매시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공원을 유지관리하는 차이점이 있다. 언어 소통의 한계로 인해 사업 진행 전체 과정에서 ‘의사전달과 합의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서울시가 대사관을 통해 의사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의사전달도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상대국의 행정력’ 도 사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타슈켄트시는 서울공원 조성에 협조적이고 행정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무 과정에서 서울시와 행정 시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자연환경 여건으로는 ‘대상지의 경관 여건’, ‘기후와 시공 여건 관계성’, ‘수목의 특성 차이’, ‘현지 자재 수급 여건’을 들 수 있다. ‘대상지의 경관 여건’은 한국전통정원을 연출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서울공원 경계에 와편담장과 마운딩, 화계를 통해 외부 경관을 차단하고 시선의 초점을 방지와 누대 등 내부로 지향하도록 연출하고 있다. ‘기후와 시공 여건 관계성’은 시공 기간과 시공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우즈벡의 여름은 건조하고 기온이 높으며 겨울에는 온화하고 비와 눈이 많이 내린다. 이러한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겨울철 조경공사에 무리가 없으나, 비와 눈이 많은 우즈벡의 기후는 무른 토질로 인해 예상치 못한 지반 침하 등 하자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수목의 특성 차이’로 인해 조경수 수급 문제와 수형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전통성 재현에 제약 요인이 된다. ‘현지 자재 수급 여건’ 또한 전통성 재현에 제약 요인이 된다. 초정의 경우 전통 방식을 따라 지붕을 볏짚으로 설계하였으나 볏짚은 일정 기간마다 교체 관리가 필요하다. 현지 볏짚 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플라스틱 이엉으로 교체하게 된다. 셋째. 법적·제도적 여건으로 ‘협정서 등 법적 구속력’, ‘통관 절차의 문제’, ‘사업의 지연’, ‘정부와 서울시의 협력’, ‘사업 규모와 예산의 관계’, ‘시공 안정성과 현대적 공법 지향’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협정서는 사업의 발단부터 공사의 준공과 시설 인계까지 모든 협상의 근거가 이러한 협정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상호 법적 구속력이 되는 협정서를 어떻게 작성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통관 절차의 문제’ 는 시공 과정의 협상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시공자는 적기에 필요한 자재를 공급받지 못해 한국에서 파견 온 기술자들이 후속 공정을 작업하지 못하고 돌아가는 등 시간적,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업의 지연’은 초기 대상지의 선정 과정에 많은 시일이 소요되며 현지 기후 여건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재의 운송과 통관과정에서 많은 시일이 소요되며 현지 행정 절차의 지연도 사업 지연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와 서울시의 협력’은 긍정적으로 분석된다. ‘사업 규모와 예산의 관계’에서 초기 사업 계획 보다 2배 이상 규모가 확장되었지만 예산 증액은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 등이 도출되었다. 건설기술심의 등 전문가의 기술적 자문에서 ‘시공 안정성과 현대적 공법을 지향’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공원의 지속성이 국가 신임도와 도시간 우호의 목적상 전통성의 연출보다 우선되는 가치로 선택되고 있다. 사업 과정에서 여러 문제 발생 상황에서 대처하는 ‘발주처의 의지’ 는 사업 성공의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국내 공사와 다르게 국외 공사는 예기치 못한 다양한 문제와 직면한다. 발주처는 상대국을 설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외 한국전통정원 조성 과정을 고찰하여 조성여건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정원 문화를 국외에 소개하려는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완성도 높은 전통정원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조선시대 사대부 園林으로서 洞에 관한 연구

        유가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find of Korean garden's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mountains. The concept of Wonlim園林 in Joseon Dynasty(1392~1910) was a subject that can be explained not only with an act of making landscape造景, but also through rambling in it遊景. The rambling places for scholars were various mountains in the country. Mountains were significant in that it hid materialized ideal place and it is the nature on the other side of the capital city. The space in the mountain perceived as a 'garden' is a section of pure nature without any artificial manipulation. The East Asian culture, where people use Chinese characters, uses '園' for garden. In general, garden is written as '園林' or '庭園'. However, there are not many classical gardens in the country that are left with names such as '-園'. Instead, they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landscapes or villas centering around structures such as -Jung亭, -Dang堂, -Jungsa精舍, -Lu樓, Hun-軒 and -Sanbang山房. The mental border against the landscape around the structure marks the territory of a garden. This mental border is formed by the appreciator's rambling. This ramble also accompanies the scholar's inward eyes as an intellectual. The artificial mountain假山, flowers and trees, and stones in the yard, and garden ponds in personal gardens were not seen as reproduced nature as the way they appear, but rather appreciated with each individual's ideal in their minds. Scholar's rambling was also carried out by the act of going into the mountains. Mountains are places for the scholar's seclusion and for shelters of recluses who left the secular world. It is also a hidden utopia like an immortal world and has characteristics of another world異界. But in fact, it is an untouched pure nature and a wild place where beasts and insects prevail. Mountains where ordinary person could not access freely, were perceived as a sacred space. People staying in these spaces were revered as they were considered immortal beings like shinsuns. Deep mountains where shinsuns lived, represented utopia and Fudi福地. It also had meanings of sacred mountain and note one where classical scholar, ascetics and chushi處士, who left unsacred society, lived in reclusion. And for the scholars of that time, it was also perceived as a place to 'withdraw and stay' by the concept of calling and reclusion according to the confucianist principle of entering or withdrawing himself in politics出處之義. From this, mountains were given the meaning of Sanlim山林 where scholar‑officials lived their lives away from the capital city. At the same time, it also meant utopia where one reached the stage of shinsun神仙. The methods and aspects of realizing mountains as a utopia were looked at in order to analyze the rambling place in the mountains as scholar‑officials Wonlim. The hope to embody ideal stage理想境 in utopia created various cultural forms and some of them were shaped into scholar's garden culture. First of all, aspects of utopia embodiment were examined based on scholars' appellation of pen names雅號 and rambling on mountain遊山. Some of the pen names were combination of landscapes, such as a mountain, river, valley and stream, and meaning of seclusion隱逸 or reclusion隱遯. An old fisherman海翁, an old recluse遯翁, a valley with cloud雲谷, a valley with pine forest松谷, a recluse as a fisherman漁隱 and a recluse as a woodcutter樵隱 are some of the examples, and many of them used words that meant a valley. These are examples of embodying an ideal stage of seclusion in the mountains by calling people by those names. Also, rambling on mountains is a practical attitude of an appreciator's embodiment of an ideal stage by actually going into the mountains. In addition, methods of making shape of the mountain or representing landscape in the living space were studied. Placing miniature model mountains in ponds or yards is called jisan假山. Among these realization methods, embodiment of an ideal stage by rambling on mountain and reproducing mountains and landscapes were formed into different types of Wonlim. This Wonlim signifies a space for meditation or a place for aesthetic embodiment of the world in a gourd bottle壺. It is also a nature perceived as a concept of garden. This study looks into the artificial mountain, the garden - reproduction of an ideal stage, and the imagery garden - realized in free imagination. In addition, the scholar's practical attitude of perceiving one section of the pure nature as a 'garden' was carefully examined. As an example, meaning of Wonlim as an ideal place in the mountain was also studied. Dong洞 is an attempt to realize the unusual stage through an appreciator's activities such as exploration of the scenary, appellation and dwelling. This includes the process of experience when one recognizes the reality discovered in the mountains as an ideal stage, and it shows how one identifies reality with ideal. Moreover, one makes the space he discovered during rambling into a personal place, Wonlim, through mental border. Hence, dong was regarded as a subject that can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Wonlim', ‘mountain' and 'utopia'. Dong usually means a 'village', but its meaning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was given after 1910 when integration of Dong洞, Ri里 and Chon村, and change of names and boundaries were proclaimed. Dong was originally used as an elegant name for village units such as Ri and Chon, and it can be found in the documents of Goryeo Dynasty(918~1392). This paper identifies dong as Wonlim, the space found in the mountains equivalent to utopia that has been recorded and handed dow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rather than the meaning of 'village'. dong as Wonlim is also used as traveling on mountain which holds valid meaning in the modern times as well. Mujukucho'n-dong in Mt. Teogyu and Sunyoo-dong in Goisan are well known examples of this, and these places are settled as an ideal of modern people where they can get away from their ordinary life and get in touch with the pure nature. Based on the explorations in the scholar's traveling writings, dong's meaning as a Wonlim was studied. The writings contain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untains and surroundings. Repetitive explanations included 'rambled along the stream', 'the trails were narrow and contracted', 'stone gate appeared', 'there is a wide and spacious place inside the gate' and 'inside is vacant'. Also, more explanations were followed such as 'mountains are composed of rocks', 'high and deep', 'steep', etc. In addition, there were words like dong gate, stone gate, Dongbu洞府 and Dongcheon洞天. In short, dong is the vacant space in the valley of high, deep, steep and rocky mountains. And there is a gate to another level. This study considers this Dong in the mountains to have a meaning of an earthly utopia. The activities in dong in the mountains are continued to 'experience' of transformation of space by stepping into the gate, unlimited rambling, 'discovery' and 'imagination' of landscape, 'observation' and 'appellation' of nature and 'embodiment' of ideal stage. These can be the process of scholar-officials' seclusion and a mountain excursion. During this process, they left numerous space appellations and inscriptions. These were chanted as Gugok and expressed complex ideals of combinations of Confucianism and Immortalism. Rock inscriptions included names of places, rambling people and poetry.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dong as a Wonlim as follows. First, space is given an appellation. Dong is a certain section of a mountain without boundaries, but has a special appellation as a selected and recognized place. It either has been called by the same name by many people for a long time or the first person who discovered the place gave it a name. It was related to landscape-characters, special meaning, and Taoism such as Sunyoo-dong仙遊洞, Ohsun-dong五仙洞, Chilsun-dong七仙洞, Eunsun-dong隱仙洞. Second, landscape is enjoyed and interpreted through exploration. The place is like a circuit style garden where on can freely ramble around in the mountains. In a place comprised of natural objects such as a waterfall, marsh, stream, rocks and cliff, one rambles, rests, give names and inscribes names into the rocks. Third, there were some pavilions亭, ponds, and planted trees. It is like a gardening. Scholar-officials wanted to make their secret garden in the deep mountains. Forth, it has a characteristic of a theme park, where the process of discovery, appreciation, experience and imagination with a theme of Shinsun神仙 world is accompanied. Dong is located at an unfrequented area, deep in the mountains. This place can either be reached by an unintended discovery or one has to travel over the rivers and mountains to get to a famous place. One also has to go through steep and narrow mountain trails. The dong either discovered or reached is a distant space away from the secular world and creates aura as another level. The appreciators are intoxicated with the immortal land inside. This is a place with special joy that scholar-officials cannot find in their ordinary lives. This dong's physical basis is the 'mountains' and mental orientation is the 'immortal world'. Fifth, there is no physical boundary such as a fence or wall, but it is a psychological 'area' recognizing a selected place in the natural mountains as a 'single' space. And there is a gate to transform the space and it has its inner area. In the scholar-officials' travel writings, this area is defined as places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a space', 'an area', 'different world', 'immortal world', 'a space created by God', 'a space like a gourd bottle', 'distinctive space from the human world', 'Buddhist utopia', 'Daoistic utopia', 'hyundo', 'space beyond human power' and 'grotto as a phantom house'. Sixth, it has characteristics of Wonlim as an unusual space in that it accompanies acquisition of the ideal stage by physical movement and inward eyes, and it is a discovery of a new place for an individual. The performers rambling in the dong are scholar-officials, the Literati of the era. Texts they had access to ranges for Confucianism to Buddhism and Dao. Among different types of texts, inward eyes were created according to one's personal preference. This is appeared in scholar-officials' space appellations. In dong, Confucian ideals were expressed through Gugok九曲, but sometimes they appeared as complex ideal concepts that combined peach blossom land, the world in a gourd bottle and immortal world. Dong is a place of embodiment where these ideals are found, discovered and enjoyed. 이 연구에서는 전통시대 한국정원의 속성을 산과의 관계를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당시의 원림 개념은 경관을 만드는 행위造景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노닐고 경험하는 과정遊景을 통해서도 설명되어질 수 있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이때 사대부들의 유遊의 장소는 국내에 산재하는 산이었다. 산은 현실화된 이상향을 감춘 공간이자 성시城市의 반대항에 있는 자연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정원으로’ 인식된 산속의 공간은 인위적 조작이 없는 천연의 자연 속 한 구역이다. 한자를 사용하는 동아시아문화에서는 정원을 의미하는 용어로 ‘園’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정원은 ‘園林’ 혹은 ‘庭園’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현재 보존되어 온 국내의 전통정원은 ‘-園’의 명칭으로 남아있는 사례가 적다. 대신에 ‘-亭’, ‘-堂’, ‘-精舍’, ‘-樓’, ‘-軒’, ‘-山房’ 등 건조물을 중심으로 주변의 영역을 이루는 산수정원 혹은 별서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건조물의 점경点景을 중심으로 주변경관에 대한 심적인 경계를 이루는 정원이다. 이 심리적인 경계는 감상자의 유遊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유’에는 지식인으로서 사대부의 심안이 동반되었다. 뜰庭에 놓인 석가산, 꽃과 나무, 개인의 정원에 만든 원지園池는 모두 재현된 자연을 눈앞에 보이는 그대로 목도하는 것이 아닌 개개인의 마음속 이상과의 교융을 통해 감상되었다. 사대부의 유遊는 산으로 ‘들어가는’ 행위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산은 선비가 은일하는 공간이며 세속을 등진 은둔자가 머무는 공간이었다. 또한 신선세계와 같은 이상향이 숨겨진 공간으로 이계異界로서의 성격을 지녔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듬어지지 않은 천연의 자연으로 맹수와 해충이 창궐하는 야생의 공간이다. 범인이 함부로 드나들 수 없는 산은 신성한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공간에 머무는 인물은 신선과 같은 불멸의 존재로서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신선이 산다고 믿어진 깊은 산은 낙토와 복지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혹은 영산靈山과 명산名山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불온한 사회를 등진 고고한 선비, 도사나 처사가 은둔하는 장소가 되었다. 그리고 당시 사대부들에게는 출처지의出處之義의 소명과 은둔의 관념에 의해 ‘물러나 거하는’ 피세의 장소로 각인되기도 하였다. 더불어 산은 사대부로서 성시를 이탈한 삶이 이루어지는 산림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동시에 신선의 경지가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의미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산속에서 노닐고 경험한 장소를 사대부의 원림으로 해석하기 위해 이상향으로서 산의 경지를 구현하는 방식과 양상에 관해 살폈다. 이상향을 구현하기 위한 소망은 다양한 문화형태를 양산하였고 그 중 일부는 사대부의 원림문화를 형성하였다. 먼저, 사대부의 아호雅號 명명과 유산遊山을 바탕으로 이상경을 체현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사대부의 아호 중에는 산, 강, 골짜기, 계곡 등의 자연경관에 은일 혹은 은둔의 의미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이름이 있다. 해옹海翁, 둔옹遯翁, 운곡雲谷, 송곡松谷, 어은漁隱, 초은樵隱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골짜기를 뜻하는 용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사례들은 산악에서 은일하는 이상적 삶을 인물의 이름으로 부름으로써 그 자체를 체현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유산遊山은 산속으로 직접 들어가서 이상적인 경지를 체현하는 감상자의 실천적 태도이다. 이밖에도 산형山形을 만들거나 생활공간 안에 경관을 재현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축소된 산의 형상을 만들어서 연못이나 뜰에 둔 것을 가산假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구현의 방식 중 유산을 통해 산악의 경지를 체현하는 것과, 산형과 경관을 재현하는 것은 원림의 한 유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림은 심성수양을 위한 공간이거나 호중천지壺中天地의 미학을 체현하는 공간의 의미를 갖는다. 더불어 정원의 개념으로 인식된 자연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사대부 정원을 점경点景에 해당하는 가산, 이상적 산림경지를 재현한 원園, 자유로운 상상 속에서 구현한 의원意園, 원림으로 인식된 자연에 대한 4가지 범주 안에서 다루었다. 이중 자연 속 한 구역을 원림으로 인식하는 사대부의 실천적 태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관련 사례로는 동洞이라 명칭된 산속의 공간을 다루었다. 동은 비일상적인 경지를 주체자의 적극적인 탐승, 명명, 거주 등의 행위를 통해 현실화 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산악에서 발견한 현실을 이상향의 경지로 인식하는 체험의 과정이 포함된 것으로 현실과 이상을 동일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심적 경계를 통해 산속의 한 공간을 개인적 유오遊娛의 장소로 삼기도 하는데, 이는 원림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동洞을 ‘원림園林’과 ‘산山’, ‘이상향理想鄕’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았다. 동은 일반적으로 ‘마을’의 의미를 갖고 있으나, 행정구역상 의미로 명명된 것은 1910년 도령으로 기존의 동, 리, 촌의 폐분합치와 명칭 및 경계변경에 관한 내용이 공표된 이후의 일이다. 본래 동은 리, 촌 등과 같은 촌락단위에 대한 아칭雅稱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명칭은 고려시대 문헌에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동은 일반적 마을, 청학동이나 우복동과 같이 이상향과 현실 속 마을이 결합된 것, 삶의 공간이 아닌 개인의 유遊를 위한 장소의 의미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동을 일반적 ‘마을’의 의미보다는 산속에서 발견한 이상향과 같은 차원의 공간으로서 개인의 경험에 의해 기록되고 전승된 원림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원림으로서의 동은 현대에서도 그 의미가 유효한 유遊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선유동계곡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들은 지금도 일상을 벗어나 천연의 자연을 마주할 수 있는 현대인의 이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원림으로서 동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 사대부의 동 답사 기록洞記에 나타난 내용을 파악하였다. 기록된 내용상에는 산세와 주변경관에 관한 내용이 매우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반복적으로 설명되는 내용은 ‘시내를 따라 소요하였다’, ‘산길이 좁고 협착하였다’, ‘석문이 나타났다’, ‘문으로 들어가면 넓고 광활한 공간이 있다’, ‘내부는 비어있다’ 등이다. 또한 ‘산이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높고 깊다’, ‘험준하다’ 등의 설명이 뒤따른다. 이와 함께 동문洞門, 석문石門, 동부洞府, 동천洞天 등의 용어가 나타난다. 요컨대 동은 높고 깊은 험준한 바위산 골짜기 가운데 비어있는 한 공간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이계異界로 들어가는 문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산속의 동이 현실화된 이상향으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산속의 동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은 문門을 들어섬을 통한 공간전환의 ‘경험’, 경계를 설정하지 않은 ‘유’, 경관의 ‘발견’, ‘상상’, 자연물에 대한 ‘관찰’과 ‘명명’, 이상적 경지의 ‘체현’ 등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사대부들의 은일과 산놀이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그 과정에서 수많은 공간명명과 각자刻字를 남겼다. 이것은 구곡九曲으로 읊어지기도 했고 유가적인 이상과 신선관념이 결합된 복합적인 이상을 표현한 것이기도 했다. 바위글씨의 내용 가운데는 공간의 명칭, 노닐었던 사람들, 시구 등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이 갖는 원림으로서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첫째, 공간의 명칭을 갖는다. 산속의 한 구역으로 일정한 경계가 없으나 선별되고 인식된 장소로서 ‘별칭’되었다.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사람에 의해 같은 이름으로 불리거나 최초 발견한 사람이 명칭을 부여하였다. 선유동仙遊洞, 오선동五仙洞, 칠선동七仙洞, 은선동隱仙洞 등 신선관념과 관련된 명칭, 경관특성에 의한 명칭, 발견한 사람의 감흥이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명칭 등으로 다양하였다. 둘째, 탐승행위를 통해 해석되고 감상되는 공간이다. 산중의 동은 자유로운 경로로 소요하며 노닐 수 있는 공간으로 회유식回遊式 정원의 성격을 지닌다. 폭포와 소沼, 계류, 바위, 절벽 등의 자연물에 의해 구성된 공간에서 노닐고, 쉬며, 명명하고, 바위에 이름을 새기는 등刻字의 행위가 이루어진다. 셋째, 정자건축∙연못조성∙식재 등 조영행위가 이루어졌다. 경관해석 및 감상활동과 함께 장소 안에 거함을 통해 공간을 소유하고자 하는 구체적 행위가 동반되었다. 이것은 사대부 주택과 별서 등에 조성했던 원림을 산중 공간에 이루고자 한 것이다. 넷째, 신선세계라는 주제를 통해 발견하고, 감상하고, 경험하며 상상하는 일련의 과정이 동반되는 주제정원적 성격을 갖는다. 일상적 생활공간을 벗어난 산속은 신선세계라는 이계에 보다 가까운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동은 이 같은 산 가운데 인적이 드문 곳에 있었다. 이곳은 의도하지 않은 발견에 의해 도달할 수 있거나, 다다르기 위해 물을 건너고 산을 넘는 먼 길을 가야 했다. 또한 험준하고 비좁은 산길을 거쳐야만 나타났다. 이렇게 도달하거나 발견한 동은 인간세상에서 멀어진 공간으로 이계로서의 아우라를 형성한다. 감상자들은 그 안에서의 신선경에 도취된다. 이곳은 사대부로서의 일상적 삶에서 찾을 수 없는 특별한 즐거움이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동’의 물리적 기반은 ‘산’이며 정신적 지향은 ‘선계’이다. 다섯째, 울타리나 담장의 물리적 경계는 없으나 감상자의 심리적 경계에 의한 영역을 갖는다. 이 영역洞은 산수자연 속 선별된 장소로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동은 문門을 통해 공간의 전환을 맞이하고, 내부의 영역을 갖는다. 또한 사대부의 답사 기록 속에서 일국一局, 일구一區, 별세계, 선경, 조물자가 조성한 공간, 호리병 속과 같은 공간, 인간세계와 구별되는 곳, 낭원閬苑과 현도玄都, 인력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곳, 귀선鬼仙의 동굴 같은 곳, 신선구역의 복지 등 세속과는 구별되는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설명은 공통적으로 인간세계가 아닌 곳, 세상과 격리된 곳, 초월적 세계로서의 공간성격을 나타낸다. 다섯째, 이상향과 같은 공간 속에서 초월적 경지의 획득이 동반된다. 개인에게 새로운 장소의 ‘발견’이라는 점에서 비일상적 공간성격을 갖는다. 동에서 노니는 행위자들은 사대부로서 그 시대의 지식인이자 문인에 해당한다. 이들은 일상을 벗어난 산속 공간에서 그들이 지향하였던 경관을 발견하고 그 속에서 이상적 경지를 실현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때 사대부들이 인식하였던 텍스트경관은 유가儒家적인 것에서부터 불佛․도道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이것은 사대부들의 공간명명으로 나타난다. 유가적 이상은 동에서의 구곡을 통해 나타났으나, 도화원, 호중천, 선계 등이 혼합된 복합적 이상향 관념으로 드러나기도 하였다. 동은 이 같은 이상을 발견하고 누리는 체현의 장소이다. 또한 ‘산’이라고 하는 자연 속 한 구역을 이상향과 같은 경지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개개인이 마음으로 소유하고자 했던 장소이다. 더불어 공간의 발견, 감상, 경험, 상상, 조영, 거주 등의 행위에 의해 이상향과 같은 장소에서 바라마지 않는 이상적 경지를 체현하고자 하였던 산속의 원림이다.

      • 독일내 한국상징적 기념건축물 보존방안에 대한 연구

        박경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Korean Christian Church in Hawaii was built on April 24, 1938. The structure of the church took on the form of Gwanghwamun Gate, sangryu, in Seoul, Republic of Korea. This particular building, in terms of importance, has been a pivotal focus for many Korean style architecture outside of Korea as it is more than a religious space. It has been the symbo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ose who were homesic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hurch was Korea. It has been a space that symbolize a country that was denied of its identity and the first Korean style traditional architecture known as ‘Hanok’ outside of its own land. Since then, the Korean Government donated the ‘Hanguk-jeong’, another hanok in a foreign environment. This time it was built in Mexico City to commemorate the Summer Olympic Games. This particular hanok was built in 1968 and it is located in the Bosque de Chapultepec, Mexico City. In reality, this hanok was sent to Mexico City as a symbolic monument paying tribute to the descendants of Korean immigrants who left Korea on April 4, 1905 at Jemulpo Port. The British merchant ship, Ilford, carried some 1,033 Joseon people as immigrants. In 1974, the Korean traditional style bell tower was donated to America as a symbol of amicabl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particular architecture is located near the beach of San Pedro in Los Angeles, USA where the Korean population is mostly concentrated. The occasion commemorates 200 years of American Independence. The bell tower overlooks to Korea as the shores of the western beach directs toward the country. Korean immigrants living in the area longed for their birth land by looking toward it. The study focuses specifically on Korean traditional style architecture built outside of the country. They have symbolic meanings for immigrants, almost substituting their homeland. Seen from such a perspective, the role of these buildings have much significance. Toward the middle of the 1990s, regional governments become independ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nsequently pavilions, bell towers and more were built in many foreign environments outside of Korea.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expertise required to build such authentic features, there has been many drawbacks in terms of materials and management. Many have been left abandoned and therefore the buildings have deteriorated into hideous states. This study investigates on such phenomena in order to find ways to strategically and continuously manage the Korean architectural buildings in different places around the world. Such distinct architectural structures are a representation of a culture and a country. In order to maintain a cultural identity it is important to resolve such issues, even as a way of paying respect to the Korean immigrants. Many of the hanoks found in different places around the world began as symbolic national sites for Koreans living abroa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jority were don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fter 1995, as mentioned above, regional governments were decentralized and they began to broaden their perspectives beyond the domestic market. Their activities exceeded the local scene and they began to donate hanoks to different countries for economical exchanges and also as a symbol of the love for one’s homeland. Today, in many differ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ere there are sister citie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features have been included in Korean style gardens or in city gardens as a place for resting. In such places pavilions and other Korean features have been built. However entering into the year 2000,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ivilian contribution with much going beyond simple exchanges as the financial situation of Korea improved.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finally made a mark in the market and it no longer is simply a symbolic feature. The special phenomenon is that individuals are taking interest in hanok. Korea is rising as a strong cultural country with bands such as BTS taking the position of Number 1 on the Billboard Chart. They stand on a par with Beatles. Furthermore, ‘Parasite’ movie, directed by Joonho Bong, has won 4 Academy Awards. The Korean popular culture based on tradition in terms of dress, food, crafts and more are now enjoyed by a global audience. We have established a market. Korean hanok is also developing in this way. For civilians and individuals this is becoming a new field for exploration. This study has analyzed the hanoks of the past. The objective is to restore and repair existing ones for the image of the country. Keywords : Hanok Abroad, Korean Garden, Korean Pavilion, National Image, Exporting Hanok,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hanoks of the past. The objective is to restore and repair existing ones for the image of the country. 1938년 4월 24일 하와이에는 광화문을 모티브 삼아 성루형식의 하와이한인기독교회가 만들어지고, 종교 활동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민족적 상징의 공간으로써 구심적 역할을 한다. 일제강점기 모국의 그리움을 공감하는 공간으로, 잃어버린 나라의 상징으로 만들어진 공간은 이렇게 해외에서 처음 만들어진 한국적 전통건축물 ‘한옥’이 된다. 이후 해외한옥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을 앞두고 우리정부가 차폴테백 공원에 ‘한국정’을 기증한다. 이는 1905년 4월 4일 조선인 1033명이 영국 상선 일포드 호에 몸을 싣고 제물포항을 떠난 이민자와 그의 후손을 기리기 위한 상징물로 보내졌다. 또 1974년 미국독립 200주년을 기념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살고 있던 미국 LA의 산페드로 해변 한미 우정의 종각을 만들어 기증한다. 미국 서부 해변에서 서쪽 바다 넘어 고국을 향해 종각을 만들고 한국과 미국의 우정의 상징물로 만들고 이민자들의 향수를 상징하는 공간이 된다. 이렇게 해외 각지에 만들어지는 한옥은 그 의미를 두고 이민자들의 민족 또는 국가를 대신하는 의미성을 갖게 되는 공간과 상징의 역할을 하고 있다. 더욱이 1990년대 중반이 넘어서며 지방분권의 이뤄지며 지방자치단체의 활동은 국외로 나가 각 나라에 애향의 상징물로 정자, 누각, 종각 등이 만들게 된다. 그러나 해외에 만들어지는 한국적 전통건축물인 한옥은 전문인력, 재료 등의 부족과 관리 소홀로 인해 많은 곳에서 흉물로 전락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연구는 이러한 현상의 인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속적인 관리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가의 이미지 제고와 이민자의 상징물로 그 형상을 온전하게 유지하고자 함에 있다. 해외한옥은 일제강점기 민족적 거점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해 정부의 외교적 상징물로 기증되거나 설치되었다. 이후 1995년 지방분권이 시작되며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활동영역이 국외로까지 넓어지는 배경에서 경제교류와 애향의 상징물 등으로 만들어지고 기증하게 된다. 현재는 해외 각국에 한국정원을 만드는 부속 건물에서 부터 주요 자매결연 도시의 공원과 휴양지 등에 한국 정자, 종각, 누 등을 만들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간 활동의 교류가 증가하고 경제적 여건의 개선 등으로 많은 곳에서 상징의 역할을 넘어 소비시장의 구성으로 한국적 전통건축물인 한옥을 요구하는 시장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이민자의 경제적 수준과 민족적 향수를 공공의 공간에서 만족하지 않고 개인이 향유하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BTS의 음악이 발매 3주 만에 압도적인 호응으로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한건 유래가 없는 일로 이제는 비틀즈에 견주는 음악가로 자리하고 봉준호 감독은 영화 ‘기생충’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4관왕을 석권하며 문화강국으로의 진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 대중문화의 관심과 조명은 한국적이라는 정체성의 관심으로 이어지고 전통적인 옷, 음식 등 이 상품화되면서 각국의 현지에서 하나의 시장까지 구성됐다. 주거문화는 전통문화를 포괄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그 속에는 공예, 옷, 먹거리 등을 함께 표현한다. 한국적이라는 문화의 상징으로 말하는 공간은 해외 속 존재하는 한옥과 민간단체 및 개인까지 새롭게 만들어지는 한옥에서 그 정점을 이룰 듯하다. 과거 해외 각국에 만들어진 한옥과 새롭게 조영하려는 한옥, 이것에 대한 현상 분석과 통계는 기존의 공간을 관리하는 체계를 만들고 새롭게 조영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적 전통의 정체성을 통해 문화강국이라는 국가적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해외한옥의 체계적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이를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 정원문화 확산을 위한 시민정원사 양성 교육체계에 관한 연구

        오지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시민정원사는 식물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정원을 효과적으 로 조성ㆍ관리 및 보전ㆍ전시하기 위한 전문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을 말한다. 즉, 시민정원사는 전문성 확보를 위해 일정 수준의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체계화된 교육 운영 체계가 부재(不在)한 현시점에서 하나의 목표로 서로 다른 교육 수준의 시민정원사가 양성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교육 불 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행 교육체계의 분석과 진단을 통해 문제점을 적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산림청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내식물전문가 과정 운영계획」에 의해 국고 보조금 지원 사업으로 선정된 지방자치단체가 위탁 운영한 시민정원사 양성과정의 운영 실태와 교육만족도를 비교ㆍ분석하고, 교육과정의 운영 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정 수준의 전문지식을 지닌 시민정원사 양성을 위한 교육 보편화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시민정원사가 현장의 직무 수행을 위해 반드시 습득해야 할 기본 지식, 기술, 태도 등 필요한 능력을 설정하고, 과정별로 학습해야 할 능력 단위를 규정한 커리큘럼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필수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공통 교재의 개발과 보급 사업이 병행 되어야 한다. 교육생들에게 안정된 실습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시·군과 교육기관의 협의를 통해 가용부지의 발굴과 지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생 선발과 수료 인정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가 필요하다. 교육생 선발의 심사기준을 일원화하여 객관적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육을 인정하는 수료 기준을 다양화하여 평가결과의 공정성을 제고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료와 미수료, 인증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비상시 대체 교육방식 발굴 및 교육생 관리를 통한 인적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과 같이 비상시 대체 교육수단으로 온라인 교육의 적극적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이에 대비한 교육 매뉴얼을 제작해야 한다. 온라인 교육은 지역적 문제로 강사 수급이 어려운 기관에 역량 있는 강사를 제공하는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은 교육생에게는 인적네트워크의 장으로, 수료생에게는 다양한 일자리 및 정원 사업 동향 등 정보 공유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은 시민정원사 양성의 목표와 목적 그리고 수료생의 활동 범위에 따라 수준별·단계별로 구분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역자치단체 또는 국가기관이 주도하는 정기적인 전문과정의 확대 운영이 필요하다. 향후 시민정원사 양성과정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시민정원사 양성과정 운영을 위한 통합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하여 국고보조금 등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사업의 구조에 따라 산림청 등 국가는 사업의 운영 관리를 주관해야 한다. 특히, 국고보조금 지원을 받은 지방자치단체 또는 교육기관에 대해서는 수행 과정과 운영 결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평가를 통해 운영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우수 과정을 선별·보급하는 등 효율적 운영을 도모해야 한다. 나아가 정원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시민정원사의 활동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시민정원사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다양한 형태의 정원과 국민을 연결 해주는 역할을 한다. 공공의 목적으로 조성·이용하는 정원관리 등에 필요한 인력으로 매년 상당수의 시민정원사가 양성·배출되고 있다. 시민정원사 활동 영역의 확대를 통해 정원문화 확산을 도모하는 것 또한 시민정원사의 역할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시민정원사로서 활동하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본 연구는 특정 지방자치단체에 한정되어 시민정원사 양성과정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전국에 있는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동시기에 운영한 시민정원사 양성과정의 운영 실태와 교육만족도를 비교ㆍ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다만, 국고 보조 사업으로 선정된 교육기관만을 대상으로 하여 보조 사업에서 제시하는 운영기준의 통용에 대한 미흡한 점이 있다. 향후 본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교육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확대하고, 시민 정원사 양성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침 마련 등 실질적인 제도 개선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