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대학원 학생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학생복지서비스의 영향을 중심으로

        윤병목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Students in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have higher and diverse needs with the improvement of universal standards of living, but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did not provide enough welfare services for students as main body of operation. Especially welfare factors can enhanc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improve quality of life as a student. In the future the operations of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are reflected in for this policy implications which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the specialized 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welfare service experience ? Second, how about the specialized graduate students'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Third, do the specialized 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welfare service experie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m selv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 from April 14 to 30, e-mail sent out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7 days through the help of student council executives and representatives of each department, the answer sheets from 239 respondents among 250 people including recent graduates were gathered, 235 sheets were conduct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ing,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below. Student welfare service satisfaction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 family life ' , ' education ' ,' economic and labor ' , 'social welfare and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al' quality of life except 'culture of life '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operational policy measures of the school authorities presented below. 1. Aspect of welfare improvement First, the expansion of scholarships relieve the economic burden of student ,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 life and economic, labor as the components of quality of life Second, the improvement of classroom and library, extension of library hours enhance the learning environment to students, accordingly they can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health. Third, othe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facilities ensure safety and good environment to students in school, accordingly they can improve the quality of safety and environment. 2. In terms of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officials and student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chool authorities and the student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pecial graduate students.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on welfare service and limited hours, or the use of existing welfare facilities mainly operates at day, the students which are studying at night are in discomfort. Regular meetings between school authorities and the student government organization, institutional arrangements which collect the proposals should be provided. The results of the meeting, informing and availing the welfare services to students through the active promotion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3. Aspects of a student's participation in an autonomous manner Participation should be increased for students' awareness and improvement of welfare services, Satisfaction of welfare services for students has the loyalty to the school and it can appear a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s reputation. Autonomous learning of the Welfare services' importance is a necessary project for students. During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life, a active life attitude and actions are n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welfare services by your own efforts. 특수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의 관점에서 학교사회복지차원의 복지요인이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고, 학생 신분으로서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제도라고 판단한다. 본 연구는 향후에 본 논문의 주제 연구 결과가 특수대학원 운영에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의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대학원생들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특수대학원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어떠한가? 셋째, 특수대학원생들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만족도는 이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상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재학생과 최근 졸업자 250명을 대상으로 4월 14일부터 30일까지 약 17일 간 이메일 발송과 원우회 임원, 각 학과 대표의 도움을 통하여 질문지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39부 중 불성실한 응답자 4부를 제외한 235부를 요인분석, 신뢰도검사,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제시된 연구문제에 대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복지서비스 만족은 '가족생활의 삶의 질', '교육의 삶의 질', '경제노동의 삶의 질', '사회복지․보건의 삶의 질','안전․환경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문화생활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 당국의 운영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복지서비스 개선 측면 첫째, 장학금 확대는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편의시설 개선 및 확대는 학교생활의 안락함을 향상시킴으로 삶의 질의 구성 요소인 가족생활과 경제․노동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둘째, 강의실 시설개선과 도서실 개선 및 시간 연장은 학생들에게 학습 여건을 향상시킴으로 삶의 질의 구성 요소인 교육과 사회복지․보건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셋째, 기타환경시설 개선 및 확대는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있어서 안전과 좋은 환경을 보장함으로 삶의 질의 구성 요소인 안전․환경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2. 학교 당국과 학생 사이의 소통측면 특수대학원 학생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편으로는 학교 당국과 학생들 간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 부족과 이용시간 제한으로 인하여 야간 이용 시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점이다. 학교 당국과 학생 자치기구인 원우회가 정기적인 회의를 통한 학생들의 건의를 수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회의 결과에 따른 의사결정에 대하여는 재학생들에게 복지서비스 이용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알리고 이용하도록 하는 일이 학생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3. 학생의 자율적 태도와 참여측면 학생들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삶의 질도 높아 질 수 있다. 즉 학생들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학교에 대한 충성도와 학교의 명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가 있다는 점이다. 복지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자율적인 학습은 학생들에게는 필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일정 기간에 걸쳐서 특수대학원 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학생 본인 스스로 학생복지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적극적인 삶의 자세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행동이 필요할 것이다.

      • 공공교향악단의 운영개선방향 : KBS교향악단을 중심으로

        정구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공공 교향악단의 운영 개선 방향 - KBS교향악단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관광문화학과(공연행정) 석사과정 정 구 성 본 논문은 KBS교향악단이 나아가야할 미래지향적 방안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동양 교향악단의 선두 주자이면서 공영 방송 NHK가 지원하는 NHK교향악단과 최근 법인으로 변모하여 한국 교향악단의 새로운 모델로 부상하고 있는 서울시립교향악단에 대한 조직의 구성, 운영 방침 그리고 최근의 경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KBS교향악단의 나아갈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NHK교향악단은 명실상부한 일본 최고의 교향악단으로 자리매김을 하였으며,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도 Top Class에 속한 교향악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세계적인 경제 불황으로 인해 NHK교향악단 역시 어려운 시간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확고부동한 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NHK교향악단의 운영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2005년 6월 재단법인 서울시립교향악단으로 독립하며 새로이 조직 체계를 개편하였다.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로의 도약을 위해 오케스트라의 기본과 방향을 새로이 정립하고, 단원 전면 오디션을 통해 최고의 기량을 갖춘 연주자들로 조직을 재정비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교향악단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최근 행보를 살펴봄으로서 KBS교향악단이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KBS교향악단이 시대적 요구와 현실적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선 조직의 체계화와 전문화가 선행 되어야 한다. 특히, 조직의 횡적 전개를 통한 조직의 간소화와 전문화는 빠른 의사 결정과 조직 운영의 효율 극대화를 가져 올 것이다. 안정된 수익 구조의 창출을 통한 재원의 다양화 역시 KBS교향악단이 개선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 KBS교향악단은 수입의 대부분을 KBS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KBS교향악단의 의사결정이 결코 KBS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자립적 업무 추진의 한계가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사회와 단절된 소통의 활로를 모색하는 것 역시 중요한 문제이다. KBS교향악단이 청중과 함께 호흡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한 청중과의 소통을 통해 청중에게 다가가는 적극적인 행동의 전환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KBS교향악단의 내재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한 단계 도약을 위해 이제는 법인화를 통한 독립을 모색할 때이다. KBS교향악단은 더 이상 거대한 조직의 한 부서로서가 아닌, 그 예술성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조직체로 변모해야 한다. 핵심어 : 교향악단, NHK교향악단, 서울시립교향악단, KBS교향악단 A Study on How to Improve Management of the Public Symphony Orchestra - Case Study for KBS Symphony Orchestra - Koosung Jung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This thesis is a study on how KBS Symphony Orchestra need to proceed for future-oriented development. Two models are investigated which is NHK Symphony Orchestra, one of the best orchestra in Asia supported by Japanese public service broadcaster NHK, and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recently reorganized into an incorporation aiming for an innovative model in Korean orchestra territo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field of organization, operation policies, and management conditions. NHK Symphony Orchestra is positioned as not only the best orchestra in Japan but also one of the top class orchestra worldwide. Even though NHK Symphony Orchestra has been going through global economic crises recent days, still its renowned position remains steadfast thanks to its management strategies, which will be covered by this dissertation.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was independently incorporated in June 2005, also it executed an extensive audition to reorganize the orchestra members with best capacities through which it shed the new light on how to manage human resources. By contemplating Seoul Philharmonic Orchestra’s pioneering steps, this essay suggest several improvement KBS Symphony Orchestra could make. For KBS Symphony Orchestra to be more adaptive to epochal demands and changes, the most preceding issue is systemat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organization itself. Particularly, simplification with specialty through horizontal deployment of the orchestra will be beneficial for more rapid decision-making and magnify the efficient management. Diversifi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hrough secured revenue generation is also a significant matter. Until now, most of KBS Symphony Orchestra’s revenue comes from KBS’s budget, therefore it never can be free of KBS management’s decisions. This entails inevitable limitation of independent performances of KBS Symphony Orchestra. Last but not least, KBS Symphony Orchestra needs to find out ways to communicate audiences. It is crucial to grasp what’s audiences needs are, and how to breathe with audiences. For this to be accomplished, more active approaches to audiences should be executed. Most of all, it is now the time to consider an independence of KBS Symphony Orchestra through incorporation to solve its intrinsic ultimate issues. This is the time KBS Symphony Orchestra needs to be self-determined organization for its full manifestation of art, not just one part of a gigantic media conglomerate. Key Words : Orchestra, NHK Symphony Orchestra,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KBS Symphony Orchestra

      •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 투어 앱 제작 : Establishment of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유미희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대학 캠퍼스에 오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 녹지의 수목, 식물의 사계절을 체험하게 하여 학생들의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아름다운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를 사진과 영상으로 제작한 앱으로 간접 체험함으로써 서울시립대학교 구성원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녹지 투어 앱에 관한 설문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앱 제작의 기획 단계에 적용하여 제작 범위와 내용설정에 반영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2020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카메라와 드론, 액션캠 등을 사용하여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내 수목과 식물을 4천 장의 자료사진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만드는 이미지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구성 내용으로 계절별 캠퍼스 풍경을 담은 계절 이야기, 수목으로 이루어진 산책길 이야기, 다양한 테마로 구성된 정원 이야기, 오래되고 아름다운 나무 이야기 등이다. 사진 이미지와 함께 드론과 스트리밍 액션캠을 사용한 영상 이미지를 추가 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모든 자료와 조사된 내용을 기반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진화시킬 수 있는 형태의 모바일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게시판의 기능을 링크와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구성 제작하였다. 주요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코로나19, 녹지 투어, 대학 캠퍼스, 소통과 치유, ABSTRACT Since early 2020,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come to the university campus due to COVID-19. Except for the special occasions, e.g. midterm and final exams, most of the lectures were done untact, which made students lose sense of belong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beautiful campus greenery.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so that all members of the university can communicate under untact situation COVID-19 caused. Scope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was decid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by some 20 students. Some 4,000 image materials of the campus greenery were prepared by cameras, drones and action cams from June 2020 to November 2021. A homepage and a mobile applic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mage materials. The main compositions of the application include stories of seasonal campus landscapes, tree-based walks, old and beautiful trees, and garden stories with various themes. This mobile application and the homepage would be a starting point for green cummunications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Seoul. Key words: application, homepage, COVID-19, campus green, communication

      •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 탐색 - COVID-19로 인한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

        이소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COVID-19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에 따른 수업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직장인 교육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두 가지 측면의 특이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개별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으로 학습자 간 단절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수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고 있었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 역할에 대한 중심 공간인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이 사라졌고, 이 때문에 각자 공간을 확보하여 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학교 외 공간에서의 수업은 접근성의 확대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용이함을 주었지만, 학생으로서 수업의 몰입을 어렵게 했고 대학원생이라는 인식도 옅어지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갑작스럽게 도입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방식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공간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COVID-19의 상황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실행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 간 분리된 공간에서 수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 커뮤니티 형성이 어려워졌고, 발표와 토론이 많은 수업에 대한 참여의 비적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수업방식에 각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수업의 집중이 떨어졌다. 둘째, 학교 공간은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라는 의미 이상의 학생이라는 역할 인식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대면 수업의 학교 공간은 직장과 가정에서 분리되어 학생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였다.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학생으로서 역할 전환을 경험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은 불안정한 공간에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수업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수업방식과 수업공간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와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원격 수업이 아닌 COVID-19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임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공간과 학습에 관한 심도 있는 탐색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수업공간을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roo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and  space  of  worker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eculiarities of two aspects in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irst, students experienced disconnection between learner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in individual spaces, which limi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the school, which is the central space for the student's role as a worker adult learner, disappeared, and for this reason,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their own space. Classes  outside  of  school  provided  ease  of  access  to  the various  roles  of worker  adult  learners,  bu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lass  and  diminished  the perception  of  being  a  graduate  studen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s i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introduce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worker  adult learners adapting to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method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how do adult learners of workers experiences changes in the classroom space due to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that  experienc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was  made  in  a  class  participation  method  in  a  space  separated  between  learners. This made it difficult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activity of participation in classes of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ppear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each to adjust to the new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class was reduced. Second, the school space was a factor that affected students' role recognition and immersion beyond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classe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the school's face-to-face classroom space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focus on student roles, separated from work and home. By sharing a space with members, they had conversations related to the school, exchanged information, and naturally experienced a role changes as a student.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workers  adult  learners  as  students  by  participating  in  classes  of  an  unstable  space  with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can help adult learners who play multiple rol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space and class methods by exploring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focusing on changes in class space that have not been noticed until now.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Also, let me clarify that this is a study o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not general remote classes. Finally,  if  we  suggest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tudents  and  study  the  various  class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 Seco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a class space suitable for in-depth exploration of class space and learning an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 大學路內 文化施設 特化現狀에 관한 硏究 : 小公演場의 立地特性과 類型分化를 中心으로

        허윤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범지구화시대에 이르러 세계 전 지역의 생활양상이나 공간이 보편화되면서, 각 지방정부들은 제 공간의 차별화를 지역개발전략으로 내세우게 되었고, 그 결과 지역에 특화된 자원이나 업종에 지대한 관심을 두게 되었다. 또한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문화시설의 하나인, 소공연장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대학로를 이해하는 중요한 테제를 공연장 특화로 보고, 특화의 과정에서 공연장들의 입지변화와 동업종 및 타업종과의 연계에 대한 유형별 입장차이를 중점 연구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대학로 공연장 특화과정이 생태계 원리로 설명됨을 목격하여, 홀리의 적응, 성장, 진화 3단계 이론으로 해석한다. 따라서 크게 두 가지 분석이 진행된다. 하나는 생태학적 시각으로 조명해 본 대학로내 소공연장의 특화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크게 3기에 걸쳐서 4가지 유형간의 경쟁과 적응과정으로 형성되는데, 우선 4가지의 유형분류는 임대형태, 공연장 운영형태, 공연프로그램형식에 따라 구분된다. 유형I은 소유, 복합상업공간, 아동극을 포함한 순수 주류연극을 상연하며, 유형II는 공연프로그램은 유형I과 동일하지만, 임대형식으로 공연장만 운영하고, 유형III과 IV는 공연장만 임대운영하되, 각각 상업적 성인극과 뮤지컬?콘서트로 구분되는 비주류의 공연물을 상연한다. 제1기는 자생가능한 복합상업용도인 유형I과 다수의 공연장들이 군집을 이루는 초기 적응단계이다. 주말 '차없는 거리'를 시행하는 등 문화거리 조성의 의지를 보이면서, 타지역에 비해 비교적 규제가 적은 안정성과, 지하철 4호선 개통의 교통효율성이 이점으로 작용했고, 주로 신축건물의 지하용도로 개관한다. 제2기는 서울시내 전역의 공연장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군집을 통한 안정성 확보를 위해 공연장들이 대학로로 이전하고, 계속적으로 수적 증가를 경험, 최대의 성장단계이며, 경쟁이 강화된 시기이다. 경쟁의 과정에서 유형이 분화되기 시작되며, I을 제외한 모든 유형이 나타난다. 유형II와 III의 대립이 극명하며, 유형III은 후면에 영역을 이루고 있다. 기존건물을 불법 개조하는 형식이었다. 제3기는 2기의 양상이 지속되며, 타업종과의 보완성이 우세한 시기이다. 경쟁에서 도태된 유형II가 폐관하거나 유형III으로 인수?재개관하고, 수적 증가가 완화되어 균형을 이룬다. 유형II뿐만 아니라 유형I도 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입지변화는 아니지만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공연프로그램을 상업화하는 등 개체진화를 통해, 지역구조에 적응하는 진화단계이다. 이러한 연속적인 일련의 현상들은 각각의 유형들이 효율성, 안정성, 보완성을 추구하기 위해 군집을 형성하는 과정에 발생한다. 안정성과 보완성은 동업종 및 타업종과의 연계를 통해 획득하는 집적이익인데, 바로 각 유형이 이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어 시기 적절하게 적응해 가기 때문이다. 대상지의 교통접근 효율성 등 도심으로서의 이점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긍정하고 있지만, 연계성에 대한 입장들은 각각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논문의 두 번째 분석내용은 위의 세 가지 집적이익에 대한 소공연장들의 유형별 입장분화이다. 유형I은 안정성이 없다고 대답한 반면, 보완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따라서 유흥업종이나, 이용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이전이 가능하지만, 극장을 소유하고 있어서 기존의 입지를 고수하려고 한다. 유형II는 제1기와 2기로 나뉘어져, I기에 생성된 것들은 비록 유흥업종과의 보완효과는 없지만, 장소이미지상, 업무협조상 안정적임을 모두 긍정하기 때문에 이전의사가 없다. 이에 비해 2?3기에 생성된 유형II는 안정성도 얻지 못하며, 보완성도 가지지 못해 대학로 지역의 입지가 다소 불안정적이며, 타지역으로의 이전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형III은 안정성 항목 중에서 업무협조 효과는 부정, 장소이미지 항목은 긍정하였다. 보완성에 있어서는 유흥업종을 이용하는 유동인구를 중요한 잠재고객으로 이정, 긍정적인 입장이다. 유형IV도 III과 같은 양상을 띤다. 물리적 현상 파악의 근간에, 이러한 지역형성의 배경 및 내부특성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시설확충에만 편중된 정부의 문화정책에 공간점유 주체들간의 미시적인 관계를 반영할 수 있고, 참여와 소통을 통해 보다 유연적, 현실적인 계획대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As transport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accelerates 'the globalization', all of the world become similar places without characteristics, in landscapes, urban functions, and life styles. Regional governments are interested in the specialized urban functions as the regional resources. The cultural industry became the important regional economic mecha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ation focus on the small theatres (the small performing art facilities) located in Daehak street, Seoul. Progressing the study, I've taken notice that the process of specialization resembled that of ecosystem. It follows Hawley's evolution theory which defines cycle of ecosystem shch the three steps as adaption, growth, and evolution. I utilized two analyses to explain explicitly the regional condition in Daehak street; First, the historical analysis of the process of specialization is performed at the sense of ecological sight. The theatres are formed to four patterns through three steps. I used the three items to classify the theaters ; the rent type, management type, and program type. Pattern I: own, mixed-commercial function, classic program Pattern II: rent, only theatre, classic program Pattern III: rent, only theatre, commercial program(comedy etc.) Pattern IV: rent, only theatre, the others(musical, concert) In the first term, the adaption step, pattern I and some theaters were organized to a group in Daehak street gradually. Subway, weekends 'car free', small regulation. etc., many variables propelled gathering the theaters. In the second term, the growth step, all patterns exception pattern I appeared. As the agglomeration increased, the group of the theatres in Daehak street was in the highest growth and divided into several small clusters which territorialized owns. Between pattern II and pattern III, the confliction was intensified. The third term was the evolution step. This term's phenomenon looks like the prior term. Patter II in the second term closed or reopened as patter III. No more theater increasing, the region entered the balanced condition. To get advantageous position in competition, pattern I somewhat changed its program to pattern III's. Second, the situational analysis investigates carefully interactions among the patterns. Each pattern reveals the difference of position on the agglomeration. The profit of agglomeration is classified into efficiency, stability acquired in the relation with similar functions, and complement from different function. Though all patterns affirm that there is efficiency, they express different opinions whether they can possess the others in this street or not. Pattern I said, "not stability but complement". It tends to adhere to its location, for their own theatre. While pattern II in the first term has negative position to admit the complement, it admits that there is stability. Pattern II in other terms sticks to the position. "not stability, no complement in this street". It is meditating the movement to Sinchon or Kangnam. Pattern III denies co-operation with theaters, but it affirms the cultural identity (they are the items of stability) as the image of Daehak street. It is in a positive position to acquire the complement effect. Pattern IV is the same position as pattern III. The regional planning has to be based on various interactions among the micro actors in the region, to compose more flexible and applicable alternatives.

      • 신문을 통해 본 조경의 정책과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김효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 문 초 록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리우선언과 웰빙개념의 등장을 통해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쾌적한 자연환경 및 여가공간에 대한 도시주민들의 욕구 또한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급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방자치제 이후 민선시장들은 공원녹지정책을 통해 도시내의 공원녹지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시내의 녹지 확대와 시민참여를 통한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공원녹지정책은 주로 도시계획 수립시 계획가․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공원녹지배치가 이루어지고, 행정은 이러한 계획에 따라 도시공원법상의 1인당 공원녹지면적을 충족하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어 가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 중의 하나인 조경에 대해 보다 능동적․적극적인 행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도시민의 조경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이에 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민이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현실을 인식하기보다는 매스미디어중의 하나인 신문에 의존하여 현실세계를 보는 경우가 많고 특히, 정책이 도시민의 인식에 기초하여 수립되기도 하지만 정책이 신문에 홍보됨으로 해서 도시민의 인식제고와 참여를 촉구하기도 하여 일반 시민여론 내지 인식이 신문기사를 통해 집약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문기사의 분석을 통해서 지방자치를 전후한 조경의 정책과 도시민들의 인식변화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지방자치제도를 수립한 1995년 전후 5년과 민선시장에 의해 공원녹지정책이 활발하였던 기간을 포함한 총 16년 동안의 기간(1990~2005)이며, 내용적 범위는 신문기사 중 조경관련 특집․연재․사설기사를 대상으로 정책과 시민인식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삼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얻고 각 대학 및 특수대학원의 교과과정의 키워드를 선정하여 신문검색을 통해 전체 경향분석과 키워드별 빈도 및 내용분석을 통해 시정단계별 조경의 정책과 인식변화의 해석 및 전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적으로 제시하면 먼저, 1단계(민선이전)에는 녹지파괴에 따른 녹지 및 공원의 보호 및 확충을 의식하여 녹지, 공원의 키워드가 주를 이루고 여기에 자연경관, 원형경관, 하천경관, 도시경관을 의미하는 경관이 남산경관회복사업의 일환인 외인아파트 철거에 의해서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1단계에서는 국가 정책적으로 도시공원, 녹지 및 도시경관개선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도시공원 및 녹지가 중요도시정책이슈로 등장하였다. 2단계(민선1기)에서는 지방자치제도를 통한 민선시장의 「공원녹지 확충 5개년계획」을 통해 공원 및 녹지조성과 많은 이전적지들의 공원화 사업으로 공원 및 녹지의 키워드가 증가하였고, 도시의 오염된 하천의 생태적 복원사업으로 생태키워드가 증가하였다. 또한 조망상태에 따른 아파트 가격 차이와 조망권 침해소송 등 경관이 조망권이라는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즉, 민선시대 초반에는 공원녹지 및 경관에 대한 시민인식 증진이 이루어졌고, 시민참여 증대와 생태공원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시민운동에 의해 담장허물기, 걷고싶은거리, 마을마당 등 기존 공원녹지 개념이 확장되었다. 3단계(민선2기)에서는 공원, 생태, 녹지, 경관, 여가의 키워드가 주를 이루었고 2단계에 착공된 이전적지 공원들이 개장하면서 언론의 조명을 받았다. 특히, 「생명의 나무 1000만 그루심기」정책 사업을 통해 생활주변녹화, 희망의 숲 조성사업, 숲속여행 프로그램 등 시민 참여형 녹화운동이 증가하여 시민참여활동이 본격화 되었다. 마지막 4단계(민선3기)에서는 공원, 복원, 여가, 생태, 녹지, 경관의 키워드가 나타났고, 공원은 생태공원, 옥상공원, 농업공원, 학교공원화 등의 내용이 나타났다. 특히, 청계천복원을 통해 복원의 키워드가 급증하였고 주5일 근무제의 실시로 인한 여가시간 및 활동량이 증가하여 각종 테마파크, 관광사업 등 여가의 키워드가 증가했다. 이 단계에서는 「생활권녹지 100만평 늘리기정책」사업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와 협력으로 본격적인 시민사회가 도래하였다. 한편,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시민들의 응원문화 욕구가 증가하여 서울광장이 조성되었으며, 2003년에는 시민단체와 시민사회가 파트너쉽 형태로 참여하여 서울 그린트러스트가 창립되었다. 특히 웰빙개념의 유행과 주 5일 근무제 실시를 통해 여가공간의 요구도가 증가하였고 푸른도시국이 신설되었으며, 조망경관의 가치인식이 급속히 확산되었고 환경인식이 질적으로 심화 되고 다변화 되었다. 이처럼 1~4단계에서 정책 및 인식변화는 생태적인 접근, 공급효율적인 접근, 도시경관적인 접근, 시민 참여적인 접근등 다차원적인 접근의 수요가 나타나게 되었으며 특히, 조경관련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시민의 참여와 협력은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객관성 있고 타당성 있는 조사를 통해서 시민수요의 파악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 신문으로 발행부수와 데이터베이스 구축환경이 가장 양호한 조선일보를 선택하였지만, 이 신문이 한국 신문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어 더욱 완성도 있는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신문의 분석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신문을 통해서 조경의 정책 및 인식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조경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전국의 각 대학 및 특수대학원의 교과과정에서 선정하였다. 하지만, 대학과 특수대학원이 일반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조경의 경향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업계 및 사회에서 사용되는 키워드를 종합하여 선정하는 객관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변화되는 사회적 상황과 외적 요구에 의해서 조경이 양적․질적 성장과 변화를 이루어져 왔으며, 이에 따라 도시민의 인식과 지자체의 정책이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가를 여론매체인 신문기사를 통해 해석하고 전망하였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시민참여시대 오픈 스페이스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주요어 : 신문, 공원녹지정책, 인식변화, 조경

      • 대학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특성과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학생의 인식과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윤현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고, 서울시립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인식 및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나아가 자료에 대한 조사 및 설문분석을 토대로 대학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찾아내어 대학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 경험자에게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대해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을 발견하였다. 이는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프로그램 시행에 더 긍정적으로 작용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나아가 새로이 시도되는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이 더 탄력을 받아 활성화될 수 있으리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현재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참여율은 매우 낮은 편으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내용 면에서 대학의 차별화되고 특화된 문화프로그램의 시행이 필요하다. 여러 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면, 비슷한 유형의 프로그램들이 특별히 대학별로 차별화되지 않고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이라는 특수성에 맞게 대학 내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는 프로그램,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프로그램, 20대 계층을 위한 문화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홍보의 다양화와 전문화가 필요하다. 설문에서도 나타났듯이, 응답자가 문화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가장 주된 이유는 ‘홍보 미비’였고, 개별 프로그램의 세부 만족도 중에서도 ‘홍보’ 부분의 만족도가 가장 떨어졌다. 홍보를 더 다양화하고,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홍보를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야 한다. 문화프로그램의 일방적인 시행은 이용자의 외면을 가져온다. 프로그램의 기획 및 평가 단계에서 설문지나 기타 채널을 통해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만의 차별화되고 특화된 콘텐츠로, 다양한 홍보활동을 해 나가며, 항상 이용자와 소통하는 것이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나가는 방안이 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culture programs provided by universities in general, and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for the programs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Seoul, in specific.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it analyze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programs of universities and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better service. By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found that university culture programs were more favored and positively responded by experienced users, which implied that program providers should try to raise the participatory ratio and make efforts for providing new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audience, say participatory ratio for the the university culture programs, research suggests three policy directions. First, culture programs should be customized and fill the niche for demand of the university students. By fully utilizing university infrastructure, reflect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demands of the young generation, mainly in their twenties, culture programs can approach more closely to the audience. Second, various and specialized promotion channels are prepared. Mos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respondents depicted ‘poor promotion’ was the main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the culture programs.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promotion’ was the lowest. Third, university libraries should arrange channels to reflect the demands of the student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say from planning phase of the culture programs to evaluation phase, the needs of the potential audience should be collected, analyzed, and reflected on the programs. By utilizing the specialities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generation at the universities and well-promoted customized culture programs would meet the demands of the members of universities.

      • 전기차 급속충전소의 최적 입지 선정 연구

        김지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demand for charging EV(Electric Vehicle)s increases, complaints about the lack of charging stations are growing. Howeve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install and supply charging stati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o determine a location to installing fast charging stations.Many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dtermine appropriate location for fast charging stations due these significantly large electronic power load. So far, easiness to install them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of consideration for the location determination, This is why the place where the most of fast charging stations has been installed is the public parking lot, which is easy to install. However, such a way to determine the location could make EV users to experience inconvenience in using charging stations which may far from their ideal location. Those results of a survey intended for commuters in Seoul showed that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was the lack of charging infrastructure. To solve these problems, existing literature was reviewed. In conventional studies didn't consider existing charging stations in analyzing actual target sites or use optimization algorithms, and overseas studies showed characteristic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domestic environment or applied optimization method to toy networks.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ethod for selecting locations through Composite Indicator and conducted an optimal location selection analysis in Seoul. The factors us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were applied to calculate the IP(installation potential) score by using the Composite Indicator. The higher IP scores, the more disproportionate the point of demand and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charging station. The optimization is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 by minimizing the sum of the IP scores. In order to utilize the previously derived evalua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data were processed in the form of 500m square cells using Open API or QGIS. weights of the factors were calculated through AHP when evaluating the IP scores. According to the location determination based on existing charging stations in Seoul, the location (the square cell) with the high IP scores is located nearby the main street, place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 large floor area, and places with long distance for the nearest charging station. If 189 existing charging stations were relocated according to optimization, the sum of IP scores of the existing fast charging stations decreased by 14.1%. It showed that the location of the existing fast charging stations was determined without consideration of charging demand or convenience of us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P scores of relocation was quantitatively identified, and the distance from the nearest charging station throughout Seoul decreased from 1.1 km to 0.8 km on average, expanding accessibility to charging stations. It is assumed the analysis was supposed to relocate the existing fast charging stations. but, relocating the fast charging station is not feasible because it costs as much as new one. Therefore, I analyzed how many charging station should be installed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the relocation. The optimized location was determined based on the assumption of installing one to four new charging stations in each district, and the total IP scores was compared. As a result, one charging station for each district should be installed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the relocation, and the more charging stations, the less total IP scores of Seoul. It wa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an appropriate location by applying optimization techniques and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cision making whe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fast charging stations. 전기차 충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수록 충전소 부족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으나 충전소를 단기간에 설치하여 공급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충전소 설치 시 입지확보가 어려우며 급속충전소의 경우 전력부하가 크기 때문에 입지 선정에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서울시 내 급속충전소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곳은 공영주차장으로 입지선정에 가장 크게 관여해왔던 것은 설치의 용이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전기차 이용자가 충전하고자 하는 장소와 충전소가 설치되는 장소가 다를 수 있으며 실제 충전소를 이용할 때 이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달라 이용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실제로 서울시 통근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충전인프라 부족에 따른 문제가 가장 큰 문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문헌 검토를 하였다. 기존 국내연구에서는 실제 대상지를 분석함에 있어 기존 충전소를 고려하지 않거나 최적화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었고 해외 연구의 경우 토이네트워크에 적용하거나 국내환경과는 다른 특성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중평균점수를 이용해 입지를 선정하는 연구방법을 수립하여 서울시를 대상으로 최적의 입지선정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존문헌 사용되었던 입지선정 영향 평가요소를 가중평균 합산하여 이를 입지잠재력점수라 정의하였다. 입지잠재력점수가 높을수록 수요발생지점과 충전소의 설치지점이 불균형한 것으로 최적화 시 점수의 합을 최소화하여 최적입지를 선정하는 분석을 수행하였다. 앞서 도출한 평가방법을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Open API나 GIS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존문헌에서 사용한 500m 셀의 형태로 데이터를 가공하였으며 가중평균점수 산정 시 AHP를 통해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기존 충전소에 따른 서울시 급속충전소 입지분석 결과, 입지잠재력점수가 상위권에 위치한 입지(셀)는 인근에 번화가가 있어 유동인구가 많고 건축물 연면적의 합이 크며 가장 가까운 충전소가 멀리 떨어져 있었다. 기존 충전소 189개소를 입지조건에 따라 재배치하게 되면 입지잠재력점수가 14.1% 감소하여 기존 급속충전소의 입지가 충전수요나 이용편의를 고려하지 않고 선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 차이를 정량적으로 알 수 있었는데 서울시 전역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와의 거리가 평균 1.1km에서 0.8km로 감소하여 충전소 접근성이 확대되었다. 앞서 재배치한 충전소 입지는 충전소의 이전을 가정한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급속충전소를 이전하는 것은 신규설치만큼 비용이 들어 실용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충전소 재배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으려면 몇 개를 설치해야 하는지 분석하였다. 각 구에 1개부터 4개까지 신규충전소 설치를 가정하여 최적입지를 선정하였고 입지잠재력점수의 총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구(區)별 1개의 충전소를 설치해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충전소가 많아질수록 서울시의 입지잠재력점수 합이 감소하여 전기차 이용자의 충전 편의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최적화기법을 적용하여 적정입지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과 충전소의 입지를 결정할 때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 기숙사·룸메이트 배정 문제 : 서울시립대학교 기숙사 배정방식을 중심으로

        배재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룸메이트가 존재하는 기숙사 배정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이 지녀야 할 바람직한 공리로 기존의 효율성, 전략무용성, 안정성과 본 논문에서 새로이 정의한 약한 안정성을 제시하고 서울시립대학교 기숙사 배정방식이 각 공리를 위배함을 보였다. 본문의 분석에서는 학생들이 가지는 선호의 형태를 일반적인 선호와 계단식 선호 두 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선호 하에서 불가능성 정리가 성립하여 안정성을 충족하는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였으며, 효율성, 전략무용성, 약한 안정성을 충족하는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으로 표준순차독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계단식 선호 하에서도 불가능성 정리가 성립하여 안정성을 충족하는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였으며, 표준순차독재 메커니즘 외에 효율성, 전략무용성, 약한 안정성을 충족하는 기숙사 배정 메커니즘으로 완화순차독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theoretically analyzes the problem of dormitory allocation in which roommates exist. First, we introduce well-known axioms: Efficiency, Strategy-Proofness, Stability and newly defined Weak Stability as desirable axioms of the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and prove that dormitory allocation method of The University of Seoul violates each axiom. In the analysis of the main text, students’ preference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General Preference and Cascading Preference. Under General Preference, the Impossibility Theorem was established, showing that there is no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that satisfies Stability. In addition, we propose the Standard Serial Dictatorship mechanism as a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that satisfies Efficiency, Strategy-Proofness, and Weak Stability. Even under Cascade Preference, the Impossibility Theorem was established, demonstrating that there was no stable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and in addition to the Standard Serial Dictatorship mechanism, the Modified Serial Dictatorship mechanism is suggested as a dormitory allocation mechanism that satisfies Efficiency, Strategy-Proofness, and Weak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