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취학신념,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교사 협력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

        난진홍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에서 어머니의 취학신념,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교사 협력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그리고 충청남도의 다문화가정 밀접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25개 기관에 재원중이며 다음해 취학 예정인 만 5세 다문화가정 유아와 어머니 11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학교준비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취학신념,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교사 협력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학교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학교관련기술은 김선영과 안선희(2006)가 번역한 McClelland와 Morrison(200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언어적 지식은 방소영(2013)이 개발한 학교준비도 도구 중 지식영역의 언어적 지식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행동은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취학신념은 정윤아(2013)가 변역 및 수정한 Burts, Buchanan, & Benedict(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Bradford, Hawkins, Palkovitz, Christiansen과 Day(2002) 의 검사도구(The Inventory of Father Involvement)를 김낙흥, 장소정(2012)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교사 협력은 이선영(2016)이 번안한 Owen, Ware와 Barfoot(200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Sheffe 사후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학교준비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 형제 유무, 재원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아와 형제가 있는 유아의 학교준비도가 높았으며 어린이집 재원기간이 길수록 학교준비도 수준이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이 높았다. 셋째, 본 연구에서의 주된 관심사인 어머니의 취학신념,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교사협력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모형1에서 개인변인인 어린이집 재원기간, 어머니 한국어 능력은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며 2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에서 어머니의 취학신념,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교사 협력을 추가적으로 투입한 결과,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며 모형 1에서보다 설명력이 25% 증가하여 전체 46%의 설명력을 나타났다. 학교준비도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 한국어 능력, 어린이집 재원기간. 어머니-교사 협력. 어머니의 취학신념, 유아의 성별 순으로 검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수준이 높고, 어머니 한국어 능력이 높으며, 어머니-교사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어린이집 재원기간이 많은 여아일수록 학교준비도가 높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어머니의 취학신념,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교사협력 즉 어머니, 아버지, 교사 간의 조화와 상호작용의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다문화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결혼이민자인 어머니가 한국사회의 문화를 이해하고 건전한 취학신념을 가지며 취학 전 유아가 필요한 것을 파악하고 적절한 준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인 아버지가 자녀의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외국인 아내의 역할을 도와주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그리고 어머니-교사 협력을 통하여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은 일관성 있는 교육과 경험을 제공하고 어머니 교사 간의 정보교류를 통하여 유아의 각 영역의 발달 수준을 파악하여 유아의 원활한 발달 뿐 아니라 초등학교로의 전이가 잘 이루어지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취학신념,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교사협력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과 취학 준비에 기여하는 바를 논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즉, 어머니, 아버지 및 교사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유아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파악하고 점검할 수 있으며, 가정과 기관에서 유아의 취학 준비를 돕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마련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if there was any effect of maternal school entry belief, paternal parenting involvement, and mother-teacher cooperation on multicultural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e researcher sampled 116 5-year-old multicultural preschoolers in 25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nam-do Province where there are lot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s' mothers were also sampled as objects of study, and mothers' school entry belie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mother-teacher cooperation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order to measure school readines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McClelland and Morrison(2003) and translated by Kim Seonyoung and An Sunhee(2006) had been used. Part of school readiness questionnaire which Bang Soyeong(2013) developed was used on language knowledge, and Park Joohee and Lee Eunhae(2001)'s questionnaire was used for social behaviors. As for maternal school entry belief, the researcher chose Jung Yoona(2013)'s questionnaire which was translated and revised from Burts, Buchanan, &Benedict's one(2001). The Inventory of Father Involvement developed by Bradford, Hawkins, Palkovitz, Christiansen and Day in 2002, tranlslated and revised by Kim Nakheung, Jang Sojeong in 2012 was used in this study to meatur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in order to explore mother-teacher's cooperation, Lee Seonyoung(2016) translated Owen, Ware and Barfoot's questionnaire(2000), and the traslated questionnaire was chosen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 test and hierarchica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if the only child or not, and time attended center. Girls' score of general school readiness and skills related to study and language knowledge which were sub factors were higher than boys. And if the child had brother or sister, he did better in school readiness than those who were the only child, especially in skills related to study and language knowledge level. The result also showed that when the multicultural children had attended the center for longer, their school readiness scores were higher. Such differences showed in all sub factors including skills related to study, language knowledge, and social behaviors. Second, according to mothers' different degree of proficiency in Korean, children's school readines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better Mothers did in Korean, the better children readied to attend school in all sub factors including skills related to study, language knowledge, and social behaviors. Third, the effects of maternal school entry belief, paternal parenting involvement, and mother-teacher cooperation on multicultural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had been verified in this study. In the model 1, individual variables which are time attended center, mothers' proficiency in Korean had 21% power of explanation on the effects on multicultural children's school readiness. After that, the researcher added maternal school entry belief, paternal parenting involvement, and mother-teacher cooperation in model 2. The result showed that model 2 had 46% explanation power, and compared with model 1, it increased 25%. The relative effects on school readiness ordered by paternal parenting involvement, mothers' proficiency in Korean, time attended center, mother-teacher cooperation, maternal school entry belief, and children's gender. That is to say, the more fathers involved in parenting, the better mothers' Korean is, the better mother and teacher cooperated, the longer children stayed in center, and when the child was a girl, preschoolers got ready for school bett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ulticultural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was resulted from maternal school entry belief, paternal parenting involvement, and mother-teacher cooperation which can be also called father, mother and teacher's interreaction. So, in order to improve multicultural children's school readiness, Married immigrant mothers should understand more about Korean culture with a better school entry belief, and positively explore and get ready for preschoolers' needs for school. And it is important for Korean fathers make efforts to help their foreigner wives on parenting. It is also important for mothers and teachers to cooperate together which can provide children with concordant education and experience. Such cooperation can not only help them develop soundly, but also help them enter primary school without difficulty. It is expected that such result is having significant meaning when maternal school entry belief, paternal parenting involvement, mother-teacher cooperation and multicultural preschoolers' development and school readiness being studied. In other words, through this result, mothers, fathers, and teachers can explore and examine children's abilities needed to promote multicultural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nd the result provided families and child-care centers with primary information to help improve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가 자아개념과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현숙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study, to learn about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5 year, also School readiness is examine the effects the child's self-concept and learning behavior.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Incheon and Bucheon To this end, a total of 5 year olds attending the nine institutions were selected 14 classrooms. For this study, 270 infants were investigated. However, it was total 252 people, excluding the part of the missing or inadequate 18 people were studied.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was also developed for the five years to measure the Soyoung Bang(2013) "school readiness test" was used to refine. In order to measure the infant of self-concept, used Inseop Song is supervised Gyeonghwa Lee, Jin'youn Go (2006) has standardized the SCI. Finally infant learning behavior measurement using McDermott, Green, Francis and Stott (2000)’s PLBS adapted by Seongyo Jeong(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orrelation with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of sub-variables academic self-concep, but Non-academic self-concept does not correlation. In addition, School readiness is learning motivation, attention and persistence, learning attitude and high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behavior. Second, the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five years of age was also a has a relatively low effect on academic self-concept, appears to be non-academic self-concept not affect. Third, the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five years of age was also adapt and attitude variable was shown to affect th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ing behavior. Function and disposition variable did not affect the learning motivation. Fourth, the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5 years of age attitude, adaptive, functional variable were found to be affecting the care and continuation of learned behavior. Disposition variable there was no effect on the attention and persistence. Fifth, the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five years of age attitude and adapt appears to affect attitudes to learning. However, the function and the disposition is variable except for school readiness and does not affect the learning attitude of the infant. In summary, the sub-variables of a school readiness were differentiated impact on the learning behavior of children. Adaptation and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ttention and persistenc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 both learning attitude, Also to function it is confirmed as variables that affect the persistence and attention. However, propensity variable also for school readiness, did not show the explanatory power for the learned behavior. Result with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Teachers can provide school readiness, self-concept and learning behavior to understand the child. In this particular study, school readiness has a reveal significance the static effect on learning behavior and self-concept. Teacher is to establish a curriculum to reflect the also school readiness, must provid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addition, in the education field, for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concept of children, there is a need for encouragement and education guidance and praise of teachers. Also children to participate in fun lesson, necessary stimulus to motivation, attention, learning attitude is required meticulous guidance so that it can be properly formed.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학교준비도가 유아의 자아개념과 학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천시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국·공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9곳의 만 5세 총 14학급을 선정하였다. 이 학급에 속한 전체 유아 2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조사 내용이 일부 누락되거나 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유아 18명을 제외한 총 25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학교준비도 측정을 위해 방소영(2013)의 우리나라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개발한 ‘학교준비도 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개념을 측정을 위해서는 송인섭이 감수하고 이경화, 고진영(2006)가 표준화한 ‘SCI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 학습행동 측정은 McDermott, Green, Francis와 Stott(2000)에 의해 개발된 ‘유아학습행동 척도(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ale: PLBS)’를 정선교(2006)가 수정·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학문적 자아개념의 일부 하위 요인과는 상관이 있었으나, 비학문적 자아개념과는 상관이 없었다. 또한 학교준비도는 학습행동의 학습동기부여, 주의와 지속, 학습태도와 높은 수준의 상관이 있었다. 둘째,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학문적 자아개념에는 낮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나, 비학문적 자아개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적응 영역과 태도 영역이 학습행동의 학습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과 성향 영역의 학교준비도는 학습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태도, 적응, 기능 영역이 학습행동의 주의와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향 영역은 주의와 지속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태도와 적응 영역이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능과 성향 영역의 학교준비도는 제외변수로, 유아의 학습태도에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요약하면, 학교준비도의 하위 요인들은 유아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별화되었다. 적응과 태도는 학습동기 부여, 주의와 지속, 학습태도 모두에 영향을 주는 중요 변수였고, 기능도 주의와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성향 영역의 학교준비도는 학습행동에 대한 설명력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유아교사들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자아개념 및 학습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가 자아개념과 학습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침을 밝힌 의의를 가진다. 교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아울러 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을 위한 교사의 칭찬과 격려, 그리고 교육적 지도가 필요하며, 유아가 즐겁게 수업에 참여하며 학습에 필요로 하는 동기부여와 주의지속, 학습태도가 바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세심한 지도를 해야 할 것이다.

      • 어머니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학교준비도의 매개효과

        장희수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등학교 1학년 시기는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전이되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 적응은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으로의 변화적응은 이후 경험하는 적응과는 다른 차원으로 이해된다는 점에서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이 시기 아동의 학교적응은 생애 초기 친밀한 관계를 맺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기 시기 학교준비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에 있어 초등학교 입학 전 유아기 시기의 변인을 중심으로 종단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만 5세 때 어머니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행동이 만 6세 때의 학교준비도를 통해 만 7세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인 2015년(패널 8차 년도)에 학교적응 문항에 응답한 1,031가구의 아동 중, 6차 년도(2013년) 양육행동, 7차 년도(2014년) 학교준비도 조사에 모두 응답한 841가구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측정도구로 어머니 양육행동은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1999)이 개발한 양육방식 척도를 참고하여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자체 제작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를,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Murphey와 Burns(2002)가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제작한 학습준비도 측정도구(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ommunity assessment of school readiness)를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재구성한 척도를, 아동의 학교적응은 지성애, 정대현(2006)이 개발한 초등학교 1학년용 학교적응 척도(School Adjustment Inventory for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아동, 어머니,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양육행동, 학교준비도와 학교적응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고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아기 학교준비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version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의 분석을 위하여 각 주요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경우 온정적 양육행동이 통제적 양육행동 보다 점수가 높았다.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경우 평균 3.5점으로 중간 점수 2.5점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의 학교적응의 경우 3.96점으로 중간 점수인 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2를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인(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의 연령, 최종학력, 취업상태, 월평균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학교준비도,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아동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최종학력, 월평균 소득에 따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들은 둘째아와 셋째아에 비해 첫째에게 더 온정적인 양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최종학력이 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에 비해 전문대를 포함한 대학교 졸업 이상의 경우 더 온정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월평균소득이 400만원 이상으로 높을 경우 200만원 이하에 비해 더 온정적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보였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에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경우 성별과 월평균소득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먼저 성별에 따른 학교준비도의 차이를 보면 남아보다 여아일 때 학교준비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월평균소득이 400~6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난 경우에 200만원 미만 가정의 유아에 비해 학교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의 학교적응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성별, 어머니의 최종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아가 남아보다 학교적응을 더 잘한다고 나타났고, 어머니가 대학교를 졸업한 경우가 고등학교 졸업을 한 경우보다 아동의 학교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3을 분석하기 위해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거쳐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접효과만 유의하고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학교준비도를 거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유아기 학교준비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온정적 양육행동과는 다르게 통제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거쳐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유아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높이고, 학교준비도는 순차적으로 취학 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도움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의 학력, 월평균 가정소득에 따라 주요 변인들의 점수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 양육행동, 학교준비도,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어머니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행동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달랐지만, 어머니의 두 가지 양육행동은 모두 학교적응에 중요한 변임임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기 시기 변인의 영향력을 증명한 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준비교육은 유아기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종단적 자료를 통해 변인들 간 영향관계의 발달적 구조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학교준비도 및 학교적응 간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변인들 간의 매개관계 및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고 이를 통해 실제적인 제언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an important period of transition from infancy to childhood, and adaptation to this period has a lasting effect on children's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chool adaptation of the first graders in that the adaptation to change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o the new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is understood at a different level from the adaptation experienced lat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children's school adjustment during this period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readiness during infancy. Therefore, in this study, in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chool adaptation of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 tri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s centering on the variables in the early childhood period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ther's warm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t the age of 5 had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t the age of 7 through school readiness at the age of 6. This study, using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argeted 841 children from 1,031 households who responded to school adjustment questions in 2015(8th year of the panel), the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who responded to both the 6th-year(2013) parenting behavior and 7th-year(2014) school readiness surveys. As for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as a main measurement tool,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developed by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researchers was used with reference to the Parenting Style Scale developed by Jo Bok-hee, Lee Jin-sook, Lee Hong-suk, Kwon Hee-kyung (1999). The school readiness of young children is based on the scale reconstructed by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researchers from the learning readiness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ommunity assessment of school readiness) created for kindergarten teachers by Murphey, Burns(2002). Fo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school adjustment scale(School Adjustment Inventory for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or first graders developed by Seongae Ji and Daehyun Jeong(2006)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of children, mothers, and teacher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earson's moment-rat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In addi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ROCESS macro version 4.1 program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readiness in early childh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school adjust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 of each major variable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question 1, in the case of mother parenting behavior, the score of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In the case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e average score was 3.5 point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of 2.5 points, and in the case of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e average score was 3.96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of 3 points. To analyze research question 2, the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behavior,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child's gender, birth order, mother's age, highest level of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verage monthly income) were examined.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s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child's birth order, mother's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Mothers showed more compassionate parenting to their first child than their second and third children, and showed more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when mothers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including junior colleges, compared to those with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ion. When the family's average monthly income was higher than 4 million won, mothers showed more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than those with less than 2 million won. Second, the difference in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case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average monthly income. First,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school readiness by gender, girls showed higher scores in school readiness than boys, and those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less than 4 million to 6 million won showed higher school readiness than children from families with less than 2 million won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and mother's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It was found that girls were better at school adaptation than boys,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was higher when mothers graduated from college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To analyze research question 3,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medium of school readiness of infants was examined. First, only the direct effect of the mother's compassionate parenting parenting behavior on the school readiness of the infant and the child's school adapt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mother's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has a direct effect on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but not through school readines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nd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unlike the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the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ffects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infant's school readiness. Only the indirect effect of influenc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during infancy increases the child's school readiness, and the school readiness helps the child's school adaptation sequentially after school.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major variables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birth order,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average family income, suggesting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parenting behavior,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although the pathways in which the mother's compassionate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ffect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nt, both o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suggest that they are important variations in school adjustment. Third, this study proves the influence of variables in early childhood that affect adaptation to elementary school, suggesting that first-yea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reparation education for successful adaptation to school should begin from infa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developmental structure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longitudinal data. In addit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relationship and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between variables are more clearly clarified, and it is valuable in that it enables practical suggestions.

      •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만 5세 유아 총 101명과 유아의 어머니 및 유아를 맡고 있는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정환경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지현, 정현심, 김정민, 이순형(2012)이 개발한 유아용 가정환경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영환, 이진숙, 조복희(1999)가 개발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아버지 노릇’ 척도를 양육참여 요인만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학교준비도는 방소영(2013)이 개발한 학교준비도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유아와 가족의 특성에 따라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차이나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살펴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수준 또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특성에 따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라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아의 학교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교준비도의 하위영역 중 지식 영역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지식과 수리적 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적응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유아의 월령과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유아의 월령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학교준비도를 나타냈다. 특히 학교준비도의 하위영역 중 지식 영역의 하위요인으로 언어적 지식과 수리적 지식에서 관계가 나타났으며, 적응 영역에서 관계가 나타났다. 가족의 특성에 따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지식영역의 하위요인 중 언어적 지식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에 따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연령과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전체에서 관계가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기능, 적응, 성향, 태도 영역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아버지의 연령과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전체에서도 관계가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적응과 태도 영역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연령과 아버지의 연령이 낮을수록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변인과 관계가 나타났다. 가정환경의 질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다양한 경험과 규칙적 양육에서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발달적 지지, 자녀 돌보기 및 지도,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취학을 준비함에 앞서 유아를 위한 바람직한 가정환경의 조성과 아버지 역할 수행의 지침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on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101 preschool children (5-years-old), their mothers and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the Gyeonggi areas.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was measured by using the ‘Korean home Environment’ instrument developed by Kim, Ji-Hyun, Jung, Hyun-Sim, Kim, Jung-Min, and Yi, Soon-Hyung (2012).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was measured by ‘Scale for Productive Roles of Fathers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invented by Lee, Young-Hwan, Lee, Jin-Sook, and Cho, Bok-Hee (1999). Lastly, children’s school readiness was measured by Bang, So-Young’s (2013) ‘School Readiness Invento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reefold: First,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and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above average and so was the school readiness of the participating preschool children. Second, school readiness of the preschool children differed by gender—girls’ school readiness was higher than boys’ school readiness. Such difference was especially apparent on the areas of general knowledge, mathematical knowledge, and adjustment in school readines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ge and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crease of children’s age, their school readiness also increased, especially in the areas of linguistic knowledge, mathematical knowledge, and adjustment. Mothers’ working status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Linguistic knowledge, which is a sub-factor of school readiness, differed among children based on mothers’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while the same effect was not found with fathers’ educational levels. Mothers’ age and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mothers’ age was negatively related with children’s skill, adjustment, characteristic, and attitude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readiness. Fathers’ age and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also showed a similar pattern with fathers’ age being negatively related to adjustment and attitude of school readiness. In other words,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was shown to be higher when their parents were younger than older. Third,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was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s well as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In particular, various experience and regulation parenting in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were related to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was related to children’s developmental support, education, and activities. To put it differently,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directly influenced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The pattern of the results suggests that desirable home environment and fathers’ contribution in the family for their children are critical components for preparing preschool children for elementary school.

      • 취학전 유아의 학교적응준비도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주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적응이란 것은 사회와 환경 내에서 다른 개체들과 갈등을 초래하지 않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균형 잡힌 상태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신체, 사회적 환경에서 유아들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힘을 길러주는 곳 중 하나가 바로 학교이다. 아동에게 있어서 학교는 제2의 가정으로 중요한 환경이 되며 단순한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는 것 뿐 아니라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인간형성 과정과 교실 속에 산재되어 있는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을 찾아내어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가르치고, 도와주는 곳이다. 2015년 교육부의 ‘2014 학업중단학생 현황 조사’에 따르면 학교에서 발생하는 왕따, 학습부진, 도벽, 사건사고 등의 이유가 결국 학교적응 문제에서 시작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학 아동의 학교적응 문제에 대한 연구나 정책이 필요하겠지만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의 학교적응을 미리 예측해보고 적절한 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 일환으로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에 대한 준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만5세아 대상으로 하는 ‘취학전 유아의 학교적응준비도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습준비도 및 학교준비도, 학교적응관련 이론 및 문헌을 고찰하고 기존에 타당화 된 관련 검사의 분석을 토대로 취학 전 유아를 위한 학교적응준비도를 구성하는 요인과 문항을 도출하였다. 특히 유아의 학교적응에 필요한 태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유아를 근거리에서 관찰할 수 있는 교사가 평정할 수 있는 형태로 검사를 구안하고, 그 타당성과 신뢰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는 정서조절, 또래관계, 학습태도, 규칙준수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학교적응준비도 검사를 개발하였다. 네 가지 하위요인들은 아동의 사회정서 및 심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포괄적인 학교적응에 대한 준비정도를 측정 가능하게 하였다. 대부분의 학교적응 또는 준비도검사의 경우 학령기의 아동이나 초등고학년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는 유아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학교적응을 미리 예측해보고 추후에 생겨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진단검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학교준비도 잠재집단 유형에 따른 외현화 문제행동의 차이 : 횡단적 및 단기종단적 연구

        김윤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s school readiness would be characterized by distinctive profiles and the extent to which such different profiles of school readiness predicted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Specifically, using two independent datasets, one cross-sectional and the other longitudinal,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used to examine (1) different profiles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focusing on self-regulation (cognitive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early academic skills (early literacy and math skills) and social skills (relationships with peer and teachers), and (2) differences i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ssessed during the transition to school (Study 1) and in 3rd grade (Study 2) across different profiles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Study 1 included 114 six-year-old children (58.4%, 66 girls) from ten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Korea, and the data for Study 2 were draw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 (PSKC),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conducted between 2008 and 2019 in Korea, which assessed 2,150 children (49.3%, 1,059 girls) annually across ages 0 to 11. The current analyses focused on 1,598 children (48.9%, 781 girls) who completed the children’s school readiness scale assessed at age 7 (Wave 8)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age 9 (Wave 10). LPA was conducted using Mplus, and we also used the BCH-adjusted three-step approach. Findings from the LPA in both Study 1 and Study 2 indicated four distinctive profiles of school readiness among children during the transition to school. Study 1 included the ‘low school readiness’ group (11.4%), the 'low self-regulation/high early academic skills‘ group (43.8%), the 'high self-regulation/low academic skills‘ group (15.8%), and the ‘high school readiness’ group (28.9%)’. Study 2 included the ‘low school readiness‘ group (6.0%), the 'very low self-regulation/high early academic skills‘ group (11.6%), the 'moderate low self-regulation/low early academic skills‘ group (20.8%), and the ‘high school readiness’ group (61.5%). Finding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ssessed during the transition to school (Study 1) and two years later (Study 2) across different school readiness profiles. Specifically, the school readiness profiles with very low self-regulation in both Study 1 and Study 2 (i.e., the ‘low school readiness’ group, the 'very low self-regulation/high early academic skills‘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an the other groups regardless of the level of early academic skills and social skills. These findings underline the heterogeneous nature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the significance of self-regulation skills during the transition into school in predicti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concurrently as well as longitudinally. 본 연구는 학교전이기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준비도의 잠재집단 유형을 분류하고, 이러한 잠재집단 유형에 따른 외현화 문제행동의 차이를 횡단적 및 단기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학교준비도의 구성요인은 자기조절력, 기초학습능력, 그리고 사회적 기술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인 하위요인은 각각 인지적 자기조절력, 정서적 자기조절력, 언어능력, 수리력, 또래관계, 그리고 교사관계로 구성하였다. 분석자료는 자료수집과 측정도구 및 측정시기가 다른 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개념과 통계방법을 동일하게 하여 연구 1과 연구 2로 각각 나누어 반복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은 횡단적 접근으로 학교에 입학하기 전 114명의 만 6세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지, 행동관찰 및 측정, 그리고 기초학습능력 검사 등의 다양한 측정방법을 통해 학교준비도를 직접 조사하였다. 연구 2는 단기종단적 접근으로 설계하여, 전국 단위에서 종단적으로 수집된 한국아동패널 자료에서 8차년도 및 10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598명 아동의 만 7세와 만 9세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과정은 두 자료 모두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학교준비도 잠재집단 유형 수를 확정한 뒤, 학교준비도의 이질적인 하위집단에 따라 외현화 문제행동에 횡단 및 단기종단적으로 유형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반복한 두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반복 가능성 및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학교준비도의 유형은 연구 1과 연구 2는 모두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연구 1과 연구 2의 분류된 유형을 비교해볼 때, 두 연구에서 나타난 유형들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연구 1은 ‘낮은 학교준비도 집단(11.4%)’, ‘낮은 자기조절력/높은 기초학습능력 집단(43.8%)’, ‘높은 자기조절력/낮은 기초학습능력 집단(15.8%)’, 그리고 ‘높은 학교준비도 집단(28.9%)’의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 2에서는 ‘낮은 학교준비도 집단(6.0%)’, ‘가장 낮은 자기조절력/높은 기초학습능력 집단(11.6%)’, ‘중간 자기조절력/낮은 기초학습능력 집단(20.8%)’, 그리고, ‘높은 학교준비도 집단(61.5%)’의 학교준비도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1과 연구 2는 공통적으로 ‘높은 학교준비도 집단’과 ‘낮은 학교준비도 집단’의 유사한 유형이 분류되었고, 나머지 두 집단은 중간이상의 자기조절력과 낮은 기초학습능력의 특성, 그리고 낮은 자기조절력과 높은 기초학습능력의 특성을 갖는 불균형적 발달의 특성을 갖는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분류된 네 가지 학교준비도 잠재집단 유형에 따라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이 학교전이기와 초등학교 3학년 시기에 각각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본 결과, 기초학습능력이나 사회적 기술과 관계없이, 자기조절력 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횡단적 및 단기종단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및 학교 부적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력 수준을 높이고, 아동의 학교준비도 잠재집단 유형에 따라 개입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내 비장애 및 장애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구민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통합학 급 내 비장애 및 장애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내 비장애유아의 학교준비도,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내 장애유아의 학교준비도에 ,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공립 유치원 만 5세 통합학급에 배치된 비장애 및 장애유아 41명을 실험집단(20명)과 통제집단(21명)으로 나누어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실행 전,후 학교준비도 검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비장애유아를 대상으로는 두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장애유아는 사전 사후 점수 비교를 통해 검증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비장애유아의 학교준비도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비장애유아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다(t = 10.49, p < .001). 둘째,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합학급 내 장애유아들의 학교준비도 사전·사후 점수 분석 결과 실험집단 장애유아의 학교준비도가 통제집단 장애유아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증가폭을 보였다. 실험집단 장애유아의 학교준 비도 하위영역(기능, 적응, 성향, 태도) 사전·사후 점수 분석 결과, 하위영역 모두에서 긍정적인 향상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내 비장애 및 장애유아의 학교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 배치된 비장애유아와 장애유아 모두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의 개별 특성과 현행수준, 교육적 요구를 고려한 교수적 수정을 적용하여 긍정적 영향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통합학급 내 비장애 및 장애유아 모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전이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추후 통합학급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한 전이 지원 프로그램 개발·구성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유아의 수줍음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상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류유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hyness and school readiness. Participants consisted of 236 five year-old children (118 boys and 118 girls). For the data analyses, descriptive statics,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e equation modeling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irls were reported to show more higher school readiness than the boys. And the children with sibling were reported to have higher school readiness than the children with no sibling. Second, the everyday executive fun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choolers shyness on school readiness. Third, mother's employment and weekly private education hours do not affect school readine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provide specific, examining the factors that show individual differences in school readiness and will be an important basis for exploring support measures that help children improve their school life. 본 연구에서는 수줍음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상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 경로분석 모형에서 측정변인과 관계가 있는 성별, 형제유무, 어머니의 취업여부, 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의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강원・대전・충남 지역에 위치한 11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36명이다. 학교준비도는 Murphey와 Burns (2002)의 학교 준비도 척도를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번역하여 7차 조사 데이터(육아정책연구소, 2016)에 사용한 문항을 담임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줍음은 Rothbart (1996)의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CBQ)를 이경옥(2004)이 타당화 한 척도 중 외향성의 하위요인으로 포함된 수줍음 문항을 사용하여 어머니가 평정하였으며, 일상의 실행기능은 Nilsen 등 (2017)이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한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EEF)’를 차미숙, 김광웅(2018)이 만 5세 유아에 맞게 번안 및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어머니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치와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유아의 성별, 형제유무, 어머니의 취업여부, 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와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외동아 보다는 형제아가, 남아보다는 여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이 높았다. 반면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에 따른 학교준비도의 차이 및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수줍음과 일상의 실행기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수줍음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상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수줍음은 일상의 실행기능을 매개로 하여 학교준비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성별과 형제유무는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은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아일수록, 형제가 있을수록 학교준비도 수준이 높고,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유아의 사교육 참여는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수줍음은 학교준비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준비도의 개별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유아의 내적 요소인 수줍음, 일상의 실행기능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대안 모색에 근거자료를 제시한다.

      • 유아기의 학교준비도, 어머니 양육효능감, 외현화 문제행동이 초등학교 1~4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과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통한 종단연구

        허은하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verified the growth trajectory by estimating the Latent Growth Model(LGM) according to time change of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factors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understood the types of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and its each subfactor(‘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teacher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the Growth Mixture Model(GMM), and deeply considered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school adaptation latent class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among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growth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factors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to upper grade? Second, how is the type of change trajectory of whole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Third, how is the type of change trajectory of each subfactor of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Fourth, how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n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data is the data from the 7th year(2014) when the research subjects were six year old, to the 11th year(2018) when they were ten year old among the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8). As the method of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the SPSS 22.0, AMOS 21.0, and Mplus 8.8 Program. Examining the analysis methods for each research question, in order to examin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such as how is the growth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factors(‘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teacher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to upper grade, this study verified the optimum model that could fully show the changing growth form according to time flow of variables. To understand the second and third research questions such as how is the change trajectory of whole school adaptation and its each subfactor like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estimated the trajectory of whole school adaptation and its each subfactor by utilizing the Growth Mixture Model, and then understood how many groups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such as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n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verifi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conducting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class drawn from the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latent growth model of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factors such as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the linear change model explained it better than the no-change model and bi-linear model. In this result, the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factors like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increased according to time flow,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value and linear growth. Second, in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for understanding how many latent profiles would the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be classified into, total four groups(‘high level-maintenance’, ‘low level-maintenance’, ‘low level-increase’, ‘high level-decrease’) of latent profiles were shown as the most suitable.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ypes of change trajectory of each school adaptation subfactor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the most suitable number of groups was shown as three groups(‘high level-maintenance’, ‘low level-maintenance’, ‘low level-increase’) for ‘school life adaptation’, three groups(‘high level-maintenance’, ‘low level-maintenance’, ‘high level-decrease’) for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four groups(‘high level-maintenance’, ‘low level-maintenance’, ‘low level-increase’, ‘high level-decrease’) for ‘peer adaptation’, and three groups(‘high level-maintenance’, ‘low level-increase’, ‘high level-decrease’) for ‘teacher adaptation’. Fourth,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variables(school readiness, mother’s parenting efficacy,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predicting the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all th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had significant effects. Concrete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dictor variable of ‘low level-increase’ group by taking the ‘low level-maintenance’ group of the first school adaptation as reference group,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dictor variable of ‘high level-decrease’ group by taking the ‘low level-maintenance’ of the second school adaptation as reference group,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dictor variable of ‘high level-maintenance’ group by taking the ‘low level-maintenance’ group of the third school adaptation as reference group, the school readiness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dictor variable of ‘high level-decrease’ group by taking the ‘low level-increase’ group of the fourth school adaptation as reference group,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dictor variable of ‘high level-maintenance’ by taking the ‘low level-increase’ group of the fifth school adaptation as reference group, the school readines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dictor variable of ‘high level-maintenance’ group by taking the ‘high level-decrease ’group of the sixth school adaptation as reference group,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showed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examined longitudinal changes in school adaptation limiting to specific grad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examining long-term longitudinal changes in four time points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by utilizing the extensive longitudinal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Second, there are insufficient researches that examined the connectivity of school adaptation in the process of advancing from lower grades to upper grades just like this study. Thu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verifying the connectivity of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Thi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categorizing the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factors like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of children by conducting the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This study also established the basis for effective approach by drawing more abundant and comprehensive results through the integrated analysis method. Fourth,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n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multilaterally examining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variables on school adaptation. Fif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ducation of hom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aspect of efficient curriculu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exploring the aspect of changes in school adaptation in Grade 1-4 of elementary school by utilizing the extensive longitudinal data, and also examining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adaptation programs through the mutual cooperation of par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교적응 하위요인의 시간 변화에 따른 잠재성장모형(LGM)을 추정하여 성장궤적을 확인하고, 성장혼합모형(GMM)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교적응 하위요인(‘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별 변화궤적 유형을 알아보았으며 유아기의 학교준비도, 양육효능감, 외현화 문제행동 중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잠재계층 구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 심도있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교적응 하위요인은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어떤 성장궤적을 갖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전체의 변화궤적 유형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하위요인별 변화궤적 유형은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변화궤적에 미치는 유아기 학교준비도, 양육효능감,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분석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PSCK) 자료 중 연구대상이 만 6세가 되는 7차년도(2014년) 자료부터 만 10세가 되는 11차년도(2018년) 데이터이다(한국아동패널, 2018).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과 AMOS 21.0 및 Mplus 8.8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문제별로 분석방법을 살펴보면 첫 번째 연구문제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교적응 하위요인(‘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은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어떤 성장궤적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성장 형태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최적의 모형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세 번째 연구문제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전체의 변화궤적과 아동의 학교적응 하위요인별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의 변화궤적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여 학교적응 전체와 학교적응 하위요인별 궤적을 추정하고 몇 개의 집단으로 구분되는지 파악하였다. 네 번째 연구문제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변화궤적에 미치는 유아기 학교준비도, 양육효능감,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성장혼합모형 분석에서 도출한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 변인의 잠재성장모형을 살펴본 결과, 선형변화모형이 무변화모형과 이차변화모형보다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적응과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 변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초기치와 선형성장에 있어서 개인차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변화궤적이 몇 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장 적합한 잠재프로파일의 수는 4개 집단(‘고수준-유지’, ‘저수준-유지’, ‘저수준-증가’, ‘고수준-감소’)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하위요인별 변화궤적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생활적응’은 3개 집단(‘고수준-유지’, ‘저수준-유지’, ‘저수준-증가’), ‘학업수행적응’은 3개 집단(‘고수준-유지’, ‘저수준-유지’, ‘고수준-감소’), ‘또래적응’은 4개 집단(‘고수준-유지’, ‘저수준-유지’, ‘저수준-증가’, ‘고수준-감소’), ‘교사적응’은 3개 집단(‘고수준-유지’, ‘저수준-증가’, ‘고수준-감소’)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1~4학년의 학교적응 변화궤적을 예측하는 변인(학교준비도, 양육효능감,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유아기의 변인들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 학교적응의 ‘저수준-유지’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저수준-증가’ 집단의 예측변수를 분석한 결과 양육효능감이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두 번째 학교적응의 ‘저수준-유지’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고수준-감소’ 집단의 예측변수를 분석한 결과 외현화 문제행동이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세 번째 학교적응의 ‘저수준-유지’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고수준-유지’ 집단의 예측변수를 분석한 결과 학교준비도와 양육효능감이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네 번째 학교적응의 ‘저수준-증가’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고수준-감소’ 집단의 예측변수를 분석한 결과 양육효능감과 외현화 문제행동이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다섯 번째 학교적응의 ‘저수준-증가’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고수준-유지’ 집단의 예측변수를 분석한 결과 학교준비도가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여섯 번째 학교적응의 ‘고수준-감소’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고수준-유지’ 집단의 예측변수를 분석한 결과 양육효능감과 외현화 문제행동이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의 연구가 학교적응에 대하여 특정 학년에 한정하여 종단적 변화를 규명해왔던 것에 비해 본 연구는 대규모 종단자료인 한국아동패널(PSCK)의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1~4학년까지 네 시점에 대한 장기간의 종단적 변화를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와 같이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가는 과정에서의 학교적응의 연계성을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1~4학년까지의 학교적응의 연계성을 검증했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아동의 학교적응과 하위요인인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의 변화궤적을 유형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통합적 분석방법을 통해 보다 풍부하고 종합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여 실효성이 있는 접근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1~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변화궤적에 미치는 유아기의 변인 학교준비도, 양육효능감,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유아기의 변인이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결과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 초등교육기관의 교육은 교육과정의 효율적 측면에서 볼 때 연계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1~4학년의 학교적응 변화양상을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기 변인들의 영향력을 규명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와 유아교육기관 그리고 초등교육기관이 서로 협력하여 학교적응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취학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송연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이 취학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동의 성별에 따라 학교준비도는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와 관계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5개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자녀와 그 어머니 217쌍이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교준비도 총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학교준비도 중 단체생활태도 요인, 학습활동능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아동의 학교준비도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온정·격려 요인, 한계설정 요인과는 정적 상관을 과보호·허용 요인, 거부·방임 요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부모-자녀간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요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한계설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취학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