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조재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igious life of faithful teachers who work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maturity, happiness, ego-resiliency,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ith maturity on happiness, ego-resiliency,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faith maturity in faithful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various forms of religious education centered on each Catholic diocese. According to such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How is the religious life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2. Is the faith maturity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lated to their happiness, ego-resiliency, and job satisfaction? 3. What is the effect of faith maturity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ir happiness, ego-resiliency,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364 teachers of Catholic faith who work in 63 Catholic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The faith maturity scale developed by Malony(1995) and supplemented by Seok Chang-hun(2001) and Kang Hye-soon(2005) was modified and used as a questionnaire, and to measure the teachers’ happiness, the psychological stability scale developed by Ryff (1989)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Myung-so, Kim Hye-won, and Cha Gyeong-ho(2001) was modified and used. For self-flexibility, the scale developed by Atsuchi, Hitoshi, Shinji, and Motoyuki(2002)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Min Dong-il(2007) was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the scale developed by Huang(2001) and translated, modified, and verified to be suitable for our country by Park Geun-hee(2003) was modified and used.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Cronbach’s α of the collected data for credibility analysis of the examination tool;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fi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igious life of Catholic teachers who work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wed that in many cases they had entered the faith at the suggestion of other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many Catholic teachers who had received christening, and that response of ‘other’ was the highest for sacrament of confirmation. There were many teachers of Catholic faith who participated in mass once a week, and had not joined any church activity groups. Second, the results showed a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 maturity of teachers who work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faith maturity of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ir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teachers’ faith matu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faith maturity of Catholic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an be a factor in increasing their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necessity of faith maturity of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emphasized, and methods that can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by the dioceses in an effort to achieve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research, and endeavor to increase the quality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there should be continual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aith maturity,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o various programs and information for teachers’ qualitative growth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생활을 알아보고,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며, 신앙성숙도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도 필요성과 가톨릭 각 교구 중심의 다양한 종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생활은 어떠한가? 2.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는 행복감, 자아탄 력성 및 직무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3.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일부에 소재한 63개 가톨릭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그곳에 재직 중인 가톨릭 신자 364명의 교사들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Malony(1995)가 개발하고 석창훈(2001)과 강해순(2005)이 수정․보완한 신앙성숙도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의 행복을 측정하기 위하여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김명소‧김혜원‧차경호(2001)가 한국판으로 번안․수정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Atsushi, Hitoshi, Shinji와 Motoyuki(2002)가 개발하고 민동일(2007)이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uang(2001)이 제작하고 박근희(2003)가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번역․수정한 뒤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사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및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생활을 분석한 결과, 주위의 권유로 입교한 경우가 많았고, 유아세례를 받은 신자교사들이 많았으며, 견진성사는 기타(받지않음 포함)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사는 일주일에 한번 참례하고, 성당활동단체에는 가입하지 않은 신자교사들이 많았다. 둘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그리고 직무만족도는 높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도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신앙성숙도는 행복감, 자아탄력성,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은 행복감, 자아탄력성 그리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에 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교육의 목적을 성취하고 가톨릭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연구, 노력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직무환경을 개선해 줄 수 있는 방안들이 교구차원에서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질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이나 자료가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 가톨릭 평생교육의 실태 및 요구분석 : 천주교 서울대교구 교육현황을 중심으로

        최용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re are four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to identify the lessons of the Catholic church and characteristics of Catholic lifelong education; Second,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atholic church's lifelong education; Third, to understand the expectation for the Catholic church's education through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needs analysis per the Catholic; Lastly, to suggest an activation plan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Catholic church.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 is defined as the less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atholic Church,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atholic in regard of the Catholic lifelong education, and is verifie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analysis of the literature, data of the current education, and survey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demand for the Catholic lifelo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atholic church has continuously reformed as the society changes, instead of staying in the past. 2. The Catholic churches in Korea provide the constant education in lifetime while it is limited to the educator-centered education. 3. The re-education for the Catholic has not fully evangelized due to it is limited to a supplementary doctrinal teaching. 4.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 by the Catholic has been decreased due to the educator-centered teaching without any modification based on survey needs and evaluation of the education for the education. 5. Th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running at Myeongdong rather than each of the local Catholic churches. 6. The educational programs have a lack of variety and integration. 7. The Catholic has demand for education in faith in various form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8. The Catholic is in demand for the learner-participated education with specialists rather than the lecture-style education by pri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the education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is in time to develop th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평생교육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과 가톨릭 평생교육의 특징을 규명하고 둘째, 가톨릭 교회의 평생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셋째, 가톨릭 신자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분석을 통해 교회의 교육에 대한 기대를 밝힘과 동시에 넷째, 가톨릭 교회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위의 목적에 따라 평생교육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과 가톨릭 교회의 교육 현황, 그리고 이에 대한 신자들의 만족도에 대해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분석, 교육 현황 자료 분석, 설문지를 통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톨릭 교회는 과거에 머물러 있지않고 시대 변화에 맞춰 끊임없는 변화를 시도하였다. 둘째, 한국 교회에서 하는 교육은 평생동안의 지속적인 교육이지만 교육자 중심의 교육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신자 재교육은 교리교육의 보충이라는 한계때문에 새로운 복음화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였고, 시대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다. 넷째,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교육 평가, 수정‧보완이 없는 교육자 중심의 교회 교육으로 인해 신자의 교육 참여율이 점차 하락하고 있다. 다섯째, 다양한 교육들이 본당보다는 명동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여섯째,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아직 부족하고, 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한 통합성이 취약하다. 일곱째, 신자들은 무엇보다 신앙관련 교육을 다양한 방식으로 듣기를 원하고 있다. 여덟째, 신자들은 이제 신부가 하는 강의식 교육보다는 전문가가 하는 학습자 참여 방식으로 하는 교육을 원하고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한국 교회의 교육은 이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통합관리기 필요하다는 것이다.

      •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실태 : 서울대교구와 의정부교구를 중심으로

        나오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초록 본 연구는 서울대교구와 의정부교구 소속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 조사로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의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1) 종교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2) 종교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3) 종교교육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4) 종교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가? (5) 종교교육의 환경구성은 어떠한가? (6) 종교교육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7) 종교교육시 어려운 점과 학부모 반응은 어떠한가? (8) 종교교육을 위한 교사의 현직교육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대교구와 의정부교구 소속 유치원 36곳의 종교교육 담당 교사 36명이다.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전반적인 종교교육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문용은(1992)과 이응찬(2005)의 연구에서 사용한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실태 조사 설문지를 참고하고,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현직교육(종교교육의 이론, 교수방법, 개인적 노력)에 대한 문항을 첨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교사들이 생각하는 유아기 종교교육의 목적이 신앙의 발달보다는 인격 성형과 인성 발달을 위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종교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들의 명확한 인식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둘째, 종교교육에 있어서는 예수님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에게 예수님에 대한 내용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내용이고, 또 교사들에게도 친근한 내용이며, 교사들이 종교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셋째, 종교교육 내용과 방법을 계획할 때 중점이 되는 것은 ‘전례주년’이었는데 이는 ‘전례주년’을 통한 종교행사를 실제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교실에서 교사의 이야기를 듣는 것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전례주년의 중심인 성탄과 부활을 중심으로 종교교육을 실시하며, 더불어 성탄과 연결된 대림시기, 부활과 연결된 사순시기에 대한 내용을 연계해서 교육함도 알 수 있었다. 넷째, 종교교육의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 종교교육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전의 실태조사와 큰 차이점이 ‘노틀담 실천교리’를 사용하는 유치원이 27.8%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 비치되어 있는 종교교육 교구에 대한 결과도 이전의 실태조사와 비교해서 ‘노틀담 실천교리 셋트’와 ‘착한목자 교구 셋트’, ‘종교행사에 따라 제작한 교구’ 등의 교구의 비치 비율이 30.6%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연구에서 지적된 프로그램의 개발 없이 과거에 제작된 교재나 교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한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다섯째, 종교교육시 어려운 점은, ‘종교교육에 대한 자료들이 부족함’이 첫 번째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육의 기회와 교육과정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종교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더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종교교육의 교재·교구에 대한 연구와 개발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여섯째, 종교교육의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종교교육 후에 구체적으로 평가하지 않는 비율이 50%로 나타났다. 교육은 의도적이므로 교육과정에 평가를 포함하는데 50%의 유치원에서 평가를 하지 않는 것은 평가를 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겠지만 교육의 평가가 교육의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되는 것을 간과한 측면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므로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종교교육의 내용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하겠다. 일곱째, 종교교육을 위해 교사가 참여하는 현직 교육 방법에 대한 내용에서 ‘교구·수도원 교사연수 참여’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교구와 수도원에서 교사교육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하겠다. 또한 개인적인 노력인 ‘종교교육 전문서적과 간행물 읽기’가 다음으로 높은 빈도로 나타나 교사 개인으로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내 자체 교사연수’와 ‘유치원 내 소그룹활동’과 같이 개별 유치원에서도 종교교육을 위해 자체 교사 연수나 소그룹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종교교육을 위해서 교구와 수도원, 개별 유치원과 교사 개개인들이 많은 노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the overall conditions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archdioceses of Seoul and Uijeongbu.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1) What i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2) What is the content of religious education? (3) What is the teaching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4) What is the role of the teacher in religious education? (5) How is the religious education environment constructed? (6) How is religious education evaluated? (7)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religious education and what are parents’ responses? (8) How do religious education teachers receive on-the-job training?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are 36 religious education teachers in 36 kindergartens which belong to the archdioceses of Seoul and Uijeongbu. The conditions questionnaire for Catholic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used by Moon Yong-eun (1992) and Lee Eung-chan (2005) was used as a reference, and questions regarding on-the-job training (religious education theory, teaching method, individual effort)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dded.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from the collectedinform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in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developing character and personality rather than developing faith. Therefore, clear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is required for teachers. Second, it appeared that content about Jesus was dealt with most often in religious education. This shows that content about Jesus can be easily approached with young children, and is most familiar to teachers and thought to be most important by teachers in religious education. Third, plann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had been centered on the ‘Annus liturgicus’ this is because it is more effective to actually experience religious occasions through the ‘Annus liturgicus’ rather than just listening to the stories of teachers in the classroom. Also, in most kindergartens religious education centers on the birth and resurrection of Christ,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annus liturgicu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content about Advent and Lent could be taught in connection to Christmas and Easter. Fourth, regarding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of analyzing programsused in religious education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 existingresearch...That..is..to..say,..27.8%..of..kindergartens..used..the..“NotredameRPP(Religionspädagogische Praxis).” Also, results regarding religious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showed that materials such as ‘Notredame RPP materials’, ‘GSTS(The Good Shepherd Toy Set)’, and ‘Teaching material produced for religious occasions’ were equipped in 30.6%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in existing research which pointed out that materials developed in the past were continually used, it is meaningful that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disseminated. Fifth, in terms of difficulties in religious education, the foremost difficulty was the ‘lack of material for religious education.’ It is evident that teachers consider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curriculum as important, but they are more in need of material that can be utilized in religious education. Therefore, efforts towards researching and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Sixth, regarding the evaluation of religious education, 50% of respondents appeared to have no detailed evaluation method for religious education. Education is deliberate, so evaluation is included in the curriculum the 50% of kindergartens that have no evaluation method may not have one due to the realistic difficulties in evaluation, or because they are overlooking the fact that evaluation becomes a tool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should be perceived, and evaluation criteria that can assess the content of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eventh, regarding on-the-job training for teachers of religious education, a high percentage of participants acknowledged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in diocese or monasteries.’ This shows that the dioceses and monasteries are working hard to train teachers. Individual efforts of ‘reading religious education books and periodicals’ appeared with the second-highest frequency, so it was evident that teachers were also putting in a lot of effort individually. It appeared that individual kindergartens also had self-organized teacher training or small group activities, as seen in the responses ‘teacher training within kindergarten’ and ‘small group activities within kindergarten.’ Thus it can be observed that dioceses, monasteries, individual kindergartens, and each of the teachers exerted a lot of effort toward religious education.

      •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에 관한 연구

        박순례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에 관한 신념과 실제 교수행위 간의 일치 정도를 살펴보고, 신념과 실제 간갈등 정도 및 그 원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은 어떠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가? 2)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은 교사의 학력, 경력과 교사 재교육의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3)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은 실제 교수행위와 관련성이 있는가? 4)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가 인식한 교육신념과 실제 교수행위 간의 갈등인식은 어느 정도이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에 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 200곳과 어린이집 87곳에 근무하는 33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를 측정하기 위한 교사용 자기 평가 질문지이다. 사용한 질문지의 항목은 문미옥(1993)이 개발한 ‘교사의 교육신념 유형분석을 위한 도구 6점 평정척도’로 된 30개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신념 5점 및 실제 5점의 척도로 바꾸었으며,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의 갈등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최윤정(1990)과 김수영(1992)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첨가하여 총 2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신념과 실제 교수행위 사이의 갈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F-검증 및 Pearson’s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로 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 경향은 성숙주의, 상호작용주의, 행동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숙주의가 높은 이유로는 조사대상 교사들이 근무하는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의 주요 교육프로그램 중에서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61.9%을 차지하고 있는 영향에서 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른 신념유형에 차이가 없었다. 행동주의, 성숙주의, 상호작용주의 어느 것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재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행동주의의 경향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가톨릭 유아교육 교사의 67.9%가 자신의 교육신념과 실제교수행위 간에 갈등을 많이 느끼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넷째, 가톨릭 유아교육 교사들은 갈등의 원인을 ‘과중한 업무와 작업’, ‘교사 자신의 능력부족’, ‘학급당 과밀한 원아 수’, ‘학부모의 기대요구’, ‘물리적 환경 및 재정 부족’, ‘책임자와의 교육목적 및 견해차이’등으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study the teaching beliefs of teachers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actual teaching practices. It was also to find any conflict that may arise from the differences and possibly find the cause(s). For this purpose, following questionnaire was made: 1. What tendencies can we find in educational beliefs among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2. What differences can we find in educational beliefs of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work, and training experiences? 3.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actual practice? 4. How intense is the conflict between perceived educational beliefs of teachers their actual practices. What are the possible reasons for this conflict? The researcher recruited of 336 teachers working at 200 kindergartens and 87 day care centers. The researcher developed a seif-reported questionnaire adapted from Moon, Mi-Ok’s “Classified Evaluation of educational beliefs of teachers”(1993). In order to accommodate the research, the researcher chose 30 questions and reused. 5. Furthermore, the researcher chose 28 questions from Choi, Yoon-Jung (1990) and Kim, Soo-Young (1992) to find possible causes for conflict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educational beliefs and actual practice of teachers. For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figured out and further executed F-test and Pearson's analysis of correlation. For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Cronbach's ■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 First, the tendencies in educational beliefs of teachers working for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maturity, interaction, and behavior in order. The reason seems that 61.9% of main program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based on Montessori program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influence of teachers’ academic and work experiences on their teaching practice. Also, maturity, interaction and behavior seemed to show not much significance. However, more the training experience, there was low frequency in behavior tendency. Third, 67.9% of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conflict from gap between educational belief and actual practices. Fourth, the reasons for these conflicts were found to be ‘work overload’, ‘a sense of inadequacy as a teacher’, ‘overpopulated classes’, ‘high expectation of parents’, ‘materialistic and financial insufficiency’,and ‘discord with supervisor and his/her educational goal.’

      • 가톨릭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염미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설립유형에 따른 가톨릭교회의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실태와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살펴보고 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를 파악하여 가톨릭 유아교육의 발전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의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운영에 있어 설립형태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2.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가톨릭교회 유치원 200개원, 어린이집 87개원의 원장 210명과 교사 422명이다.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유아교육기관 운영 및 본당 부속원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설립형태에 따른 차이는 각 문항별 사례수에 대한 백분율로써 경향치를 분석하였으며,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F검증, 사후검증으로 Sche´f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운영에 있어 가장 절실하게 느끼는 문제점은 교사의 과다한 수업으로 인한 교육의 질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어린이집이 더욱 심각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상태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설립형태에 따른 비교에서는 수도회 설립이 가장 여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기존의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장애아동 통합교육도 90%이상이 이미 실시하고 있거나 기회가 되면 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원장들 대다수가 유아교육을 하느님이 주신 소명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가톨릭교회가 한국의 유아교육 발전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라고 평가하였다. 미래의 유아교육 방향에 대해서는 신앙인으로서 생활 할 수 있는 태도 형성을 1순위로 보았다. 넷째, 본당 부속원에 대한 분석에서 장점은 본당과 함께 있어 유아들의 종교심 함양에 좋은 것이며, 어려운 점은 유아교육에 대한 본당 신부의 이해부족으로 나타났다. 본당 부속원의 운영 형태는 거의 대다수의 원이 본당 신부의 결재를 받거나 보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으며, 부속원 사도직에 대해 원장들의 약 절반만이 유아교육을 행할 수 있는 좋은 사도직으로 응답하였고 나머지 약1/3 가능하면 부속원 운영을 피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 수도회 카리스마와의 일치 관계를 묻는 질문에서도 약1/3만이 아주 잘 일치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원장의 직무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만족도에서는 직무자체, 인간관계, 행정체계, 사회적 인식은 비교적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으나 근무여건과 보수 및 승진에서는 비교적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비교에서는 보수 및 승진, 사회적 인식에 있어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설립 형태별 비교에서는 수도회 설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omparative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kinds of foundation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to find out hindering elements to development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looking at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their directors and teachers. According to such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he foundation types in operating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2.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ir directors? 3.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ir teachers? The target groups of this study were 200 catholic kindergarten and 87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nationwide, and there were 210 directors and 422 teachers. The surveys were don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consider the general status of operating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roduced in frequencies and percentages in order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s: The differences of the foundation types were analysed in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the examples. For the job satisfaction T-Test, F-Test, Sche´ffe Test were done.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oncern felt in operating the institutes is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due to the overloaded work unto the teachers. It is more serious at daycare centers. However, regarding financial status both kinds of the institutes are sound and healthy, esp., established by religious orders are shown as more sound and stable. Second, regarding educational program more than 90% responded that either they have already integrated the education with mentally and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or they are planning to do it as the possibility offers. Third, most of the directors responded that they feel they are called to educate children by God. They evaluated that the catholic church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very much. Regarding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elping to form christian attitude took the first rank. Fourth, the biggest merit of institutes such as kindergartens, which belong to parishes is that they can promote religious disposition. However, lack of understanding of pastors is the difficulty such institutes face. Most of such institutes need either permission of the pastors or have to report to the pastors in operating the institutes. About half of the directors responded that it is good to operate such institutes at parishes. However, 1/3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ish to avoid operating such institutes. Regarding the question if their works are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ism, only 1/3 of them responded that it corresponds to their charism. Fifth, in general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directors is high.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the teachers is pretty high in the areas of the work itself, relationship, administration system and social recognition. However, it is unsatisfactory regarding work environment, wage and promotion. Comparing betwee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regarding their wage, promotion and social recognition, the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higher than the one of daycare center teachers. The highest rate of the job satisfaction is shown in the institutes established by religious orders.

      •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조동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Reading Program in a Middle School Name : Cho, Dong-Seon Major : Reading Education Advisor : Prof. Jung, Ok-Ryu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hanges of the way students regard multiculturalism after conducting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it. The Korean society is changing greatly enough to have more than 2 % of the population with foreign citizenships. However, Koreans, who pride themselves in their homogeneous population, are not yet familiar with the terms such as a multiracial or multicultural society. In fact, they are not fully ready for the imminent multicultural society. Current educational programs about multiculturalism are overly weighed toward the enculturat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re is no other education for the general students. This shows the limit of the current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which is only aimed at cultural minorities. However, in order to have a great educational effect, we need to educate both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 genera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will show us the changes of the general student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after participating in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it,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70 third graders in C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Preliminary inspections o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ere conducted with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ontrolled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ceeded by using reading as a main method, and with the controlled groups, students took regular lessons, then the post-inspections o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ere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ng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1.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s of the students' awareness on multiculturalism. 2.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 in four subcategories of 'cultural openness', 'cultural acceptability', 'cultural relativism', and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one's culture'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had a meaningful effect on both the students with experiences abroad and those without any. In addition,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students' prior awareness on multiculturalism. In particular, it had a greater effect on the students with lower awareness on multiculturalis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expect the vital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at schools.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는 외국 국적을 가진 주민이 2%를 넘을 정도로 사회 구성원이 변해가고 있지만 단일민족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는 한국인들에게는 다인종․다문화 사회라는 용어는 아직도 낯선 개념이며, 다가올 다문화 사회에 대한 준비도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도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응 교육에 치우쳐 있고 그들과 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는 일반 학생들에 대한 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문화적 소수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온전한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들의 다문화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설정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가? 2.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라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차이가 있는가? 2-1.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해외 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학생의 사전 다문화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C여자중학교 3학년 70명으로 하였다. 2010년 12월에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설문 문항을 선정하였고, 2011년 3월 셋째 주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서 교육 프로그램은 국어 시간을 활용하여 2011년 3월 28일부터 5월 24일까지 총 9차시의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집단 2개 반과 통제 집단 2개 반을 설정하여 다문화 인식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에서는 독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통제 집단에서는 학교 수업을 진행한 후 다문화 인식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일반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문화개방성’, ‘문화수용성’, ‘문화상대주의’, ‘자국문화 이해 및 만족도’의 4개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해외 문화 경험이 있는 학생과 해외 문화 경험이 없는 학생 모두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사전 다문화 인식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사전 다문화 인식이 낮은 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학교에서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것을 기대한다. 주요어 : 다문화 교육, 다문화 인식, 독서 교육

      • 반려동물 제품제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진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making companion animal products that can improve the technical skills of making the products.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the present researcher trie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and development plan b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making companion animal produc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 of a companion animal on human lif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mpanion animal product industry was proved. Also, the needs for companion animal products and vocational training to produce the desirable companion animal products were examined. Chapter 3 includes the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making companion animal products,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subjects of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ir implementation and supplement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divided into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animals and types of product groups, and theoretical education and design application were suggested as educational methods. In Chapter 4, the data were analyzed by surveying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for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of education participants, and survey for validating educational effec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who have had experience with the companion animal is significantly higher, suggesting that the experience affected the program’s motivation to them. Class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categories of participation, concentration, and effectiveness. In order to evaluate the program's competence, the interest, the improvement of func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theory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operating this program, the overall competence was improved. In running this program, the following are suggested as a caution: First, educators should check the use of the facility through the preliminary inspection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o confirm the equipment. The preparation of practice materials has to be either handled by the educator or guided by prior training to the participants. Second,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program can be selected as an issue at the time of training, and the difficulty level can be replaced at a similar level. The active guidance of the educators can improve the capacity of the participants and the achievement of the class. Third, a practice journal should be kept so that participants can objectively evaluate their class performance. The practice journal may consist of the process, photo,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evaluation. Fourth, the limitation of education i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extent to which products are us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animals. In addition, errors in measuring the body of a companion animal act as a large variable in selecting the pattern required to manufacture the product. Fifth,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using the practice tools, safety matters should be understood. And to prevent the failure of product production, errors in the practice process that the participants might make should be minimized. We expect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pet product market by systematizing pet product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 제품 제작 기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개발 과정에서 반려동물 제품제작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발전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반려동물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반려동물 제품산업의 발달이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아보고 반려동물 제품에 대한 요구와 올바른 반려동물 제품 제작을 위한 직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반려동물 제품 제작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배경과 교육 대상자 선정과정,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및 보완 과정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내용으로 한다. 교육 내용은 반려동물의 특성과 제품군의 유형을 중심으로 반려동물 제품에 대한 특성을 구분하여 이론교육, 기술교육, 디자인 응용을 교육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교육 참여자 집단의 특성을 교육내용에 적용하기 위한 참여자의 기초정보 조사와 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육 참여자의 반려 경험 유무에서는 반려 경험이 있는 참여자의 수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반려 경험이 반려동물 제품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업의 참여도와 교육 집중도, 수업의 효과성 향상의 항목에서 수업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역량 진단은 흥미도, 기능향상, 제작이론의 이해도를 조사하였고 본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전반적인 역량이 향상되었다. 본 교육을 운영하는 데 특히 주의해야 할 점으로 제안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준비로 교육자는 기자재 확인을 위해 해당 교육기관의 사전답사와 함께 실습에 적합한 시설물 사용을 체크한다. 실습재료의 준비는 교육자가 담당하거나 참여자에게 사전교육을 통해 재료 준비를 안내한다. 둘째, 프로그램 내용구성에서 실습 주제를 변경할 경우 교육 시점의 이슈가 되는 주제로 선정하고 제작기술 난이도가 비슷한 수준으로 대체할 수 있다. 교육자의 적극적인 실습 지도로 실습 참여자의 역량 강화와 수업의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수업 성취도를 참여자가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실습일지를 작성한다. 실습일지는 실습 과정, 실습 사진, 참여자의 수업만족도, 참여자 작업 평가서로 구성할 수 있다. 넷째, 교육의 제한점으로 반려동물의 개체적 특성에 따라 제품 사용범위의 한계가 있다. 또한 반려동물 신체 치수 측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제품 제작에 필요한 패턴을 선택하는데 큰 변수로 작용한다. 다섯째, 안전관리 사항으로 실습도구의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사항을 숙지시킨다. 제품 제작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참여자가 범하는 실습 과정의 오류를 최대한 방지하도록 유의한다. 반려동물 제품교육이 체계화되어 반려동물 제품시장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역할 수행에 대한 연구 : 경기꿈의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해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and their actual performance, and achieves stable operation and qualitative growth of Gyeonggi Dream School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roles and duties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The purpose is to come up with meaningful implications so that it is possible.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6 years since the Gyeonggi Dream School, the most important project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as implemented, the need for research was recognized as there was no stipulated role and duties for the operating entity. The research question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actual performance role of the activist who is operating the Gyeonggi Dream School (dream school that students visit) amo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Second, what support is needed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To this end, in this study, 10 staff members of the "Students' Dream School" active in Bucheon were selec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The measurement tool for this study is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mixture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ethods in the Corona 19 situation. The collected data was deriv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the management of Gyeonggi Dream School, the roles of planners, counselors, coordinators, and organizers were selected as priority roles. The actual roles played were diverse, including planners, coordinators, organizers, and instructors. The role that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was the 'counselor'.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role of a counselo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ituation of adolescent learners, but in reality, they met the learner as a teacher, not as a counselor. These differences arise from the lack of individual competencies, poor understanding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and institutional cause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was needed for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to ensure stable operation and sustainability of Dream School. First, it provides administrative support and space to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through an intermediate organization(space) for revitalization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econd, through the network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trengthen capacity. Third, there is a need for compensation for the value of public-interest work for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In addition, an institutional supplementary device is prepared so that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can be converted into experts and recognized. Lastly, we support the stable operation of Gyeonggi Dream School by ensuring sustainability, not a short-term project. Education is called the Hundred Years Zone, and it is hoped that the qualitative growth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and the revitalization of a sustainable dream school will be achieved through a long-term perspective rather than a short-term achievement.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실제 수행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역할과 직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기꿈의학교의 안정적 운영과 질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마을교육공동체의 가장 핵심 사업인 경기꿈의학교가 시행된 지 6년차 임에도 불구하고 운영주체에 대한 역할과 직무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어 있지 않아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인 경기꿈의학교(학생들이 찾아가는 꿈의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활동가의 역할기대는 무엇이며, 실제 수행역할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역량개발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눈덩이 표집을 통하여 부천에서 활동 중인「학생이 찾아가는 꿈의학교」의 운영진 1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했으며, 코로나19 상황으로 대면과 비대면 방식을 혼용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경기꿈의학교 운영진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심층 면담을 통한 연구결과 기대역할로는 교육 프로그램 기획자, 학생 상담자, 집단 내 갈등을 조정하는 조정가, 마을과 학교를 연결하는 조직자의 역할이 우선순위로 선정되었다. 실제 수행하는 역할은 교육 프로그램 기획자, 집단 내 갈등을 조정하는 조정가, 마을과 학교를 연결하는 조직자, 학교 밖 활동에서 가르치는 교수자 등 다양하였다. 기대와 실제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역할은 ‘상담자’였다. 청소년 학습자의 발달 상황에 따른 상담자로서 역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상담자의 역할이 아닌 교수자로서 학습자를 만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개인적 역량 부족과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에 관한 낮은 이해, 제도적 원인 등에서 비롯한다.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들이 꿈의학교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 조직(공간)을 통하여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들에게 행정적 지원과 공간을 제공한다. 두 번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인 역량강화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공익적 노동의 가치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를 전문가로 전환 인식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장치를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단기적인 사업이 아닌 지속가능성을 보장하여 안정적으로 경기꿈의학교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교육을 백년지대계라고 하는데 단기적 성과가 아닌 장기적인 안목으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역할을 정의하고 질적 성장을 돕는다면 이들의 성장이 경기꿈의학교의 성장을 돕고 학습자인 아이들의 성장을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그림책을 활용한 교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김두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보다 흥미롭고 효과적인 어린이 교리교육을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교리교육 프로그램과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저학년에게 가르쳐야 할 교리교육 항목에는 무엇이 있는가? 2. 교리교육 항목에 부합되는 그림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3. 그림책을 활용한 교리교육에 알맞은 교수․학습 모형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이상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가톨릭 교리교육의 지침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발달적인 측면에서 어린이 교리교육의 의미와 종교적 발달 단계를 통해 초등 저학년 시기의 아동에게 알맞은 교리교육 항목을 선별하였다. 그리하여 각 교리 항목별로 활용 가능한 그림책을 선정하여 교수 설계를 시도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적인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지지 않은 일반 그림책 중에서도 교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서를 찾아낼 수 있었다. 둘째, 교리교육 방법론에서 제시하는 교수 설계에 질문하기 전략을 응용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교리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해 낼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종교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그림책이 아닌 일반 그림책도 어린이 교리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르칠 교리 항목을 고려하여 적절한 도서를 선택하고 내용을 분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이 요구된다. 둘째, 교사들의 독서지도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리교사들을 위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주일학교에서의 독서를 통한 교리교육은 종교적 지식뿐만 아니라 도덕적 인성교육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hildren's catechesis of the more interesting and effective for the target picture books, early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utilizing the doctrine is intended to develop.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teaching catechesis items for the early elementary school? 2. What are the picture book of the catechesis items ? 3. How should appropriate learning model for catechesis utilizing picture book be organized ? First, we look see the guidelines for Catholic catechesis to carry out research projects. Also the appropriate catechesis items were selected to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in terms of development, children's catechesis and religious meaning of the developmental stages. so we've chosen the picture book that can take advantage of every doctrine by topic and tried to teaching desig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general picture books that have not been created for religious purposes could get a variety book that was able to be useful the doctrine. Second, Instructional design methodology presentes in catechesis to question on the application of strategies could be achieved by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utilizing picture books catec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to issu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made for religious purposes as well as the usual picture books are able to use to children's doctrine. To do this, consider it an appropriate book to teach doctrine, select the item, analyze information, and will require the ability of teachers that can be applied. Second, Doctrine for teachers, literacy program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develop the teacher's reading skill. Third, Reading through the Sunday school catechesis and religious knowledge as well as the moral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 독서교육 자료로서 [사기] 열전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영실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중국 서한 시대 역사학자 사마천이 남긴 󰡔사기󰡕 열전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을 분석하고, 이들의 언행을 통해 추출된 가치개념들이 아동 청소년들을 위한 독서교육 자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한 지를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설정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기󰡕 열전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아동을 위한 독서교육 자료로서 가치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가치를 가지는가를 탐색한다. 둘째, 독서교육 자료로서 󰡔사기󰡕 열전을 활용할 경우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와 󰡔사기󰡕가 갖는 보편적 가치에 대한 폭넓은 인식을 바탕으로 할 때, 열전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아동 청소년은 물론 각급 학교의 독서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일정한 가치가 있다. 이에 열전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류한 성과들을 참고하여 독서교육에 효과적인 모델들을 추출해낼 수 있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기󰡕 열전은 그 당대는 물론 현재 나아가 앞으로도 독서교육의 자료로서 충분히 개발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역사 자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사기󰡕 열전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의 생동감 넘치는 삶과 행적은 성장기 아동이나 청소년의 멘토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독서교육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셋째, 특히 열전의 인물들 대부분이 단순하게 정형화된 모델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 삶과 특수한 이력을 동시에 갖춘 입체적이고 사실적이라는 점에서 독서교육의 모델로서 향후 더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를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인물들의 분류 기준으로서 최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가치지향적인 다양한 개념들을 도입했다. 이는 열전의 인물들이 갖는 가장 큰 특성인 다양성을 두루 포괄하기 위한 것으로, 아동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독서교육에서도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다섯째, 본 연구는 최근 사회 각계에서 봇물 터지듯 나오는 인문경영, 인문교육 강화, 인문학적 성찰 등과 같은 요구에도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엇보다 과도한 교육경쟁에 거의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영성 개발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역사적 인물들을 효율적이고 유익한 독서교육을 통해 소개하고 이를 롤 모델로 개발함으로써 향후 각급 학교의 인문 교육지도 자료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열전의 가장 큰 특징의 하나인 생생한 고사와 일화 그리고 현장성을 활용한 보다 입체적인 독서지도의 가능성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교육방법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어 : 사마천, 󰡔사기󰡕 열전, 인물, 인물 유형, 독서 교육, 독서 토론, 가치 개념어, 인문교육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ShiJi LieZhuan (史記 列傳) for the Reading Education Name : Lee, Young Sil Major : Reading Education Advisor : Prof. Jung, Ok-Ryun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 possibility of whether round and various types of the characters appear in ‘ShiJi LieZhuan(史記 列傳)’could be used as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teenage reading. The efficiency and need of the study on using the historic figures from school textbooks, historic fairy tales, biographies for learning(education) was pointed out from various angles, therefore, a feasibility and potentiality to develop or use the historical figures for the educational material was secured. The prestige of ‘ShiJi’ is an extensive value added that integrate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s a whole. The coverage of ‘ShiJi’ is becoming wide as time goes by. ‘LieZhuan’, especially well-known for consisting the various types of historic figures as well as its outstanding literary values, was the subject of study since long time but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using it (LieZhuan) as the educational material for reading. As rich source of material for story telling and checking the artistic and literary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frame works of ‘ShiJi LieZhuan’ was fundamentally examined. Taking a close investigation and examine the historic figures achievements, these were organized into a form to be developed or used for the educational material for reading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characters of ‘LieZhuan’, like the earlier studies, do not follow the researcher's own criteria for classification which reflects standards of profession and ideology or the convenience of education. Instead, made a general view by using the value concepts shown in the recent children to deliver each individuals personality in a three dimensional way. Also, keep in step with each individuals complex achievements, the appropriate value concepts were presented to give prominence of each individuals characteristic and personal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to a table, which is a suitable to develop and use as the educational material for reading, in other words, by selecting three historical figures who has various value concepts as well as a distinctive personalities, were analys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for reading and this work was reorganized into a table. This study is quite experimental but making ‘ShiJi LieZhuan’ which called as the text book of mankind with the outstanding text for the subject of research, it was verified that the historic figures could be transfigured in various ways for the educational material for reading. Key Word : Sima-Qian, ShiJi LieZhuan, various types of the characters, the educational materials for reading, value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