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화와 수화사용 청각장애중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비교

        김윤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 Comparison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n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Written by Kim, Yun-hui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Bang, Myong-Ye,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n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identity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On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5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and 6 special classes located in Seoul, Daegu, Chungbuk, and Jeonbuk. Data collected from 46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36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 identity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was statistically more positive than tha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Second,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ett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 : hearing disabilities, oral languag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self-identity, sign language, special classes, special schools

      • Chlorhexidine 적용이 근관와동내 axial dentin에 대한 resin core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관치료한 치아에서 부적절한 수복은 근관계의 재감염을 일으켜 예후를 감소시키게된다. 근관치료한 치아를 컴포짓 레진으로 수복시 상아질에 접착하고 파절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은 있지만 시간에 따라 결합력이 약화내어 지속성이 제한되는 것이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Chlorhexidine은 레진-상아질 결합 감소를 억제하여 결합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관와동 내에서 Chlorhexidine 적용여부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발거된 대구치를 대상으로 치수강이 노출될 때까지 치관부를 제거하고 백악-상아질 경계에서 2mm 하방으로 치근부위를 제거한 후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치수강벽을 편평하게 삭제하였다. NaOCl을 40분간 치수강 내에 적용한 후 Chlorhexidine 적용 유무와 bonding system에 따라 다음의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1) Priming; (2) CHX15sec+rinsing+priming; (3) Etching; (4) Etching+CHX15sec+rinsing 처리를 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그룹1과 2는 Conxtax (DMG, USA)를, 그룹 3과 4는 Adper Single Bond 2 (3M ESPE, USA) 도포 후 Luxacore (DMG, USA) 를 사용하여 근관와동을 충전하였다. 각 실험군의 절반은 즉시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 나머지 절반은 10,000회 열순환 후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Three-way ANOVA, Two-way ANOVA,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이용하여 95% 유의 수준으로 통계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열순환 전 미적용군과 비교시 Chlorhexidine 처리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2. Chlorhexidine 적용시 열순환 후 미적용군에 비해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감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각기 다른 Bonding system을 적용하였을 때, 두 system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근관와동에 CHX(15sec)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Bonding system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pulpal wall에 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 접착시스템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비슷한 이유를 증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CHX 적용 후 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 접착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hlorhexidine with different resin systems on microtensile bonds strength (μTBS) to dentin in endodontic cavities. Flat dentinal surfaces with endodontic cavities in 40 molar teeth were bonded with self-etch adhesive system, Contax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Adper Single Bond 2 after: (1) Priming(Contax); (2) Chlorhexidine(CHX) 15sec + rinsing + priming + (Contax); (3) Etching(Adper Single Bond 2); (4) Etching + CHX 15sec + rinsing(Adper Single Bond 2). Resin composite build-ups were constructed with Luxacore(DMG, USA) using a bulk method and polymerized for 40s. For each condition, half of the specimens was immediately submit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half of them was submitted to thermocycling of 10,000 cycles between 5°C and 55°C before tes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ree-way ANOVA test, two-way ANOVA test, one-way ANOVA test, Independent t-test at a siginificance level of 95%. Chlorhexidine 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of specimens tested at the immediate testing period, regardless of resin categories. However, after 10,000 thermocycling significant bond strength reduction was found in no CHX treatment group, both self-etch adhesive system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in vitro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2% chlorhexidine 15s application proved to preserve the durability of hybrid layer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2.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in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total-etching system and self-etching system when they are applied to pulpal wall dentin

      • 대절 처리가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 식재 후 바이오매스, 맹아발생 및 목재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초기 식재 시 높이를 3가지로 다르게 대절 처리(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하여 식재한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 묘목의 식재 2년 후 바이오매스 생산량, 맹아발생, 목재펠릿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처리구별로 수고와 흉고직경의 변화를 비교하고, 지상부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2013년에 수확된 개체에 대해서는 맹아발생에 따른 가지 수, 건중량 등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바이오매스 생산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원인으로 6월과 10월에 수목의 적응능력(수관활력도, 잎피해도, 적응지수), 7월과 9월에 생리적 특성(광합성, 엽온, 광색소함량)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향후 목재펠릿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량, 연간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냈다. 지제부 대절 처리구는 무대절과 1m 대절 처리구의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들을 보였다. 수확 후 1년 동안 생장한 포플러의 맹아발생은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활발하고, 무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처리구별로 잎피해도는 10월의 경우 거의 비슷하고 수관활력도는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지제부 대절 처리구는 6월과 10월 두 시기에 잎피해도와 수관활력도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어 생장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응지수 또한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광합성률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7월에 1m 대절, 무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9월에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엽록소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엽록소의 함량이 낮아지는 9월에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대체로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리구별 이태리포플러의 함수율과 발열량은 대부분 1급 기준을 만족하며, 무대절 처리구의 수목이 1m 대절 처리구 수목에 비해 함수율이 낮고, 발열량이 높아 연료로 쓰기에 더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포플러의 회분과 질소 함량은 수목 부위별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주가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피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회분과 질소 함량이 높았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biomass production 2) to investigate the sprout production and 3) to provide the basic wood pellet quality information of Populus euramericana. This study had three different cutting sizes treatments (Un-coppiced, 1m height-coppiced and ground coppiced seedlings). The Populus euramericana plantation had been established in Saemangeum, Gimje, Korea which is reclaimed coastal area. Height,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biomass, capacity of adaption (leaf and crown damage), adaptation index,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photosynthesis, leaf temperature and chlorophyll content), number of sprout, moisture content and net calorific value had been investigated. The order of height, DBH, biomass and annual biomass growth were as follow: un-coppiced > 1m height-coppiced > ground coppiced seedlings. The highest production of number of sprout production had been shown in the 1m height-coppiced treatment. On the contrast, Un-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lowest number of sprout production. Leaf damage showed the similar score on the all the treatments. Crown damage was the best in the 1m height-coppiced seedlings in October. However, ground 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highest leaf and crown damage both in June and October measurements. The order of the adaptation index were as follow: un-coppiced > 1m height-coppiced > ground coppiced seedlings. Photosynthetic rates and chlorophyll content showed different trends both in July and September measurements. In July, the highest photosynthetic rate showed on the 1m height-coppiced seedlings. Moisture content and net calorific value of Populus euramericana qualified class 1 of the standard for wood pellet. Especially, un-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best quality, highest net calorific value and lowest moisture content for the wood pellet. Ash and nitrogen content showed large variation on the part of tree body. Main branch showed the highest ash and nitrogen content.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유음의 인지와 발화 - 능숙도, 위치, 맥락 유무를 중심으로 -

        김윤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liquids /l/ and /r/, attempting to find which of them is perceptually similar to the Korean liquid /ㄹ/. It has been proposed by the Speech Learning Model that the more distant an L2 sound is from the closest L1 speech sound, the more learnable the L2 sound will be. This hypothesis was evaluated in this study by investigating whether Korean speakers will have more success acquiring English /l/ or /r/ because it has been assume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at the Korean liquid is phonemecally /l/. Korean learners’ proficiency, speech context, and three different word position are accounted as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hree experiments a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examines the foreign accent of Korean participants. The second one is perception experiment with two different Korean groups and the last one is production experiment with the same Korean groups. The total experimen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like the experiment with Japanese listeners(Aoyama et al., 2004),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learners’ accuracy of English liquids perception and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 and /r/. This suggests that Korean liquid /ㄹ/ is not similar /l/ or /r/. Second, word position was important factor for Korean learners to perceive /l/ and /r/ but this factor was not significant factor for production /l/ and /r/. For both perception and production experiment, context and proficiency factors were important for Korean learners. Two experiments found that both groups of Korean learners performed better in word context than in segment and the higher proficiency was, the higher accuracy was in both contexts. * Keyword: L2, Speech Learning Model, liquid, proficiency, word position, context. 본 논문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유음 /l/과 /r/의 인지와 발화 실험을 통해 한국어의 /ㄹ/이 영어의 /l/과 /r/중 어떤 소리와 인지적으로 더 유사한 소리인지 밝히고자 한다. 영어 유음을 인지하고 발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외국어투 측정 실험을 통해 분류된 학습자의 능숙도와 단어 내 /l/과 /r/의 위치, 그리고 문맥의 유무가 사용될 것이다. 총 세 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학습자의 능숙도를 구분하기 위한 외국어투 측정(foreign accent rating) 실험을 하였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3명의 원어민이 40명의 한국인 학습자의 발화를 듣고 외국어투 정도를 측정하였다. 3명의 원어민이 판단한 외국어투 정도에 따라 학습자들의 능숙도를 고급(10명)과 초급(10명)으로 나누었다. 두 번째는 원어민의 발화를 고급과 초급 수준의 학습자가 듣고 판단하는 인지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l/과 /r/이 포함된 단어를 듣는 단어 인지 실험과 /l/과 /r/의 분절음만 듣는 분절음 인지 실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결과는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유음의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고 위치에 따라서도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문맥의 유무에 따라서도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에 능숙도, 위치, 문맥의 세 요인이 학습자들의 인지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l/과 /r/의 인지 정확도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의 /ㄹ/이 영어의 /l/과 /r/ 중 어떤 소리와 인지적으로 더 유사한지는 결론 내릴 수 없다. 세 번째는 한국인의 발화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한 발화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발화한 /l/과 /r/이 포함된 단어와 /l/과 /r/의 분절음을 원어민 청자에게 들려주는 인지 실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결과는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유음의 발화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고 문맥의 유무에 따라서도 발화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에 능숙도와 문맥 요인이 학습자들의 발화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위치에 따른 발화 정확도 차이와 /l/과 /r/의 발화 정확도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지 실험 결과와 달리 위치 요인이 학습자들의 발화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주요어: L2, Speech Learning Model, 유음, 능숙도, 단어 내 위치, 문맥

      •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시기의 첫 자녀를 키우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기혼여성이 현재 지각하고 있는 부부관계, 즉, 배우자로부터의 정서적 지지가 어머니가 된 자신의 부모기 전이 과정에 있어 부모로서의 책임감 및 제약, 부모로서의 만족, 부부간의 친밀감과 안정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6개월∼48개월까지의 만4세 이하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97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측정도구의 주요내용을 정리해 보면 첫째, 부부관계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존중, 공감, 일치의 세가지 하위영역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기 전이는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 부모의 만족,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의 세가지 하위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Duncan's 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 일반적인 경향은 5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기 전이의 일반적인 경향 역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의 차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가정의 평균월수입, 교육수준, 배우자 대화정도, 주관적으로 인식한 신체 및 심리건강상태, 삶의 만족도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기 전이에는 결혼지속년수,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인식한 신체건강상태, 심리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을 살펴보면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에는 결혼지속년수,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인식한 심리건강상태, 신체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만족은 자녀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와의 대화정도, 주관적으로 인식한 삶의 만족도, 신체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은 교육수준, 결혼지속년수, 주관적으로 인식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부부관계 변인을 투입한 결과 먼저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은 존중과 공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만족은 존중과 공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은 존중과 일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는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기 전이기에는 부부 상호간의 관계와는 분리해서 부모로서 지각하는 만족감을 이해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으로 저출산과 이혼이 심각한 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만큼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결혼예비부부, 결혼초기부부, 첫 자녀 출산 부부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생활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부인의 역할에서 어머니라는 역할을 부여받은 기혼여성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불안감과 의무감을 배우자에 의해 보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이 보편화된 현대사회에서 기혼여성의 출산 전과 후를 계획할 수 있는 일가정 양립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가능한 지원체계의 확립과 실천이 요구된다고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nfluence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an raising the first child of infant period on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couple relationship currently percieved by married woman, that is, this research studies what kind of relationship does emotional support of spouse have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parental gratification, and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dur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as a mother. For this, a survey with married women having babies from 6 months to 48 month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areas was conducted and total 297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erms of details about measuring tools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regarding couple relationship, respect, sympathy, and agreement were studied as three factors for measuring emotional support of spouse percieved by married women. Moreover,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s sub factors are divided into three,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parental gratification, and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for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was shown to be over the average and was relatively positive. The general trend of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over the average, meaning that they felt it relatively difficult.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factor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sociolog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it was shown as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educational level, communication with the spous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and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 was found that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phys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psycholog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on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studied. First of all, looking at the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as a factor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psycholog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phys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For parental gratification, children’s age, educational level, communication with spouse, life satisfaction cognized subjectively, and physical health had significant influence. For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educational level, duration of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percieved subjectively had significant influence. Furthermore, as a result of controlling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putting in factors of couple relationship, first, respect and sympath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For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respect and agree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affected transition to parenthood. What is more,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 should be separated from couple relationship and gratification cognized as a parent shall be interpreted. Recently, as low birth rate and divorce are becoming serious social problems the research result showing couple relationship influencing transition to parenthood could be used as meaningful data for educating pre-marriage couples, newly married couples, and couples with the first baby. Moreover, this implies that ways to offset anxieties and responsibilities as a roles of married women by spouse which is given by the roles of a wife and a mother have to be made. Furthermor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women’s advance to the society is being generaliz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practical and detailed support system on coexistence of work and family allowing them to plan before and after the childbirth.

      •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및 연구 : 조소 영역을 중심으로

        김윤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moderns who lives today meaning the fine arts education widly from function or role of the fine arts characteristics, universal leads the fine arts and, human knock-down life abundantly the fine arts education which does is necessary. The purpose of high school fine art education in Korea is for people to gain aesthetic point of view, imaginative power, critical thinking, and to have an ability to understand, to inherit, and to develop culture of fine art. Especially, education of sculpting has a major role for developing young students' creativity and emotions and for forming the base of the life that will allow to develope what is stated above. But we see insufficient circumstances in actual school site. Therefore, fine art education is treated two dimension mainly and this lacks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space perception in sculpture. Focusing only on the examination for entrance to a so-called good school results the lack of schedule, materials to express, and poor school faciliti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help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ulpting education and the problems which can be found by analyzing contents that show current professors method of sculpting well in textbook. For this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ed the basic theory of one sardonic smile education in the center,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ardonic smile education and currently was in the process of advancing and 7th junior high school fine arts curriculum and the sardonic smile is cold under territory by specific gravity and contents, endures the fine arts textbook of 7 bells which are adopted comparison analyzed the illustration Based on these methods, the research grasp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textbook and considers the problem of effective sculpting education in present junior high school fine art textbook. First, education of sculpting takes 14% out of a whole expresseion territory which is deficient compare to a territory of paintings or designs. Second, the textbook shows big differences depends on the authors' major. Third, it adapts a flow of modern art that shapes up the overall education well but does not meet the expectations to give accurate purpose and direction. Fourth, it lacks of connection between contents and the level of students and it differs by grades. Fifth, it presents materials' variety but is insufficient to explain those expressive materials, the process, and the use of those materials. Sixth, it contains various artists works, students works, and traditional works but is one-sided to artists work and the examples of Korean traditional works are mostly Buddhist image and the examples of the foreign nation has a tendency to contain mostly from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e references in the fine art textbook are insufficient to bring effectiveness and since the circumstances are not allowed for professors to produce it their own, various different visual data are in need to have a desirable sculpting education. Consequently raising a studying voluntary incentive and a gain and loss, with the sardonic smile practical technique study plan for ICT professors who use WEB where is a link of the study for the originality development which emphasizes from 7th curriculum - presented a learning process inside model. ICT applications Prof. multimedia - provide a studying data and, to present the data of the Internet the expressive material which the textbook outside is various and work appreciation they lead and the fine arts textbook has the restriction of the problem which and sardonic smile education, the base of original expression they complement they prepar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doing the sardonic smile education which is effective. This leads and develops develops the expression and a sentimental ability of the students, an originality, For the fine arts education will be able to rear the human being which is whole man To the fine arts textbook which this is compiled newly will experience the chance of the fine arts work creation of the format where the students are various not only Means a better piece education will become accomplished. Artistic ability and good eye improves, Is organized with contents. 현대인에게 미술교육의 의미는 미술 고유의 기능이나 역할의 범주에서 더 나아가 미술을 통한 보편적인 삶을 영위할 수는 광범위한 미술 교육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중학교 미술과 교육은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그리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주며 아울러 미술 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육성한다. 특히, 조소교육은 학생들이 창의성을 계발하여 정서를 함양하며, 미적 정서와 스스로 창작할 수 있는 생활의 기반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충분한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아 미술교육이 평면위주의 수업으로 진행되어 공간감을 가지게 하는 조소 교육을 소홀하게 취급되어지고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교과 시간 편성에 의한 적은 시수와 열악한 표현재료, 학교시설 등으로 교육이 잘 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소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현행 교수 방법을 미술교과서의 조소 영역 내용과 참고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나은 조소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한 조소 교육의 기본 이론을 고찰하고, 조소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현재 진행 중인 제7차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의 조소가 차지하는 영역별 비중과 내용, 참고 도판을 비교 분석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교과서의 실태를 파악하여 현 중학교 미술교과서 조소 교육의 효율성 문제를 고찰하였다. 첫째, 조소 교육은 표현영역 전체의 14%로 회화, 디자인에 비해 비중이 매우 미비하다. 둘째, 집필진 구성원의 전공에 따라 장르별 내용 구성의 차이가 난다. 셋째, 현대미술 흐름에 맞춰 통합교육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정확한 목표와 방향에 미치지 못 한다. 넷째, 영역별 학습내용에 연계성과 학습자 성장에 따른 수준별 학습내용이 부족하며, 학년별 학 습 내용이 다르다. 다섯째, 조소교육에 있어서 재료의 다양함을 제시하고 있으나 표현재료와 제작과정, 용구 사용 시 유의점에 설명이 부족하다. 여섯째, 작가작품, 학생작품, 전통작품 등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지만 작가작품에 편중되어 있 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조소 작품은 대부분 불상이며 외국 참고작품은 유럽이나 미국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미술 교과서의 제한된 참고작품만으로는 효과가 부족하고 교사들이 제작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므로 바람직한 조소교육을 위하여 풍부하고 다양한 참고작품을 볼 수 있는 시청각교육 자료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동기유발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조소 실기수업 방안으로써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의 일환인 WEB을 이용한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교수-학습 과정 안 모형을 제시하였다. ICT활용은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 인터넷의 자료를 제시하여 교과서외의 다양한 표현 재료와 작품감상을 통해 미술 교과서가 갖고 있는 문제점과 조소 교육의 제약을 보완하고, 창의적 표현의 토대를 마련하여 효과적인 조소교육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표현과 감상 능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계발하여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할 수 있는 미술교육을 위하여 새롭게 편찬될 미술 교과서에는 학생들이 다양한 형식의 미술 작품 창작의 기회를 체험케 할 뿐만 아니라 미적 능력과 안목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내용으로 편성되어 보다 나은 조소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 유아의 성별과 인기도에 따른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놀이행동

        김윤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eeer play interactions and behaviors based on popularity and gender of preschool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proposed i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peer play interactions based on gender? Secondly, are there differences in peer play behaviors based on gender? Thirdly, are there differences in peer play interactions based on popularity? Fourthly, are there differences in peer play behaviors based on popularity? 194 4 year olds were recruited from 6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e province. The children consisted of 91(46.9%) males and 103(53.1%) females. Peer nomination was used to assess the popularity of the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teachers to measure peer play mutual interactions and behaviors.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was calculated by Cronbach α coefficient. t-tests were performed to differences in peer play interactions and behaviors based on gender and popular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es tend to be more active in behaviors related to interruption of play than females and females tend to be more active in behaviors related to mutual interaction of play than males. Secondly, males tend to be more involved in physically wild type of playes than females and females tend to be more involved in social plays than males. Thirdly, behavior of interrupting and breaking the play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low popular group compared to middle and high ppopular groups and the behavior involving mutual interaction of play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high and middle popular groups than low popular group. Fourthly, the high and middle popular group tended to be performing more plays compared to those in low popular group.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do exist in mutual interaction and playing behavior of peer play based on gender and popularity of preschool children.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applied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peer play behaviors.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성별 및 인기도에 따라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놀이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놀이 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놀이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6개의 사립유치원 14학급에 재원 중인 194명의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성별구성은 남아 91명(46.9%)과 여아 103명(53.1%)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먼저 유아를 대상으로 인기도 검사를 실시하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놀이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유아의 인기도는 Schwartz, Farver, Chang과 Lee-shin(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또래 지명법으로 유아가 또래들로부터 수용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 Fantuzzo, Coolahan, Mendez, Mcdermott 와 Sutton-Smith(1995)가 제작하고 수정․보완한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ie)를 최혜영․신혜영(2008)이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요인분석과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내적 일치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척도로 사용하였다. 유아 놀이 행동의 측정은 Coplan과 Rubin(1998)이 개발한 ‘The Preschool Play Behavior Scale(PPBS)'를 본 연구자가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변인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 α 계수로 산출하였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또래 간 인기도를 상․중․하집단으로 나눈 후 집단에 따른 놀이행동에 대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놀이방해와 관련된 행동을 더 많이 하고 놀이상호작용과 관련한 행동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빈번하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놀이 행동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거친 신체놀이와 관련된 유형의 놀이를 더 많이 하고, 여아는 남아보다 사회적 놀이에 더 많이 참여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놀이를 방해하고 놀이를 단절시키는 행동과 관련한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또래인기도가 상집단과 중집단인 유아들 보다 하집단 유아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으며, 놀이상호작용관련 행동은 또래 수용도가 하집단인 유아들 보다 상집단과 중집단인 유아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의 인기도에 따라 놀이행동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또래 인기도가 상집단과 중집단인 유아들 보다 하집단인 유아들이 비놀이를 더 많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래 인기도가 높은 상집단의 유아들이 하집단 결론적으로 유아의 성별과 또래인기도에 따라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과 놀이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올바른 놀이행동의 바람직한 참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