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시판화장품 판매사원의 카운셀링 방법과 교육에 따른 고객 선호도 연구
김희은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는 화장품 판매사원의 카운셀링 방법에 따른 고객 선호도룰 조사하여 고객이 선호하는 카운셀링을 살펴보고, 고객이 만족하는 카운셀링 내용을 바탕으로 시판화장품 판매사원 교육의 기반 자료를 제공,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화장품 판매사원 1명(A유형)과 체계적인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은 신입 화장품 판매사원 1명(B유형)은 각각 고객응대 카운셀링 동영상 촬영을 하였다. A유형은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판매사원으로서 브랜드의 가치 전달, 화장품의 지식 전달, 피부 지식 전달, 깔끔한 외모, 친절한 서비스 등을 고객에게 카운셀링 하는 것을 촬영하였으며, B유형은 체계적인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은 신입 판매사원으로 전문 카운셀러로서의 모습이 아닌 자연스러운 모습 그대로 촬영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구매력이 있는 일반인 등 20대 이상의 성인남성 151명, 성인여성 151명을 대상으로 총 302명의 설문으로 이루어졌고, 조사방법은 웹상의 노출, E-mail, SNS 등 인터넷 사용자를 통한 자발적 참여로 온라인 설문 진행을 하였다. 성인남녀 302명은 두 개의 동영상을 보고 어떤 동영상을 전문 카운셀링으로 느꼈는지 선택하였고, 카운셀링의 여러 가지 요소 중 고객이 선호하고 만족하는 카운셀링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248명(82.1%)은 판매사원 교육을 잘 받은 A유형 카운셀링을 선호하였고, 나머지 54명(17.9%)은 B유형 카운셀링 방법을 선택하였다. 카운셀링 내용에서 판매사원 외모선호도는 메이크업상태를 52.6%로 가장 중요시 하였고, 친절한 서비스로는 67.2%로 말투를 가장 선호하였다. 전문 카운셀링 내용으로는 맞춤권유제품을 43.0%로 꼽았으며, 판매사원에 의한 제품지식습득방법은 예를 들어서 설명(38.1%)을 선호하였고, 피부지식 습득방법은 피부측정기(54.3%)를 이용한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전문 카운셀링을 통한 제품 신뢰도와 재구매 및 재방문 욕구가 매우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전문 카운셀링의 필요성에 관하여 58.9%이상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판매사원의 전문 카운셀링은 브랜드의 가치, 제품 지식, 피부 지식, 판매사원의 깔끔한 외모, 친절한 서비스 등이 고객에게 잘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화장품 판매사원의 교육 정도에 따라 고객이 선호하는 카운셀링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객이 만족하고 선호하는 카운셀링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좀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화장품 판매사원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roper educational programs and provide cosmetics salespeople with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customers' satisfied counselling contents through finding out which counselling methods customers prefer among various ways. I filmed two salespeople serving and counselling customers at each place. One salesperson is systematically educated(A type), and the other is a beginner who has not had enough education for selling and counselling(B type). A type person keeping herself neat and trim dressed delivered the brand value of the cosmetics to customers, and explained necessary information about skin and cosmetics in a kind manner. B type person showed a natural manner as a new salesperson. The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is 302 who are over 20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number is equally divided as gender type, and all of them have purchasing power. The method of the research is composed of on-line survey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s such as exposures to the web, E-mail, SNS. The participants chose in which film they felt professional counselling. Also they answered the survey in order to find out which counselling methods customers preferred among various factors in counselling. The result is as follows; 248 participants preferred A type counselling(82.1%), while 54 participants chose B type(17.9%). The participants thought highly of makeup itself among other appearance preferences(52.6%), and they put high value on the salesperson's way of speaking among other factors determining kind service(67.2%). They liked recommended products for themselves the most among other professional counselling contents(43%). Also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kin measuring instrument the most in the ways of getting knowledge about their skin(54.3%). Besides, it is revealed that customers have products confidence and they are willing to buy those ones again in case they get professional counselling.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counselling(58.9%). I figured out well-educated salesperson's professional counselling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vey the value of the brand,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the knowledge of the skin. Also I found out the salesperson's neat appearance and kind attitude appeal to custome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Especially, I realized customers' preferred counsell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salespeople's educational level. Besides, I expect it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for cosmetics salespeople by understanding counselling factors with which customers are satisfied.
화장품 방문판매원의 교육실태가 기능성화장품 판매에 미치는 영향
박미선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근무와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기능성화장품 판매를 위한 교육의 기반자료를 제공한다.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서 기능성화장품을 포함한 화장품 방문판매원을 하고 있는 판매원 180명을 대상으로 방문판매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 및 교육에 대한 실태, 기능성화장품교육 실태 및 교육과 매출과의 관계를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방문판매원은 30대의 기혼여성, 고졸, 소득수준은 월 100만원 미만과 1년 미만의 근무경력 그리고 직급은 가장 하위인 뷰레이터가 높게 분석되었다. 방문판매원의 근무현황 결과, 시작동기는 주변사람의 권유, 직업관련 전문지식과 카운셀링 능력수준은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지만, 경력과 소득, 직급이 높을수록 수준이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직의향은 없다라는 결과가 높게 나왔으며, 이직에 대한 의향이 있는 경우 새로운 고객창출이 어려워서라고 답했다. 방문판매원의 교육실태분석에서 교육 참석 횟수가 주 5회, 하루 교육 소요시간은 20~30분이 가장 높았다. 자발적 학습 유/무에 대해서는 가끔 중요한 상품인 경우 한다를 선택하였고 자발적 학습 교육경로는 지사 교육강사님에게 질문한다이며, 현재 받고 있는 교육내용으로는 신상품 및 상품에 대한 교육이 가장 많았지만 방문판매원이 받고 싶은 교육은 피부지식교육과 판매 화법교육으로, 받고 있는 교육내용과 차이를 보였다. 교육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판매를 위해 교육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기능성화장품교육 실태에서는 기능성화장품 판매를 위해서는 피부와 화장품 전문 교육이 필요하며, 기능성화장품관련 교육자료를 고객 상담 시 70%이상이 활용하며 이런 교육내용이 판매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향후 기능성화장품 관련 교육에 대한 시간투자의향에 대해서는 일 평균 30분 교육을 할 의향이 있다라고 답했다. 교육시간과 기능성화장품 판매 금액을 비교한 결과 교육시간이 길수록 기능성화장품매출액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육 콘텐츠와 다양한 교육 프로세스 구축으로 방문판매원들의 수준과 역량에 맞춰 교육을 설계 및 진행으로 기능성화장품매출을 성장시킬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work and education of door-to-door salesperson and providing basic sources of education for functiona cosmetic sales. On 180 door-to-door salespersons specializing in cosmetics including functional on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the survey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or-to-door salespersons, actual conditions of work and education, training for functional cosme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ales. As a result, for door-to-door salesperson, there were higher share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with education of highschool graduation, monthly income of less than one million won, work experiences of less than one year, and the lowest rank of view rater in t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ctual condition of job for doorto-door salespersons, starting motivation was highest with recommendation by others, knowledge and counselling ability were highest in mid-level while as experiences, income, and rank were highest, the abilities were also higher. For the intention of transferring job, the result was high in not yet but in case of intention of transferring job was difficulty to create new customers. For the analysis of education for door-to-door salesperson, frequency of attending education session was highest in 5 times a week and daily education time was highest in 20-30 minutes. For volunteer learning, in case of important products, they often did it. For path of volunteer learning, asking to educators in branches. For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nts, there were highest in new products and other ones. But door-to-door salesperson preferred education on knowledge about skin, and how to tell in sales, showing differences with the current contents of education. For effect of education on sale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 was required for sales. For the educ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in order to sell them,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professional education for skin and cosmetics were required and guideline about functional cosmetics was used more than 70% for customer consultation and it was helpful for sales. For intention to invest more time for functional cosmetic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plied intention of average 30 minutes a day.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education time and functional cosmetic sales, as education time was longer, sales of functional cosmetics was higher. In conclusion, by buil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various processes for education, and designing and proceeding education according to level and ability of door-to-door salesperson, functional cosmetic sales can be improved.
부동산 개발, 특히 토지는 확대재생산이 되지 않으므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부동산의 효율적인 이용은 작게는 토지 소유자에게 경제적인 이득을 주며 크게는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측면에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부동산과 관련된 문제가 대단히 복잡하고 어려워 다방면의 전문가가 아니면 원활한 업무의 수행이 곤란하므로 여기에 부동산 컨설팅 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부동산의 효율적인 이용 개발을 위한 컨설턴트 등 전문가의 종합적인 자문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부동산의 개발 컨설팅은 그 성공 여부를 가름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제도적인 장치가 미약하여 부동산의 유한성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부동산 컨설팅 업의 정착을 위한 분위기가 조성이 되고 있지만 현실적인 제약 요소도 적지 않아 양질의 부동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의 시장 여건 하에서는 부동산 개발 컨설팅이 단순한 사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수준이기 때문에 이러한 인식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업계, 정부, 학계가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각 대학에서 부동산학과를 신설하고 석, 박사 과정을 두어 연구에 돌입하게 된 것도 최근의 일이다. 21세기 세계경제는 국경이 없는 시대로 불릴 만큼 지구촌화 되어 가고 있으며, 국제화․개방화․정보화․지식의 고도화․가치관의 다양화․전문화․인구의 고령화․산업의 복합성 등 사회․경제의 질적 변화에 부동산 시장의 구조 재편 현상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부동산 개발은 종합예술이라고 한다. 부동산의 개발은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전문가의 참여 아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컬어지는 표현일 것이다. 과거에는 몇몇 사람의 단편적인 계획으로 진행되었던 부동산 개발은 이제 더 이상 경쟁력을 확보할 수가 없게 되었다. 정보 집약이 요구되는 후기 산업사회에 있어서 부동산 개발 역시 소수의 지식과 정보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매우 무모하고 어리석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모두가 깨닫게 된 것이다. 부동산 개발에 있어서 유의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가 부동산은 비가역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잘못된 도시의 개발이나 건축물의 건설, 또는 SOC사업 등에서 적지 않은 시행착오 또는 국고 낭비를 발견할 수가 있으나 이에 대한 시정이나 원상회복이 어렵다는 점이다. 즉 부동산의 잘못된 개발을 예방하고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부동산 개발의 각 단계에서 다수 전문가의 다각적인 분석과 검토를 하는 컨설팅이 필수적인 절차로 자리매김을 하게 된 것이다. 부동산 개발 컨설팅이 필요하게 된 이유를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은 소유의 시대에서 이용의 시대로 바뀌었다. 토지공개념 관련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1990년 이후 지가는 안정되었으며 이용되지 않는 토지는 소위 애물단지가 되었다. 따라서 공급자 우위의 시장에서 수요자 우위의 시장으로 바뀌어, 보다 경쟁력 있는 개발 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되어 주먹구구식 개발은 설자리를 잃게 되었다. 둘째 부동산 관련 법규 및 제도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광범위한 제도의 내용을 파악하기에 매우 어렵게 되었다. 셋째 부동산 개발과 관련한 최고 최선의 이용 방안의 판정이 쉽지 않다. 넷째 부동산 개발의 입안자가 개발과 관련된 모든 참여자들을 조정하고 조율할 수 있는 전문적인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입안자를 대신할 전문가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다섯째 부동산 개발과 관련하여 사업성 분석은 매우 객관적이어야 하고 정확한 근거가 과학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법적 제도 문제도 한마디로 부동산 개발 컨설팅 업에 대한 공신력의 문제와 직결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난립된 업계를 정리하는 검증 제도의 역할이 시급하다고 본다. 법적 제도에 의한 영업의 범위나 자격 및 벌칙 등을 엄격하게 두고 시장의 자유경쟁 원리에 따라, 능력에 따라 수수료의 차등과 업무 범위가 자연스럽게 정해지도록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국가 인증의 자격증은 공신력을 표창하는 제도이므로 수요자로 하여금 신뢰성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는 지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고, 혼란이 오기 전에 개별법, 전문교육 제도, 보수 체계 등을 정립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개발 컨설팅 업은 이론이나 제도적인 뒷받침 없이 시대적인 필요에 의해 자생적으로 생긴 것이 대부분이다. 늦기 전에 법제화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정착되지 못한 부동산 개발 컨설팅 활동을 제도적으로 법제화 및 활성화해야 하는 정당성을 서술하고, 국내외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에 정착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송민정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Although their themes differ, Peter and Wendy by J. M. Barrie, The Lord of the Rings by J. R. R. Tolkien, and The Wonderful Wizard of Oz by Frank Baum all contain a timelessness that has allowed them to transcend generations in continuous reproductions and various adaptations that utilize different perspectives. This is seen as a result of the stories’ shared ability to connect the author with the audience, heightening the latter’s involvement with the text. First, Peter and Wendy demonstrates the motherly role type of storytelling, allowing it to be used as a kind of defense mechanism to cover the physical lack of ‘the Mother,’ since ‘telling stories’ is seen as a typical role of the mother figure in the novel. In contrast, The Lord of the Rings shows how storytelling can serve as a form of counseling. Throughout the story of the long journey of Good and Evil, various characters find wisdom and courage while listening to the stories and experiences of others and sharing them with each other. Throughout their travels, their stories serve to communicate their experiences and provide counseling. Third, The Wonderful Wizard of Oz represents self-reflection through storytelling as Dorothy and her friends overcome their fears and attain self-confidence through the great adventures they take on. Thus, these three texts demonstrate how good storytelling does not diminish over time, but allows stories to be revisited and revived in reproductions of various mediums. All three of these stori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musicals, films, plays, and animation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dimensions illuminated to bring new epiphanies to the audience. Perhaps the greatest power of storytelling, however, lies in its fluidity and spontaneity; anyone can assume the role of the storyteller and tell their, unique version of the tale. Furthermore, this similar comparability of storytelling frame does not confine these three stories to children’s literature but also extends the boundaries of each text to adult literature. Storytelling in three texts breaks the binary concept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and brings numerous variations out to worl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storytelling and its powerful effect on cultural studies in Peter and Wendy, The Lord of the Rings, and The Wonderful Wizard of Oz, with close attention paid to how these stories utilize unique qualities of storytelling such as motherly role, counseling, and self-ref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