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생 저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평가를 위한 문항 개발
초등학교 저학년 학교생활 적응 평가를 위한 문항 개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교육과정 내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를 선별 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은 국내 초등학교 교사 5명, 작업치료사 5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문헌 고찰을 통해 수집된 예비 문항에 대한 적합성 조사, 내용 타당도 검증, 전문가 회의를 거쳐 본 문항을 구성하였다. 작업치료사 5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본 문항에 대한 적합성 조사,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문항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항목에 대해서는 기술 통계를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교생활 적응 평가 문항 개발을 통하여, 학업(읽기, 쓰기, 수업 참여) 13문항, 비 학업(자립기술, 점심시 간, 쉬는 시간) 25문항, 과외활동(스포츠활동, 방과후 활동) 5문항, 총 43문항 으로 수업 시간 내 요구되는 기술과 학교 내 공간에서의 규칙과 관련된 문항 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와 작업치료사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은 기초학습능력과 같은 학업 영역보다 교사와 관계, 교우관계, 학교 규칙과 같은 비 학업 영역의 수행 기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와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교육 과정 내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기술을 평가 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개발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평가 문항이 향후 학교 현장에서 모든 학생에게 적용 할 수 있으며,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 선별 및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제시 할 수 있는 임상적인 근거를 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노인의 가족탄력성과 우울의 관계 :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매개효과
박승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남녀 노인 총 31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 23.0을 통해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였으며 Bootstraping을 통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탄력성, 좌절된 대인관계, 우울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탄력성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를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간접효과와 가족탄력성의 직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좌절된 대인관계에서 남성 노인의 점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가족 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노인 가족 상담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311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variabl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SPSS PROCESS Macro 4.0 with bootstrapping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amily resilienc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depression through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e indirect effect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the direct effect of family resilience were confirmed,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the scores of the elderly male i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were larger than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family factors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amily counseling for the elderly. Last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청년 여성의 포커싱적 태도가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박승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년 여성의 포커싱적 태도, 소외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포커싱적 태도가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훈장학회로부터 후원을 받아 인바이트(www.invight.co.kr)를 통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만 20~24세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판 포커싱적 태도 척도 개정판(KFMS-R), 한국형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FoMO),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커싱적 태도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포커싱적 태도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포커싱적 태도가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알아차리기가 높아질수록 상대적 박탈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지고, 여유갖기가 높아질수록 상대적 박탈감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되새겨보기가 높을수록 소속 욕구와 외적동기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받아들이기가 높을수록 외적동기는 낮아졌다. 포커싱적 태도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다. 이를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알아차리기가 높을수록 행동적 반응, 신체적 반응, 정서적 반응은 유의미하게 높아지며, 여유갖기가 높을수록 정서적 반응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표현하기가 높을수록 신체적 반응과 정서적 반응은 유의미하게 낮아졌고, 되새겨보기가 높을수록 행동적 반응과 정서적 반응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받아들이기가 높아질수록 스트레스 반응의 각 하위요인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셋째, SNS 사용시간에 따른 차이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하위요인 외적동기는 3시간 이상인 집단이 1시간 미만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전반적인 관계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포커싱적 태도의 여유갖기와 받아들이기에서 불만족 집단이 보통과 만족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표현하기에서는 만족 집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보통 집단, 불만족 집단이 낮았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소속 욕구에서 불만족 집단이 만족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상대적 박탈감에서는 불만족 집단이 보통과 만족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스트레스 반응의 행동적 반응에서는 불만족 집단이 만족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신체적 반응과 정서적 반응에서는 불만족 집단이 보통과 만족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focusing manner, Fear of missing out and Stress Reaction, and to reveal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Fear of missing out and Stress Reaction,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focusing manner, Fear of missing out and Stress Re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 women.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300 young adult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online questionnaire consisted of revised version of the Korean Focusing Manner Scal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FoMO', Stress Reaction Scal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focusing manner, Fear of missing out and Stress Re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focusing manner, Fear of missing out and Stress Reaction.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Fear of missing out and Stress Re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each 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focusing manner, fear of missing out, and stress reaction showed correlation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sub-factor. Second,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fear of missing out was significant, and by sub-factor, ‘relative depr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awareness’ of focusing manner increased, and ‘relative depriv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keeping one’s composure’ increased. ‘belonging nee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reflecting attitude' increased, and ‘extrinsic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reflecting attitude' increased. ‘extrinsic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accept’ increased.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stress reaction was significant, and by sub-factor, behavioral stress reaction, physical stress reaction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awareness’ of focusing manner increased,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keeping one’s composure’ increased. Physical stress reaction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express' increased, and behavioral stress reaction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reflecting attitude' increased. Behavioral stress reaction, physical stress reaction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accept’ increased. Third,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by average SNS usage time for one day was, 3 hours group was higher than 1 hour' group in ‘extrinsic motivation’. Differences by overall relationship satisfaction group was, dissatisfaction group was lower than average group and satisfaction group in 'accept' and 'keeping One`s Composure'. Satisfaction group was the highest group in 'express', and followed by the average group and the dissatisfaction group. In 'belonging needs' as a sub-factors of fear of missing out, dissatisfa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atisfaction group. Dissatisfa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verage group and satisfaction group in 'reflecting attitude'. In the behavioral stress reaction as a sub-factors of stress reaction, dissatisfaction group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group. In physical stress reaction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 dissatisfa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verage group and satisfaction group.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research suggestions were discussed.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비행스케줄에 따른 수면부족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승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논문은 항공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수면 부족이 직무민족이나 승무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환경 변수와의 관계 속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첫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비행스케줄이 수면부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둘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비행스케줄이 수면부족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한다.셋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수면부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넷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수면부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다섯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수면부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근무연수에 따라 검증한다.여섯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수면부족 가능성이 있는 항공승무원을 대상으로 비행스케줄에 따른 수면부족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세부가설에 대한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든 가설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첫 째, 비행스케줄은 항공승무원의 수면부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비행스케줄에 만족하지 못한 항공승무원일수록 수면생활이 취약하다. 수면생활이 부족한 항공승무원은 직무만족도에 대해서 음(-)의 이직의도에 대해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수면부족이 클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고, 이직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는 비행스케줄에 만족하지 못하는 항공승무원은 본인이 일하고 있는 직장에 대하여 직무에 대한 자긍심, 만족도가 부족하고 이직이나 퇴사를 고려하는 정도가 큰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둘 째, 성별을 조절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일부 예상과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 항공승무원이 남성보다 비행스케줄에 따른 수면부족을 더 크게 느끼지만, 수면부족이 이직의도 또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셋 째, 근무연수를 조절변수로 한 검증에서도 일부 예상에서 벗어난 내용을 검증할 수 있었다. 5년 이상 근무한 항공승무원은 비행스케줄에 따른 수면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비행스케줄 수면부족에 미치는 영향 역시 5년 이상 경력의 항공승무원이 5년 미만 집단에 비해 높기 때문에 장기 근속자의 이직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사 측의 관리가 필요하다.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첫째, 대부분의 사람들이 항공사를 생각하면 안락하고 편안함, 그리고 객실승무원들이 제공하는 친절한 서비스를 기대하게 된다. 항공사는 객실 승무원들의 수면부족으로 인한 승무원들의 업무소진 및 업무 만족도 저하를 통해 나타나는 서비스 품질 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서비스 품질 저하를 막는 효과는 장기적으로 항공사의 이익에 기여할 것이다.둘째,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직원의 역할이 전체 서비스의 품질을 좌우하기 때문에 직원의 서비스 수준은 서비스 기업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고객만족과 충성도 제고를 이끌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기업의 성과가 기업 내부의 인적자원에서 기인되는 바가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객실 승무원들의 수면부족의 부작용을 줄이고, 직무만족을 통한 업무 성과를 높여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 할 것이다.셋째, 항공 객실 승무원의 경우, 수면부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있으므로 근무시간의 조절 및 비행 근무 시간 내 휴식시간의 조절 등을 통한 수면부족의 부작용의 해소를 통하여 객실 승무원들의 근속연수 증가 및 이직률 감소를 통해 직원 교육에 투자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해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서비스 제공과정에서의 사회복지사 직무수행 경험연구 : 재가복지센터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박승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본 연구는 2008년부터 본격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관련하여 직접적 실무자로 직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과정을 다룬 연구로써,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들은 재가노인복지센터에서 장기요양보험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로, 신설기관부터 A등급기관에 이르기까지 상이한 등급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노인인구는 우리사회의 책임영역을 확장시켰고, 사회적 대안을 도출시켰다. 그 대안으로 마련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2018년, 제도 시행 십 년을 바라보고 있음에도 여전히 여러 부분에서 상당한 지적들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제도 내용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지적들이 사회복지학, 보건학에서 다뤄지고 있는 내용으로 이용자 중심에서 다뤄진 평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비스 제공과정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공급자 관점에서 제공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유형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써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복지사들의 전략과 행동특성이 각각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전략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유형 분류가 가능하였고, 이렇게 분류된 유형을 통해 만들어진 매트릭스 모형은 연구자들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여덟 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본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된 제공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장벽에 부딪힘’이었는데, 이는 서비스 제공의 구조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분 유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사들의 각기 다른 행동 특성은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패러다임 모형분석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이 가능하였다. 분석 결과로써 85개의 개념과 36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장벽에 부딪힘’을 극복하는 과정을 넓게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근본적 해결을 위한 이용자-공급자 간 양방향적인 제도 개선과 제도의 관리체계 개편, 진정성 있는 종사자 처우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며, 좀 더 현실감 있는 제도 개선을 통해 안정적인 제도 운용의 기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바이다. This is the study to deal with the duty execution process of social workers who are the direct persons in charge o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performed since 2008,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get the results by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ocial workers who provid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in home care center for the elderly from newly established institutions to A class institution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ing continuously expanded our duty area in the society to deduct the social alternatives. One of the alternatives,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has still lots of challenges in multiple areas expecting 10 years for the system implementation. However, most of the challenges related to the system were dealt in Social Welfare Science and Health Science, which share significant portions with user focused evaluations. Yet, the problems in the courses of supply were investigated in view of suppliers based on the duty execution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rvice provision, and the analyses by types were performed to manage this in this study. Upon the results, the strategi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to overcome difficulty were shown to be different while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was possible based on the similarities of the strategies. The matrix model made from the classified types is considered for the investigators to ease their accesses. In this study with 8 subjects of participants, the core feature that social workers experienced during the supply course commonly mentioned was ‘blocking by barrier,’ which was analyzed to be caused in lots of structural and content aspects. The differ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to solve these problems could be analyzed more effectively by paradigm model of Strauss and Corbin. Upon the analysis results, 85 concepts, 36 sub-domains, and 15 domains were deducted, and the process to overcome ‘blocking by barrier’ could be understood. The investigator concluded that system improvement between users and suppliers bidirectionally, reorganization of control system, and sincere treatment improvement of workers should be realized to solve the problems fundamentally, moreover, background of stable system operation should be prepared.
케이팝(K-pop)에 나타난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 활용 사례 연구 : 2015년~2019년 차트 상위권 곡을 중심으로
현재 케이팝(K-Pop)은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음악 이상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케이팝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세계적인 관심과 케이팝의 발전 속도에 비해 케이팝은 여전히 문화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요소로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최근 케이팝 음악의 흐름을 조명해보고 케이팝의 음악적 흐름에 대응하는 변화와 그 음악에 활용된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기법에 대해 다룬다. 실제 케이팝 연주에 모달 인터체인지 기법은 다양한 기법으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었으며 화성적으로 음악에 각각의 색채감을 부여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케이팝음악의 흐름을 정리하고 음악이 발전하게 된 요인들을 다각도에서 다루고 있으며 모달 인터체인지의 상위개념인 조성음악과 선법 음악을 연구하고 선법음악의 한 기법인 모달 인터체인지를 정의한다. 2015년부터 2019년 11월 최근까지 모달 인터체인지가 케이팝 음악 안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연간 가온 차트 1위부터 15위까지 총 75곡을 선정하여 케이팝에 나타난 모달 인터체인지를 연도별, 순위별로 분류하여,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토닉 마이너, 모달 인터체인지 화성진행이 활용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달 인터체인지의 활용 방법 중 서브 도미넌트를 활용한 방법, 토닉 마이너를 활용한 방법의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선정된 곡 중에서 33곡 이상의 모달 인터체인지 기법이 케이팝 안에서 활용되었다. 2010년대 이후의 케이팝에서 다양한 화성적 기법의 사용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 모달 인터체인지를 활용한 기법은 최근으로 올수록 사용 빈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케이팝에서 모달 인터체인지를 활용한 곡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케이팝이 화성적인 견지에서 보았을 때 음악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례이다. 본 논문은 케이팝의 음악적 가치에 대한 고찰 뿐 아니라 변화하는 케이팝의 음악적 흐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의 케이팝 음악이 더 이상 시각적인 요소로만 강조된 음악이 아닌 케이팝 음악 자체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며, 케이팝을 연구하는 연구자들과 케이팝 신(Scene)의 연주자,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케이팝 음악의 다양한 질적 연구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