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각장애아 음악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김은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8703

        民主敎育의 一般原理인 敎育의 機會均等은 人間社會의 普偏的이고 道德的으로 正當한 敎育觀으로 認識되고 있다. 障碍兒에 대한 普偏平等한 敎育惠擇이 지금의 敎育體系로도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가, 하는 점과 그렇지 않다면 問題點은 무엇이며 그 改善策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은 意味있는 것이 될 것이다. 過去에는 身題 一部分의 障碍가 있는 兒童은 學校와 社會로 부터 소외되어 그늘진 생활을 하였으나 근래에는 聽覺障碍兒들에게도 音樂을 통하여 신체적인 障碍를 극복하고 메마른 생활을 윤택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聽覺障碍兒를 위한 音樂敎育은 감각을 통한 음악경험으로서 음악적인 감각을 계발하는 동시에 美的·情緖의 醇化를 도모하고 음악을 표현하는 제능력을 기르며, 障碍의 발생을 예방하고 음악적 효과로 치료가능한 점은 치료하여 潛在能力을 가능한 신장시키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이러한 聽覺障碍兒들의 音樂敎育의 重要性을 고려하여 本硏究에서는 情緖的 身體的인 障碍要素를 음악을 통하여 醇化시키고 음악교육에 있어서의 보다나은 敎育惠擇의 기회를 모색하고자 서울시내 A.B.C의 농아학교의 교사31名과 210名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29問項의 說問紙와 文獻調査를 통하여 각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音樂敎育課程의 運營 및 그 現況과 實態를 把握하고 이를 바탕으로 音樂에 대한 다양한 欲求와 경험을 충족시키기 위한 音樂性 啓發 및 그에 따른 音樂敎育의 諸問題點을 찾아보려는데 그 目的이 있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聽覺障碍兒 敎育을 위한 特殊音樂敎育方法과 課程의 啓發이 절실히 요구된다. 둘째, 재정적인 어려움과 시설미비 및 敎師의 能力의 한계로 인하여 敎育道具의 마련이 어렵다. 세째, 敎師의 專門性의 제고와 特殊兒童指導에 필요한 敎師의 資質向上이 요구된다. 네째, 聽覺障碍兒童의 潛在性을 啓發할 수 있는 早期敎育의 必要性이 강조되어야 한다. 다섯째, 聽覺障碍兒童의 음악교육을 위해서는 家庭에서의 敎育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 부모들에 대한 啓蒙이 요구된다. 여섯째, 음악교육은 聽覺障碍兒童들의 情緖 및 人性形成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일곱째, 音樂學習에 있어서 적절한 악기의 사용으로 聽覺障碍兒童들의 음악교육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以上의 結果로 볼때 聽覺障碍兒童들에 대한 音樂敎育은 현실적인 운영면에 있어서 개선할 여지가 많은 상태라 할 수 있다. 聽覺障碍兒童의 音樂敎育의 正常化를 위해서는 敎師의 資質向上 및 早期敎育의 활성화와 관계당국의 재정적인 뒷받침이 배려되어야 한다. The equal opportunity of education, a general principle of democratic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desirable educational view universally and morally. It will be meaningful to discuss whether educational benefit is adequately accomplished by the present system, otherwise, what are problems of it, and what are solutions of them. In the past, partial handicapped children was alieated from their school and society, lived in gloom.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 rigorous movement that makes them surmount the handicap in their body by music and enjoy spiritually rich lives. Thus, the musical education for auditory handicapped children have to be set up their musical sense to be developed as a musical experience by sense. At the same time, it must be derived to encourage their atheistic emotion, to make them get various abilities which express music, thereby, to prevent from occurring other handicaps. Also the therapy by musical efforts should be led to expand the potential capacities of them. In this research,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musical education for auditory handicapped children, in order to reduce emotional and physical factors by music and to give more opportunity of educational benefit, the survey of references and request sheet with 29 items--intended to find out the thoughts of 31 teachers and 210 children in Deaf and Dumb School of A, B, C in Seoul--ere made.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operati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curriculum being made by each school, thereby, to research the problems of musical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musical capacity satisfying their various needs. The conclusions which are resulted from the above observatio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urgently required to improve the education and its curriculum for the auditory handicapped. Secondly, by financial pressure, poor facilities and the limits of teachers' capacity, it is very difficult to equip educational instruments. Thirdly,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specialization and their quality education is necessary to th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Fourth, it must be emphasized that early education is important to developing auditory handicapped children's potentiality. Fifthly, it is required that even home education and parents' enlighten of it play an important role to the musical education for auditory handicapped children. Sixthly, the musical education influences on the cultivation of their emotion and personality. Lastly, the possibility of the musical education for them have to be increased by making them use musical instruments in the study of music. As a result of this, I think that there is room to improve present operation of the musical education for auditory handicapped children, that high qualified teachers, early education and financial support of concerned author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accomplish rigorously the musical education for them.

      • 청각장애 학생의 기술교육 내용 및 방법의 적합화 연구 : 제과·제빵·제병 기술교육을 중심으로

        양한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청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생들이 직업교육으로 제과·제빵·제병 등 기술 교육을 받는데 있어 어려운 점은 무엇이며, 좀 더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에 위치한 A 청각장애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6명을 대상으로 2002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주1회 5시간씩 실습을 실시하면서 문제점을 찾아내어 개선 방법을 제시하면서 개선되는 내용을 파악하고 학생들이 쉽고 효율적으로 기술을 익힐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 과제로는 ‘파운드케이크 만들기’ ‘식빵 만들기’, ‘약식 만들기’ 등 제과, 제빵, 제병 분야에서 각 각 1가지씩 대표적인 품목을 선정하여 실습하면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처음 실습에서는 조리고등학교 및 일반 요리학원과 특수학교 직업보도 시간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교재를 사용하였으며, 실습 중 발생하는 문제점을 관찰하고 기록하여 다음에는 이를 개선한 방법으로 학생들이 모두 목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개선된 방법을 적용하면서 반복학습을 실시하였다. 목표 수준은 제과사 및 제빵사 자격 실기 시험시 합격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과 동일하게 선정하여 지도 교사의 특별한 지도 없이 스스로의 능력으로 제품을 완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학생들이 기술 교육을 받는데 있어 일반학생들에 비해 곤란을 느끼는 점은 의사소통과 조리 기술적인 문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 학생들은 의사소통 문제 중 읽기 문제에 있어서 교재에 나타난 전문용어와 익숙하지 않은 표현법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실습 시 실수가 발생하였으며, 지도교사가 수화를 정확히 사용하지 못할 경우 학생들이 기존의 조리법과 교사의 구화만을 보고 실습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들은 의사소통 중 듣기 문제에 있어 교사가 수업 중 지시하는 내용과 설명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필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청각장애 학생들의 실습 중 파악된 조리 기술적인 문제점으로는 조리 기술이 숙달되지 않아서 스스로 실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청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실습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완성품을 만들지 못했다. 또한 조리기구와 재료이름에 익숙하지 않아 신속하게 작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방법 및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적합화하였다. 먼저 비과학적인 표현은 숫자와 단위를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알기 쉽게 표현하였고,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는 주석을 달아 쉽게 설명하였다. 또 교사의 현장 지시를 즉시 필기 할 수 없는 점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실습 중 실수하는 내용이나 질문하는 내용을 개선된 교재 내용에 포함시켰으며, 수화를 사용하여 조리 방법을 설명하고 실습을 지도하였다. 조리 기술적인 면에 있어서는 먼저 청각장애 학생들의 조리기술이 미숙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한번의 실습으로 끝내던 과제를 개선된 방법으로 4번씩 반복하여 실습하게 하였으며, 전기오븐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광등형 타이머를 부착하였다. 또한 조리 기구와 재료에 익숙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모든 기구와 재료에 한글과 영어로된 이름표를 부착하여 실습 중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청각장애 학생들이 제과·제빵·제병 실습을 하면서 겪게되는 문제점을 찾아 내용과 방법의 적합화를 시도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의사소통 분야 중 비과학적인 표현은 숫자와 단위를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알기 쉽게 표현하였으며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는 주석을 달아 쉽게 설명한 결과 학생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단어와 문장이 크게 줄어들어 학생들이 스스로 실습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 교사의 현장 지시를 즉시 필기 할 수 없는 점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실습 중 실수하는 내용이나 질문하는 내용을 개선된 교재에 포함시키고, 수화를 사용하여 조리 방법을 설명하고 실습을 지도한 결과 실습 중 원활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졌으며, 실수가 줄어 들게되었다. 따라서 의사소통 분야의 문제점을 찾아서 개성하고 적합화한 결과 학생들이 교재를 쉽게 이해하고, 실수가 줄어들어 스스로 실습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조리 기술적인 면에 있어서는 먼저 청각장애 학생들의 조리기술이 미숙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한번의 실습으로 끝내던 과제를 개선된 방법으로 4번씩 반복하여 실습하게 한 결과 학생들은 교사의 특별한 지시 없이도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또 전기오븐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광등형 타이머를 부착한 결과 제품을 오븐에서 꺼내야할 시간을 소리가 아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을 태우는 일이 없게 되었다. 조리 기구와 재료에 익숙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모든 기구와 재료에 한글과 영어로 된 이름표를 부착하여 실습 중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한 결과 4차 실습 시에는 학생들이 교재에 제시된 도구와 재료를 스스로 찾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조리 기술적인 문제점을 찾아서 개선하고 적합화한 결과 학생들이 좀더 편리하게 실습하게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청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직업교육 내용과 방법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여 적합화한 결과 청각장애 학생들이 좀 더 쉽게 적응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청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생들이 직업교육 중 특히 제과·제빵·제병 등 기술 교육을 받는데 있어 좀 더 쉽게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채택한 3가지 연구대상 과제뿐만 아니라 제과·제빵·제병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청각장애인들이 쉽게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는 교재개발과 교수 방법 개선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청각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박영숙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Career rehabilitation is a productive and economic service that allows the hearing impaired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and become socially productive individuals. This relieves the social burden of the disabled and contributes toward social unity. It is also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isabled person’s personal pursuit of happiness. Economic activity is a driving force behind social development and an important element for enhancing their individual lives and making it more comfortable. Whil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esearch and effort exerted for career rehabilit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in Korea, there are still a number of hurdles that prevent them from starting their own careers leading to normal lives in society. Specifically, many areas of improvements are necessary in terms of career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upport structur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most people who have a hearing impairment are limited in a number of ways due to their disability. It furth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hearing impaired people of Korea. Finally, the study proposes methods to improve the existing situation. Career rehabilitation may be easier for the hearing impaired compared to those with other forms of disabilities. However, career training programs for people with a hearing impairment are still outdated and nonprofessional. For example, adequate programs have not been introduced to produce professional sign language translators, making it difficult to offer sufficient services for career rehabilitation. These problems become evident once we examine the career rehabilitation service structure. While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re government organizations directly involved in caree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ey have failed to provide timely and adequate measures for career training or polices for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Without improvements in government policy, it will not be possible to implement professional career training programs or produce professional sign language transla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introduce laws that increase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o take strong measures to enforce these laws. Sound communication with the hearing impaired is critical in providing adequate career rehabilitation services. Under the current system, it is difficult to produce professional sign language translators who can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for career rehabilit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Government agencies must actively work together to introduce programs to train and nurture professional sign language translators. Another area of improvement for career rehabilit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is to provide career training institutions and secure teachers with expertise. Moreover, we must help each hearing disabled individual to find a compatible job and provide sustained management for maintaining his/her job. Employment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Korea have been passed around between two structures,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rvices dispersed between these two structures have made support inefficient and fragmented,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unite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hearing impaired. In conclusion, improving some or parts o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s essential to provide career rehabilit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In addition to this,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policies and public officials working in government organizations must change their mind set and offer active cooperation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the career training of the hearing impaired.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선천적이건 후천적이건 신체적 장애를 경험한다는 것은 개인의 존엄과 행복추구권을 침해 받는 일이다.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형성은 전체 사회의 통합과 안정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는 그들 스스로의 자활능력을 길러줌과 동시에 사회안전망으로 기능적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의 청각장애인에 대한 직업재활 서비스는 지속적인 확대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정상적인 취업을 통해 일상적 삶을 영위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청각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서비스나 지원체계에 관한 영역에서 다수의 개선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직업재활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청각장애인 대부분이 신체적인 측면에서 정상인에 비해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는데 주안점을 두어 실제 우리나라 청각장애인들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 본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은 다른 장애인보다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특성이 있으나 그에 대한 직업교육은 전문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 과정에서 전문수화통역사에 대한 지원부족으로 직업재활에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직업교육의 전문화나 실질적인 수화통역사제도 확립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셋째, 분산적인 청각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청각 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기관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등이 주체가 된다. 이들 부처는 직업교육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제도적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기관의 기능과 역할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상자들에게 시기적절한 직업훈련이나 고용을 위한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본 연구는 제시하고 있다. 첫째, 청각장애인이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들의 확보가 필요하다. 아울러, 청각장애인 개개인에 맞는 일자리 알선 및 능동적이고 실질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직업유지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적인 수화통역사의 확보가 필요하다. 적절한 직업재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청각장애인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현행 제도 내에서는 전문적인 수화통역사를 배출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문 수화통역사를 양성·배출할 수 있도록 국가기관의 능동적인 개입을 통해 내용과 형식면에서 제도적인 공인화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지원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지원체계가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로 이원화 되어 있어 서비스가 분산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청각장애인에 대한 직업재활 서비스의 유기적 연계가 부족한 실태이다. 따라서 청각 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고용촉진을 위한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는 어느 특정 요소의 개선을 통해서만 실현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제공되어져야 한다. 즉, 정부정책의 제도적인 변화와 관련 기관에서 일하는 전문 인력들의 의식변화 및 적극적인 협조가 선행되어졌을 때 비로소 실질적인 직업재활이 가능하다.

      • 청각장애 아동의 평형성 향상을 위한 게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김경래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아동의 평형성 향상을 위해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게임 프로그램이 청각장애 아동의 평형성 향상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서 청각장애 아동의 평형성 향상을 위한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문헌을 분석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예비 프로그램을 개발한 다음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문제점을 개선한 후 초등학교 청각장애 아동들에게 적용할 최종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서울에 소재 하고 있는 S청각장애 특수학교 초등부 4·5·6학년까지의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에게 평형성 요소가 많은 게임 프로그램을 10주간 적용하여 평형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때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실험집단과 같은 시간만큼 일반적인 게임 위주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서는 고흥환(1989)이 추천하는 눈감고 한발로 서기와 평균대 위에서 한발로 서기를 사용하였으며, 평형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t 검정, 회귀분석, 일원 변량 분석으로 검정하였다.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문헌 분석과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분석의 결과 체육교과서에서 게임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으나 평형성과 관련된 단원은 적었고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체육교과서는 따로 없었으며, 청각장애 아동의 평형성 향상에 적합한 게임 프로그램이 별로 없었다. 둘째, 교과서 및 문헌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조언과 모의 테스트 과정을 통해서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고 아동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내용으로 총 21개의 게임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그라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개발된 게임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정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즉, 게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사후검사에서 평형성이 훨씬 높았으며, 눈감고 한발로 서기보다 평균대 위에서 한발로 서기에서 더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둘째, 게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에서 청각장애의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청각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사후검사에서 평형성의 향상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게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에서 학년 집단간에는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게임수업에 대한 흥미도는 매우 높았으며, 게임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아동들이 사후검사에서 평형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각장애 아동의 평형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각장애 정도와 기본적 동작을 분석하여 이들에게 알맞은 평형성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으나, 청각장애 아동에게는 즐겁게 수업에 참여하여 서로 경쟁하면서 평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결론 지을 수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게임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ame Programs for Improving Hearing-impaired Children’s Motor Balance and examine the effectivity of the Program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first developed Game Programs for Improving Hearing-impaired Children’s Motor Balance on the basis of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The programs were composed of 21 motor-related games. Secondly, the developed Programs were subjected to several phases of pilot tests not only to test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ntents but also to ascertain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0-week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o the total 30 hearing-impaired elementary students attending S special school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in Seoul. Nineteen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were administered the programs during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ereas 11 students who just participated in regular physical education programs were worked as the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tests, regression, and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at .0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mean motor balance scores(Closed Eyes Foot Balance score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p<.05), with the experiment group acquiring higher mean score in motor balance post-test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degree of the subject's hearing-impaired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gree of his or her improvement of motor balanc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with heavier hearing-impaired students achieving higher mean scores in motor balance post-tests than lighter hearing-impaired student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mean motor balance scores among grade groups(p>.05). Fourth,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in a more active way acquired higher scores in motor balance post-tests than their counterp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an conclude tha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atic game programs focused on Hearing-impaired Children's Motor Balance improvement are highly needed in all special schools for the handicapped.

      • 집단미술치료가 취업을 준비하는 청각장애인의 사회불안 감소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충헌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직업적응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성인 청각장애인들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심리⋅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각장애인들의 사회불안 감소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청각장애인 00복지관 ‘직업적응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청각장애인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9명의 청각장애인들의 경우 모두 장애 판정 2급을 받았지만 어릴 때부터 수화, 구화 그리고 필담으로 훈련이 되어 있어 일반인들과도 소통이 가능한 청각장애인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오리엔테이션과 사전 검사를 진행하고 2013년 8월부터 11월까지 주 2회(1회기 120분), 총 18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진행 방법은 청각장애로 취업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 청각장애인들의 사회불안 감소와 자기효능감을 돕는 과정으로 얄롬의 치료적 요인을 기초로 하여 초기에는 보편성, 감정의 정화에 집중하였고, 중기에는 사회기술, 대인관계, 응집력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후기에는 희망고취를 통해 청각장애인들이 취업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자신감과 희망을 갖도록 도왔다. 본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혼합연구방법론(Mixed Methods)을 적용하였으며 양적척도로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척도(SIAS)’와 ‘자기효능감 척도(SES)’를 사용하였고, 질적 척도로 ‘집-나무-사람그림 검사(HTP)’와 ‘그림 이야기법(DAS)’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의 집단원들의 행동 변화와 얄롬의 치료적 요인을 기초로 한 개인과 집단별 변화 분석을 통하여 취업을 준비하는 청각장애인들의 사회불안감소와 자기효능감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을 준비하는 청각장애인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사회불안이 감소하였다. 사회불안 수준에 대한 변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사회불안 수준(Z=-2.668, p<.01)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안정된 공간에서 미술매체를 통해 적절한 자기표현과 심리적인 갈등을 해소하므로 내적 긴장감을 완화시킴으로 사회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요소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취업을 준비하는 청각장애인들은 집단미술치료를 실시 후,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 수준에 대한 변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자신감(Z=-2.554, p<.05), 자기조절 효능감(Z=-2.533, p<.05), 전체 자기효능감 수준(Z=-2.670, p<.01)으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및 전체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작품을 통한 성취감과 집단원들의 수용적인 상호 작용,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취업을 준비하는 청각장애인들에게 ‘나도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HTP와 DAS 검사를 통해 사전·사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사전 검사에서는 부정적인 자아상과 파괴적인 관계, 좌절과 비현실적인 모습을 많이 보였다면 사후 검사에서는 현실을 직시하고 고민하며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소망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볼 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각장애인들의 사회불안 감소와 자기효능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취업을 준비하는 청각장애인의 사회불안 감소와 자기효능감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취업으로 인해 불안을 겪거나 자신감을 잃은 대상, 혹은 청각장애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에게 도입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무엇보다 집단미술치료가 청각장애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 on reducing in social anxiety and improving self-efficacy of hearing-impaired adults preparing for jobs wi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scomforts through group art therapy program. Nine(9) hearing-impaired adults who participated in 'job adjustment program' in 00 community welfare center in Seoul a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y are classified as second degree disabled, but are able to communicate with people through sign language, oralism and conversation by writing training from childhood. Preliminary examination and orientation for the selected group were conducted an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consisted of 18 group art therapy programs(120 mins for one therapy program) from August, 2013 to November, 2013. In the process of reducing social anxiety and improving self-efficacy for hearing-impaired adults who hav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employment due to hearing impairments, the first stage of group art therapy was focused on generalization and emotional purification, the middle stage of the group therapy was conducted with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hesiveness based on Yalom's curative factors and the final stage of the therapy helped the hearing-impaired to build up confidence and hope for the preparation for jobs through inspiration of hop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Mixed Methods were applied and '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and 'Self Efficacy Scale(SES) for qualitative scale were used, and 'House, Tree, Person (HTP) Test' and 'Draw a Story(DAS)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duction in social anxiety and the effect on self-efficacy of adult hearing-impaired who seek for employment by analyzing the changes in behaviors of the selected group and changes in each stages based on Yalom's therapeutic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anxiety of hearing-impaired group preparing for jobs was decreased through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comparison with the changes in the level of social anxiety after group art therapy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anxiety was discovered. (Z=-2.668, p<.01) This result indicates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adequate self-expression through art and reduced physiological conflicts becoming the positive factor for the decrease in social anxiety. Secondly, self-efficacy of hearing-impaired who prepare for employment was effected significantly after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comparison of the level of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program, significant variation in confidence (Z=-2.554, p<.05), self-regulated efficacy (Z=-2.533, p<.05), total level of self-efficacy (Z=-2.670, p<.01) This result suggests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impact on confidence of job-seeking hearing-impaired people through the sense of achievement of art activities, receptive interaction among the group, and positive feedback. Third, HTP and DAS test indicated positiv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y. Preliminary examination indicated negative self-image, destructive relationship, and desperation and unrealistic behaviors. However, post-examination showed the changes in which the selected group faced the matters and contemplate for the positive future. In consideration of these results, thesis can conclude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affects the hearing-impaired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social anxiety and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social anxiety and self-efficacy for job-seeking hearing-impaired people and can be applied for those who lost confidence and feel anxiety due to difficulties in finding jobs or those who have physiological and social difficulties due to hearing impairments. Moreover, it is important to find that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impact on hearing-impaired people.

      • 청각장애학생의 인지기능 활성화 미술치료 단일사례분석

        홍승현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의 한계로 인한 인지기능저하로 학습능력부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각장애학생에게 미술치료를 진행하여 인지영역에 미치는 효과 및 추수기간에도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일반 고등학교의 청각장애 6등급인 남학생으로, 이를 위해 단일사례연구 설계 A(baseline), B(treatment), A(follow-up)와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병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단일사례 ABA설계로 제 1차 기저선(A: baseline) 단계에서 3회기, 제 2차 미술치료 개입단계(B: treatment)에서 21회기, 제 3차 추수기간(A: follow-up)에서 3회기를 진행하였다. 4회기에서는 인지에 대한 변화과정을 추적하기 위하여 기저선을 구축하였고, 13회기에서는 인지능력과 관련된 사례를 미술치료프로그램으로 개입하여, 연구참여자 스스로 자각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추후 유지기간에는 개입을 철회하고 자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분석 방법은 인지영역과 관련된 연구참여자의 상태를 기저선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일지자료, 작품, SDT검사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고, 시계열분석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21회기의 상담과정에서 수집한 축어록을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미술치료가 인지영역에 미친 효과 및 변화요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현장참여 미술치료프로그램인 AR은 목표, 전략에 대한 자신의 전술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미술치료사가 자신의 실제적 지식, 기술, 행위적 지식, 이해 등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양적, 질적 분석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DT검사결과 청각장애학생은 지능이 비슷한 건청학생보다 인지영역의 전반적인 부분이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능력의 주요 요인인 인지능력이 저하가 청각장애학생의 학습의 장애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시계열분석에서 회기주제에 대한 이해와 표현, 작품에서 명확한 형태력과 표현 두 개의 관찰점으로 살펴본 결과, 미술치료 개입의 영향으로 긍정적인 그래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질적연구 분석에서 인지를 주제로 도출한 세 개의 범주 알아차림, 자극, 수용과 하위 다섯 개 범주인 답답함, 소통이 안 됨, 반복, 재인지, 받아들임으로 도출되었다.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는 비언어적인 소통으로 인지를 강화시키기 시작하였고 인지영역의 사고를 익힘으로써 나아가 언어적 소통도 도움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연구참여자의 인지영역에 효과적이었으며 유지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상황에 대하여 알아차리고, 스스로 인지능력을 자각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learning difficulties caused by limitations in communication and cognitive problems experienced by hearing-impaired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te participation art therapy program on the cognitive area as well as whether the effect is maintained during follow-up period. To achieve this, the study proceeded by combining a single case study design A(baseline), B(treatment), A(follow-up)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single case study ABA design used in the study was comprised of first, three sessions in the first baseline phase(A), second, twenty-one sessions in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phase(B), and third, three sessions in the follow-up phase(A). The baseline was constructed in the fourth session in order to track the process of change in relating to cognition. In the thirteenth session, cases related to cognition were involved in the art therapy program for the participants to have self-awareness and embrace. Also, intervention was withdrawn afterwards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in order to have the participants perform independently. Method of analysis was as follows. Participants’ level relating to the cognitive area was set as the baseline. With the baseline, data including art therapy log data, artworks and SDT tests were collected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nalysis method. Also, the study suggested art therapy’s effect on cognition and the cause of change by analyzing the script of the recorded dialogue collected during the art therapy program process at session 21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 of the single case study combining the time series analysis method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The SDT test results show that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had lower score in the overall cognitive area compared to students with normal hearing and similar intelligence. This shows that the deterioration of cognitive ability, one of the main factors of learning ability, is an obstacle for learning among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Studying the time series analysis results from two views—understanding and expression regarding the session’s topic and clear form and expression in artworks—the effect of art therapy intervention showed a positive increase in the graph. In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categories deducted under the topic of cognition were recognizing, stimulation and embrace. Five subcategories were frustrations, inability to communicate, repetition, realizing again and acceptance. During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 participant started to strengthen recognition through nonverbal communication, familiarized herself to the thought of the cognitive area and further helped linguistic communication.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participant’s cognition strengthening and led to a result that can be maintained independently. Therefore, this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art therapy program helped to self-aware situations experienced in daily life and strengthening and maintaining cognitive ability. Also, the study will serve as a practical reference data to understand participants with similar experiences by specifically tracing the content of the study. Key Words: art therap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cognitive ability, mode of communication

      • 청각장애인의 정보접근권과 정보화 실태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류재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청각장애인의 정보접근권과 정보화 실태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류재옥 정보화의 빠른 흐름 속에서 정보의 접근과 이용이 어려운 사람에게는 더 많은 불이익이 생길 수 있다. 상대적인 정보약자들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정보의 접근와 이용의 어려움이 사회참여와 개인의 능력 향상을 가로막는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보 접근에 불이익을 당하는 대표적인 정보약자 계층이 장애인이다. 특히 청각장애인은 청각이 불완전하거나 결여됨으로써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인지하지 못하고 따라서 소리나 음성의 형태로 표현된 의사소통 내용으로부터 배제되어 있다. 대다수의 정보를 소리로 전하는 가장 대중적인 정보교환 장치인 TV, 라디오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를 통한 정보들도 청각장애인은 이용이 어렵다. 또한 비 장애인에 비해 청각장애인은 지식수준과 문장의 이해 정도가 낮아서 컨텐츠로 제공되는 인터넷 정보의 검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때문에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청각장애인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함께 이제는 정보화에서 뒤쳐지는 어려움도 함께 겪고 있다. 이즈음에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에 대해 알고 청각장애인의 정보접근권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자 한다. 또 충청남도지역 청각 장애인 정보화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지역내의 청각장애인의 정보화를 위한 개선점을 찾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정보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정보화가 급속히 진행될수록 상대적인 정보약자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의 노력으로 정보접근과 정보화에 관련된 법률들이 새롭게 제정되고 정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지역의 청각장애인들의 정보화 실태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가 비 장애인의 정보화 실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뒤 쳐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충청남도 지역의 청각장애인의 정보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지역의 청각장애인들에 대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가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충청남도 지역내의 청각장애인들은 학력과, 직업, 연령 등 지역만의 특색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한 지역 실태조사가 이루어져 그 조사가 기반이 되어 현실적인 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대상을 파악하지 않고는 효율적이고 적합한 방법들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실태 조사 자료를 가지고 지역의 정보화 방안들을 설계하고 실행하면 정보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청각장애인을 위한 정보화 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비장애인들과는 분명히 다른 차이를 인정하여 특성에 맞는 정보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청각장애인의 정보화 교육을 위한 수화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청각장애인만을 위한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또 정보화교육과 문맹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를 보면 충청남도 지역은 연령이 높고 학력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정보화 교육과 함께 문맹교육을 실시하여 정보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문맹이기 때문에 정보화를 접하지 못하는 경우를 줄여 교육기회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지역 내의 여건을 이용한 정보화 방안들이 세워져야 한다. 지역 민방을 이용하여 지역 내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정보를 쉽게 입수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역 민방의 경우, 자막 방송과 수화방송의 효율성을 검토하고 지역 청각장애인의 선호도가 높은 방식의 방송에 대한 편성률을 높이는 유동성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청각장애인만을 위한 전문 방송을 실시하여 청각장애인 스스로 정보의 전달과 정보의 습득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rights to access information and the reality of informationization of the Deaf - Focused on Chungcheongnam-do province- Jea Ok, Ryou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eong Gyu, Lee In the rapid stream of information, it is possible for people who are in the difficulties of accessing and using information to have more disadvantages. There are relatively the poorly-informed people appeared. That is, the difficulties of accessing and using information could cause the disadvantages that interrupt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society and improving ability. Representatively the poorly-informed people having the disadvantages of accessing information are disabled people. Especially, the deaf are removed from communication expresses by sound and voice because they have rack or incomplete sense of hearing. The deaf can hardly use the media that is using sound to deliver information such as TV and Radio, the public information announcing equipment. Compare with normal people, the deaf also have a lower level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entences, so they have difficulty to searc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ecause the Internet is provided contents. Therefore, the deaf living in information age have both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and the difficulty of being behind in information. Form now on, the study turns into about the deaf and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And also the purpose of study is about the reality of information on the deaf in Chungcheongnam-do and finding the remedy for information on the deaf. The more the discussion about information and the more rapid progress of information is done, the higher the concerning about relatively the poorly-informed people is getting. The law about information and accessing information is newly established and consolidated by effort of government. The study states that the reality on the deaf in Chungcheongnam-do is relatively much backward from the reality on normal people.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I suggest following alternative plans for informing the deaf in Chungcheongnam-do. First, the study about the deaf in regions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result, the deaf in Chungcheongnam-do have regional distinctions such as an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and age.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based on these distinctions should be done first and then realistic alternative plans should be suggested. Without grasping the subject, efficient and suitable alternative plans could not be found. If information plans are designed and put into operation with the data of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the level of information will be improved. Next, the opportunity of information training for the deaf should be extend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from normal people and agreeable information training should be put in operation. Chirology translation service for information training for the deaf should be provided, and informa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deaf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opportunity of information training is extended. Information training and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re also carried out. In the result of study, age is high and an academic background is low. Information training is kept pace with eradication of illiteracy so that the deaf can easily understand information. Reducing the case that the deaf could not access information because of illiteracy, the opportunity of information training should be extended. Finally, information plans through a given condition in a region should be set up. A special program for the deaf through a private broadcasting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nformation can be easily accessed. In case of a private broadcasting, efficient of subtitle and chirology should be considered and pliancy of broadcasting organization that preference of the deaf is high is necessary. A special broadcasting for the deaf is carried out so that the deaf can actively access and deliver information

      •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김기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the swift distribution of the smart phone, the deaf also tend to depend on applications. Even in the communication areas that were considered to be obstacles of the deaf, thanks to the use of SMS or video services utilizing mobile devices, they can communicate without restrictions to distance or space. However, in spite of the utilization of these services, some services not considering the deaf give inconvenience to the deaf. In order to change the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and make a society to live with them,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was made and reinforced 5 years ago but the inconvenience felt by the disabled is the same as before. In this connec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d announced the 'Instruction on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In addition, for practical studies on the application accessibility of the deaf, studie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user's demands were made which shows that the quality of the recent studies is improved. But, announced the 'Instruction on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the recent studies do not reflect the actual problems and demands of the deaf so that they are still suffering from inconvenienc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demands and expected difficulties of the deaf when they use in the viewpoint of the users not as objects to consider.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culture and arts experience field, the cases that the deaf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the shortage of services considering them often happen a lot and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design application guidelines for the use and development of cultural facilities for the deaf in order to help them use the cultural facilities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For the methods, first it reviewed the notions and types of the deaf, understanding of user's experience, factors and literature of preceding studies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omestic culture and arts experience application cases and examined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existing applications through the menu structure and selected 4 items out of the instructions on the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of Article 32-5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at should be essentially provided to the deaf and evaluated accessibility. Thir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members of Korean Association of Deaf University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cultural facilities and the application use behavioral patterns and based on the results, it proceeded with persona modeling for concrete understanding of users. Four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problems of the deaf when using cultural facilities, it interviewed 10 university students of Korean Association of Deaf University Students’ and one person of H National Art Center and as an observatory investigation to prepare for cultural facility application guidelines, it selected 4 representative users out of the deaf and perform a usability test. At last, based on the demands and problems derived from the above study, it suggested the design guidelines for hearing-impaired person considering cultural facility's application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deaf when using the application services of cultural facilities and iron out the obstacle facto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help at least solve the demands of the deaf in the cultural facil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lture and art experience of the deaf. 스마트 폰의 빠른 보급에 따라 청각장애인들 역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의전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청각장애인들의 장애로 여겼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문자나 영상 서비스 등을 이용으로 거리나 공간의 제약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을 배려하지 못한 서비스로 많은 청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와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장애인차별금지법을 만들어 시행한 지 5년이 지났지만 장애인이 느끼는 불편함은 여전하다. 이에 정부에서는 국가정보화기본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을 제정 및 고시를 하였다. 또한 청각장애인의 어플리케이션 접근성에 관한 실질적인 연구를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뤄져 최근 연구의 질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정부에서 제정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과 최근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실질적인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않아 여전히 불편함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의 앱을 사용할 때 요구 또는 예상되는 어려움을 단순히 배려 대상이 아닌 사용자 관점에서 점검하고자 하였다. 특히 문화예술체험 분야의 경우 청각장애인들을 배려하는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문화시설 이용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청각장애인의 문화시설 이용과 개발을 위한 앱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첫 번째,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청각장애인의 개념과 유형, 사용자의 경험의 이해 및 요소, 선행연구 문헌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 국내 문화예술체험 앱 사례를 조사하고 메뉴구조를 통해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구조를 알아보았고, 국가정보화기본법 제32조 5항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중 청각장애인에게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항목 4개를 선정하여 접근성을 평가 하였다. 세 번째,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소속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문화시설 및 앱 사용 행동패턴 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퍼소나 모델링을 하였다. 네 번째, 문화시설 이용 시 청각장애인의 실질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소속 대학생 10명과 국립 H미술관 관계자 1명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청각장애인의 요구사항에 맞는 문화시설 앱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 위한 관찰조사로 청각장애인 중 대표사용자 4명을 선정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에서 도출된 요구사항과 문제점 등을 토대로 청각장애인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청각장애인들이 문화시설 이용 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으로 불편함을 해소하고, 장애 요인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금이나마 청각장애인들의 문화시설 내의 요구사항을 해결하고 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체험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청각장애 대학생의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김은형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대학생의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읽기와 쓰기능력을 알아보고, 문법사용능력과 어휘다양도가 쓰기 및 읽기능력간에 어떤 상관을 갖는지, 또한 조사, 사/피동, 구문구조사용 능력과 같은 문법요소중 어떤 요소가 읽기 및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심도이상의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남자 7명, 여자 13명으로 구성되었다. 청각장애대학생의 읽기능력 평가를 위해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중 듣기평가 6문항을 선정하여 실시하였으며, 200자 원고지 4장 분량의 작문을 통하여는 쓰기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문법요소중 조사, 사/피동, 구문구조로 구성된 별도의 평가지를 이용하여 문법사용능력을 알아보았으며 작문을 통해 얻어진 쓰기자료를 이용하여 어휘다양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읽기능력 및 쓰기능력간에는 .49의 중간정도의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조사, 사/피동, 구문구조 사용능력을 중심으로 본 문법사용능력과 읽기능력, 쓰기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능력보다는 쓰기능력간에 높은 상관(.70~.82)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쓰기에 나타난 어휘다양도, 낱말유형수, 총낱말수와 읽기능력 및 쓰기능력과의 상관에서 쓰기능력과는 의미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읽기능력과는 보통이상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어휘다양도의 경우 읽기 및 쓰기능력 모두에서 의미있는 상관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읽기능력 및 쓰기능력에 미치는 문법사용능력중 가장 강력한 예언 인자는 조사사용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사용능력은 읽기능력의 34%를, 쓰기능력의 67%를 설명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읽기능력보다 쓰기능력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어의 문법체계가 고려된 읽기 및 쓰기지도가 필요로 하며 어휘의 경우 많은 양의 어휘습득 보다는 이미 알고 있는 어휘를 문맥에 적절하게 선택하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리고 좀 더 단순한 문장으로 쓰기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읽기 및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사용능력 향상을 위하여는 문법체계에 적합한 수화의 권장·개발 및 프로그램화한 반복지도, 서술어 중심의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로 하다.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reading and writing capacity of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to find their literacy-based communication skill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 that both the capacity in the use of grammar and the type-token ratio have in writing and reading capacity, and what grammar factors of postposition, causative verb, passive verb and the capacity in the use of sentence structure have influence upon the capacity of reading and writing. The subjects were 20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that is, 7 male students and 13 female students who had severe hearing impairment. To evaluate the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the paper selected 6 items of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language area of 2003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evaluated the writing ability through the composition of 4 sheets of 200-letter manuscript paper.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capacity in the use of grammar by using a separate evaluation format consisting of postposition, causative verb, passive verb, sentence structure and grammar factors, and tested the type-token ratio by using writing material obtained from the compos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had .49 of medium-scale correlation. Secondly, their capacity in the use of grammar, read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at postposition, causative verb, passive verb and the capacity in the use of sentence structure. In particular, the writing ability had higher correlation than the reading ability had(.70~.82). Thirdly,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had not high correlation with the type-token ratio,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the number of total words, and had correlation with common level or above of reading ability: In particular, the type-token ratio had no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the reading ability and the writing ability. Fourthly, the capacity in the use of postposit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 upon the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y were respectively predic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34% and 67% accuracy by postposition. Therefore, the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that reflects the Korean language's grammar system is demanded: The teaching of writing of simple sentence rather than a lot of vocabularies is demanded to improve the capacity in the use of postposition of a word to select and make use of vocabularies properly in accordance with a context. In addition, to improve the capacity in the use of postposition of a word having influence upon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y, recommendations and development of the sign language being suitable to grammar system, programmed drill teaching and a systematic teaching focusing on the predicative are dem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