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인천국제공항에 있어서 문화예술 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홍승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Globalized modern society has been facilitating the move crossing national boundaries, and the start and end of this move are being made at the airport. Now airports are becoming another gateway to inform and deliver culture beyond a facility to give aid to simple transportation means. For international airport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ompetitively expanding the existing airports or are constructing new airports as a mediating ro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odern community and as a symbol of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line with thi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aw its historic opening on March 29, 2001. Thus, Korea now has its global competitiveness in airport facilities. However, constant research and improvement is needed to keep the current high position, to achieve better development, to attract many foreign visitors, and to deliver a good national image. Since features of the international airport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tensive research is needed.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seek the developmen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o that it can develop as a true culture and arts airport by introducing arts and cultural spaces to meet the cultural needs of passengers and to get national publicity. This study attempted a theoretical review of 'international airport' and 'culture and art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to an international airport. The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in an international airport were regulated and the analytic framework was set up in culture and art directing. To learn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in an international airport, case studies abroad was investigated. To choose the case studies, 10 airports in 'World's Top Airport' ranking, except fo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ere chosen and 3 airports were finally select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passengers for 3 years. Of intranational airports recently remodeled and built, Schiphol Airport (Netherlands), Copenhagen Airport (Denmark), Barajas Airport (Spain), and Heathrow Airport (United Kingdom) were selected as examples for the analysis. For an analytic basis, culture and art directing elements were based. Analysi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space fo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as made and problems were also analyzed based on culture and art directing elements. To accurately identify what passengers require fro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s an cultural and artistic space, a survey was conducted.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and artistic space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busy passengers to enjoy focused on experiential aspects, rather than having them visit.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case and results of the survey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found that the direc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 needs to be set in order for internal and foreign visitors to feel Korea properly and that it is required to introduce cultural and artistic concepts and spaces into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o create lasting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Concerning 'inspiring and fun', the heart of culture and arts, an approach in a design concept was attempted by introducing an image to be pursued, which is a fun place, a pleasant place, a comfortable place, a friendly place, and an impressed place. To build the national image of 'art culture' of Korea, the design theme was derived based on 5 components for a national bran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image of culture and art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keywords, functions, and psychological statuses were assessed focused on the entry and departure of high-frequency flow lines. Then, major classification, medium classification, and sub classifications were made to list the nature of cultural arts on airport streets and points and to presen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s a culture and arts airpor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internationally well-known characteristics of the airport for the future development as a culture and arts airport in a situation when guidelines for culture and Arts airports are insufficient.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to provide an easy understanding for the culture and arts airport planning and a useful materia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urthermore, it is thus predicted th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ill lead to be an culture and arts airport to see many foreign passengers satisfied as they transit through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visit the Republic of Korea. 세계화된 현대사회는 국가 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동을 촉진해 왔고 이 이동의 시작과 끝은 국제공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제 국제공항은 단순한 운송수단을 보조하는 시설을 넘어 문화를 알리고 전달하는 또 하나의 관문이 되고 있다. 국제공항은 현대적인 공동체로 연결할 수 있는 매개 역할로써, 경제와 기술 발전의 상징으로써 경쟁적으로 기존의 공항 시설을 확장하거나 신축하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이 2001년 3월 29일에 역사적인 개항을 하게 됨으로써 우리나라도 공항시설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인천국제공항의 높은 위상을 지키고 더 나은 발전과 많은 외국 이용객들을 유치하여 좋은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구와 개선이 필요하다. 세계화, 국제화의 추세에 따라 앞으로 국제공항의 기능이 점점 더 중요해지므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에서 문화예술 공간을 도입하여 공항 이용객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과 국가 홍보를 위하여 진정한 문화예술 공항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제공항에 문화예술 공간을 도입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국제공항’과 ‘문화예술’을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국제공항 내 문화예술 공간을 규정하며, 문화예술 연출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국제공항 내 문화예술 공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외 사례대상을 조사하였다. 분석사례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World’s Top Airport에서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1위부터 10위까지 3년간 공항이용객이 많은 공항 순으로 3곳을 선정하였으며, 최근 국제공항 중 리모델링으로 지어진 공항 1곳으로 (네덜란드 스키폴공항, 덴마크 코펜하겐 공항, 스페인 바라하스 공항, 영국 히드로 공항)분석 대상 사례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기준으로는 문화예술 연출 요소 기준으로 삼고 진행하였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의 문화예술 공간 분석과 문제점을 문화예술 연출 요소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공항이용객이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공항이용객들이 찾아가는 문화예술 서비스보다 바쁜 이용객들을 위해 문화예술 공간을 체험 위주로 즐기면서 서비스를 정보 받을 기회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알 수 있었다. 분석사례대상에서 도출된 시사점과 인천국제공항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조합한 결과, 내·외국인 이용객들이 우리나라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문화예술 공간 방향설정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문화예술 가치 창출을 위해 인천국제공항 내 문화예술 컨셉 및 문화예술 공간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화예술의 핵심인 ‘감동과 즐거움’은 공항 지향해야 할 이미지로 (재미있는 곳, 즐거운 곳, 안락한 곳, 친절한 곳, 감동이 있는 곳) 디자인 개념 접근을 하였다. 한국의 ‘문화예술’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브랜드 구성요소 5가지 기준으로 디자인 테마도출을 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의 문화예술 종합 컨셉을 세우기 위해 빈도가 높은 동선의 입·출국 중심으로 키워드, 기능, 심리상태를 파악하였으며 대구분, 중구분, 소구분으로 공항의 거리와 포인트 지점에 문화예술 성격을 나열하여 인천국제문화예술공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공항에 대한 지침의 미미한 현재 상황에서 앞으로의 문화예술 공항 발전을 위해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공항의 특성들을 파악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문화예술 공항 계획에 대한 이해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나아가 인천국제문화예술 공항으로 이어져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환승을 하고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공항이용객들이 만족하는 기대를 해 본다.

      • 莊子의 命과 자유에 관한 고찰

        홍승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what Zhuangzi''s Ming(命) is and his attitude toward Ming based on 「The Inner Chapter(內篇)」 of Zhuangzi(莊子). In addition, although Zhuangzi put great emphasis on the awareness of inevitable part of life, which is Ming, he also mentioned human freedom a lot. Zhuangzi affirmed that men are able to live a free life and presented the methodology of how men can move to a free life. The complete awareness of Ming, obedience to Ming and moving toward a true freedom are the core of Zhuangzi''s philosophy of life. Finally,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help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Zhuangzi''s Ming and Freedom.The first chapter explains how the subject of this dissertation came out. In this chapter, it is covered that the problem of fate is very existential to men, and men are seeking a noble freedom that goes beyond the fate. In addition, it covers the preceding studies on Zhuangzi''s Ming and Freedom. In the preceding studies, there is a general tendency that Zhuangzi''s Ming has been understood as an inevitability that men can do nothing about. For Zhuangzi''s Freedom, there are three points of view. (1) It is a mental imagination or fantasy. (2) It is a life lived according to the nature(自然) (3) It is the freedom of real-self that goes rambling in the state of Tao(道).The second chapter covers how the concept of Ming(命) was used in the Chinese philosophy. ''Ming‘ had two meanings of ''order'' and ''determined fate''. Also, we will see how Ming is distinguished from ''Xing(性)’. To get the clear understanding of Zhuangzi''s Ming, the opinions of representative thinkers of ancient China - Mozi(墨子), Kongzi(孔子), Xunzi(荀子) - on Ming are introduced. Generally, Mozi denied the existence of Ming, Kongzi admitted the existence of Ming but emphasized human efforts, and Xunzi claimed that men should take advantage of Tian-Ming(天命) in a proactive way. For Zhuangzi, Ming is ''something that we do not know why, but is so''. The content of Ming includes birth and death, and various conditions that men have in life.The third chapter covers Zhuangzi''s attitude toward Ming. Basically, Zhuangzi does not see death as something bad. Men like to live and hate to die, but Zhuangzi sees life and death as a natural process like day and night happen alternately. Therefore, he sees life and death as something that have same value and emphasizes the attitude of feeling comfortable in them. This attitude of obedience to Ming is applied not only to the problem of life and death, but also to the various conditions that men have in life. Hence Zhuangzi''s attititude toward Ming is called ''An-Ming-Lun(安命論)‘ in the sense that men feel comfortable in Ming.In the fourth chapter, we will examine Zhuangzi''s ideas on freedom. Here, Zhuangzi''s Freedom has been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reedom from attachment to the external objects(外物)'' and ''absolute freedom without any dependency''. I understand the former as freedom in this material world, and the latter as freedom in the state of Tao(道). Freedom in the material world is not freedom in the sense that we can obtain everything we want, but it is freedom from the attachment and desire to the external objects. Hence, the effort to change our inner attitude is emphasized, not the effort to actively change the world itself. Also, Zhuangzi emphasizes the fact that men are already absolutely free in the state of Tao, which is the origin of this world, and teaches practices like ''Xin-Zhai(心齋)‘, ’Zuo-Wang(坐忘)‘ as methods to realize the state of Tao.In the last part of the forth chapter, the relation between Zhuangzi''s Ming and Freedom is examined. To men, Ming is a limitation and restriction that they must have in this limited material world. Therefore, we had better have the attitude of being obedient and feel comfortable about this Ming, that is, ''An-Ming(安命)‘. This attitude of ''An-Ming'' gives us freedom from the attachment to the external objects. In the state of Tao, however, men are already free without any obstacle, and it is the state of ''bu-si-bu-sheng(不死不生)’ which has no death, no birth. This freedom in the state of Tao is the ultimate freedom that Zhuangzi pursues. 본 논문은 장자莊子 내편을 기초로 장자가 말하는 ‘명命’이 무엇이며 장자는 명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르쳤는지 살펴본다. 또한 장자가 삶의 어찌할 수 없는 부분, 즉 명에 대한 자각을 강조했지만 그는 인간의 자유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장자는 인간이 자유로운 삶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을 긍정하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유로운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그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처럼 명命에 대한 철저한 자각과 순응, 그리고 진정한 자유에 대한 지향이 장자 인생론의 핵심이다. 마지막으로 장자가 말하는 명과 자유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그 이해를 돕고자 한다.제 1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다루는 주제가 어떤 문제의식에서 나왔는지를 밝힌다. 운명의 문제가 인간에게 있어서 매우 실존적이라는 것, 그리고 사람들은 운명을 넘어선 고매한 자유를 갈망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또한 장자의 명과 자유에 대한 학자들의 선행 연구에 대해 살펴본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장자의 명을 사람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일종의 필연성으로 파악한 경향이 있다. 장자의 자유에 대해서는 (1) 정신적인 상상이나 환상으로 보는 견해, (2) 자연自然에 따라 사는 삶으로 보는 견해, (3) 도道의 경지에서 노니는 진아眞我의 자유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제 2장에서는 중국철학에서 명命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고찰한다. ‘명命’에는 명령의 뜻과 정해진 운명의 뜻이 있다. 또 명이 ‘성性’과는 어떻게 구별되는지 알아본다. 장자의 명을 분명히 이해하기 위해 고대 중국의 대표적인 사상가들인 묵자墨子, 공자孔子, 순자荀子의 명에 대한 견해를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묵자는 명의 존재를 부정하였고, 공자는 명을 인정하였지만 인간의 노력을 강조하였으며, 순자는 사람이 천명天命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모두 인간의 인위적인 노력을 중시했다. 장자에게 있어서 명은 ‘그러한 까닭을 모르지만 그러한 것(不知吾所以然而然)’을 의미하며, 명의 내용으로는 태어나고 죽는(死生) 현상, 삶에서 받는 여러 가지 조건들이 포함된다.제 3장에서는 명에 대한 장자의 태도를 살펴본다. 장자는 기본적으로 죽음을 악惡으로 보지 않는다. 사람들은 사는 것을 좋아하고 죽는 것을 싫어하지만, 장자는 삶과 죽음을 낮과 밤이 교차하는 것과 같은 자연스런 운행 과정으로 본다. 따라서 삶과 죽음을 동일한 가치로 바라보며 그 안에서 편안해 하는 태도를 강조한다. 이러한 명에 대한 순응의 태도는 삶과 죽음의 문제뿐만 아니라 삶 속에서 받는 여러 가지 조건들에 대해서도 적용되는데, 이처럼 명에 편안해하며 순응한다는 뜻에서 장자의 태도를 ‘안명론安命論’이라고 부른다.제 4장에서는 자유에 대한 장자의 사상을 알아본다. 본 논문에서는 장자의 자유를 ‘외물外物의 구속에서 벗어난 자유’와 ‘의지함이 없는 절대적 자유’로 구분하고, 전자를 이 물질세계 내에서의 자유로, 후자를 도道의 경지에서의 자유로 이해하였다. 물질세계에서의 자유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모두 얻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의 자유가 아니라 외물에 대한 집착과 욕망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며, 따라서 외부 세계를 적극적으로 바꾸어 나가려는 노력이 아니라 우리의 내면적 태도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강조된다. 또한 장자는 이 세계의 근원적 존재인 도道의 경지에서 인간은 원래 절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이러한 도의 경지를 깨닫기 위한 방법론으로 심재心齋, 좌망坐忘 등의 수행을 가르친다.4장의 마지막에서는 장자의 명과 자유 사이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인간에게 있어서 명은 유한한 물질세계에서 받을 수밖에 없는 제약과 구속이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순응하며 편안해 하는 태도, 즉 안명安命의 태도를 지니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안명의 태도 자체가 우리에게 외물外物의 구속에서 벗어난 자유를 준다. 그러나 무한한 도의 경지에서 인간은 이미 거리낄 것 없이 자유로우며, 그 경지는 죽음도 태어남도 없는 불사불생不死不生의 경지이다. 이러한 도의 경지에서의 자유가 장자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자유이다.

      • 中國 古代의 移風易俗 : 皇帝와 士大夫의 關係를 中心으로

        홍승현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皇帝는 관료기구를 통해서만 권력을 행사할 수 있고, 士大夫는 관료로서의 정치적 지위를 갖지 않고서는 사회의 지배층이 될 수 없다. 이렇듯 양자는 상대적인 권력만을 가지고 있어 필연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위해 상대의 존재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실현하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권력을 절대화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중국 고대사는 이들의 정치적 대립과 공존이라는 두 측면의 결과라고 설정하였다. 그러므로 이들의 존재규정과 권력행사를 살펴본다면 중국 고대의 성격에 다소나마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移風易俗이라는 개념을 통해 중국 고대의 황제와 사대부의 정치적 각성과 정치행위의 근거, 그리고 그것의 시대적 연속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준비되었다. 風俗이라 하면 각 지역의 산물, 방언, 음악 등의 각종 외적이고 유형적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고유의 민간질서, 사회적 기강, 문화전통 모두를 포함한다. 고대 중국인들은 풍속을 爲政者의 정치적 의도에 대한 인민의 총체적 반응으로 이해하였고, 풍속을 변화시킴으로써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풍속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移風易俗이란 개념은 당시 위정자의 정치적 목적과 이상은 물론이고 그들의 가치관, 더 나아가 세계관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 고유의 민간질서를 변화시키는 것은 통일제국의 형성과정 중에 등장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중앙정부의 법령에 의해 천하가 일률적으로 통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황제의 등장과 더불어 새롭게 출현한 ‘異俗’과 ‘殊俗’이란 개념은 황제가 제거하려는 민간질서 안에 蠻夷 고유의 질서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황제 출현 이전 蠻夷는 중국과는 다른 존재로 지배나 敎化의 대상이 아닌 분리의 대상이었다. 그러므로 蠻夷가 異俗이나 殊俗으로 표현되어 변화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황제의 출현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계질서를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황제가 內外의 구분 없이 천하의 유일한 지배자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바로 황제의 移風易俗이란 황제권력의 본질이 유일성이며, 팽창성이라는 것을 선포하는 것이다. 이것은 제국 초기 황제들이 관료를 단순히 황제의 명령을 전달·집행하는 자로, 儒學을 황제권력의 신비화와 法術을 粉飾하는 용도로만 이용한 것에서도 잘 나타난다. 모든 사회적 자원과 인적 자원은 황제의 효과적인 권력행사를 위해 조직되고 배치되었던 것이다. 황제와 마찬가지로 사대부들의 移風易俗의 첫 번째 모습 역시 사대부들의 정체성 수립과 관련 있다. 이들은 자신들을 단순한 황제의 명령집행자가 아닌 또 다른 治者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秦 이래의 法術主義의 전통, 黃老術에 傾倒된 無賴 출신의 功臣, 황제권력의 독점성과 팽창성 등은 이들의 정치적 각성과 정치적 진출을 막고 있었다. 그래서 前漢 사대부들은 이러한 사회적 풍조를 제거하는 것을 移風易俗으로 규정하였다. 그들은 移風易俗의 궁극적인 상태를 儒學이 전 사회의 유일한 가치이자 기준이 되는 것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이상의 실현이 사대부가 관리가 됨으로 해서 가능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현실에서 주장된 移風易俗은 사대부들의 정치적 진출을 가로막는 여타의 사회적 풍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前漢 사대부의 移風易俗이 사대부를 정치적 책임자로 인식하고 사대부의 사회적·정치적 진출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풍기를 만드는 것이었다면 後漢 사대부들의 移風易俗은 더 나아가 사대부들의 정치적 활동을 구조적으로 보장받고 자신들을 안정적으로 재생산하는 구조를 고정화시키는 것이었다. 즉 선거에 대한 사대부들의 독점권을 보장받고자 하였으며, 사대부들의 동의가 없는 어떠한 권력의 자의적 행사도 반대하였다. 後漢 사대부들이 太后와 外戚의 정치참여를 반대했던 것도 태생적으로 이들의 권력행사가 황제권력의 자의적 행사와 관련되기 때문이었다. 또한 제도적인 정치체제인 輔政에 대한 비판 역시 자의적인 권력행사에 대한 것이었다. 특히 그들이 보여주었던 宦官에 대한 태도는 황제권력이라 해도 사대부 사회의 존속을 위협하는 자의적 권력행사는 용납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한편 황제의 경우 사대부 사회의 세력신장에 의해 권력이 위축된 것이 사실이나 魏晉南北朝 전 시기를 통하여 부단히 권력의 본질을 확인하고 확대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물론 전반적인 모습을 보면 南朝의 경우 華夷가 모두 포함된 황제의 극대화된 통치영역을 지칭하는 六合에 蠻夷가 제외되며 전통적인 蠻夷政策인 분리주의가 대두하였다. 즉 蠻夷에 대한 직접지배가 포기된 것이다. 그러나 魏明帝와 晉武帝의 경우에서와 같이 직접지배를 의미하는 移風易俗이 근본적으로 폐기된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특히 北朝 황제들에게서 두드러지는 현상이었는데 部族秩序를 해체하고 중국적 왕조국가로 전화하는 과정에서 강화된 황제권이 華夷 모두에 대한 직접지배를 계획하게 하였다. 그 중에서도 前秦의 ?堅은 어느 군주보다도 강력한 황제권을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그의 六合에는 華夷 모두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가 服屬시킨 他種族을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는 예외 없이 황제권력의 외적인 확산을 위해 운영되었다. 또한 그는 복속민을 대규모로 徙民함으로써 그들의 고유한 질서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堅의 대외정책의 원칙이 移風易俗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치원칙은 隋의 건국과 함께 보다 분명하게 천명된다. 隋의 대외정책은 ‘一同華夷’라는 말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것은 결국 華夷의 구별이 사라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황제의 통치는 秦始皇時期와 같이 內外도 따로 없고, 華夷도 따로 없는 오직 人民에 대한 통치라는 것이 천명된 것인데, 사대부들의 황제권력에 대한 분할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강력한 황제전제국가가 부활할 수 있었던 것은 南北朝時期 황제들에 의해 황제권력이 꾸준히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황제권력의 강화는 사대부들과의 관계에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後漢末의 혼란을 거치면서 확실한 사회적 집단으로 성장한 사대부들은 황제에 대해 직접적이고도 분명한 위협으로 존재하게 된다. 다름 아닌 黨錮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사대부들은 황제의 권위와는 별도로 사회적 권위를 만들고, 그것에 의해 名聲을 획득하였다. 황제는 황제권력 이외의 또 다른 사회적 권위가 존재함을 인정할 수 없었던 이유로 이들에 대해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하게 된다. 이것이 曹魏時期 浮華事件이다. 특히 後漢末 사대부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曹魏의 사대부들은 後漢의 재건이라는 위험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위험한 존재들이었다. 그러나 사대부들의 결합이 反國家的인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위험한 것만은 아니었다. 明帝時期의 浮華派는 출신성분 면에서나 사상적으로 반국가적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마저 숙청 당했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황제의 권위와 사대부의 권위가 동시에 사회의 기준으로 존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그런 의미에서 宋 劉裕가 행했던 土斷이라는 것 역시 국가질서에 의해 지역에 존재하는 사대부들의 私的 질서를 규제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즉 황제의 권위로 지역사회의 사대부의 권위를 대체한 것이다. 梁武帝의 경우도 사대부들의 사회적 권위를 황제의 권위로 대체하려는 점에서는 위의 황제들과 동일하나 그 방법 면에서 강압적인 방법이 아니라 사대부들의 정치적 각성을 촉구하고 유도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황제는 사대부들의 정치적 세력화가 황제권력을 잠식하고 분할한다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정상적인 권력행사를 위해서 사대부들을 황제의 질서 속으로 흡수하고 각성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강력한 황제권력의 부활과 중국의 재통합이 황제들만의 노력의 결과는 아니었다. 황제가 사회적 기풍을 변화시키려고 해도 사회적으로 그 기풍이 수용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晉代 이래 사대부들 안에서 발견되는 移風易俗의 모습은 황제와 사대부 양자의 공존이 어떻게 모색되었는가를 잘 보여준다. 사대부들은 자신들을 구속하던 儒學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선택한 玄學에 대해 비판하였다. 그것은 玄學이 사대부로 하여금 정치적 자각과 책임의식을 갖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 사대부 안에서 名聲의 잣대였던 정치적 무관심과 무능력이 타파의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대부들의 의식변화는 ‘素業’이라는 개념의 변화를 추적하면 더욱 분명하게 밝혀진다. 애초 道家的 생활방식을 의미하던 素業은 점차 학문적이고 정치적인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다가 梁朝에 이르면 經世濟民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이념으로서의 儒學을 지칭하게 된다. 이것은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본질적인 임무를 儒學의 근본 이념에 입각한 정치참여로 설정하였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국가에 대한 사대부의 忠節을 확인할 수 있다. 오직 保身과 保家의 의식만을 가지고 있던 이들에게 이러한 변화는 매우 놀랄만한 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변화의 이유로는 사대부들의 자기 반성, 황제의 賢才主義, 寒門 사대부들의 정치적 진출이 가져온 위기의식을 들 수 있겠다. 이러한 자기 반성과 정치참여에 대한 각성은 北朝 사대부에게도 동일하게 발견되는데, 그들의 경우 胡族 사대부들의 門閥主義에 대항하기 위해서라도 정치적 능력의 배양이 필요했다. 결국 고대 중국 사회에서 보여진 권력의 분할과 집중이라는 측면은 그 사회를 실질적으로 이끌었던 두 정치주체의 정체성 확립으로부터 파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사대부들은 권력의 분할을 정치적 목적으로 설정했으며, 황제는 집중을 통해 황제권력의 본질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그들이 목적은 대립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양자 모두 국가기구를 통해서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결국에는 공존을 지향하게 되었다. 즉 隋의 재통일은 양자가 긴 대립을 통해 공존의 방법을 모색한 결과 공동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emperor took power only through the bureaucratic mechanism and Shi-da-fu (士大夫)couldn't be the ruling class without having political status as a bureaucrat. Strictly speaking, both had only relative power. Therefore, they essentially couldn't help acknowledging the others to be win recognition. But, the other hand, they tried to make their own power imperative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and realizing their identity. I created the assumption that the history of ancient China is the result of two phases, antagonism and coexistence. Thus, if we see how they settle their existence and take their power, we can approach the characteristic of ancient China. This thesis is for inquiring into the political awakening and the foundation of political doings of the emperor and Shi-da-fu(士大夫), and also into the periodic continuity through the concept of Yi-feng-yi-su(移風易俗). Public morals mean unique civil order, social moral fiber, and cultural tradition as well as surface and visible things like the product of the local, a dialect, and music. The ancient Chinese considered public morals as the people's total reaction to the statesmen political intention, and thought they could achieve their political purpose. That's why Yi-feng-yi-su(移風易俗) that changes the public morals means the key conception from which we can grasp their value system, and their world view as well as the political purpose and ideal of the statesman at that time The movement of changing local people's order showed up in the course of structuring the unified empire. Ultimately, this means all the empire is ruled by the decree of central government. But the conceptions, Yi-su(異俗:different custom) and Shu-su(殊俗:different custom) that appeared newly with emergence of the emperor show us that local people's order that the emperor tried to get rid of includes the indigenous order of Man-yi(蠻夷:Barbarians). Before the emperor turned up, Man-yi(蠻夷) were the different beings from Chinese people and they were treated as being discriminated, not dominated or tamed. Therefore, it means the emergence of the emperor created the new world order different form by now that Man-yi(蠻夷) is expressed by Yi-su(異俗) and Shu-su(殊俗) and become the object of the change.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emperor had the property that he was the one and only ruler inside and outside the nation. Exactly, it declares Yi-feng-yi-su(移風易俗) of the emperor is that the essence of emperor's power is the uniqueness and distensibility. We can see this point from that the emperors in the early empire considered the bureaucrat the medium for transmission and enforcement of emperor's order and they used Confucianism for mystifying the emperor's power and the decree embellishing. That is, all the social resources and manpower was allocated and organized for only effective exertion of emperor's. Like the emperor, how Shi-da-fu(士大夫) made use of Yi-feng-yi-su(移風易俗) is connected with establishing their identity. They defined themselves as another rulers, merely not the enforcer of emperor's order. However, their political awakening and advance were blocked by the tradition of legalism which developed since Ch'in Dynasty, meritorious retainers affiliated with Wu-lai(無賴:rogue) tilted to Huang-lao-shu(黃老術), and the emperor's distensibility. Thus, Shi-da-fu(士大夫) of Former Han defined Yi-feng-yi-su(移風易俗) as eliminating this social tendency. They set up the ideal that Confucianism should be the sole value and standard of all the nation, and that's the ultimate state of Yi-feng-yi-su(移風易俗). They, however, started to remove various social disciplines to block out their political advance, because they believed that they could realize their ideal only through being bureaucrat. While Yi-feng-yi-su(移風易俗) of Former Han is what made Shi-da-fu(士大夫)'s presence political can-carriers and created social motives and disciplines that made Shi-da-fu(士大夫)'s political advance possible, Yi-feng-yi-su(移風易俗) of Later Han was what was designed to guarantee their political activities and reproduce and settle their stable status. That is, they tried to earn the exclusive rights of the election and objected to all exercising rights if they were not permitted by Shi-da-fu(士大夫). The reason why Shi-da-fu(士大夫)'s of Later Han opposed to political participation of empress dowagers and cognates was that their exercising rights were innately connected with the emperor's power. Also, their criticism to Fu-zheng(輔政), the institutional system was derived from the same cognizance. In particular, they clearly manifested that they wouldn't accept any behaviors that threatened Shi-da-fu(士大夫)'s continuance by showing their attitude to eunuchs. In other hand, the emperor ceaselessly tried to confirm and extend the essence of his power all through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although the power was weakened by the extension of Shi-da-fu(士大夫)'s influence. In general, in case of Nan-chao(南朝), the emperor excluded Man-yi(蠻夷) in Liu-he(六合), which means maximized ruling domain including Hua-yi(華夷). And the traditional separatism gathered strength, the emperor abandoned the direct control over Man-yi(蠻夷). But, as we can see in cases of Wei-Ming-di(魏明帝) and Jin-Wu-di(晉武帝), it doesn't mean abolishing Yi-feng-yi-su(移風易俗) fundamentally. This was the salient trait of Bei-chao(北朝) emperors, which urged to contemplate the direct control over all Hua-yi(華夷) in the course of evolving from tribal order into Chinese dynastic nation. Among them, the emperor Fu-jian(?堅) of Qian-Ch'in (前秦)intended to actualize more absolute power than any other. His Liu-he(六合) included all Hua-yi(華夷) and his mechanism that was established to rule other subjugated tribes were managed to spread the emperor's power without exception. Also, he tried to eliminate their old order by making subjected tribes move to other places. That's why Fu-jian(?堅)'s principle of foreign policy was Yi-feng-yi-su(移風易俗). This ruling principle was more clearly declared with the establishment of Sui(隋). The foreign policy of Sui(隋) can be expressed as 'Yi-tong-hua-yi(一同華夷)', which means removing distinction of Hua-yi(華夷). That is, as in the period of Ch'in-shi-huang(秦始皇), it was declared that the emperor's ruling was only for govern people, whether was inside or outside the nation and whether they were Hua(華) or Yi(夷). In spite of Shi-da-fu(士大夫)'s endeavor to dispart the emperor's power, the emperor strengthened his power continually and this made it possible the restoration of an absolute monarchy. We can find the strength of the emperor's power more clearly in the relationship with Shi-da-fu(士大夫). Going through the chaos of later period of Later Han, Shi-da-fu(士大夫) had grown into powerful social group and then they pose much more menace to the emperor. In the peculiar situation called Dang-gu(黨錮:great proscription), Shi-da-fu(士大夫) created social authority apart from the emperor's authority and found fame by it. The emperor admitted only his own authority, so he started to purge Shi-da-fu(士大夫) in large scale. This is the very Fu-hua(浮華) case in Cao-Wei(曹魏) Period. In particular, Shi-da-fu(士大夫) in Cao-Wei(曹魏) Period was very dangerous to the emperor in that they were connected with Shi-da-fu(士大夫) of Later Han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ey got involved in reconstruction of Later Han. However, union of Shi-da-fu(士大夫) was necessarily not dangerous because they had antinational property. Fu-hua-group(浮華派) of Ming-di(明帝) Period didn't have antinational property in both their origin and ideology. Despite of it, they were purged because the authority of the emperor and that of Shi-da-fu(士大夫) couldn't live together as a social standard. Likewise Tu-duan(土斷)performed by Lin-yu(劉裕) in Song(宋) Period was also the one of the methods to restrict the their own authority of local Shi-da-fu(士大夫). Namely, the authority of emperor replaced that of Shi-da-fu(士大夫) of local society. The conduct of Liang-Wu-di(梁武帝) was similar to that of the emperor's mentioned above in that he tried to replace Shi-da-fu(士大夫)'s authority with his own, but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 by asking and inducing Shi-da-fu(士大夫)'s political awakening - his conduct was worthy of note. The emperor embraced and aroused Shi-da-fu(士大夫) to exercise his own power, in spite of riskiness that their political strength could encroach and dispart the emperor's power. But the revival of emperor's strong power and reunification of China were not just the result of emperor's effort. That's because however ardently the emperor tried to change the social climate, it wasn't possible without the social atmosphere accepting it. Considering this way, Yi-feng-yi-su(移風易俗) of Shi-da-fu(士大夫) since Jin(晉) shows us how coexistence between the emperor and Shi-da-fu(士大夫) was pursued. Shi-da-fu(士大夫) criticized Xuan-xue(玄學), which once they picked out to get out of pressure of Confucianism that restrained themselves. That's because they couldn't get the political awakening and responsibility through Xuan-xue(玄學). The political indifference and incapability, which once were the barometer of renown, started to be regarded as the object of conquest. If we follow the conception of Su-yi(素業), we can find this change of Shi-da-fu(士大夫)'s awareness more clearly. Su-yi(素業), which originally meant the Taoistic way of life, gradually evolved into what is academic and political. By Liang Chao(梁朝), at last, Su-yi(素業) came to indicate the Confucianism as the political ideology aimed for Jing-shi-ji-min(經世濟民). This means Shi-da-fu(士大夫) defined their essential duty as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theory of Confucianism. We can find Shi-da-fu(士大夫)'s loyalty to the nation in other points. It's very surprising that they had such awareness, who only had tried to protect themselves and their family. The reason of this change lies in consciousness of crisis derived from self-reflection, the emperor's tendency to distinguished ability, and the appearance of lower-class Shi-da-fu(寒門 士大夫). This awakening of self-reflec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lso found in Shi-da-fu(士大夫) of Bei-chao(北朝) Period, which they needed to raise their political power to be against the pedigree of barbarian(胡族) Shi-da-fu(士大夫). We can see that the centralization and division of power shown in ancient Chinese society was, in fact, derived from the course of confirming the identity between the two political subjects. Shi-da-fu(士大夫) set the political goal of the division of power, while the emperor tried to exercise his own power through the centralization of power. Therefore, it was inevitable that they two were opposed to each other. However, there was no way to achieve their political goal except for through the state organization, so both had to head for the coexistence. That is, the reunification of Sui(隋) was the result of their collaboration in the course of pursuing the way of coexistence.

      • 성인 여성의 피트니스 클럽 참여 동기와 생활 만족도에 관한 고찰

        홍승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여성의 피트니스클럽 참여 동기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피트니스클럽을 이용 중인 성인여성회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방법은 비확률 표집 중 편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4개의 스포츠센터에서 300명의 자료를 표집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75명의 자료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유효 설문지 275부를 Windows SPSS/1.90 Version 한글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에 맞게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test, one-way,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된 연구대상의 개인적 특성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 t-test,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cheff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성인여성의 피트니스클럽 참여동기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트니스클럽에 참여하는 성인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참여기간, 참여시간)에 따른 참여동기의 평균차이를 살펴본 결과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건강지향, 취미오락지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피트니스클럽에 참여하는 성인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직업, 학력별, 결혼유무, 월 평균 소득, 주 참여 정도, 참여기간, 참여시간)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평균차이 검증에서 생활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심리적 만족, 신체건강적 만족, 사회학적 만족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이 연구에서 피트니스클럽 참여동기와 생활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만족에는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사교지향요인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학적만족에는 가정지향요인, 사교지향요인, 건강지향요인, 자기개발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건강적만족에는 가정지향요인, 취미오락지향요인, 건강지향요인, 자기개발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지향요인은 신체건강적만족과 서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원예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적 변인을 중심으로

        홍승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의 기존 연구물들의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정리하고, 원예치료의 전체평균효과 및 심리적인 변인별 즉 자아존중감·우울·불안·사회성의 평균효과크기 등을 비롯하여 각각의 연구관련 변인별 평균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논문은, 메타분석이 가능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를 비교한 연구물 중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점수와 표준편차가 제시된 연구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1998년부터 2005년까지 발행된 원예치료와 관련된 논문 120여 편 중에서, 심리적 변인과 관련된 논문은 40여 편 그 중에서 메타분석에 적합한 22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93으로 큰 편에 속하는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네 가지의 심리적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분류하여 평균효과크기를 구한 결과, 자아존중감(1.24)과 불안(1.15)의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우울과 사회성은 중간 정도 이상의 효과크기를,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 사회성의 순서로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연구대상 관련변인별 효과크기에서 연령과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 본 결과, 중/고등학생(0.60)보다 유아/초등학생(1.10)과 성인(1.26)에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장애 유무의 유형별에 따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또, 장애유형(정신지체·정신질환·신체질환)별로도 각 집단 간 평균효과크기에 대해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진행 특성(집단크기·총 시행횟수·주당 시행횟수)에 따라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집단크기는 4-6명(1.63)일 때와 11-20명(1.63)일 때 효과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21-25회의 경우 2.74로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 시행횟수가 대체로 16회 이상일 때 효과가 큰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성과와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통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한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연구라는 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이루어질 원예치료의 효과와 성과의 연구 설계에 실제적인 지침이 되길 바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 구성 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therapy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conducted in Korea during 1998-2005, using meta-analysis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utcome research. 22 studies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found to be 0.93, indicating that horticultural therapy was highly effective in overall. Among the variables used to compa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dependent variables, client's age, the number of sessions, and the number of clients were foun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compared by their four psychological variables, Self-esteem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s and in order of anxiety, depression, sociality. When they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client's age, the infants/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ults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administered 4-6 participants and 11-20 participants in a group, more than 16 sessions were found to be generally effectiv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horticultural therapy produce highly effective outcom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Limit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offered.

      • 비선형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애기 장대 체세포 분열 후기 단계의 실시간 관측 및 역학적 분석

        홍승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Low phototoxicity is one of the advantages of nonlinear optical microscope, allowing the long term investigation of living processes without significant perturbations. Misunderstanding of intracellular dynamics can lead to incorrect conclusions on aneuploidy and genetic instability. Therefore, multi-modality nonlinear optical microscopy has been developed to study biological and medical samples. In this research, we have employed multi-modality nonlinear optical microscope to investigate the chromosome dynamics at millisecond time scales on Arabidopsis thaliana without disturbing the living conditions. Moreover, the optimal location condition to get the best image quality, the fluorescence, third-harmonic generation(THG) signal in the forward direction was collected by the photo-multiplier tube (PMT). In addi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water and temperature were carefully arranged in order to observe the root of Arabidopsis thaliana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we observed real-time cell division of the chromosome from anaphase to telophase and analyzed cell division dynamics using a simple numerical model based on the outermost boundary settings. The measured distance between sister chromatids as a function of time shows a sigmoid curve and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was 4.6836±0.4µm in the stage of anaphase of Arabidopsis thaliana. The moving speed of the cell was obtained to be 63.9±30nm/s by differentiating the sigmoid function. 비선형성이라는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이용한 비선형 광학 현미경은 생물 시료 이미징에 최적화 되어있는 현미경이다. 그 종류로 CARS, SRS, SHG, THG등 다양한 비선형 현미경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광자 여기 형광 신호와 2차 고조파 신호, 3차 고조파 신호를 결합한 다중모드 비선형 광학현미경을 구성하여 애기 장대 식물을 관측하였다. 이 때 이미지 효율을 늘리기 위해 광자 증폭기의 위치 구성을 변경하여 최적의 위치 조건을 제안하였으며, 다른 환경적 요인을 조절하여 오랜 시간 관측할 수 있는 실험 환경을 구성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광학 현미경을 통해 애기 장대 식물의 체세포 분열 후기 단계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그 정보를 바탕으로 역학적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 중 염색체 겹침에 의한 정보 손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데이터 검증을 통해 기존의 다른 실험 방식과 새로운 방법의 오차율이 15% 미만에 머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새 방법을 통한 염색체 분열 현상에 대한 역학적 정보는 이동 반경 4.6836±0.4µm 범위 내에서 이동 속도 63.9±30nm/s를 가지며 시그모이드 함수 형태를 지니며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 실리콘-다중벽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의 열플라즈마 합성 및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재로써 전기화학적 특성

        홍승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재인 graphite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 중 하나인 silicon은 높은 이론용량을 가지고 있지만 리튬이온과의 반응시 발생하는 부피 팽창으로 인해 매우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 실험에선 silicon의 부피팽창을 줄이기 위해 약 18 kW의 삼중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이용하여 Si-MWCNT 나노 복합체를 합성하였으며 또 coin cell로 제작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의 주요 변수는 원료 물질인 silicon과 MWCNT의 중량 비율 및 원료 물질들의 투입 위치로 silicon과 MWCNT를 혼합하여 투입하거나 분리하여 열 플라즈마 불꽃 내에 투입하였으며 원료 물질들의 중량 비율을 각각 2 : 1, 1: 2로 나누어 투입하여 실험 조건을 다양화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MWCNT 투입 지점의 온도가 실리콘의 효율적인 기화와 MWCNT의 승화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Si-MWCNT 형성에 MWCNT의 투입 위치가 주요한 영향을 미친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리하여 투입한 실험에서 silicon 나노 입자 크기가 낮은 것을 보였으며 이 또한 silicon의 효율적인 기화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았다. 합성된 나노 복합체를 음극재로 하여 제작한 coin cell의 charge discharge 실험에서 사이클이 진행함에 따라 원료 물질을 분리하여 투입한 실험에서 Silicon만을 음극재로 사용한 coin cell보다 낮은 용량 감소폭을 보였다.

      • Cut-in 상황에서의 인지 판단 및 ACC 제어 전략에 관한 연구

        홍승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자동차의 안전성과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등의 환경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기존의 안전 시스템 개선 및 연비 개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Cut-in 상황에서의 인지 판단 및 ACC 제어 전략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주행 중 다른 차선으로부터 끼어드는 차량을 미리 인지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판단 알고리즘에 의해 끼어드는 차량의 상황을 인지하여 기존에 추종 하던 앞차와의 거리와 끼어드는 차량과의 거리 중 어느 쪽에 얼마만큼 우선 순위를 둘 것인지를 정하여 ACC 제어를 하고자 한다. 개발된 제어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MATLAB 社의 Simulink와 차량 시뮬레이터인 Mechanical Simulation Corporation社의 Carsim®을 연동하여, Cut-in 상황에서의 ACC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기존의 ACC 알고리즘과의 안전성을 비교하였다. Recently,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the safety of automobiles and the regula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have emerged as social issues, efforts are being made to solve problem by improving safety systems and fuel efficiency. This paper presents modeling, recognition, decision and control strategy of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in cut-in situation by logistic regression. The algorithm is devised to recognize in advance a vehicle that is interfering from another lane while driving and deciding which vehicle has strong priority. The simulation is conducted by Matlab/Simulink® and CarSim® simulator to verify its stability.

      •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법을 이용한 Vibrio alginolyticus의 신속 진단법 개발

        홍승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velopment of rapid, accurate and sensitive diagnostic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hogens is fundamental for treating and controlling, or even eradicating of infectious disease. Classical pathogenic identifications are based on their culture methods and their microscopic evaluation, which were know for its negative effects such as slow and sensitivetity in standaizing its growth and culture conditions. Therefore, the setting up of more rapid, sensitive and accurate diagnostic methods has long been desired in clinical molecular diagnosis of pathogens. Th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LAMP), an PCR based diagnostic method based on autocycling strand displacement DNA synthesis in the presence of exonuclease-negative Bst DNA polymerase under isothermal condition. With the help of four specific primers that recognize six different sequences on a target DNA, LAMP has high specificity in pathogenic identification in short time. Since year 2000, the LAMP method has been tested in diagnosis of several viral, bacterial, fungal and protozoans species. Hence in the present study, LAMP is used as diagnostic tool in identification of the most dreadful aquatic pathogenic species Vibrio alginolyticus and to develop species specific LAMP primers, optimization of LAMP reaction conditions like annealing temperature, elongation time and other PCR chemical concentration such as MgSo4, dNTPs, Betaine and Bst polymerase. LAMP primers composed of two outer primers which initiate strand displacement and two inner primer which amplify "the loop" structure through the reaction. The LAMP products were shown a typical ladder-like patten on gel electrophoresis which indicated that stem-loop DNA with inverted repeats was amplified. The amplification was observed at 65℃ from 40 mins to 100 mins. Of which 100 mins elongation time was found to be good. The optimum MgSO4 concentration was 4mM, while the dNTPs concenteration lies in between 400~ 500 ?M. The optimized amount of Betaine was 1.0 M and Bst concentration was 8 U. The optimized LAMP primers were also checked for it specificity with other Vibrio species showed that the designed primers were very specific to Vibrio alginolyticus only. Results also reveals that the LAMP assay could be 10 fold sensitive than the conventional PCR in decting Vibrio alginolyticus. This could be the first report on using a rapid, and highly sensetive technique, LAMP assay, in the effective diagnosis of Vibrio alginolyticus a pathogenic bacteria and helps in the early detection of diseases particularly in aqua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