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김은정 작곡 <떡잎>의 작곡기법에 관한 연구 : 표제적 유형을 중심으로

        김은정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72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rogramme music of <A Seed Leaf; Ddeongnip>, which is composed by the researcher myself and is based on the real experience of raising a child. <A Seed Leaf> which presents a four year old child's daily lives, consists of 7 movements: 'The way to a playground', 'Playing with sand', 'A slide', 'Riding on a rocking horse' 'Shrek(animation movie)', 'We are going on a bear hunt', 'A lullaby'. <A Seed Leaf> presents a child's daily lives in terms of spacial move and time sequence and represents a child's psychology, actions, and languages tak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rogramme music. To express those with Gayagum, the musical elements such as melody, tempo, rhythm, and form and some techniques for 12 string Gayagum are chosen. For example, while melody is employed for description of psychology, the division and diversification of rhythm is employed for a child's actions. Since the structure of basic dynamics is less considered than horizontal structure which values respiration, there is no considerable change in time and the tempo is slow to get vitality. As for the techniques of a play, it makes some changes in musical tones and employs various Gayagum techniques ranging from traditional ones to modern ones which are used in the comtemporary compositions. 'Shrek' and 'A lullaby' among 7 movements can be substituted with other compositions and lullabies. Each movements of <A Seed Leaf> are so both independent and organic that players can freely chose whatever movements and can play each movement irrespective of the composition order. In the meantime, the study analyzes some conventional compositions which substantiat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rogramme music and use musical elements for them: Youngjae Kim's <Chunjeopmugok>, Byounggi Hwang's <The Forest; Sup>·<The Fall; Gaeul>·<The Spring; Bom>, Songcheon Lee <Playground> and Byounggi Hwang <Babysitter; Aibogae>. This study classifies those into two types: the description of nature which include three atmosphere, seasonal, visible and audible, and the description of actions which include walking, Jaegichagi(Korean shuttlecock kicking), playing jackstone, and sliding. In the same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rogramme music of <A Seed Leaf> and classifies it into three types, 'psychological description,' 'description of actions' and 'linguistic description.' The psychological description include amusing feeling and excitement on the way playground in the first movement 'The way to a playground,' longing for his turn for a rocking horse and hesitation in leaving a playground in the fourth movement 'Riding on a rocking horse,' and curiosity and shock in the sixth movement 'We are going on a bear hunt.' As for musial elements to represent this, it employs slow melody, monophony and monotonous tempo without considerable changes. 'Description of actions' include walking on the way playground, standing jump, running in the first movement 'The way to a playground,' feeling and gathering sand, shaping something with sand, and scattering sand in the second movements 'Playing with sand,' getting on the stairs, sliding, hopping on the slide in the third movement 'A slide,' and the scene of riding on a rocking horse in the fourth movement 'Riding on a rocking horse.' As for musical elements to represent this, it employs the division and diversification of rhythm, gradual going up of a note and various techniques (consordino, using both hands, right hand 3-2-1 technique). Linguistic description include echoic words and mimetic words which are mostly presented in the sixth movement 'We are going on a bear hunt' such as 'swishy swashy', 'stumble trip', 'splash splosh', 'squelch squerch', the sound of a whirling snowstorm 'hoooo woooo', and 'tiptoe tiptoe.' As for the musical elements to represent this, it employs the division of rhythm and some techniques for Gayagum (stacato, glisando, and arpeggio). As such, while the type of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compositions for 12 string Gayagum are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nature' and 'description of action', a child's 'psychological description' for emotions and 'linguistic description' for words and sounds are added to <A Seed Leaf>. The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conventional studies in suggesting and classify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composition into description of nature and description of actions. Furthermo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 researcher myself composes on the basis of my own experience of a play, analyzes the composition and deepens the types of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rogramme music by classifying the types into psychological description, description of actions and linguistic description and by using diverse musical elements of 12 string Gayagum. Besides <A Seed Leaf> which was composed in order to experience various musical elements will be of use for practice and a play of 12 string Gayagum. 본 연구는 몸소 아이를 기르면서 체험한 연구자의 일상을 소재로 직접 작곡한 <떡잎>의 표제적 유형을 분석한 논문이다. 작품은 네 살 무렵 어린 아이들의 생활을 표제적으로 표현한 1장 ‘놀이터 가는 길’, 2장 ‘모래놀이’, 3장 ‘미끄럼틀’, 4장 ‘목마타기’, 5장 ‘슈렉’, 6장 ’곰 사냥을 떠나자‘, 7장 ’자장가‘의 일곱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떡잎>은 아이의 일상을 시간적 · 공간적 흐름에 따라 구성하고, 아이들의 심리, 행동, 언어를 표제적으로 표현하였는데, 이를 위해 본 작품에서는 선율과 박자, 리듬, 형식 등의 음악 요소와 12현 가야금의 여러 가지 주법이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예를 들면, 심리 묘사에서는 선율의 흐름을, 행동 묘사에서는 리듬의 분할과 확산 방법을 주로 선택하였으며, 박자는 기본적인 강약의 구조 보다는 호흡을 중시한 수평적 구조를 중시하여 큰 변화를 두지 않았고, 선율이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 느린 속도를 유지하였다. 가야금 주법은 전통적인 연주법부터 현대 창작품에 사용된 주법을 활용하였으며, 음색의 변화를 다채롭게 응용하였다. 또한 일곱 개의 장으로 구성한 <떡잎>은 만화 영화 슈렉과 자장가의 경우 다른 작품, 다른 자장가의 곡으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고, 연주자에 따라 자유롭게 선곡하고 순서도 바꾸어 연주할 수 있도록 유기적이면서 독립적인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떡잎>의 구성에서 12현 가야금으로 표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음악 요소를 표제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기존 창작품 중 유사 성격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김영재의 <춘접무곡>, 황병기의 <숲> · <가을> · <봄>, 이성천의 <놀이터>, 황병기의 <아이보개> 등 여섯 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계절적인 느낌, 시각적 느낌, 청각적 느낌은 ‘자연 묘사’의 유형으로, 1장 ‘놀이터 가는 길’에서 놀이터로 향하는 아이의 즐거운 마음, 걷는 모습, 제기 차는 모습, 공기놀이 하는 모습, 미끄럼 타는 모습 등은 ‘행동 묘사’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본 연구에서는 김은정 작곡 <떡잎>의 표제적 유형을 분석하여 ‘심리 묘사’, ‘행동 묘사’, ‘언어 묘사’로 구분하였다. 심리 묘사의 주 내용은 1장 ‘놀이터 가는 길’에서 놀이터로 향하는 아이의 즐거운 마음과 설레임, 4장 ‘목마타기’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마음과 목마를 두고 돌아오는 아쉬움, 6장 ‘곰 사냥을 떠나자’에서 호기심과 무서운 느낌 등이다. 이러한 표제적 표현들을 위해 본 곡에서는 느린 속도의 단선율과 별다른 변화 없이 지속되는 박자 등의 음악 요소를 사용하였다. 행동 묘사는 1장 ‘놀이터 가는 길’에서 놀이터로 향하는 길의 걷기, 폴짝폴짝 제자리 뛰기, 뛰어가는 모습, 2장 ‘모래놀이’에서 모래를 만지고 모으기, 모양 만들기, 모래 뿌리기, 3장 ‘미끄럼틀’에서 미끄럼틀을 올라가는 모습의 계단 오르기, 미끄럼틀 내려오기, 미끄럼틀 위에서 뛰어놀기, 4장 ‘목마타기’에서 목마 타는 모습 등이다. 이와 같은 행동 묘사를 위해 본 곡에서는 리듬의 분할과 확산, 음의 점진적 상행 진행, 여러 주법 (consordino, 양손 사용, 오른손 3-2-1주법)의 음악 요소를 활용하였다. 언어 묘사는 6장 ‘곰 사냥을 떠나자’에서 사용되는 의성어와 의태어로 ‘사각 서걱’, ‘덤벙 텀벙’, ‘처벅 철벅‘, ’바스락 부시럭’, 눈바람 소리 ‘휭 휘잉’, ‘살금살금’ 등에서 주로 표현되었다. 본 곡에서는 이러한 표현을 위해 리듬의 분할과 가야금의 여러 가지 주법 (stacato, glisando, arpeggio 등)을 활용하였다. 지금까지 살펴 본 것처럼 표제적인 성격이 두드러진 12현을 위한 기존 창작품에서는 ‘자연 묘사’와 ‘행동 묘사’ 를 주로 표현한 것에 비해 <떡잎>에서는 어린 아이의 감정을 표현한 ‘심리 묘사’와 말과 소리 등의 ‘언어 묘사’가 부가되었다. 본 연구는 12현 가야금을 위한 기존 창작품에서 여러 가지 음악 요소와 가야금의 주법 등을 활용한 표제적 성격을 주제에 따른 자연 묘사나 행동 묘사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가야금 작품 분석 연구와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가야금 연주 경험을 살려 연구자 자신이 직접 작품을 완성하고, 이를 12현 가야금을 위한 다양한 음악 요소를 활용하여 심리 묘사, 행동 묘사, 언어 묘사 등으로 표제적 유형을 심화 · 확장시켰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아울러 12현 가야금의 다양한 음악 요소를 흥미롭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상된 <떡잎>은 12현 가야금을 위한 기초 연습곡과 연주곡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김은정의 피아노 독주를 위한 '사물놀이' 분석

        김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김은정의 창작곡, 피아노 독주를 위한 ‘사물놀이’(1999)에 관한 분석연구이다. 이 곡은 우리의 정서를 바탕으로 최대의 흥겨움을 줄 수 있는 것이 사물놀이라 생각하여 사물놀이 판에서 벌어지는 소리·장단 등을 피아노 곡으로 음향화하여 작곡 한 것이다.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는 이 작품은 각 악장마다 사물놀이의 특징을 부각시켰다. 필자가 작곡으로 부각시킨 사물놀이의 특징은 사물놀이에서의 네 개 물건 곧 꽹과리·장고·북·징과 유일하게 선율을 담당하는 태평소의 음색과 음향 그리고 장단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리듬 등이다. 이처럼 이 곡은 각 악장마다 특징적인 음악적 소재를 갖고 있으며 특히 3악장에서는 전 악장들에 나타나는 음악소재들을 종합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전체적인 구조적 통일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This thesis is an analytical study on Eun-Jung Kim's work, Samulnori for piano solo(1999). The work was composed to express the sound and rhythm of the actual Samulnori performance as a piano solo, bringing out the highest pleasu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emotions. The work consists of three movements and each movement represents the distinct feature of Samulnori. In the each movements, the well-defined characteristics emphasized by the author includes musical texture and timbre of four instruments for Samulnori (Kwenggari, Janggo, Buk, and Jing). The Taepyungso which is the sole melody instrument in this work also expressed various rhythm created by a certain Korean rhythmic pattern. Thus, each movement has its distinct musical materials and especially the third movement delivers the overall structural harmony by representing all the musical materials in each movement.

      • 객실승무원의 조직문화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FSC항공사와 LCC항공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은정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객실 승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FSC항공사와 LCC항공사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객실 승무원 29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0.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 승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조직문화 중에서 개발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객실승무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요한 조직문화는 집단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임을 제시하였다. 객실승무원은 항공기 내에서 함께 근무하면서 장시간 제한된 공간에서 승객의 안전을 책임지는 업무에서 승무원간 상호 협조적 관계를 갖고, 서로 독려하고 다양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업무에 임할 때 조직몰입을 잘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객실 승무원들은 해외 체류 시에도 함께 체류하여 강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게 되므로, 승무원의 업무적 특징을 고려하여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집단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객실승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FSC항공사 승무원과 LCC항공사 승무원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SC항공사와 LCC항공사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FSC항공사는 조직문화의 개발문화와 집단문화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CC항공사의 경우 집단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SC항공사와 LCC항공사는 가격 정책, 노선운영, 기내서비스 등 항공사의 운영 특성에 따라 객실 승무원이 업무에 차이가 있어 강조하는 조직문화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실 승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FSC항공사와 LCC항공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FSC항공사는 개발문화와 집단문화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으며, LCC항공사는 집단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므로 각 항공사 별로 승무원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 형성해야 할 조직문화가 다름을 고려하여 항공사의 조직문화 형성에 따라 승무원들이 조직몰입을 높여 항공사 발전에 기여하도록 경영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ull Service Carrier (FSC) and Low Cost Carrier (LCC). 290 airline cabin crew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ata was empir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20.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development culture,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ulture. This result suggests that development culture,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important to heighte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irline cabin crew. It implies that building the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airline cabin crews with the responsibility of passengers’ safety working at the inflight limited space for a long time, and encouraging one another and having variety and flexibility when work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characteristics of tasks of airline cabin crew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form organizational culture for reinfor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xample, since airline cabin crew stay together abroad, strong tie among crew members is made. Second,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ifference between crew of FSC and those of LCC was significant.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of FSC had an affirm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development culture,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f LCC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is the difference of cabin crew’s task by traits of the operation of FSC and LCC such as pricing, operating flight route, and inflight service, which might make a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SC and LCC in the effect of airline cabin crew’s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llowing results were identified. In FSC, the higher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were, the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engthen. In LCC, high development culture,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llow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be heightened. Therefore, the fact that organizational cultures of each airline to rais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irline cabin crew are different needs to be considered. On the basis of this consideration, airlines should be operated by heighte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rew, which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irlines. Keywords :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FSC, LCC, moderating effect

      •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자기조립 단분자막의 균일성 평가에 대한 연구

        김은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homogeneity in surface composition of the self-assembled monolayer (SAM) that is formed to the electrode surface was evaluated by using cyclic voltammetry (CV), electrochemical quartz crystal microbalance (EQCM)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EIS) techniques. In case of 6-mercaptohexanoic acid (M6A) SAM, the surface pKa value, resulting from cyclic voltammograms analysis, is found in the pH range 5-6. Hexanethiol (HT) SAM did not depend on the solution pH as expected. By the way, the surface pKa of M6A/HT binary SAMs formed in a solution of 1:1 ratio moved to pH 6-8. This is attributed to increased hydrophobicity around -COOH due to neighboring hydrophobic -CH3, which is not favorable for solvation of -COO-. Thus the electrode surface is still in the form of -COOH unless pH is high enough. The stability of SAM surface was evaluated by EIS measurement with several chain lengths. Rct (charge transfer resistance) and Cd (capacitance) of SAMs with long chain molecules were more reproducible than those with short chain molecules. Moreover DT molecules were found on the electrode surface after reductive desorption.

      • ICT를 활용한 음악교과 수업의 현황분석 연구 : 경기도 수원소재 중학교를 대상으로

        김은정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ICT를 활용한 음악교과 수업의 현황분석 연구 -경기도 수원소재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김은정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 정 순) (초록)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의 실태를 설문 조사하여 중등 음악 교육의 현 주소를 짚어보고 음악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 시내 중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정한 설문의 내용은 일반적 사항 면, 설문대상의 컴퓨터 활용능력 면, 교육환경 면, ICT활용 수업실태 조사 면, ICT활용 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면,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의 효과 연구 면, 개선방안 연구 면,전체 7개 항목으로, 문항 수는 세부문항까지 총 40문항이다. 설문지는 수원시 교육청 관내 사교육 현장을 임의로 선정하고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들을 고려하여 관내 소속 시립도서관을 임의로 1개씩 선정하여 배부하였으며 회수율은 100%이나 본 설문조사에 활용된 설문지는 98%이다. 분석결과를 보면 학교에 설치된 컴퓨터는 사용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응답과 부정적인 응답이 반반으로 양분화 되는 현상을 보였고 ICT활용 수업의 인지도에 대한 응답은 부정적(43.6%)이었다. 학교에서의 ICT활용 수업 실시유무에 대해서는 부정적 응답이 전체의 과반수를 넘어서 (60.7%) 교육과정에서의 ICT 활용도가 떨어짐을 볼 수 있다. 또한 음악수업 시 자주 사용되는 기기에 대한 결과에서는 컴퓨터(43%), 프로젝션 TV(36.6%)로 조사되었으며 음악수업 시 자주 사용되는 학습 자료는 인터넷사이트(40.4%),교사가 직접 제작한 ppt자료(33.5%)가 조사되었다. 파워포인트로 제작한 프리젠테이션 활용 수업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의 응답은 부정적이었으며(77.4%) ICT활용이 수업의 질을 높이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도 부정적인 응답(60.6%)을 나타내었다. ICT 활용한 수업 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인터넷 속도(36.7%), 주변기기 부족 (25.9%)으로 조사되어서 교육환경의 개선이 시급한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수업방식은 설명식 수업에 약간씩 ICT활용수업을 한다(43.7%)로 조사되어 교사들의 ICT활용 수업방식에 문제점이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학생들의 생각하는 ICT 활용수업의 가장 좋은 점으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습득이 가능해 지루하지 않다(44.6%) 많은 자료를 제공하여 음악을 이해하기 쉽다(25.3%), 학생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다 (24.1 %)로 조사되어 ICT활용 수업자체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ICT 활용수업이 활성화 되려면 교사의 인식개선이 뒤따라야 하고 인터넷과 전자기기로 대체되고 있는 반주대신 실음을 중시하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ICT를 활용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 져야하고 교육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해본다.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소재 4개 교육청 내 대표 군을 1개씩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전국적인 상황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며 부득이하게 실제 교과를 운영하고 계시는 교사의 의견은 배제되었음을 밝히는 바이다. A study in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n music class used ICT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in Suwon, Gyeonggi Province- by Kim, Eun Jung Music Education Major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 gu ( Supervisec by Professor Jang, Jeong Soon ) (ABSTRACT) This study has purpose on recognizing today's condition of the middle musical education through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class applying ICT at a middle school and finding the solution to what to do for the revitalization of mu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the survey aimed at th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in Su-won and divid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into the general things and the respondents' computer skill and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pplying ICT and research on the students' awareness about the class applying ICT and the study about the effect of music class applying ICT and the study about the plan to improve the class applying ICT. So, this survey consists of total seven items, fourty questions including details. We chose a private education site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Su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one city library within the jurisdiction randomly considering students who do not take a private education and handed out the questionnaire to the respondents of this survey. All of this questionnaire was got back but 98percent of whole questionnaire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it indicates two opposed opinions whether it is effective enough for us to use the present computer in schools. one is positive and the other is negative with roughly 50 vs 50. However, the response to the grade of the recognition in the class applying ICT is negative with 43.6% It is said that 60.7% is the negative response to whether the class appyling ICT is done or not in schools. In other words, we can see that ICT is not used that much in schools. For being frequently used equipments in music class, it is said that computer is 43% and projection TV is 36.6%. For being frequently used materials of studying, it is said that internet site is 40.4% and ppt which made by teachers is 33.5%. The response to the class applying presentation made with powerpoint is effective is negative (77.4%) the response to does the ICT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is mostly negative(60.6%) It is said that the biggest problem during the class applying ICT is internet speed(36.7%). This shows that the method of the class applying ICT has problems. In students' opinion ,however, there are some good things of the class applying ICT. First, it is not boring because of making student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using defferent method.(44.6%). Second. it is very easy to understand because of using a lot of materials(25.3%). Third, it cause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by inducing the motive of the studying(24.1%). By this, we can see that the awareness of the class applying ICT is positive.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survey, it suggests that we improve the teachers' awareness to revitalize the class applying ICT and implement the education using the real sound instead of the sound in the internet or an electronin equipment and conduct teacher-training program actively to improve their ability and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education. This study has a limit that it is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results to the whole country because of choosing and surveying each representative area within four offices of education in Suwon, Kyuong gi province. Also, it excludes present teachers' opinions inevitably.

      • 직업무용수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직업무용수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 은 정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예술 발전의 제일선에 있는 국내 시·도립 무용단에 재직 중인 직업무용수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직무무용수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직업무용단의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전국의 시·도립 무용단에 재직 중인 직업무용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표본추출은 7개 지역 무용단을 임의로 선정한 후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12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208부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 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직위, 근무지역, 무용단 외 직업유무)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개인명예, 집단갈등, 기술, 역할부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직위, 근무지역, 무용단 외 직업유무에 따라 직무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개인명예, 집단갈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개인명예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집단갈등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기술, 연습환경, 역할부담 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직업무용수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개인명예, 집단갈등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개인명예는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집단갈등은 직무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직업무용수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집단갈등, 기술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집단갈등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기술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직업무용수의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직업무용수의 직무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고시수재 의약품 중 용출규격 미설정 제제의 용출규격 설정에 관한 연구 : Establishment of dissolution specifications for solid oral dosage form

        김은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고시수재 의약품 중 용출규격 미설정 제제의 용출규격 설정에 관한 연구 - 피라세탐 정, 브롬화수소산페노테롤 정, 소브레롤 캡슐, 염산딜라제프 정 김은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식품의약학과 지도교수 : 최후균 「대한약전(Korean Pharmacopoeia, KP)」및 「대한약전 외 의약품등 기준(Korean Pharmaceutical Codex, KPC)」은 현재 우리나라의 의약품 연구 및 분석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기준ㆍ규격서 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의약품의 안정성 확보와 품질 관리를 위하여 과학의 발달과 급변하는 의약품 정책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제ㆍ개정되고 있다. 현재 국내 의약품의 품질 관리는 이러한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에 수재된 기준ㆍ규격에 따라 의약품 제조의 제반 변수가 되는 제조 환경 및 제조 방법에 영향을 주는 품질관련 사항을 평가 및 관리하면서 이루어지고 있다. 최종 제품의 기준 규격에 포함되는 시험 항목 중 특히, 용출 시험은 일반적인 제제인 경구용 고형제제의 중요한 항목으로서 평가되고 있다. 경구용 고형제제의 용출 시험은 제형으로부터 약물의 방출 및 생리적 조건에서 약물의 용출을 예측하는 시험으로서 유효성분이 위장관내에서 흡수되어 작용하는 정도를 예측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제학적인 측면에서 제품 롯트별 품질의 균일성, 생산 공정의 밸리데이션, 제품의 안정성, 제제 조성 및 처방 개발, 유효기간 중 품질의 적합성 여부 판단 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경구용 의약품 제품이 판매되기 전에 실험실적으로(in vitro) 용출시험이 수행되어야 하며, USP에서도 거의 대부분의 경구용 고형제제 의약품에서 붕해 시험 또는 용출 시험을 필수항목으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정제의 경우 유효성분을 방출하지 않고 작은 조각으로 깨질 수 있기 때문에 붕해 시험만으로 생체내(in vivo)에서 활성성분이 어느 정도로 작용할 수 있는지 평가할 수는 없다. 그러나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대한약전외 의약품 기준(Korean Pharmaceutical Codex, KPC)에 수재된 의약품 중 많은 품목에서 용출 규격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내유통 의약품의 품질관리 향상과 의약품 규격의 국제화를 위해 용출 규격이 미설정된 품목에 대한 용출을 연구하여 규격을 새로 설정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약전외 의약품 기준(KPC)」에 수재된 의약품 중 용출 규격이 설정되지 않은 피라세탐 정, 브롬화수소산페노테롤 정, 소브레롤 캡슐, 염산딜라제프 정 등 4품목을 선정하여 「대한약전(KP)」일반정보에 수재된「경구용의약품의 용출 규격 설정 지침」에 따라 용출 규격을 설정하였다. 우선, 시험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실험에 사용하는 용출시험 장치를 밸리데이션 한 후, 용출액 분석을 위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HPLC) 분석법을 확립하여 예비실험을 진행하였다. 설정된 분석 방법은 「대한약전(KP)」 일반정보에 수재된 「의약품등 분석법의 밸리데이션에 대한 지침」에 근거하여 특이성, 안정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정량한계와 같은 밸리데이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그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용출 시험 조건과 시험액 분석조건을 이용하여 각 제제에 맞는 용출시험 규격을 마련하였다. 용출 시험 결과는 타실험실과의 교차시험을 통해 그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대조약과 동일한 성분을 갖는 시험약을 이용하여 확립된 시험방법으로 시험하여 예상 용출 규격에 적용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대한약전외 의약품 기준(KPC)」에 수재된 의약품 중 용출 시험이 미설정된 제제의 용출규격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국내 유통 의약품의 품질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활용실태와 개선 방안

        김은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are efficiently being put to use and to analyze related problems, an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glish education by effectively using the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For this study, surveys were carried out through mail and e-mail by 4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28 students together with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in Jeolla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investigation was held about the current state of the application of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and analyzed how they were currently being used, and it turned out that they were not being effectively being put to use. Most teachers were not aware of the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 system in detail and answered that it was an efficient system for learn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was that it was inefficient and that it did little to revitalize the English education or to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costs. The parents and teachers were also negative about the time assignment. The reality is that most schools had an hour class per week. Concerning expanding the number of lessons with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the 49.2% of students answered in favor and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current schedule wasn't effective. Also most teachers didn't have enough time to discuss the lesson before class. From the above results, we were be able to conclude that the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weren't being used effectively. Second,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of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were analyzed in order to see if they were achieving their goal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neither the teachers nor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nativ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quality as teachers. They thought that the native teachers' level of English wasn't appropriate and the biggest problem in class was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But the teachers and students agreed on the fact that lessons with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help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hey answered that it had helped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nd reduced their fear of foreigners. We can conclude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ative teachers in order to bring greater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ird, in order to satisfy the teachers and students properly, training on cooperative lessons and assignment system of native assistant English teachers should be activated. The most favorable form of efficient education chosen was a cooperative lesson by the native teacher and Korean teacher. In order to fulfill this desire, an appropriate system that supports both the Korean and native teachers' training is in need. It is also necessary to come up with various plans to increase the assigned frequency of the lessons.

      • 여성 제대군인의 취업역량 분석 및 전직지원 방안 연구

        김은정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or women's veterans and their expected employment capabilities. Based on this, it is intended to find an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plan by deriving vocational groups for women to have a relative advantage, and to develop systematic job policy development direc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t the 4 research questions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resources of the female soldiers on dutyand female veterans? Second, what kinds of occupations (groups) can be utilized in the capacity of female soldiers to have a relative advantage? Third, what kind of education and training are prioritized to support the effective transfer of female veterans? Fourth, what is the education and training plan that reflects the demands of the female soldiers and female veterans expected to be discharge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questionnaire survey of 197 female soldiers in order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needs of the women's veterans support policy, and conducted FGI with 9 experts to review educational training priorities and derive educational training plans.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Korean Occupational Information System (KNOW) developed by the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 to derive suitable occupations for female veterans and to prioritiz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job change. In addition, by conducting FGI(Focus Grooup Interview) to develop training plans for female veterans, we developed customiz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tailored to female veter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work performance, knowledge, and personality analysis held by female veterans were language-related competencies in terms of importance, logical analysis, behavior adjustment, reading and understanding, service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in terms of performance. Appeared to be high. In terms of importance, it was found that office work, education and training, counseling, safety and security were high in importance, and communication,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were high in performance level. In terms of personality, it was found that they recognized reliability, cooperation, responsibility, and initiative. Second, it was found that female veterans had higher perceptions of importance in terms of job performance than the general public,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also superior in general. Third, as a result of deriving jobs (groups) through the job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capabilities of the female soldiers, the jobs (groups) where female veterans have a relative advantage were found to be jobs related to construction machinery, materials, chemicals, and oil. Fourth, as a result of deriving educational training priorities for female veterans, 6 competencies such as writing, logical analysis, spatial perception, learning strategy, behavior coordination, and teaching in terms of job performance, and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fice work, and economics in terms of knowledg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10 competencies such as accounting, arithmetic and mathematics, psychology,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Korea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nd media. Fifth, combining surveys and FGI results, the lack of a successful role model, the general difficulties faced by veterans such as lack of networking with former ex-societies and the compatibility of families experiencing work in the job market, low female selection rate, etc. It appeared to be experiencing problem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the education of female veterans was to provide an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job performance, which is included in the scope of job basic competency rather than knowledge. Sixth, women's veterans are connected to military careers and social careers, and the skills required for women's veterans' job skills are speaking, creativity, human resource management, computation, flexibility and balance, etc. Estimated that cooperation was the most important in terms of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personalit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employment capability of female veterans was analyzed for female soldiers on active duty, planned for war, and veterans.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on whether or not successful employment was achieved with the competence for actual conditions for groups who have been employed in various fields since the wa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analysis tool (KNOW) for the military profess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occupational search for the milita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w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for female veterans in changing jobs and providing employment information for women, fi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research jobs for women who want to change jobs, and expanding the period for preparing for job transfer.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continue research into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that can design career paths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women, such as maternity and child care, will continue.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제대군인과 전역 예정된 여군을 대상으로 그들의 취업역량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여군이 상대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교육훈련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체계적인 일자리 정책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재직 중인 여군 및 여성 제대군인의 인적자원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여군이 상대적 우위를 가지는 역량이 활용될 수 있는 직업(군)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셋째, 여성 제대군인의 효율적인 전직지원을 위해 우선시되는 교육훈련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넷째, 전역예정 여군 및 여성 제대군인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훈련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대상은 여성 제대군인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분석을 위해 여성군인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여성 제대군인의 교육훈련 우선순위 검토 및 교육훈련 방안 도출을 위해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방법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한국직업정보 시스템(KNOW)을 활용하여 여성 제대군인에게 적합한 직종을 도출하고 전직을 위한 교육훈련 우선선위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여성 제대군인 교육훈련 방안 도출을 위한 FGI를 실시하여 여성 제대군인에게 특화된 수요자 중심 맞춤형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제대군인이 보유한 업무수행능력, 지식, 성격 분석결과, 업무수행능력은 중요도 측면에서는 언어 관련 역량을, 수행수준 측면에서는 논리적 분석, 행동조정, 읽고 이해하기, 서비스 지향, 학습전략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은 중요도 측면에서는 사무, 교육 및 훈련, 상담, 안전과 보안 등을, 수행수준 측면에서는 통신, 상담, 교육 및 훈련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측면에서는 신뢰성, 협조, 책임과 진취성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제대군인이 일반인보다 업무수행능력 측면에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고, 수행수준 또한 전반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군이 우위를 보이는 역량을 토대로 직업정보시스템을 통한 직업(군) 도출 결과 여성 제대군인이 상대적 우위를 가지는 직업(군)은 건설・기계・재료・화학・섬유 관련 직업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제대군인 전직을 위한 교육훈련 우선순위 도출 결과 업무수행능력 측면에서는 글쓰기, 논리적 분석, 공간지각력, 학습전략, 행동조정, 가르치기 등 6개 역량, 지식 측면에서는 경영 및 행정, 사무, 경제와 회계, 산수와 수학, 심리, 상담, 교육 및 훈련, 국어, 통신, 의사소통과 미디어 등 10개 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설문조사와 FGI 결과를 종합해 전직에 성공한 롤모델의 부재, 기존 전직자와 사회와의 네트워킹 부족 등의 제대군인이 겪는 일반적 어려움과 여성이 취업시장에서 겪는 일ㆍ가정 양립, 낮은 여성 선발 비율 등의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제대군인의 교육에 있어 가장 우위를 두어야 하는 역량은 지식 보다는 직업기초능력 범위에 포함되는 업무수행능력 측면에서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성 제대군인은 전직에 있어 군 경력과 사회 경력과의 연계성, 여성 제대군인의 전직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은 업무수행능력에서는 말하기, 창의력, 인적자원관리, 전산, 유연성 및 균형 등, 지식 측면에서는 경영 및 행정, 성격 측면에서는 협조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여성 제대군인의 취업역량 분석을 현역 복무 중인 여군과 전역예정,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분석되었다는 점이다. 전역 이후 실제 다방면에 취업하고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실태에 대한 역량으로 취업에 성공하였는지에 대한 연구가 실질적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역량분석도구(KNOW)가 군인 직업에 적절한가에 대한 타당도 검증이 요구되며, 직업군 탐색도 군과 관련된 직업 등이 한계가 있다고 본다. 향후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 제대군인의 전직지원에 있어 수요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제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여성 취업처 발굴 및 취업정보 제공, 여성 전직 희망 업종 연구, 전직지원 준비 기간 확대, 출산・육아 등 여성의 생애 주기를 고려한 진로설계가 가능할 수 있는 체제 구축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