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흥보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통 의식주 학습 프로그램 개발 : 국립민속박물관 제 2전시실 중심으로

        김은형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eum education program using a storytelling in order to understand past people’s traditional clothing, food and shelter. In this era when cultural values are considered as qualitative values of life, the importance of learning at museum is getting more and more highlighted. Therefore, the study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life holistically by using a storytelling technique as a way to make learning at museum pleasant and effective and using ‘a story connecting multiple exhibitions’in order to achieve the understanding of past people’s lifestyle which is the goal of the program. The story of Pansori ‘Heungboga’ was used as a story for the storytelling. Heungboga is less familiar to students than Heungbujeon which is a Korean novel but it was selected because Pansori has one narrator communicating with the audience and is rich in musical elements and therefore good at raising interest and immersion. Instead the story was constituted using a book transcribed in Korean as a reference in order to not make students feel unfamiliar with the language used in Pansori. Then the study selected and analyzed the 2nd exhibition room among exhibition rooms of the National Folklore Museum in order to connect exhibitions of clothing, food and shelter following Heungboga’s story and chose exhibitions suited for the theme. After summarizing the concept, type, element,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effect of storytell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apply to the storytelling program, the study systematized the storytelling to be applied to the program by comparing it to a frame hanging on the wall of exhibition room of an art gallery. For example, as for an exhibition room displaying impressionists’ artworks, even though it uses the same frame to display an impressionist’artwork it is classified into neo-impressionism or post-impressionism and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artwork in the frame. Likewise, the storytelling used in this program uses such elements as a story, narrating and champ with the same frame as other programs, but the study has a unique storytelling system as it expresses the content of the frame by selecting changing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following the type and era of storytelling. Looking closely into the content of the frame, the story frame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in oral culture era, and fun and interest of storytelling as edutainment. And the narrating frame closely related to wo of the museum selected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of character culture era and characteristics of quest-storytelling as the content of the frame. Lastly, the champ frame used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storytelling as the content by focusing on the museum as a place where a narrator and a listener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nutshell, the method using a storytelling was designed by choosing and using storytelling elements and types suitable for this program, borrowing merits and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in oral and character culture eras and fragmenting storytelling of the digital culture era. Th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7 classes and was carried out at 25 students in the third year at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learning model integrated Ellis&Brewster’s 3 stage storytelling learning model with Janice McDrury&Maxine Alterio’s storytelling research stage and conducted discovering a story as a pre-storytelling activity, expanding & processing a story as a main storytelling activity and reconstituting a story as a post-storytelling activity. In the 1st-2nd classes which are the pre-learning stage of discovering a story, the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museum visiting experiences, interests in activities at museum and level of awareness of Heungbujeon story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and reflected them into the program. In addition, students learned the concept of food, clothes and shelter which are references for learning when proceeding the program and applied them to today’s lifestyle. The the 3rd-4th classes consisted of museum activities as the storytelling stage. Students moved from exhibition room to room following the Heungbuga story narrated by a teacher and went through the stage of expanding & processing storytelling while interacting through storytelling activitie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d among students. In the 5th-7th classes which are the post-learning stage of reconstituting a story, students reviewed museum activities and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of making a story after Heungboga. They were instructed to make a creative story by connecting 3 gourds which Nolbu received by breaking a leg of a swallow on purpose with clothing, food and shelter. After the education program ended,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of before·after questionnaire, before·after worksheets, worksheets of time travel with Heungbo, storyboard, storybook as outcomes of reconstituting a story e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 of the program,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spects were analyzed based on educational effects of education storytelling and interactional aspects were also analyz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In order to analyze cognitive aspects, the study compared the number of words of before·after activity sheet and the level of categorization based on the new education objective taxology of Bloom and analyzed records written by students on activity sheet of time travel with Heungbo. Furthermore, it also analyzed and summarized the storyboard and the creative story made in post-learning. As for emotional aspects, the level of interest and immersion were measured according to Likert index used for after questionnaire. As for interactional aspects, the study analyzed stor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based on social context among John Folk&Lynn Dierking(2008)’s museum learning context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ogram showed that the Heungboga story is proper for grasping the lifestyle of people in the past an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by providing a holistic perspective. In addition, the familiar story allowed students to find interests easily in unfamiliar environment and immerse themselves. Lastly, through numerous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s, it produced positive outcome that students could learn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objectives in harmony. Key words: storytelling, museum education, Heungboga, traditional lifestyle of clothing, food and shelter * The thesis is a master’s degree thesis in educ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une 2017. 본 연구의 목적은 옛 사람들의 전통 의식주 생활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문화적 가치를 삶의 질적 가치로 간주하는 현 시점에서 박물관에서의 학습은 날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때문에 즐겁고 효과적인 박물관 학습이 되기 위한 방안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며, 프로그램 목표인 옛 사람들의 생활 모습에 대한 이해를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전시물을 연결하는 스토리’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총체적인 시각으로 생활 모습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스토리텔링의 스토리는 판소리 ‘흥보가’의 이야기를 사용하였다. 국문소설인 흥부전 보다 학생들에게 낯선 흥보가이지만, 판소리는 소리꾼이 1인 화자로서 관객들과 소통하며 이야기하고 음악적 요소가 풍부해서 흥미와 몰입을 높이는 장점이 있어 스토리로 선택하였다. 대신 학생들이 판소리에 쓰인 언어에 이질성을 느끼지 않도록 국문으로 옮겨진 책을 참고하여 스토리를 구성하였다. 이후 흥보가 스토리에 따라 의식주 전시물을 연계시키기 위해 국립민속박물관 전시실 중 제 2전시실을 선택하여 전시물을 분석하고, 프로그램 주제에 부합한 전시물을 선택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해 문헌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개념, 종류, 요소, 특징, 교육적 효과를 정리 한 뒤, 본 프로그램에 적용할 스토리텔링을 미술관 전시실에 액자가 걸려있는 모습으로 비유하여 체계화하였다. 예를 들어 인상주의 작품을 전시하는 전시실에서 동일한 액자틀에 인상주의 화가의 작품을 넣어 전시한다 할지라도 액자 안의 작품에 따라 신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로 세분화되고 고유한 특징을 띤다. 이와 같이 본 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스토리텔링도 다른 프로그램처럼 동일한 액자 틀로 이야기, 이야기하기, 이야기판 요소를 사용하지만, 스토리텔링의 종류와 시대에 맞춰 변화하는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취사선택하여 액자의 내용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본 연구만이 지니는 고유한 스토리텔링 체계를 정리하였다. 액자의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야기 액자틀에는 구전 문화시대의 스토리텔링 특징과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의 재미와 흥미 요소를 내용으로 담았다. 박물관 활동지와 밀접한 관련을 둔 이야기하기 액자틀에는 문자 문화시대 스토리텔링의 특징과 퀘스트적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액자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야기판 액자틀에는 화자와 청자가 상호작용하는 공간인 박물관에 집중하여 박물관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내용으로 적용하였다. 즉 스토리텔링 활용방안은 스토리텔링 요소에 스토리텔링 종류를 본 프로그램에 맞게 선택하고 활용하여, 구전 문화시대와 문자 문화시대의 스토리텔링 장점과 특징을 차용하고, 디지털 문화시대 스토리텔링은 세분화하여 설계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총 7차시로 구성되며 경기도에 위치한 G초등학교 3학년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습모형은 Ellis&Brewster의 스토리텔링 3단계 학습모형에 Janice McDrury&Maxine Alterio의 스토리텔링 연구 단계를 통합하여 스토리텔링 전 활동으로 스토리 발견하기, 스토리텔링 본 활동에서는 스토리 확장하기와 처리하기를 진행하는 스토리텔링하기, 스토리텔링 후속 활동으로는 스토리 재구성하기를 실시하였다. 1-2차시는 사전학습인 스토리 발견하기 단계로 설문지를 통해 박물관 방문 경험, 박물관 활동에 대한 흥미, 흥부전 이야기의 인지 정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 진행 시 학습 준거인 의식주 개념을 익히고 오늘날 생활 모습에 적용해보았다. 3-4차시는 스토리텔링하기 단계로 박물관 활동이 이루어졌다. 교사가 들려주는 흥보가 스토리에 맞춰 전시실을 이동하고,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이야기하기 활동을 통해 상호작용하며 스토리텔링 확장하기와 처리하기 단계를 거쳤다. 5-7차시는 사후학습인 스토리 재구성하기 단계로 박물관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흥보가 그 뒤 이야기 만들기 활동이 진행되었다. 놀부가 일부러 제비 다리를 부러뜨리고 얻은 세 박을 의식주와 연계하여 창발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는 사전·사후 설문지, 사전·사후 활동지, 본시 활동지인 흥부와 함께하는 시간여행 활동지, 스토리보드, 스토리 재구성하기 결과물인 동화책 등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박물관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과를 기준으로 인지적 측면, 정서적 측면을 분석하고,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기준으로 상호작용적 측면을 분석해보았다. 인지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준거로 하여 사전·사후 학습지의 낱말 개수와 유목화 정도를 비교하였고, 흥부와 함께하는 시간여행 활동지에 정리된 학생들의 기록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사후 학습 시 작성한 스토리보드와 창작 이야기를 분석 및 정리하였다. 정서적 측면은 사후 설문지에 사용된 리커트(Likert)척도와 서술형 질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몰입 정도를 파악하였다. 상호작용적 측면은 John Folk&Lynn Dierking(2008)의 박물관 학습 맥락 중 사회적 맥락을 기준으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흥보가 스토리는 총체적인 시각을 제공하여 옛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파악하기에 적합하며, 종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친숙한 스토리는 학생들이 낯선 환경에서도 쉽게 흥미를 느끼고 몰입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생, 학생-학생의 수많은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서, 학생이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목표를 조화롭게 학습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주요어: 스토리텔링, 박물관 교육, 흥보가, 전통 의식주 생활 모습 * 본 논문은 2017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뇌종양 환자의 심리사회적응과 자가간호역량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은형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뇌종양 환자의 심리사회적응과 자가간호역량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김은형 지도교수 : 김진아 본 연구는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심리사회적응과 자가간호역량을 중심으 로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남 H 대학병원 신경외과 외래진료 또는 입원 치료를 받으며 추적 관찰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3년 8월 20일부터 2023년 11월 20일까지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심리사회적응은 Derogatis (1983)가 암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Psychological Adjustment to Illness Scale-Self Report를 VanWert(1986)가 수정한 것을 김영경(1990)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 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가간호역량은 Geden과 Taylor (1988)가 개발한 Self-as-Carer Inventory 척도를 소향숙(1992)이 번안하여 정연(1993)이 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외상 후 성장은 정 영미와 박진희(2017)가 개발한 암 환자 특이형 외상 후 성장도구를 사용하 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증, 분산분석, Scheffe 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심리사회적응은 총점 230점 중 평균 139.20점, 자가간호역 량은 총점 198점 만점에 평균 137.65점, 외상 후 성장은 총점 92점 중 평 균 60.77점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남성이 63명(48.5%), 여성이 67명 (51.5%)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만 56.1±9.0세로, 50대가 58명 (44.6%)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 수준은 고졸 이하가 67명(51.5%), 대졸 이상이 63명(49.2%)이었으며,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99명(76.1%)이었 다. 주 보호자는 배우자가 51명(39.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간 병인(23.1%), 자녀(22.3%), 친척(7.7%), 부모(5.4%), 기타(2.3%) 순으로 확인되었다. 종교가 없는 경우가 87명(66.9%)이었고, 직업이 없는 경우가 52(명(40.0%)이었으며, 경제수준은 월소득 100만원 미만 53명(40.8%)이 주관적 건강 상태는 건강한 편이 85명(65.4%)으로 가장 많았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사회적응, 자가간호역량, 외상 후 성장 정도 중 심리사회적응 분석결과 나이(F=5.94, p=.001), 교육 (F=3.297, p=.040)가 통계적 유의수준 α=.05를 기준으로 귀무가설을 기각 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여 ‘나이와 교육에 따라 심리사회적응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었으며 자가간호역량의 경우 교육(F=3.439, p=.035), 주 관적 건강상태(F=3.151, p=.027)가 통계적 유의수준 α=.05를 기준으로 귀 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여 ‘교육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 라 자가간호역량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외상 후 성장의 경우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정 정도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연구 대상자의 심리사회적응의 경우에는 건강관리 측면과 심리적 고통 측면이 뇌종양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자가간호역량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신체적 측면과 정보 추구행위, 자기관리에 대한 주의력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뇌종양 환자의 외상 후 성장 향상을 위해 대상자 들이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심리사회적응을 증진시 키며, 뇌종양 환자의 자가간호역량을 위한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 역사회와 가족 간의 협력적 중재가 요구될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뇌종양 환자의 외상 후 성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심리사회적응, 자가간호역량, 외상 후 성장

      •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김은형 서울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학구열이 높아지면서 수학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뿐만 아니라, 사교육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학생들의 수학 성적은 좋은 편이나 수학 학습에 대하여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수학에 대한 자신감 역시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학습 태도는 초등학생에게까지 나타나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 태도에 대한 예비조사 결과,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다르다’라는 응답이 약63%로 초등학생은 수학 학습에 대해 부정적 태도와 긍정적 태도가 확고히 자리잡았다기 보다는 여러 가지 상황적인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학 성적이 높은 학생들 또한 수학을 싫어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수학 성적이 ‘하’인 집단일지라도 대부분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다르다’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 결정 요인을 구체적이고 상세히 분석하고 수학 성취도에 따른 주요 요인의 차이를 연구하여 부정적인 수학 학습태도에 대한 해결책 모색과 긍정적인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시키는데 시사하는 바를 알아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수학 학습자의 성취도에 따라 수학 학습태도를 결정하는 요인 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위 연구문제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학생(128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자세히 쓰도록 하는 개방형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요인들을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으로 정리하였다. 유형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2차 설문 조사 및 면담을 통하여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는 긍정적인 수학학습 태도 유발 요인과 부정적인 수학학습 태도 유발 요인을 나누어 분석하였고, 각각은 대영역인 ‘학습내용’, ‘학교수업’, ‘학습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대영역에 따라 중영역과 소영역으로 나누어 진술하였다. 그리고 성취도를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누어 대영역에 따라 긍정적인 태도 및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는 교사가 수학을 가르치는 ‘수업방식’에 따라 크게 좌우 되었다. 초등학생들은 수학 교과의 특성뿐만 아니라, 교사가 수학을 흥미롭고 재미있게 가르치는지, 아니면 수학 수업을 지루하고 어렵게만 가르치는지에 따라 수학을 싫어하고 좋아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여기서 학생들은 주로 ‘수학’이 싫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수학시간’이 싫다고 하였고, 그래서 수학도 싫어졌다고 하는 것 으로 볼 때 학교 수업방법에 따라 수학 학습태도가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학 시험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부정적 태도는 시험 자체에 의한 불안 보다 시험에 대한 부모의 간섭과 시험 결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전날 억지로 무리한 양과 오랜 시간동안의 공부를 해야 한다는 압박으로 인해 수학 시험을 싫어하게 되고, 그것이 다시 수학을 싫어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셋째, 학교 외 수학 학습 즉, 사교육 또한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교육이 활발해짐에 따라 학교에서의 수학학습과, 수학교과의 특성에 못지않게 학교 외 수학학습은 교사, 수업방식, 과제제시방법 등 여러 가지 면에서 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은 긍정적인 수학 학습태도를 갖기 위해 조용하고 집중할 수 있는 학습 분위기를 요구하였다. 초등학교 시기에는 집중력이 짧기 때문에 다른 외부의 요인에 의해 쉽게 집중력이 흐트러지고 주위가 산만해진다. 즉, 좋은 수학 학습 분위기 조성은 아동들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고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수학 성취도에 따른 집단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 주요요인을 살펴본 결과, 각 집단 마다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상’집단은 학습내용 및 지적인 만족면, ‘중’집단은 수학 수업 방식면, ‘하’집단은 난이도 및 피드백면에서 수학학습태도가 주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에 대한 요인에서도 성취도 집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상’, ‘하’집단의 경우 부모의 간섭과 꾸중이 싫으나 그로 인해 수학 시험에 대한 태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중’ 집단의 경우 시험에 대해 가장 큰 불안을 보였으며 부모의 꾸중과 잔소리, 그리고 학습 환경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즉, ‘중’집단은 수학 교과 자체의 특성이나 자신의 수학 성취도에 의한 것 보다 외적인 요인들에 따라 더 부정적인 수학 학습태도를 갖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취도를 고려하여 학습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As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and the academic fever becomes are growing more and more, the interest in mathematics is also growing more and more. Accordingly the study on a way of learning mathematics is actively progressing, and also the demand of private education is increasing. However, as the result of recent TIMSS, it indicated that most of Korean students have a good record in mathematics, but they were not much interested in mathematics, and also they lost their confidence of mathematics. This negative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is getting more serious, now it is disappeared eve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are frequent occasions that even students with higher record in mathematics dislike mathematics, and most of students in a group of 'lower‘ record in mathematics answered on ‘can be changed by situ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cretely and minutely a primary factor of deciding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ope a solution for negative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with researching a difference between major factors by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examine a suggestion in forming positive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Such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First. what is a primary factor to decide the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arners? Second. what difference can be appeared on a primary factor of deciding the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by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arners? The open survey of 128 students in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conducted to sample factors by making them write their own feeling and thought, and its result was arranged wit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concretely and minutely through the second survey and interview on the basis of contents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cided whether they liked or disliked mathematics, depending on not only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but also teacher's teaching mathematics with interest and fun, or teacher's teaching tediously and difficultly. Second, nega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exa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influenced by parents' meddling for exam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result of exam more than uneasiness by exam itself. Also the stress that they had to study excessive volume for long time under pressure on the day before exam made them dislike mathematics exam, and then it made them dislike mathematics. Third, as privat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omes more popular, the learning mathematics out of school can be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s on several sides such as teacher, teaching method, method of presenting task, and so on as much as mathematics class in school, and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Fourth, students demanded silent and concentrative atmosphere in studying to have positive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Beca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ack concentration, so they easily lose concentration, and become inattentive owing to other external factors. So although the learning mathematics is difficult, they want for school and family to form cooperative atmosphere for learning most. Fifth, as the result of examining major factors that form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of groups by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in each group. Usually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was formed on the learning contents and intellectual satisfaction in a group of ‘upper’, on a way of learning mathematics in a group of ‘middle’, and difficulty and feedback in a group of ‘lower’ respectively. Furthermore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by achievement of groups also in a factor for ‘exam’. Students in a group of ‘upper’ and ‘lower’ disliked parents' meddling and rebuke, but it didn't change greatly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exam. However a group of ‘middle’ showed the greatest uneasiness toward an exam, and they reacted sensitively to parent's rebuke, scolding, learning environment, and so on. That is to say, it means that a group of ‘middle’ can have more negative attitude of learning mathematics by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itself or their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rasp factors that can change the learning attitude with considering the achievement.

      • 청각장애 대학생의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김은형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대학생의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읽기와 쓰기능력을 알아보고, 문법사용능력과 어휘다양도가 쓰기 및 읽기능력간에 어떤 상관을 갖는지, 또한 조사, 사/피동, 구문구조사용 능력과 같은 문법요소중 어떤 요소가 읽기 및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심도이상의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남자 7명, 여자 13명으로 구성되었다. 청각장애대학생의 읽기능력 평가를 위해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중 듣기평가 6문항을 선정하여 실시하였으며, 200자 원고지 4장 분량의 작문을 통하여는 쓰기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문법요소중 조사, 사/피동, 구문구조로 구성된 별도의 평가지를 이용하여 문법사용능력을 알아보았으며 작문을 통해 얻어진 쓰기자료를 이용하여 어휘다양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읽기능력 및 쓰기능력간에는 .49의 중간정도의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조사, 사/피동, 구문구조 사용능력을 중심으로 본 문법사용능력과 읽기능력, 쓰기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능력보다는 쓰기능력간에 높은 상관(.70~.82)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쓰기에 나타난 어휘다양도, 낱말유형수, 총낱말수와 읽기능력 및 쓰기능력과의 상관에서 쓰기능력과는 의미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읽기능력과는 보통이상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어휘다양도의 경우 읽기 및 쓰기능력 모두에서 의미있는 상관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읽기능력 및 쓰기능력에 미치는 문법사용능력중 가장 강력한 예언 인자는 조사사용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사용능력은 읽기능력의 34%를, 쓰기능력의 67%를 설명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읽기능력보다 쓰기능력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어의 문법체계가 고려된 읽기 및 쓰기지도가 필요로 하며 어휘의 경우 많은 양의 어휘습득 보다는 이미 알고 있는 어휘를 문맥에 적절하게 선택하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리고 좀 더 단순한 문장으로 쓰기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읽기 및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사용능력 향상을 위하여는 문법체계에 적합한 수화의 권장·개발 및 프로그램화한 반복지도, 서술어 중심의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로 하다.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reading and writing capacity of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to find their literacy-based communication skill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 that both the capacity in the use of grammar and the type-token ratio have in writing and reading capacity, and what grammar factors of postposition, causative verb, passive verb and the capacity in the use of sentence structure have influence upon the capacity of reading and writing. The subjects were 20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that is, 7 male students and 13 female students who had severe hearing impairment. To evaluate the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the paper selected 6 items of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language area of 2003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evaluated the writing ability through the composition of 4 sheets of 200-letter manuscript paper.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capacity in the use of grammar by using a separate evaluation format consisting of postposition, causative verb, passive verb, sentence structure and grammar factors, and tested the type-token ratio by using writing material obtained from the compos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had .49 of medium-scale correlation. Secondly, their capacity in the use of grammar, read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at postposition, causative verb, passive verb and the capacity in the use of sentence structure. In particular, the writing ability had higher correlation than the reading ability had(.70~.82). Thirdly,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had not high correlation with the type-token ratio,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the number of total words, and had correlation with common level or above of reading ability: In particular, the type-token ratio had no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the reading ability and the writing ability. Fourthly, the capacity in the use of postposit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 upon the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y were respectively predic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34% and 67% accuracy by postposition. Therefore, the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that reflects the Korean language's grammar system is demanded: The teaching of writing of simple sentence rather than a lot of vocabularies is demanded to improve the capacity in the use of postposition of a word to select and make use of vocabularies properly in accordance with a context. In addition, to improve the capacity in the use of postposition of a word having influence upon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y, recommendations and development of the sign language being suitable to grammar system, programmed drill teaching and a systematic teaching focusing on the predicative are demanded.

      • Pyotr Il'yich Tchaikovsky의 발레모음곡 <Nutcracker Op. 71a>중 Divertissment의 분석 연구

        김은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Pyotr Il'yich Tchaikovsky; 1840-93)는 19세기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민족주의적 전통에 서구의 음악어법을 접목시키어 실내악, 교향곡, 오페라와 발레음악들을 포함한 많은 관현악곡 등 다양한 쟝르에 걸친 많은 작품을 작곡하였다. 그 중에서도 발레음악은 차이코프스키에게 있어 가장 애착이 가는 장르였다. 차이코프스키는 그 당시까지 약 100여 년 동안 안무가에 의해 종속되어 있던 발레음악을 단순한 반주로서가 아닌 무용과 대등한 위치에 놓이게 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한 작곡가로, 차이코프스키 이전의 춤과 연극용 반주음악을 작곡한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87), 라모(Jean-Philippe Rameau; 1686-1764), 글룩(Cristoph Willibald Gluck; 1714-87), 들리브(Cle'ment Philibert Le'o Delibes; 1835-91)보다 더욱 뛰어난 무용음악을 작곡하게 된다. 본 논문은 초·중·고등학교 음악감상 제재곡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차이코프스키의 발레 모음곡 『호두까기 인형, Nutcracker Op. 71a』중 '디베르티스망, Divessement (일명 Character Dances)'의 분석·연구를 통하여 차이코프스키의 발레 음악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다양한 문헌과 악보를 통하여 차이코프스키의 음악적 특징과 그의 발레음악의 특징을 고찰한 후, 『Nutcracker Op. 71』작품 전체의 구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발레 모음곡 『Nutcracker Op. 71a』중 가장 특색 있는 여섯 개의 춤곡으로 구성된 'Divertissement'를 분석함으로써 각 악곡에 사용된 선율적·화성적 요소와 작곡기법 및 곡의 특징에 관하여 알아보았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차이코프스키의 발레 모음곡 『Nutcracker Op. 71a』는 원 발레곡이 초연되기전, 『Op. 71』의 스물 네 곡 중 여덟 곡이 작곡자에 의해 모음곡으로 편성되어 먼저 공연되었다. 발레 모음곡 『Op. 71a』는 Overture in Miniature(작은 서곡), Divertissement(디베르티스망), 그리고 Waltz of the Flowers(꽃의 왈츠)로 구성되었으며, Divertissement은 March(행진곡), Dance of the Sugarplum Fairy(사탕요정의 춤), Russian Dance "Trepak"(러시안 춤곡 "트레팍"), Arabian Dance "Coffee"(아라비안 춤곡 "커피"), Chinese Dance "Tea"(중국 춤곡 "차"), 그리고 Dance of the Reed Pipes(갈대피리의 춤)의 여섯 곡으로 이루어졌다. 제 1곡 March는 관악기에 의해 연주되는 팡파레와 이에 응답하여 현악기에 의해 연주되는 선율이 교대로 전개되며, 제 2곡 Dance of the Sugarplum Fairy는 차임(chime)과 같은 효과를 내는 첼레스타(celesta) 음향이 인상적인 곡이다. 제3곡 Russian Dance "Trepak"은 러시아 전통 춤곡인 "트레팍"을 기본으로 하여 작곡되었으며, 제 4곡 Arabian Dance "Coffee"는 ostinato bass위에서 전개되는 heterophony적인 느린 선율이 특징적인 곡이다. 제 5곡 Chinese Dance "Tea"는 flute의 특징을 잘 이용한 곡으로 선율이 주로 flute에 의해 trill이나 3, 5, 6, 7, 9 연음부 등의 빠른 passage로 진행하고 저음의 bassoon과 음색의 대비가 분명하게 일어나며, 제 6곡 Dance of the Reed Pipes는 갈대 피리 소리를 flute으로 묘사하는 곡으로 주제가 반복적으로 되풀이되었다. 차이코프스키는 자신만의 창의적인 선율뿐만 아니라 민족주의적 전통을 수렴하여 러시아의 민속선율과 춤곡에서 선율적 소재를 차용하기도 하며, 러시아외의 유럽 여러 나라의 속요나 동요 등에서토 선율적 소재를 제공받기도 하였다. 춤곡의 특성상 단위 소절들이 반복되어 곡이 구성되며, 주로 동형진행과 반복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화성사용에 있어서는 3화음을 중심으로 하며, 감7화음의 연속사용 및 지속저음의 사용, 그리고 ostinato bass등이 사용되었다. 악기의 사용에 있어서도 19세기 후기 낭만주의의 확장된 표준형 orchestra에 악기를 첨가하여 자신만의 음색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즉, celesta나 bass clarinet등 그 당시 새로운 악기를 곡에 처음으로 사용함으로써 독특한 관현악 음색을 창출하며, 각 곡의 특성에 맞는 여러 종류의 타악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차이코프스키의 발레음악 『Nutcracker Op. 71a』중 'Divertissement'은 각각의 곡의 성격이 매우 특징적인 춤곡들로 구성되었으며, 차이코프스키의 위대한 발레음악의 진면모를 보여주는 독창적이고 뛰어난 작품으로 그 당시까지의 발레음악의 지위를 높이는데 공헌하고 이후 많은 작곡가들이 발레음악을 작곡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As a notable representative of nineteenth-century Russian composers,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93) combined the nationalistic tradition with western musical language in composing a large number of pieces that covered various genres, such as ensemble, symphony, opera and much orchestral musics, including ballet music. Of these works, Tchaikovsky had a particular affection for ballet music. For the previous 100 years, the music composer occupied a subordinate position to that of the choreographer. Tchaikovsky changed this by making the music more than a simple accompaniment to the dance portion. Furthermore, he composed more remarkable ballet works than his predecessors who wrote dance and theater music, including Jean-Baptiste Lully (1632-871, Jean-Philippe Rameau (1686-1764), 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87), and Clement Philibert Leo Delibes (1835-91).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various musical features shown in Tchaikovsky's ballet music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Divertissement' of the Nutcracker Suite, which is widely used in teaching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 examination was made of the structure of "Nutcracker" after considering Tchaikovsky '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his ballet music throughout various documents and scores. In the main subject, by analyzing the 'Divertissement'(which is called, Character Dances), the most distinguishing feature, consisting of six dance works in this ballet suite. The melodic and harmonic features, compositional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 were analyzed, and are as follows: Tchaikovsky ' s original music, "Nutcracker" consisted of twenty-four pieces, but was edited by the composer as a work of eight pieces for the original ballet, which was premiered in 1892. The ballet suite consists of Overture in Miniature, Divertissement, and Waltz of the Flowers, and the Divertissement is composed of six pieces: March, Dance of the Sugarplum Fairy, Russian Dance "Trepak", Arabian Dance "Coffee", Chinese Dance "Tea", and Dance of the Reed Pipes. The first piece, March, is developed with a fanfare played by woodwind instruments and a melody performed by string instruments alternately. In the second piece, Dance of the Sugarplum Fairy, the sound of celesta enhances the impressive effect of the chimes. The third piece, Russian Dance, is based upon a traditional Russian dance called "Trepak", and the fourth piece, Arabian Dance "Coffee" is a characteristic work with a slow heterophonic melody performed above an the ostinato bass. The fifth piece, Chinese Dance "Tea" makes good use of the flute in that the melody is played mostly with trills or fast passages which use triplet, quintuplet, sextuplet, septuplet and nonaplet figures, in contrast with the bassoon's tone color. In the sixth piece, Dance of the Reed Pipes, a flute is used to describe the sound of the reed pipes and the subject is continuously repeated. Tchaikovsky captured nationalistic traditions, as well as composing ingenious melodies, borrowing such ideas not only from Russian folk and dance music but also from European popular and children's songs. The main features of the dance music are repeated phrases and many usages of sequential progression and repetition. In these pieces, triadic chords are most prevalent, but consecutive diminished seventh chords, pedal bass, and ostinato are also used. In terms of instrumentation, he produced his own tone color by adding some instruments to the standard orchestra of the nineteenth-century late- Romantic period. For instance, he was one of the first to employ the celesta and bass clarinet to assist in the creation of a unique orchestral tone color, as well as treating the various instrumental groups in a new way. Moreover, he varied the percus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each work. For the aforementioned reasons, 'Diverstissement' in "Nutcracker Op. 71a", consisting of these characteristic pieces, fully shows Tchaikovsky ' s great ability in composition. This work alone promoted the position of ballet music to the musical community of that time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many composers of ballet music in the years to follow.

      • 중학교 음악교육에서의 3D 프린팅 교구 활용 방안 : 체험 및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김은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verified the possibility of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as part of experience and expression activities in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explored the meaning of using a 3D printer as an educational tool in music classes and suggested a teaching-learning plan utilizing 3D printing. The intent behind selecting 3D printer a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s grounded on the fact that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dicative of the educational reality in Kore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First, the effectiveness of using 3D printers in middle school music classes was found by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status and cases of 3D printers as a preliminary consideration. The use of 3D printing in music classes adds stimuli such as emotions and sensations unique to music course, enabling effective education for fostering whole human beings of future society. Second, the feasibility of in-depth music education was foun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scope of using 3D printers based on the analysis of music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music textbooks. Using 3D printers in music classes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fostering future talents because,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ourse, it facilitates proper performance of computerized thinking and creative-convergence thinking, which is the core competenc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rd, a design model for learning the process of 3D printing was proposed based on a PBL model for the implementation of effective education. This allowed the students to solve problems and reflect on them on their own. It was confirmed that excellent educational effects can be expected from applying experience and expression activities as learning in music classes. Fourth, based on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a lesson plan consisting of three sessions was planned as an example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cusing on exploring future-oriented music classes through 3D printers and participating in experiences and various music activiti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tools. The lesson plan using 3D printing educational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students to easily enjoy and approach music of the future. It is hoped that research incorporating th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usic subject is revitalized so as to draw out more diverse educational methods.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교육에서 체험 및 표현활동의 일환으로 3D 프린팅 기술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음악교과에서 3D 프린터가 교육적 도구로서 활용되는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였다. 3D 프린터를 주요 주제로 선정한 취지 및 의도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가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연구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선행적 고찰로 3D 프린터의 교육적 현황과 사례를 조사하여 중학교 음악교과에서 3D 프린터 활용의 효과성을 발견하였다. 음악교과에서 3D 프린팅 활용은 음악교과만의 특징인 정서와 감각 등의 자극이 더해져 미래사회의 전인적 인간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하다. 둘째, 음악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3D 프린터의 활용 범위를 탐색한 결과 심도 있는 음악교육의 실행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창의‧융합 사고 역량과 컴퓨터적 사고가 올바르게 이루어지며 음악교과만의 특징이 더해져 미래 인재 육성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효과적인 교육이 실행될 수 있도록 PBL수업모형에 기초하여 3D 프린팅 프로세스 학습 설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반성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음악교과에서 체험 및 표현활동의 학습으로 적용된다면 훌륭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위 내용을 바탕으로 총 3차시의 지도안을 교수-학습 활동의 예시로써 고안하였으며, 3D 프린터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음악수업을 접해보고 교구제작과 관련한 체험 및 다양한 음악활동을 전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의 3D 프린팅 교구 활용 수업은 미래의 음악을 쉽게 즐기고 접근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향후 음악교과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접목된 연구가 활성화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교육방법을 이끌어내기를 기대한다.

      • 물리치료사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은형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인천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물리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성격 5유형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개인의 일반적인 변인과 직업적 변인 및 성격유형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서, 물리치료사의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인천과 서울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377명의 물리치료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항목, 성격 5유형, 직무스트레스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직무스트레스 설문지는 원래 간호사를 위해 구성된 문항이었으나 본 연구에서 물리치료사에 관련된 부분을 채택 및 수정 보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치료사들은 전문직 역할 갈등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업무량 과중, 의사 및 상사와의 업무 관련, 환자 및 보호자와의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역할갈등에서는 높은 신경증, 낮은 개방성과 성실성, 여성, 20대, 미혼, 전문대학 졸업, 개인의원 근무, 5년 미만 경력, 계약직인 경우 가장 스트레스가 높고 영향의 설명력은 성격유형 17.4%, 최종학력 8.6%, 연령 8.5%, 결혼여부 6.1%, 경력은 5.9%, 성별 5.5%, 계약직 0.4% 순으로 나타났다. 업무량 과중에서는 높은 신경증, 여성, 20대, 미혼, 광선 및 전기치료의 업무, 5년 미만의 경력인 경우 가장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영향의 설명력은 결혼 여부 14.1%, 성격유형 8.9%, 주 업무 5.8%, 연령이 4.3%, 성별이 3.1%, 경력 2.9% 순이었다. 의사 및 상사와의 업무관련에서는 30대, 기혼, 대학원 재학,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근무, 5년 이상 15년 미만의 경력인 경우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영향의 설명력은 결혼여부 1.3%이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연령, 학력, 근무장소, 경력은 실제적으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및 보호자와의 대인관계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 여부, 근무장소,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높은 신경증과 낮은 친화성 및 성실성, 여성, 20대, 미혼, 기타 기관 근무, 5년 미만 경력인 경우 가장 스트레스가 높았고 영향의 설명력은 성격유형 16.8%, 주 업무 7.2%, 연령 2.9%, 성별 2.7%, 결혼여부 2.5%, 경력은 1.7%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는 물리치료사들의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물리치료사들이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고 적절한 그들만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찾는 일은 단지 개인의 문제일 뿐만이 아니라 환자의 치료와, 더 나아가 의료서비스의 질과도 연관되어지는 문제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물리치료사들의 성격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고려하여 이를 완화시켜주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청소년 드라마의 상대 높임법 사용 양상 연구

        김은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송언어는 우리의 언어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므로 언어 규범을 지켜야 하는 책임과 의무를 갖고 있다. 그러나 방송언어가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정도가 어디까지인지 밝히고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방송에서 쓰는 상대 높임법의 사용에 주목하여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프로그램은 드라마로 선정하였는데 이는 드라마가 시청자의 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홍기선, 1984)는 연구에 동의하여 선정하였다. 드라마 중에서 청소년 드라마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는 청소년이라는 사회적 계층이 수직 및 수평 관계가 뚜렷하여 상대 높임법 연구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분석 절차는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졌는데 1차 분석은 드라마를 재생하여 대사를 기록하였고 2차 분석은 기록한 드라마의 대본으로 상대높임법의 사용을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드라마 대화에 쓰인 종결어미를 상대높임법의 6등분 체계 순서로 나눈 뒤 1차 집단인 부모와 자녀 사이, 친구 사이를 검토하였고, 학교에서 만나는 선생님과 학생 사이, 그 외의 사회적 관계로 만나는 인물들은 2차 집단으로 설정하여 검토하였다. 방송언어를 언어학적으로 보면 매체언어에 속하며 특히 텔레비전은 청각과 시각에 호소하는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복합체이다. 더 나아가 방송언어는 음성언어와 상호 보완하는 비언어적 기호까지 포함된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방송언어의 개념을 넓은 의미의 방송언어로 한정하였다. 넓은 의미의 방송언어는 일상 언어와 구분이 모호할 수 있으나 연구 대상을 폭 넓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방송언어의 특성으로 첫째, 표준말과 표준 발음을 지향하며 둘째, 품위 있는 말을 사용하며 셋째, 구두어를 쓰는 것과 넷째는 쉬운 말을 사용한다는 것이며 다섯째로 자연스러워야 한다는 것이다. 방송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방송을 하는 사람은 높임 표현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올바른 높임 표현을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요즘 방송에서 오락 프로그램은 대체로 높임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 않아 문제가 되는데 이는 드라마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가정생활을 묘사한 드라마의 경우 실제 자신의 가정과도 같은 상황을 묘사하기 때문에 등장인물들에 의해서 표현되는 언어는 곧 어린이의 언어 행위로 습득, 모방되어 연출될 가능성이 다분히 있다(홍기선, 1984). 이에 학교 문법에서 제시한 상대 높임법의 체계를 바탕으로 방송언어에서 따라야 할 규범적 기준을 마련해 보았다. 3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것을 바탕으로 드라마를 분석해 보았다. 우선 1차 집단과 2차 집단으로 나누어진 분석 대상에서 1차 집단은 크게 가족 관계, 친구로 나타나고 있다. 가족 관계에서는 청자가 높여야 할 대상이라 할지라도 청자를 높이는 표현은 하십시오체가 두 번 나타날 뿐 해요체와 하오체의 등급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중립적으로 표현하거나 낮춤의 표현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친구 관계에서도 해라체, 해체, 하게체를 사용하고 있다. 2차 집단은 학교 구성원으로 만나게 된 관계와 학교 비구성원으로 만나게 된 관계로 나누었다. 학교 구성원 관계는 선생님과 학생, 선·후배로 나누어서 높임법의 사용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학교 비구성원 관계는 학생이 다른 사람을 만나서 하는 말과 다른 사람이 학생에게 하는 말로 나눌 수 있다. 분석 결과 2차 집단은 전체적으로 상대를 높이는 종결 표현으로 해요체를 사용하고 하십시오체는 인사말로만 등장하고, 하오체는 전혀 나타나지 않은 특징을 보인다. 1차 집단에서는 높임 표현을 써야할 청자인데도 인사말 외에는 높임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 않아 방송언어에서의 높임법 사용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높임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 2차 집단에서도 대부분 해요체로 청자를 높이고 있을 뿐 등급에 따라 상대를 높이는 정도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하십시오체의 경우는 1·2차 집단 모두 인사말로만 쓰이고 있으며 하오체는 1·2차 집단 모두 사용하고 있지 않다. 이것으로 보아 상대 높임법 체계가 6등급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높임 표현의 사용 양상을 통해 알 수 있다. 또 높임 표현을 사용해야 할 대상의 범위가 축소되고 있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청소년 드라마에서 높임말의 사용이 미미한데 이는 방송이 어법에 맞는 말을 사용해야 하는 것과 올바른 언어 생활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으로 드라마를 비롯한 모든 방송언어가 올바른 언어의 본보기가 되며 방송언어의 정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일품(逸品)화풍 수묵화를 통한 초현실적 심상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은형 서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본인의 초현실적 주제를 가진 수묵화 작품을 바탕으로 하며, 그 배경이 된 일품(逸品)화풍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작품의 배경 및 내용을 고찰하며 이를 통한 창작론·작가론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본인 수묵화 작품의 특징은 발묵(潑墨)·파묵(破墨), 호방한 붓질을 활용한 표현성과, 초현실적 상상력을 통한 자유로운 주제의 심상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미술사 및 화론의 일품론·일품화풍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일품론의 핵심은 기존의 화풍에 구애받지 않고자 하는 불구상법(不拘常法)의 정신이며 이는 작품 창작론에 기초가 되었다. 일품화풍은 창작론 측면의 일품론과 실제 작가들의 일품화풍으로 분류 할 수 있고, 이는 모두 작품 창작의 근거가 되었다. 일품화풍은 당대(唐代)에 발현되어 주경현(朱景玄)의『당조명화록(唐朝名畫錄)』에서 그 의미가 형성이 되고, 황휴복(黃休復)의『익주명화록(益州名畫錄)』에 이르러 화론사에서의 입지를 굳히게 된다. 작품창작에 근거한 일품화풍의 특징은 이러한 당·송대의 특징이며, 원·명·청에 이르러서는 그 의미가 세분화 및 일반화 되는 경향이 있어 본고에서 다뤄지는 창작론과는 거리가 생긴다. 그러나 명·청대의 개성적 화가들 중에서 당대의 일품화풍을 계승한 작가들 서위(徐渭), 팔대산인(八大山人), 석도(石濤) 등은 작품에 참고하였다. 이들의 작품은 고전적 일품화풍인 석각(石恪)과 양해(梁楷) 형식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는 표현적인 작품들이다. 화론의 일품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창작론은 첫째, 기존의 화법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화풍의 추구, 둘째,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반영하는 화풍의 추구, 셋째, 화가의 감정과 개성을 강조하는 화풍의 추구이다. 작품 전체의 주제배경으로는 ‘장자’와 ‘서구의 초현실주의’, ‘도석인물화’ 및 ‘풍류’에 나타난 초현실성이 있다. 장자와 초현실주의 비교는 작품 전체의 주제와 관련된 철학적 배경이다. 장자와 초현실주의는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이후에 나타났다는 점, 현실극복의 의지가 있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장자의 경우 현실 초월을 통해 궁극적·정신적 해방을 추구했으나, 초현실주의의 경우는 현실에 대한 불안과 억압된 정신 상태를 여과없이 표현했다는 것이다. 이 두 측면은 본인의 작품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데, 장자의 사상을 그대로 시각화하며 소요유(逍遙遊)의 노닒을 나타낸 작품군이 있는 반면, 현시대와 자아의 심리상태에 나타나는 불안의 요소들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작품군도 있다. 장자의 소요유를 작화태도 및 작품 구상법으로 삼았는데, 심재·좌망(心齋·坐忘) 및 무위(無爲)는 노닒의 경지인 소요유를 위한 마음가짐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무위를 초현실주의자들의 자동기술법(automatism)에 비유했다. 본인 작품의 도상을 만들어내는 근거 중의 하나로 초현실주의자들의 작품에서 나타났던 ‘사물의 변형’을 들 수 있고, 그 사상적 근거는 제물론(齊物論)이라고 할 수 있다. 초현실성의 몽환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호접몽(胡蝶夢)과 정신분석학의 꿈을 작품의 기반으로 삼았다. 도석인물화에는 각종 신선과 그들의 마법이 등장하는데 이를 초현실성의 두 번째 주제로 설정했다. 중국의 방대한 신선관련 기록은 한국의 팔선도와 이를 그린 도석인물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를 주관적으로 변형하여 본인의 수묵화에 반영했다. 풍류의 초현실성은, 그 목적성에 있다. 풍류 역시 장자와 마찬가지로 현실을 초월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기에 초현실성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김홍도의 풍류그림과 신윤복의≪혜원전신첩≫에 나타난 풍류의 다양한 모습은 본인의 작품 중에서 음악 및 극예술에 영감을 받아 만든 것들에 참고가 되었다. 일품화풍 수묵화와 연관된 기법으로는 발묵, 파묵, 감필(減筆)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감필의 전형적인 특징은 두드러지는 발묵과 파묵 효과, 형태의 요체파악을 통한 간략화이다. 화론에서 언급한 석각, 양해, 팔대산인, 석도에서 이러한 특징들이 나타나며, 황신(黃愼) 및 김홍도의 작품에서는 각 작가의 개성이 두드러지는 감필법이 나타난다. 김성희의 연구 중에 복잡한 구도 안에서 부분적인 감필법을 찾아낸 부분이 있었는데, 이는 본인 작품의 복잡한 구도를 설명하는 근거가 되었다. 부분적으로는 미점준(米點皴)을 활용하여 대기표현을 하였고, 성김[疏]·빽빽함[密], 이완[鬆]·긴장[緊]의 기준을 화면구성의 원리로 삼기도 했다. 또한 다양한 시점을 적용하여 중첩과 겹침을 표현하고 포치(布置)와 포백(布白)을 기준으로 구도를 만들기도 했다. 이 모든 요소들은 본인 화면의 시각적 서술구조를 만들어 내는데 활용되었다. 작품의 주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는 ‘방’의 개념을 활용한 방법론을 사용한다. ‘방’의 개념은 임모(臨摹)의 발전적 개념으로 원본 및 고인의 작품들을 근거로 하여 주관성을 펼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일품화풍 수묵화의 주제도출 및 화면구성의 방법으로 활용했다. 주제를 찾을 때 전통회화, 공연예술, 대중예술 등 다양한 다른 분야를 참고한 점은 방작을 현대적으로 활용한 부분이다. ‘방’을 통한 방법론은 현대미술에서 중요해지고 있는 원본과 작품의 관련성과 연결지어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전체적인 주제, 기법, 방법론을 기초로 하여 제작한 수묵화의 주제들은 다양하게 세분화 된다. ‘자아탐구’, ‘신선의 마법’, ‘춘화’, ‘현실비판’, ‘마음의 휴식’, ‘시공의 초월’과 같은 주제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연예술 및 행위예술과 연관성을 갖는 작품들이 있는데 이는 수묵화 작품을 삼차원 공간 안에서의 요소로 고찰하면서 실험한 작품들이다. 특히 당대 일품화가들의 행위예술적 특징들을 백남준의 퍼포먼스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일품화풍을 종합예술의 형식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본인의 퍼포먼스 기획작품 <일(逸): 달아나다>에는 신윤복 작품들을 안무로 만든 부분이 포함된다. 작품에 부분적으로 적용한 방작의 개념은 화면 안으로 전통회화 및 다른 장르의 요소들을 불러올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특히 확장적·창의적 개념의 방작으로 오페라, 음악, 문학 등을 반영한 작품들을 만들었는데 ‘니벨룽의 반지’ 시리즈 에서는 벽화, 설치, 수묵화의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진다. 공연예술과 행위예술의 시도를 통해 얻은 아이디어들은 다시 오페라, 재즈, 연극, 문학 등의 요소로 수묵화의 주제가 된다. 본인의 일품화풍 수묵화는 불구상법의 창작론, 장자, 초현실주의, 도석인물화, 풍류의 초현실성, 발묵·파묵·감필의 기법을 통해 형성되었고 음악·극예술·행위예술로 확장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대미술의 분위기 속에서 전통회화와 화론을 기반으로 한 창작론 및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어 : 일품(逸品)화풍, 수묵화, 초현실성, 장자, 도석인물화, 방(倣) 학 번 : 2013-30357 Surrealistic Expression in the Yipin Style of Ink-and-wash Painting -based on my works- Kim, Eun Hyung Department of Fine Art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was based on my own works of ink-and-wash painting on surrealistic themes, with a focus on the yipin(逸品, “careless”) style that serves as its backdrop.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work’s background and content to suggest of a discourse of creation and the artist. The yipin style may be categorized into “yipin theory” in terms of creative discourse and yipin practice by actual artists, both of which served as a basis for my creation. Yipin emerged as a style during the Tang(唐) Dynasty, with its meaning formulated in Zhou Jingxuan’s Tangchao Minghua Lu(唐朝名畫錄, Record of Famous Tang Painters); its stature in the history of art discourse had become firmly established by the time of Huang Xiufu’s Yizhou Minghua Lu(益州名畫錄, Record of Famous Painters of Yizhou). Rooted in my artistic creation, the characteristics of yipin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and Song Dynasty. By the subsequent Ming, and Qing Dynasties, the meaning of yipin exhibited tendencies of differentiation and generalization that result in some differences from my artistic discourse addressed in this thesis. At the same, some idiosyncratic painters from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ho carried on the same legacy of Tang-era yipin painting served as references for my thesis. A particular underpinning for the art/artist discourse is a mindset of not being bound to preexisting artistic styles(不拘常法). This key element of yipin bears some connections with Zhuangzi(莊子), surrealism, and the concept of fangzuo(倣作, creative imitation). Both Zhuangzi and the surrealists sought to transcend and overcome their tumultuous historical circumstances, an attempt that led in turn to artistic thinking and creation. The fangzuo concept may be seen as connected to the yipin ethos of intangibility in its departure from the retreading of original works and its added element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matically, the context for my work as a whole can be found in Zhuangzi, the Western surrealists, and the surrealism manifested in Daoist/Buddhist figure painting(道釋人物畵) and pungryu culture (風流, meaning “to enjoy arts”). A comparison of Zhuangzi and the Western surrealists serves as a philosophical backdrop in terms of the work’s overall themes. Zhuangzi and the surrealists bear similarities in having emerged in the wake of war and the resulting social turmoil, and in having been committed to overcoming their circumstances. One difference is that Zhuangzi sought ultimate spiritual liberation through transcendence of reality, whereas the surrealists explored the unconscious by using art in an unfiltered expression of their practical fears and oppressive mental state. These aspects are both manifested in complex ways in my work: some visualize Zhuangzi’s ideas directly to depict “strolling within stillness(逍遙遊),” while others give direct expression to the elements of anxiety existing in the present era and the ego’s psychological state. Part of the process of exploring my work’s themes was a research effort in which elements associated with Zhuangzhi and the surrealists were paired: wuwei(無爲, non-action) with automatism, the “equivalence of things(齊物論)” with transformations, and the butterfly dream(胡蝶夢) with dreams within psychoanalysis. Daoist and Buddhist portrait paintings include images of various spiritual beings and their associated magical powers; these transcendent and mystical capabilities were treated a theme of my artwork in terms of surrealism. China’s vast literature on spiritual was a source of influence on Korea’s “Eight Immortals” imagery and its rendering in Daoist/Buddhist portrait art. A subjective transformation of this was incorporated into my surrealistic ink-and-wash painting. The surrealism of pungryu culture lies in its goal-directedness. As in Zhuangzi’s case, pungryu could be classified as a surrealistic theme in the sense that it had the goal of transcending reality. This study of surrealism had a particular influence on my works inspired by music and the dramatic art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echniques associated with yipin ink-and-wash painting include splashed ink(潑墨), broken ink(破墨), and abbreviated brush drawing(減筆). These techniques influenced the basic canvas composition and served as basis for creating new compositions applying different standards. “Mi dots(米點皴)” were used to render the atmosphere, while standards of sparsity/denseness(疏·密) and tension/relaxation(鬆·緊) were applied as compositional principles. Superimposition and overlapping were also included through the adop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the layout of imagery and negative space(布置·布帛) served as standards in developing the composition. The methodology for selecting the themes of my work incorporated the concept of fang(倣, imitation). A conceptual advancement on the linmu(臨摹) approach, fang refers to a form of subjectivity based on original art masterpieces, which were adopted as means to identify themes for my ink-and-wash painting in the yipin style. The use of different genres including traditional painting, performing arts, and popular art as references for selecting themes was an example of a modern application of fangzuo(倣作). This imitation-based methodology warrants emphasis in traditional art discourse terms in connection with the relatedness between artworks and “originals,” which is a matter of increasing importance in contemporary art. My themes were differentia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urrealistic themes into various works of art,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s were produced according to different criteria including “exploration of the self,” “mystical powers,” “pornography,” “critiquing reality,” “dramatic art,” “theater,” and “music.” Through its partial application to works of art, the fangzuo concept in particular formed a basis for introducing elements of traditional painting and other genres into the canvas. The creative fangzuo concept was applied first analogically to music and then expanded into different genres from there. Connections with performance art and dramatic art were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the ink-and-wash work in terms of elements within space beyond two dimensions, with the prominent presence of performance art characteristics in the work of yipin painters adopted as a reference. My works of ink-and-wash painting in the yipin were developed first through an artistic discourse of intangibility, the surrealism of Zhuangzi and the Western surrealists, and the use of splashed ink, broken ink, and abbreviated brush painting as techniques; from there, they were expanded into the realms of music, dramatic art, and performance art. My aim with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a discourse of creation and method for the contemporary art environment based on traditional painting and painting theory research, while suggesting how this could be applied broadly to a range of artistic forms. keywords : Yipin Style(逸品畫風), Ink-and Wash Painting, Surreality, Zhuangzi(莊子), Daoist/Buddhist Figure Painting(道釋人物畵), Fang(倣) Student Number : 2013-30357

      • 존 캅의 그리스도 중심적 다원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종교적 우월성과 상대성을 중심으로

        김은형 한신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존 캅의 그리스도 중심적 다원주의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 이론이 종교 다원론의 딜레마인 종교적 우월성과 상대성을 모두 극복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2장에서 종교간 대화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3장에서 종교적 우월성과 상대성 문제에 더 접근하기 위하여 존 캅의 그리스도 중심적 다원주의를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해 보았다. 첫 번째 접근 방향은 전체적인 존 캅의 다원주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써 존 캅의 차이에 중심을 둔 대화 방법론에 대한 고찰이었다. 이를 통해 존 캅의 다원주의는 기존의 다원주의와는 다르게 하나의 공통분모를 전제하는 것이 아니라 각 종교의 독특한 차이를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접근 방향은 논문의 가장 핵심 부분으로써 존 캅의 예수와 그리스도의 관계에 대한 이해이다. 이를 위해 화이트헤드의 과정 사상에 대한 전이해와 함께 존 캅이 예수와 그리스도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한인철의 논문인 “Christianity in the making: A Critical Study of John B. Cobb, Jr.'s Process Relational Vision of Christianity”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4장에서는 3장까지 다룬 내용을 근거로 하여 이 논문의 핵심인 종교적 우월성과 상대성에 대한 문제를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로 존 캅의 다원주의는 더 이상 포괄주의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여전히 기존의 다원주의가 가지고 있는 종교적 상대주의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필자의 판단에 따르면 존 캅의 다원주의는 칼 라너의 포괄주의가 갖고 있는 우월성을 더 이상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진정한 의미에서 다원주의이다. 그러나 존 캅의 다원주의는 기존의 다원주의가 갖는 종교적 상대주의의 위험성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그가 추구한 더 근본적인 다원주의가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