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형요소와 원리를 적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양정현 東新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여성들은 경제성장으로 인한 문화수준 향상으로 패션과 미용의 소비생활을 적극적으로 즐기고 있으며 미용 분야 중 네일아트는 손톱 위 좁은 공간에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패션의 가장 강력한 액세서리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네일샵을 찾는 고객들은 창조적이고 유니크한 디자인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 네일 아티스트들은 모방의 수준에 있어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성 있는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든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조형요소와 원리를 적용한 네일아트 디자인을 제시하여 창조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발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전문서적과 인터넷 자료, 선행연구 등을 조사하여 조형요소와 원리의 개념 및 사례, 네일아트의 개념 및 표현기법들을 분석한 후 조형 요소와 원리를 적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8작품을 제작하였다. 네일아트 기법은 네일샵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핸드페인팅, 마블, 시스루, 에칭, 엠보, 패치, 오브제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Ⅰ은 조형요소의 점과 조형원리의 대칭적 균형을 적용한 작품으로 대칭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오브제 재료인 찡(스터드)를 이용하여 모티브가 된 이집트의 액세서리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둘쨰, 작품 Ⅱ는 조형요소의 점, 선, 면과 조형원리의 비대칭적 균형을 적용한 작품으로 비대칭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핸드페인팅기법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도형을 그려 민족의상의 에스닉(Ethnic)문양을 표현하였다. 셋째, 작품 Ⅲ은 조형요소의 점, 선, 면과 조형원리의 방사 대칭적 균형을 적용한 작품으로 고스(Goth)의 어두운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시스루 기법과 핸드페인팅 기법을 사용하여 방사대칭을 블랙으로 그렸고 오브제 골드색 찡(스터드)을 이용하여 어두움속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넷째, 작품 Ⅳ는 조형요소의 점, 선, 면과 조형원리의 강조(색)를 적용한 작품으로 퓨처리즘(Futurism) 이미지를 위해 마블기법으로 우주의 느낌을 표현하였고 조형원리 중 강조(색)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우주배경과 반대색인 주황색을 선정하여 행성을 엠보기법으로 사용하여 주목성을 높였다. 다섯째, 작품 Ⅴ는 조형요소의 점과 조형원리의 강조(모양)를 적용한 작품으로 서로 다른 두 도형을 배치하여 주가 되는 도형보다 소수의 도형이 강조되는 디자인으로 오브제인 네모 스톤과 별 스톤을 사용하여 유니크(Unique)하게 표현하였다. 여섯째, 작품 Ⅵ은 조형요소의 점, 면과 조형원리의 강조(크기)를 적용한 작품으로 핸드페인팅 기법과 에칭 기법을 사용하여 디자인 하였고 클래식(Classic)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서로 반대색상인 브라운 컬러와 블루 컬러를 사용하여 크기를 강조하였다. 일곱째, 작품 Ⅶ은 조형요소의 선과 조형원리의 리듬을 적용한 작품으로 현대적이며 모던(Modern)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무채색인 흰색, 검정, 회색을 선택한 후 패치기법을 사용하여 리듬감 있게 표현하였다. 여덟째, 작품 Ⅷ은 조형요소의 면과 조형원리의 통일을 적용한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페미닌(Feminine)한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도형의 색과 배치를 통해 통일성을 느낄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조형요소와 원리를 적용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네일아트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 조형예술의 한 분야로 다양한 네일아트가 활용되길 바라며 네일 아티스트들에게 창조적인 네일아트를 하는 데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한 향후 네일아트의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을 연구하여 네일 산업의 발전과 K-Beauty의 중심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

      • 조형적 원리에 의한 Web Site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연구 : 데 스틸(De Stijil)의 조형원리를 중심으로

        정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단순한 정보 교환에서 출발한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은 엄청난 양의 정보가 미디어치 급속한 발전으로 전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21세기는 첨단 네트워크 사회로 급격히 이행하고 있다.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는 전 세계를 연결하는 글로벌 네트 워크로서 모든 사람들에게 정보제공의 기회를 부여하고 있으며, 인터넷이 제공하는 정보의 시각성은 인쇄매체 못지않은 디자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구나 웹 사이트는 정보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각적 표현의 접근 방향과 가능성은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의미를 준다. 웹 사용자들은 단순히 정보를 보는 것이 아니다. 웹을 비롯한 멀티미디어 환경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범세계적 통신망을 통한 정보의 공유만이 아니라 쌍방향교류를 통한 감정의 전달이다. 컴퓨터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반응한다는 사실의 이면에는 사용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감정을 전달해야 하는 웹 디자이너의 역할이 숨어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사용자의 환경이 발전하고 개선됨에 따라 풍부한 감성을 구현 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디자인의 스타일 면에서도 지금은 과거와는 달리 전형적인 모더니즘적 조형에서부터 복고풍, 히피나 팝 아트적 조형, 고전주의 장식의 조형, 또는 사이키델릭 한 추상적 조형의 디자인, 미래 우주 첨단지향적 조형에 이르기 까지 수 많은 다양한 양식들이 우리 주위에 공존하고 있다. 문자를 주요 정보형태로 하는 다른 인터넷 프로그램과 달리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하는 WWW의 경우, 시각적 요소의 효과적인 활용은 그 사이트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웹 사이트의 시각적 표현을 창조하는데 중요한 것은 심미성 또는 형이나 형태의 시각적인 질, 그리고 그것들의 배열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 사이트 디자인시 고려해야할 시각적 요소와 조형원리들, 그리고 구성시의 고려사항들을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시각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디자인 요소들을 사용해야 하고, 또 그것을 표현의 언어로서 디자인 제작 과정에서 '주어진 공간 안에 각 디자인 요소들을 어떻게 배열해야 하는가'하는 것은 웹 디자인에서 시각적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이라는 기본적인 필요에 요구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웹 사이트 디자인에서 시각적인 논리를 만든다는 것은 심미적이면서도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 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표현 되어야 한다. 사용성과 심미적 디자인은 서로 대립되는 요소가 아닌 상호 보완적인 요소로 인식되어야 한다. 사용성과, 시각적 만족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방법적 문제에서 본 연구는 오래 전부터 미술의 주요한 조형수단이 되어 온 기하학적 형태에서 웹 디자인의 시자적인 외형을 만드는 표현의 도구로 조형요소 개념을 추출하고, 표현의 과정에서 웹사이트 구성시 시각적이고 기능적인 연속성과 사용자와의 원활한 케뮤니케이션을 위해 고려해야 할 디자인 지침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첫째, 이론적 배경에서 시각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조형의 요소와 개념, 일반적인 조형의 원리를 먼저 살펴보고, 이러한 개념과 원리를 조형의 지각 원리에 따라 형태나 모양새를 유기적으로 조직화하는 과정을 시각적인 메시지를 전달 방법의 원리로 연구 한다. 둘째, 조형적 시각표현의 연구를 위해 역사 속의 나타난 조형 표현의 발달 및 미술 사조의 영향, 시대와 사회적 배경을 이론적 고찰로 접근 하였다. 20세기 미술 사조 모던아트 속에 나타난 이념들 중 20세기 디자인을 한 단계 성숙 시킨데 스틸 운동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연구하고 데 스틸의 표현 수단인 수평 수직선, 검정과 흰색, 회색을 포함한 삼원색의 조형요소의 미학을 확인해 보았다. 디자인 표현을 위한 조형요소의 표현 언어를 데 스틸의 조형요소인 수직 수평선과 이들로 만들어 지는 정방형의 기하학적 형태를 모티므로 선택하였다. 또한 데 스틸 작가들의 명확성, 논리성, 단순성을 중심으로 보편성에 기반한 새로운 양식의 창조를 목표로 한 데 스틸 운동의 절대 양식인 '조화(Harmony)'와 통일(unity)을 시각적인 메시지 전달을 목표로하고 이러한 특성을 대변하는 '기하학적인 요소'의 규칙적인 수평 수직선은 정사각형을 만들고 이들 정사각형의 배열로 기계 미학(Machine aesthetic)을 표현 했다. 셋째, 시각적 질서 체계의 원리를 게슈탈트(Gestalt) 이론에 근거하여 웹 디자인의 시각적 영역 안에서 조형적 표현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형에 있어서 화면안에서 구성요소를 어떻게 배열하고 이를 위해서 인간이 형태를 지각하는 심리적 특성과 이를 사용한 디자인 조화의 문제 그리고 구체적 그래픽요소로의 발전에 이르는 과정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한다. As a global network connecting the whole world, websites on internet provide an opportunity of information supply with everyone the visuality of information in internet presents a possibility of design application not less than the printed matters. In addition, websites can give an important meaning to designers because of its' approaching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visual expression for improving the effec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significant things for creating the visual expressions of websites are aesthetics, the visual quality of form or shape, and their arrangement. And then, the functional changes of system require a lot of new things about the graphic factors of interface. Widening of system through the network made us not prospect the users' needs in the interface, so the graphic factors became to have a func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bove texts not existing themselves. This thesis studies as follows: First, it is researched that the formative factors, conception, general principles of form which are the basis of visual design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n, the organic formation process of forms & shapes according to such conception and principles of perception using visual messages as communicating methods. Second, the development of formative expression, effect of artistic trends, and the social background and time were approached by theoretical contemplation for the study on formative visual expression. Among the basic factors of usual design, dot, line, an surface, line is a minimal graphic factor suitable to express the role of grid and functional quality. The straight line as a formative factor of De Stijil was expressed by the order of vertical & horizontal lines and the beauty of ratio & balance through the other media, websites. Consistency of structure and expression was kept on the basis of the visual factors, vertical & horizontal lines, and the formative principle, then a unique style was set by simple and systematic image structure using vertical & horizontal lines and pure colors. The formative factors for design expression were vertical & horizontal lines in De Stijil, and the geometric shape, square by them was chosen as the motif. Under De Stijil movement which wanted to create new modes based on generality centering on accuracy, logicality, and simplicity visual communication of messages was an aim for the absolute modes of De Stijil, 'harmony' and 'unity'. the regular vertical & horizontal lines as the geometric factors showing such characters structures squares, and the arranged squares expressed 'Machine Aesthetics'. Third,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visual order was analyzed theoretically in the visual area of web design on the basis of Gestalt theory. And the structural elements of shapes were arranged, th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s of recognizing shapes and design harmony were researched. Then, the developing process of concrete graphic factors was showed, finally, the visual expression of web design was presented using the formative expression principle based on the above all.

      • 조형요소와 원리를 적용한 추상화 표현력 신장에 관한 연구

        김정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생활에서 미적 대상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해하여, 그 느낌과 생각을 독창적으로 표현하고, 미술품이나 미술문화 유산을 존중 할 수 있는 것을 미술교육의 공통 목표라고 할 때, 생활 속에서 추상적인 미를 발견하고 표현하는데 있어 학생들이 조형요소와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면, 그 목적에 쉽게 접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중등 학생들이 조형요소와 원리를 적용한 추상표현력 신장의 필요성을 느끼고 추상표현방법을 체계적으로 접근시켜 미술에 흥미를 갖고, 추상미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개성과 독창성을 길러, 누구나 자신 있고 즐겁게 수업에 참여하게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계기는 1990년대 중반 중등학생들의 추상실기지도 중에 주로 재현적인 묘사를 하거나, 남의 그림을 모방하는 추상을 일삼아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추상 표현에 대한 교육적 문제가 발견되었고, 이에 1997년부터 학생실기작품 결과물을 정비하여 감상자료로 개발하였다. 연구범위는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의 추상미 접근에 자율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첫째, 기존 교육과정과 교과서분석 및 학생과 교사의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문제점과 시사점을 찾아 연구의 방향을 잡았다. 둘째, 과년도 수업에 나타난 작품 결과물을 작품감상자료와 추상화 제작과정방법을 lCT 감상자료로 제시하며, 수업에 학생들이 기록하는 감상기록지에 DBAE를 적용한 수행평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단계적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체계적으로 지도하였다. 셋째로는, 학생실기 지도 후 결과를 학생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전과 연구 후를 상호 비교하며 분석한 내용과 연구지도 후 나타난 결과물 및 ‘감상기록지’를 분석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추상화의 개념 및 변천과정을 파악함으로써 추상미술에 대한 이해를 가질 수 있었다. 이론적 배경인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추상에 적용할 필요성을 인식한 후 추상학습의 개선방향을 확립하기 위해 7종 교과서의 조형요소와 원리 이해지도와 관련된 내용을 5개 영역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았다. 제2장에서는 1차적으로 추상화 실기 학습의 주된 장애요인을 찾기 위한 서술식 기초 설문조사와 2차적으로 실기학습의 실태조사를 위한 학생설문 7개 영역과 교사설문 7개 영역을 항목별 조사하여 추상화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찾아 연구의 방향을 잡았다. 제3장에서는 첫째, 흥미유발을 위한 조형요소 선·점·면·색·형·명암·질감·공간과 조형원리 통일·변화·반복·율동·균형·비례에 대한 감상자료 및 추상화 실기제작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로서 추상 제작에 두려움 없이 쉽게 접근하도록 하였다. 둘째, 조형요소와 원리를 분석하는 수행평가표를 6개 영역으로 구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실기학습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추상발상지도를 위한 개인용 발상 카-드 작성과 수행평가표를 작성한 자료를 포트폴리오 방식으로 정리하게 하였다. 셋째, 조형요소와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 적용하여 추상적인 표현능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자문법인 단계적 발상법으로 자연 발상법, 이미지 발상법, 사고 발상법을 창의력신장 향상을 위해 병행해나가는 수업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1차적으로 학생실기 지도 후 결과를 학생설문조사를 통해 학생 실기학습 7개 영역을 전후 분석하였다. 2차적으로 연구 지도 후 나타난 결과물과 내용을 ‘중심조형요소’, ‘중심조형원리’, ‘수행평가표 분석’, ‘수행평가표 서술능력 분석’, ‘수행평가표 종류별 분석’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두 분야를 종합하여 결과 분석하였다. 연구의 실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과정 지도 초기에는 자연발상법의 무의식적 유희놀이 접근을 통해 추상화에 조형요소 기본인 선, 점, 면 등과 활동적이고 움직임을 나타내는 조형원리인 율동, 반복, 변화 등을 추상화에 치중하여 적용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교수·학습과정 지도 중기에는 대상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이미지발상법 적용을 통해 추상화에 조형요소와 원리를 대상의 이미지로 표현하는 형태적 조형요소인 색, 형, 면 등과 조형의 기본원리인 균형, 통일, 대비 등을 추상화 표현에 치중하여 나타내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교수·학습과정 지도 후기에는 심상의 느낌을 사고하여 표현하는 사고발상법 적용을 통해 추상화에 감성적 사고로 표현하는 시각적이고 촉각적인 조형 요소인 질감, 형, 공간 등과 종합적이고 개성을 강조하는 조형원리인 조화, 강조, 율동 등을 추상 표현에 치중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발상 과정을 통해 추상력을 체계적으로 심화 발전시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추상적인 표현력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현시대에 야기될 수 있는 낮은 참여도와 흥미도를 높이는데 조형요소와 원리의 단계적용방법이 적절했으며, 추상적인 표현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은 90년 중반부터 정리한 중·고등학교 슬라이드 학생작품 1500 점과 lCT자료 100점을 조형요소와 원리를 분류한 감상자료 및 제작과정을 제작하고 수행평가표와 교수·학습과정안을 구안하여 학생들에게 지도함으로써 흥미 유발은 물론 과거의 조형가치를 비판하고, 이것을 현시대에 맞게 재창조하는 안목을 갖추어 주체성을 확립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사는 일시적인 교육효과를 바라는 학습을 가르치는 것보다 긴 시간을 두고 연차적으로 지속하여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학생이 현대 추상미술을 올바르게 표현 제작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지도방법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추상수업에 대한 전환적 방향을 제시했다고 본다. 나아가 추상표현 지도방법을 모색하는 많은 중등교사들에게 현장에서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When the common objectives of the education of fine art are said to be to discover and understand the values of aesthetic objects in life, to express the feeling and thinking originally, and to be able to respect works of fine art and a cultural heritage of fine art, students will be able to easily approach the purposes if they understand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in discovering and expressing abstract beauty in life. By taking such a point into account, this study is aimed at trying to have secondary students feel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power of expressing abstraction by applying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take interest in fine art by approaching the methods of expressing abstraction systematically to them, and foster personality and originality on the basis of a wide understanding of abstract art and have anyone participate in classes self-confidently and pleasantly. The motive of this study is that the educational problem for abstract expression was discovered in the course of keeping giving classes by being absorbed in the abstraction of making mainly reproductive description or imitating others' paintings while secondary students were guided in the practice of abstraction in the middle half of the 1990s and that the resultant objects of students' practice works have been set, herewith, in good condition since 1997 and that they were developed as data for appreciation. The scope of the study had middle school students as its objects, and, in order to heighten the educational effect of learning while not damaging students' autonomy in their approaching abstract beauty, first, I took the direction of the study by seeking problem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curricula and textbooks and the results of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and teachers. Secondly, I presented as data for appreciating works the resultant objects of works appearing in the classes of the past financial year and as data for appreciating ICT the process and the methods of manufacturing abstract painting, developed and applied the plan for evaluating performance which applied DBAE to the paper for recording appreciation which students record in classes, and guided them systematically by having eyes to see with step-by-step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s. Thirdly, for the result after guiding students in their practices, I hav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ontents of comparing mutually and analyzing prestudy and poststud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and the ones of analyzing the resultant objects and 'the paper for recording appreciation' indicated after guiding them in their studies. The concrete presentation of the methods and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I could have the understanding about abstract art by grasping the concepts an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abstract painting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I found problems after analyzing into five area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guidance of understanding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in seven kinds of textbooks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improving abstract learning after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pplying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to abstraction through analyzing the 7th curricula for the department of fine art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2, I primarily made descriptive basic questionnaire survey for finding main obstacle factors of learning the practice of abstract painting, secondarily made the item-by-item survey of seven areas of questionnaires for students and teachers respectively for surveying the actual situation of learning practice, sought the problems and the suggestions of abstract painting, and took the direction of the study. In Chapter 3, first, I presented the data for appreciation for plastic elements for provoking interest such as lines, dots, planes, colors, forms, light and darkness, matiere, space and plastic principles such as unification, change, repetition, rhythm, balance, proportion and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practical abstract painting. By doing so, I had them approach the manufacture of abstractions fearlessly and easily. Secondly, I analyzed the learning of practice on a step-by-step and systematic basis by having eyes to see by six areas with and applying the table of evaluating performance which analyzes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I also had them arrange in a portfolio way the data of writing personal idea cards and the table for evaluating performance for guiding them in their ideas for abstraction. Thirdly, I have expanded abstract expressive ability by having eyes to see with and applying teaching-learning course plans which have applied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and, furthermore, sought the direction of class in which natural idea method, image idea one and thinking idea one as step-by-step idea methods which are consulting ones are paralleled for expanding and improving creativity. In Chapter 4, primarily, I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fact the seven areas of students learning their practice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m for the result after guiding students in their practices. Secondarily, I divided the resultant objects and the contents indicated after guiding them in their studies into 'central plastic elements', 'central plastic principles', 'the analysis of the table of evaluating performance', 'the analysis of descriptive ability in the table of evaluating performance', and 'the analysis of the table of evaluating performance by kinds' and analyzed them, and analyzed the result by synthesizing these two fields.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ontents of the study, I could discover that, in the early period of guidance in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lines, dots, planes and so on which are the bases of plastic elements, and rhythm, repetition, change and the like which are plastic principles being active and indicating movement are applied only to abstract painting through unconscious play approach of natural idea method. I could understand that, in the middle period of guidance in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colors, forms and planes and the like of formative plastic elements that express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as the images of objects in abstract painting through applying image idea method of changing the images of objects, and balance, unification, contrast and so on which are plastic basic principles are indicated only in the expression of abstract painting. It is indicated that, in the latter period of guidance in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matiere, forms, space and so on which are visual and tactile plastic elements expressed as sensible thinking in abstract painting through applying thinking idea method of thinking and expressing the feeling of imagery and harmony, emphasis, rhythm and the like which are synthetic plastic principles stressing personality are applied only to the expression of abstraction, and I could know that abstract power could be systematically deepened and developed through this idea process. This indicated that the methods of applying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on a step-by-step basis were suitable in heightening low levels of participation and interest that can be brought about in the present age when abstract expressive power is inevitably demanded, and that they were efficient ones in expanding abstract expressive ability. The conclusions as above also mean that they were effective in establishing subjectivity by criticizing the plastic values of the past and being equipped with the eyes of re-creating thes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age as well as provoking interest by guiding students through manufacturing the data for appreciation which have classified the plastic elements and principles of 1,500 pieces of students' works of slides and 100 pieces of ICT data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have been arranged since the middle half of the 1990s and the process of manufacture, and having eyes to see with the table of evaluating performa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s, Thus, it is seen that it is desirable for a teacher to continue to reinforce his students sequentially for a long time rather than teach the learning of hoping temporary educational effect. It is seen that this study became the motive of seeking desirable guiding methods so that a middle school student can express and manufacture abstract art rightly, and that it presented transformational direction for abstraction class. Furthermore, I hope that it will have become a reference in fields to many secondary teachers who seek the methods of guiding the expression of abstraction.

      •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과에서 고학년을 중심으로

        강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미술의 필요적 가치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본능적 욕구이다. 또한 이것은 경제적 발전에 힘입어 자연 발생적으로 높아졌다. 미술은 개성을 표현하려는 인간의 개인적 욕구 충족으로 생활의 조형적 측면의 성취를 계속 이루어주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가 어떻게 초등학교에서 바람직한 입체 표현 학습을 지도하느냐하는 것이 목적이다. 평면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단순한 것에서부터 끄집어내는 체계적인 입체 표현 학습을 통한 공간 지각 향상과 미적 체험을 전개해야 한다. 입체 표현 학습은 사고의 깨달음에 의해서만 얻어질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입체 표현 감각 습득을 위한 보다 나은 학습 방법을 연구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미술의 여러 분야 중 입체 표현 부분을 초등학교에서 연구해 봄으로서 기초 입체 교육의 기틀을 계획해 보려 한다. 평면에 대한 도식적 이해보다는 공간과의 이미지적 관계를 느끼며 흥미를 유발하는 입체 표현 활동을 놀이처럼 친숙하게 펼쳐 나가는 것은 아동이 입체 표현 작품과 친숙하게 되고 아동으로 하여금 작품에 상상력을 불어 넣어 만들려는 욕구가 솟아나게 할 것이다. 아동은 감각적 가능성을 증대시켜 만들어낸 자신의 품과 다른 아동의 작품을 보며 자신의 기호를 구별하며 자신이 만든 작품에 애착을 갖고 더 나은 창작에의 의지를 키워 나간다. 초등학교 고학년 단계의 입체 표현은 객관적인 대상의 관찰 정도가 점차 높아지고 느낀 것, 상상한 것 등에 대한 입체 표현의 세부적인 묘사에도 관심을 보이며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에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고 통일, 변화, 비례, 균형을 인식하고 연습해 보는 일을 즐기며 자연이나 주변에서 공간을 관찰하고 크기의 변화 등을 통하여 공간의 깊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조형 원리의 의의와 입체 표현의 이해 및 입체 표현에서 조형 원리의 이해를 Ⅲ장 초등미술의 입체 표현 지도의 조형 원리에 의한 문제점 및 지도 방안에서 교과서의 문제점, 지도 방향과 관점 및 초등학교에서 입체 표현의 조형 원리 지도 방안을 Ⅳ장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의 실제 및 분석에서 지도의 실제Ⅰ과 지도의 실제Ⅱ로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효율적인 입체 표현 수업 방안의 실제를 모색하고자 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에 본 연구가 기존 입체 표현 지도보다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독자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의 결과는 아동 미술 교육 과정과 관령된 몇 가지 전망을 제언 한다. 첫째, 조형 원리라는 용어 자체를 어렵지 않게 다루어 수업에 적용하게 된다. 둘째,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입체 표현 지도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아동들의 표현 언어와도 같은 미술로서 시각적 입체 표현을 능숙하게 한다. 넷째, 조형 원리를 인식한 미적 체험으로 미적 안목을 높인다. 다섯째, 조형 원리에 의한 미술 활동이 생활 전반에 접목된다. 여섯째, 평면처럼 보이는 고 부조와 같은 작품도 입체 작품임을 알게 된다. 일곱째, 조형 요소의 미적 질서인 조형 원리에 대해 더욱 쉽게 이해하게 된다. 앞으로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심도 있는 연구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 건축양식의 조형원리를 응용한 업스타일 디자인 연구 : 프리츠커상 10인 수상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송다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건축양식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주면서 발전 되어온 예술 형식이다. 건축물은 예술 창조를 위한 하나의 장르로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고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영역이다. 하늘을 찌를 듯이 치솟은 첨탑과 거대한 돔, 웅장한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등이 건축물의 양식으로 역사적인 사조 속에서 조형적인 형태로 다양하게 건축예술 작품으로 표현 되고 완성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사조별로 사용되어 왔던 건축양식에 대해 알아보고 조형의 원리들과 구성적인 요소가 회화, 건축, 미용예술의 업-스타일(up-style)에서 어떻게 표현 되어 왔는지 작품의 사례를 제시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건축분야에서 건축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 중 대표적인 10인을 선택하여 그들이 이루어 놓은 업적과 생각, 고뇌들이 각자의 작품에 용해되어 표출된 건축양식의 조형 원리와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분석하여 보고, 그들이 작품을 구성할 때 기준을 두었던 법칙이나 사상, 규범들의 원천적인 디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 원칙을 업-스타일(up-style) 작품에서 디자인하여 표현해 봄으로써 미용예술의 업-스타일(up-style)의 기본 표현기법을 바탕으로 조형 요소의 구성 원리를 이용한 형태적 디자인적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11개의 작품 제작을 통해 제시 하고자 하였다. 작품Ⅰ, 이오니아는 이오니아 양식의 기둥모양과 소용돌이 머리모양, 움푹하게 패인 패디먼트, 늑재(肋材)를 붙임으로써 수직효과를 강조한 전통주의 건축양식에서의 쭉쭉 뻗은 수직모양을 4가닥 다이아몬드 땋기를 하여 표현 하였다. 작품Ⅱ, 비상은 하늘을 향해 뻗쳐있는 위성도시 관문의 탑에서 보색의 색채를 활용한 것처럼 통가발을 15cm탈색하여 3가지의 색을 그라데이션으로 코팅한 후 보색의 롤 피스를 사용하여 표현 하였다. 작품Ⅲ, 백조는 기하학적인 둥근 벽면의 유선형의 곡면흐름과 순수색인 흰색을 반복해서 미니멀 아트(minimal art)적인 표현을 한 것처럼 롤, 꼬기, 땋기, 고리를 사용하여 유동 선을 나타내 주며 우아하게 표현해 주었다. 작품Ⅳ, 자유는 즉흥과 우연의 결과를 즐기듯 표현한 해체주의 건축물처럼 고리와 롤 기법으로 반복과 율동 감을 사용하여 해체주의적 미학으로 표현 하였다. 작품Ⅴ, 학은 롤과 고리기법으로 기하학적이며 단순한 형태의 질감이 표현된 모던하고 우아함을 표현 하였다. 작품Ⅵ, 정원은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자연환경과 혼화시킨 환경 친화적인 구성으로 건축한 작품처럼 상징적인 돌출의 표현을 땋기, 롤, 꼬기, 겹치기 기법으로 나타내 주었다. 작품Ⅶ, 가을은 최초의 하이테크 건축의 심미적 가능성을 완성하며 기계적인 요소의 외부 노출과 기술적인 표현이 방대하고 풍자적인 표현을 한 작품처럼 기능과 공간을 연결시킨 하이테크 방식의 구도를 7가닥 땋기와 꼬기, 고리, 매듭의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 하였다. 작품Ⅷ, 마천루는 웅장하고 서정적인 마천루를 표현한 건축물의 특징을 헤어 씽을 토대로 만든 후 헤어피스를 반복과 리듬감을 이용하여 겹치기 기법으로 표현 하였다. 작품Ⅸ, 미로는 지역적 특성을 기하학적인 구도로 기능과 공간을 활용한 것처럼 롤과 꼬기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인 균형감과 조화미를 표현 하였다. 작품Ⅹ-1, 파빌리온은 3차원 드로잉을 통해 무한대로 확장한 자유로운 표현의 유기적 형태의 도출을 아이롱으로 C컬을 만든 후 브러쉬를 이용해 드로잉 작업을 통하여 표현 하였다. 작품Ⅹ-2, 코린트는 코린트 양식에서 정적이고 역동적인 조형요소의 상호 관계를 유동적 이동성으로 창조하기 위해 아이롱으로 S컬을 사용하여 표현 하였다. 따라서, 작품제작을 통해 건축예술과 미용예술의 조형적 원리의 기초적인 개념이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짐을 주장하며, 미용예술은 각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스타일의 특성을 고려한 창조를 이루며 조형의 원리와 기법을 통한 표현으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화와 건축에서 다양한 예술적 작품들이 창조되어 발표되었듯, 새로운 영감(靈感)과 트랜드(trend)로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미적 표현을 통해 사람들에게 만족감과 함께 예술적 가치를 높이며 발전할 수 있도록 미용 예술에서도 조형적 원리를 적용한 다양한 창작 작품이 발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기 위해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와 이론적 정립에도 더욱 노력을 기울여 영역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후속 논문과 지속적인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본 연구로 인해 미용예술의 영역을 확대하여 건축이나 회화 등의 예술적 장르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자리 매김을 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함이다. The style of architecture is a sort of style of art which has been developed, affecting huge human’s life. Building is one of genre for creating art and it has various styles, functions and infinite possibility. The style of architecture such as spire that rends the sky and gigantic dome, magnificent flying buttress has been expressed and completed as a form of sculpture or as a work of architecture variously in a trend of histor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style of architecture that has been used in each time’s trend and it studied how the sculpture, theories and components have been expressed in painting, architecture and up-style of beauty art through the examples of works. And the research chose the representative 10 winners of Pritzker Architecture Prize which is considered as a Nobel Prize of architecture related to human being. The research analyzes their architectures that their thoughts and achievements are melted in by the factor of sculpture principle and component of architecture and it checks their original design of their rules, philosophy and regulation. So the research wants to show it is possible to organize typological and design based on basic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up-style of beauty art by expressing and designing the principle to 11 up-style works. ‘Ionia’ PieceⅠ expressed whirlpool hair style by 4 strands diamond braids like vertical shape which reaches out to the sky is expressed by attaching sunken pediment and timber in architecture. ‘Soaring’ PieceⅡ decolorized wig 15㎝ and coated in gradation of 3 colors and expressed using roll piece of complementary color like utilizing complementary colors on the top of the gateway to satellite cities reaches out to the sky. 'Swan' PieceⅢ showed lines using roll, twist, braid and loop and expressed gracefully like swan repeated pure white color and curve flow of streamlined shape of geometric round wall expressed minimal art. ‘Freedom’ PieceⅣ uses repeating and rhythm and expressed deconstructive esthetics like a deconstructive building was built by the result of coincidence and improvisation. ‘Crane’ PieceⅤ uses roll and loop and expressed grace and modern in texture of simple and geometric shape. ‘Garden’ PieceⅥ showed technique of braid, roll, twist and over-lapping like it is comprised of eco-friendly mixed with nature environment. ‘Autumn’ PieceⅦ expressed in a way of high tech which connects function and space using 7 strands braids, twist and knot just like a work that completes possibility of esthetic for the first time and also expresses external exposure and technical expression huge and satirically. ‘Skyscraper’ PieceⅧ expressed the feature of architecture which shows huge and lyrical skyscraper by making hair piece with the way of over-lapping using repeating and rhythm. ‘Maze’ PieceⅨ expressed asymmetrical balance and harmony using roll and twist like local feature by utilizing the function and space in the composition. ‘Pavilion’ PieceⅩ-1 expressed the organic shape of liberal expression which expands infinite through 3-D drawing by using hair iron and making c shape curl and brushing. ‘The Corinth’ PieceⅩ-2 used hair iron and makes it S shape curl to create the stillness and dynamic component of sculpture from the style of Corinth. Therefor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ulptural principle and basic concept of architecture and the Beauty-art are similar and also it shows for beauty art to create and express of the individual’s style variously through the expression of principle and technique of sculpture. So here are the proposals of the research like below. First ,Beauty-art should seek the beauty with inspiration and trend and various creative works should be come out in Beauty art to increase and develop the value of artistic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esthetics. Second, in order to be settled as a genre,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establish theory and continuous research more so that we can enhance the range of field with the papers and endless study. So I hope my research helps the Beauty-art considered as an artistic genre like Architecture or Painting.

      • 조형원리에 의한 옥상정원 디자인 분석 연구 : 서울시 지원 옥상녹화 사례지를 대상으로

        박창용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increase of height and number of buildings, and population result in poor condition of city environment. In order to restore the environment and let people come in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green roof is looked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Accordingly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the regulations, various systems, and finance.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Seoul retains many experience and differentcases, because, unlike other cities, it has been supporting the green roof project since 2002. In 2008, the green roof project is renamed to green garden project, because the project involves improving city scenery and making the roof where people can come and rest. Thus, to provide a place where people can use and participate, the roof garden needs to be safe and aesthetic. In 2007, with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eoul, the roof garden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ir visual and aesthetics. The research will provide data and sources to make the roof gardens more useful and artistic. The subject of research has been separated into four different space composition factors: planting, facility, water space, and pavement. Then it is separated into eight different principles of design: unity, proportion, contrast, repetition, balance, rhythm, symmetry, and emphasis. A field study and photographs are collected as data.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1. The status of building usage is as follows. There are eight education facilities, three religious facilities, a medical, a broadcasting station, a medical treatment, and a general building. Out of these facilities, ten of them are opened to public, and other three requires permission to enter and use. Hospitals, universities, and broadcasting stations have the most number of participants. 2.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subjects. A design cannot be evaluated as a good design mainly because a lot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applied. But, according to the research, design that applied a lot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valued to be more useful and comfortable. 3.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space composition factor. First, in many facilities, repetition of plant occurs continuously because set pattern and covering pattern techniques are us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facility that shows proportion, and there are two facilities that show rhythm. This phenomenon has occurred because,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plants are planted on the edges and the proportion is ignored. For rhythm, the differences of heights of plants can be expressed as a skyline. For equipment, repetition and emphasis are used frequently. This is because using same equipment repeatedly is simple. Moreover, the safe fence brings this result. For emphasis, the pavilion and pergola occupy the visual because their sizes. On the other hand, the rhythm cannot be seen in any facility. Building fence rhythmically is a field that needs to be studied. I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used more to place equipments, it will result the space to be more safe and useful. Out of ten facilities, eight facilities provided water space, but the depth was shallow and the size was small. For water space, free curved line technique was used rhythmically. Since water is essential for both humans and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provided water spaces with different designs and their own uniqueness. Lastly, for pavement, contrast and repetition occurred. The hardwoods and flagstone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s for pavement, result the contrast. The repetition occurs because of peculiarity of the materials. For pavement, hardwoods and flagstone are being used. To provide more artistic design, various types of material need to be used. 4.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composition factor in different principle of modeling. In thirteen facilities, repetition is being used the most: 28 times, unity: 25 times, contrast and emphasis: 24 times each, symmetry: 21 times, rhythm: 13 times, balance: 10 times, and proportion 6 times. Repetition is used the most because it is applied in plant, equipment, and pavement. Unity is used the second most and this is because designers think for overall harmony of plant, equipment, and pavement. In the future, if proportion, balance, and rhythm is used more, the result of design can be more aesthetic and comfortable. 5.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building usage. In Gye Seong Girls’ High School, there is a field where students can plant wildflowers and grow vegetables. In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A (PCTS-A), there is a prayer room where the students can use freely. Also there are stages at PCTS-A an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here the performances take place. Other than thse examples, there was no other special design. Therefore, in the future, designers should come up with design that is specialized for its users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services. Consequently, all the principle of modeling that is used in roof garden looked artistic, aesthetic and conveni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provide many more places where people and nature meet and exist in one place together.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층, 고밀도의 건축행위로 열악해진 도시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사람들이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옥상녹화를 주목하고 있다. 이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법규 및 제도와 제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는 타 지방자치단체보다 앞서 2002년부터 옥상녹화지원 사업을 실시하면서 많은 경험과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2008년부터 옥상을 도시경관의 향상과 도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생태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명칭을 옥상녹화사업에서 옥상공원화사업으로 바꾸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아름다운 옥상정원을 만들어야 한다. 이에 최근 옥상정원의 디자인 경향을 미학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도 서울특별시에서 지원하여 조성된 옥상정원을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디자인을 분석하여 앞으로 진행되는 옥상녹화 사업이 이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하며 미적으로도 아름다운 옥상정원을 디자인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를 옥상정원의 공간구성요소인 식생, 시설물, 수공간, 포장으로 나누고 통일, 비례, 대비, 반복, 균형, 율동, 대칭, 강조 등 여덟 개의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조사표를 만들었다. 현장조사와 사진촬영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지의 건물유형에 따른 현황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육시설이 여섯 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시설 세 개소이고 의료시설, 방송국, 요양시설, 일반건물이 각 한 개소였다. 이중 누구나 언제든지 이용가능하게 개방된 곳은 열 개소였고, 세 개소는 외부인이 이용하려면 허락을 받아야 했다. 병원과 대학교, 방송국 등이 이용자 수가 많았으며 접근성도 용이했다. 둘째, 대상지별 조형원리 적용을 분석하였다. 조형원리가 많이 적용되었다고 좋은 디자인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겠으나 현장 조사결과 조형원리가 많이 적용된 곳이 전체적으로 조화가 있고, 이용자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자연을 접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공간구성요소별 조형원리 적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식생에서는 반복이 많이 적용되었는데 정형식재와 차폐식재 기법이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비례는 한 개소도 없고 율동은 두 개소였다. 이는 좁은 옥상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주로 가장자리에 식재를 하므로 면적에 의한 비례를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율동은 수목 수심의 스카이라인으로 표현할 수 있고 곡선식재 등의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시설물에 적용된 조형원리 빈도는 반복과 강조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설물의 특성상 반복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안전휀스에 의한 반복이 많이 나타났다. 강조는 정자나 파고라가 옥상정원에서 차지하는 시각적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반면 율동은 한 개소도 적용되지 않았는데 시공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된다. 옥상정원에 많이 시공되는 안전휀스 등에 율동적인 디자인를 적용하는 것도 연구해야 한다. 시설물에 조형원리를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종류를 더 다양하게 설치하면 이용자들이 아름다운 시설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수공간은 열세 개소 중에서 여덟 개소만 설치되어 있었는데 수심이 낮고 규모도 작았으며 수경시설도 미미했다. 수공간이 도입된 여덟 개소에 적용된 조형원리는 자유곡선을 사용한 율동이었다. 물은 생물이 서식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 도시생태계를 복원하고 사람과 동식물이 함께 공유하는 옥상정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중문제, 시공성과 경제성, 관리문제 등의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적극적이고 다양한 수경시설 도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포장에 적용된 조형원리는 대비와 반복이 많은 점유를 보이고 있다. 옥상정원에서 많이 사용되는 포장 재료가 목재와 판석으로 재료의 성질과 질감에서 대비가 되고, 반복은 포장의 시공 특성상 반복이 되기 때문이다. 대상지의 포장 재료가 대부분 목재 데크와 판석으로 되어있었는데 목재가 가볍고 시공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옥상정원 이용 대상자를 고려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고 특색 있는 디자인이 요구된다. 넷째, 조형원리의 공간구성요소별 적용 분석은 다음과 같다. 열세 개 대상지에 반복이 서른아홉 번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다음이 통일 스물다섯 번, 대비와 강조가 각각 스물네 번, 대칭이 스물한 번 율동 열세 번, 균형 열 번, 비례 여섯 번씩 적용되었다. 이는 옥상정원에서 식생, 시설물, 포장에서 반복의 원리가 많이 적용되었으며, 통일은 설계자가 전체적인 조화를 생각하면서 디자인을 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앞으로 옥상정원을 설계할 때 비례와 균형과 율동을 디자인에 더 많이 적용한다면 시각적으로 아름답고 편안함을 주는 옥상정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건물유형별 공간구성요소 특징 분석은 다음과 같다. 계성여고는 텃밭을 만들어 학생들이 야생화와 채소를 직접 심고 가꾸면서 체험하는 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장로회 신학교-A는 신학교의 특성을 살려서 개인 기도실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장로회 신학대-A와 이대목동병원은 공연을 할 수 있는 무대 만들어 작은 공연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외에는 건물유형에 따른 특성화된 디자인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 조성되는 옥상정원은 건물유형별 특성에 따라서 주이용자가 누구인지 이용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차별화된 설계를 하여서 많은 도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자연을 접하고 휴식과 여가 활동을 할 수 있게 이용도를 높이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옥상정원 설계자가 의도하였든 의도하지 않았든지 조형원리가 적용된 옥상정원이 미적으로 아름답고 이용하기에도 편리한 정원이었다. 본 연구가 앞으로 조성되는 옥상정원을 도시생태계 복원과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드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테셀레이션의 지도를 통한 조형원리의 이해-모스크 문양을 중심으로-

        최승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paper was desig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inciple of moulding expressed in a work is complex, so that the principle of moulding can be learne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xploring the learners rather than a fragmentary memorization. The principle of moulding can be found in daily life and art works. The concept of the principle of moulding is divided into unification, change, rhythm, proportional, contemporary, and balance. It is made when (Nara, Cho, 2015). In order to understand and utilize this, it is necessary to work on the manual operation and structure. It is not a piecemeal knowledge transfer, but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e learners themselve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of ordering the principle of mould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essellation method using mosque ornament so that learners could have more interest i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the principle of moulding. In particular, the researchers studied students who completed the mathematics course of transferring geometry by studying the curriculum of the third grade students. So, this is an important process in the tessellation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eaching method as a new approach using the tessellation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moulding which is inferior in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First, I summarized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moulding and examined the necessity of guiding molding principles.Second, by exploring the artistic values of tessellation and analyzing the available contents, the types of tessellation and the methods of transformation were suggested in the third grade art map.Third, the contents which can be applied to mosque ornament in tesselation map were analyzed.Fourth, teaching method of tessellation for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moulding was presented, and the educational effect was presented by analyzing teaching instruction, teaching instruction process, teaching materials, an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First, tessellation instruction contributed positively to understanding the order and harmony of the principle of moulding.Second, mosque ornament is more effective in learning activities of the principle of moulding.Thirdly, through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essellation, we became interested in the design of surrounding things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and structuring the form, and brought up the molding ability.As mentioned above, the study of tessellation teaching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moulding showed that the learners can be learned in the process of hand manipulation and structuring. The education of the existing disturbing the principle of moulding in the education field can be presented as a new guidance method which contributes effectively to the third grade students through the tessellation method using the mosque ornament. 한 작품 안에서 표현되는 조형원리는 복합적임으로 조형원리는 단편적인 암기의 교육이 아닌 학습자들이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학습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본 논문은 계획되었다. 조형원리는 미술 표현의 기초 개념으로써 일상이나 미술 작품 속에서 찾을 수 있으며 조형원리의 개념은 통일, 변화, 율동, 비례, 동세, 균형 등으로 구분되고, 이러한 조형원리는 조형요소가 2개 이상 모였을 때 만들어진다(조나라, 2015).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직접 조작하고 구조화하는 작업 과정이 필요하다. 단편적인 지식 전달이 아니라 스스로 학습자가 조형원리의 질서를 찾는 학습과정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조형원리의 표현과 감상에 좀 더 많은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모스크 문양을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지도하였다. 특히 연구자는 3학년 학생들의 교육과정을 연구하여 도형의 옮기기의 수학과 과정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테셀레이션 변형 방법에서 중요한 과정임으로 학생들의 준비도와 흥미를 고려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 교과에서 미흡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조형원리 이해를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새로운 접근으로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고 이것을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원리의 개념과 이해를 정리하고 조형원리 지도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테셀레이션의 미술 교육적 가치를 탐구하고 활용 가능한 내용을 분석하여 3학년 미술 지도에서 테셀레이션의 종류 및 변형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테셀레이션 지도에 있어서 모스크 문양으로 적용 가능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넷째, 조형원리 이해를 위한 테셀레이션 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직접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교수학습 지도안, 수업지도 과정, 수업자료, 및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적인 효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조형원리의 질서와 조화를 이해하는데 테셀레이션 지도는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둘째, 조형원리 표현 활동에 있어서 모스크 문양은 보다 높은 흥미로움으로 학습활동에 효과적이다. 셋째, 테셀레이션의 개념과 원리를 통해 형태를 변형하고 구조화하는 과정에서 주변 사물의 디자인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조형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이상과 같이 조형원리 이해를 위한 테셀레이션 지도 방안 연구는 실제로 학습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하고 구조화하는 작업 과정에서 습득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보여주었다.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산만한 조형원리의 교육이 모스크 문양을 활용한 테셀레이션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3학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새로운 지도방안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 중등미술에서 협동학습을 활용한 조형원리 수업지도연구

        한상례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0

        형태를 미적으로 조직하는 조형교육은 학습자의 내면에 내재하는 고유한 특질이 표현되어야 하기 때문에 창의성을 키우고 개발하는 것과 동시에 더불어 미술 교육의 중요한 목적이 된다. 또한 현재 미술교육에 있어서 표현활동을 살펴보면 표현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학습자들이 아직도 표현활동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며 점차 미술에 대한 흥미를 잃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술교육에서 표현은 상상력과 아이디어를 발현하는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표현에 흥미를 갖도록 이미지를 구상하고 나타내는 일련의 과정인 기초조형에 대한 경험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험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창의적 사고가 이루어지게 도와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미술교육의 목적의 하나인 가장 기초적이고 본질적인 조형원리수업을 통해 창의성과 표현능력의 개발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협동학습을 활용한 조형원리 수업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한 방법으로 중등미술에서 다양성과 개방성의 탐색과정을 활용한 교육의 한 방법인 협동학습과 조형원리수업을 접목하여 수업제재로 선정하고 조형원리수업지도연구를 제시하였다. 제Ⅰ장에서는 협동학습을 활용한 조형원리 수업지도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제Ⅱ장에서는 협동학습과 조형원리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실제 중등미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을 활용한 조형원리수업지도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점을 활용한 조형원리 수업지도안 둘째, 면을 활용한 조형원리 수업지도안 셋째, 점선면을 활용한 조형원리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협동작품과 평가지의 내용을 참고로 연구자의 주관적인 평가해석에 의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점을 활용한 조형원리의 입체와 평면의 공간을 구성하는 경험을 통하여 구도능력과 조형감각이 형성되었다. 둘째, 면을 활용한 조형원리수업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조형을 해석하면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는 동시에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창의성이 발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협동을 통한 학습자들의 다각적인 의견 수렴으로 고차원적인 사고가 발현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점선면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조형을 배치하고 구성을 구체화하면서 표현력이 향상되었으며 사물의 잠재된 미를 발굴하는 경험의 활동이 되었다. 위와 같이 협동학습을 활용한 다양한 조형원리 수업을 경험하면서 학습자들의 표현력, 창의적인 사고력, 소통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수업의 연구를 통해 앞으로 다양한 교재연구와 조형원리 수업에 흥미를 갖고 표현력과 미적감수성을 키워 세상을 보는 즐거움과 동시에 미술교사와 학생들이 미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창의적인 주인공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Formative art education, which organizes a form aesthetically, has to express peculiar inner characteristics of learners. So it is important to art education like generat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The existing art education focuses on expression activities, but many leaners have difficulty doing that kind of activities so they gradually lose interest in art itself. In art education, expression is an important process which can help learners show their imagination and ideas. So it is needed for them to have experience of basic formation, a process of image formulation and expression, which makes themselves interested in expression. This experience can be a chance to help them have interest and creative thinking. Therefore, this thesis tries to suggest teaching methods of formation principles using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because one of the art class purposes is to develop creativity and expression ability using basic and essential formation principle classes. To do so, a cooperative learn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education methods using diverse and open searching processes in secondary art education, and a formation principle class were grafted each other. Using it as a class material, teaching methods of formation principle class were suggested.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a formation principle class using cooperative learning were suggested. In chapter II, theoretical basi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formation principles was examined. And in chapter III, a plan of teaching method of formation principle class using cooperative learning was suggested in order to apply it to the secondary art education. That is, a teaching method of formation principle using point, a teaching method of formation principle using plane, and a teaching method of formation principle using point, line and plane. This study depends on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a researcher with reference of cooperative works and evaluations from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the experience of forming the plane and three-dimensional spaces using point, students were able to build their composition ability and formative sense. Secondly, a formation principle class using plane made them experience how to express visual images. During the class, they were able to show their own creativity by expressing their inner side as well as understand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by interpreting formation. In addition, cooperation helped them have higher-level thinking by sharing diverse opinions. Thirdly, a class using point, line, and plane helped them improve their expression ability by arranging formation and materializing composition, and excavate potential beauty of things. As a result, these classes had positive effects on expression ability,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of learners. Furthermore, through the research on this kind of class, art teachers and learners will be interested in research on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formation principle classes, develop their own expression ability and aesthetic sensitivity, have an interesting viewpoint on the world, and become creative leaders in the future.

      • 건축양식의 조형원리에 따른 현대헤어디자인 : 2004 S/S ~ 2010 S/S 패션컬렉션을 중심으로

        이주연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0

        현대 디자인은 회화, 건축, 패션, 산업 등에 있어서 많은 영향력을 끼치며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한 시대를 동시에 반영하며 비슷한 성향을 보이는 예술사조들로 표현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술사조들은 단순히 생성되고 절정을 이루고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요구에 의해 재해석 되어 디자인 발상의 영감이 된다. 헤어디자인은 특유의 형태(form)를 창조하므로 그 시대의 정신, 사상, 정서 내지는 미적 가치를 표출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예술사조를 헤어에 응용하여 디자인을 전개함에 있어 해당 건축양식의 조형원리 분석⦁적용이 그 양식적 디테일의 차용에 따른 이미지 차원의 디자인 전개와는 다른, 형태구성 차원에서의 디자인 전개가능성을 보여준다. 조형예술분야 중 건축은 헤어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덩어리로서의 실루엣(silhouettes)을 가지며 전후, 좌우시점에 따른 방향성을 가지고 관찰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조형예술분야보다 좀 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합리적 형태와 기능을 갖는 산업예술이며 시각예술인 헤어는 그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의 한 단면을 표출하는 가장 적합한 수단 또는 방법으로서, 인간의 내적 이미지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과 관계가 있다. 형태구성 차원의 조형원리는 시대적 건축 작품을 형식적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관찰하고 그 양식을 보편적 체계로서 파악한 대표적인 형식비평주의자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ölfflin)의 형식사적 양식론의 해석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뵐플린의 형식사적 양식론을 근거로 헤어디자인의 예술성 확립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완하고 이미 객관적 정의가 내려진 다른 예술, 특히 건축양식과 헤어디자인을 비교하여 그 내용면과 형식적으로 일치점과 유사성을 연구하였다. 헤어디자인의 개념과 조형적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하인리히 뵐플린의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건축양식의 조형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헤어디자인과 건축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 건축양식의 조형원리가 현대헤어디자인에 어떻게 적용 되어 나타났는지 알아보고 건축과 헤어디자인 조형원리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헤어디자인은 그 시대의 미적 기준을 바탕으로 그 시대 특유의 형태(form)를 창조하므로 그 시대의 정신, 사상, 정서 내지는 미적 가치를 표출한다고 할 수 있다. 르네상스 고전주의 건축의 조형원리는 선형성, 평면성, 구축성, 다원적 통일성으로 나타났고, 바로크 건축의 조형원리는 회화성, 내진성, 비구축성, 절대적 통일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양식은 서로 대립적이며 발전적인 관계로 이해될 수 있다. 르네상스 고전주의 건축의 조형원리를 현대헤어디자인에 적용해 분석한 결과 가촉적 윤곽선의 강조, 대상공간의 평면화, 대상의 완결성, 독립된 부분들의 조화로 각각 나타났다. 바로크 건축의 조형원리는 현대헤어디자인에 적용하면 생동감 있는 운동감, 중복과 중첩에 의한 깊이감, 비완결적 구조, 독립된 특성의 상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미술사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하인리히 뵐플린의 미학적 개념을 헤어디자인에 적용·분석하여 예술성을 확립한 점과 건축의 조형원리를 현대헤어디자인에 적용, 패션 컬렉션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형태구성적인 면에서 활용 가능한 특징을 구체화 하였다는 점이다. 헤어디자인은 예술사조의 영향을 받으며 과거 예술사조로부터 응용되어 발전 가능하며 예술사조의 변화에 따른 헤어디자인의 이해를 높이고 헤어디자인의 예술적 관점을 높이고자 하는데 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프랙탈 조형원리를 이용한 옵티컬패턴 주얼리 디자인 연구

        김미진 가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830

        <국문요약> 현대는 창의력과 다양성이 요구되는 지식기반의 사회이며 디자인의 사회라 할 수 있다. 디자인 문제가 다면적인 것에서 고도의 기술적인 것까지 범위가 넓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디자이너의 작업 영역은 확대되었다. 디자인은 우리 생활 속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한 측면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디자인은 주어진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조형요소 가운데서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그것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창조활동이며 그 결과의 실체이다. 입체조형 활동은 디자이너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구체적인 형태로 제작해 표현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활동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입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재료나 소재에 따른 적절한 조형 방법을 선택하고, 조형 원리를 응용하여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시대적 흐름과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예술의 장르별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주얼리 디자인에서도 다양한 조형적 사고가 요구되어진다. 현대 과학의 혁명에 의하여 예술과 과학이 접목된 사고로 생성된 프랙탈 기하학은 자기유사성, 반복성, 그리고 불규칙성 등의 형태적 특성과 함께 중첩, 왜곡, 반복, 스케일링의 변환 등의 조형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속성은 예술의 영역에서 다양한 조형 표현의 가능성을 가진 소재로 인식되어, 회화,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랙탈 조형원리의 응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학의 발전으로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프랙탈의 적용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주얼리 디자인 분야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발전이 다른 디자인 분야 보다는 조금 뒤늦어졌다. 그러나 Rhino CAD 프로그램이나 Jewel CAD 프로그램이 주얼리 디자인 분야에 활발히 사용되어지면서 디자인을 위한 데이터 구축과 함께 조형적 구성과 표현이 보다 빠르고 편리하도록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프랙탈 조형원리와 주얼리 디자인의 접목을 이루기 위하여, 프랙탈의 개념을 정리하고, 프랙탈 원리가 적용된 구성 사례를 분석하여 주얼리 디자인의 조형화 방법을 모색하였다. 주얼리 디자인의 조형화 과정에서 2차원의 디자인 작업을 위해 평면이지만 입체조형의 요소를 이끌어낼 수 있는 옵티컬 패턴을 도입하여 주얼리 디자인의 조형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의 패턴과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 도입을 통하여 입체 형태인 주얼리 디자인의 다양한 조형 구성과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Today is a knowledge based society demanding creativity and variety and can be called a society of design. The scope of the design issue becomes wider from many years to advanced technology and accordingly, the work area of designers is expanded. Design is required in the various and comprehensive aspect in our life. Design is a creative activity to intentionally select one of various formative elements and reasonably compose it in order to accomplish a given purpose and its subject of its result is namely design. In other words, it is to substantiate the given purpose formatively. A cubic formative activity is an activity to produce and express the intention of designer's expression in a concrete type to transfer it to the counterpart. This basically is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s of a sold and its important issue is to select a formative method appropriate to materials and apply the formative principle and efficiently express what he/she intends. In the flow of times in pursuit of variety and rapidly changing situations, the changes of paradigms of art by genre are happening and even in the accessory design, various formative thoughts are demanded. Thanks to the revolution of the modern science, the fractal geometry created from the thoughts in which art and science are connected has not on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elf-similarity, repetition and irregularity but also the formativ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such as overlap, distortion, repetition and scaling. This kind of visual properties are recognized as materials with possibility of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in the area of art so that the study on applicability of the fractal formative principle in various fields such as paintings, construction and design is in progress. Thanks to development of science, as computer develops fractal application became more active but the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 applied to the accessory design field was later than other design fields. However, As the Rhino CAD Program or the Jewel CAD program was actively used to the accessory design field, the formative composition and expression as well as data implementation for design will be applicable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In order to accomplish the link of the fractal formative principle and jewelry design,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arrange the fractal conceptions and analyze the composed cases in which the fractal principle is applied and search for a formative method of design. In the course of jewelry design modeling, the optical patterns which are plane for the two dimensional design work but can draw the factors of cubic modeling are introduced and utilized as a method for the formative expression of the jewelry design. Through introduction of the two dimensional patterns and formative principle,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various formative compositions and expression methods of the jewelry design as cubic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