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학습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황교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exhibition planning is eviden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ut in school settings, there is a tendency to neglect its implementation due to factors such 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exhibition planning processes and awareness of its educational efficacy. Furthermore, compared to research on other topics in art education, there is a shortage of related literature, and existing studies generally focus on limited cases that are not readily applicable to typical classrooms. Consequently, it is warranted to develop and validate programs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 setting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implemented, and analyzed an elementary art curriculum utilizing exhibition planning programs to foster visual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fundamental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The study employed an action research methodology emphasizing reflective practice and iterative self-cycling processes aimed at addressing practical issues to develop programs applicable in typical school settings.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not only to a 6th-grade class in Bucheon, where the researcher serves as a homeroom teacher, but also to two additional classes with different classroom environments. The outcomes of the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enhancing visual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exhibition planning program. Secondly,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activities promoting self-determination enhancement as effective approaches for integrating exhibition planning programs into elementary school art classes. The study's analysis of results and re-evaluation of issues led to the discovery of enhancements for the developed exhibition planning program; additional procedural steps incorporating these enhancements were proposed, including restructuring activity content around learners' roles to enhance the sustained manifestation and encouragement of self-determination enhancement program effects. To reduce learners' classroom burdens, individual data collection sessions were reduced from 2 to 1, and the original 6-session program was modified to 7 sessions to distribute activities effectively. 전시기획은 그 과정에서 작품 연구, 공간 연출, 홍보 등 종합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기에 학생 작품의 전시기획이 교사의 교육적 의도를 포함하고 학습자의 주도로 이루어진다면 유의미한 배움이 있는 수업으로서 가치를 가질 것이다. 전시기획의 교육적 활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전시기획과정의 이해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의 원인으로 수업 적용을 외면하는 실정이다. 또한 관련된 연구 자료의 수가 다른 주제의 미술 교과 연구와 비교하여 부족하고 기존의 연구는 대체로 일반적인 교실에는 적용할 수 없는 제한된 사례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학교 현장에서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시의 중요한 특성이자 미술 교과 핵심역량으로서 시각적 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초등 미술 교과 활용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전시기획 활용 수업은 학습자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이다. 전시기획 수업이 단순히 경험만을 목적으로 전개된다면 미술 수업으로서의 정당성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전시기획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배울 수 있는 것이 명확하고 그것이 미술과 관련이 있을 때 비로소 미술 수업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자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전시기획 활동을 통한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으로 설정하고 이를 성취할 수 있는 방향의 내용 구성을 주된 연구 과제로 삼았다. 둘째는 전시기획 활동을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PBL과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의 활용이 효과성이 있는가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시각적 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전시기획 활동이 필수적이다. 전시기획은 복합적인 능력을 요구하는 종합적인 활동인 만큼 수업에 적용이 까다로워 진행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수업에서의 시행착오는 전시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몰입을 저하하여 교육적 의도 전달에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 결국 심도 있는 연구와 준비가 선행됨에도 불구하고 학습성취 도달이 어려운 전시기획 수업의 특성은 교사의 수업 실행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시기획 수업의 현장 적용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PBL과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의 활용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전시기획 수업이 교육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교육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에 따라 실제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고 반성적 실천의 자기 순환과정을 강조하는 실행연구 방법론을 따랐다. 수업 대상으로는 연구자가 담임교사를 맡고 있는 부천시에 소재한 6학년 1개 학급 외에 서로 다른 수업환경을 가진 2개 학급을 추가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해보았으며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기획 프로그램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 효과를 확인했다. 개발한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실연하며 수집한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는 전시기획 과정 전체에 걸쳐 시각적 소통능력의 하위역량인 시각화 능력, 시각적 문해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모둠원이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전시를 매개로 새로운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등 공동체 역량을 발휘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전시 특성에 맞는 새로운 공간 연출과 광고 방안을 자발적으로 고안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융합 역량 함양의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둘째,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전시기획 프로그램 활용의 적절성을 확인했다. 2015 미술 교과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시와 관련하여 감상 단계 수준에서만 내용을 다루며 초등 미술 교과서 7종 중 4종에서 전시기획 활동을 제시하기도 하지만 교육 현장 적용의 현실성 측면에서 한계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초등학교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연구하였고 PBL과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활용해 보았다. 그 결과 PBL을 혼합한 프로그램의 구조가 학습자의 몰입과 흥미를 유도했으며 복잡한 전시기획 과정의 각 단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장기 프로젝트의 원활한 흐름을 도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을 변형한 도입 활동 운영 및 프로그램 전반에서의 활성화 방안이 학습자 주도적인 수업 분위기를 형성하고 학습 성취 욕구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연하며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전시기획 활동의 활용 방안을 탐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과 분석 및 문제의 재진단 과정에서 개선안을 발견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 절차를 추가로 제안하게 되었다.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적인 발현과 독려를 위해 활동의 연결성을 높일 필요가 있어 세부적인 내용을 변경하였으며 학습자의 수업 부담 축소를 위해 개별적 자료 수집을 2회에서 1회로 축소하고 기존 6차시의 프로그램을 7차시로 변형하여 활동을 분산했다. 전시의 주요한 특성에 기인하지만 주목하지 않았던 시각적 소통능력의 함양을 수업의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방향성이 전시기획 수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서술한 수업 방법과 적용 사례에 대한 분석자료가 현장의 교사가 학생 작품을 활용해 전시 수업을 운영하는데 효과적인 안내서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콜라주를 응용한 시각 디자인 수업 연구 :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이선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importance of design education that foster creative people who could create unique visual images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modern society where graphic design is one of the barometer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Design educational systems in technical high schools are aimed at nurturing professional designers who can become the mainstay of future industries, and how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o stir up their creative visual thinking process should be studied by the graphic design educators in technical high school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collage, one of painting techniques, to graphic design classes in order to seek ways of helping students to develop creative ideas and facilitating their design-related problem solving, as collage has been a source by which numerous artists and graphic designers have come up with new ideas and media. There have been various types of collages throughout the history from Picasso's papier colle works to today's digital collages. To begin with, the definition and types of collages were discussed to set the applicable range of using collage in graphic design instruction, and the history of collage was described in association with the flow of modern art and the history of graphic design. As a result of exploring relevant theories, the characteristics of collage boiled down to three: diversity in media, being a composite form and its association with popular culture. These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ollage images can be used for inspiring students to develope creative ideas. Hence, the design curriculum of technical high schools and the contents of graphic design textbooks were analyz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lesson plans of collage-based design instruction program. In addition, the collage works made by high school students in graphic design classes whom this researcher taught in the past were analyzed in terms of materials, media, visualization of idea and layout so that the works could be utilized as references. And then, the lesson plans about collage-applied advertising campaign design in printed materials were laid out considering the teaching environments of technical high schools, student interest and instructional contexts. After the graphic design classes were held according to the lesson plan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instruction was checked by having a talk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that education program and by analyzing their work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ere able to come up with creative ideas for the advertising campaign in the course of trying visual thinking process using collage images, instead of trying only word association. Second, the collage-based design expression process served to instill confidence in those who had difficulties in realistic depiction of the drawing objects and were eventually reluctant to unveil their creative ideas. Third, the collage production process provided a chance for the students to learn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graphic design as well. Fourth, they were able to explore a variety of materials and media in the middle of creating ideas by applying collage. So there seems a limitless possibility to link collage to other kinds of graphic design instruction in the future. Fifth, making the advertising campaign in printed media using collage images allowed the students to think about social issues, and that contributes to open a new chapter for integrated learning between graphic design and other subjects. In conclus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visual thinking process using collage images encouraged the students to actively come up with new ideas for their graphic design works, and that it thereby enabled them to eventually become professionals in the design field. This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help students studying graphic design to fully achieve their creative potentials. 디자인이 국가의 경쟁력이 되는 현대 사회에서 독창적인 시각 이미지를 창출해 내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 산업의 주역이 되는 전문 디자이너 양성을 목표로 하는 전문계 고등학교 시각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도울 수 있는 효율적인 디자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회화 기법의 하나인 콜라주를 시각 디자인 수업에 응용하여 학생들의 아이디어 발상과 디자인 문제 해결 과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콜라주는 피카소의 파피에 콜레에서부터 오늘날의 디지털 콜라주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예술가와 시각 디자이너에게 끊임없이 가장 새로운 아이디어와 매체 탐구의 원천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디자인 교육에 있어 콜라주의 활용 가능성과 범위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콜라주의 정의와 종류, 그리고 역사를 현대 미술과 시각 디자인의 시대 흐름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배경 이론의 탐색을 통해 콜라주의 특징을 다양성, 결합성, 대중성으로 압축해 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도출된 콜라주의 발상 교육에 있어 여러 가지 가능성을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과(科) 교육과정과 시각 디자인 교과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을 위한 수업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 이전에 고등학교 학생들과 함께한 시각 디자인 수업에서 학생들이 완성한 콜라주 작품 자료를 재료 및 매체, 아이디어의 시각화 방법, 레이아웃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하여, 이번 연구의 수업 설계를 위한 실제적인 참고 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수업 환경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맥락을 고려한 '콜라주를 발상에 응용한 인쇄 공익광고 디자인'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작할 수 있었다. 수업 지도안을 적용한 후 학생들과의 대화, 그리고 작품 분석 결과,'콜라주를 발상에 응용한 인쇄 공익광고 디자인'수업에서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단어 연상에 의한 발상 과정이 아닌 콜라주를 통한 이미지 중심의 발상만으로 광고를 위한 시각적 아이디어를 찾아낼 수 있었다. 둘째, 콜라주를 통한 디자인 표현 과정은 평소 드로잉 도구를 활용한 사실적인 묘사가 어려워 아이디어 표출을 꺼리던 학생들에게 표현의 자신감을 부여했다. 셋째, 콜라주 제작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시각 디자인의 구성 요소와 원리를 경험할 수 있었다. 넷째, 콜라주를 통한 발상 과정은 다양한 재료 경험과 매체의 탐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차후에 다른 시각 디자인 수업과 연계할 방법도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콜라주를 공익광고 수업과 연관하여 응용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사회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시각 디자인과 타 교과와의 통합 학습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수업 결과를 통해, 콜라주를 응용한 시각 디자인 수업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발상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사고를 돕고 졸업 후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를 창의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밑거름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콜라주를 통한 이미지 중심의 발상법에 대한 본 연구가 학생들의 창의적 잠재력을 계발하는 데 작은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패러디(parody)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수업 지도 방안 연구 : 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김혜원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As the absolute and plain modernistic way of thinking has been replaced with the relative and three-dimensional one, the power of scientific technology is gradually on the wane, and culture and art are emerging as new sources of competitiveness. The advance in mass media and the Internet makes a contribution to stepping up information sharing, which lead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Now information is one of major industries in the world, and culture functions as a sort of product. The visual environments are increasingly being diversified, enlarged and dynamic, and one of the typical phenomena that stem from a combination or compromise of different forms of culture is a parody genre. Parody is a kind of reproduction that is built on a reinterpretation of the uniqueness and norms of original works produced in the past, and that is very significant by giving pleasure and appealing message to readers who appreciate it at the same time.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parody and imitation. Parody is a technique that grants a new, unique meaning to a particular original work based on a perfect understanding of it and recreates another new work by taking advantage of creativity and the sense of sight. Lots of parodies appear in multiple fields of visual culture involving TV commercials, novels, movies, art and music. Lately, parody is often put to use in the area of advertising as well, since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echnology makes it easier to create new things and to turn world-renowned art works, high-profile movies or popular comedies into specific forms of text or image. It seemed necessary to apply parody, which is one of the typical post-modern phenomena, into art education, which accepts contemporary art. Given the necessity of the application of parody, the concept and types of parody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modern art were discuss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and scope of parody in art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parody-applied education would be effective at boosting the creativity of students and their critical receptivity of massmedia, and that it is easily accessible to every student, lets them feel less rejective toward art and puts a less strain on them. Specifically, this study planned to take an easier approach to parody through the medium of 'a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real learner life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of art instruction. The concept of ad design and the components of printed ad design were analyzed to devise how to make an instructional design and provide education. And then the technical high school art curriculum and art education were analyzed to make an instructional design, as it seemed possible to teach students to come up with ideas by utilizing parody. As art instruction might just be elusive for students, ad design instruction was designed to stir up the class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learners to produce the best educational results by applying parody with which they were already familiar in daily routine life.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parody of pure art, though there were multiple genres to use parody. And only printed ad was selected from among various types of ad design, since it was not possible for learners to be exposed to all the ad media in high school art class. After ad design lesson plans were mapped out by utilizing parody of pure art in light of technical high school educational setting, learner interest and existing art education, students receive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lesson plans, and they were engaged in appreciation and evaluation activities.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ir answer sheets and work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ight usually view art as what's difficult to learn and have little idea what to do in art class, and the parody-applied ad design instruction served to stimulate their interest and class participation, since they were already accustomed to parody in everyday life. Second, they got to be confident of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course of producing their works by reinterpreting and rearranging existing images. Third, they were able to have an eye for aesthetic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visual communication, and to criticize messages conveyed by visual media from a creative standpoint in the middle of analyzing and appreciating works. Finally, that instruction made it possible to iron out some problems resulting from indiscreet copying practices or the inflow of improper popular culture that might have an adverse impact on adolescents. In addition, the instruction was successful in guiding them in the right direction and teaching them to be discerning and have a critical mind.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teacher who conducted the instruction was able to help the learners to foster their own aesthetic consciousness on their own to think in a more three- dimensional and synthetic manner.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foster the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절대적이고 평면적인 모더니즘 사고에서 상대적이고 입체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사고로 이행됨에 따라 과거의 물질ㆍ과학기술이 주도하던 시대는 지나게 되었고, 이제는 문화와 예술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대두되었으며, 대중매체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정보의 공유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대중문화가 급격히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우리는 과거와 달리 정보가 산업이 되고 문화가 상품이 되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역동적인 시각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문화의 형태가 혼합되고 절충되어 나타난 가장 대표적인 현상 중 하나가 패러디(parody)장르이다. 패러디는 과거 원작의 고유성과 규범들을 재해석하는 복제형식으로써, 그것을 감상하는 독자에게 즐거움과 동시에 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준다. 또한 원본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창의성과 시각을 통해 또 다른 새로운 작품을 재창조시키는 기법이라는 점에서 모방과는 차이가 있다. 오늘날 우리의 시각 문화 환경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패러디 현상은 텔레비전 광고, 소설, 영화,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광고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매체와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창조가 가능하게 되면서 널리 알려진 유명한 미술작품이나 영화, 또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코미디 등이 풍부한 텍스트나 이미지로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패러디 현상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동시대의 미술을 수용하는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미술 교육에 있어 패러디의 활용 가능성과 범위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패러디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현대미술에 있어서 패러디 활용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패러디를 활용한 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되며,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대중매체에 대한 비판적 수용 능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미술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다양한 문화 현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패러디를 학습자의 실생활을 미술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대중매체로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광고’라는 매개로 보다 쉽게 접근하여 미술 교과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광고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지면광고디자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과 탐색을 통해 이번 연구의 수업 설계와 지도를 위한 실제적인 참고 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패러디를 활용한 발상 교육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미술과(科) 교육과정과 미술 교과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을 위한 수업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어렵고 막연하게 느낄 수 있는 미술 수업에 주변에서 쉽고 다양한 영역으로 접할 수 있는 패러디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수업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도하여 미술 교과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패러디를 차용하고 있는 여러 장르 중에서 미술 작품과 연관시킬 수 있는 차원에서 순수미술 패러디로 그 범위로 제한하였고,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광고의 다양한 매체들을 모두 경험하는 것이 불가능한 점을 감안하여 광고디자인 중에서 지면광고로 제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수업 환경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맥락을 고려한 ‘순수미술 패러디를 활용한 광고디자인’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작ㆍ적용한 후, 학생들의 감상 및 평가, 설문지 분석, 그리고 작품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이 어렵고 막연하게 느낄 수 있는 미술 교과 수업에서, 주변에서 쉽고 다양한 영역으로 접할 수 있는 패러디를 활용한 광고디자인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었다. 둘째, 이미 등장한 이미지를 재해석, 재구성하여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표현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작품의 분석과 감상을 통해 미적 안목을 넓히고,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이들이 전하는 메시지를 창의적인 시각에서 비평하고, 관찰할 수 있었다. 넷째,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무분별한 모방과 그릇된 대중문화의 유입에 대한 문제점을 학교 현장에서 보완해주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줌과 동시에, 비판적 안목과 분별력을 기를 수 있었다. 이상의 수업 결과를 통해 교사는 학습자에게 그들 스스로 주체적인 미의식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조력하여, 학습자가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를 지도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생들의 창의적인 발상을 유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고등학교 미술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연구 : 대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박계숙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With the legislation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ct in January 2000 and the promulgation of its actual regulations in April 2002, South Korea came to have a legal standard for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continuous investment following the moves brought expansions in education for the gifted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Yet, some problems still exist. Especially in education of the gifted in art, the continuation and the connectivity of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to college are the most prominent problem to be solved for the active adoption and stabiliza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lso,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in South Korea, which is far from the actual education in education for the gifted in art, transformed high school education for the gifted into another functional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This is not only the problem limited to art but is in line with all education for the gifted. Furthermore, this is a problem thwarting all art education too. To see the admission standards of art colleges in South Korea, many schools keep the traditional system that evaluate simply the skills of expressions while giving a bigger portion to the talent examination. This hardly fits the worldwide trend. Therefore, it is recognized that there should be a fundamental change in art education that can reorient the present functional orientation. Neither does the current education reflect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art fields that came about as a result of their astute responses to changing times and cultures. In this Korean situation, the change in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and the specialization of colleges are more than necessary to mak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art viable. This paper reviews the admission systems of prestigious art schools abroad, based on which it analyzes the new admission systems adopted by Korean art colleges to seek an alternative. Though there would not be one right answer given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variations in value systems, one may seek an alternative that could successfully orchestrat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system. This would be provided as a step forward for active education for the gifted that goes with the current trend. In brief, the admission systems of prestigious art schools abroad show a close relation to the purposes and practices of education for the gifted that respects and develops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Recently, a few schools in Korea have been testing these admissions systems. These diverse admission systems may prevent education for the gifted in high school from becoming another functional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Also, to connect high school education for the gifted with college education, the evaluation standard and the promotion policies for the gifted in art should be adopted in colleges. And various admission systems to take into account diverse talents of the gifted are needed. In addition, the AP (Advanced Placement) system can be utilized actively to connect the experience in high school education for the gifted to college. Nextly, it should be recommended that colleges should make policies for undergraduate education for the gifted as they provide innovative career paths and research environments for gifted students. Finally, there should be advantages when gifted students enter higher level schools for the gifted or other higher institutions.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vibrant high schoo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art by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with a focus on connecting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by analyzing the above-mentioned admission systems. 우리나라는 2000년 1월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2002년 4월 본격적인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이 공포되면서 영재교육에 대한 법적근거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꾸준한 투자로 영재교육에 있어 질적ㆍ양적인 팽창을 거듭하였으나 그와 동시에 활성화와 정착에 있어서 초→중→고→대학으로 연결되는 미술영재교육의 계속성과 연계성의 문제는 해결해야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미술영재교육의 실천내용과 동떨어진 우리나라 입시전형은 고등학교 미술영재교육을 기능위주의 입시교육으로 변질되게 하고 있다. 이것은 고등학교 미술영재교육의 문제 뿐 만 아니라 영재교육 전체의 문제와 맥을 같이하며 미술교육의 전반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미술대학 입시전형들을 살펴보면, 많은 대학들이 실기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단순히 표현의 숙련도를 입시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전통적 방식을 유지하는 입시전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시대ㆍ문화적 요구에 따른 미술계의 구조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세계적 흐름에 맞지 않는 미술교육과정과 기능위주의 미술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우리나라 실정에서 고등학교 미술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각 대학의 특성화와 대학입시의 다양한 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나라 실정에서 외국의 선진 대학들의 입시전형을 살펴보고 새로운 입시제도를 도입한 우리나라 대학들의 입시전형을 분석하여 그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각기 나라별 문화적 차이와 사고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있을 수 없지만 서로가 가지는 단점을 장점으로 보완해 간다면 현재의 흐름에 맞는 미술대학 입시과정으로 미술영재교육활성화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요컨대, 외국의 각 선진 대학들의 입시과정은 미술영재교육에서 지향하는 창의적이고 개개인의 개성을 존중 발전시키려는 영재교육 실천 내용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입시제도를 시범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다양한 대학입시전형은 고등학교영재교육이 기능위주의 입시교육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또한, 고등학교 미술영재교육이 대학과의 연계를 이루기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미술영재의 판별기준과 지원정책이 체계화되고 다양한 입시제도가 정착하여 영재들의 다양한 개성을 평가받을 수 있어야 하며, 중등단계의 영재교육 경험이 대학으로 연계되게 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주요 방안인 AP(Advanced Placement))제도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에서 학부 영재교육프로그램 방안을 마련하도록 권장하고, 영재학부생들에 대한 진로 및 연구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 할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영재학생의 상급 영재교육기관이나 상급학교 진학 시 가산점이 부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앞에 제시된 각 대학의 입시제도를 비롯한 고등학교 및 대학으로 이어지는 영재교육의 현황을 검토해 보고 대안을 제시해 봄으로써 고등학교 미술영재교육의 활성화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진로 선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조미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dual-major museology graduates by examining the story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process and career choice experience as well a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ir concern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searcher’s thoughts on her personal career choice experience from her childhood to the present. Through the life stories of four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the researcher, this study provides the story of the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choices of S University ‘Dual Major Museology’ graduates who completed their studies to advance into a career in the field of museums. The research questions set based on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f museology dual majors’? This question has meaning in discovering that the study participants feel differently about completing museology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growth backgrounds and experiences in their first major. The second question is ‘What is the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experience of the museology dual majors’? This study aimed to reflect on the lives of the study participants from their college days to the present and their career choice process, and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their concerns about their career path. Lastly, through the question of ‘What is post-graduation life like for the museology dual majors?’, this research could find educational meanings from the common experiences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recruit suitable research participants, one dual major museology alum who frequently shares career concerns with the researcher was directly selected. Two other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by the professor in the major,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and instant messengers. Recorded materials were transcribed and organized and kept in a personal folder to protect privac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background of growth, academic achievement, career choice, and social advancement through narratives told by graduates of museology dual majors who had different first majors. Their common experiences, emotions, and the concerns about choosing a career path were mainly described in the research.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s could be found in the common narratives derived from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s. First, the necessity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required at for museology dual majors. Through the interviews, they expressed that they had less experience and practice than theoretical learning in museology studies, hoping for more practical opportunities to grow into preliminary museum professional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s required from universities. If students feel the need, they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continuing career education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fter graduation.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spent time for self-reflection through the eyes of others while composing research text and cultivated a mature self. That they found growth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sharing a narrative came to the study participants as an education.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is not intended to evaluate or to find improvements in S University’s dual major program in museolog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ritten thanks to the courage and sincerity of the participant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museology graduates with no choice but to face reality in choosing a career, and to give social and institutional interest in it. Moreover,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higher education will provide students of museology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various career paths and serve as a compass that can guide them as they move toward their dreams. Keywords: Museology, educational experience,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inquiry, care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본 연구는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학업 성취 과정과 진로 선택 과정의 이야기를 살펴봄으로써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 이들의 고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지극히 개인적인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자를 포함한 4인의 연구참여자들의 삶 이야기를 통해 박물관 분야 진로로 나아가기 위해 이수했던 S대학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학업 이수와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학업 성취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해당 문제는 연구참여자들의 각자 다른 성장배경과 제1전공의 경험에 따라, 박물관학 학업 이수에 대한 의미를 다르게 느끼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진로 선택과 취업 과정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참여자들의 대학 재학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삶을 되돌아보며 이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진로 선택에 대한 고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졸업 후 삶은 어떠한가?’라는 문제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공통적인 경험으로부터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에 맞는 연구참여자를 섭외하기 위해 연구자와 평소 진로 고민을 자주 나누는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 동기 1명을 직접 섭외하였으며 해당 전공 소속 교수님으로부터 2명의 연구참여자를 소개받아 개인 면담, 전화 인터뷰, 메신저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녹음 자료는 전사 및 정리하였으며 사생활 보호가 될 수 있도록 개인 폴더에 보관하였다. 연구자는 각자 다른 제1전공 출신의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들이 들려준 내러티브를 통해 성장 배경, 학업 성취 과정, 진로 선택 과정, 사회진출 현황 등을 검토하여 이들의 경험 속에서 공통적으로 겪은 경험과 감정, 진로 선택에 대한 고민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공통적인 내러티브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 연계전공 차원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이들은 면담을 통해 박물관학 이수 과정에서 이론 학습에 비해 체험과 실습 기회가 적었음을 토로하며 예비 박물관 전문인력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실무 기회 제공을 희망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대학으로부터 체계적인 진로교육 제공이 요구된다. 학생들이 필요를 느낄 경우 이들의 졸업 후에도 대학이 모니터링을 통해 고등교육 기관으로써 지속적인 진로 교육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시선을 통해 자기반성의 시간을 보내고 성숙된 자아를 만들어 나갔다.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공유하는 과정 안에서 성장을 발견했다는 점으로 이 자체가 연구참여자들에게 교육으로 다가갔다. 끝으로, 본 연구는 S대학의 박물관학 연계전공에 대한 평가나 개선점을 찾기 위한 목적이 아님을 밝힌다. 연구참여자들의 용기와 진심으로 구성된 이 연구를 통해 진로 선택에 있어 현실에 부딪힐 수밖에 없는 박물관학 졸업생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제도적인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한다.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 고등교육이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이 꿈을 향해 나아갈 때 방향을 잡아줄 수 있는 나침반이 되기를 바란다. 주요어: 박물관학, 교육적 경험, 질적 연구, 내러티브 탐구, 진로교육, 고등교육

      •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 체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정보산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권영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의 실업교육은 그동안 피고용인으로서 갖춰야 할 지식과 기능을 강조한 교육으로서 전통적인 산업사회적 직업교육의 성격이 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직업교육인 단순 반복적인 실습을 통한 기술과 기능의 습득으로는 미래의 산업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력을 배출 할 수 없으며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과 특기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비즈니스 기회가 다양화됨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고용되기보다는 자기가 스스로를 고용하는 것이 하나의 새로운 진로선택의 기회가 되고 있다. 이에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좀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다양한 진로지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는 고등학교가 교육의 최종단계이므로 고등학교 단계부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창업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실업 교육의 내실화와 더불어 청소년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과 비전을 심어줄 수 있는 창업교육의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체계화 방안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의 체계화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창업교육 내용은 강의식을 탈피하여 토론식 수업, 사례연구, 시청각 자료의 활용, 현장학습 등의 비중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고, 적합한 프로그램과 교재 계발이 필요하다. 창업동아리 등을 창설·지원하고 모의 창업, 사업계획서 경진대회, 창업 인큐베이터 입수 기회제공, 학생 창업자금지원, 창업캠프 설치 및 Cyber 창업강좌를 개설하여 활성화 하여야 한다. 청소년 창업을 위하여 개발 중인 비즈쿨 프로그램, 시범학교(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실업계고교 5개 학교), 창업관련기관, 청소년 창업 희망그룹 등을 네트워크화 하여 서로의 관련 자료 및 지식을 공유하고 교류하여야 한다. 일선 상업계 고등학교에서는 교과 교육과 병행하여 창업 진로지도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며, C.A(계발활동)활동, 특기적성시간, 재량활동시간 등을 통하여 창업교육을 이해시키고 체계화 하여야 한다. 아울러 창업교육은 실업계고교, 전문대학, 산업대학, 직업학교, 기능대학, 4년제 대학에까지 연계되어 좀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지역 내 창업 성공인, 기업인 등의 지원을 받아 해당기업의 인턴제 활동 등 청소년들이 지역경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역 내에서의 중소기업 등 실질적인 취업 및 창업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들의 실업률도 줄어들 것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의 발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In our country the vocational-education, which emphasized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that the employees should have,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ntional, industrial and social vocational-education. Conventional vocational-education which acquire skills and techniques through only repeating practice could not produce human resource who is able to adapt to industrial society in the future, and it is a fact that a lot of students could not develop their abilities and talents. Besides, as the business chances become diverse, to employ oneself rather than to be employed becomes one of new way to decide one's course after graduation. So it is necessar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o do a variety of career counseling. Especially, because in the case of students in a vocational high school, high school is the final stage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is aimed not only at insuring substantiality by teaching start-up education as a way of the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high school, but also at presenting a way of systematizing start-up education which is able to encourage the youth to have hopes and visions. This research performed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documentary records and analysis of actual proofs making use of questions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and get information about systematic way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way of systematization and activation for start-up education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The contents of start-up education should give much more weight on a class under discussion rather than lecture, case study and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proper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is necessary. We should activate the start-up education through establishment and supporting start-up groups, simulated start-up, business planning contests, offering an opportunity of start-up incubating, providing start-up capitals, foundation start-up camp and establishing cyber start-up lecture. Bizcool(비즈쿨) program which is developing for the youth start-up, a model school (Korea Digital Media high school, five vocational schools), start-up related institution, the youth start-up desiring group and so on should be networked to hold mutual related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in common and to interchange. In vocational schools, career counseling education of start-up is necessary and we should make students understood the start-up education as well as systematize start-up education making use of C.A activities, the aptitude class and freely allowed class. In addition, start-up education should be done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in relation to vocational high schools, professional schools, industrial schools and universities. Also, if the youth participate in local economy aggressively through the support of some figures who succeed in start-up or entrepreneurs such as internship, and substantial employment or start-up is achieved, the rate of youth unemployment will be decrease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mall business.

      • 체험활동 수업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 중등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은성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급속히 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의 교육 현실은 입시위주, 지식교육, 주입식 교육환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지속되어 왔다.‘전인교육’을 실천이념으로 추구하는 학교 교육의 역할은 기본적 지식교육과 함께 인격형성과 가치태도, 건실한 몸과 마음을 갖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교육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인성교육과 정서함양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미술교육은 미적 체험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조성을 계발하고, 정서를 함양함으로써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고 창의성을 기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미술교육의 바탕이 되는 미적 체험은 인지기능발달, 인간정서함양 등의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2007년 개정 미술교육과정의 중점 내용은 미술의 사회적 의미와 소통, 시각문화에 대한 비판의식 함양, 시각문화 학습 경험 제공 등이 제시되었으며 학습자 주도, 생활중심의 경험, 직접 체험, 교과간의 통합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학계에서는 시각문화교육, 문화예술교육으로 확장되는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교과모임, 학교현장에서 체험활동을 통한 미술교육 및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이 연구,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는 학교여건 및 교육과정상의 제약으로 실행에 어려움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활동 미술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체험활동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성방법을 찾아 학교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중학교의 한 학기 교육과정으로, 구성 절차는‘①교육현장에 대한 사전조사 ②수업시간의 확보와 안배 ③지역사회 연계 가능성 모색 ④각 단계별 체험활동 수업 선택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개발된‘체험활동 미술교육과정안’의 내용은‘Ⅰ.들어가기‘Ⅱ.너와 나 Ⅲ.공간과 삶 Ⅳ.우리를 둘러싼 세상 Ⅴ.마무리’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이 체험활동 미술수업으로 구성된다면, 인지기능발달 뿐 아니라 인성교육 및 감성함양 교육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학교 미술교과의 부족한 시수를 창의적 재량활동과 특별활동 시간을 활용해 구성된다면, 체험활동 수업의 효과가 높아지고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체험활동 미술수업이 학교 축제 및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과정으로 구성된다면, 종합적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교육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체험활동 수업이 한 학기 교육과정으로 구성된다면, 각 단계별 학습이 누적되고 지속되어 학습효과가 높아질 것이다. Continues the criticism that our reality in terms of education is still caught up in college entrance-centered, knowledge-centered, and lecture-based education environment as the modern society is ever-changing. The role of school education, which is supposed to pursue 'whole-person education' as the idea of practice, should contribute to cultivation of personalities, values, sound body and mind as well as basic knowledge education. Therefore,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rather than emphasizing knowledge education only. Art education aims to develop creativity and cultivate sentiments based on various experiences, and thus train well-rounded humans with originality. Aesthetic experiences, which are the basis for art education, are of educational value when it comes to develop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cultivation of human emotion. The key contents of 2007 art education curriculum present the meaning in and communication with society, cultivation of critical thoughts on visual cultures, provision of learning experience for visual cultures, etc. emphasizing learner-led education, experience in daily life, direct experience, and inter-subject education. Recently, discussion on art education expanding to visual culture education and cultural art education is being active in academic circles. In addition, art education through experiential activity in school subject clubs or in class, and educ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re being studied and implemented. In spite of such studies, however,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implementing them due to the limit of school condition and curriculum in education field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s to facilitate experiential activity-based art classes, and develops the curriculum to implement them in school. The developed curriculum is for one semester in middle school, and the procedure is as follows: ① Preliminary research on educational fields ② securing and arrangement of class hours ③ seeking possibilities of connecting the class to the local community, and ④ selecting classes with experiential activity for each stage. The contents are as follows: Ⅰ. Introduction Ⅱ. You and Me Ⅲ. Space and Life Ⅳ. The World Surrounding Us Ⅴ.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en art education contains classes with experiential activity, it can maximize development of cognitive functions, whole-person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emotions. Second, when the insufficient contents of middle school art subject is complemented with creative free activity and special activity programs, the effect of art education with experiential activity will be enhanced and facilitated. Third, when the curriculum of art education with experienti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school festival and the local community, the effect of education as comprehensive culture and art education will be maximized. Fourth, when classes with experiential activity are developed as a one-semester program, the learning effect of each step will be accumulated and last, which enhances the educational effect accordingly.

      •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과과정 비교연구

        이옥선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사회가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감에 따라 교육계에서도 장차 한 국가 나아가 세계를 짊어질 학생들을 양성하는데 큰 영향력을 지닌 교사의 자질이나 전문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추어 학생들의 개성을 그에 걸맞은 개방적인 환경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사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사를 양성하는 전문기관들의 현행 교과과정의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에서는 33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각 사범대학의 요람을 수집하고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여 수학교육과 교과과정에 대한 자료를 모았다. 그 후에 다른 대학들과는 달리 사범대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교직이론영역, 교과교육영역, 교과내용영역 그리고 교육실습영역으로 나누어 자료를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에서 배운 교과를 실제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개선에 대한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compare departments of mathematics educations in 33 Korean universities. First, we review the history of departments, number of faculty members and their majors. Then we review the curricula of each department in detail and compare the courses classified in 8 major fields: algebra, linear algebra, analysis, complex analysis, topology, geometry, probability-statistics and pedagogy. Our investigations are based mostly on the university catalogs and internet homepages. Analysis result, could know that more efforts about course of study improvement are required so that can utilize subject that learn in college in actuality class. Analysis result, could know that more efforts about course of study improvement are required so that can utilize subject that learn in college in actuality class.

      • 眼鏡士 養成을 위한 敎育課程 改善硏究

        박성일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바람직한 안경사 교육과정을 위해서 우리나라 현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부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안경사가 직업집단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알아본다. 둘째 교육과정을 통해 전문직업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려 한다. 셋째 현 안경광학과들의 교육과정을 살펴본다. 넷째 국외 안경광학과 교육제도를 조사, 분석 개선방안을 탐색한다. 다섯째 설문조사를 통해 현 교육과정의 현실성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본다. 위의 연구목적에 따라 얻어진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경사 양성기관은 단기 방안으로 현행 전문대학 2년제 안경광학과에서 3년제로 연장하고, 장기적으로는 4년제 안경광학과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계속적인 교육의 체계가 생겨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안경광학과 교육과정은 실험실습 영역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즉, 이론과 실습 비율이 5:5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안경광학과 교수 구성은 학생 40명당 2명 이상으로 증원하여야 하며 안경광학 전공교수, 보건의학 전공교수, 안경사 출신교수 등으로 교수진을 구성해서 비전공교수들에 의한 강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실습은 과목을 확대하고 실습시간과 실습장소, 기자재, 실습조교 등의 확보 또는 채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evious data for creating of the better opticians and insuring substantiality of the education in junior college. The research groups are consisted of the professor of ophthalmic optics, spectacle wearers, opticians, graduates and students. The nations dealt in this study are U.S.A, Germany, Japan, Philippines and Austral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lated educational systems to specs are generally the four years system. And the dispensing and optometry are divided in function. 2. The social recognitions change for opticians due to increase wearers and they require the opticians to study harder. 3. The relative respondents to education give support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 term. 4. The opticians demand that technical education are provided to them. Because new materials are in the development stage end the spectacle wearers claim new information from opticians.

      • (第7次 敎育課程) 韓國近現代史 敎科書의 偏向性 論難

        김광훈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I have cared about a issue since 2007, when I had worked in Seoul metropolitan council for two years. I often listened to talking about the problem of the progressivism education from educational affairs, school commissioner, Korea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President, School management committee chairman, superintendent, university professor, and so on. And I realized some things they want to claim. After that, I felt sympathy for their thought through interchanging with 386 generation, Korean Teachers & Educational Worker's Union, sociologist, Column List, NGO. So, I think that the problem must not be dealt with by some scholars and groups but be dealt with by everyone directly. A decisive factor was to make my appearance as quest on MBC TV 100 minute debate that discussed the problem. Since then, I have collected information and materials about it, participating in public hearing and seminar tied to it. The bottom line is that it's not just a simple problem of prejudiced text, but it is that Korea's vision and history must be the nucleus in text. Article1 of Korea education law chapter 1 says educational ideal 'under humanitarian's ideal, the aim of education is to serve at a democratic country and to contribute to realizing the ideal of everyone's prosperity as every people has the quality about independent vitality.'. Education is the act or course to raise human being's value. However, education paradigm of Korea had tended to fix as the ideal of government after modernization in Korea. After 1987, trouble about the left and right factions appeared. But Korea's history book that had some trouble at every turn about it organized newly in 2002 when Korea's seven-education course revision was adopted under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In July, 2008, a problem about education influenced by ideological prejudices was on the rise. Text forum and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Industry as well as six groups raised an objection of that, claiming 253 parts of the contents of the book were written tendentiously. And Kim do-yeon education minister said that teenagers have an anti-American and an anti-market sentiment due to prejudiced education under the atmosphere that ideal offensive about the text was blowing powerfully through economic world and a conservative scholar as the central figure. In Oct, 2008 education department ordered self-imposed correction about 102 parts and revised advice about 55parts of textbook of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Publishing companies and writers insisted that the revised bill insisted as collecting various opinion the academic and reflected opinion of the actual education spot was only about a few words and it undermined the purpose of the approval certificate text that guaranteed a diversity. revised directions that is of a high lever than revised advice was ordered about some item that was reflected according to the first revised written advice of May in 2008 or had inadequacy or strange 41 parts of itself-retouching contents of publishing companies. About this, education department insisted that we state orthodoxy about the establishing of the government and pride about Korean history in text to form right values about understanding of Korea and Korean history. On Nov 3, all publishing companies finished the fixing about it in accordance with education department. However, it was not the end. author conference issued a joint statement against government and publishing companies on Dec 4, 2008. On Dec 12, 2008, writers of Kum sung brought a lawsuit about infringement of copyright to apply for provisional disposition against the fixed contents of the text, but it was rejected on Jan 8, 2009. On Feb 24, 2009, the lowyer party for demoncratic society and the national history teachers' party met the press and warned about the revised bill in 2008. It means that it was on one-sided bill. They stressed that education department minister's order was not only th shake the foundations of official approval instrument but also to violate the freedom of study and act to destroy independence and speciality of education. Besides, they also stressed that this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not the action for only protecting writers' right but for guarding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of study guaranteed by constitution. This is not yet finished. The problem of biased contents can be dealt with various view such as educational, contemporary historical, social, political, and journalistic view through this thesis. However, up to now there is no precedent for thesis dealing with the contents and over there, a learned journal even has not dealt with cause about it exactly and clearly. In news, magazines and public hearing, It wasn't also dealt with. They expressed only their own one-way claim. Thus, this thesis that is the first mentioning inclination of textbook of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the aim not to claim writer's own assertion but to measure how we can judge the Korean history uprightly and to have evolutive direction with educational and contemporary historical views as parading and organizing the chain of events and evidence objectively. 교육이란 ‘인간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행위 또는 그 과정’이다. 천하의 근본인 아이들을 가르치고, 능력을 개발시키고 사회를 발전시키며, 국가의 백년을 전망할 수 있는 근간이자 비전이며 목표, 그것이 바로 교육이다. 결국 교육은 미시적 행동이나 행위가 아닌 거시적 국가의 이념이자 아젠다 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동안 정권의 가치와 목적과 이념을 중심으로 교육의 페러다임을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 가려는 경향이 있었다. 1987년 이후 좌우 이념 논쟁은 사라졌지만, 광복 이후에 교과과정의 개정 때 마다 문제시 되었던 우리나라의 역사교과서는 7차 교육과정개정이 실시된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2년 한국근현대사 교과서과목으로 신설되었다. 그러나 이후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으며, 특히 이명박 정부 출범이후에 좌편향과 우편향의 입장차로 더욱 문제시 되고 있는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편향성의 문제를 대한민국 정부수립 60년이 지나고, 기미년 3.1운동 90주년을 맞이하는 이 시점에서 다루어 보고자 했다. 교과서 편향성의 문제는 여러 방면으로 다루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하는 교육학적 관점이나 현대사적 관점은 물론이거니와 사회학적 관점, 정치학적 관점, 행정학적 관점, 그리고 저널리즘으로도 다루어 질 수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서, 아직까지 이와 같은 주제로 논문은 단 한편도 발표되지 않았고, 학술지에서도 문제의 원인이나 내용조차 명확하게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신문과 잡지, 공청회에서도 자신들의 일방적인 주장을 피력하는 것일 뿐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방안은 다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인은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편향성 문제를 최초로 발표하는 이 논물을 통해서 본인의 주장을 피력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사건을 객관적으로 나열하여 정리함으로써 교육학적이고 현대사적인 관점을 통해서 앞으로 우리들이 어떻게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에 대해 평가하고, 올바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