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와 이의 교육적 전환을 통한 초등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이주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21세기의 인재는 무엇보다 미래의 융복합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누구도 생각하지 못하는 창의적 생각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가의 창의·융합적 사고가 학생들에게 교육적 전환을 통해 적용되었을 유의미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대표적인 창의적 현대미술가로 백남준을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2009, 2015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과 교과서의 작품 수, 기존에 교사들의 설문조사, 현대미술에서 백남준의 중요성이 대두 사회문화적 맥락 때문이다.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의 창시로만 알려져 있지만 그의 분야와 장르를 넘어서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백남준의 사고를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창의·융합적 사고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창의·융합의 개념이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에게 다소 산발적이고 통일되지 않았으며 창의·융합 교육이 STEAM프로그램과 동일한 맥락에서 교육되어 학생들에게 활동의 과중함과 부담감으로 이어져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백남준 교사 설문에서 백남준을 창의적 현대미술가로 인식하기는 하나 미술수업에서는 제대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교육활동에서 소극적으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창의적으로 평가 받았던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를 이끌어내고 교육적 전환을 통해 초등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우선 산발적인 창의·융합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학술지, 학위논문, 단행본, 2009 및 2015 개정 미술교육과정과 미술 검정교과서를 분석하였고 현장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를 백남준의 문헌연구를 통해 과정적 요소로 1)예술가의 사유 2)방법으로서 콜라주와 협업 3)문제해결을 꼽아 미술수업에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 요소 1)소리(음악) 2)테크놀로지 3)시공간 4)관객참여 5)행위였다. 백남준 창의·융합적 사고의 교육적 전환의 내용은 ‘미래에 대한 상상과 참여적 소통’ ‘새로운 매체의 자발적인 선택 및 활용하기’, ‘학생-학생, 교사-학생과의 협업’, ‘이질적인 요소 더하기’로 창의·융합적 사고 증진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4차시 이루어진 세 개의 미술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1차시는 보이지 않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공감각에 대한 내용, 2차시는 미래에 대한 사유로써 로봇과 인간의 미래에 대한 상상, 3차시는 소통을 주제로 학생중심 활동을 통해 미술표현 매체를 선택하고 협업하여 기능을 익히며 시각적 표현에서 만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수업방향으로 설계하였다. 끊임없이 미래를 내다보며 인간과 기계가 공동으로 진화하는 미래를 그려내었던 백남준에 기반을 둔 창의·융합적 사고 증진 미술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제시되길 바란다. 또한 창의·융합 미술교육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4차 혁명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각적 사고능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미술교과와 미술 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되기를 희망한다.

      • 탈 동독 이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통일 대비 이주정책에 대한 시사점

        이주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그 동안의 한반도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통일의 ‘가시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구체적인 행동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통일 전후의 대규모의 이주사태는 통일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 체계적으로 준비되어야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독일 통일 전후의 동독에서 서독으로의 이주를 분석하여 남북한의 통일 상황에 대비하고, 통일과정에서 발생될 북한주민의 대규모 인구이동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독일사회경제패널(G-SOEP)를 활용하여 독일 통일을 기준으로 1989년 이전과 1990년 이후의 탈 동독 이주민을 구분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현재 북한 이탈주민과 통일 이후 탈북 이주민으로 대응될 수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두 집단의 구성과 특성이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탈 동독 이주민의 특성이 서독에서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탈 동독 이주민의 인구 사회적 특성과 고용관련 특성이 서독에서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89년 이전과 90년 이후 탈 동독 이주민 집단에서 모두 대졸의 삶의 만족도가 고졸보다 낮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가구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반도 통일 상황에서 탈북 이주민의 소득과 노동시장참여를 높이는 것이 남한사회의 적응을 돕는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준다. 이를 위해서는 학력연계 및 재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직업교육프로그램을 재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대도시와 중소도시 중학교 수학교사간의 ICT 활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비교연구

        이주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전주시의 수학교사를 중심으로 서울시 수학교사와 비교를 통해 정의적인 측면에서 ICT 활용수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주시 수학과 교사들이 ICT 활용수업 및 ICT 의 생활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호 작용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를 다루는 능력은 전주시와 서울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활용수업 실태는 전주시와 서울시 두 도시 간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활용수업의 활성화 방안은 전주시와 서울시 두 도시 간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주시와 서울시 중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2008년 8월 중순부터 11월 말까지 인터넷과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배부․회수하여 통계․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설문지는 인터넷 자료에 실린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자가 개작한 설문지를 사용, 총 36문항으로 배경사항, 기초사항, ICT 활용능력, ICT 활용수업 실태, ICT 활용수업의 활성화 방안의 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k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ICT 를 다루는 능력은 전반적으로 전주시 수학교사가 서울시 수학교사보다 더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두 집단 간 ICT 활용 횟수에는 전주시가 서울시보다 높았지만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주시 수학교사와 서울시 수학교사 모두 ICT 활용수업을 주당 1회- 2회 이하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ICT 활용수업을 거의 하지 않는 이유에 전체 전주시와 서울시 수학교사의 60% 가 교과에 맞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셋째, 두 집단 간 효과적인 ICT 활용수업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전주시 수학교사의 대부분은 S/W 및 인터넷 사용능력․ 전문지식 습득을 위한 본인의 자율연수 그리고 학교의 노후 된 시설과 인터넷 접속 향상을 꼽았다. 서울시 수학교사의 대부분은 교육청 단위 ICT 활용 연수의 횟수․ 대상인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1.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actical operation condition and the way to revitalize the methods on the aspect of definition from the junior-high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and seoul. Also, this study is to find the interactive way of operating ICT by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both the application of the apparatus on the classes and the practical use of it. For these goals, we set up 3 main subjects following below; Subject 1. What is the differences of the handling capability on ICT of the teacher groups in Seoul and Jeonju? Subject 2. What is the differences of the condition of operating ICT device in the class of both groups? Subject 3. What is the differences about revitalizing plans on classes with the ICT apparatus by both groups? 2. The Researching Method To analyze these subjects, the questionnaire subjects to the mathematics teachers of Jeonju and Seoul was distribu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Internet or Postal services from Mid-August to Late of November in 2008 for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rchive. The Research was based upon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material, with 36 questions in 5 area - Background, Basic Knowledge, ICT operation capability, Actual Condition of ICT Operation and Revitalization of ICT operating classes -, and the process of this data was done with and by SPSS 12.0 kor.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3.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mathematics classes with ICT operation, we could obtain three distinct results that following below. Of those two groups,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have more capability of operating ICT. They had 5% of difference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Also the frequency of operating ICT system in Jeonju was higher than that of Seoul,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5%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operated ICT program only twice in a week or lesser than that. More than the state, about 60% of interviewees were not able to operate the system appropriately in teaching mathematics. And finally on the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of practical operation of ICT in the classes, they had some difference in 5%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Most of the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mentioned the capability of using S/W and the internet services, more individual training course to learn the specialty, the outdated structure of the school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et connectio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ose teachers in Seoul suggested that the enlargement of the classes and the augmentation of the personnel for the ICT operation training course is necessary.

      • PD-1과 CTLA-4를 억제하는 치료용 항체에 대한 구조적 고찰

        이주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s induced by the recognition of antigenic peptide/HLA (human leukocyte antigen) complexes by T-cell receptors are suppressed by signals mediated by negatively regulatory proteins called checkpoint molecules. Checkpoint proteins are expressed in cancer cells and cancer cells avoid immune surveillance by suppressing immune responses through these checkpoint molecules. As the blockade of checkpoint molecules, PD-1, PD-L1 and CTLA-4, using monoclonal antibodies, has been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I carried out the structural studies of antibodies in complex with checkpoint molecules. In this study, the crystal structures of CTLA-4/tremelimumab, PD-1/pembrolizumab, and PD-1/nivolumab were determined. Through the structural results, we could identify each binding site and the regions involved in binding. And, this allows us to propose a small molecule modulator. Here, the structural studies to determin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f these antibodies with checkpoint proteins elucidate the epitopes and mechanism of actions of these therapeutic antibodies. T 세포 수용체에 의한 항원성 펩타이드/HLA 복합체의 인식으로 유발되는 T 세포 매개 면역반응은 checkpoint 분자로 지칭되는 음성조절 단백질에 의해 매개 되는 신호로 억제된다. 그 checkpoint 단백질이라고 지칭되는 것들은 암세포에서 발현되며 암세포는 이러한 checkpoint 분자들을 통해 면역을 억제함으로써 면역감시를 피하게 된다. PD-1, PD-L1, CTLA-4 들을 단일클론 항체들을 이용하여 막는 방법의 치료법이 발달함에 따라 항체와 checkpoint 분자 간 사이의 구조들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CTLA-4/tremelimumab, PD-1/pembrolizumab, PD-1/nivolumab의 복합체 구조 규명에 성공하였으며 각각의 결합부위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작은 분자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결합에 중요한 부위를 확인함으로써 이들 항체치료제들의 에피토프와 작동기작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

      • 결혼이주여성의 음악적용 한국어학습심리프로그램 개발

        이주연 大田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program for facilitation of Music-based Korean Learning Psychology Program,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Music-based Korean Learning Psychology Program on the listening-speaking and Psychological factor(stress response, depression, anxiety) of marriage-based migrant women, so that it is designed to examine if there is any significant changes in improvement of listening-speaking and reduction of Psychological factor(stress response, depression, anxiety) of marriage-based migrant women after implementing the Music-based Korean Learning Psychology Program in the education for the marriage-based migrant women A total of 10 marriage-based migrant women,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Korean Learning Psychology Program,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consisted of 5 women. The Music-based Korean Learning Psychology Program was carried out ten times in total, as the duration of programmed activity was 120 minutes at each time and it was carried out one time per week for 10 weeks. The data collected after implementation of pre- to post-survey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hich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based Korean Learning Psychology Program on the listening-speaking and Psychological factor(stress response, depression, anxiety) of marriage-based migrant women,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19.00 analytical method. And the specific analy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follows. The analysis of covariance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usic-based Korean Learning Psychology Program on the listening-speaking and psychological factor(stress response, depression, anxiety) of marriage-based migrant women.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gram, to which the Music-based Korean Language Psychology Program was applied, had improved the listening-speaking ability, raising the pre-numerical value of M=18.20(SD=7.94) to the post numerical value of M=27.40(SD=11.80). In terms of the changes in stress response and anxiety, they were identified that the stress had reduced significantly from pre-numerical value of M=88.80(SD=29.55) to the post numerical value of M=73.2(SD=22.62), that the anxiety had reduced significantly from pre-numerical value of M=84.60(SD=25.42) to the post numerical value of M=69.80(SD=15.1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COVA, in which the score of pre-investigation was taken as the covariate, it 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listening-speaking ability, showing the numerical value, F=4,645 P<.05. And the results of ANCOVA carried out for psychological factor(stress response, anxiety)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showing the numerical value, F=6.292, P<.05, F= 2.741, p<.05. According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Music-based Korean Learning Psycholog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psychological factor(stress response , depression, anxiety)of marriage-based migrant women,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listening-speaking ability .

      • 초등학생의 성격유형,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 연구

        이주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유형, 기질유형 및 성별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격유형의 선호지표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기질유형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별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성격유형이란 사람의 성격을 독특한 개성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것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E. Murphy와 G. Meisgeier가 개발한 MMTIC 성격유형 검사를 통하여 분류된 선호지표 및 기질유형을 성격유형이라 하였다. MMTIC는 성인용 성격유형검사인 MBTI와 같이 외향성(E)-내향성(I), 감각형(S)-직관형(N), 사고형(T)-감정형(F), 판단형(J)-인식형(P)의 지표에서 각 개인이 선호하는 네 가지 선호성으로 구성된다. 자아존중감이란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하여 형성하고 유지하고 있는 평가로서 자신을 유능하고 중요하며 가치 있다고 보는 정도를 의미한다. 자신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태도로 표현된다.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환경에서 부모, 교사, 친구 등의 태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자아존중감은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및 학교 자아존중감으로 구성된다. 교우관계란 두 사람이 애착, 호감, 관심 등을 가지고 상호 작용하는 인간관계로서 흔히 친구관계라는 말로 표현된다. 초등학생은 학급에서의 교우관계를 통하여 다양한 상호 작용을 경험하고 사회적인 발달을 성취하게 된다. 교우관계는 유사성, 근접성, 호혜성, 친밀성 등의 요인을 통하여 형성되며, 구성요인으로는 신뢰감, 존중감, 친밀감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6학년 16개 학급을 선정하여 성격유형검사 및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MMTIC 성격유형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교우관계 검사를 사용하였다. 선호지표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기질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검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유형의 선호지표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우관계와 교우관계의 하위요인인 신뢰감, 존중감, 친밀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질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우관계의 하위요인인 친밀감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및 교우관계의 하위요인인 신뢰감, 존중감, 친밀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격유형 선호지표, 기질유형 및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 형성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교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의 원만한 발달을 위하여 성격유형, 기질유형 및 성별에 따른 개별화 지도를 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에 대한 인성 지도를 개별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 재외문화원을 통한 문화외교 활성화 방안 연구 : 시각예술분야 활동을 중심으로

        이주연 동덕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국제관계의 중심은 군사력, 경제력이 강조되는 전통적 국력(Hard Power)에서 연성권력(Soft Power)으로 점차 옮겨가고 있다. 외교에 있어서도 ‘문화’를 수단으로 하는 문화외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문화외교’란 문화라는 수단을 통해 국가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발현하여 대외적으로 국가이미지를 고양시키고 국가이익의 실현을 최대화하는 외교정책이다. 해방 후 1948년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문화외교정책에 대한 흐름 및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면 시대에 따라 문화외교정책에 있어 어떤 변화와 발전을 이루었는지 알 수 있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해방과 건국의 혼란 속에서 무엇보다 절실했던 것은 우리 민족이 오랜 역사를 통해 존재해 왔으며 독립국을 이루어야 할 자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일이었다. 따라서 정부 수립 후 제 3공화국까지 우리 문화외교는 부진을 면치 못했던 것이 사실이지만, 문화외교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1960-70년대에는 해외홍보가 안보적 차원의 과제로서 정책 우선순위에 놓이게 되었다. 이 기간의 문화외교는 70년대 초반 초기 한국의 발전상을 알리는 데 주력하면서, 미국에 편향된 문화외교를 전 세계를 상대로 다변화해야 한다는 의식의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였다. 1980년대는 올림픽을 전후하여 우리 문화외교 대상영역이 동구권 및 비동맹권으로 폭넓게 확장되고 균형 있는 문화외교를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1990년대로 들어와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설립과 함께 문화외교에 대한 본격적인 전개가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에는 문화외교의 국가적 범위와 내용적 지평이 확대되고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우리 문화외교의 궁극적인 목표는 타국 및 국제무대에서 ‘자국의 영향력을 증대하는 것’으로 글로벌 코리아(Global Korea: 성숙한 세계국가) 구현을 통한 연성국력을 제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숙한 세계국가’ 실현의 일환으로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를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을 중심으로 정부의 대표적 문화외교 기관인 재외문화원이 문화외교 활성화에 있어 큰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외교의 역할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재외문화원을 통한 우리나라의 시각예술분야 문화외교 활성화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문화외교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토대로 해외 한국문화원들의 시각예술분야 활동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함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시각예술분야의 문화외교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재외문화원들의 시각예술분야 사업은 우선 문화외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우리나라 시각예술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여 많은 방문객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다양한 시각예술 프로그램들이 부재하며, 문화외교정책 관련 부처 간의 유기적 연대가 부족하고, 인력의 전문성과 유연성이 확보되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재외문화원의 잠재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시각예술분야에 있어 효과적이고 발전적인 문화외교정책을 수행하는데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재외문화원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중․장기적인 계획수립으로 시각예술분야의 사업의 내실화를 꾀하고, 쌍방향으로 문화교류를 증진하며 민간부문의 문화외교활동을 강화하고, 홍보체계의 경로를 다양화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재외문화원을 통한 시각예술분야의 문화외교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먼저 공공외교의 핵심으로서 문화외교의 중요성을 환기하며 문화외교에 대한 적극적인 관점을 재정립하고, 재외동포 및 국내 외국인에 대한 문화적 관심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시각예술 프로그램에는 작가 레지던스 프로그램 개발, 공동제작 프로젝트, 학술회 및 워크샵 등 활성화, 다양한 장르 전시, 학교와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청소년, 청년 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 또한 문화교류의 허브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각국에 상황에 적확한 시각예술 자료의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문화원 간 교류를 강화하며, 국내외 민간부문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오늘날 문화외교의 본질인 쌍방향 문화교류를 바탕으로 시각예술분야의 문화외교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cus of the present international relations i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traditional Hard Power which emphasizes military and economic strength to so called Soft Power. What concerns foreign policy, the interest in cultural diplomacy which uses 'culture' as it means is increasing. The so called 'Cultural Diplomacy' is kind of foreign policy which uses means of culture to reveal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nation thus promoting the image of the nation abroad and enlarging the national merits. After analyzing the flow and paradigms of Korean cultural diplomacy since the liberation in 1948 till nowadays, changes and growth of cultural diplomacy were noticed to be carried out depending on the period. Due to the chaos caused by liberation and establishing the state, the thing which was stressed most even until 1950 was to show to international society that Korea exists till nowadays with a great history and it has a right to establish its own independent state. Hence it is true that Korean cultural diplomacy made almost no progress since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till the 3rd republic, but it is significant that there were efforts to prepare for the most appropriate moment to start the cultural diplomacy. The information for the foreign countries in the period of 1960-1970 was subjected on the security and it was considered to take one of the first places in the preference ranking of policy. Cultural diplomacy of that period had perceived the principal aim of the public relations with foreign countries to focus its efforts to inform about the development of Korea in the first part of 70s and the diversification in the cultural diplomacy inclined toward the USA, thus it was the period when the need to face whole world was brought into consciousness. 1980s being the decade of Olympics was the period when the target territory of Korean cultural diplomacy was expanded widely into East European bloc and nonaligned nations, thus preparing basis to develop the balanced cultural diplomacy.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diplomacy began in the 1990s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Foundation, and the basis of cultural diplomacy was extended and became even more various in the 2000's. The final aim of Korean cultural diplomacy is to raise the Soft Power through the realization of Global Korea (Mature Nation of the World) 'enlarging the influence of our country' in foreig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stage. Hence the raise of national brand value is being promoted very enthusiastically while the official directions are being linked to the realization of 'Mature Nation of the World'. For that reason Korean Cultural Centers being the representative governmental organs based on th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under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re executing a big role in the cultural diplomacy activation. Hence this research is analyzing the role and necessity of cultural diplomacy, and is trying to grasp the development scheme of cultural diplomacy activation in the field of visual arts of Korea through the Korean Cultural Centers. I researched the actual contents of activities of Korean Cultural Center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and the cultural diplomacy activation scheme matching to the real situation of Korea. The main problems of Korean Cultural Center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are as following. Firstly it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diplomacy. As well, it is the absence of various visual arts programs which could attract the attention of visitors making them to be more curious about Korean visual arts. Moreover the organic solidarity between the government departments and offices which are related to the cultural diplomacy is insufficient. Finally the professionalism and flexibility of workers fail to be secured. Hence the deep and expansive cultural diplomacy in the field of visual arts fails to be executed. We have to make the substantial plans of the Korean Cultural Center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with the help of long-term planning, to increase the mutual cultural exchanges and to strengthen cultural diplomacy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to construct the network of informational system. Consequently when suggesting the development plan of cultural diplomacy activation in the field of visual arts through the Korean Cultural Centers, firstly we need to re-establish the positive point of view towards the cultural diplomacy in order to re-establish the point of view towards cultural diplomacy as the core of official diplomacy, as well the cultural interest of overseas Koreans and Korean residing within the country is necessary. What concerns various programs of visual arts, the development of the author residence programs, join production projects, art councils, workshops, exhibitions of various genres, development of programs connecting schools, the activation of younger generation exchange programs are necessary. Moreover the construction of archiving systems, the active exchange between Korean Cultural Centers, the application of the public sector network inside the country and abroad are necessary in order to take the hub role of world-wide cultural exchange properly. Such activities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mutual cultural exchange that is the essence of cultural diplomacy of nowadays and the activation of cultural diplomacy in the field of visual arts.

      • 중·장년 여성의 치매인식도와 치매예방교육요구도 조사연구

        이주연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 진입 이후 노인인구의 증가로 많은 사회적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중 치매는 노인성 질환 중 하나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유병률이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미래의 노년층인 중・장년 여성의 치매예방 행위가 점점 중요시 되고 있다. 치매예방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보건교육적 프로그램은 치매의 효과적인 사전관리와 이로 인한 의료비용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한 노년을 준비해야 하는 중・장년 여성을 대상으로 치매 인식 정도와 치매예방 교육요구 정도를 알아보고, 두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주부대학, 치매센터 및 보건소를 이용하는 45-64세의 중・장년 여성 18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치매인식도는 서울시광역치매센터(2013)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치매예방 교육요구도는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교육 자료집(2009)을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내용 구성한 도구를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Version 19.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에서 평균 59.9세로 55-64세인 장년기가 89.9%로, 학력은 13년 이상이 37.2%로, 직업은 주부가 56.4%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치매관련 특성은 치매관심 정도에서‘매우 관심이 많다’가 57.4%로, 치매지식 정도에서‘조금 알고 있다’가 63.8%로 가장 많았으며, 치매관련 정보를 접촉경험 여부는‘있다’가 73.4%로 많았고, 치매지식 습득경로는‘방송’이 45.8%로 가장 많았다. 3. 대상자의 치매인식도는 중∙장년 여성이 가지고 있는 치매에 대한 인지와 정보보유 정도로 총 평균 점수는 7.5점이었다. 치매인식도 영역별 분석 결과‘치매환자의 조호’(36.7%)는 가장 높은 정답률로 나타났으며, 반면에‘치매의 예방 및 치료’(18.1%)는 가장 낮은 정답률로 나타났다. 치매인식도 문항별 분석 결과에서는 가장 높은 정답률의 문항은‘치매에는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된다.’(88.3%)이었으며,‘오래 전 일을 기억하고 있으면 치매가 아니다.’(28.2%)는 가장 낮은 정답률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치매예방 교육요구도는 중∙장년 여성이 치매전문 인력으로부터 교육받기를 원하는 치매예방교육으로 총 평균 점수는 23.8점이었다. 그 중 가장 높은 요구도의 문항은‘치매예방을 위한 정신건강’으로 항목별 평균점수는 2.6점(3점최대값)이었으며,‘치매예방을 위한 인지증진프로그램’은 항목별 평균 점수 2.3점(3점최대값)으로 가장 낮은 요구도의 문항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인식도는 학력이 높고(t=5.352, p< .001), 치매관련 정보 접촉경험 있는 그룹(t=2.6, p< .013)에서 치매인식도가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예방 교육요구도는 치매관심 정도(t=3.916, p< .049), 치매지식 정도(t=4.499, p< .035)가 높은 그룹과 치매관련 정보 접촉경험이 있는 그룹(t=7.391, p< .023)에서 치매예방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관심과 지식의 정도가 높고, 치매관련 정보의 접촉 경험이 있을수록 치매예방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치매인식도와 치매예방 교육요구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최근 높아지고 있는 치매 관심도를 반영하여 과거보다 치매 인식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제공은 되어가지만, 치매인식도 연구결과를 통하여 올바른 치매지식 정보제공이 필요하고, 치매예방 교육요구도 연구결과에서 치매예방 인지프로그램의 항목이 가장 낮았지만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 때 치매예방교육에 대한 인지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대상자에 따른 차별화되고 좀 더 심화된 맞춤형 치매예방교육이 필요한 과도적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상자의 수준에 맞게 치매예방에 대한 기본, 중급, 심화과정의 수준 별 치매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보건정책차원의 물적, 인적 자원에 대한 적극적 지원 하에 치매 전문인력 양성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들을 치매예방교육의 체계적인 기획 하에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장년 여성의 치매예방 교육프로그램 기획에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