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기술훈련 스크립트 적용이 초등학생 학습부진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안소연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51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과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반복된 실패의 경험으로 인하여 자존감도 떨어지고 결국 학교생활에 적응을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종종 있다. 바로 이들이 학습부진아라고 지칭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에 들어서면서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학생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학업능력을 발견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전반 과정을 스스로 해나가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는 방법으로 학습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습에 필요한 기술을 스크립트의 형식으로 구성한 후 이를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부진아 학생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는지 이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정도는 권응환(2004)이 제시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습자아개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 K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다. 주 2~4회 11주에 걸쳐, 총 1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학습기술훈련적용수업은 변영계와 박한숙(2004)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주요 기술의 스크립트를 추출하여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얻어진 자료로 학습기술검사와 사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기술훈련 스크립트 적용은 초등학생 학습부진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습득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습기술훈련 스크립트 적용은 초등학생 학습부진아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하위 영역인 학습 전략 습득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학습 동기 향상과 학습 자아 개념 형성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학습기술훈련 스크립트의 적용은 초등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 요소 중 학습 전략 습득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부진아 지도에 있어서 결손 된 학습 내용에 대한 보충 지도뿐만 아니라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 또한 병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학습부진아 학생들이 학습기술을 익힘으로써 학습에 관련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부진아에 대한 지도가 변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다양한 발상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박효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0

        본 논문은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발상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한 것으로 학생이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다양한 발상법의 개념과 종류 및 미술교육적 의의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연구하고 디자인 교육의 이해 및 표현 능력,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및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의 함양에서 더 나아가 성찰의 기회를 통한 작품의 완성도 함양을 위한 본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학교 현장을 잘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현장적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재 중학교 미술교육에서의 디자인 교육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상법의 종류의 한정적이며 발상법을 활용한 디자인 교육의 내용은 찾아볼 수 없었으며 현장에서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다양한 발상법을 활용한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앞의 이론적 내용의 연구와 교육 현황의 분석을 토대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디자인 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계획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계획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디자인 프로세스, 자기 주도적 학습 모형, 창의적 문제 해결법을 선정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자발성을 이끌어내어 자신만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재구성하여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학습에 의한 학습 모형을 선정한 후 학생들의 실제 생활에 관련된 의·식·주의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발상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인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현재 생활에 적응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여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제 4장에서는 3장을 토대로 다양한 발상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적 효과로는 첫째, 발상법을 활용한 동기 유발 향상 및 창의·융합 능력이 향상되었고 둘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및 평생 학습 능력이 신장되었으며 셋째, 자아 성찰의 기회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발상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인 디자인 교육이 등한시되고 있어 다양한 발상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실제 교육 현장에 활발하게 실행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자기 주도적인 개별 활동 및 팀 활동의 유기적 활동 확장이 필요하며 발상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과 실용적인 디자인의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발상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의 실제 생활에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의 함양을 통해 평생 학습이 가능해질 것이다. 학생의 전 생애에 걸쳐 끊임없이 자발적으로 성장·발전해 나가며 전인적인 인간으로써 질 높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음에 교육적 의의가 있으며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함양을 중점으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학교 현장에 널리 적용되길 바란다. This thesis has developed a self-initiating design education program using various thinking metho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foster self-initiating art learning ability that student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classes. In order to do this, we explored various kinds of art, concepts of thinking methods and theoretical contents of art education significance. Also, we investigated the need for this program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through the opportunity to improve design education, the ability to solve creative problems, and the ability to foster innovative art learning skills. In addition, to enhance on-site adaptation of the program which reflects reality of current school education. we analyzed statistics of design education in current middle school art educ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design education using thinking methods were not activated completely and were activated limitedly. Therefore, we can know the necessity of design education using various thinking methods in middle school art education. In chapter 3, a study of design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eoretical contents and education. Based on this plan, the design process was selected by choosing design process, self-initiating learning models, creative learning models, and taking the spontaneity of students depending on their own experiences. After selecting a study model, we developed a lifestyle design education program using various ideas related to the actual life of students. Through this, students have developed a foothold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current lives and foster problem-solving skills. In chapter 4, we explored the educational effect of self-initiating design education program using various thinking methods based on chapter 3 and made a conclusion to activating this method. Firstly, the method improves development of motivation and creative ability. Secondly, it enhances self-initiating education ability and lifetime education capability. Third, it provides lots of opportunities of self-reflection. Despite this educational effect, however, the school's educational background has been neglected so for. So, we suggested a plan to revitalize the educational system. The activation plan requires an organic expansion of individu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programs and practical design contents. Various ideas on how to design a variety of thoughts will be able to solve creative problems creativity in student life, and will be able to learn lifelong learning through cultivation of art skills. In conclusion, we hope that study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cultivation of self-initiating art will continue to be applied to real school education site.

      • 도서관활용수업이 사회과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백미자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49

        시민적 자질의 육성을 교과 목표로 삼는 사회과는 고도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에 주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나 태도를 육성하기 위해 최근 많이 개발되는 다양한 형태의 교수&#8228;학습 정보 활용을 통한 사회과 학습능력,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보 자원의 집적체인 도서관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변화를 거듭하는 정보사회 학습 환경에 적합한 학습능력을 습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정보 자원의 집적체인 도서관활용수업에서 Big6 Skills 정보활용 모형 적용을 통한 사회과 교수&#8228;학습의 기회를 넓히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서관활용수업은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다양한 자원, 그리고 인적 자원과의 협력을 통해 교과 수업을 전개함으로써 교수&#8228;학습 효과를 높이려는 교수&#8228;학습 활용을 말한다. 따라서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도서관의 다양한 정보와 매체를 사회과 교수&#8228;학습에 통합적으로 적용하였으며, 도서관활용 사회과 교수&#8228;학습을 전개하고 도서관활용수업이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우선 정보사회에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도서관활용수업의 영역 및 방향, 도서관을 통한 Big6 Skills 정보활용 과정 및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과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 대상 학교 도서관 현황 및 학습자와 본 연구 지역 사회과 교사를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 과정안을 설계하고 중학교 3학년 사회과 중 역사교과를 적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중학교의 3학년 6학급으로 하였으며, 실험반과 비교반을 따로 두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은 전체 학생에게 사회교과 학습능력과 정의적 요인에 대한 검사를 설문지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기본학습력 신장을 위해 도서관활용수업을 통한 결과를 <1. 사회 교과에 대한 인식, 2. 도서관 활용 수업에서 정보활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으로 구분하여 비교&#8228;분석하였다. 사회 교과에 대한 인식의 결과를 5개 영역으로 하고, 도서관활용수업에서 정보활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결과를 4개 영역으로 전후 설문조사 한 다음 그 결과를 백분율에 의하여 단순 비교&#8228;분석하였다. 수량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수업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등은 소감문의 형식으로 쓰도록 하였다. 학업 성취도는 1학기와 2학기에 충청남도교육청에서 실시하는 출제경향성 평가(학력진단 평가)의 결과를 비교&#8228;분석하였다.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황지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35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디지털 대전환의 핵심 기술이자 4차 산업 혁명의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의 혁신을 일으켰다. 미래에는 인공지능 역량을 갖춘 인재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므로 성공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 과정을 간단한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안을 제시하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문제 해결력 함양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생 스스로 무엇을 학습할지 선택하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학습에 책임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나가는 자기주도적인 사람이 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실생활의 문제를 바탕으로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인공지능 학습 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국내외 인공지능 내용 요소들을 추출한 후 문제중심학습 모형 절차에 따라 지도학습의 원리 및 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는 총 6차시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6학년 4학급 중 2학급의 실험집단에는 문제중심학습 기반 인공지능 교육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강의식 수업으로 인공지능 교육을 실시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문제중심학습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는 유의한 향상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인공지능 학습 성취도 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개념과 원리를 다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학생들이 인공지능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확장되기를 바란다.

      • 지층과 화석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중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35

        이 연구는 과학 ‘지층과 화석’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대상자는 경북 구미시 지역에 위치한 O초등학교 4학년 1개반 32명을 실험 집단으로 하고, 그와 동질적인 1개 반을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우주와 지구영역 중 4학년 ‘지층과 화석’ 단원을 문제중심학습으로 재구성하여 12차시로 편성하여 6주간 적용하였다. 또한, 집단의 동질성 및 수업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검사지는 Guglielmino(1977)가 개발한 검사지를 이은희(2008)가 수정‧보완한 검사지이며 과학적 태도 검사 검사지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것을 한국교원대학교 수업 모형 연구팀이 재편집된 검사지를 활용하였고 사전‧사후 검사지 분석 통계 프로그램은 spsswin 22.0을 활용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통제 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간의 차이 검증을 하였으며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층과 화석’ 문제중심학습 모형으로 재구성한 것이 교과서 순서대로 가르치는 수업의 방법에 비해 학생의 흥미나 관심을 가지게 하고 문제에 대한 주인 의식과 협동적 의사소통을 통해 정모를 처리․해결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적 태도 영역에서 초등학교 과학과 4학년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문제중심학습 수업이 일반적인 수업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과학 ‘지층과 화석’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적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되며, 일반적인 수업에 비해 교과에 대한 흥미와 관심 및 협동적인 의사소통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적응적 웹 학습자료와 비적응적 웹 학습자료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국어과를 중심으로

        양연숙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33

        Web Based Instruction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by providing adaptive materials for learning on the web. Adaptive materials for learning on the web provides control of learning program with as many learners as possible and is composed of menu adaptation, progressive adaptation, learning material adaptation, learning category adaptation, and message adaptation as a condition that individualizes interface of learning environment, depending on learning purpose and ability of learners. This study have demonstrated enhanc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with experimental evidence, by developing a learning material adaptation method that is one of the functional factors in the adaptive web based instructions. Thus, we prepared the theoretical evidence that can develop adaptive materials for learning on the web and non-adaptive materials learning materials (fixed learning materials) by exploring adaptive learning, learning materia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and then applied these materials to the learning situation. We selected two groups of the fourth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ing materials on the web enhanced significantl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3.21, p<.05). but the presence of adaptation in learning materials did not(t=1.84, p>.05). So learning enhancement was unlikely to be obtained by the learning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Second, the group that had used adaptive materials for learning on the web showed higher satisfaction of learning materials than the groups that had used non-adaptive materials((t=-.3.66, p< .05). Learners showed the response of 웹을 통한 교수-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적 특성을 고려한 수업 환경의 설계 노력이 필요한데, 이런 노력의 일환이 적응적 웹 기반 학습 환경의 제공이다. 적응적 웹 기반 학습 환경의 제공은 학습 프로그램의 통제권을 가능한 많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학습 환경의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의 학습 목적과 능력 등 학습자 특성에 따라 개별화시킬 수 있는 환경으로써 구체적으로 메뉴 적응, 진도 적응, 학습 계열 적응, 메시지 적응, 학습 내용(매체) 적응 등의 기능들이 있다. 본 연구는 적응적 웹 기반 학습 환경에 있어서 이를 지원하는 하나의 기능 요소인 학습 매체 적응 기법에 관한 연구로써 학습자들의 개별적 특성인 학습 매체 선호를 수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적응적 웹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 자료의 적응성 유무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응적 학습과 학습 자료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통해 적응적 웹 학습 자료와 비적응적 웹 학습 자료(고정화된 학습 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 자료를 개발한 후 교육현장에 투입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실험은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두개 반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학습 자료의 활용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3.21, p<.05). 이는 웹 학습 자료의 활용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둘째, 웹 학습 자료의 적응성 유무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t=1.84, p>.05). 사전-사후 검사에서 보여준 학습자들의 유의미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t=-3.21, p<.05)은 웹 기반 학습 환경에 의한 영향으로 웹 학습 자료만의 영향이라고 결론내릴 수 없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웹 기반 학습 자료의 적응성 유무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셋째, 학습 만족도 부분에서 적응적 웹 학습 자료를 활용한 집단과 비적응적 웹 학습 자료를 활용한 집단간의 학습 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으나(t=-.42, p> .05), 학습 자료에 대한 만족도는 적응적 웹 학습 자료 사용 집단이 비적응적 웹 학습 자료 사용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66, p< .05).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적응적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적응적 학습 자료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적응적 학습 자료의 적응성을 학습자의 여러 특성 중 매체 선호만을 대상으로 한 점, 웹 학습 환경에 대해 비판적이지 못한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지니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모든 적응적 웹 학습 자료 개발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적응적 웹 학습 자료를 개발함에 있어 지침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적응적 기재가 적용된 학습 자료, 또는 학습자의 다양한 개별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학습 자료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실험이 웹 학습 상황에 익숙하여 비판적일 수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면, 현재까지 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논의되고 제시되어 왔던 적응적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의 적응적 웹 기반 학습 자료의 구체적인 효과성 검증과 함께 적응적 웹 기반 학습 자료의 설계-개발을 위한 실증적 근거 및 적응적 웹 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소속 함수와 퍼지 논리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시험 능력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정회인 신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33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능력을 조절하고 학습 능력과 시험 능력 평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및 시험 능력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및 시험 능력 평가 방법은 삼각형 타입의 소속 함수와 퍼지 논리를 이용하여 학습 능력과 시험 능력의 소속도를 계산하고 각각에 대해 퍼지 등급도를 부여하였다. 학습 능력의 소속도와 시험 능력의 소속도에 대해서 퍼지 관계의 연산 및 합성에 의해 최종 소속도를 계산하고 퍼지 등급도를 결정하여 학습자가 학습 능력의 소속도와 시험 능력의 소속도 및 최종 퍼지 등급도를 분석하여 스스로 학습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연구 내용을 인터넷 정보 검색사 필기 과목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In this thesis, I propose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est-performing abilities assessment method to evaluate the learning and the test-performing abilities in which learners can not only control their own learning abilities for themselves, but also judge objectively learning and test-performing abilities. This method shows the membership degree of learning and test-performing abilities by using both the triangle-type membership function and the fuzzy logic. In addition, it gives the fuzzy grades to each item. The final membership degrees are calculated and the fuzzy grades are decided by the operation and composition of fuzzy relations on the membership degrees of learning and test-performing abilities. In this method, which is applicable to a writing subject for information searchers, learners are asked to analyse the membership degrees of the learning and test-performing abilities and the final fuzzy grades and to adjust a learning process for themselves.

      •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거꾸로 수업이 학습 동기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안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32

        2015 개정교육과정, 자유학년제, 고교학점제 등으로 대표되는 현재 우리나라의 중등교육은 시대 변화의 흐름에 발맞추어 학생의 진로탐색기회를 확대하고 그에 따른 자율성과 선택권을 보장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교육의 목적과 방향의 변화는 당연히 학교 현장에서 교육 방법의 변화로 이어져 최근 다양한 방식의 학생 참여형, 학생 배움 중심 수업이 각광받고 있다. 그 중 거꾸로 수업은 학습자의 각기 다른 이해 속도를 고려한 형태로 수업 전 사전 영상(디딤영상)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얼마든지 반복하여 보며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수업 시간에는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 수업을 통해 적용해볼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학교급과 과목을 막론한 수많은 교사와 교육 관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꾸로 수업을 중학교 영어 수업에 장기간 적용하였을 때 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 동기 향상에 기여하는가. 둘째, 거꾸로 수업이 활용한 영어 수업이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기여하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G 광역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2019년 1월까지 한 학년도에 걸쳐 거꾸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설문 조사와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학습 동기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관한 사전·사후 설문조사 자료를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값과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개별 면담 자료는 필사 후 유목화 하여 코딩하여 학습 동기와 자기 주도적 측면에 관련한 자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거꾸로 수업을 장기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 동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대상인 229명의 학생들 중 222명이 설문에 응하였는데,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26문항의 학습 동기, 11문항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2018년 3월, 2019년 1월에 각각 실시하였다. 사전 설문 각 문항의 평균값과 사후 설문 각 문항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비교한 결과 사전 설문에 비해 사후 설문의 평균이 향상됨을 발견하였고, 평균값을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학습 동기 영역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영역의 문항 모두 유의수준이 .000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음이 밝혀졌다. 또한 개별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거꾸로 수업 과정에서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 길러졌음을 인지하고 있음이 드러났으며, 수업 내용과 수업에 대한 인식에 관련한 응답에서 거꾸로 수업이 학습동기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 설문 조사의 질적 근거 자료로 뒷받침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 장기간 동안 거꾸로 수업을 적용하는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과 배움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 향상에 기여한다. 이 같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어떤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질 좋은 수업 내용을 거꾸로 수업이라는 틀 안에 녹여낼 것인지 끊임없는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앞으로 현장의 교사들로 하여금 수업 개선에 대한 의지를 북돋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al system of Korea―represented by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ee Learning Semester,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is designed to meet the interests and aptitudes of students by enhancing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self-reflection in seeking one’s future talents and career. The trend results in reconsideration of the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with various pedagogical methods and theories. Flipped Learning (FL) is one of the methods that considers the different learning speeds of students by providing a pre-recorded video to students, which enables them to continuously watch it to acquire the knowledge and apply the knowledge with student-centered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Many researches have implemented FL in different schools and subjects,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it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ffective factors as well as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FL through a long term experiment on learners’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two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FL ensure the enhanc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Second, does FL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229 middle school students in G metropolitan city and research was conducted for 1 school year from March 2018 to January 2019.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pre- and post-survey exami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ersonal interviews were recorded after the post-survey and the interview recordings were transcribe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L for about a year achie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 = .000) in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wo hundred twenty-two out of the 229 participants completed both pre- and post-survey, consisting of 26 questions about learning motivation and 11 questions abou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articipants conducted the pre-survey in March 2018, the post-survey in January 2019, respectively. Personal interviews delivered meaningful results as well. Thirty randomly selected participants were called for a personal interview after the post-survey. According to the interview, 24 students preferred FL and mostly said their motivation has improved. Participants also responded that student-centered and discussion-centered classes like FL helpe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which resulted in having confidence in open-ended or write-out questions. As the results suggest, applying FL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maximize its pedagogical effects, teachers should persistently study on how to reconstruct curriculum based on their students, school, and circumstances.

      • 중학교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습관과의 관계 분석

        박지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tud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1st year students of 2 classes from K middle school located at D metropolitan c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and study habit test were used as an test tool. PASW Statistics 17.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 of the collected data, and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 was applied according to each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dditional learning at a private academy have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n students with no additional learning in fields of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self-concept. Second, male students, the upper class students, and students with learning at a private academy have superior learning habits in a subordinate factor of learning behavior. Finally,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behavior, which is the subordinate factor of learning habits, has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