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자리와 전공 일치에 따른 대졸 청년층의 직무 만족도 분석 : 관광계열을 중심으로

        안소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청년층의 취업문제는 20대의 가장 큰 고민이자 사회와 국가가 합심하여 풀어야 할 과제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저조한 노동시장 성과를 드러내는 것으로 보이는 인문‧사회계열 학과의 경우 대학 구조조정과 교육과정 개편 대상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어 이들의 노동시장 진입과 성과에 관한 면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졸 청년층의 취업 문제는 대학의 전공 선택과정에서도 그 영향관계를 찾을 수 있다. 전공 선택과정에서 자신의 능력, 소질 또는 흥미를 고려하는 것보다 합격위주의 진학결정을 함으로써 상당수의 학생들이 전공과의 불일치를 경험하거나 전공학과의 불투명한 취업전망 등으로 전공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진로교육 영역에서 그 중요성을 꾸준히 강조해 온 개인의 적성과 흥미에 기초한 전공 선택이 단순히 전공에 대한 만족을 넘어서서 성공적인 노동시장 이행을 의미하는 직장만족으로 이어지게 되는지에 대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공선택기준 및 현재 일자리와 전공의 일치여부, 학교계열, 관광전공여부에 따른 직장만족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자기이해에 기반을 둔 대학 전공 선택의 중요성과 대학에서의 바람직한 진로설계 지원을 위한 시사점 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6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5GOMS)’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 당시 이미 일을 하고 있던 사회계열 졸업생 2,538명을 대상으로 SPSS 22.0을 활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문적 흥미 및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집단이 외적인 조건이나 주변의 권유에 따라 전공을 선택한 집단에 비해 직장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과 관련성이 높은 직장에 취업한 집단이 전공과 관련성이 낮은 직장에 취업한 집단에 비해 직장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을 통제변수로 두고 학교계열, 관광전공여부의 차이에 따른 직장만족도의 차이 검증에서는 남성과, 관광전공자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 전공 선택기준, 일자리와 전공 간 일치여부, 학교계열, 관광전공여부의 상호작용에 따른 직장만족도는 전체 직장만족도 항목에서는 상호작용에 따른 직장만족도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세부 항목에서는 각기 다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육개발원에 의한 기존 관광학과의 분류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함으로써 표준화 된 학과 분류 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관광 관련학과 분류 기준은 교육통계의 학과분류 자료집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계열 내에서도 일부 관광 관련학과가 경제학 및 경영‧경제 학과로 분류되어있어 전공분야를 기준으로 인력공급실태를 세분화 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향후 관광관련 학과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분류 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학문적 흥미 및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집단이 외적 조건이나 주변의 권유에 따라 전공을 선택한 집단에 비해 직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자신과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전공 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향후 직무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대학 진학 과정에서 학교와 학부모 및 각 대학에서의 정확한 정보 전달을 통해 전공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필요가 있다. 셋째, 전공과 관련성이 높은 직장에 취업한 집단이 전공과 관련성이 낮은 직장에 취업한 집단에 비해 직장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취업지도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취업캠프 등을 통한 직업특성 탐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함과 동시에 이를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관광전공분야 및 학교계열에 따른 차이 및 각 변인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다각도에서 직장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관광전공분야는 이직률이 높아 다른 분야보다는 직장만족도가 낮을 것이라는 인식에 대한 차이를 가져올 수 있었고,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각 계열별특성을 반영하여 직장만족도의 차이에 주목하는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choosing a major in universities based on a self-understanding, and establishes suggestive views in regards to providing supports for the desired career plans in universities. To achieve its aim,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actors such as selection criteria for majors, conformity of university major and current employment, university type, and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with or without tourism major.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obtained for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in 2016: 2015 GOMS’ which was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for 2,538 college graduates of social studies who were employed at the time of the research.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group who selected the major in pursuit of academic interests and aptitudes had a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ho selected the major according to external conditions or recommendations by others. Additionally, the job satisfaction of the group in an employment with high relevance to the major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group employed with low relevance to the major. When considering the job satisfaction difference depending on university type, and majoring tourism or not with gender controlled, it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male with tourism major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erms of the job satisfaction with its relation to the job selecting criteria, current employment,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major and job, university type, and degree program (tourism degree or non-tourism degree), no overall difference was shown for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when the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with 15 sub variables such as job environment, working hours, work autonomy, job training, etc., the differences were shown for the most sub variables.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as follow. Firstly,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a standardized classification system by addressing the classification issue of existing tourism related majors by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s. The existing standard for the classification of tourism related majors 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ource book for major suggested by the education statistics. However, as some tourism related majors are categorized under Economics, or Management and Economics, it may be difficult to refine the human resources supply situation based on the field of major. Thus, a standardized classification system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future studies in relation to the tourism related majors. Secondly, the job satisfaction of the group who pursued the major based on academic interests and aptitude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group whose selection of major was influenced by the external conditions or other’s recommendation. This finding implies that a major that suits oneself can play a positive role not only in raising one’s satisfaction for major itself, but also in the job satisfaction in future careers indirec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adolescents’ interest and aptitude to schools, parents and universities by delivering accurate information.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group in an employment with high relevance to the majors is greater than that of the group in an employment with low relevance to the majo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employment guidance plan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s at universities. There should be a continuous support to establish career service that provide a specific and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as well as programs such as career camp that can assist in exploring various careers and their characters. Lastly, by exploring the differences and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tourism related majors from various angles, the factors influencing to the job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It was able to bring changes in perceptions that the tourism sector has low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other sectors as it has high turnover rate of employees.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the basis of subsequent studies that focuses on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 죽음에 대한 공포 심리의 회화 표현 연구

        안소연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죽음 공포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본인의 심상 표현 연구를 목표로 한다. 본인에게 있어서 병이라는 것, 그로인한 건강염려증과 따라오는 죽음에 대한 공포는 어릴 적부터 차곡차곡 쌓여온 흔적의 결과물이다. 그렇기에 본인의 작업이 죽음에 대한 공포와 연결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본인의 내면에 남아있던 상흔의 흔적들이 밖으로 비집고 나와 유아동경의 불편한 현상이 되고, 몸에 나타나는 병리 현상과 죽음에 대한 기록, 약에 대한 객관화 작업, 죽음 공포에 대한 작업이 된다. 본 연구는 본인의 경험과 함께 모리오카 아사히로의 「무통문명」의 이론에 영향을 받아 이것에 중점을 두고 전개된다. 무통화된 사회에서의 죽음공포와 이를 감추기 위해 여기저기 뿌려놓은 가짜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본다. 본 연구를 아래와 같은 연구 목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Ⅰ장의 서론에 이어 Ⅱ장에서는 작업의 배경과 제작 방법으로 본인의 작업 동기와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고 본인의 경험에 따른 작업의 배경과 함께 죽음 공포에 대한 개념과 이론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작품제작 방법으로서 사진의 활용과 색채의 상징적 사용을 분석해봄으로써, 본인 작품의 주제인 죽음에 대한 심리 표현에 관한 고찰을 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작품 설명 및 전망으로 본인의 작품에 대한 설명과 함께 향후 작업방향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번 연구로 본인이 그동안 한쪽 구석으로 미뤄두었던 죽음에 대한 충분한 사색이 이루어졌다. 또한 본인의 죽음에 대한 공포를 작업을 통해 표출함으로써 내면적 치유와 더불어 본인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나아가서 본인을 포함한 현대인의 무통화 상태를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고 인지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하여 앞으로의 작업 발전 방향을 제안해 보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모-자녀 중심 미술치료가 모-자녀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단일대상 사례연구

        안소연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계가 원활하지 않은 모-자녀를 대상으로 한 모-자녀 중심 미술치료가 모-자녀의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2011년 3월 16일부터 5월 28일까지 진행,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인 8월 13일에 실시한 추후검사까지 포함하여 총 22회기를 진행하였다. 모-자녀의 상호작용 향상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에 임명희, 최외선(2003)의 모-자 상호작용 척도, KFD, 모-자녀 체계진단화를 실시하고 사후에도 동일하게 진행했으며 추후에는 모-자 상호작용 척도, KFD만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자녀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에서의 모-자녀 상호작용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의 양육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추후에 임호찬(2008)의 부모 양육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 상호작용 척도의 척도별 점수가 모두 증가하면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고, 모-자녀 체계진단화, KFD, 모-자녀 중심 미술치료의 회기별 상호작용의 질적 변화 결과에서도 모-자녀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모의 양육태도 검사에서는 문제를 보였던 과잉기대, 처벌, 비일관성 영역의백분위 점수가 감소하면서 모의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치료사의 주도하에 진행되는 심리치료 형태에서 벗어나 치료 장면에 양육자와 자녀가 직접 참여하여 일상생활에서도 모가 직접 중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대상의 수가 1쌍으로 효과성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고 모-자녀 상호작용 향상과 모의 양육태도의 긍정적 변화 유지를 위해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실시는 물론 지속적인 관리가 보완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lve into the effect of the Mother-Child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e Mother-Child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rch 16th to May 28th, 2011, including a follow-up test conducted two months later, on August 13th,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mounted to twenty-two.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Mother-Child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i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pre-tests which were Lim & Choi(2003)'s Parents-Child Interaction(PCI), Kinetic Family Drawing(KFD), on the Mother-Child systems diagnostic procedure have been conducted and post-test also have been made in the same manner. The PCI, KFD have been only conducted as a follow-up test and the analysis has been made on qualitative changes o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shown during mother-child art therapy. In addition, to find out the changes of mothers’ nurturing attitude toward children, a pre-test, post-test, and a follow-up test of Parenting Attitude Test(PAT) was conducted with the mothers as the subject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result of the PCI shows meaningful effect with improvements in general and the result of a qualitative change of the Mother-Child Systems Diagnostic Procedure, KF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shown during each session of the Mother-Child Art Therapy, also shows the improvement in the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Second, when it comes to the PAT of mothers, the results show a decrease of percentage points in problematic areas such as high expectation, punishment, and inconsequence, which had been higher. The results show a positive change of the mothers’ nurturing attitud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unlike the psycho-therapy where mothers depend on therapists, it enables mothers and children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therapy while they can also mediate it in a daily life. But the effect of the result is not able to be generalized due to limitation that the study was only made for one mother-child. In order to improve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 and to maintain positive nurturing attitude, A study making up the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a methodical program, as well as ongoing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안소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 For this purpose, following questions were made; First, 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effective i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Second, 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effective in the student's self-concept?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65 students( 34 in experiment class, 31 in control class) in 2 classes of the 5th grade at Paju S elementary school in Paju City, Kyeonggi-Do. A measurements were the ACDM(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developed by Gangwondo Education Research Center for career maturity, the Self-Concept Inventory developed by Han Sang Bun(1992). The treat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xisting programs such as Seoul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Institute(2006),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by Kim, Joo Hyeon(2005), career education program applied by multiple intelligence by Kim, Hong Myeong(2005). After the pre-test had been administered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had been treated 3 times a week, 12 times in total over 12 weeks, for the experiment group, but not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the post-test was administerd 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simultaneously.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SPSS 16.0.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Specifically, it had a meaningful effects on plan, tendency, compromise and decision. Secon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the student's self-concept. Specifically, it had a meaningful effects on the general self-concept and social self-concept. In conclusio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It wa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modified program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times of program were required to find the effects from improving self-concep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 및 자아개념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기초로 다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나.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파주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2개반 65명(실험 34명, 통제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및 통제 집단 모두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주 3회씩 4주 동안 총 12회기의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처치가 끝난 뒤 실험 및 통제 집단 모두 동시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적용 프로그램은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2006)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김주현(2005)의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과 김홍명(2005)의 다중지능을 적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과 전수진(2009)의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것으로 지도교수의 조언을 받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진로의식성숙 검사 도구는 ACDM(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Crites(1974)의 CMI를 정채기(1991)·김현옥(1989)이 번역·수정하고, 강원도 교육연구원에서 아동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초·중학생용 진로의식성숙도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아개념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 도구는 송인섭(1983)이 개발하고, 임재련(1987)이 재구성, 다시 한상분(1992)이 수정본을 선택적으로 사용한 자아개념 측정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검사의 결과 처리는 진로의식성숙 및 자아개념 질문지에 대한 응답 결과에 대한 평균 점수를 이용하여 SPSS 16.0으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계획성, 성향, 타협성, 결정성 전반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의 긍정적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다. 일반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전반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자신의 진로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아개념의 긍정적인 향상에는 효과를 보지 못했으므로 자아개념 향상에도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수정 및 프로그램 적용 회기를 수정하는 등 여러 가지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기 수면문제의 매개효과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안소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머니의 우울은 자녀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어머니의 우울 정도에 따라 유아의 수면문제가 달라지며 이후 집행기능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머니의 우울증상과 유아의 수면문제는 한 시점에서 촉발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영향을 주게 되므로 특정 시점의 횡단자료 분석의 접근보다는 종단자료를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인들 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집행기능곤란의 개인차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증상의 3개년 변화궤적, 유아의 수면문제의 3개년 간 변화궤적이 이후의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기 위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조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PSKC)의 2차년도(2009년)부터 8차년도(2015년)까지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와 유아자녀 1,29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우울증상 척도’, ‘유아의 수면문제 척도’, ‘집행기능곤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및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잠재성장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증상, 유아의 수면문제,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우울증상, 유아의 수면문제,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은 모든 변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가 0세에서 2세까지 어머니가 보고한 우울증상의 발달궤적을 분석한 결과 자녀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어머니의 우울증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 4세에서 6세까지의 유아의 수면문제의 발달궤적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의 수면문제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넷째, 잠재성장매개모형을 활용하여 어머니의 우울증상, 유아의 수면문제,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초기 우울증상이 유아기 수면문제를 거쳐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으로 이어는 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어머니의 초기 우울증상이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유아기 초기 수면문제를 통해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어머니의 우울증상과 유아의 수면문제 변화궤적이 자녀가 아동이 되었을 때의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을 뿐만 아니라 발달초기 어머니의 우울에 노출된 아동은 장기적으로 발달상 문제를 겪을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적절한 방법과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Mother's depression can be a major cause that directly affects the development of children, because sleep problems of infants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ther's depression, which can lead to difficulties in executive function. However, since the mother'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infant's sleep problems are not triggered at a single point in time, but continuously change over time, they affect the variables over time through longitudinal data rather than the cross-sectional data analysis approach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changes between the liver and to explain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dysfunction. In this study,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order to explore how the three-year change trajectory of the mother'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three-year change trajectory of the infant's sleep problems affect the children's later executive dysfunction. verified.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the second year (2009) to the eighth year (2015)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PSKC) provided by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of the Parenting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Mother's Depression Scale', 'Infant Sleep Problem Scal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cale' were used for 1,295 children and 1,295 children.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otential growth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AMOS 26.0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verifi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depressive symptoms, the infant's sleep problems, and the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the mother's depression, the infant's sleep problems, and the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 reported by mothers from 0 to 2 years of age, it was found that mothers' depressive symptoms increase as the child's age increas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leep problems in infants from 4 to 6 years old, sleep problems in infant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ge increased. Fourth, using the latent growth mediating model, the structural relational model between the mother's depressive symptoms, the infant's sleep problem, and the child's executive dysfunction was verif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pathway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her's early depressive symptom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but rather affected the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through sleep problems in early childhood. As such, this study not only verified the effect of the mother'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change trajectory of the infant's sleep problems on the difficulty of executive function when the child became a child, but also that children exposed to the mother's depression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had long-term developmental problem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verified that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appropriate methods and interventions that can alleviate the difficulties of executive functioning in children.

      • 영산재 나비춤 춤사위에 관한 연구

        안소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는 재천의식 속의 가무를 통해서 자신들의 소망과 축원을 기원했고, 이러한 것이 바로 현재 전통예술의 원류가 되었다. 이런 역사적 근거하에서 한국전통무용의 측면을 고려하면 영산재 나비춤은 한국전통무용의 가장 중요한 원류 중 하나로 간주되어질 중요한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는 외래종교였던 불교가 한국에 전파되면서 의식무용에 미친 영향을 영산재 나비춤을 통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영산재는 의식의 화려함과 규모의 웅장함 때문에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산재 절차에서 행해지는 모든 불교작법들 중에서 나비춤에 대한 형식과 미를 고찰한다는 것은 한국전통무용의 상징성과 무대예술의 고귀한 표현미를 연구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논문에 수록되어 있는 나비춤 사위의 발동작 사진과 그림, 그리고 의상에 대한 자료들은 이 나비춤의 종교적 상징성과 표현적 미학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다. 나비춤 고찰에 대한 중요성은 한국무용이 가진 세련된 조화미, 즉 한국불교사상과 아름다운 예술적 무용미 간의 조화미를 표출 할 수 있는 원인과 과정을 볼 수 있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우선 불교 의식적인 측면에서의 나비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법열의 세계로 인도하는 춤으로, 불보살의 강림이나 의식도량의 옹호와 같은 신비성을 북돋을 필요가 있을 때 추어진다. 이 때 나비춤 옷으로는 나비모양의 도포와 장삼을 입고, 고깔을 쓰며 손에는 연꽃을 들고 춤을 춘다. 나비춤에 수반되는 이러한 의상의 화려함은 동작의 단순함과 적절하게 결합되어 서로 상대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조화의 미를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비춤 춤사위 동작에는 다른 여러 춤사위와는 구별되는 중요한 두 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는 동작의 단순성이다. 절제에 의해 시현되는 이 단순성은 화려함과 복잡함을 통해 시각적 자극에 주로 호소하는 다른 대중적 형식의 춤 형태와 구별되는 중요한 점이다. 더우기 단순하지만 나비춤의 춤사위는 각각의 동작이 의미 있는 종교적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베풂을 상징하는 의미로 손을 끌어 모아 감싸안는 듯한 동작이 있는데, 이 동작은 중생 스스로에게 높고 좋은 생각을 통해 잡념을 버리고 대아(大我)적 생각을 추구하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두번째 다른 중요한 나비춤 춤사위의 특징은 단순성을 바탕으로 한 반복성이다. 이는 앞에서 이해되어진 절제를 표현하는 단순성을 바탕으로, 반복을 통해서 불교적인 자기발견의 경지인 선(善)을 추구하고자 하는 정신을 근원으로 하기 때문이다. 영산재 의식에서 이러한 나비춤은 공양을 올릴 때와 예불을 할 때 추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이유는 천상천하의 모든 신들과 일체의 만물들 중 소생하지 못한 신을 불러들여 죄를 참회시키고 부처님께 귀의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이 나비춤의 목적은 대중을 자비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영산재에서 행해지는 불교의식 무용 중에서 나비춤은 넓은 의미에서는 부처님의 공덕을 몸의 움직임으로 작(作)하는 이른바 신업공양(身業供養)의 경지를 표현한 것이며, 동시에 포교적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의식무인 영산재 나비춤은 불교의식무용이 신체의 단순한 움직임으로 눈길만을 끌고자 하는 춤이 아니라, 불교적 진리의 세계를 승화된 예술적 차원에서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이끄는 중요한 , 그래서 가치 있는 전통예술형식이라는 사실을 재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비춤에 대해 단순히 미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에서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나비춤을 좀 더 깊이 있게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비춤의 춤사위를 통해 한국무용의 창작화 작업의 이론적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세계적인 우리 춤으로서 발전시킬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는 중요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고 하겠다. Ancient human beings prayed their wishes through the music and dance in rituals, and this resulted in a main origin of current tradition dance. When Korean tradition dance is considered in the viewpoint of this art history, Youngsanjae Nabichum is a crucial subject in a Korean tradition dance study regime. This study intends to see not only important roles of Buddhism but also essential contributions of Buddhism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dance through Youngsanjae Nabichum. Youngsanjae is appoin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of Korea due to a grandeur size as well as a splendid ritual. Therefore, this study about the beauty and structure of Nabichum among all other Buddhist dance can be considered as a most proper method to be aware of meanings of Korean tradition dance as well as expression of stage art. In addition, pictures and photos of feet motions of Nabichum in this dissertation will help understand the religious meanings and the beauty of expression. A study about Nabichum investigates main reasons and procedures in order to observe how to create graceful harmony of Korea dance between Buddhism of Korea and the beauty of art dance. One of main functions of Nabichum from Buddhism view is to transfer Buddhas teachings. So Nabichum is usually performed to stimulate highly responsive to prayers in divinity. At this stage, the brilliant dress and ornaments of the Nabichum dancer consist of white monks robe, blue, yellow and green Daeryoung, red belt, a peaked hat and lotus flowers in both hands. This well-dressed dancer with a gorgeous flower dances simple mo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beauty of nature as well as the beauty relative based on movements simplicity and clothes gorgeousness. There are two crucial characters on Nabichum movements, which enable Nabichum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arious dances. One is the simplicity of movements. Since this simplicity of movements is created by moderation, it is very unique character from other popular dances performing complicated and gaudy movements. Moreover, under this simplicity, each Nabichum movement holds religious message. For example, huge motion implying mercy gives one a message, which leads to peace of mind, to the higher wisdom, to full enlightenment, and finally to attain his/her true self while putting all other thoughts out of his/her mind. The other is the repetition of movements, based on the simplicity. In Buddhism, virtue, which means achieving ones true self, can be realized through repeated practicing the simplicity. During Youngsanjae, Nabichum particularly is performed on a rite which is offering food to Buddha to pray for the repose of soul because the original meaning of Nabichum is to make a prayer calling Bul-bo-sal in rituals for the deads Passing Away to the Land of Perfect Bliss in Buddhism. Therefore, a fundamental goal of Nabichum is to help people realize the meanings of the Land of Perfect Bliss in Buddhism as well as to teach anyone regardless of race, class or gender how to achieve the same Perfect Enlightenment of Buddha. As consequence, the meaning of Nabichum can be interpreted to have more important purpose and meaning as the dance for propagation of the Buddhism, based on the idea of the Land of Perfect Bliss. Nabichum as the defense of religious ritual should be considered as a valuable traditional Korean dance, rather than a Buddhist dance with repeated simple motions, because the motion of Nabichum is very solemn and mysterious, and the intrinsic aura with such motion has a profound Buddhism thought. Finally, I believe that this dissertation is valuable because the meanings and values of Nabichum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dimensions. Nabichum is needed to be developed and studied in order to be an important springboard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dance in Korea dance with the Buddhism themes.

      • 어휘학습전략이 영어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한국 인문계 고등학생의 사례 분석 중심

        안소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어휘학습에 대한 설문조사, 어휘학습전략 지도를 위한 실험 수업 및 분석을 통해 어휘학습전략이 영어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는 영어 학습에서 어휘의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주로 사용하는 어휘학습전략의 종류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독해능력 수준과 어휘학습전략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학습전략 활용이 독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1, 2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의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1학년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version 22으로 빈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220명의 학생 중, 수준이 비슷한 60명의 학생을 통제집단(30명)과 실험집단(3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수업은 2016년 9월에서 11월까지 총 10주 동안 주2회 20분씩 총 20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은 모두 동일한 어휘교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험집단은 어휘교재를 바탕으로 구성된 어휘학습전략 지도 계획에 맞추어 체계적인 어휘학습이 이루어졌고, 실험 처치 전후로 실시된 독해능력평가 결과를 SPSS version 22으로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과반수가 어휘를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독해를 위하여 지문의 어휘 중 70% 이상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학습자의 인식과는 달리 어휘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요구되는 방대한 어휘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어휘학습전략에 대한 인식 부족과 어휘 학습 시간 부족으로 그 원인이 나타났다. 둘째, Schmitt(1997)의 어휘학습전략 분류를 바탕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등학교 학습자는 다양한 어휘학습전략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억강화전략(2.84)을 의미발견전략(2.69)보다 더 많이 활용하였다. 가장 활용빈도가 높은 전략은 수업시간에 교사의 설명을 필기하며 학습하기로 평균 4.18의 빈도를 나타냈고, 원어민과의 대화를 통한 어휘학습은 평균 1.54로서 가장 낮은 활용도를 보였다. 개방형 질문을 통해 학습자의 자유로운 의견을 취합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휘학습전략과 가장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전략은 모두 반복학습으로 나타났다. 어휘학습전략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별도의 훈련 없이 스스로 학습 가능한 단순 반복을 통한 기계적 학습에 익숙해져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독해능력에 따라 상, 중, 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어휘학습전략의 사용과 독해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 집단은 기억강화전략의 사회전략, 중 집단은 기억강화전략의 상위인지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하 집단은 모든 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10주간의 어휘학습전략 지도에 따른 독해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어휘학습전략 지도는 독해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은 1.10점 상승하였고 통제집단은 1.64점 감소한 평균 수치를 고려할 때, 실험집단의 긍정적인 변화를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어휘학습을 독해지도의 부수적인 영역이나 학습자 개인의 영역으로 여기지 말고 교사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도를 위하여 교사 스스로 어휘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의 교사는 어휘학습전략을 골고루 활용할 수 있는 흥미로운 수업 활동 설계 및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와 더불어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핵심역량인 의사소통역량 증진을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보다 다양하고 실질적인 역량 평가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어휘학습전략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자의 어휘력 및 독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 주의집중훈련프로그램이 주의산만아동의 주의집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안소연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ention training program on the atten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1) whether the attention train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attention time of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 and 2) whether the attention train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o first-grade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 This study employ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of single subject research. The participants received 15 periods of training program over 11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at 1) the attention train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attention time of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 and 2) the attention train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ttention training program this study provided was an effective program to enhance the atten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 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의산만 아동의 주의집중 및 학업성취 향상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주의집중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산만 아동의 주의집중 시간을 향상시킬 것이다.’ ‘주의집중훈련프로그램이 주의산만 아동의 학업성취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이다. 이 연구에서 피험자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Y초등학교 1학년 2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 관찰에 의한 DSM-Ⅳ의 진단기준과 단축형 Conners평가척도에 의해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주의집중훈련프로그램은 총 15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2~3회, 30분씩, 11주동안 실시되었다. 주의집중력은 주의집중시간으로 측정되었다. 수학수업 시작 10분 후부터 5분간 측정하였다. 학업성취는 각 차시별 목표에 따른 수학익힘책의 문제를 풀고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주의집중훈련프로그램은 기억과제, 협응과제, 변별과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의집중 훈련프로그램은 주의 산만 아동의 주의집중시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주의집중 훈련전 A아동은 주의집중 점수가 1.0점에서 14.6점으로 향상되었으며, B아동 역시 3.3에서 14.0점으로 향상되었다. 이로보아 주의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주의산만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2) 주의집중 훈련프로그램은 주의산만 아동의 학업성취에 효과가 있었다. 대상 아동 A의 경우 기초선에서는 학업성취도가 72.2%였으나, 중재기간에는 88.5%로 향상되었으며, 중재훈련이 끝난 후 2주 후에는 100%으로 더 향상되었다. 대상 아동 B의 경우에도 기초선에서는 73.1%였으나 중재기간에는 94.3%으로 향상되었으며, 중재훈련이 끝난 후 2주 후에는 100%로 더 향상되었다. 두 명의 아동 모두 기초선 기간에는 학업성취도의 회기별 점수 변동이 컸으나, 중재기와 유지기에는 점수도 안정세를 보이며 향상되었고, 학업성취도 역시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주의집중훈련프로그램은 주의집중 시간을 높여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고, 학업성취에도 향상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