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묵상기도에 대한 고찰 : 위니캇의 중간현상 이론을 중심으로

        황지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meditative prayer that is the relational-experience with God through direct, immediate and personal contact using the frame of Winnicott’s psychoanalysis theory of transitional phenomena.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s an attempt at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transitional phenomena and related attributes. Specifically, the related attributes are the concept of playing, capacity to be alone, communicating and not communicating.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reinterpreted the experience of meditative prayer through its main components in reference to transitional phenomena and related subject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ince psychodynamic counseling is also transitional phenomena that creates relational-experience, it can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prayer that centers on the relationship with God. Winnicott’s transitional phenomena in a transitional space is affected by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alities. A transitional object is a symbolic object that allows the transitional experience. The ability to transcend the division between internal or external, subjective or objective develops from the process that an absolutely-dependent baby starts to realize that the mother is not-me. A baby’s transitional phenomena develop continuously, and they expand to the intermediate area in between internal psychological-reality and the external world. It is the imagination that offers space, channel, and bridge between the unconscious inner-world and conscious outer-world. Therefore, the expanded transitional phenomena become the source of human creativity in all cultural areas such as arts, science, religion, etc. The meditative prayer focused on in the present study also uses the illusion to enter the scene of a biblical story. One meets Jesus at the transitional space, looking at him deeply in his/her mind and getting to know him. This study discusses how, as a result, meditative prayer affects the personal internalization of the scripture, and how the unconscious God representation becomes redefined according to the biblical concept of God for the praying person. The first transitional phenomena related attribute is a playing. A baby enjoys experimental plays using a transitional object that symbolizes the unification with mother at a space between her/himself and mother and then going back to the self. A play allows one to enjoy pure joy at the same time to discover and create a self, and it also allows the symbols of internal and external reality and the relationship to stay vital and alive. Through the meditative prayer that employs imagination, the words of scripture become living words, and it shows that this method of prayer includes the aspect of a play. Just like a baby discover her/himself through the play of uniting with mother in the transitional space, we participate in a play to unite with good enough God who talks to us and then becomes ourselves in prayer. This study explores the meditative prayer as a play that is instrumental in becoming knowledgeable about oneself by knowing God. The second related attribute is the capacity to be alone. A baby can experience the object permanence and uncover the inherent ability in an environment where a good enough mother provides continuous care. A baby who achieved that sense of self-unity does not experience a crisis of object permanence, and she/he can stay unintegrated for a while. This experience is a prelude of being able to stay unimportant being while resting and enjoying solitude. Winnicott called this, the capacity to be alone. A baby can be alone when it is with a good enough mother. This is a paradoxical fact. The meditative prayer starts with planning a regular time of solitude in daily life. When we are alone leaving behind many worries, we realize in our mind that Lord is always with us in all this time. The meditative prayer training is a practice to instill the solitude within us, and gradually feel the real presence of the Holy Spirit in the suffering of our lives. This study discusses how spiritual presence comes to us through a mothering one, which is the concrete human existence. The meditative prayer requires the solitude that is accompanied by silence. In here, the silence means not only ceasing conversations with others but also stopping the dialogue with oneself and resting. It is an action to accept the existence of the self as a gift silently. According to Winnicott, a baby who receives good care of the mother can be alone without awareness of mothering others in the surrounding. That means that the real-self is isolated while experiencing object permanence. The real-self of a person who has healthy development communicates through silence of non-conversational methods with a subjective object of a supportive environment. This is the third relevant issue of the transitional phenomena, and this explains the communication experience of meditative prayer that takes place in the transitional space where it transcend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n the meditative prayer, the supplicant (or the praying person) halting all the subjective imagination before the Lord looks at Lord only while completely forget about self. She/he then listens to the words. This study explores the authentic meanings and roles of the silence. The main focuses of the present study are meditative prayer as the transitional phenomena, and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the space of reciprocity just lik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objects. This study naturally relates to the interest of the author whose identity is a counselor. Especially, the relationship-focused psychodynamic counseling which is an intersubjective transitional space that exists in the border between neither inside nor outside. A counselor as a transitional object to whom a client’s illusion(or fantasy)is projected, reacts to that, survives with the best effort, and eventually becomes the being of objectively recognized. This process of psychodynamic counseling is similar to meditative prayer in the way that a counselor and client with Holy Spirit speak and listen in the transitional space and proceed to seek the real self. Thus, in the last part,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relationship-focused psychodynamic counseling can help a client’s spiritual development and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meditative prayer. 논 문 개 요 본 논문의 목적은 위니캇의 중간현상이라는 정신분석적 사고의 틀을 가지고, 하나님과의 가장 직접적이고 즉각적이며 개인적인 관계경험인 묵상기도를 재조명하므로 그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첫째, 심리내적인 중간현상 개념과 관련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관련주제들이란 놀이, 홀로 있을 수 있는 능력, 의사소통과 비의사소통 개념이다. 둘째, 중간현상과 그 관련주제 개념들을 사용하여 묵상기도 경험을 구성하는 주요요소들을 문헌연구를 통해 재해석하며 탐구하고자 했다. 셋째, 역동심리상담 과정 역시 관계경험이 발생하는 중간현상이므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기도 과정에 기여하는 것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위니캇의 중간현상은 내적 실재와 외적 실재 모두가 기여하는 경험의 중간공간을 말한다. 중간대상이란 그런 중간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상징적 존재다. 이렇게 내부와 외부, 주관과 객관으로 양분하는 것을 초월할 수 있는 능력은 어머니에게 절대의존 되어 있던 유아가 어머니가 나-아닌 존재임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생긴다. 유아의 중간현상은 계속 성장해서 내부 심리의 실재와 외부세계 사이의 중간영역으로 확산된다. 그런 개인의 무의식적 내면세계와 의식적 외부세계 사이의 공간과 통로 그리고 교량을 제공하는 것은 상상력이다. 따라서 확산된 중간현상은 예술, 과학, 종교 등의 전 문화 영역에서 인간의 창조성의 근원이 된다.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묵상기도 역시 상상력을 사용하여 복음서 말씀 장면 안으로 들어간다. 그 중간공간에서 예수님을 만나 그분을 마음으로 깊이 바라보며 알아가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묵상기도가 본문말씀의 개별적 내면화가 이루어지게 하며, 기도자의 무의식적 하나님표상이 성경의 하나님개념을 따라 재정교화 되는 과정이 됨을 논의하였다. 첫 번째 중간현상 관련 주제는 놀이다. 아기는 자기와 어머니 사이의 공간에서 어머니와의 연합을 상징하는 중간대상을 사용하여 어머니와 연합됨과 연합에서 자기 자신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즐겁게 실험하는 놀이를 한다. 놀이는 순수한 즐거움을 느끼는 것과 함께 자신을 발견하고 창조하며, 내적 그리고 외적 현실과 관계하는 경험 모두를 나타내는 상징들을 생생하게 살아있게 한다. 상상력을 사용하는 묵상기도를 통해 복음서에 기록된 말씀이 기도자에게 말하는 살아있는 말씀이 되는 것은 이 기도방식이 놀이의 요소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아기가 중간공간에서 어머니와 연합됨의 놀이를 하며 자기 자신을 찾듯이, 우리는 기도 안에서 나에게 말씀하시는 충분히 좋은 하나님과 연합되며 자기 자신이 되는 놀이를 한다. 하나님을 앎으로 자기 자신을 더 많이 알게 되는 놀이로서의 묵상기도를 탐구하였다. 두 번째 관련주제는 홀로 있을 수 있는 능력이다. 충분히 좋은 어머니가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돌봄 안에서 아기는 존재의 연속성을 경험하며 타고난 잠재력이 펼쳐지게 되다. 그런 자아의 통합을 성취한 아기는 어머니의 지지적 환경 안에서 존재의 연속성에 대한 위협을 느끼지 않으면서 얼마 동안 통합되지 않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경험은 성인이 휴식하면서 별로 중요하지 않은 존재로 있을 수 있으며 고독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의 전조다. 위니캇은 이를 홀로 있을 수 있는 능력이라고 불렀다. 아기는 충분히 좋은 어머니와 함께 있을 때 홀로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역설적 사실이다. 묵상기도는 일상 중에 일정한 시간의 고독을 계획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많은 염려로부터 떠나 혼자 있을 때 주께서 그동안 줄곧 함께하신 것을 마음으로 알게 된다. 묵상기도 훈련은 일상 중에도 고독이 우리 안에 자리 잡게 하는 훈련이며, 우리 삶의 고통 중에 함께하시는 성령의 현실적 임재를 점점 더 확실히 느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영적 현존이 돌보아주는 어머니라는 구체적 인간의 현존을 통해 어떻게 우리에게 오는가를 논의하였다. 묵상기도가 요구하는 고독은 침묵을 동반한다. 여기서 침묵이란 타인과의 대화만 아니라 자신과 나누는 대화마저 멈추고 쉬는 것이다. 고요히 자신의 존재하고 있음을 선물로 받아들이는 행위다. 위니캇에 의하면, 어머니의 좋은 돌봄을 받는 아기는 그 배경적 타자가 있음을 알지 못하는 가운데 홀로 있을 수 있다. 그것은 참자기가 존재의 연속성을 경험하며 고립되어 있다는 의미다. 건강한 발달을 이룩한 사람의 참자기는 지지적 환경인 주관적 대상과 침묵이라는 비의사소통 방식으로 의사소통한다. 이것이 중간현상의 세 번째 관련주제며, 주관과 객관을 초월한 중간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묵상기도의 의사소통 경험을 설명한다. 묵상기도에서 기도자는 말씀을 통해 만난 주님 앞에서 모든 주관적 상상을 멈추고 심지어 자기를 완전히 잊고 오직 주님만 바라보게 된다. 그리고 그 말씀을 듣는다. 그때의 침묵이 주는 구체적인 의미와 역할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주된 논의는 묵상기도가 중간현상이며, 하나님과의 관계도 모든 다른 대상들과 마찬가지로 상호작용의 공간 안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상담자인 본 연구자의 정체성 안에서 자연스럽게 상담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된다. 특히 관계중심 역동상담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내부도 외부도 아닌 그 경계선에 존재하는 상호주관적인 중간공간이며 중간현상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환상이 투사되는 중간대상이 되어 그것에 반응하고 최선을 다해 살아남으며 마침내 객관적으로 지각된 대상이 된다. 이런 역동상담의 과정은 상담자와 내담자가 성령과 함께 중간공간에서 말하고 들으며 참자기를 찾아가는 묵상기도와 유사한 모형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네 번째 장에서는 관계 중심의 역동심리 상담이 내담자의 영적인 성장을 도울 수 있으며, 특별히 묵상기도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가 하는 근거를 논의했다.

      • 4-6세 아동의 자발화에서의 조사사용 발달

        황지연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및 목적: 조사는 문법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문법형태소로 분류된다. 또한 문장에서 여러 성분들을 연결시켜 주는 품사로 기능과 의미에 따라 크게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분류한다. 아동이 언어표현이 길어지고 의미관계가 복잡해질수록 문장산출에서 조사의 사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4-6세를 대상으로 조사의 사용 양상을 확인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년 간격으로 4세에서 6세의 아동 각 2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아동의 발화는 연구자와의 대화를 통해 자발화를 수집하였으며 전사는 발화 구분 원칙을 바탕으로 실시 하였다. 수집한 발화 중 연속된 50발화를 한림 한국어 발화 자동 분석시스템 ‘H-SA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 조사와 조사 하위범주, 격조사 하위범주별 각각 사용빈도와 유형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결과: (1) 전체 조사의 사용빈도와 유형수를 살펴보았을 때 4세와 5세, 6세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조사 하위범주별 사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 모두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격조사와 보조사는 4세와 5세, 6세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접속조사는 4세와 5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 하위범주별 유형수를 분석한 결과, 격조사와 접속조사에서만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격조사와 접속조사는 4세와 5세 집단 6세 집단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격조사 하위범주별 사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목적격 조사와 부사격 조사에서만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목적격 조사와 부사격 조사는 각각 4세와 6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격조사 하위범주의 유형수를 살펴보면 목적격 조사와 부사격 조사에서만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목적격 조사는 4세 집단과 5세 집단, 6세 집단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부사격 조사에서는 4세 집단과 6세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4세에서 6세 아동이 연령에 따라 조사 사용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전 연구와 비교하여 2세부터 6세의 조사 사용 양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령 전기 아동의 조사 사용 발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임상에서 아동의 자발화 수집을 통한 문법 능력을 평가할 때 조사 사용은 주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Antioxidative Phenolics and Flavonoid Glycosides from Carthamus tinctorius L.

        황지연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eOH extracts of petals of dry safflower ( Carthamus tinctorius L. ) were partitioned successively with EtOAc, Hexane and H₂O layer and fresh safflower also were partitioned with hexane and H₂O layer. From fresh and dry safflower petals, 3,4- di hydroxy benzoic acid , hydroxy benzoic acid , ferulic acid, coumaric acid, caffeic acid, kaempferol 3-O-β-rutinoside, 6-hydroxykaempferol 3-O-β-glucoside, kaempferol 3-O-β-glucoside , carthamidin 6-O-β-glucoside were isolated. These all compounds were isolated using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followed by preparative reverse HPLC (20~40% MeCN gradient with 0.1% TFA-H₂O). Spectroscopic data of these isolated compounds including UV-vis, IR, 1D- and 2D-NMR, and mass spectra were described in these thesis. Flavonoids and phenolics are known as natural antioxidiant. In this point,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9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against ABST radical were described in this thesis. Measurement of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9 compounds were carried out using the decolorization of the ABTS at 738nm [ van den Berg et al., 1999; Huang et al., 2005]. The radical-scavening activities of these compounds and Trolox, the standard reference compound, showed dose-dependant effects on the ABTS radical. Trolox suppressed the absorbance of ABTS radical with the EC_(50) value of 16.50E-06(±0.080μM), while EC_(50) value of 9 compounds from safflower were 3,4-dihydroxy benzoic acid (2.36μM), coumaric acid (4.21μM), ferulic acid (4.56μM), caffeic acid (5.73μM), hydroxy benzoic acid (10.89μM), carthamidin 6-O-β-glucoside (3.72μM), kaempferol 3-O-β-glucoside (4.10μM), 6-Hydroxykaempferol 3-O-β-glucoside (5.56μM) and kaempferol 3-O-β-rutinoside (5.72μM), respectively.

      • ISO/IEEE 11073 PHD기반의 트레드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황지연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암,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과 노인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국민의 의료비 부담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과 생활을 관리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 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인 u-헬스(u-Health)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1][2][3][10]. u-헬스 서비스란 유비쿼터스와 원격의료 기술을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말한다. 유비쿼터스 u-헬스 케어(Ubiquitous Health Care)의 줄임말로 유비쿼터스 건강관리라고도 한다. 시간과 공간의 제한 없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4] 즉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노인, 만성질환자, 회복중인 환자나 수술 후 환자 그리고 일반인 등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불편하거나, 거추장스럽지 않게 신체 정보를 측정하고 건강상태의 변화에 대한 전문가의 서비스를 즉각적으로 받는 서비스이다 [1]. u-헬스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u-헬스 기기를 이용하여 신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축 하여야한다. 미래에 나타날 5대 u-헬스 기기로 처음으로 다이어트 u-헬스 기기, 노인 간호를 도와주는 u-헬스 기기, 혈액 검사 기기, 독립성/이동성 관련 u-헬스 기기, 커뮤니케이션 관련 u-헬스 기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23] 5대 u-헬스 기기 중 가장 먼저 선정된, 다이어트 u-헬스 기기로는 트레드밀, 벤치 프레스, 플라이, 백 익스텐션 등을 들 수 있는데, 헬스장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운동 처방이나 재활 기기로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바로 트레드밀이다. 트레드밀은 헬스나 재활 기기 중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의 기기로 사람의 힘을 원동력으로 작동하는 바이크나 물리적인 횟수로 측정하는 벤치 프레스나 플라이 같은 기기보다 유리한 입장에서 u-헬스 기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트레드밀(treadmill)은 각기 다른 제조사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고, 이들은 각자 독자적인 소프트웨어와 통신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다. 이들 프로토콜은 제조사의 소유로 자유롭게 공개되고 있지 않으므로, 다양한 개인 건강 기기간의 호환성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트레드밀은 개인의 운동에 맞거나 의료진에 의해 정의된 경사와 속도를 준수하는 것이 아닌 개인이 임의대로 설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올바른 운동 효과나 운동 치료효과를 볼 수 없으며, 트레드밀 측정의 결과 값이 운동하는 중의 심박 수의 변동이나 기울기의 변화 또는 속도의 변화 값을 무시하고 운동 시간으로만 적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트레드밀은 상호운용성에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고,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효율적인 관리가 힘들어 졌다. 그리고 일정 기간 동안의 운동량을 맞추기 위해 개인 트레이너나 운동처방사가 항상 옆에 따라다니며, 사용하는 트레드밀만 사용해서 측정하고, 운동량을 설정해주는 실정이다. 트레드밀의 경우 한 헬스장이나 운동 처방하는 장소라 하더라도 여러 종류의 트레드밀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 표준화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트레드밀과 같은 개인 건강 기기의 정보를 센싱, 취합 및 전송, 분석 및 피드백이 표준적인 방법으로 운용되면 트레드밀과 같은 개인 건강 기기와 이들을 처리하는 u-헬스 서비스간의 상호운용성이 보장된다. 사용자는 표준 건강 측정기기를 사용하므로 다양한 건강 측정기기가 선택 가능하게 되고, 개인 건강 기기 제조사는 표준건강 기기를 개발하여, 다양한 u-헬스 서비스 환경에서의 제품 사용을 보장 받을 수 있다 [2][11]. 본 논문에서는 트레드밀의 호환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u-헬스 서비스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개인 건강 측정기기 표준인 ISO/IEEE 11073 중에서 재활 기기 파트에 해당하는 10441을 기반으로 하여 에이전트(Agent)와 매니저(Manager)의 구조로 기기와 서버간의 통신을 설계하였으며, 트레드밀을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웹(WEB) 서비스가 가능한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 처방이나 운동 정보에 대해서 사용자가 쉽게 모니터 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다. 이와 같이 내부는 ISO/IEEE 11073 표준을 따르는 통신이 가능하고, 외부로는 웹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트레드밀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 내부에는 각 계층을 두어 표준화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스펙에 따른 확장성을 높였으며 의료진이 환자나 사용자에게 내린 운동처방의 정보와 그 운동처방을 이행한 내용을 직접 모니터링하고 재활시 더욱 적합한 운동처방을 내릴 수 있도록 트레드밀 시스템을 구현을 하였다.

      • 자기자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탈중심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황지연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비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탙중심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21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는 기술적 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단순매개모형과 직렬다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인인 자기자비, 탈중심화, 정서조절곤란, 심리적 안녕감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자기자비의 직접효과가 탈중심화의 간접효과보다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자기자비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자기자비의 직접효과가 정서조절곤란의 부분매개효과 보다 크게 나타났다. 넷째, 탈중심화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자비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모든 매개변인을 투입하여 모형을 분석한 결과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간접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자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수준을 예측하며 탈중심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가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자비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 또 다른 매개변인의 존재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한계점 및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centering and emotion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is survey-based research was conducted toward 221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country, ranging from freshmen to senior. To analyze the dual mediating effects, SPSS PROCESS macro is us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relevant theorie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s mediated by decentering and emotion dysregulation individually, and both decentering and emotion dysregulation would du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as well. The analysis shows, self-compassionate approach can be applied to increase the tendency of decentering and lessen the level of emotion dysregulation in their lives, enhancing their psychological well being as a resul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end.

      •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황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N 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여 9월 16일부터 10월 30일까지 1주일에 2회기씩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윤희(1994)가 수정․보완한 학교생활적응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분석결과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교육용 SNS 내용,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용 SNS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 변화는 통제집단의 학교적응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하위영역별 분석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교육용 SNS 내용,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교육용 SNS를 활용하여 집단상담이 갖는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해 학부모의 관심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초등학교 고학년 학급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프로그램으로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클래스팅’ 외의 다양한 교육용 SNS 활용에 따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다 많은 연구대상을 상대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사후 지속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자가 아닌 다른 프로그램 실행자에 의한 효과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학부모의 사전․사후 인식 변화의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조절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황지연 안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 regulation and peer relationship. The research problems identified specifically for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 regula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 first-grade students from Y elementary school of A city from Gyeongsangbuk-do,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The 2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10 in each group.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revis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current program by examining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a total of 8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one session per week) were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test tool for the study was emotion regulation test and peer relationship test,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with the two groups. SPSS for Windows 21.0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test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post-test score comparison was performed with the paired t-test. To observe the sustained effects of the program,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ne month after the post-test. In addition,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s in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observation of children’s responses and analysis of the researchers’ opin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promoting emotion 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6.00, p=.000). Self-regulation among sub-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resulted in (t=-3.86, p=.004), and other-regulation among sub-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resulted in (t=-5.01, p=.001), which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effectively improved the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4.74, p=.001). Among the specific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the presence and reliability of friends showed a result of(t=-9.00,p=.000) and persistence of relationship resulted in(t=-2.25,p=.051), indicating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sults. Adapting to friends resulted in (t=-4.71, p=.001) and cohabiting with friends showed a result of (t=-4.74, p=.001). All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excluding persistence of relationshi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ing in (p<.01). One month after the post-test, the follow-up tes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otion regulation (t = -4.74, p = .001) and peer relationship (t = -5.25, p = .001).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nts had a positive response to the effec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mproves the emotion regulation of children and is effective in promoting peer relationship. Key word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program using picture books,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 regulation, peer relationship.

      • 노래부르기를 활용한 언어훈련이 자폐성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황지연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prevalent clinical observation seen in autistic children is the delay in language develop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therapeutic approaches which will improve the linguistic ability of an autistic child. The were two main concret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first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singing therapies had on the autistic child's linguistic expression determined by the ability to combine two words. The second objective was to determine whether positive effects were maintained in the domestic life of the autistic chil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first grader selected from a special education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ubject was diagnosed as autistic by the DSM-IV(APA,1994) which is a diagnosis standard and behavioral checklist for the autistic. Two kinds of multiple baseline survey experiment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first experiment consisted of singing activities which involved 'asking', 'verb expressions' and 'onomatopoeic word expressions'. The second part involved investigating the stages of linguistic development and the responses of the subject in domestic life. For each experiment, 10 goal sentences were employed in each language domain as the criteria. The ratio of the subject's responses was recorded on an observation checklist based on the sentence domain criteria. The results of the baseline survey, the experiments and the follow-up test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effect of language training using singing therapy techniques produced rapid improvement in three language domains during the experiment treatment period compared to the baseline survey.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language training with singing was evident even after a one week pausal period, as shown by the improvement of the subject's linguistic ability in the follow-up tests. Third, the retention of the positive effect of language training with singing in the domestic life in three language domains showed rapid improvement during the experiment treatment period and follow-up tests compared to baseline survey. 자폐성 아동에게 있어 일관되게 나타나는 임상양상은 언어발달 지연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련의 치료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노래부르기가 자폐성 아동의 두 단어 언어표현 능력에 어느 정도의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와 가정에서의 일반화가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특수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DSM-Ⅳ(APA, 1994)의 자폐아 진단기준과 자폐아 행동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폐성 아동으로 평정된 1명의 아동이었으며, 노래부르기를 활용한 언어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언어영역 중 "요구하기", "동사표현하기", "의성어 표현하기"영역에 대해 중다 기초선 실험설계로 실험을 하였으며, 가정에서의 일반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또한 각 언어단계와 가정에서의 반응을 중다 기초선 실험 설계로 살펴보았다. 이때, 각각의 언어영역은 10개의 목표문장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아동이 나타낸 반응 비율을 실험 관찰표에 기록하여 기초선 검사, 실험, 추수 탐색결과를 비교ㆍ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노래부르기를 활용한 언어훈련의 효과는 세가지 언어영역에 있어 기초선에 비하여 실험처치 기간동안 높은 향상을 나타냈으며, 1주일의 휴지기 후 추수탐색의 결과에서도 현저하게 언어능력이 증가되어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일반화에 있어서도 세가지 언어영역에 있어 기초선에 비하여 실험처치 기간과 추수탐색시에 높은 언어적 향상을 유지하였다.

      •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문화 재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황지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국내 문화에 재적응하는 경험을 심리적 경험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은 국내 문화 재적응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국내 문화 재적응 경험에 영향을 준 맥락은 무엇인가? 셋째,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국내 문화 재적응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OECD 비회원국에서 청소년기를 5년 이상 보내고 한국 대학에 진학하고자 귀국한 국내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접근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 모집은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자가 지인들로부터 연구에 적합한 사람들을 소개받거나 이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가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여겨지는 지인들에게 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면담은 일대일 형식으로 각 참여자당 1회 실시되었고, 소요시간은 약 90분이었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추가로 전화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 내용은 사전 동의하에 녹음하였고, 녹취된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전사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서 제시한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6개의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고, 이는 18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군으로 묶였으며, 3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드러난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국내 문화 재적응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범주는 ‘심리 내적 경험’이며, 이에 대한 주제군은 ‘사회의 소수자로서의 혼란과 어려움’, ‘내 나라에 사는 안정감’, ‘여전히 남아있는 적응과제’이며, 이에 대한 주제는 ‘낯선 한국생활에 진입하는 두려움',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외로움', ‘비교하며 찾아온 위축감', ‘한국 사람들의 시선이 의식됨', ‘기대와 다른 한국에 답답하고 안타까움', ‘모국에서의 편안함', ‘유능함을 인정받음'이다. 두 번째 범주는 ‘성장의 경험'이며, 이에 대한 주제군은 ‘나를 찾아가는 여정', ‘나를 키우는 발판'이며, 이에 대한 주제는 ‘재적응의 의미를 발견함', ‘나만의 방식으로 한국에 적응하기', ‘기회의 땅', ‘나의 확장'이다. 세 번째 범주는 ‘지지의 경험’이다. 이에 대한 주제군은 ‘나를 도왔던 지지’, ‘필요했지만 얻지 못했던 지지’이다. 이에 대한 주제는 ‘스스로 견디려는 노력’, ‘주변 사람들의 지지’, ‘살기 좋은 한국의 생활환경’, ‘때로 우리끼리 때로 같이’, ‘받아들여지기’이다. 본 연구는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이 국내 문화에 재적응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했고, 이에 영향을 주는 맥락이 무엇이며, 재적응 경험이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드러냄으로써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의 국내 문화 재적응 경험이라는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였다. 이를 통해 재적응 경험이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에게 소수자의 삶을 경험하게 하지만 한편으로는 나를 키우는 성장의 경험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OECD 비회원국에서 귀국한 대학생이 국내 문화에 재적응할 때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들을 돕는 상담 실제에 유용한 기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연구 및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t explor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re-acculturation to home culture of ru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To this end, 10 students who returned to Korea to attend Korean universities after spending more than five years of adolescence in non-OECD countrie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data analysis, Colaizzi’s research method was applied amo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46 formulated meanings, 19 themes, 5 thematic groups, and 2 categories were drawn to the experiences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re-acculturation to home culture of ru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The first category is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the theme clusters are ‘social disruption and difficulty as a minority', ‘stability in my country', ‘still adaptive tasks', and the themes of this are 'the difficulty of entering unfamiliar Korean life', 'the loneliness of belonging nowhere', 'atrophy through comparison' 'getting on other Korean's nerves', 'The frustration and sadness of Korea, which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s.', 'home comfort', 'recognized for my ability', 'a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ntry into a new society'. The second category is ‘Experience of growth’, and the theme clusters are ‘the journey to Find myself’and‘the foundation for raising myself’, and the themes of this are ‘finding the meaning of re-adaptation’,‘adaptation to Korea in my own way’, ‘land of opportunity’ and ‘expansion of myself'. The third category is the ‘Experience of support'. and the theme clusters are ‘support that helped me', ‘support that I needed but didn't get', and the themes of this are 'sometimes between us' and 'accepted'. This study understands the essence of the phenomenon that re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have experienced in re-acculturation to home culture, what the context influences, and what the re-acculturation experience mean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cculturation experience allows re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to experience life as a minority,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function as an experience of growing up.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ands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from non-OECD countries when they re-adapt to home culture and provided a useful foundation for counseling practice to help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of counseling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