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초등학교 교실 맥락에서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수용과 변용

        황철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51

        이 연구의 목적은 Wiggins & McTighe(2005)의 이론이 한국 교실의 맥락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변용되는지를 탐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해중심교육과정이 교실의 맥락에서 어떻게 수용하거나 변용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전의 연구들이 Wiggins & McTighe(2005)의 이론을 수용하는 측면이라면, 한국적인 맥락에서 서구 이론의 타당성과 변용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는 데 차이가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설계에서 어떠한 부분이 수용되며, 변용되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단원의 설계과정인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학습경험 계획하기의 단계별 설계의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설계의 측면에서 Wiggins & McTighe(2005)의 이론에서 수용한 것은 무엇이고 현장의 맥락을 고려하여 변용한 것은 무엇인지를 범주화하여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실행에서 설계안은 어떻게 변용되는가? 교실의 맥락에서 설계한 두 가지 안이 실행의 과정에서 어떻게 변용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Wiggins & McTighe(2005) 이론이 교실의 맥락에 따라 어떻게 변용되는지도 실행의 측면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맥락의 의미를 파악하여 다양한 사례를 내부자의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함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8명으로 한 명은 교육과정 단원을 개발하였으며, 다른 7명은 동 학년 교사로 교육과정을 개발, 재설계 및 실행하였다. 자료 수집방법으로 심층 면담, 문서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수용과 변용의 두 가지 범주에 따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설계에서 Wiggins & McTighe(2005)가 제안하는 이론적인 원리와 설계의 단계들은 수용하였다. 설계에서 변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에서 비정형성을 고려해야 한다. 교육과정 문서를 해석하는 방식은 일 방향의 성격을 띠지 않고 단원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을 고려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의 요소를 구현하기 위해 기능을 구체화하고 수업을 위해 구체적인 차시를 배정했다. 셋째, 내용 체계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교사는 학년 수준이나 학생의 이해수준을 고려하여 일반화된 지식, 핵심 기능 등을 변용하였다. 넷째, 학생의 삶과 전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실의 맥락에서 학생들이 이해한 것을 적용 가능한 상황을 제공하고자 했다. 다섯째, 수행과제를 구조적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수행과제는 학생의 이해를 확인하기 위한 하나의 상황, 일시적인 장면으로 제시하기보다는 이해의 증거들을 누적해서 학습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여섯째, 6가지 이해의 요소 중 필요한 요소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해의 6가지 요소를 형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행과제 설계에 필요한 요소를 선별해서 이용하였다. 일곱 번째, GRASPS, WHERETO 조직자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수행과제 설계나 학습경험 및 수업 준비하는 단계에서 단원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직자를 활용, 변용할 수 있다. 여덟 번째, 이전 학년도 학생들의 영속적인 이해를 확인하는 것이다. 오개념과 선 개념을 단원 도입뿐만 아니라, 이전 학년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이해를 확인하는 것도 의미가 있었다. 교실 맥락에서의 변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의 상(像)으로 실행의 목표를 인식하는 것이다. 교사들은 수업을 실행하면서, 1단계에서 목표로 하는 전이, 의미, 습득의 요소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상(像)으로 목표를 세우고 있었다. 둘째, 학생의 내러티브를 통해 이해를 확인하는 것이다. 학생이 이해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교사와 학생의 내러티브를 활용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의 과정에서 지속적인 피드백을 하는 것이다. 구조적으로 설계된 수행과제는 학생이 수행과제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주었다. 넷째, 수행과제를 피드백하는 것이다. 피드백은 수업 상황에서 일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수행과제 이후에도 피드백은 일어날 수 있었다. 다섯째, 삶과 연결하기 위해 현장을 방문하는 것이다. 학생들의 삶과 연결하기 위해서 현장을 방문하는 것이 의미가 있었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설계와 실행에서 수용과 변용이 일어난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요인이 영향을 주었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해석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수업에서 교사의 의도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들의 이해수준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자의 시도는 서구의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담론의 논의에 계기가 될 것이며, 이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의 안착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한국적인 상황을 고려한 이해중심교육과정은 현장의 교사가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교사가 목표하는 학생의 영속적인 이해 달성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더 나아가 Wiggins & McTighe(2005, 2012)도 Understanding by design이라는 용어를 통해 교사가 설계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듯이, 이 연구는 교사의 다양한 설계 경험에 기초한 이론적 지식의 적용과 반성적 실천을 탐구함으로써 교사가 진정한 교육과정 설계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발휘하는 주체가 되는 것에 기여할 것이다.

      • 초등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교사역량의 변화 탐구 : 이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바탕으로

        오윤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의 목적은 이해중심교육과정을 실천하며 나타나는 초등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안에서 교사역량의 변화를 탐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이해중심교육과정이라는 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어떻게 실천하는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교사역량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실천을 위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자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학교와 그 모임에 참여하는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서로 다른 수준의 교사역량을 가진 9명의 연구 참여자를 9개월 동안 참여관찰 하였고, 심층면담, 이메일, 메신저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안에서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실천 양상을 지식, 기능, 가치의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지식의 측면에서는 서로 다른 초보적, 능숙한, 숙련 수준의 교사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이라는 교육과정 설계 모형에 대한 이해를 달리하였다. 백워드 설계의 1단계 핵심질문을 구성하는 과정, 2단계 수행과제를 제안하는 과정, 3단계 수행평가에서 교사들은 어려움을 경험했다. 서로 다른 역량을 가진 교사들은 각기 다른 이해와 실천 양상을 보였으나 각 수준마다 유의미한 발달을 보였다. 기능의 측면에서 교사들은 반성적 사고, 교수적 기능, 의사소통 기능, 교육과정 문해력 등의 발달을 경험했다. 가치의 측면에서 교사들은 학생의 잠재력 함양을 위한 헌신을 바탕으로 열정, 교사 전문성, 개선을 위한 노력 등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교사역량은 지식, 기능, 가치 측면이 상호보완적, 총체적 특성을 보이며 다차원적으로 발달해 나갔다. 둘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안에서 교사역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서로 다른 수준의 교사역량을 지닌 교사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소통 과정을 경험하며 동료교사와 공동연구, 공동실천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를 경험하거나 교사 개인의 내적 변화를 경험하며 교사역량을 발달시켰다. 형식에 얽매이는 초보적 수준을 넘어 창의성을 발휘하여 유연성을 높이는 숙련 수준으로 발달했다. 또한 교육과정에 대한 거시적 안목을 갖게 되며, 교사들 간의 소통 문화를 형성하였다. 백워드 설계는 혼자보다 함께 설계할 때 풍부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경험은 백워드 설계의 지속성을 높이고, 협력적 유대관계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교사 내적 성장 측면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열정이란 가치를 되찾고, 도전하고, 교사로서의 성찰을 경험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이해중심교육과정 실천은 교사 개인보다 협력을 통한 실천에 주목했고, 서로의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고, 집단창의성을 발휘하며 교사역량의 발달을 가능하게 했다. 연구 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역량의 발달은 지식, 기능, 가치의 여러 특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이뤄진다. 둘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한 교사 간 상호작용과 내적 성장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활용될 수 있으며, 교사역량의 총체적 발달을 모색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운영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물론 연구회, 동아리 등 교사들의 소통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모임 등에 활용되어 교사역량의 발달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백워드 設計에 基盤한 學校 敎育課程 評價의 改善 硏究

        정수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 평가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문제해결 접근의 이론적 구조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자가 최초에 인식한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문제는 학교교육과정 외부의 기준을 통해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충실도를 평가한다는 점이었다. 그로 인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와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수업 실행이 학교교육과정 실행과 평가의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게다가 가치 판단이 중심되어야 할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단순한 측정이나 검사로 대체되어 학교교육과정의 질 개선을 위한 형성적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에 기반하여 이상의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백워드 설계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단원 개발, 교과교육과정 개발에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고, 백워드 설계를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논의는 이제 막 시작되려 하는 단계다. 본 연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는 선구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의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평가 모형은 학교교육과정 설계와 실행, 평가를 서로에게서 분리시키고 지극히 과학적 객관성과 관리 용이성만을 내세워 각각에 대해 하향식으로 접근해 왔다. 많은 교사들이 익히 경험으로써 알고 있듯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정련된 학교교육과정 운영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증대를 위한 필요조건을 될지라도 충분조건은 아니다. 이에 반해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학교교육의 책무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도달하기 원하는 교육목표를 명시한다. 둘째, 교육목표에 비춰 학생들의 학습 상황과 교사들의 교수 활동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 셋째, 교육목표와 현재 수행 사이의 격차를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즉각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계획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밝힌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프로그램으로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을 구안하였다.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학교교육과정 설계와 실행, 평가를 따로 떼어 바라보지 않고 학교교육의 바라는 결과를 중심으로 설계, 실행, 평가가 일관성을 갖추어 동시에 진행되는 접근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은 6단계의 과정을 통해 교사가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학교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연구자의 긴밀한 참여를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두 차례에 걸쳐 실행(action)되었다. 실행 과정에서 백워드 설계라는 낯설고 어려운 설계 이론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거부 반응, 설계의 내실보다는 수업의 기술이나 학습 활동을 중요시하는 고질적인 분위기, 열심히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것에 집중하여 정말로 중요한 것에 대한 판단을 미루려는 매너리즘에 맞닥뜨리기도 했다. 그러나 실행 결과,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의 실행은 뚜렷하고 의미 있는 현장의 변화를 이끌어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접근은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적 효과와 그 수단으로서의 수업 실행을 중심부에 두고 학교교육과정 설계, 실행, 평가가 일관성을 갖추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교사의 수업 실행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교사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또한 이 접근은 교사의 수업 실행 개선이 모여 학교교육과정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는 상향식 접근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교사들이 실천가로서의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하여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책무성 회복을 이끌어냈다.

      •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음운 체계 단원의 내용 재구성

        전은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87

        이 연구는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 하여 문법 영역 중 `음운 체계` 단원의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Wiggins와 Mctighe가 개발한 백워드 설계 모형은 용어가 의미하는 것처럼, Tyler의 목표 중심 모형에서 목표-수업–평가로 제시된 절차에서 평가를 강조하여 ‘바람직한 결과’인 목표 계획 단계에 이어 곧바로 ‘수용 가능한 증거’인 평가 계획 단계를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또한 교과 내용에 대한 `영속적 이해` 즉, 교과의 중심에 위치하는 핵심적이고 중요한 아이디어를 선정하고 설명,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지식의 다양한 이해의 측면을 고려하여 개념, 원리, 기능 등을 실제 맥락에서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백워드 설계 모형을 국어과에 적용하여 연구된 것은 주로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와 같은 국어 사용 기능 영역이었으나, 백워드 설계 모형이 Bruner의 학문 중심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이해 중심 교육과정 모형임을 고려할 때, 문법 영역에도 충분히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백워드 설계 모형의 본질적 질문은 학생들이 문법 지식에 대해 고민해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법 영역의 탐구학습법과 백워드 설계 모형의 접목은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하였다. 더불어 문법 교육 내용이 단순히 학문문법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 가치를 살릴 수 있도록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음운 체계’ 단원의 내용을 문법 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살릴 수 있도록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phonology system’ unit of the grammar area based on ‘Understand by Design’. UbD(Backward Design) developed by Wiggins and Mctighe, as the term implies, is characterized by establishing an assessment that is a ‘Desirable result’ next to objective that is ‘Acceptable evidence’ in procedures was highlighted in the assessment compared to Tyler’s model with procedures of goal-class–assessment. And it selects key and important ideas that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and considers various aspects of the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pplication, perspective, empathy, and self-knowledge. So it It enables the execution of concepts, principles, functions, etc. in the actual context. The study on applying UbD to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was mainly in the areas of verbal skills such as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Considering that UbD is a model of based on Bruner's academic curriculum, this study will be worthy to study the area of grammar by applying UbD. In addition, the integration of the study method of grammar area and UbD is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in that the fundamental question of UbD can cause students to think about knowledge of grammar. Furthermore, the issue continues to arise that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that not just repeating the content of the grammar, should be reorganized to enhance educational value.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pply the Ub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The phonology system’ section to the educational value of grammar education.

      • 샴푸교수·학습방법에 따른 평가도구 개발방안

        정새미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샴푸관련 지속가능발전 교육개발에 따른 평가를 제시함으로써 기술교과가 갖는 통합적인 관점의 접근에 의한 문제해결력 신장을 개발하기 위하여 표준교재, 검정형, 과정형-이·미용 교재를 비교분석하여 평가표의 보조 학습교재인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필요지식과 수행내용을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총 12개의 루브릭(암묵적·기법적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2개 항목, 수행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10개 항목)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NCS기반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전문계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문헌연구는 표준교재 1권, 검정형 이론 및 실기서 각 1권, NCS학습모듈-이·미용 각 1권 총 5권의 교재를 대상으로 각 교재의 내용체계표를 재구성하고 이를 분량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교재마다의 특이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필요지식과 수행내용에서의 명시적·기법적지식이 분리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재 내 필요지식과 수행내용의 분량분석 결과 표준교재(4 : 1), 검정형(1 : 0.8), 과정형-이용(3 :1), 과정형-미용(1 : 1)로 나타났다. 교재별 학습목표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과정형-미용의 학습목표는 수행내용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활동위주의 목표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정형-미용의 교재의 구성이 과거의 교육과정에서 보여진 모습인 ‘시키는대로 할 수 있다’로 보여지는 결과와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조사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된 루브릭 10개 항목을 가지고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실업계고등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3개월간(2018.7.1.~2018.11.01.) 자기평가(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 전체의 자기평가의 평균은 3.87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들 평균적으로 루브릭 10개 항목 중 ‘주변정리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에 가장 높은 점수를 ‘선수과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에 가장 낮은 점수를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응답자가 현장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샴푸·트리트먼트 경험 횟수가 많을수록, 샴푸과목 학습 학년이 높을수록 점수를 높게주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술교과를 교수·학습할 때 필요지식과 수행내용의 연계를 통해 산학의 정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교과목의 평가도구 개발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a checklist of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in the assessment table by comparing and analyzing standard, Qualification-type, process-type, and beauty course textbooks to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by presenting an assessmen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related to shampoo. To this end, the NCS-based education was surveyed by developing a checklist of 12 Rubrices (two items for evaluating tacit and technical knowledge and 10 items for assessing performance)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In the literature study, the content system table of each textbook was reconstructed and analyzed for five volumes, each of which is a standard textbook, a black theory and a practical book, and a total of five volumes of NCS Learning Modules-beauty books. This revealed the existence of specificity in each textbook, and the necessary knowledge and the explicit and technical knowledge in the performance details were not separated but mix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amount of required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the textbook showed standard teaching materials (4 : 1), test type (1 : 0.8), process type-barber (3:1), process type-beauty (1 : 1), and process type (1 : 1). Comparing study goals for each textbook, it was shown that the course-based learning goal consisted of simple activity-oriented goals centered on performance. Thi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course-type and aesthetic textbooks was followed by what was seen as ‘you can do what you want’ in the past curriculum. Th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on self-evaluation (2018.7.1.-2018.11.01) for three month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business community by compiling a checklist with 10 rubric items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s a result, the average of the overall self-evaluation of respondents was 3.87, which is more than "normal." Overall respondents, on average, were found to have given the lowest score of ‘Consultative Career Handling’ out of 10 Rubric categories. The more hands-on experience the respondents had, the more often they experienced shampoo and treatment, and the higher the year they studied for the shampoo subject, the higher the score was foun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each subject so that convergence of industry and academia can be achieved through the linkage of knowledge needed to teach and learn technical subjects.

      • NCS헤어커트 내용체계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발 : -국가기술자격 미용사(일반) 헤어커트 교과를 중심으로-

        차소연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69

        교과서는 교실의 수업과정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자료로서 각 교과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체화되어 있다. 이는 교수‧학습에서의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교사와 학생 간 수행의 일관성과 교실수업이 추구하는 다양성을 극대화한다. 2015개정 국가교육과정인 NCS기반 NCS학습모듈은 일반 교과서와 같이 교과구분에 있어서 효율적인 수업에 근거하고 있다. 중복 또는 누락없이 필요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포괄성과 배타성의 원리에서 제공된다. 이는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기본교과로서 실제적인 측면과 이론적 측면에서 교과구분의 기준이 된다. 이 연구는 2015개정 국가교육과정에 준하는 2022년 검정형 필기시험 출제기준 내 단원명 기초헤어커트를 연구의 배경으로 하였다. 근대 이후 신문물인 미용산업이 현재 K-뷰티로의 선진화에 ‘대한민국 사람이 아름답다’는 국가적 신용도의 높은 선입견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고교학점제의 중심에서 논의된다. 이에 앞서 교과구분의 기준에 따라 검정형 분류체계를 구조화하여 도출된 분석표는 NCS학습모듈과 양적‧질적으로 교과지식을 분류하여 분량화하는 문헌연구를 하였다. 즉 검정형과 NCS학습모듈의 수행내용을 중심으로 핵심개념을 추출하여 필요지식 간의 연계성과 교과역량을 분류‧대조한 것이다. 또한 구조화된 내용체계를 바탕으로 QR코드를 접목한 디지털교과서의 보교재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개의 단원항목(헤어커트도구, 커트의 절차, 커트기법, 커트의 기본형)으로 영역화한 분류체계표를 토대로 검정형 실기시험의 세부과제 분석 시, 내용지식 및 내용요소가 고르게 적용되고 있었다. 반면 NCS학습모듈은 부적절한 개념오류 및단어선택, 부적정단어 반복사용 등 학습활동과 관련 올바르게 습득되지 못함을 나타내었다. 둘째, 분량분석을 통한 양적분석 측면에서 본 결과 NCS학습모듈은 두 차례 개선됨에 따라 외재적 분량은 늘어났지만, 검정형 내용체계보다 질적‧양적면에서 구조화와 체계화가 부족하다는 것이 분석되었다. 또한 수행내용과 필요지식의 양적 배분에서 NCS학습모듈은 모두 필요지식보다 수행내용의 양이 50% 이상 적게 작성되었다. 셋째, 수행내용에 있는 각각의 커트형태의 유형에서 수행순서 과정을 도식화 작업한 결과 NCS학습모듈은 내용 설명이 부족하여 정확한 이미지로서 전개할 수가 없었다. 넷째, 분류체계 분석표의 내용체계를 적용하여 수행내용과 필요지식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NCS학습모듈은 맥락과 맞지 않은 문맥상 오류가 나타났다. 반면 검정형 교재는 요구되는 핵심개념을 적절한 배경지식(schema)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살펴본 바와 같이 NCS학습모듈은 국정교과서로서 학습동기와 흥미유발을 위해 내용의 심화나 보충자료뿐 아니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학습내용의 적정화가 오히려 내용을 생략하는 방안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는 교사의 책무성으로서 교과내용의 재구성 능력을 일괄 맡기는 책임회피로 나타난다. 특히 미용관련학과 교사는 사범대가 아닌 특수교육학과 출신이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커트도구(Ⅰ), 커트기법(Ⅱ), 커트 절차(Ⅲ), 커트기본형태(Ⅳ) 등의 내용지식을 체계화하고자 스마트폰을 이용 자료에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를 생성하여 각 자료에 연결하였다. QR코드 주제는 커트도구 6개, 자르기기법 4개, 기본형태 1개, 커트의 절차 1개, 남성형 커트스타일 3개 등 총 15개로 설정하고 자료를 제작하여 교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초헤어커트 단원항목에서 선정된 주제로서 QR코드로 제공받아 자료의 내용에 해당하는 교과서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교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이 학습자료의 양과 질에서 학습량의 적정화(적게 가르치고 많이 아는)뿐 아니라 수업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스마트폰을 이용한 QR코드 활용에 두었다. Textbooks are the most central material in the classroom proces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realizing the goals of each subject are specified. This is not only an important material in teaching and learning, but also maximizes the consistency of performance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the diversity pursued by classroom lessons. The NCS learning module based on the NCS, which is revised in 2015, is based on efficient classes in subject classification like general textbooks. It is provided on the principle of inclusivity and exclusivity so that you can learn what you need without duplication or omission. This is a basic subject required of learners, and serves as a standard for classifying subjects in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aspect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the basic haircut for the unit in the criteria for the 2022 test-type test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ince modern times, the prejudice with high credibility that ‘Koreans are beautiful’ have led to the advancement of the beauty industry as K-beauty. Accordingl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being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fy and categorize subject knowledg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he NCS learning module by deriving an analysis table that structured the test-type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ubject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the core concep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test type and the NCS learning module, and the connection between necessary knowledge and subject competency were classified and contrasted. In addition, based on the structured content system, supplementary materials for digital textbooks incorporating QR codes were developed. The research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table divided into four unit items (haircut tool, cutting procedure, cutting technique, basic type of cut), the content knowledge and content elements were evenly applied when analyzing the detailed tasks of the test-type practical test. On the other hand, the NCS learning module was not acquired in relation to the activity due to inappropriate concept errors, word selection, and proper word repetition. Secon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volum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although the external volume increased as the NCS learning module was improved twice, it was lacking in structur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compared to the test-type content system. In addition, in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performance content and required knowledge, all of the NCS learning modules had less than 50% of performance content than required knowledge. Third, as a result of schematizing the practice sequence process in each cut type in the performance content, the NCS learning module could not be developed as an accurate image due to the lack of content descrip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 content and required knowledge by apply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table, errors in the context of the NCS learning module did not match the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 test-type textbook applied the required core concepts as appropriate background knowledge (schema). As we have seen, the NCS learning module, as a government textbook, should be made so tha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as well as in-depth or supplementary materials to motivate learning and arouse interest. However, the optimization of learning contents is produced as a way to omit the contents. This appears as a responsibility evasion of entrusting the ability to reorganize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s a teacher's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it is overlooked that the teachers of the beauty-related department are from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not the college of educ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systematize content knowledge such as the cutting tool (Ⅰ), cutting technique (Ⅱ), cutting procedure (Ⅲ), and basic cutting form (IV), a QR code that can be accessed using a smartphone is generated. Each data was linked. A total of 15 QR code themes were set, including 6 cutting tools, 4 cutting methods, 1 basic shape, 1 cutting procedure, and 3 masculine cut styles, and materials were produced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is is the subject selected in the Basic Haircut section, and it is provided as a QR code and can be attached to the location of the textbook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learning materials (teaching less and learning more), but also to use the QR code using a smartphone for positiv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classes.

      • 인권감수성 함양을 위한 체험영역 사회참여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UbD)를 활용하여

        김다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4367

        미술과의 교육과정은 ‘체험’, ‘표현’, ‘감상’의 세 영역으로 나뉘며 이 중 ‘체험’영역은 자신과 주변과의 조화를 발견하고 시각문화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고 참여하며 타 분야와 미술과를 관련지어 생활 속에서 미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영역이다. 이처럼 미술교과의 교육과정에서는 체험영역이 중요하게 드러나 있지만 현장에서의 미술 교과는 여전히 표현 영역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생산해내는 시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체험영역의 미술수업은 영역의 특성상 학생들이 실제 삶의 맥락 속에서 미술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는 수업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체험영역의 목적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시각적 소통으로 미술을 인식하여 학생들의 삶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의 실천을 논의하는 사회참여미술교육의 목적과 부합한다고 보았다. 또한 학생들이 미술을 통해 삶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의 실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진정한 ‘이해’를 반영한 수행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이해’를 ‘수행’으로 드러나게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UbD) 모형을 활용하여 미술과 체험 단원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는 미술과 체험영역 수업을 위한 사회참여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UbD)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하고, 적용하는 수업 사례 연구로서 미술과 체험영역의 ‘소통’과 ‘연결’의 핵심 개념을 다룬다. 또한 미술이 사회의 실제적 문제에 기여해야 한다는 사회참여미술의 철학에 기초해 체험 단원을 개발할 때 사회과의 성취기준 중 ‘인권’과 관련된 요소를 포함하여 사회참여미술교육을 통해 학생의 인권감수성을 기를 수 있도록 단원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인권감수성 요소인 인권에 대한 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의 변화를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인권감수성의 구성요소 중 인권에 대한 상황지각능력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프로그램 투입 전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문화 와 관련된 인권 침해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사회참여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실제 상황 속에서 인권을 발견하고, 다양한 시각문화 속에서 인권 침해 상황들을 찾아보는 수업 활동을 진행하였다.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적 문해력과 함께 상황지각능력을 키우며 연구 참여자들의 주변 시각문화인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서 인권 침해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인권감수성의 구성요소 중 인권에 대한 결과지각능력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전의 연구 참여자들은 주변의 시각문화를 발견할 수는 있으나 그러한 시각문화가 사회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의 수행과제 1에서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이 되어 주변의 이미지들이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탐색하고, 수행과제 2에서 사회참여미술가가 되어 작품이 관객에게 미칠 영향을 지속적으로 생각하며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이미지 제작 능력을 키워나갔다. 프로그램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이미지가 다른 사람에게 미칠 결과를 지각할 수 있는 변화를 보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인권감수성의 구성요소 중 인권에 대한 책임지각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이전의 연구 참여자들은 인권 문제를 인지하고 있음에도 그것이 나와 관련된 문제이고, 내가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어색해하였다. 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참여미술가가 되어보는 경험을 통해 이미지의 의미를 넘어 주변 사회문화에 대한 통찰과 개인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시각문화를 활용하여 소통하며 주변의 사회문화를 개선시키려는 실천 의지를 보였다.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미술과 체험영역의 수업 사례를 제공해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미술과 체험영역은 그동안 수업방향의 구체성 부족, 연구 사례의 미비 등으로 현장에서 실질적인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연구는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의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미술과 단원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는 현장에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가 미술과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 사례를 제공하여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사회참여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인권감수성의 변화를 관찰한 연구로서 미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고 학습자의 인식이 변화하는 하나의 사례를 제공하여 주고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다음과 같은 결과와 의의는 미술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하고자하는 현장의 교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교육과정 재구성 논의에 주는 시사

        이정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67

        여러 개정 교육과정과 최근 발표된 2022 개정 국가수준 교육과정은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교육과정을 학교에 적용할 때 점점 분권화, 자율화 등의 정책을 통하여 교육과정은 따라야 하는 정해진 것이라는 관점보다는 학교와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재구성한 후 실천한다는 관점이 정립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맥락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적인 특징을 살핀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현장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이론적으로 Tyler와 Bruner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둘째,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의의는 무엇인가?, 셋째,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이 교육과정 재구성 논의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적인 특징을 살피기 위해 두 원천인 Tyler와 Bruner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들을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목표로서의 이해와 의미,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의 제공, 교사의 역할에 대한 추가 탐색 필요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적 쟁점들은 현재 힉교현장의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교육과정 재구성은 등장과 방법에서부터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이론적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신장시키고, 교사의 역할을 교육과정과 수업 안에서 적극적으로 수업을 만들어가는 존재로 다르게 바라보았다. 마지막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이해’의 의미에 대한 수업 장면에서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게 한다는 의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를 고찰하면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그 이론적 탐색보다는 설계 방식을 적용한 연구들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이론적 틀로 역할하고 있기 떄문에, 이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적이고 방법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지식 또한 뒷받침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재구성 또한 현장에서 널리 실천되고 있지만, 그 이론적 원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재구성의 사례와 방법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재구성의 이론적인 배경을 밝히는 노력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

        윤혜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4367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AI)은 국가와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AI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초·중등 대상의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SW·AI)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추세이다. 한국 역시 전 국민 대상 SW·AI 교육 환경 조성과 함께, 초·중등 학교급에서는 SW·AI 교육 강화를 위해 정보 교과목 강화 및 정보 융합 교육 장려 등을 정책으로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미래 역량 함양에 공통으로 필요한 교육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정보 교육 차원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에의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제이므로 정보 교육과정의 평가 영역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교과의 내용 및 평가 영역, 교육평가, 총론의 주요 특징 및 관련 교육과정 이론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관한 정보 교과 중심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중등 정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를 활용하여 평가 설계를 위한 절차와 교과 내용 분석 기준을 제시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백워드 설계는 총론에서의 교과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학습 내용 구조화,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절차와의 공통점 기반의 관계성, 심층적 이해를 위한 교과의 재구조화 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연구문제로서 첫째 정보 교과의 지식의 특징, 둘째 정보 교과 특징에 기반한 지식, 기능, 태도의 구조, 셋째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정보 교육 평가의 구성과 적용 절차를 제시했다. 연구 절차는 탐색, 설계, 타당화, 결론 도출로 구성했다. 탐색 단계에서 연구문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문헌 연구를 위해 한국, 영국, 미국의 교육과정 및 관련 문서, 교육과정, 교육목표분류, 교육평가 관련 연구와 문서를 검토했다. 설계 단계에서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로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 정보 교과를 위한 지식·기능·태도 구조, 평가 방안과 적용 절차 등을 도출했다. 타당화 단계에서 설계 내용에 대한 이론적, 현장 적용성 관점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했다. 학계와 현장 전문가 16인을 대상으로 이질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방법과 심층 면담을 실행했고, 총 3차의 설문 과정을 거쳐 합의를 이루었다. 회차별 설문 내용의 분석 방법은 합의 도달 여부의 양적 평가 기준(표준 편차, 사분위수 범위, 적합 비율, 내용타당도 비율)을 검토하고, 서술 의견과 심층 면담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정보 교육 평가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기반의 설계 절차와 주안점을 제시했다. 둘째, 평가 설계에 필요한 교과 내용의 분석 기준(정보 교과 지식의 특성 및 지식 위계, 기능 분류, 태도 분류)을 제시했다. 셋째, 평가 유형과 세부 유형을 정리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식-기능 관계 및 태도 구조에 따른 적용 방안을 제시했다. 덧붙여 이해를 돕기 위한 통합 사례와 총괄 수행 과제를 포함했다. 연구의 의의로서 첫째, 본 논문은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등 정보 교육에서 평가 설계 과정과 이를 위한 정보 교과 내용 분석의 기준을 제공했다. 둘째, 정보 교과의 평가에 대해 정보 교과의 구조와 내용의 특징 관점에서 접근했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을 현장 교육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정보 교과 중심의 자료를 제공했다. 넷째,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에서 정의적·심동적 영역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관련 내용을 보다 체계화하고 강화했다. 다섯째, 중등 정보 교육 연구에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을 짚어보고, 교과 내용 구조화를 위한 위계와 분류 체계에 정보 교과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용어와 표현을 사용했다. 여섯째, 정보 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의견의 차이는 전문가의 환경과 정보 격차 등에 의해 발생함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향후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 설계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이론 중심의 연구이므로, 이로 인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 대상의 실행 연구, 현장 적용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의 템플릿 발전, 학교급별·교과 영역별 사례 개발,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연수 개발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교과 내용으로서의 지식 자체에 대한 연구로서 교과 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보 교과의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과 구조 및 관계를 더욱 정교하게 규정하여 교수·학습 내용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기대하고, 교사들의 교수·학습·평가 설계에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정보 교육과 관련된 객관화된 평가와 정량화된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능력과 학습 결과를 적절하게 진단하고 측정하는 것은 개별 학습자에게 알맞은 정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제시한 향후 연구에 필요한 기간과 자원 등을 고려하여 개인과 공적 차원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widely recognized as the cornerstone of both busines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since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resulted in major economic and societal upheaval. Majo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systematically promoting soft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W·AI) education for K–12 as well as higher education to get ready for an AI–center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Korea, a SW·AI education environment for all ages is being established. Additionally, at the K-12 level, SW·AI education is strengthened through educational strategies including enhancing informatics subjects and classes that combine with content in informatic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valuation to measure learners’ academic progress more thoroughly in informatics subject-area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subject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the general guid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ssociated theories, as well as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to properly plan assessments based on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 for informatics-related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guidelines for planning assessments and criteria for analysis of subject content based on second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using backward design. Backward design has three implications in this study: structuring learning content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 sharing commonalities with problem-solving processes in informatics; and a restructuring strategy of subjects for the purpose of in-depth understanding.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 informatics in secondary school? Second, what is the structure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Third, what is the procedure for planning assessments in infor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teps of the research process were exploration, design, validation, and drawing of conclusions. In the design stag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knowledge, restructured structur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informatics, evaluation plan, and application procedure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s sources for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and documents on curriculum and related documents in Korea, the UK, and the US, curriculum theory, educational taxonomies, and educational evaluation were cited. In the validation stage, the accep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sign outcomes were confirmed from a theoretical and field applicability perspective. Delphi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were applied to a heterogeneous group of 16 experts, consisting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secondary informatics teachers, and consensus was built through three Delphi rounds. For consensus analysis, four quantitative discriminant criteria were looked at: standard deviation, interquartile range (IQR), agreement ratio,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hen all conditions are me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lphi's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as examined, and the comprehensive agreement conclusion was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uidelines and key ideas were proposed when designing an assessment plan for secondary informatic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econdary informatics subject for assessment were offered. In detail, it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knowledge hierarchy, and skill and attitude categorization in secondary informatics. Third, the types of assessment methods available for secondary informatics were integrat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m, the plan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knowledge-skill relationship structure and attitude structure was presented. Integrated scenarios and performance tasks were offered to aid with comprehensio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assessments plan and structural analysis of subject content for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Second, assessments for informatics were approached from a thorough viewpoint of the subject structure as per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features of the subject content. Third, the sources required to integrate the national curriculum into classroom instruction are offered, with an emphasis on informatics. Fourth, awareness of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was examined during assessments of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 related material was enhanced and better systematized. Fifth, the hierarchy and categoriz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ere described as terminology and expressions connected to informatics. Finally, it was established that experts' perspectives, perceptions, and opinions on the topic of informatics education vary depending on their unique circumstances and contexts, and further research to fill in the varied knowledge gaps among experts is recommended. Future research area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theory and method of assessment plan desig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mplates that are more appropriate for the field, compile case studies by academic level and content areas of the subject, and creat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Second,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covered in informatics educa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consistency and continuity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provide teachers with standards to use when they restructure the curriculum by more precisely defining the traits and structures of informatic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verifiable and quantified scales related to informatics education. Learning outcomes and abilities must be accurately diagnosed and measured to provide each student with the instruction they need. Finally, considering the time and resources required for each research topic, simultaneous efforts at the individual and public level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research areas mentioned above. Keywords: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ssessments plan, informatics curriculum, national curriculum, backward design (understanding by design), curriculum restructuring.

      • 역량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사례연구

        최연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67

        최근 지식과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사회변화와 함께 고정된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온 학교교육에 대해 보다 심각하게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오늘날의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능력들을 중심으로 학교교육이 재구조화되어야 한다는 교육과정에서의 역량중심적인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 역량의 초기 개념은 주로 직무 수행과 관련하여 규정되어 왔지만,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포괄하는 것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면서 학교교육을 통해 역량을 신장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역량중심적 학교 교육은 결국 교사들의 실천에서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사들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량을 학교교육과정에 반영하는 학교를 사례로 선정하고,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고자 하는 네 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역량의 의미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는가? 둘째, 교사들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실천에서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가? 셋째, 교사들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실천의 쟁점은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사례학교 교사들이 역량의 의미를 이해한 과정과 현재 교사들이 갖는 역량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교사들이 실제로 하고 있는 수업과 평가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교사들이 보여주는 역량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어떠한 쟁점이 있는지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교사들은 사례학교에 근무한 것을 계기로 역량을 접하였다. 사례학교에서는 주기적인 교사 회의와 전체 교사 워크숍을 열고, 경험이 있는 교사를 모든 학년에 배정하는 등 교사들의 역량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교육과정 실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역량의 의미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자신의 교육관을 역량의 의미와 관련지으면서 역량의 의미에 가치를 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네 교사들은 역량의 의미를 ‘교과를 재구성하는 기반’, ‘실천할 수 있는 능력’, ‘교과에 배우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 계획을 수립할 때 역량을 교과를 재구성하는 기반으로 활용하고 있다. 교사들은 역량을 배운 것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하면서 지식을 가르치는 것과 역량을 성취하게 하는 일이 다르게 일어나는 것으로 구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해당 내용을 배워야 하는 이유를 역량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역량을 연결하면서, 역량의 의미를 교과를 배우는 의미를 주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네 교사들은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면서 통합수업과 일반수업을 구분하고 있다. 교사들은 교과를 통합하여 주제중심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해 역량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운영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동학년 교사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은 역량을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방식으로 수업을 운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은 역량중심 수업을 실천하면서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고 어떠한 능력을 습득하는지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네 교사들은 서술형․논술형 문항으로 구성된 교과 통합형 평가로 지필평가의 형태를 변화시켰다. 교사들은 수업 운영과 평가를 관련지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이에 평가 상황, 평가 문항 내 요소가 통합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수행평가에서는 적절한 시점과 형태를 찾기 위해 노력하면서 다양한 평가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통지의 빈도를 높이면서 양적 평가와 질적 기술을 함께 통지하고, 평가 및 통지의 방법으로 자기평가를 포함시켰다. 셋째, 네 교사들은 지식을 가르치는 일과 역량을 발달시키는 일이 관계를 맺는 일이라기보다는 다른 종류의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 그들의 수업에서 두 가지 일은 구분되기보다는 오히려 밀접하게 관련되고 있다.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 두 가지 일의 유기적 관련을 강조하고, 지식을 경험적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식을 가르치는 일과 역량을 발달시키는 일은 하나의 학습 활동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네 교사들은 역량중심 수업은 범교과적으로 교과를 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이해하고 있다. 교사들은 교과 지식에 부여한 역할을 변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수업에 역량을 연결하고 있다. 교과 지식의 위치는 그대로 둔 채 역량을 연결하는 실천은 역량중심적 접근의 의미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 그리고 방법론적 변화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어렵다는 점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 역량중심 수업으로의 전환이 의미 있는 변화가 되기 위해서는 학생 역량의 발달이 교육과정 실천의 목적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역량중심 교육이 우리의 맥락에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 드러냈다는 데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역량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탐색이나 설계방안이 아닌, 교사들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했던 교사들의 역량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드러냈으며, 그들의 이해가 실천으로 연결되는 장면을 포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및 제한점과 관련하여 향후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우선, 이 연구가 연구 대상으로 하는 사례학교는 새로 혁신학교로 개교하는 초등학교라는 특수성을 갖는 만큼,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역량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는 네 명의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드러내었으므로, 이 연구의 연구 참여자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 교사들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실천 모습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또한,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교사들이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면서 수업과 평가에서 어떠한 점이 변화했는지 탐색한 만큼,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측면에 대해서도 풍성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