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 고용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은영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한국의 장애인 고용정책과 현황을 살펴보고, 장애인 고용의 문제 점 및 선진국 제도를 검토해 본 후, 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선진국의 제도 검토를 통한 시사점으로 일본과 미국의 경우 장애인을 고용 하는 사업주에 대하여 장려금과 보조금을 지급, 세금의 감면, 공제 등 실질적 인 도움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독일의 경우 중증장애인들을 위한 특별한 해 고보험, 기업에서 중증장애인들의 이해를 대변할 중증장애인 대표의 선임, 직 업생활 진입을 위한 기타 지원들을 이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스웨덴의 경우 모든 시민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이라는 전통적인 정책 속에서 고용에 장 애인을 통합하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미국, 스웨덴, 독 일, 일본의 장애인고용 전달체계는 정부의 몇 개의 부가 합해져서 일관된 연 결체계가 갖추어져 있으며, 전달체계가 지역근거로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장애인 고용의 실태 및 현황을 살펴보면, 2006년 12월 정부기관과 공공기관 의 장애인근로자 수는 12,219명, 3,838명으로, 적용근로자 수 대비 장애인 고용 율은 각각 1.50%, 2.16%로 나타났다. 2006년 말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체 (18,932개)의 장애인 근로자는 63,422명으로 전년 대비 11,941명이 증가하였다. 2006년 현재 법 개정 후 장애인 고용율은 1.32%, 전년 대비 0.17% 증가하였 고, 법 개정 전 장애인 고용율은 1.63%로, 전년 대비 0.18% 증가하였다. 한국 장애인 고용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장애인고용정책상의 관점의 경우 낮은 의무고용율과 낮은 고용부담금제도, 장애인의 비효율적인 고용관리, 장애 인 고용알선을 위한 종합적인 체계 미흡 등이며, 둘째 장애인직업재활상의 관 점의 경우 직업재활 서비스의 체계미비, 직업재활의 전문성 부족, 장애인고용 과 직업재활의 연계성 부족 등이고, 셋째 장애인 고용에 대한 사회인식의 관 점의 경우 기업과 일반인의 사회인식의 부족, 장애인 스스로의 인식 부족 등 이다. 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장애인고용정책상의 관점의 경우 의 무고용율 상향조정, 고용부담금제도 상향조정, 고용지원제도확대, 장애인고용 관리개선, 고용알선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직업재활상의 관점의 경우 직업재활 서비스의 체계화와 직업훈련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직업훈련과 취업과의 연계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인식개선 방안으로 기업과 일반인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장애인 스스로의 본인들의 취업 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The present paper aims to offer suggestions to activat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fter examining the actual situation, policies and issues concern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Korea and studying the relating systems of advanced countries. In the USA and Japan, it is noteworthy that not only subsidies and incentives but also such practical supports as tax reduction or exemption are provided to employers who employ the disabled people. In case of Germany, aids delivered for the severely handicapped people include special retirement insurance, election of representatives who will act as speakers for the interest of the disabled and other measures necessary for them to start career life. Sweden pays great attention to including disabled persons in employment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policies like equality and complete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in society. What is distinctive in the employment system of these countries is that several ministerial departments are united to makeup consistent frameworks on the local base. In statistical terms, 12,219 and 3,838 disabled people are employ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and public organizations, respectively, as of December 2006, with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occupying 1.50% and 2.16% each out of the total regular employees. At the end of 2006, private enterprises with more than 50 regular employees (18,932) turned out to employ 63,422 disabled persons, adding 11,94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2006, the employment rate of the disabled people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was 1.32%, up 0.17% poi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le that of the disabled before the revision was 1.63%, an increase of 0.18% point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year. Problems surround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Korea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 view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obligatory ratio to employ the disabled and charges for non-employment of the disabled are low, employment management including the system for recruiting and employing the disabled is ineffective, incomprehensive and insufficient; second, in view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s not done in systematized way, there are lacks of expertness in it and no sufficient linkage exists betwee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hird, in view of social perception o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enterprises, common people and even disabled persons themselves do not have any positive attitudes toward it. As measures to promot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t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 respect of the policy to employ the disabled, it is required to raise the ceiling for obligatory employment of the disabled as well as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to be charged for non-employment of the disabled, expand subsidies and incentives for employment of the disabled, improve the employment management for the disabled and introduce the system to promote employment of the disabled; second, in ter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t is desired to systematize service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intensify expertness in vocational training for them and prompt the linkage between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and third, in a bid to improve the social perception on the disabled, it is essential for enterprises, general people and the disabled themselves to have forward-looking mindset toward employment of them.

      • 변성기 음성 특성을 고려한 가창지도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전은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Vocal mutation is one of the secondary sexual characters at puberty. Vocal mutation at puberty may determine quality of voice at adult. Music teachers must pay attention to voice care of the students at the period of vocal mut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ablish singing instruc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period of vocal mutation. The author reviewed physiological changes of vocal cord and laryngeal disorders at puber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knowledge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n=360) on vocal mutation. Fifteen school choir students and same number of controls were evaluated on their vocal range and quality, breathing and singing ability through vocal range test and singing a song. Two students with good vocal quality, one during the period of vocal mutation, and one with hoarse voice underwent sound check to compare their sound characteristics.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81.7% of boys and 60% of girls were aware of vocal mutation. Six (40%) in school choir and one (6.7%) in controls could reach g-g tone. Students who participated singing activities had wider range and higher quality of voice, and better breathing and singing ability than those who neglected singing activities.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sic teachers must provide accurate knowledges about vocal mutation to their students and make them careful about vocal care. Second, teachers have to pay attention to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vocal mutation in their students, check the presence of vocal cord disorders, and ask medical advice if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singing lesson to students at the period of vocal mutation. Fourth, teachers have to give breathing training to students to increase volume of voice and prevent vocal cord disorders. Fifth, teachers have to pay attention to phy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and give comfortable and active music lessons to them. Singing instruction based on comprehensive knowledge about vocal mutation must be provided to students at the period of vocal mutation.

      •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환자군의 MMPI-2 특성 비교

        전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of MMPI-2 profile between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are two most common emotional disturbances that clients who visit counseling centers or psychiatric hospitals. Moreover, extant studies reported that comorbidity rate of those disorders are very high. Therefore, it has been difficult for psychiatrists and counselors to diagnose the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with accuracy. In order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of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for more adequate diagnosis and treatments, the current study explored profile differences of MMPI-2 between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In detail, this study identified the MMPI-2 profile characteristics of each disorder. Then, the study examined the profile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disorders. MMPI-2 scores of a total of seventy-eight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were collected from a psychiatric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The participants were either in-patients or out-patients in the hos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score differences in the validity scale between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Both profiles revealed relatively high scores in F scal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 and Si scales among the clinical scales. Patients diagnosed as depressive disorders had higher scores in both scales than those who were diagnosed as anxiety disorders. Second, although both disorders showed elevated scores in most scales, in general, depressive disorder profile had somewhat higher scores than anxiety disorder profile. This result indicate that both groups admit their present emotional difficulties and have depressed emotion, anxious feeling, and nervousness in life. Also, obsessive thoughts and physical symptoms are revealed an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assive-depending aspect is inferred. On the other hand,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re likely to feel more unhappiness, emotionally insecurity and may reveal more sleeping disorders, impotent feeling than anxiety disorder patients. In every sub-scales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had higher scores than anxiety disorder patients. This result implies that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has more serious symptoms. Although the results provide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for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m more accurately. Thus, the author suggest future studie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disorders with other forms of assessments to obtain more information of them. 본 연구는 우울장애 환자군과 불안장애 환자군의 MMPI-2 특성을 비교하여 두 장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실제로 우울과 불안은 전문 상담소나 종합병원의 정신과로 방문하는 내담자들로부터 도움을 요청하는 가장 흔한 정서적 문제이다. 뿐만 아니라 여러 연구나 실제 임상현장에서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는 다른 장애와 동반할 뿐만 아니라 서로 동반이환 경향이 높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임상에서 이 두 환자군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어려움과 함께 긍정적인 치료적 예후가 이어지기 힘든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임상 및 상담장면에서 환자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치료를 돕는데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심리검사인 MMPI-2를 통하여, 이들의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면서 공통적인 특징과 변별되는 특징이 무엇인지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럼으로써 두 환자군의 특성을 보다 세밀하게 이해하고 진단하여 효과적인 치료절차를 밟아나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우울장애 환자군과 불안장애 환자군의 MMPI-2 프로파일 양상 및 특징은 어떠한가? 2. 우울장애 환자군과 불안장애 환자군의 MMPI-2 모든 척도에 따라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0년 9월까지 서울 소재 OO병원 신경정신과에 내원 또는 입원한 우울장애 환자 39명과 불안장애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MMPI-2의 검사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MMPI-2 자료의 분석 결과 타당도 척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임상척도에서는 D, Si 척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타당도 및 임상척도의 집단별 평균을 바탕으로 세 집단의 프로파일을 그려보았다. 전반적으로 우울장애 환자군이 불안장애 환자군에 비해 프로파일이 다소 상승되어 나타났다. MMPI-2 프로파일 유형을 통해 두 환자군은 공통적으로 현재 자신의 정서적 어려움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전반적으로 우울감, 불안감, 초조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강박적 사고 및 신체적인 증상을 나타내며, 대인관계에서는 수동-의존적인 모습을 보여 다소 위축된 사회생활을 할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우울장애 환자군은 불안장애 환자군보다 정서적으로 불행감, 불안정감을 더 느끼고 신체적으로는 수면장애, 쇠력감 등의 증상을 더 많이 나타내며, 사회적 상황에서 불편감을 더 가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MMPI-2 모든 하위척도에서도 우울장애 환자군이 불안장애 환자군에 비해 대부분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두 환자군이 비슷한 속성을 지니고 있지만 우울장애 환자군이 좀 더 다양하면서도 심각한 증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두 환자군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보다 세밀하고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중요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가지 제한점 예를 들면, 연구결과의 일반화 문제, 자기 보고형 측정도구 활용으로 인한 검사 결과의 신뢰성 문제 등을 가지고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우울장애 환자군을 성격장애와 비교해보거나 불안장애 환자군을 유형별로 비교해보는 연구, MMPI-2 뿐만 아니라 다른 심리검사물을 활용해 환자군의 다양한 측면들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십자화과 채소류 추출물이 Proteasom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전은영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26S proteasome은 진핵세포의 주요 protease로, 다양한 세포 경로를 조절하고 잘못 접히거나 응집되기 쉬운 손상된 단백질을 제거하여 세포 내의 단백질을 유지한다. NF-κB는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신생, 세포 증식 및 이동을 유도하여 종양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26S proteasome은 세포질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존재하는 NF-κB가 핵 안으로 이동하여 활성화 상태가 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26S proteasome의 억제는 NF-κB의 기능을 조절하여 암 발생을 예방하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고 식물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한 십자화과 채소 중 양배추, 적양배추, 콜라비, 브로콜리, 케일을 선정하여 항암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간암 세포에서 채소류 추출물의 세포 증식, 항산화능 및 항산화 성분 함량, proteasome 억제 효과, NF-κB 활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proteasome 억제 효과가 높았던 케일과 적양배추를 LC-MS를 통해 분석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증식 실험에서 5가지의 채소류 추출물 모두 유의적으로 세포 증식률을 감소시켰다(p<0.05). DPPH, ABTS, CAA assay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 실험에서는 적양배추와 케일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p<0.05).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이용한 항산화 성분 함량 측정 실험에서는 항산화능 측정 실험 결과와 동일하게 적양배추와 케일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성분 함량을 나타냈다(p<0.05). Proteasome 역가 저해율 측정 실험 결과, 세포 추출물을 이용한 CE assay에서는 5가지의 채소류 추출물이 모두 유의적으로 proteasome 억제 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세포 내 proteasome 역가 저해율을 측정하는 CPIA assay에서는 5가지의 채소류 추출물 모두 유의적으로 proteasome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케일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은 proteasome 역가 저해율을 나타냈다(p<0.05). 또한, proteasome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genistein과 배당체인 genistin, 6“-O-Malonylgenistin, 6”-O-Acetylgenistin의 proteasome 역가 저해율 측정에서는 CE assay에서 효과가 없었던 6”-O-Acetyl genistin이 CPIA assay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proteasome 역가 저해율을 보였다(p<0.05). 케일 추출물이 NF-κB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western blot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100μg/mL 농도에서 NF-κB 활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p<0.05). Proteasome 역가 저해율이 가장 높았던 케일 추출물을 용매별로 분획하여 proteasome 역가 저해율 측정 실험을 진행한 결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유의적으로 proteasome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케일 추출물과 분획물들을 LC-MS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검출기 파장 320nm의 경우 ethyl acetate 분획물, 검출기 파장 450nm의 경우 hexane 및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다른 분획물들에 비해 면적 값이 큰 peak가 분석되었다. 특히, hexane 분획물에서는 carotenoid 계열의 lutein이 분석되었고,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는 hydroxycinnamic acid 계열의 trisinapoyl-diglucoside를 포함하여 다양한 polyphenols가 분석되었다. 적양배추 추출물은 LC-MS 분석을 통해 16가지의 cyanidin 배당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배추, 적양배추, 콜라비, 브로콜리, 케일은 천연 항산화제 및 proteasome 억제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케일은 다양한 식물생리활성물질들이 proteasome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고, 적양배추는 cyanidin 계열의 물질들이 proteasome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26S proteasome is a major protease in eukaryotic cells. It maintains intracellular proteins by regulating various cellular pathways and removing damaged proteins that are prone to misfolding or aggregation. NF-κB plays a crucial role in tumorigenesis by inhibiting apoptosis and inducing angiogenesis,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The 26S proteasome induces NF-κB,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in the cytoplasm, to move into the nucleus and become an activated state. Therefore, inhibition of the 26S proteasome can play a pivotal role in preventing cancer by regulating the function of NF-κB. In this study, cabbage, red cabbage, kohlrabi, broccoli, and kale were selected among cruciferous vegetables consumed worldwide and rich in phytochemicals. In order to confirm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s, cell prolifera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oxidant component content, proteasome inhibitory effect, and NF-κB activation inhibitory effect of vegetable extracts were evaluated in liver cancer cells. In addition, kale and red cabbage, which had high proteasome inhibitory effects, were analyzed by LC-MS. In the cell proliferation experiment using the MTT assay, all five vegetable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the cell proliferation rates (p<0.05). In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ment experiments using DPPH, ABTS, and CAA assays, red cabbage and kale extracts showed significantly high antioxidant activities (p<0.05). In the antioxidant component content measurement experiments using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ment, the red cabbage and kale extracts showed significantly high antioxidant component contents (p<0.05), same as the results of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ment experiments. As a result of the proteasome titer inhibition rate measurement experiment, all five vegetable extracts did not show significant proteasome inhibitory effects in the CE assay using cell extracts, but in the CPIA assay that measures the intracellular proteasome titer inhibition rate, all five vegetable extracts showed significant proteasome inhibitory effects. In particular, kale extract showed the highest proteasome titer inhibition rate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In addition, in the measurement of the proteasome titer inhibition rate of genistein, which is known to have proteasome inhibitory effect, and the glycosides genistin, 6“-O-Malonylgenistin, and 6”-O-Acetylgenistin, 6”-O-Acetylgenistin, which had no effect in the CE assay, showed the highest proteasome titer inhibition rate in the CPIA assay (p<0.05).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kale extract on NF-κB activity through western blot experiment, NF-κB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a concentration of 100μg/mL (p<0.05). The kale extract, which had the highest proteasome titer inhibition rate, was fractionated for each solvent, and the proteasome titer inhibition rate measurement experiment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s showed significant proteasome inhibitory effects (p<0.05). As a result of analyzing kale extracts and fractions by LC-MS, peaks with larger area values than other fractions were analyzed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t a detector wavelength of 320nm and in the hexane and ethyl acetate fractions at a detector wavelength of 450nm. In particular, lutein of the carotenoid series was analyzed in the hexane fraction, and various polyphenols including trisinapoyl-diglucoside of the hydroxycinnamic acid series were analyzed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In the red cabbage extract, 16 types of cyanidin glycosides were identified through LC-MS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abbage, red cabbage, kohlrabi, broccoli, and kale can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s and proteasome inhibitor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phytochemicals contained in kale can act as proteasome inhibitors, and various cyanidin substances contained in red cabbage can act as proteasome inhibitors.

      • 낱말퍼즐 학습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전은영 신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낱말퍼즐 학습을 통한 어휘 지도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 학생은 부산시에 소재하는 G여고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3학년 정신지체 여학생이다. 이들 중 나이가 만 15세-19세, IQ 50-75 사이의 경도 정신지체이며 그림어휘력검사와 낱말퍼즐 학습에 필요한 기초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고 간단한 지시 수행과 대화가 가능한 학생을 가려 14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연구 대상 학생을 7명씩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어휘력 검사를 실시한 뒤, 방과 후 특기적성 시간을 이용하여 실험집단에게만 40분씩 주 2회 9주간, 총 18회기에 걸쳐 낱말퍼즐 학습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학습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 어휘력 검사를 두 집단에게 실시하여 그 결과로 어휘력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낱말퍼즐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초등학교 1-3학년 읽기 교과서를 분석하여 대상 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132개의 낱말을 선정하고, 한 회기 당 7-8개의 낱말을 익힐 수 있도록 학습지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사용되는 어휘력 측정 도구는 신헌재가 개발한 어휘력 검사에서 발췌, 수정하여 명사, 동사, 형용사의 의미를 파악하는 사지선다형 10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낱말퍼즐 학습의 적용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사후검사 결과를 명사, 동사, 형용사, 총점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실험집단이 더 놓은 어휘력 점수가 나왔다. 그러나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도의 차이는 아니었다. 그 이유는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낱말퍼즐 학습으로 높은 어휘력 점수를 나타냈으나, 반면 통제집단에서도 사전 검사를 통한 학습의 효과로 사후 검사 점수가 소폭 상승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두 집단 내의 사전-사후 어휘력 변화량을 살펴보니, 실험집단의 어휘력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통제집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어휘력 변화량을 비교해 보아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낱말퍼즐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서 어휘력 변화량이 더 큰 폭으로 상승했으므로 낱말퍼즐 학습이 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로부터 낱말퍼즐 학습을 어휘 지도에 적용하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퍼즐을 통한 놀이 형식의 학습 방법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에게 흥미와 자신감을 심어주어, 자연스러운 가운데 어휘력을 습득하게 된 결과라고 본다. 앞으로 정신지체아들이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낱말퍼즐을 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된다면 어휘력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word puzzle activity on the vocabular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ntally retarded 1st to 3rd graders in G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Among them 14 subjects who fall under 15 to 19 years of age, who has light mental retard such as IQ 50-75, who have basic learning capabilities for picture vocabulary test and word puzzle learning and who can understand simple instructions and conversations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7 for experimental group and 7 for control group.To both groups, vocabulary was tested as a pretest.Using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after school, total 18 sessions of word puzzle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Each session lasts 40 minutes and they were given two times a week for 9 weeks. After the sessions, post vocabulary test identical to the pretest were performed on both group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identify the vocabulary improvement. The word puzzle program used for this study was produced by the researcher analyzing Reading textbook of 1-3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hoosing 132 word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the target students and enabling them to learn 7-8 words in each session. The vocabulary test for the pre and post test was composed of 100 multiple questions asking the meaning of nouns, verbs and adjectives by abstracting and modifying the vocabulary test developed by Shin Heon-jae. To see the results of the word puzzle program application, the pretest and post test results of two groups were compared.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First,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wo groups by nouns, verbs, adjectives and total su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ight be because the experimental group could get higher vocabulary scores due to word puzzl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could have better scores because of the learning effects from the pretest. Second, when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vocabulary of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vocabula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change. When comparing the volume of vocabulary of the two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group that had word puzzle sessions showed bigger increase in vocabulary, it seems that word puzzles made positive influence on vocabulary.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word puzzles can make positive influence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t seems that the learning through puzzle games may give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and they can learn vocabulary spontaneously. If we have more programs enabling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to contact word puzzles in everyday life, we can expect to improve and enhance their vocabulary further.

      •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에 대한 선별‧진단과 지원 경험

        전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에 대한 선별‧진단과 지원 경험을 탐색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일반교사는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의 선별‧진단과 지원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선별‧진단과 지원 경험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는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을 선별‧진단과 지원한 경험이 있으며, 교직 경력이 3년 이상인 J도 초등학교 일반교사 8명이었다. 연구 참여자에게 면담을 실시하고, 현상학적 체험연구의 Colaizzi 자료 분석 방법과 절차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범주 3개, 주제모음 10개, 주제 39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사는 반복해서 학습 및 생활 지도를 했음에도 진전이 없는 아동들을 발견하게 된다. 일반교사는 이 아동들을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경계에 있는 아동들이라고 하였다. 장애 인식에 대한 일반교사의 개인차와 학급 내 다양한 요인으로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의 발견은 쉽지 않다. 일반교사는 아동을 특수교육에 의뢰할 때 자신의 판단에 대한 두려움, 학부모의 특수교육 반대 등으로 망설이거나 부담감을 갖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동을 돕고 싶은 마음, 특수교육에 대한 확신, 동료 교사와 전문가들의 도움으로 특수교육 의뢰를 진행하게 되었다. 둘째,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에 대한 일반교육 지원은 많이 늘었으나 일반교육 내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는 크지 않았다. 그래서 일반교사는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들의 전문적인 지원을 위해 특수교육에 의뢰하였고, 아동들은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어 특수교육 지원을 받게 되었다. 일반교사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을 받으며 아동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등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보았다. 그러나 특수교육 진단과정이나 방법, 지원 내용에 대한 특수교육 지원의 이면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셋째,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의 선별‧진단과 지원 경험이 아동에 대한 일반교사의 마음과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다고 하였다. 일반교사는 선별‧진단과 지원 내용을 이해함에 따라 학부모와의 대화에서 두려움이 줄어들었으며, 동료 교사에게 조언을 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일반교사는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의 조기 선별‧진단과 지원의 중요성 및 접근과 이해가 쉬운 선별‧진단과 지원 시스템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일반교사는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의 마음과 아동 주변의 다양한 사람(일반아동, 학부모, 선별‧진단되지 않은 장애 우려 아동)에게도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우려 아동의 선별‧진단과 지원 과정을 직접 경험해 본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경험을 깊이 있게 들여다봄으로써 두 장애 우려 아동의 선별‧진단과 지원에 대한 관심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hat experiences did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ve in the process of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econd, what wa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had experience in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participants were 8 general education teachers at J-do elementary school, each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by referencing to Colaizzi's data analysis method and procedure of phenomenological experience research. As a result, 3 categories, 10 thematic collections, and 39 them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education teachers looked at children who did not make enough progress despite repeated learning and continuous guidance. They said that these children were at the boundary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It was not easy to find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ue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of disabilities and various factors within the class. When they wanted to recommend special education for these children, they were hesitant or burdened by fear of their own judgment and potential parents' opposition to special education. However, along with the help of their fellow colleagues and experts, combined with their desire to help children and their confidence in special education, they proceeded with their special education referral. Second, general education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creased a lot, but the effects of the support program were not sufficient. Therefore,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quested special education for further professional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Children were then selected as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received special education support. The teachers saw a positive side of supporting special education, such as seeing children's growth while receiving cooper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ey also experienced the other side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for the diagnosis process, method, and support content of special education. Thir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said that the experience of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ir own mind and attitude towards the children. They said that as they understood the contents of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their fear in conversation with parents decreased and they were able to give advice to fellow teachers as well. They mentioned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he need for a system that is easy to access and understand. They said that in addition to the minds of these children, the various people around them (general children, parents, etc.) need attention and support as well.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raise interest in the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of 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directly experienced the process of screening, diagnosis, and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하타 요가가 남자 중학생의 신체상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전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겪는 청소년들은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 문제가 쉽사리 줄지 않고 심각해진다는 데서 그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학교현장에서 청소년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중학생 대상의 시간과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 심신을 조화롭게 하는 상담프로그램으로서 하타 요가의 일반화 가능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타 요가가 그들의 신체상과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하타 요가는 남자 중학생의 신체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와 둘째, 하타 요가는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소재 남자중학교 1개교의 1학년 학생 중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면서 특별활동 시간에 활동이 가능한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편성한 후 10주에 걸쳐 하타 요가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모두 신체상과 공격성 검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하였다. 자료처리는 가설 1, 2를 검정하기 위하여 기본 통계치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두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에서 처치로 인한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혼합설계 분산분석(Mixed ANOVA)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정에 따른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프로그램 실시 중 참가자들의 활동을 관찰한 내용과 회기 중간과 끝에 작성한 소감문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된 표현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신체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요인인 외모 및 신체 전반, 스포츠 유능감, 건강, 유연성, 지구력, 근력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공격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요인인 폭행, 간접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흥분성, 원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양적 분석의 문제점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중 참가자들의 활동을 관찰한 내용과 실험 전, 실험 중간, 실험 후에 실시한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신체상과 공격성에서 긍정적인 변화와 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타 요가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해 보면 첫째, 학생 개인의 특성이나 능력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기본 아사나만 익힌 뒤에는 혼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하타 요가 프로그램은 청소년 상담의 새로운 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심신의 변화에 여러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무엇보다 예방적 차원의 청소년 생활지도에서 학교현장의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선택에서도 그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은 기본 아사나에 여러 가지 심리치료적 기법을 도입하여 보다 쉽고 효율적인 프로그램으로 만든다면 학생의 자율성 신장 교육에도 활용 가치가 크리라고 본다. 넷째, 하타 요가 프로그램은 범교과 학습 차원에서 그 활용 가치가 크다고 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의 활용과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 이 연구에서 활용한 하타 요가는 20회기의 단기간 영향만을 가지고 검증하므로 좀더 체계적으로 알아보려면 장기간의 효과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이므로 일반화를 위해서는 대상을 다양화하고 연구 대상의 특성에 맞게 구체화되고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요가 효과는 그 특성상 질문지가 아닌 주의가 요구되는 실제 상황에서 측정되어져야 하는 변인이므로 이를 재는 도구가 특히 정확하고 타당하며 신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미흡한 실정으로 요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평가 도구나 검사 도구의 개발이 절실하다.

      • 주름의 특성을 이용한 도자후식기 디자인 연구

        전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orts of this research aim towards applying the countless characteristics of creases that we can find in textiles into the design of dessert dishes. The formats and technique of expression were points of interest, and great emphasis was also put on the nature and flow of the curves during the process of product making.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enrich the experience of eating desserts by providing consumers with a way of visual relaxation while they enjoy their dessert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ifferentiated designs of dessert dishes, which have been derived from creases with irregular curves and rhythms. I applied the creases to formative design because they are interesting materials, which are able to create various expressions. The methods of image representation of creases were divided into 4 types. The works designed with the above approach presented a balanced design through the process of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form considering the decoration and practicality. Based on the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with the ever growing categories of desserts, different dish designs are sought for to match the numerous types of desserts, creating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in the area of dessert dish design. Second, designers can achieve diversity by using creases in the design of dish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that can express a great assortment of feelings. Third, if the decorative aspect is excessive, the design as well as the practicality of the dish is ruined. More research in this aspect is required so that both the decorative aspect and practicality of the dish can be combined in harmony with the base form of the dish. Last but not leas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oil, a problem with the kiln being burned was discovered in the original research approach, and this was examined accordingly. It was determined then, that the double type casting technique requires further research before employment. Throughout the course of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creases can be a valuable element in the design of dessert. Further research in the area of dessert dish design is encouraged as the profession of dessert making and presentation keeps growing. 본 연구는 주름의 특성을 이용한 식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 주름의 특징들을 도자식기 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실용적 그릇의 고정적 관념을 넘어 심미적, 유희적 요소 등을 더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주름은 무한한 형태가 잠재되어 있는 소재로 접힘과 펼침, 생성과 사라짐을 반복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안정감, 혹은 긴장감 등 다양한 심리적 감성을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주름의 특징을 도자제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식사시간의 즐거움과 여유로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후식의 특성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후식기 개발에 중점을 두고 디자인 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후식은 식문화 영역에서 하나의 전문적인 분야로 끊임없이 변화와 발전을 하고 있다. 독창적이고 다양화된 후식 문화에 따라 맛은 물론이고, 매장의 분위기나 미적 요소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소비자의 개성 있는 기호에 대응할 수 있고, 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후식용 식기 디자인연구를 하였다. 이에 주름의 유려한 곡선을 식기 형태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여유로움과 미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주름 표현 방법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 맞는 곡선형 주름으로 한정시켜 연구하였다. 이에 여러 종류의 직물을 사용하여‘구기기’,‘누르기’,‘감싸기’,‘꼬기’4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주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주름을 소재로 제작된 도자, 패션, 조소 분야의 선행 작품을 알아보고, 주름의 조형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자의 디자인에 반영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작한 작품들은 각각의 디자인 계획과 제작 과정을 통해 서술되었다. 작품 제작 과정 중 발생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식기 형태의 수정 및 보완의 과정을 거쳐 조형성과 실용성의 균형이 맞는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주름의 특성을 이용한 본 연구 작품들은 장식적인 효과뿐 만 아니라 각각의 용도에 맞는 적절한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물을 바탕 으로 조형성이 강조된 식기의 지속적인 연구 가치를 알 수 있었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후식 문화도 그 요구에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후식기 제품들이 제작되어야 함을 본 연구를 통해 인식하였다. 그러므로 변화하는 후식 문화에 어울릴 수 있는 후식기 디자인의 연구가 더욱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은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일자리 창출을 시급한 해결과제로 삼고 새로운 방식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으로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을 제정하였으며, 2015년 9월 기준 고용노동부의 인증을 받은 전국 1,423개소로 2007년 36개소에 비해 양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정부의 지속적인 예산투입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회적기업이 적자를 면치 못하는 등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더군다나 인건비 중심의 한시적인 지원정책은 사회적기업의 자립성을 떨어뜨리고, 지속가능성을 훼손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최근 사회적기업의 성과가 강조되면서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속가능한 성장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정책의 제고방안을 논의하고자 의사소통구조, 경쟁전략, 지원특성, 인증효과를 성과영향요인으로 설정하고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 사회적 성과,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4년 9월 기준 고용노동부의 인증을 받은 1,165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70부를 회수, 256부를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사결정구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노사협의회운영은 경제적 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원회공식절차는 사회적 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창의성은 경제적 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서비스경쟁력은 지속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특성 중 재정지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인건비는 지속가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사회보험료는 지속가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특성 중 재정 외 지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경영컨설팅은 지속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공공기관우선구매권고는 지속가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독립변수로,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는 지속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향후 사회적기업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달성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며, 사회적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경영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직접지원보다 간접지원을 확대해야 하며,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성과의 연구와 홍보를 통해 사회적기업에 대한 친화적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