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윤혜진의 새야 새야 파랑새야 주제에 의한 10개의 피아노 변주곡(2021) 분석연구

        윤혜진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95

        Nationalism music, referring to the creation of a style of national sense in the work by the composer using the musical language or material unique to the nation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ependent nation, began to gain attention with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ist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uthor's <10 Variations on the Theme of Saeya Saeya Parang Saeya for Piano (2021)>, which was composed by borrowing a Korean folk song melody, in accordance with this musical trend and thereby to develop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temporary music and to create its own musical language. Through a formal analysis of variations, it was aimed to suggest how Korean To-ri, Jang-dan, and its folk songs melody were recreated by fusion with Western music. The overall form of the work consisted of ten variations. The melodies were varied by using the rhythms of the Yukjabaegi To-ri, a melody of Jeolla-do, and the Jungjungmori rhythm, which is mainly used in Namdo folk songs. In addition, rather than simply variations on the Western style of melody, harmony, rhythm, and structure, cadence that is not often used in tonal music such as deceptive cadence, picardy cadence, and amen cadence is used, and ambiguity of the tonality is applied, thereby reconstructing the melody of “Saeya Saeya Parang Saeya” into a modern style. In addition, the usage of the piano was maximized by using a wide range of sound, which is not often used in general piano music, and using dynamic, pedal-based ringing and continuous sound. Conclusively with this work, it is expected that Korean unique musical usage be inherited and developed, and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more creative musical usages unique to Korea will emerge. 국민주의 음악은 19세기 민족주의 운동이 시작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작곡가가 독립적인 민족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민족 고유의 음악어법이나 제재를 사용함으로써 작품 속에 민족적인 감각의 양식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음악 사조를 따라 한국 민요 선율을 차용하여 작곡한 본 연구자의 <“새야 새야 파랑새야” 주제에 의한 10개의 피아노 변주곡(2021)>을 분석하여, 한국 현대 음악 발전 방향성과 고유 어법 창안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변주곡이라는 형식 분석을 통해 한국의 토리와 장단이, 그리고 민요 선율이 서양 음악과 융합하여 어떻게 재창조되었는지 제시하고자한다. 작품의 전체 형식은 10개의 변주곡 형식으로 되어있다. 전라도 선율인 육자배기 토리와 남도민요에서 주로 사용되는 중중모리 장단을 리듬으로 활용하여 선율이 변주되었다. 이외에도 서양 양식인 선율, 화성, 리듬, 구조 등을 변주시켜 단순히 변주한 것이 아니라 허위종지, 피카르디종지, 아멘종지 등 조성음악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은 종지를 사용하고, 조성의 모호함을 주어 “새야 새야 파랑새야”선율을 현대적인 느낌으로 재구성 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피아노곡에서는 잘 활용되지 않은 넓은 음역대 사용과 다이나믹, 페달을 사용한 울림, 지속음 사용으로 피아노의 활용을 극대화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고유 음악 어법이 계승·발전되기를 바라고 더 나아가 한국만의 창의적인 음악 어법이 더 많이 출현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중학교 『생활중국어』의 능원동사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 연구

        윤혜진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初中『生活中国语』的能愿动词分析与教学方案研究 东国大学校 教育大學院 漢語教育專攻 尹惠珍 本论文针对六种初中教材里的能愿动词进行了分析,并于最终设计了有效的指导方案。 我国目前实行的教育课程大部分皆以提高沟通能力为目标,对语法的说明较简单或省略。但中文是根据语序而表现出语法特征的孤立语,因此文法是不容忽视的一大部分。尤其是能愿动词,其数量虽有限,但由于在日常生活中的使用频率高,所以在初级水平的教材中是很易见的。然而在初中的教材里,缺乏对能愿动词的特征及类似意义的详细说明,因此学习者们较难于实际状况中确切地使用。为使沟通顺利,不仅要提高学生们对能愿动词的理解,笔者也将通过在实际教育中使用的教材来进行分析,并提出正确又有效的指导方法。 本论文共分为六章,主要内容如下: 第一章,说明能愿动词的研究目的和必要性,前人的研究成果以及对研究范围和方法的介绍。 第二章,通过许多学者所研究之能愿动词的定义以及分析,综述能愿动词的概念以及能愿动词的类型、特征等。 第三章,以在六种初中教材『生活中国语』中出现的能愿动词为主要研究范围,考察能愿动词的个别特征,比较并分析其中的差异和相似点。 第四章,对初中教材『生活中国语』中出现的能愿动词的使用情况、频率与意义进行详细地分析。 第五章,根据前几章所述的能愿动词理论与课本分析之内容,提出最合适的几个教学方案。 第六章为本论文的结论。 本论文虽尚显不足,但期望本论文的研究成果能对教师们在指导学生能愿动词时有所帮助。同时,也期望日后关于能愿动词的有效指导方法之研究能更加活跃。

      •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자격과 역할에 관한 인식

        윤혜진 서울신학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자격과 역할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주임교 사, 보육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 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주임교사 자격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 주임교사 자격요건 대한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 한가? 3. 어린이집 주임교사 역할에 대한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의 차이는 어떠 한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주임교사의 자격제도의 필요성, 자격요건, 역할수행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식 조사 질문지를 개발하고, 주임교사의 역 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심현정, 김현주, 김남연(2009)의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 수행 및 어려움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기초로 수정 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경기, 인천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현직 원장 124명, 주임교사 126, 보육교사 127명 총 37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 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코딩과 데이터오류검토 과정을 거쳐 입력한 뒤 통계처리 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검증, 분산분 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에게 유치원 원감의 자격제도를 알고 있는지 알아본 결과 ‘알 고 있다’가 ‘모른다’보다 높았고, 주임교사의 자격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어린이 집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자격제도가 필 요하다’가 ‘필요하지 않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를 응답자의 직책에 따른 차이로 분석한 결과 두 문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 순으로 자격제도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자격요건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주임교사, 보육 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자격요건에 대한 동일한 인식을 하고 있 었으며 이를 요약하면 보육교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보육교사로서의 근무 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이며, 전문대 이상의 학력이고, 31~40세가 주임교 사 직책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을 5개의 역할영역으 로 알아본 결과 보육과정 운영자로서의 역할은 하위 문항 중 ‘영유아의 안전 지도’, 인화적역할은 ‘원장, 교사 간 의사전달의 적절한 통제와 중재’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 모두가 각 역할영역의 하위 영역 중 가장 중요하다고 동일한 인식을 하고 있었고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도적 역할은 ‘교수-학습 방법 지도 조언’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 였으며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가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 자로서의 역할은 원장의 경우 ‘원내 각종 안전사고 예방과 처리’, 주임교사와 보육교사는 ‘행사기획 및 관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보육과정 운영 자의 역할로는 ‘특별활동 수행’, 관리자로서의 역할에서 원장은 ‘교육비 수납관 리’, 주임교사의 경우 차량운행이 없는 것을 감안한다면 그 다음으로 보육교사 와 같이 ‘원 운영비 계획 및 지출 관리’에 대한 권한이 적음을 인식하고 있었 다. 지도적 역할에서는 원장은 '학급 보육일지 전결‘ 주임교사와 보육교사는 ‘원내외 장학활동을 위한 연구수업’, 인화적 역할에서 원장과 주임교사는 ‘학부 모-교사 간 의견 조율’ 보육교사는 ‘교직원의 복지후생 및 근무조건 개선을 위한 제언’ 대외적 역할에서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 모두 ‘상급기관(구청)과 의 접촉’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을 가장 적게 인식하였다. 그 중에서도 대외적 역할인 ‘상급기관(구청)과의 접촉’이 가장 주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권한이 적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의 질을 높이고 어린이집이라는 조직 내에서 효과적인 운영을 위 해 어린이집 원장 다음의 직위인 주임교사의 법적 자격제도가 마련되어야 한 다. 조직 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원장과 보육교사의 중간역할자인 주임교사의 역할이 어린이집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역할 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주임교사들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데 많 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보육의 질적인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 라서 주임교사의 법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자격제도를 위한 자격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주임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자 격기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 1급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의 보육업무 경력이 있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재교육을 받은 사람에게 주 임교사로서의 법적인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 다음의 직위에 사용되는 호칭에 대한 정리가 필요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masters of child day care centers, teachers in charge of the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are aware of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center an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among three group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do the center masters, teachers in charge of a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at a child day care center recognize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a teacher in charge of a child day care center? 2. How do the center masters, teachers in charge of a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at a child day care center recognize the qualifications for a teacher in charge of a child day care center? 3. how differently do the center masters, teachers in charge of a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at a child day care center recognize the roles of a teacher in charge at a child day are center? To test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developed an awareness assessment questionnaire asking on the necessity of qualification system, requirements and factors that affect in performing the concerned roles of a teacher in charge of a center. To measure the roles this study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scales used by Kim Nam Yoen (2009: “A Study on the role execution and difficulties a teacher in charge of a child day care center while performing the rol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total 377 related respondents (124 center masters, 126 child care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4.0. For the analysis, coding and error detection were processed before data input and the refined data was used for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ANOVA. The findings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were asked if they knew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a vice master (= teacher in charge of a center). Response “I know” was greater than “I don’t know” For the question of how a master, teacher in charge of a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a teacher in charge, more respondents answered “we need it” than “we don’t need it”. These different responses were analyzed by job rank of respondents and the analysis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both questions. The necessity of the qualification system was more recognized in the order of center master, teacher in charge and child care teacher. Second, the question of how a center master, a teacher in charge of a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in a child day care center are ware of the requirements (to be a teacher in charge of a child day center) brought forth the same response on the requirements: a teacher in charge must possess the 1stclass of child care teacher’s license, has 5years to 10years of work care eras such teacher, graduate from 2year college and be 31 to 40years old. Third, the awareness of the roles of a teacher in charge of a center was asked to the teachers and staffs at the centers regarding 5 role areas. Among the roles as a child care program operator “safety instruction for young child” was answered as most important and “proper control and intervention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a center master and teachers”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 role of human relationship harmonization. All of the masters, teachers in charge of a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thought that this was the most important sub role of each rol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s for instructive role, “advice for teaching-learning method”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nd both the masters and the teachers in charge showed the same awareness on this importance. For the roles of a manager, masters regarded “prevention and handling against various accidents at the center” as important while the teachers in charge of a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considered “event planning and management” as important. In the meantime, “special activity execution” was recognized as least important role for a child care program operator. For the roles of a manager, the masters regarded themselves as having least right for “tuition receipt management”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a center viewed themselves having least right for “operation cost and expenditure scheduling” like child care teachers because they (the teachers in charge) do not run center bus. For the roles for instruction, the masters considered “approval of daily child care diary” and the teachers in charge and the child care teachers considered “research class for scholarship activity inside/outside a center” as least important. As for the roles of human relationship harmonization, the masters and teachers in charge recognized “opinion adjustmen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aware of “suggestion for teacher’s welfare and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least importantly. Among them, it was recognized that the teachers in charge had least right in playing the role with “upper organization (a district office)”which is an exterior role. Thus, this study came up with the further discussion and conclusion as follows; First, a systemic (legitimate) measure should be prepared for a teacher in charge, which is the second to a center master in rank,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efficiently work within the child day care center. For better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 the teacher in charge, because standing between a master and child care teachers, is very important for efficient operation of a center.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no clear job description of a teacher in charge, he or she is having many difficulties performing required roles, which

      • 상담자 지원 동기 및 인간적 자질에 대한 연구

        윤혜진 건신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상담자로서의 지원동기와 인간적 자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상담공부를 시작한지 1년 이 상의 상담심리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4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 하였다. 대학원생으로 상담을 공부한다는 것은 전문 직업으로 상담을 선택 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 이에 적합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참여자 의 인적 사항을 묻는 질문지와 질문 면담지, PAI 검사 결과지를 이용하였 다. 예비 면담을 포함하여 약 2주에 걸쳐 3차례씩 만남을 가지며 자료를 수 집하였다. 또한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개방코딩한 결 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PAI 검사 결과를 코딩하여 해당척도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상담자의 지원 동기는 다양하다는 것이 다. 전문 상담자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지원 동기가 구체적이어야 하며 내담 자를 사랑하고 돕겠다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상담자로 지원하여 공부하는 사람들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연 구 참여자들의 PAI 검사의 결과는 모두 정상 범위에 있는 것만은 아니었 고 잠재위험이나 위험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좀 더 자신들을 돌아보고 각 자의 문제들을 슈퍼비전이나 개인상담을 통해 해결해야지만 전문 상담가로 활동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담자로 훈련 받고 있는 사람들은 2-3년에 한 번씩 자신의 심리상태를 점검해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상담자로 갖추어야 할 인간적 자질을 계속 연마해야 한다는 것이 다. 상담자로서의 역량을 높이고 자신을 성찰하여야 한다. 특히 통찰 능력 을 기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인간적 자질 향 상을 위해 학업 공부, 개인상담, 집단상담, 슈퍼비전 등 다양한 전문적 훈 련과 더불어 인간적 자질 향상을 위해 애쓰고 있었다.

      • 자기 통제력과 소비스트레스가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윤혜진 울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새로운 척도를 개발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파악함으로써 바람직한 소비자로 성장하고 소비문화의 질 향상을 형성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기업이 소비자들의 소비상황 개선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할 때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소비를 스트레스 해소 수단으로 바라본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원이이기도 하다는 소비자학적인 관점에서 자기 통제력과 소비상황에서 받는 소비스트레스, 그리고 그 상황을 대처하는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는 2011년 8월 12일부터 8월 24일까지 설문 조사 전문 업체 나우앤퓨처(now & future)에 의뢰하여 기혼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00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12.0 for window program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혼여성 소비자들의 자기 통제력은 중간수준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었으며, 소비스트레스의 하위요인으로 구매스트레스와 구매 후 스트레스 두 개의 요인 중 구매 스트레스에 비해 구매 후 스트레스가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이 구매를 하는 순간보다 구매를 한 후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대처, 적극적 대처, 회피적 대쳐 세 개의 요인이 파악되었고, 모든 하위요인이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대처 방식 중 사회적지지 대처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기혼여성의 최종학력과 남편직업의 경우 사회적지지 대처, 적극적 대처, 회피적 대처 모든 대처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남편직업이 안정적인 직업일수록 대처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권리를 위해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지고 소비 문제에 대처하는데 있어서 교육수준과 남편의 직업을 통해 알 수 있는 경제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셋째,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사회적지지 대처는 변인 중 구매 후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의 직업 중 기술직, 기혼 여성의 취업유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대처는 구매 후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고, 남편의 직업 중 자영업, 교육연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피적 대처는 구매 후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구매 스트레스, 교육연수, 자기 통제력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거나 개인이 혼자 대처하기 보다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접하게 되는 사람들과 함께 정보와 감정을 공유하면서 구매 후 스트레스에 대처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자기 통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정부의 재정적 지원 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고, 경제력이 있는 소비자 뿐 만 아니라 모든 소비자가 소비자로서의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 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해야 할 것이며, 소비자들이 올바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서 표본을 추출하였기 때문에 인터넷 접근이 어려운 기혼여성들은 설문에 참여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함께 오프라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기혼여성 뿐만 아니라 남성, 대학생 소비자 등 다양한 조사대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경우 타당성 확보에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척도에 대한 확인적 검증이 요구된다. 그리고 자기 통제력과 소비스트레스 외에 다양한 변인들, 특히 소비생활과 관련성이 높은 소득, 용돈, 부채 등과 같은 경제변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소비스트레스와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에 명료한 관계가 확인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소비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선택, 구매, 사용, 처분 등 요인들을 더 세분화하여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목표 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윤혜진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search the predi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the freshmen in university.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based on gender and major of the freshmen in university? Second, d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the freshmen in university have any relationships? Third, how do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freshmen in university predict on career goal orientation? Forth, what effect do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freshmen in university have on career goal orientation? For this, the inspec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314 of the freshmen in K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Busan. Ultimately, the data of 289 students has been included in this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collected data, analysis of frequenc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4.0 a statistical program.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omparison by gender,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goal orientation, and the level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In the results of the major field, the average of business department in variab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 and that of art and physical department in variables of career goal orientation was high. As for university life adapt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 had the lowest average. Seco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the freshmen in university had the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freshmen in university had an effect on career goal orientation. Fo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freshmen in university had an predict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In conclus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goal orient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between career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In addi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the whole career goal orientation. Career goal orientation had an predict on careers information, choosing goals, solution of the problems, self-evaluation in all. Also, in the whole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the sub fact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predict. Therefore, in order for the freshmen in university to succeed university life adaptation, it is required to boos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o emphasize the establishment of goal setting and career path to that en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목표 지향성과 대학 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문제 1. 대학교 신입생의 성별, 전공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 목표 지향성,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목표 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목표 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K 대학교 신입생 중 314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목표 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289명의 자료가 이번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는 대체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목표 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정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공계열별 결과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인에서는 상경계열이, 진로목표 지향성 변인에서는 예술·체육 계열이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이공계열의 평균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목표 지향성, 대학생활 적응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목표 지향성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목표 지향성은 정적상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은 정적상관, 진로목표 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목표 지향성 전체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진로목표 지향성은 직업정보, 목표선택, 미래계획, 문제해결, 자기평가 모두에 영향력을 미치며 대학생활 적응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교 신입생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세부적인 전략으로 목표설정과 진로계획의 수립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 뒤러의 판화와 이탈리아 미술

        윤혜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브레히트 뒤러는 15, 16세기에 독일에서 활동한 판화가이자 화가이다. 당시의 유럽은 인쇄술의 발달과 더불어 판화가 성행하고 있었고 특히 뒤러가 태어나고 성장한 뉘른베르그는 이러한 인쇄업이 다른 도시에 비하여 활발한 곳이었다. 그는 금세공사의 집안에서 엔그레이빙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으며 볼케무트공방의 도제견습시절에 목판화에 있어서의 초벌그림과 기술을 배울 수 있었다. 판화를 제작함에 있어서 도구와 재료의 기술적인 완성위에 그는 예술작품으로서의 작품을 제작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두 번에 걸친 이탈리아 여행에서 도움을 받았다. 1차 여행에서는 이탈리아 대가들 작품의 직접적인 카피를 통하여 그들의 양식과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판화로 옮겨 제작한다. 이러한 이탈리아 작품을 모사하면서 뒤러는 인체와 구도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뒤러는 예전의 공방스타일의 판화에서 사용되던 획일화된 구도에서 보다 다양한 구도로 작품을 제작한다. 그러고 인체를 묘사하는데 있어서의 사실적인 표현과 운동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실행적인 측면에서 작품제작에 임하게 된다. 그러나 뒤러는 미술이론에 대하여 부족함을 느끼고 이론적인 면에서 당시 북구보다 앞선 이탈리아에서 이론적인 것을 배우고자 하였다. 뒤러에게 있어서 이론의 바탕은 예술작품에 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로 받아들였으며 2차 이탈리아 여행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배워서 판화작품에 적용하였다. 그는 이론에 관한 3권의 책을 남겼으며 여기서의 미술이론은 상당부분 이탈리아의 미술이론에 기초한 것이다. 여기서 선형원근법과 비례는 재현의 문제에서 일관되게 다루어오는 것으로 기하학에 기초를 둔 과학적인 바탕을 주력하여 연구하였다. 당시의 미술이론은 대부분 회화에 한정된 부분이 많았으나 이를 판화에 적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면서 판화도 회화와 마찬가지로 미술이론에 기초를 둔 예술작품이라는 자신의 견해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덧붙여 뒤러는 창조성에 대한 이론적 서술을 첨가한다. 이는 이탈리아의 미술 이론 중에서 화가의 능력에 관하여 논의된 부분과 비슷한 점이 보이는 것으로 위로부터 내려오는 특별한 힘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뒤러는 이러한 힘을 창조적인 힘이라고 보았으며 인간이 창조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그의 능력이 판화와 회화를 제작하는데 나타난다고 믿었다. 이러한 것이 그의 판화가 단순한 회화의 복제수단이 아닌 한 작품으로서의 독창성을 지니게 하는 바탕이 되게 하는 것이다. 뒤러는 이처럼 판화를 제작함에 있어서, 예술작품의 근본이 될 수 있다고 여기는 이론적 바탕위에서 작업을 하였으며 또한 이탈리아 대가들의 작품을 보고 드로잉으로 연습하여 자신의 작품에 이를 응용한 다양한 시도를 보임으로써 작가의 창작의도를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들은 오늘날 창작판화라 불리워지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뒤러는 판화가 가지는 여러 한계점을 뛰어넘어서 작품을 제작한 판화가로 불리워질 수 있다. Albrecht Du¨rer was a printist and a artist who was actively engaged in his works during 15th and 16th countries. At that time, printing technology had developed much, while many prints were worked. Particulary in Nu¨renberg where Du¨rer was born and bought up, the printing industry prospered more than in other regions. Because his his family had been engaged in goldworks, he could acquired the basic techniques necessary for engraving. Later, he could also learn about the rough sketches for wood-block prints as well as their techniques, while working as apprentice for Wolgemut workshop. Based on such techniques acquired in terms of tools and materials for printing, he attempted to produce artworks, He was inspired much by his two rounds of travels to Italy. During his first round of trip to Italy, Du¨rer came to understand the forms and tendencies of Italian masters' works by copying them personally and thereby, proceeded to reproduce them onto blocks. While copying those Italian works, he came to be able to have a new perspective into human body and its structure. Soon, he would depart from his uniform workshop style prints and instead, attempt to produce the works of diverse structures. Moreover, he became interested in realistic expressions and sence of motion for description of the human body and thereupon, began to produce more practical works. Nevertheless, Du¨rer felt that he was poor at art theories in Italy rather than in the Northern Europe. At that time, Italy was far advanced in art theories. To him, the theories were the basic elements for artistic works. After having learned about all these theories through his two round of trips to Italy, he began to apply them to his printing works, He wrote three volumes of book on art theories, much of which were borrowed from the Italian ones. In particular, the linear perspective and proportion which had been handled consistently in the are of reproduction were reviewed by Du¨rer who referred to geometry and scientific formulae. Although the art theories of his time were mostly related with paintings, he attenpted to apply them to prints. In other words, he insisted by applying the theories to his print works that prints are artworks based on art theories as much as paintings. Furthermore, he added up theoretical descriptions on creativity to them. His theories were similar to those Italian art theories on artists'ability. That is, he mentioned about a particular power ascending from above. He thought it a creative power which would apprear in prints and paintings as much as human beings could. Such a belief formed a ground for his argument that prints are not simply a mean of reproduction but an original genre of art. All in all, his print works were based on this belief that they could be basic artworks in diverse ways and eventually, demonstrated his origin of today's crreative prints, and therefore, he may duly be regarded as a printist who produced the works beyond various limits.

      • 초등학생의 간식 당류 섭취 및 섭취식품 다양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of snack sugar consumption and diet diversity and to identify factors snack sugar consumption among 244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11-12 years living in Guri city.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sociodemographic factors, sugar intake and the construc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food frequ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height of the participants was 145.3±6.4 in boys and 144.1±6.8 in girls and the average weight of that is 40.8±7.7 in boys, 36.5±7.7 in girls. 84.4 %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meals three times a day. 2. 38.5%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having snack once per day, 26.6% reported "almost no snacks", and 21.3% reported "twice and more per day". 49.6%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ready made snacks and 39.8% of them had snack prepared from mother or family members. 3. 82%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aste was not changed or increased after having snack. 4. Total sugar intake from snacks was 114.4g per day.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snack.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tal snack sugar intake and the diversity of food items in male and female children. 5. In male students,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snacks and total amount of snack sugar intake, although not in female students. 6.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core was 3.64±1.85, behavioral intention score 3.72±1.40 and subjective norms score 3.55±1.85. Score from perceived risk of child having obese 2.72±1.36. 7. In participants from the mother or the family members making snacks the control intention to eating the sweet snacks was the highest and participants having snack purchased from market reported the lowest intention for controlling the sweet snack 8.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and subjective norm were each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amount of snack sugar intake. Subjective norm explained 17%,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23%. The strongest predictor wa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to reduce the sugar snack intake in male students, but this was not significant in female students. 9.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tention explained 26.4% for predicting the diet diversity followed by subjective norm (20%) and perception of effect of controlling sweet snack intake(19%) in male students. Subjective norm was the highest predictor for diet diversity in female students. 9. Perceived risk of obese explained 16.9% of the frequency of the sweet snacks intake, followed by perception of effect of control sweet snack, 12.7% and subjective norm 4% in male students. Perception of effect of control sweet snack explained 12.7% followed by subjective norms in female students. 10. The amount of the total snacks intake was in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meat, dairy products and fat intak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requent intake of snacks increased the amount of snack sugar, meat and fat consumption. Perceived behavioral intention to control sweet snack intake affected snack sugar consumption by decreasing manner in male students and subjective norm in female students. Therefore awareness of these factors should assist balanced nutrient intake and the importance of sound snack choices. 영양과잉 및 비만으로 발전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당류의 과잉 섭취는 개인의 건강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당섭취로 인한 질병, 당류 과잉섭취로 인한 비만을 인한 질병 등을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당섭취량과 생활습관 변화로 인한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잉여열량이 체내 축적되어 비만을 초래할 수 있고, 비만으로 인하여 소아 당뇨 등 학령기 연령에서 성인병의 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실정을 감안해 볼 때, 총섭취당류 조사와 더불어 이로 인하여 초과되는 열량과 학령기 연령의 아동들에 대한 영양교육자료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구리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간식 섭취 실태와 간식 섭취로부터 오는 총당류 섭취량을 조사하고, 당류가 많이 포함된 간식섭취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간식 총당류 섭취량, 간식 섭취실태, 식품섭취 다양성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설문지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은 남아 145.3±6.4 여아144.1±6.8, 평균 체중은 남아 40.8±7.7, 여아 36.5±7.7였으며, 아동들 중 84.4%는 하루 세끼를 섭취하고 있었다. 간식 섭취 빈도는 ‘매일 1회’ 38.5%, ‘거의 안 먹는다’ 26.6%, ‘매일 2-3회’ 21.3% 이었다. ‘어머니나, 가족 또는 본인이 구매해서 간식을 섭취하는 빈도’가 49.6%로 가장 높았고, ‘가족이 만들어 주는 경우’가 39.8%였다. 간식을 섭취 후 입맛의 변화는 ‘변화가 없다’ 48%, ‘증가한다’ 34.4% 로 간식의 섭취가 끼니 섭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가 82%였다. 간식을 통한 총당류 섭취량은 1일 평균 114.4g이었고 가장 섭취빈도가 높은 간식은 요구르트, 과일 주스, 과자, 아이스크림 순이었다. 남녀 모두 간식 총당류 섭취량과 식품섭취다양성점수와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간식 총당류 섭취량이 높을수록 식품섭취다양성점수도 높아졌다. 남아의 경우 간식 섭취횟수와 간식 총당류 섭취량과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여아는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었다. 단맛 간식 섭취 조절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조사대상자가 비만 위험도 인식점수가 2.72±1.36으로 가장 낮았으며, 섭취 조절 행동 효과의 인식 점수 3.72±1.40, 단맛 간식섭취 조절 의지 점수 3.64±1.85, 부모, 가족, 주변인의 영향 점수 3.55±1.85 순이었다. ‘어머니나 가족이 간식을 만들어 주는 경우’ 단맛 간식 섭취 조절의지가 높았으며, 구매해서 먹을 경우 조절 의지 점수가 낮았다. 간식 총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단맛 간식 섭취 조절 의지가 23%로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었으며, 부모, 가족 및 주변인의 영향은 17%의 영향, 비만 위험도 인식은 8.7%, 단맛 간식 섭취 조절 행동 효과의 인식은 6.5%의 영향력을 보였으며, 단맛 간식 섭취 조절의지는 유의적으로 간식 총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었다. 여아의 경우 간식 총당류 섭취에 있어서 이들 요인의 유의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단맛 간식 섭취조절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과 식품 섭취 다양성과의 관련성은 남아의 경우 단맛 간식 섭취조절의지가 26.4%, 부모, 가족 및 주변인의 영향이 20%로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단맛 간식 섭취 조절로부터 오는 효과의 인식은 19%의 영향을 주었다. 여아의 경우 부모 , 가족, 및 주변인의 영향이 식품 섭취 다양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남아의 경우 단맛 간식 섭취 횟수에서 비만위험도 인식이 16.9%의 영향력을 갖고 있었으며, 단맛 간식 섭취 조절 효과의 인식 12.7%, 부모, 가족, 주변인의 영향은 4.%였으며 여아의 경우 단맛 간식 섭취 조절 효과 인식 12.7%, 부모, 가족 또는 주변인의 영향 10.6%로 이들 요인의 영향이 컸다. 간식 총당류 섭취량과 육류, 유제품 및 유지류의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남아의 경우 간식 섭취 횟수가 증가할수록 간식 총당류 섭취량이 높았으며, 총당류 섭취량이 높을수록 육류, 유지류 등 열량이 높은 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단맛 간식 섭취조절의지의 영향력이 간식 총당류 섭취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컸으며, 여아의 경우 부모, 가족, 또는 주변인의 영향에 의해 간식 총당류 섭취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어머니나 가족이 간식을 만들어 주는 경우 아동의 단맛 간식 섭취 조절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장기 아동에게 간식을 섭취함에 있어 본인의 비만위험도 인식도 중요하지만 스스로 통제가 힘든 아동들에게 있어서 주변의 영향, 즉 간식을 챙겨주는 사람, 부모 및 가족의 관심 등에 따라 간식 총당류 섭취량과 횟수가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아동의 식생활과 건강을 담당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올바른 간식보조와 아동에게 건전한 간식선택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탄산음료와 단 음식, 패스트푸드 등이 아동들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아동들이 식품을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알아보기 쉽게 영양표시를 하도록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인이 간식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도시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여 대상에 제한적일 수 있었으나 제한된 조건하에서 시행된 연구 결과이므로 다양한 요인과, 폭넓은 대상을 상대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

        윤혜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AI)은 국가와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AI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초·중등 대상의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SW·AI)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추세이다. 한국 역시 전 국민 대상 SW·AI 교육 환경 조성과 함께, 초·중등 학교급에서는 SW·AI 교육 강화를 위해 정보 교과목 강화 및 정보 융합 교육 장려 등을 정책으로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미래 역량 함양에 공통으로 필요한 교육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정보 교육 차원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를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에의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제이므로 정보 교육과정의 평가 영역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교과의 내용 및 평가 영역, 교육평가, 총론의 주요 특징 및 관련 교육과정 이론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관한 정보 교과 중심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중등 정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를 활용하여 평가 설계를 위한 절차와 교과 내용 분석 기준을 제시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백워드 설계는 총론에서의 교과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학습 내용 구조화,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절차와의 공통점 기반의 관계성, 심층적 이해를 위한 교과의 재구조화 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연구문제로서 첫째 정보 교과의 지식의 특징, 둘째 정보 교과 특징에 기반한 지식, 기능, 태도의 구조, 셋째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정보 교육 평가의 구성과 적용 절차를 제시했다. 연구 절차는 탐색, 설계, 타당화, 결론 도출로 구성했다. 탐색 단계에서 연구문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문헌 연구를 위해 한국, 영국, 미국의 교육과정 및 관련 문서, 교육과정, 교육목표분류, 교육평가 관련 연구와 문서를 검토했다. 설계 단계에서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해 중심 평가로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 정보 교과를 위한 지식·기능·태도 구조, 평가 방안과 적용 절차 등을 도출했다. 타당화 단계에서 설계 내용에 대한 이론적, 현장 적용성 관점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했다. 학계와 현장 전문가 16인을 대상으로 이질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방법과 심층 면담을 실행했고, 총 3차의 설문 과정을 거쳐 합의를 이루었다. 회차별 설문 내용의 분석 방법은 합의 도달 여부의 양적 평가 기준(표준 편차, 사분위수 범위, 적합 비율, 내용타당도 비율)을 검토하고, 서술 의견과 심층 면담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정보 교육 평가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기반의 설계 절차와 주안점을 제시했다. 둘째, 평가 설계에 필요한 교과 내용의 분석 기준(정보 교과 지식의 특성 및 지식 위계, 기능 분류, 태도 분류)을 제시했다. 셋째, 평가 유형과 세부 유형을 정리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식-기능 관계 및 태도 구조에 따른 적용 방안을 제시했다. 덧붙여 이해를 돕기 위한 통합 사례와 총괄 수행 과제를 포함했다. 연구의 의의로서 첫째, 본 논문은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등 정보 교육에서 평가 설계 과정과 이를 위한 정보 교과 내용 분석의 기준을 제공했다. 둘째, 정보 교과의 평가에 대해 정보 교과의 구조와 내용의 특징 관점에서 접근했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을 현장 교육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정보 교과 중심의 자료를 제공했다. 넷째,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에서 정의적·심동적 영역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관련 내용을 보다 체계화하고 강화했다. 다섯째, 중등 정보 교육 연구에서 정보 교과 지식의 특징을 짚어보고, 교과 내용 구조화를 위한 위계와 분류 체계에 정보 교과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용어와 표현을 사용했다. 여섯째, 정보 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의견의 차이는 전문가의 환경과 정보 격차 등에 의해 발생함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향후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중등 정보 교육의 평가 설계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이론 중심의 연구이므로, 이로 인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 대상의 실행 연구, 현장 적용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의 템플릿 발전, 학교급별·교과 영역별 사례 개발,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연수 개발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교과 내용으로서의 지식 자체에 대한 연구로서 교과 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보 교과의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과 구조 및 관계를 더욱 정교하게 규정하여 교수·학습 내용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기대하고, 교사들의 교수·학습·평가 설계에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정보 교육과 관련된 객관화된 평가와 정량화된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능력과 학습 결과를 적절하게 진단하고 측정하는 것은 개별 학습자에게 알맞은 정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제시한 향후 연구에 필요한 기간과 자원 등을 고려하여 개인과 공적 차원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widely recognized as the cornerstone of both busines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since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resulted in major economic and societal upheaval. Majo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systematically promoting soft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W·AI) education for K–12 as well as higher education to get ready for an AI–center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Korea, a SW·AI education environment for all ages is being established. Additionally, at the K-12 level, SW·AI education is strengthened through educational strategies including enhancing informatics subjects and classes that combine with content in informatic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valuation to measure learners’ academic progress more thoroughly in informatics subject-area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subject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the general guid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ssociated theories, as well as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to properly plan assessments based on the assessments section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 for informatics-related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guidelines for planning assessments and criteria for analysis of subject content based on secondary information curriculum and using backward design. Backward design has three implications in this study: structuring learning content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 sharing commonalities with problem-solving processes in informatics; and a restructuring strategy of subjects for the purpose of in-depth understanding.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 informatics in secondary school? Second, what is the structure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Third, what is the procedure for planning assessments in infor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teps of the research process were exploration, design, validation, and drawing of conclusions. In the design stag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knowledge, restructured structur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informatics, evaluation plan, and application procedure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s sources for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and documents on curriculum and related documents in Korea, the UK, and the US, curriculum theory, educational taxonomies, and educational evaluation were cited. In the validation stage, the accep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sign outcomes were confirmed from a theoretical and field applicability perspective. Delphi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were applied to a heterogeneous group of 16 experts, consisting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secondary informatics teachers, and consensus was built through three Delphi rounds. For consensus analysis, four quantitative discriminant criteria were looked at: standard deviation, interquartile range (IQR), agreement ratio,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hen all conditions are me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lphi's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as examined, and the comprehensive agreement conclusion was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uidelines and key ideas were proposed when designing an assessment plan for secondary informatic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econdary informatics subject for assessment were offered. In detail, it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knowledge hierarchy, and skill and attitude categorization in secondary informatics. Third, the types of assessment methods available for secondary informatics were integrat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m, the plan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knowledge-skill relationship structure and attitude structure was presented. Integrated scenarios and performance tasks were offered to aid with comprehensio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assessments plan and structural analysis of subject content for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Second, assessments for informatics were approached from a thorough viewpoint of the subject structure as per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features of the subject content. Third, the sources required to integrate the national curriculum into classroom instruction are offered, with an emphasis on informatics. Fourth, awareness of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was examined during assessments of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 related material was enhanced and better systematized. Fifth, the hierarchy and categoriz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ere described as terminology and expressions connected to informatics. Finally, it was established that experts' perspectives, perceptions, and opinions on the topic of informatics education vary depending on their unique circumstances and contexts, and further research to fill in the varied knowledge gaps among experts is recommended. Future research area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theory and method of assessment plan desig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mplates that are more appropriate for the field, compile case studies by academic level and content areas of the subject, and creat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Second,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covered in informatics educa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consistency and continuity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provide teachers with standards to use when they restructure the curriculum by more precisely defining the traits and structures of informatic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verifiable and quantified scales related to informatics education. Learning outcomes and abilities must be accurately diagnosed and measured to provide each student with the instruction they need. Finally, considering the time and resources required for each research topic, simultaneous efforts at the individual and public level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research areas mentioned above. Keywords: secondary informatics education, assessments plan, informatics curriculum, national curriculum, backward design (understanding by design), curriculum restructu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