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의 요통발생과 보완대체요법 이용 실태 조사

        권여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echnology has developed, industrial assembly line workers have become limited in their responsibilities to simple and repeated work. For this reason, work related diseases started to develop on those workers. Many of these work related diseases occur on the skeletal muscles. Skeletal muscle disability and stress has developed into urgent industrial health problems. Of the muscle skeletal disease, Lumber Pain, was shown on 50% of the workers but only 15-20% seeked doctors for treatment. Lumber pain resulted in frequent medial office visits, low productivity, and mental decline effecting normal daily life. The benefit of alternative medicine is that is has a broad use for areas of treatment and prevention for worked related diseases addressing one's physical and and mental situation, daily lif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creased interest in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of limitations of other unorthodox medical treatment. The main purpose in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usage, treatment,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rate of alternative medicine on the age group of 20 to 30 year old workers who had lumber pain. During 19 days from April 4, 2011 to April 22, 2011, researchers randomly selected workers from Youngdengpogu, Junggu, Seungdonggu, Kwangjingu and Gurogu Seoul to take a survey. By researching people who have suffered lumber pain within the last year, lumber pain was present in a surprisingly high percentage of those people. 73.3%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suffered lumber pain within one year. Categorizing workers by weight, over weighted and obese workers had more symptoms of lumber pain than those who had less weight or were normal weight. In addition, workers who frequently consume alcohol showe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consume less alcohol 81.8% of workers who had worked for 6-10 years had lumber pain, which was highest percentage of all, and this number fluctuated with the varying amounts working hours. Those who worked more than 11 hours per day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worked for 8 hours. This statistic showed useful research results. Working position showed different comparisons in this research. Not only did workers who usually stood up during their works showed more lumber pain but also workers who's work was limited to repeated task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that had varied types of duties. Because a high percentage of workers who worked for longer hours answered that they had lumber pain every single day, there seems to be a connec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lumber pain. The 71% of workers answered 'yes' when asked if they had ever tried alternative medicine, and only 29 answered 'no' that they did not. When illness or pain occurred, the most used source of alternative medicine was yoga, hot pack, well-being food, and massage. When asked which illness they used alternative medicine for, lumber pain was a common reason for many workers. Most workers said that they just endured pain. However, for medical treatment seekers, there was a higher percentage of people that use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g with alternative medical treatment rather th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e. When asked if their pain was reduced after treatment, more than half the people answered 'yes'. Most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when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level on a scale of 1-5 with 5 being very satisfied. In the research, almost half of the people preferred medical treatment while the other half preferred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no negative perceptions of alternative medicine by the survey respondents of workers between the age groups of 20 to 30 years old. Because alternative medicine does not use any chemical substances or drugs, it was very suitable for work and did not affect normal life. Although alternative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can be taken together, alternative medicine methods were not well known throughout the population. In addition, most people did not seek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they did not know which method to pursu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to upgrade and develop alternative medicine. In addition, proactive advertising is needed on the facts that alternative medicine is a proven treatment on reducing side effect and also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maximize treatment, endless effort is needed to inform the public that medical treatment and alternative medicine can be used together to achieve the best results. Key words : Low Back Pain, Prevalen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CAM)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작업의 형태가 점점 단순·반복화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작업성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가장 시급한 산업보건과제의 하나로 근골격계 장애와 스트레스를 꼽을 수 있다.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중 하나인 요통은 노동 연령기 사람에게서 50%의 연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15-20%의 사람들이 치료를 위해 의사를 찾는다. 요통 문제는 잦은 의료진 방문, 낮은 생산성의 원인이 되며 또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저해하여 비금전적 손실도 가져온다. 이와 관련하여 보완대체의학적 접근 방법은 개개인의 생활패턴과 주위환경, 또는 성격적, 정서적 상황을 고려하므로 치료와 예방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정통적 의학에 한계를 느낀 환자와 의료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전반적인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20․30대 직장인의 요통발생 실태와 요통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그 효과와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요통 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방법은 서울 영등포구, 중구, 광진구, 성동구, 구로구 일대의 직장 종사자들을 임의로 선정하여 2011년 4월 4일부터 4월 22일까지 19일간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최근 1년 이내에 허리의 통증발생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통증이 있었다는 응답자가 73.2%로 직장인들에게 요통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체중이거나 표준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인에게서 요통의 발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음주를 하는 사람이나 가끔 하는 사람에 비하여 요통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기간 6-10년 경력자의 요통 발생은 8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근무 시간에 따라 11시간 이상 근무한 사람은 8시간 이하 근무한 사람에 비하여 요통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근무 자세에 따라서는 서서 근무 하는 대상자에게 요통발생이 높았고 근무시 신체 움직임이 반복되는 것이 반복되지 않은 것보다 요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요통빈도를 살펴보면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거의 매일 요통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빈도 또한 근무 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보완대체의학의 경험 여부를 물어보았을 때 전체 직장인의 71%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경험해보지 않았다는 응답은 29%에 그쳤다. 질병이나 통증발생시 요가와 찜질요법, 건강보조식품, 마사지 요법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어떤 질병에 보완대체요법을 적용했는지 알아보는 항목에서는 요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요통 발생시 대처 방안으로 그냥 참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병원치료만 받는다고 한 사람 보다 높았다. 요통 치료 후 효과에 대해 묻는 사항에 대해 절반이 넘는 사람이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요통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긍적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통증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치료하겠는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병원치료를 선택하겠다는 응답과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20-30대 직장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지 않았다. 보완대체요법은 수술이나 화학적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기에 직장에서의 작업과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치료법이다. 보완대체요법이 병원치료와 상호보완적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 어떤 것을 선택해야하는지 몰라서 찾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보완대체의학적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져야 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가 검증된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요통발생시 병원치료의 적절한 병행과 함께 보완대체의학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요통, 이용실태, 보완대체요법

      • 만성요통환자의 기능장애, 일상생활활동, 우울 및 자기효능감 관계

        이하나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요통관련 특성에 따른 신체적 기능과 정신건강의 차이와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만성요통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1일에서 2013년 11월1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6개월 이상 요통을 호소하는 환자로 전남권에 소재한 양방병원과 한방병원에서 입원·외래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자 및 훈련된 간호사가 개별면담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기능장애를 측정하기 위해 ODI(Oswestry Disability Index), 와 일상생활활동을 측정하기위해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및 IADL(Instru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사용하였고,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BDI(Beck Depression Index),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Sherer와 Maddux가 개발한 일반적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정애순(2007)이 수정, 보완한 17개의 문항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로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Kruskal-Wallis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기능장애와 일상생활활동에 공통으로 관련이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 성별, 배우자 여부, 가족구조, 수면시간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기능장애와 일상생활활동에 관련이 있는 요통관련 특성은 BMI, 요통의 유병기간, 주관적 건강상태, 요통빈도, 입원경험, 수술경험, 일상생활 불편정도, VAS, 척추전방전위증으로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관련이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과 경제상태가 공통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4. 연구대상자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포함한 요통관련 특성은 요통의 유병기간, 주관적 건강상태, 입원경험, 수술경험이 공통적인 요인이었다. 5. 연구대상자의 기능장애, 일상생활활동의 신체적 기능장애와 우울은 서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자기효능감은 기능장애, 일상생활활동, 우울과는 유의미한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요통환자의 기능장애 및 일상생활활동 등 신체적 기능장애는 우울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자기효능감과는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요통환자의 신체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 만성요통이 있는 농촌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장애 관련요인

        최인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low back pain and level of chronic low back pain, social support, disorder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lso to identify related factors affecting disorder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elderly farmers. The participants were 128 elderly farmers residing in J province who had received nerve block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February 13 to March 20,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inear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for chronic low back pain was 6.27±1.69 out of 10 points, for social support was 2.92±0.76 out of 5 points, and for disorder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2.01±0.82 out of 5 points. Disorder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high in women and those aged 70 years or older, with no education, with low financial status, living alone, with long farming hours, and with a few sleeping hours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ose who felt unhealthy and had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thyroid disease, and arthritis in terms of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those with “numbing pain” in terms of pain patterns and “sprain or fall” as the cause of low back pain in terms of characteristics related low back pain; and those with less than 6 weeks since the procedure and with a fear of the procedur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nerve blocks. Factors affecting disorder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found to be age(p=.017), average daily hours of farm work(p=.040), subjective health status(p=.050), fear for the nerve block(p=.016), chronic low back pain(p<.001), and social support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60.3%. The present study found the following controllable factors affecting disorder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rural elderly engaged in farm work: chronic low back pain, social support, average daily hours of farm work,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to reduce disorder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rural elderly engaged in farm work,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assigning appropriate average daily hours of farm work, arranging local resources for the elderly so that they can improve their health status by reducing chronic low back pain, and developing and applying social support programs that fit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needs of the rural elderly. 본 연구는 만성요통으로 신경차단술을 받은 농작업에 종사하는 농촌노인들의 요통관련 특성과 만성요통, 사회적 지지, 일상생활 활동장애의 정도를 알아보고, 일상생활 활동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도의 산간지역에 거주하며 농작업에 종사하면서 신경차단술을 받은 노인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2월 13일부터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Linear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만성요통 정도는 10점 기준으로 평균 6.27±1.69점, 사회적 지지는 5점 기준 평균 2.92±0.76점, 일상생활 활동장애는 5점 기준 평균 2.01±0.82점이었으며, ‘중증 이상’의 일상생활 활동장애를 가진 자가 47.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활동장애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높았다. 일반적 특성은 여자, 70세 이상, 무학력, 경제상태가 낮은 경우, 혼자 사는 경우, 농작업 시간이 길 경우, 수면시간이 짧은 경우에서, 건강관련 특성은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와 만성질환으로 고혈압, 갑상선질환, 관절염이 있는 경우에서, 요통관련 특성은 통증 양상이 ‘저리는 듯 아프다’인 경우와 요통의 원인이 ‘염좌나 낙상’인 경우에서, 신경차단술관련 특성은 시술 경과기간이 6주 미만인 경우와 시술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경우에 일상생활 활동장애가 높았다. 일상생활 활동장애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은 연령(p=.017), 일 평균 농작업 시간(p=.040), 주관적 건강상태(p=.050), 신경차단술에 대한 두려움(p=.016), 만성요통(p<.001), 사회적 지지(p<.00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전체 설명력은 60.3%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농작업에 종사하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 활동장애에 영향을 주는 조절 가능한 관련요인은 만성요통, 사회적 지지, 일 평균 농작업 시간, 주관적 건강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농작업에 종사하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 활동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 평균 농작업 시간을 안배하고, 만성요통을 경감시켜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자원을 연계하여 이용하도록 조정하고, 지역적 특성과 농촌노인의 요구에 맞는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대상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요통운동의 복합적용이 만성요통 환자의 주관적 통증과 척추 만곡도에 미치는 영향

        장재선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요통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가장 흔히 경험하는 증상으로 경제적,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요통환자들에게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요통운동의 복합적용이 주관적 통증 감소시키고 척추 만곡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6개월 이상 요통을 가지고 있는 만성요통환자로서 X-ray, CT 및 MRI 등의 특수 의료장비를 사용한 검사를 통해 담당의사로부터 수술을 요하지 않는 진단을 내린 여성 40∼50대 만성요통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외과적 질환과 신경학적 이상소견이 없는 사람을 선정하여 사전검사 후 카이로프랙틱 집단과 카이로프랙틱과 요통운동처방을 병행한 집단을 구성하여 8주 동안 처치하여 주관적 통증정도는 통증자각도 검사지에 의해 평가하고 척추만곡도는 간스테드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카이로프랙틱 단독 처치집단은 100.0±0.00에서 처치 2주 후 93.85±2.03, 처치 4주 후에는 64.00±3.46, 처치 6주 후에는 45.42±3.59, 8주 후에는 29.28±6.72로 통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카이로프랙틱 및 운동처치 집단은 실험 전 100.0±0.00에서 2주 후에는 93.57±4.89, 4주 후에는 60.71±6.07, 6주 후에는 35.71±6.72, 8주후에는 10.00±1.77로 카이로프랙틱 집단보다 주관적 통증 정도가 보다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카이로프랙틱 단독 처치집단은 37.14±1.34°에서 처치 4주 후에는 39.42±1.13°로 약 2° 증가하였으며, 카이로프랙틱과 운동처치 집단은 실험 전 36.85±1.77°에서 8주 후에는 40.00±2.01°로 약 4°정도 증가하여 카이로프랙틱 단독요법 집단보다 두배정도 경추만곡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카이로프랙틱 단독 처치집단의 경우 실험처치 전 38.14±1.57°에서 8주 후에는 40.57±1.39°로 약 2.4° 증가하였으며, 카이로프랙틱 및 운동처치 복합 집단은 실험 전 37.42±2.07°에서 8주 후에는 40.57±2.57°로 약 3.1° 증가하여 카이로프래틱 단독 요법 집단보다는 0.7°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카이로프랙틱 단독 처치집단은 43.57±1.13°에서 처치 2주 후 44.42±1.13°, 처치 4주 후에는 44.1±0.95°, 처치 6주 후에는 45.42±0.97°, 8주 후에는 46.00±0.81°로 만곡도가 서서히 증가하여 8주 간 약 2.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로프랙틱 및 운동처치 집단은 실험 전 42.14±2.03°에서 2주 후에는 42.57±1.71°, 4주 후에는 43.14±1.34°, 6주 후에는 43.85±1.21°, 8주후에는 45.14±1.67°로 8주 간 약 3.0° 증가하여 카이로프랙틱 단독요법 집단보다는 약 0.5°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으로 보아 만성요통 환자들에게 있어서 카이로프랙틱 단독요법보다 요통운동의 복합 적용이 주관적인 통증의 감소와 척추만곡도 증가에 더욱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요통 환자가 요통의 재발 방지를 위해서 요통운동의 생활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요통환자를 위한 운동처방 프로그램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 backache is common symptom for people in the world, and it becomes economical and social problem. This research is focused on reduction of subjective pain and spine curve by chiropractic therapy and backache exercis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14 chronic backache patients of age 40∼50 for 6 months, but they do not need surgery because they get diagnosis from doctor with X-ray, CT, and MRI. They are diagnosed for checking surgeon and nerve system illness, and they are divided into 2 parts, which are group of only chiropractic and that of chiropractic and backache exercise. During 8 weeks of treatment, a level of subjective pain is evaluated by paper of backache awakening, and a spin curve is estimated with use of CTP listing. Following results of analyzation are on the below. 1. Group of only chiropractic has reducing pain with numerical values about 100.0±0.00 at the start, 93.85±2.03 after 2 weeks of treatment, 64.00±3.46 after 4 weeks, 45.42±3.59 after 6 weeks, and 29.28±6.72 after 8 weeks. Group of chiropractic and backache exercise has values about 100.0±0.00 at the start, 93.57±4.89 after 2 weeks, 60.71±6.07 after 4 weeks, 35.71±6.72 after 6 weeks, and 10.00±1.77 for 8 weeks. It means that group of chiropractic and backache exercise have more reductions of subjective pain than that of group of only chiropractic. 2. For cervical spine curve, Group of only chiropractic has values about 37.14±1.34° at the start and 39.42±1.13° after 4 weeks of treatment. 2° of spine curve is increasing. Group of chiropractic and backache exercise has values about 36.85±1.77° at the start and 40.00±2.01° after 8 weeks. 4° of spine curve is increasing. It means that group of chiropractic and backache exercise has twice more values than that of group of only chiropractic. 3. Group of only chiropractic has values about 38.14±1.57° at the start and 40.57±1.39° after 8 weeks. 2.4° is increasing. Group of chiropractic and backache exercise has values about 37.42±2.07° at the start and 40.57±2.57° after 8 weeks. 3.1° is increasing. It means that group of chiropractic and backache exercise has 0.7° more value than that of group of only chiropractic. 4. Group of only chiropractic has values about 43.57±1.13° at the start, 44.42±1.13° after 2 weeks, 44.1±0.95° after 4 weeks, 44.1±0.95° after 6 weeks, and 44.1±0.95° after weeks. it means that this group gets 2.5° of increasing value during 8 weeks. Group of chiropractic and backache exercise has values about 42.14±2.03° at the start, 42.57±1.71° after 2 weeks, 43.14±1.34° after 4 weeks, 43.85±1.21° after 6 weeks, and 45.14±1.67° after 8 weeks. It means that this group gets 3.0° of increasing value during 8 weeks, and it is 0.5° more value than that of group of only chiropractic. About the result, chiropractic therapy with backache exercise have better effect than that of only chiropractic therapy. Exercise program of backache prevention should be developed for people who have potential backache illness.

      • 腰痛 患者의 有病期間에 따른 心因性 症狀尺度 變化에 관한 臨床的 考察

        최우성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요통이란 어느 한 질환의 특징적인 병명이 아니라 요추부에 나타날 수 있는 동통증후군을 광범위하게 표현한 용어로서, 인류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만성 요통환자의 경우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심인성 증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 하에 여러 방면에 걸친 심리 검사가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급, 만성 요통환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심인성증상 간이검사(Symptoms Check List for Minor Psychiatric Disorders, SCL-MPD)를 시행한 후 비교함으로써 요통의 유병기간에 따른 심인성 증상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5년 4월 13일부터 2005년 5월 18일 사이에 자생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외래에 요통을 주소로 하여 내원한 환자 104례 중 유병기간에 따라 급성 요통환자군(≤6주)과 만성 요통환자군(≥3개월)으로 분류하고, 정상 대조군을 설정하여 SCL-MPD를 작성하게 한 후 통계처리를 거쳐 비교하였다. 급성 요통 환자군과 만성 요통 환자군의 비교에 있어 5개 증상차원척도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4개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성 요통 환자군과 대조군의 비교에서는 9개 척도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개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급성 요통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2개 척도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1개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른 비교에 있어 대조군에서는 3개 척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급성 요통 환자군에서는 1개 척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만성 요통 환자군에서는 4개 척도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2개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세 군간의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는 남성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여성군에서는 유병기간에 따라 척도 지수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급성에서 만성으로 이행하는 시기에 더욱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각 군에서 남녀 척도 지수 합에 의한 증상차원척도별 순위 비교에 있어서는 건강염려증, 신경쇠약증, 신체화 척도가 뚜렷한 우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요통의 유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심인성 증상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띄며,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여성에서 두드러지는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Object : Low back pain is one of the most common affliction of human being. Generally, it is admitted that psychogenic symptoms increase in chronic low back pain state. To evaluate the mental stat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low back pain, the authors surveyed low back pain patients with Symptoms Check List for Minor Psychiatric Disorders(SCL-MPD). Materials and Methods : SCL-MPD was presented to objects who visited our department for low back pai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y duration. One group was acute low back pain patient(≤6 weeks) and the other was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3 months). 104 patients completed SCL-MPD questionnaire. Then we set a control group(50 objejts) and analysed the difference of psychogenic symptoms between three groups. Results :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ALBP(acute low back pain patient) and CLBP(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group in 5 dimensions(very significant) and 4 dimensions(significant), CLBP and Control group in 9 dimensions(very significant) and 1 dimension(significant), control and ALBP group in 2 dimensions(very significant) and 1 dimension(significant) When it comes to comparison of sex,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group in 3 dimensions(significant) in control group, only in 1 dimension(significant) in ALBP group and 4 dimensions (very significant) and 2 dimensions(significant) in CLBP group. There was not a distinctive difference in male group between three group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male group and it was more likely to happen in changing over acute to chronic stage of low back pain. In the rank of all dimensions Hypochondriacal and Neurasthenic, Somatization were in high predominant posi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symptoms increas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low back pain, and it is more prominent in women.

      • 의학적 훈련요법이 만성 요통환자의 통증 및 요추부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

        송수경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의학적 훈련요법(medical training therapy)이 만성 요통환자의 통증 및 요추부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만성 요통환자를 전만각 감소그룹, 추간판 탈출증 그룹, 불안정성 그룹으로 나누어 의학적 훈련요법과 일반운동 요법을 주 3회 30분씩 12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전‧후에 VAS와 Oswestry 요통장애설문지,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를 이용한 유연성검사, Spinal mouse를 이용하여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만각 감소그룹의 운동요법 적용 후 통증개선정도, 요통장애정도, 유연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치료 후에 의학적 훈련요법을 적용한 대상자들이 일반적인 운동요법을 적용한 대상자들보다 통증감소, 요통장애의 개선 및 유연성이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 운동요법을 실시한 12주후 요추전만각의 경우 의학적 훈련요법을 적용한 대상 1의 경우 +1도, 대상 2의 경우+7도 전만각이 증가 하였으며, 일반운동을 적용한 대상 3의 경우 -2도, 대상 4의 경우 +1도 전만각이 증가하였다. 3. 추간판 탈출증 그룹의 운동요법 적용 후 통증개선정도, 요통장애정도, 유연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치료 후에 의학적 훈련요법을 적용한 대상자들이 일반적인 운동요법을 적용한 대상자들보다 통증감소, 요통장애의 개선 및 유연성이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4. 불안정성 그룹의 운동요법 적용 후 통증개선정도, 요통장애정도, 유연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치료 후에 의학적 훈련요법을 적용한 대상자들이 일반적인 운동요법을 적용한 대상자들보다 통증감소, 요통장애의 개선 및 유연성이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5. 관절 가동성은 불안정성 그룹의 대상 10의 경우만 연구 전 제 4요추 분절과 제 5요추 분절의 움직임이 경미하게 증가한 것에서 정상 움직임으로 변화하였다. 6. 안정성 검사에서는 모든 대상자에서 약간의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나 의학적 훈련요법을 적용한 대상자의 안정성 향상이 두드러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의학적 훈련요법이 만성 요통환자의 통증, 유연성, 안정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안정성의 향상정도가 적어 앞으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effects of MTT (Medical Training Therapy) on pain and lumbar spine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For this, this study divided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into the lumbar lordotic angle decrease, the herniated nucleus pulposus(HNP) and the instability groups, to which MTT and general exercise therapy were applied for thirty minutes, three times per week, for twelve weeks. Using VAS and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flexibility test using seated forward bending and the Spinal Mouse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effects on stability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improvement of pain, disability caused by low back pain and flexibility for the lumbar lordotic angle decrease group, the subjects to which MTT was applied after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improvement of disability caused by low back pain and increase in flexibility than those to which general exercise therapy was applied. 2. In case of lumbar lordotic angle after twelve weeks from therapies, the subjects 1 to which MTT was applied showed +1 degree of increase; those 2, +7 degrees; those 3 to which general exercise was applied, -2 degrees; and those 4, +1 degree. 3. In comparison of improvement of pain, disability caused by low back pain and flexibility for the HNP group, the subjects to which MTT was applied after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improvement of disability caused by low back pain and increase in flexibility than those to which general exercise therapy was applied. 4. In comparison of improvement of pain, disability caused by low back pain and flexibility for the instability group, the subjects to which MTT was applied after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improvement of disability caused by low back pain and increase in flexibility than those to which general exercise therapy was applied. 5. As for Lumbar segment mobility, only the subjects 10 in the instability group showed change into normal movement from slightly increase movement of the fourth and the fifth lumbar segments before study. 6. In stability test, the subjects to which MTT was applied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s, although all subjects showed some enhancements.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MTT has effects on pain, flexibility and stability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However, it is thought that it should be further complemented because of small degree of enhancement in stability.

      • 요통과 맨발 상태로 측정한 족궁의 관계

        김선미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척추로부터 내려온 체중의 무게는 골반을 통하여 양쪽 하지로 분산되어 내려와 최종적으로 양쪽 족관절이 나눠 받게 되는데 최전방에서 체중을 이고 있는 족관절이 흔들리게 되면 그 힘이 역으로 근위관절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쳐 인체의 중심인 척추를 흔들리게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맨발 상태로 측정한 족궁이 요통의 요인 중 하나인 자세 이상으로 나타나는 요추 전만도, 요천추각 변화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2008년 9월 16일부터 2008년 9월 20일까지 진해시 1개 의원에 내원한 외래 환자 중 요통을 주소로 만 20세에서 50세 사이의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요통이 있는 군 15명(남7, 여8)과 정상인 15명(남4, 여11) 총 30명을 대상으로 방사선 촬영을 하였고 신장, 체중, 비만도와 족궁, 요추 전만도, 요천추각과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요추 전만도에서 요통이 있는 군과 요통이 없는 군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요천추각은 요통이 있는 군에서 낮게 나타났고, 족궁은 요통이 있는 군이 요통이 없는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요추 전만도와 요천추각이 요통이 없는 군에 비해 요통이 있는 군이 낮게 나타나 족궁과 요추 전만도 요천추각과의 관련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체중과 신장은 요천추각과 족궁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족궁은 요통이 있는 군에서 족궁이 증가할수록 요추 전만도가 유의성 있는 수치로 감소하게 나타났으나 요천추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족궁의 높이 변화는 요통이 없는 군보다는 요통이 있는 군의 요추부에 더 영향을 미치므로, 요통관리를 위하여 족궁 관리가 필요하며, 족궁의 높이조절로 자세이상에 의한 요통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The load from spine can be distributed in both lower limbs through pelvis to let both ankle joints receive it finally: The movement of ankle joint supporting weight shall have consecutive influence upon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reversely to create posture disorder such as changes of lumbar part angle and to produce backpain. This study examined foot arches measured in bare foot, lumbar lordosis caused by posture disorder and changes of lumbosacral angle. The subject was patients having backpain who were 20 to 50 years old and visited one clinic in Jinhae from September 16th, 2008 to September 20th, 2008 and consisted of 30 persons of both groups, that is to say, 15 persons (7 men and 8 women) of patient group who suffered from disease more than six months, and another 15 persons (4 men and 11 women) of normal person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foot arches and backpain was investigated by using radiation, height, weight and obes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ly, not only patient group but also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umbar lordosis: But, lumbosacral angle of patien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5), and foot arches of pati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lumbar lordosis and lumbosacral angle of patient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refore, there was relationship among foot arches, lumbar lordosis and lumbosacral angle. Secondly, weight and height had influence upon lumbosacral angle and foot arches (P<0.1) Thirdly, the higher foot arches of patient group, the less lumbar lordosis (P<0.1). But, foot arches had no influence upon lumbosacral angle. Therefore, the change of height of foot arches had more influence upon lumbar spine: To manage backpain, foot arches should be managed and height adjustment of foot arches could be of help to control backpain caused by posture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