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의대학교 재학 중국유학생 대학생활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연구

        오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4년 9월 한중문화교류협정이 체결되면서 한국과 중국 간 파견유학이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재한 중국 유학생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 현재 53,902명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전체 재한 외국인 유학생 85,193명의 60%를 넘는 수치로서 중국 유학생의 증가는 국가차원에서도 교육을 통한 국제 교류 강화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국 유학생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이들을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는데 실제로 한국의 대학에 입학하여 학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사례들도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현황을 알아보고 중국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Berry(2001)와 Sandhu & Asraba(1994)에 의해 검증된 문화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 변인을 근거로 각 변인들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부산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142명의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최종 수집된 127부의 설문지는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응 하위요인 중 통합을 높게 인식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충격 요인을 낮게 인식할수록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그리고 대학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하위요인인 통합과 동화와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개인적응, 대학만족도의 관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적 충격 요인에 의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통합과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차별감을 느끼지 않게끔 노력해야 되고, 문화충격요인 등을 감소 시켜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생성형 인공지능을 적용한 대학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Zhang, Yang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박사

        RANK : 248639

        현재 대학은 자국은 물론이고, 다른 나라의 대학과도 경쟁해야 하는 무한 경쟁의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의 브랜드를 가치로 인식하고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고유한 문화상품이나 문화 가치를 키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대학 문화는 21세기를 선도하는 중요한 키워드로서, 대학 간의 차별성과 경쟁력, 정체성의 원천이다. 따라서 대학 문화는 창의력과 미래에 대한 신념 및 의지에서 비롯된 창조물로, 경제적 가치와 높은 산업 부가가치를 갖는다. 그렇기에 대학 문화상품은 대중의 문화적 동질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대학 문화 브랜드 구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동의대학교의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창의적 기념품 디자인 실험을 통해 다양한 제품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 학교 문화 상품의 미래 발전에 유익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가설을 세우고, 문화상품 디자인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반 디자인의 유효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및 마케팅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문화상품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구성원들이 원하는 문화 콘텐츠와 주요 관심사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요구와 관심사를 반영하여, 인공지능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실험팀과 전통적 디자인 방식을 기반으로 한 대조팀을 구성한 디자인 실험을 통해, 동의대학교 특색을 반영한 다양한 문화상품을 시안으로 제안하고, 디자인 결과물을 통해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를 통해 인공지능 방식의 디자인 효율이 전통적 방식보다 약 30%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공지능으로 생성한 이미지가 품질과 디자인 적합성에서 우수한 결과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과 문헌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제품 디자인 요소를 추출한 후 KJ방법을 적용하여 참신성, 실용성, 정교화, 감성 등 주요 1급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후 2급 요소 33개를 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델파이법을 통해 4개의 1급 요소와 8개의 2급 요소를 확정하고, 최종 제품 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런 결과는 인공지능과 산업디자인의 융합을 다루는 이론 연구 내용을 심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Currently, universities are facing an infinite competitive situation where they must compete not only with domestic universities but also with universities from other countries. In this reality,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university's brand as a value and to cultivate unique cultural goods or cultural values through strategic approaches. University culture is an important keyword for leading the 21st century, as it serves as the source of differentiation, competitiveness, and identity between universities. Therefore, university culture is a creation derived from creativity, belief in the future, and determination, possessing both economic value and high industrial added value. As such, university cultural goods help form cultural homogeneity among the public and play a decisive role in building the university's cultural bra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esenting various product design options through an experimental design of creative souvenirs using Dong-Eui University’s cultural content, and to provide valuable reference materia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university cultural goods.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hypothesis was set, and th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of AI-based design in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 design were verified.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goods design, development, and marketing, an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cultural goods was low, and the needs and main interests of the university members were identified. Reflecting these needs and interests, a design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forming an experimental team using AI-based design and a control team using traditional design methods, proposing various cultural goods mockups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ong-Eui Universit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then performed on the design results. Through specific analytic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 efficiency of the AI method was about 30%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method.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mages generated by AI showed superior quality and design suitability. Furthermor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specific product design elements were extracted, and after applying the KJ method, primary elements such as novelty, practicality, refinement, and emotional appeal were derived. Subsequently, 33 secondary elements were suggested to complement these primary elements. Finally, through the Delphi method, four primary elements and eight secondary elements were confirmed, and a final product evaluation system was established. These results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deepening theoretical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AI and industrial design.

      • (A) Statistical Test of Fuzzy Correlation for Power-Normal Distribution by Agreement Index

        서현아 東義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랜덤추출로부터 얻어 진 이변량 자료가 구간 자료 또는 오차를 포함한 자료이면서 정규분포를 보장 할 수 없을 때 이 자료를 이변량 power-normal(PN)분포로 변환하여 동의 지수법을 적용하고 이를 퍼지 검정법으로 두 변수 간의 독립성을 검정하였다. 먼저 주어진 자료가 퍼지자료로서 적합한지에 대한 적합성으로 정규성, 볼록성, 폐쇄성을 정의하였고, 이 데이터에 대한 연산법을 제시하였고 이 연산법으로 통계량을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가설의 기각역을 얻기 위하여 기각역에 관한 퍼지 검정 방법을 소개하였고 이변량 PN분포에 초점을 두어 적용하였다. 퍼지검정 방법으로는 퍼지 가설의 membership function을 가정하여 퍼지 기각역에 관한 동의지수법의 여러 가지 형태의 검정통계량과 기각역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동의지수법은 검정 통계량이 기각역에 흡수되는 정도의 비로서 기각과 채택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또한 퍼지수 데이터들이 정규성을 보장 할 수 없고, 이 경우 두 변수 간 독립성을 검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 데이터들을 정규 변환하기 위하여 power-normal(PN) 변환법을 적용하여고, 이 정규분포에서 적률모함수를 구였다. 이 적률모함수를 이용하여 테일러급수정리에 의하여 퍼지평균, 분산, 공분산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구해진 퍼지평균, 퍼지분산, 퍼지공분산을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구하고 그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퍼지 t-검정통계량을 구해 두 변수간의 독립성 검정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Cox와 Snell(1981)에서 고혈압 환자에 대한 자료와 동의의료센터로부터 얻어진 혈압에 대한 분포는 일반적으로 정규성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밝혀졌다. 두 혈압의 이완기와 수축기를 PN 정규변환 하여고, 두 데이터에서 평균과 분산 및 공분산을 구하여 퍼지 t-검정통계량을 유도하였다. 두 변수간의 독립성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퍼지 t-검정통계량이 퍼지유의수준에 의한 기각역에 포함되는 정도를 동의지수법으로 구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정규성이 보장되지 않는 다변량 퍼지데이터에 대한 변수간의 독립성 검정을 PN분포를 사용한 동의지수법으로 통계적 퍼지검정을 하는데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BL(Problem Based Learning)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의 효과

        박현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PBL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BL을 적용한 교과목의 효과를 동시에 연구한다. 연구는 '3D CAD 수업에서의 PBL 교수법 효과'와 'PBL을 활용한 CAE 학습효과', 그리고 'PBL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의 효과'이며, 연구대상은 모두 다르 다. PBL을 활용한 3D CAD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제고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동의대학교 기계자동차로봇부품공학부 3학년 학생들에게 PBL이 적용된 ‘자동차 CAD 실습’ 교과목 수업을 구현하고 설문조사의 답변을 분석했다. 학생들 은 교과목, 교수 방법, 비대면 정보교류 등에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목 습득과정에서 문제해결력, 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책임감, 성실성 등이 향상되는데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PBL을 활용한 CAE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동의대 학교 자동차공학과 3학년 학생들의 1년 과정인 CAE 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1학기와 2학기에 실시한 설문조사의 답변을 분석하였다. 학기별 설문조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로 2학기의 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대면 정보교류와 팀 활동에 대한 평가에서는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교과목에 대한 지식습득, 자기주 도학습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의 개인 역량 제고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PBL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 제고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동의대학교 전 학과 대상의 3학년 이상 학생들에게 PBL이 적용된 포트폴리오 수업 제작 수업을 운영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 수업에 대한 평가, 팀 활동에 대한 평가, 역량향상에 대한 평가에 대한 설문 항목은 29개였으며, 28개 항목에서 4점 이상의 점수대를 나타냈고, ‘대체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이 10~16명에 이르는 등 수업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3D CAD 수업에서의 PBL 교수법'과 'PBL을 활용한 CAE 학습효과 에서 PBL 교수법'은 교과목의 지식습득과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력 등의 개인 역량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PBL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은 수업의 실효성 부분, 수업의 효과 그리고 팀 활동 효과, 역량향상 효과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세 연구 모두 연구의 대상이 제한적이고 통제집단이 없으며, 수업의 효과성도 설문조사 결과에 의한 단순 조사로 이루어져 한계가 있다. 앞으로 조사방법이 다양화되 고 구체화 되어, 특정 상황에 대한 종속 변인을 다양하게 접목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수업 개선을 위한 정량적 지표와 교과목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면에서는 교육적 함의가 있다. This study simultaneously studies the effects of PBL-applied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applied portfolio making classes on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nd competency enhancement, and the study subjects are all different. The research is 'Effect of PBL teaching method based on flipped learning in 3D CAD class', 'CAE learning effect using PBL', and 'Effect of portfolio making class applying PBL'. A study on the effect of 3D CAD class using flip-learning-based PBL on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nd competency enhancement is a 'vehicle CAD practice' subject to which flip-learning-based PBL is applied to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Automobile, Robotic Components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Implemented the class and analyzed the responses of the survey. Students were found to b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ubject, teaching method, and non-face-to-face information exchan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sponsibility, and sincerity in the course acquisition process. The study of the effect of CAE classes using PBL on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nd competency was conducted by applying PBL to the CAE class, a one-year course of 3rd yea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Engineering at Dong-Eui University, and using the answers of the surveys conduc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by semester, it was found that the second semester's class satis action was high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atis action was high in the evaluation of non-face-to-face information exchange and team activities. It was evalua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individual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To study the effect of portfolio making class applying PBL on acquisi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nhancing competenc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ortfolio class making class applied with PBL applied to students in their 3rd year or higher in all majors of Dong-Eui University. There were 29 questionnaire items for portfolio evaluation, class evaluation, team activity evaluation, and competency improvement evaluation, and 28 items showed a score of 4 or higher, with 'Mostly agree' and 'Strongly agree' '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sponded to ' was high, ranging from 10 to 16 students. In this study, the PBL teaching method based on flipped learning in the 3D CAD class and the CAE learning effect using PB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dividual competency improvement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the PBL teaching method. Portfolio making class applied with PBL class showed high satis action in the effectiveness of class, class effect, team activity class, and competency improvement effect, showing the effect of PBL class. However, all three studies have limited research subjects and no contro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is limited as they consist of a simple surve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n the future, as the research method is diversified and specifie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review it by combining various dependent variables for a specific situation, and it can be used as a quantitative indicator for future class improvement and basic data for course operation. It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 나는 (당신의) 눈만 봅니다 : 다큐멘터리 영화 프로덕션 노트

        마농, 라마니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작품은 연출자 본인이 동의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콘텐츠학과와 프랑스 국립 귀스타브 에펠 대학 (구 파리-에스트 대학) 웹문화기술대학원 간석사과정 복수학위 취득을 위해 연출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특히, 연출자 본인이 프랑스인 유학생으로서 경험하고 느낀 2020년 한 해의 기억을 영화적으로 재현하고자 하였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도시 교향곡’ 스타일의 실험 다큐멘터리와 일기 형식의 사적 다큐 에세이라는 두 가지 형식의 조합을 통해 영화적 형식 실험을 시도했다. 영상과 더불어 사운드적 실험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시점의 변주, 내레이션을 위한 표현 전략, 영상 및 이미지 결합 등 다양한 층위의 형식 실험을 통해 영화적 주제를 재현하고자 했다. 아방가르드 영화 거장 요나스 메카스와 다비드 페를로프의 영화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라는 객관적, 외부적 현상과 그에 관한 개인적 성찰이라는 주관성의 영역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확장되고 재현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 영화는 나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나의 기억들을 창조하기 위한 것이다. This work is my graduation film for obtention of Dual Master’s Degree between Department of Cinema & Audiovisual Contents of Graduate School at Dong-eui University and Master Cultures et Métiers du Web at Gustave Eiffel University (formerly Paris-Est Marne-la-Vallée University). In this documentary film, I attempted to recreate and represent my memories of the year 2020 I experienced and felt as a French student in Korea. In terms of formality, this film tried to experiment in cinematic form through a combination of two forms - an experimental documentary in the style of “City Symphony” and a personal documentary essay in the form of a diary. In addition, sou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subject of the film was recreated through various levels of formal experiments such as variation of viewpoint, expression strategy for narration, and combination of various layers of images. By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Jonas Mekas or even David Perlov, I wanted to open my diary and reveal my feelings about the year 2020. The objective and external phenomena of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the subjective sphere of personal introspection on it could be expanded and represented through the medium of film. It is a film to remember me but also to create my memories.

      • 국책 연구 센터의 운영과 발전 방안

        김아영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부산광역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고 기존의 주요 산업기반을 첨단 산업분야로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그 중 전자세라믹스 분야는 당시 첨단 산업분야인 생물 산업, 광산업, 신소재산업, 전자부품산업 중 생물 산업을 제외한 3대 산업 분야의 핵심 기술이다. 또 IT(정보통신)산업의 필수적인 소재 기술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이다. 당시 1999년 하반기부터 세계 최대 전자세라믹스 부품업체가 목표인 삼성전기 부산 사업장이 녹산 국가 산업 단지에 위치하고 있었고 관련업체들은 부산으로 이전 또는 신규 공자 설립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부산광역시의 전자세라믹스 관련분야 육성정책에 부응하기 위하여 전자세라믹스를 이용한 전자부품산업 혁신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전자세라믹스센터가 설립되어 국책사업을 진행하였다. 국책사업은 총 3가지로 지역협력연구센터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 지역기술혁신센터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 지역혁신센터 (Regional Innovation Center) 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국책사업을 통해 전자세라믹스센터는 많은 성과를 달성하였고 그러한 성과는 국가와 부산지역과 센터가 속해있는 동의대학교에 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국책사업을 진행했던 전자세라믹스센터의 결과를 살펴보고 이는 앞서 말했던 국가와 부산지역과 동의대학교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 센터를 운영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과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신규 센터 설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has made a lot of efforts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make the local industry more valuable and tried to turn the existing major industrial base into a high-tech industry. Among them, electronic ceramics w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three major industries, excluding biology, mining, new material technology for the IT(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and is a highly value-added field. At that time, Samsaung Electro-Mechanics Co., the world’s largest electronics parts maker, was located in Noksan Industrial Park, while related companies were relocated to Busan or newly established factorie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Busan Metropolitan or Government’s policy for promoting electronic ceramics related fileds, the Electronic Ceramic Center for Community Contribution was established and carried out a national project by establishing an innovative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y using electronic ceramics. A total of three national project were carried out: the Regional Research Center project, th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project, and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through these state-run projects, the Electronic Ceramics Center project, and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 국내 대학 실용음악 보컬 전공 교과과목 연구 분석

        김예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음악 보컬 전공에 초점을 맞추어 수도권에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경쟁률이 높은 8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 등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발전방안을 마련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 연구에 의한다. 먼저, 본론에서는 실용음악의 정의, 실용음악에서의 보컬의 역할, 실용음악 보컬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및 수도권 중심의 입시경쟁률이 높은 8개 대학(경희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명지전문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을 선정하여 각 대학의 교육목표 및 연혁,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보컬 전공에 해당하는 교과과목을 따로 분류해서 분석하였으며 실용음악 전공 교과과정의 외국 사례에 대해서도 연구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공별로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이 많지 않다. 둘째, 보컬을 포함한 타 전공에 해당하는 심화과정의 과목이 부족하다. 연구자는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전공별로 나누어 교과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앙상블과 합주실기, 즉흥연주기법과 같은 수업은 모든 전공의 학생들이 함께 듣는 것보다 각 전공별로 나누어서 듣게 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둘째, 심화과정 수업을 더 많이 개설한다. 보컬 전공 뿐만 아니라 타전공도 각 전공에 해당하는 심화과정을 다양하게 개설하여 기초과정부터 심화과정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가 실용음악을 더욱 발전시키고 전문적인 연주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들이 보다 더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교육과정 체계를 연구하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외국 사례로 버클리 음악대학의 교과과정을 살펴보았지만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자는 것이 아니다. 다만 서양에서의 실용음악이 먼저 발전되어왔으므로 오랜 기간동안 그들의 자리 잡은 안정적인 교과과정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실정과 각 대학의 실정에 맞게 개선을 해 나가자는 의미이며 앞으로도 실용음악 교육전반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 코카인 : 단편영화 프로덕션 노트

        Simon, Julien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작품은 동의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콘텐츠학과와 귀스타브 에펠 대학교(구 파리-에스트-마른-라-발레 대학교) 웹문화기술대학원 간 석사과정 복수학위 취득을 위해 연출한 졸업작품 영화이다. 이 영화에서 나는 내 마음에서 직접 떠오른 것을 재창조하고 표현하려고 시도했다. 내 목표는 내가 무언가를 볼 때 느끼는 것을 관객에게 보여주는 것이었다. 나는 많은 놀라운 아이디어, 내가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여러 장소들, 여러 앵글들, 놀라운 쇼트들을 보여주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나는 내 자신에게 도전하려고 노력했다. 아무것도 없이 시작했고, 올해 전까지는 카메라를 만진 적도 없었고, 시나리오도 쓴 적이 없었다. 하지만 아이디어가 떠올랐고, 그것을 만들었고, 자랑스러웠다. 이 영화를 보는 모든 사람이 나의 모든 것을 쏟아 넣은 나의 노고와 영혼을 느꼈으면 한다. 나는 평생 이렇게 많은 일을 한 적이 없었지만, 결국 그만한 가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 작품을 위해 도움을 준 많은 친구에게 고마은 마음을 전한다. 비교적 저렴한 카메라로 얼마나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지 정말 놀랍고, 더 많은 것을 해보고 싶어진다. This work is my graduation film for the obtention of a Dual Master’s Degree between the Department of Cinema & Audiovisual Contents of Graduate School at Dong-eui University and Master Cultures et Metiers du Web at Gustave Eiffel University (formerly Paris-Est Marne-la-Vallee University). In this film, I attempted to recreate and represent what came directly from my mind. My goal was to show to the audience what I feel when I see something. I tried my best to show many surprising ideas, different places that I think are beautiful, different angles, and surprising shots. I tried to challenge myself, I started with nothing, I never touched a camera before this year, never wrote a scenario. But I had ideas, then I made it, and felt proud. I wish that everyone who watch the movie will feel the hard-work and the soul that I putted in, because I putted everything in. I never worked so much in my entire life, but at the end I think it was worth it. Many friend helped me and I’m very thankful. It’s incredible what we can achieve with a relatively “cheap” camera and it makes me wanna to do more.

      • Dominick Argento의 연가곡 「Six Elizabethan Songs」에 대한 연구

        허지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원주민과 이민자에 의해 이루어진 미국이라는 사회에서 음악의 역사는 그다지 길지 않다. 그 중에서도 예술가곡이라 일컬을 수 있는 미국 가곡들은 겨우 19세기 중엽 이후부터 규칙적으로 작곡되어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 유럽에서 신대륙으로의 수많은 이민이 미국 음악문화의 기초를 만든 계기였으므로 초기의 미국 음악은 유럽 음악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더구나 가곡 작곡은 경제적인 보상이 있는 것도 아니었고 미국 성악가들이 유럽의 가곡들, 특별히 리트들을 부르는 것을 더 선호한 까닭에 대부분의 작곡가들이 가곡 문헌을 생산하는 데에 관심이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가곡이 그 자체의 고유한 영역으로 나오기까지는 거의 반세기가 걸렸다. 20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미국 작곡가들이 가곡 작곡으로 이끌렸고 미국의 예술가곡은 민속적인 양식을 바탕으로 발전하면서 유럽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게 되었다. 도미니크 아르젠토(Dominick Argento, b. 1927)는 미국의 가장 뛰어난 현대 작곡가들 가운데 하나로 서정적 오페라의 주도적인 작곡가이다. 그는 인간의 목소리에 대한 자신만의 심오한 철학과 집착으로 성악음악 작곡에 매진하였으며, 그의 엄청난 성악에 대한 지식을 증명해주듯 주요 작품들은 성악음악이다. 아르젠토의 작곡 스타일은 본질적으로 전통적인 것을 따랐으며 문학 작품에 대해서도 능통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품위있는 문장구조들은 그의 성악 라인과 완벽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Six Elizabethan Songs(엘리자베스 시대의 6개의 노래)」는 아르젠토의 작품 중 가장 인기있고 또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그의 두 번째 연가곡으로 1957년 작곡되었는데, 엘리자베스 시대의 다섯 명의 작가들에 의한 서정시를 가사로 사용하였다. 이 연가곡은 고전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음악 기법을 결합시킴으로써 양면성을 두루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해 볼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또한 성악가의 장점들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배려한 것 뿐 아니라, 피아니스트의 재치있고 능숙한 기교를 요구한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 이 곡은 두 가지 버전의 반주가 존재한다. 1957년 작곡 당시 피아노반주로 된 것과, 1962년 작곡가 본인이 직접 편곡한 바로크 앙상블반주가 그것이다. 앙상블 편곡은 플루트, 오보에, 바이올린, 첼로, 하프시코드로 구성되어있는데, 현재 출판되어 있지 않지만 2004년 발표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반주학과 김영인의 논문에 수록된 악보의 복사본과 2008년 발표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성악과 김하나의 논문에 수록된 악보의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연구하였음을 밝혀둔다. 가곡은 음악적인 요소를 분석하기에 앞서 가사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되므로, 각 곡의 분석에 앞서 시의 원문을 고전 문학 전집들의 번역을 참고로 개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시의 내용을 담아내는 성악 선율과 반주의 연계성을 연구하고, 또한 피아노와 앙상블 편곡 반주와의 비교를 통해 피아노로 반주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요소를 함께 파악하여 바람직한 연주를 하기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