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의대학교 재학 중국유학생 대학생활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연구

        오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4년 9월 한중문화교류협정이 체결되면서 한국과 중국 간 파견유학이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재한 중국 유학생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 현재 53,902명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전체 재한 외국인 유학생 85,193명의 60%를 넘는 수치로서 중국 유학생의 증가는 국가차원에서도 교육을 통한 국제 교류 강화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국 유학생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이들을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는데 실제로 한국의 대학에 입학하여 학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사례들도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현황을 알아보고 중국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Berry(2001)와 Sandhu & Asraba(1994)에 의해 검증된 문화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 변인을 근거로 각 변인들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부산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142명의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최종 수집된 127부의 설문지는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응 하위요인 중 통합을 높게 인식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충격 요인을 낮게 인식할수록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그리고 대학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하위요인인 통합과 동화와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개인적응, 대학만족도의 관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적 충격 요인에 의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통합과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차별감을 느끼지 않게끔 노력해야 되고, 문화충격요인 등을 감소 시켜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Dominick Argento의 연가곡 「Six Elizabethan Songs」에 대한 연구

        허지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원주민과 이민자에 의해 이루어진 미국이라는 사회에서 음악의 역사는 그다지 길지 않다. 그 중에서도 예술가곡이라 일컬을 수 있는 미국 가곡들은 겨우 19세기 중엽 이후부터 규칙적으로 작곡되어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 유럽에서 신대륙으로의 수많은 이민이 미국 음악문화의 기초를 만든 계기였으므로 초기의 미국 음악은 유럽 음악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더구나 가곡 작곡은 경제적인 보상이 있는 것도 아니었고 미국 성악가들이 유럽의 가곡들, 특별히 리트들을 부르는 것을 더 선호한 까닭에 대부분의 작곡가들이 가곡 문헌을 생산하는 데에 관심이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가곡이 그 자체의 고유한 영역으로 나오기까지는 거의 반세기가 걸렸다. 20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미국 작곡가들이 가곡 작곡으로 이끌렸고 미국의 예술가곡은 민속적인 양식을 바탕으로 발전하면서 유럽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게 되었다. 도미니크 아르젠토(Dominick Argento, b. 1927)는 미국의 가장 뛰어난 현대 작곡가들 가운데 하나로 서정적 오페라의 주도적인 작곡가이다. 그는 인간의 목소리에 대한 자신만의 심오한 철학과 집착으로 성악음악 작곡에 매진하였으며, 그의 엄청난 성악에 대한 지식을 증명해주듯 주요 작품들은 성악음악이다. 아르젠토의 작곡 스타일은 본질적으로 전통적인 것을 따랐으며 문학 작품에 대해서도 능통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품위있는 문장구조들은 그의 성악 라인과 완벽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Six Elizabethan Songs(엘리자베스 시대의 6개의 노래)」는 아르젠토의 작품 중 가장 인기있고 또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그의 두 번째 연가곡으로 1957년 작곡되었는데, 엘리자베스 시대의 다섯 명의 작가들에 의한 서정시를 가사로 사용하였다. 이 연가곡은 고전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음악 기법을 결합시킴으로써 양면성을 두루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해 볼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또한 성악가의 장점들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배려한 것 뿐 아니라, 피아니스트의 재치있고 능숙한 기교를 요구한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 이 곡은 두 가지 버전의 반주가 존재한다. 1957년 작곡 당시 피아노반주로 된 것과, 1962년 작곡가 본인이 직접 편곡한 바로크 앙상블반주가 그것이다. 앙상블 편곡은 플루트, 오보에, 바이올린, 첼로, 하프시코드로 구성되어있는데, 현재 출판되어 있지 않지만 2004년 발표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반주학과 김영인의 논문에 수록된 악보의 복사본과 2008년 발표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성악과 김하나의 논문에 수록된 악보의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연구하였음을 밝혀둔다. 가곡은 음악적인 요소를 분석하기에 앞서 가사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되므로, 각 곡의 분석에 앞서 시의 원문을 고전 문학 전집들의 번역을 참고로 개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시의 내용을 담아내는 성악 선율과 반주의 연계성을 연구하고, 또한 피아노와 앙상블 편곡 반주와의 비교를 통해 피아노로 반주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요소를 함께 파악하여 바람직한 연주를 하기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해보고자 한다.

      • 대학 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참여 의도, 학습 환경, 프로그램, 교육기관 내 관계를 중심으로

        안정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평생교육에 대한 수요증대는 평생교육기관의 증가로 이어졌고, 성인학습자가 가장 선호하는 대학 평생교육원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학 평생교육원은 다른 평생교육기관에 비해 인적ㆍ물적 교육자원이 풍부하며, 전문화된 프로그램이 많다. 더불어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외에 도서관을 포함한 기타 학교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학교를 개방함으로써 교육복지를 실현한다. 이러한 이유로 성인학습자들은 대학 평생교육원을 선호하여 왔다. 그러나 평생교육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른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도 다양화ㆍ특성화ㆍ전문화되면서 대학 평생교육원은 경쟁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평생교육원의 참여지속 및 재등록의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찾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다양한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평생교육기관의 참여지속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학습 환경, 프로그램, 교육기관 내 학습자의 관계와 대학 평생교육원 내 성인학습자의 참여의도 및 참여지속 행동의도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고, 부산 소재 4개의 대학 평생교육원에 400부를 배포하여 이 중 341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였고, 제시된 2개의 구조모형으로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평생교육원의 학습 환경, 프로그램, 교육기관 내 관계와 더불어 매개변수인 참여 의도는 종속변수인 참여지속 행동의도로 직접 이어질 때 즉,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를 1:1 관계로 관계를 볼 경우 모든 경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변수인 학습 환경, 프로그램, 교육기관 내 관계에 대한 매개변수인 참여 의도의 매개 효과는 없었다. 독립변수가 참여 의도를 매개로 참여지속 행동의도에 이르는 경로와 매개변수 없이 직접 이르는 경로를 모두 분석한 결과, 모든 독립 변수에서 참여 의도는 매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매개변수를 거지치 않고, 바로 종속변수로 가는 경로계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 평생교육원의 참여지속 행동의도로 이르는 핵심 경로는 프로그램 → 참여지속 행동의도임을 알 수 있다. 독립변수에서 참여지속 행동의도로 이르는 경로계수 중 큰 영향을 주는 순서대로 나열하면 1순위 프로그램 → 참여지속 행동의도, 2순위 학습 환경 → 참여지속 행동의도, 3순위 교육기관 내 관계 → 참여지속 행동의도와 같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 연구되어 왔던 대학 평생교육원 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 행동의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다시 한 번 증명하고,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 및 참여 의도의 매개효과 유무를 밝힘으로써 대학 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들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지속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도시유출 해석을 위한 시험유역의 개발과 수문시스템 구축

        김남길 東義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시험유역을 선정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모형의 검정을 통하여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시험 유역의 위치는 부산광역시 가야동 일대의 동의대학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시험유역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형 조사와 측량을 수행하여 시험유역의 면적과 불투수층면적등 소유역별재원를 조사·정리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수계도 작성하였다. 또한 수문자료의 수집을 위해 실측 우량자료는 1998년에 동의대학교 공과대학옆 공장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환경 모니터링장치(EMS)를 이용하였으며, 실측 수위자료는 2000년 6월에 동의대학교 시험유역의 최종 유출부 지점에 설치된 자동수위 관측계(AWS-DEU)〔Automatic Waterlevel Station - DongEui Univ.]를 통해 측정하였고, 실측유속자료는 최종방류구 지점에서 측정하여 수집·정리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최종유출지점에서의 유출량을 계산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Rating Curve)을 산정하였다. 또한 모형의 검정을 위해 2000년 6∼9월 사이의 실측강우자료를 토대로 6월 26일, 7월 14일, 8월 4일, 9월 16일을 event로 선정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실측유출량를 계산하였다. 위의 계산결과를 바탕으로 event별 실측유출량을 기준으로 RRL방법, ILLUDAS모형에 대한 총유출량, 첨두유출량과 도달시간으로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위의 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장차 본 연구에서 제외된 E유역를 포함한 유출 양상과 시험유역의 발전 양상에 따른 유출변화 양상등을 연구하는데 기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collecting basic data, by selecting a test basin and checking the application, through the model of verification of those data. The location of test basin is Dong-Eui University, Gaya Dong, Pusan, Korea. For the collecting of basic hydrologic data of test basin, topography inquiry and survey was conducted, and sub-basins data, such as areas of test basin and impervious layer, were arranged. On the basis of that result, a drainage pattern was drawn up, and for the collection of hydrological data such as the rainfall data and the water-level data-EMS, installed at Dong-Eui Univ. in 1998, and AWS-DEU(Automatic Water-level Station-Dong-Eui Univ), installed at the point of the end discharge an opening of test area, are in operation, and the measurable velocity data was collected and classified at the point of the end outflow an opening. Through those process, an discharge was calculated at the point of an outflow situation, and Rating curve was drawn up.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model, the collected rainfall data, logged at 6/26, 7/14, 8/4, 9/16, 2000 were picked out as events and using Rating curve, the discharge data was computed. The discharge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total runoff, peak discharge, and travel time using by RRL method and ILLUDAS model. By analyzing those proces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hase of the runoff variation caused by change of test basin, in the future.

      •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희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대학 및 대학 내 구성원들이 생산한 학술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축적, 관리, 장기 보존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것의 활성화를 위한 구축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해외의 실 운영 중인 리포지터리의 성공 사례들을 분석하여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실정에 맞는 구축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anking Web of World Repositories와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에 나타나 있는 순위 및 정보를 참조하여 국내ㆍ외 대학 기관리포지터리 13개에 대한 운영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각 사례는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운영 주체, 구축 소프트웨어, 구축 범위, 이용 범위 및 서비스, 저작권 정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성공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성공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운영 주체와 관련 기관간의 긴밀한 협력과 명확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운영 주체가 학술정보의 등록 및 메타데이터 입력, 협력 기관과의 중재자 역할, 이용자 커뮤니케이션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해야 하고 리포지터리의 운영을 돕고 있는 연구지원 부서나 학교 내 기타 기관에서는 긴밀한 업무 협조가 필요하다. 둘째, 대학 기관리포지터리 구축 시 국내 환경에 맞는 소프트웨어의 개발도 필요하지만 개발 비용 절감 및 상호 운용성의 장점이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 하는 것도 좋은 선택 방안이 될 수 있다. 셋째, 학술정보 콘텐츠 및 등록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대학에서는 기관 내 또는 기관 내 구성원에 의해 생산되는 연구 및 교육 관련 모든 자료를 학술정보로 인식 할 필요가 있고 학위논문, 학술논문 이외에도 회의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보고서, 강의 자료 등 다양한 학술정보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등록 대상자는 교수뿐만 아니라 연구원, 대학원생 등 잠재적 연구자를 대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넷째, 리포지터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술정보로의 자유로운 접근 및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로그인을 통해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복잡한 승인 절차나 단계를 생략해야하며 외부 접속자를 위해서도 자료 이용에 대한 규제를 폐지하거나 단순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RSS, WWW, URL, 전문적 검색 기능 등을 제공해야하고 홈페이지 언어는 자국어뿐만 아니라 영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한다. 부가적으로 이용자 통계 서비스, 등록 정보 알림 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섯째, 학술정보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자인 저자 및 연구자에게 저작권을 부여해야 하고 리포지터리 운영 주체는 학술정보를 재생산하고 배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기 위해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저작권법 및 자료 보안 기술을 적용하고 일부 출판사 및 학회가 가지고 있는 저작권을 위양 받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은 학술정보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생산된 학술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 보존하고 자유롭게 확대 이용시키기 위해서는 오픈 액세스를 기반으로 한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아직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은 초기 단계이지만 본 연구가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성공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대학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 설계에 관한 연구 : InterPARES 3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을 기반으로

        송유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오늘날 이메일은 조직의 업무수행 과정에서 의사소통과 정보교환을 위한 보편적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업무 용도로 이용되는 이메일 기록과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이메일 기록과 관련한 논의가 다수 진행된 바 있다. 이에 국외의 많은 대학 또한 이메일 기록관리에 관련한 정책이나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이메일 기록관리와 관련한 논의는 대부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이며, 대학의 사례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이메일 기록관리를 위한 지침을 설계하고자 InterPARES 3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의 방법과 절차를 조사·분석하였다. 보다 실질적인 모듈의 적용 절차를 살펴보고자 InterPARES 3 프로젝트의 테스트베드 사례를 분석하였고 종합한 결과를 바탕으로 D대학교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을 설계하는데 시범적으로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InterPARES는 ICA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와 공동으로 교육 실행계획인 디지털 기록의 방향: 디지털 보존의 주제를 개발하였다. 이 중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은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델의 설명을 목적으로 하며 설계 및 개발 절차를 위한 다섯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델의 이메일 맥락 식별 단계는 조직의 기록관리 원칙, 기술적인 능력, 법적 문제, 조직 문화 경향과 같은 맥락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는 이메일 관리와 보존을 위한 최선의 방법 결정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이전의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메일 관리 및 보존의 정책과 절차를 설계/수정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작성된 이메일 관리 및 보존의 정책과 절차를 구현한다. 본 연구는 보다 실질적인 적용 절차 및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InterPARES 3 프로젝트의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에 기반을 두고 있는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교, 빅토리아대학교, 사이먼 프레이저대학교의 사례연구 보고서, 웹사이트, 이메일 관리 지침 또한 검토하였다. 위에서 분석한 InterPARES 3의 이메일 관리 및 보존 모듈과 세 개 대학의 사례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범적으로 D대학교에 적용하여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을 설계하였다.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은 법률 및 지침, 이메일 보안, 이메일의 유형과 처리방법, 관리방법, 저장방법, 보존방법, 첨부파일, 이름 지정 규칙, 보존 및 폐기, 권장사항의 10개 요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을 설계함에 있어 국제적인 표준 모듈에서 명시하고 있는 방법과 절차를 분석하고 적용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즉, 본 논문에서 적용한 방법론은 대학을 비롯한 유사기관에서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을 설계하고자 할 때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본 논문을 통해 설계된 D대학교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은 D대학교와 유사한 성격이나 규모의 대학 및 조직에서 확대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계된 지침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반복적인 검증을 통해 수정해 나가는 InterPARES 3의 마지막인 구현단계까지는 수행하지 못하였다. 보다 견고한 대학의 이메일 기록관리 지침은 이러한 구현단계를 통해 가능해질 것이다. E-mail is recently used as a general tool for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in work processes of various organizations. Accordingly,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e-mail records and management used for business has been strengthened. There were have been conducted concerning e-mail records in Korea as well as overseas. Many overseas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and provided policies or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as well. In Korea, however, most discussion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e-mail records have been mainly conducted by public organizations and cases of discussions rarely have been conducted by universities. Thus, in order to design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of univers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ule suggested by the InterPARES 3 project. To search for the process of practical module appli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est-bed case of InterPARES 3 project and, based on overall results, applied them to the design of the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 of D university on a trial basis. InterPARES jointly developed a theme for educational initiative, ‘digital records pathways: topics in digital preserv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ICA).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ule in it intends to explain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el and includes five steps of design and development procedures. First, e-mail context identification step of the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el considers contextual factors such as record management principles of the organizati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legal iss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endencies. The next step decides on the best way to manage and preserve e-mail and designs/revises policies and procedures for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preceding step. The final step implements the policies and procedures for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prepared. In order to analyze more practical procedures and methods of application, this study also reviewed reports of case studies, websites and e-mail management guidelines of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niversity of Victoria, Simon Fraser University in Canada, which are based on the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ule of the InterPARES 3 project. Based on the E-mail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odule of InterPARES 3 analyzed above and the results of case studies of the 3 universities, this study designed the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 through trial application to D University. The management guidelines for e-mail record consist of ten elements: law and guidelines, e-mail security, types of emails and handling methods, management methods, saving methods, preservation methods, attached files, naming conventions, retention and disposition and recommend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analyzed and appli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stipulated by the international standard module in designing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at is,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referred to by similar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when designing guidelines for their e-mail records management. In addition, the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management of D university designed by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xtensively applied to universities and organizations with characteristics and sizes similar to those of D university. This study, however, could not perform through the implementation step of designed guidelines which is the final step of InterPARES 3 where designed guidelines are applied to the field in practice and are modified through repeated verifications. More robust and solid guidelines for e-mail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would be made possible through this implementation step.

      • 국책 연구 센터의 운영과 발전 방안

        김아영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부산광역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고 기존의 주요 산업기반을 첨단 산업분야로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그 중 전자세라믹스 분야는 당시 첨단 산업분야인 생물 산업, 광산업, 신소재산업, 전자부품산업 중 생물 산업을 제외한 3대 산업 분야의 핵심 기술이다. 또 IT(정보통신)산업의 필수적인 소재 기술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이다. 당시 1999년 하반기부터 세계 최대 전자세라믹스 부품업체가 목표인 삼성전기 부산 사업장이 녹산 국가 산업 단지에 위치하고 있었고 관련업체들은 부산으로 이전 또는 신규 공자 설립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부산광역시의 전자세라믹스 관련분야 육성정책에 부응하기 위하여 전자세라믹스를 이용한 전자부품산업 혁신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전자세라믹스센터가 설립되어 국책사업을 진행하였다. 국책사업은 총 3가지로 지역협력연구센터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 지역기술혁신센터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 지역혁신센터 (Regional Innovation Center) 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국책사업을 통해 전자세라믹스센터는 많은 성과를 달성하였고 그러한 성과는 국가와 부산지역과 센터가 속해있는 동의대학교에 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국책사업을 진행했던 전자세라믹스센터의 결과를 살펴보고 이는 앞서 말했던 국가와 부산지역과 동의대학교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 센터를 운영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과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신규 센터 설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has made a lot of efforts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make the local industry more valuable and tried to turn the existing major industrial base into a high-tech industry. Among them, electronic ceramics w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three major industries, excluding biology, mining, new material technology for the IT(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and is a highly value-added field. At that time, Samsaung Electro-Mechanics Co., the world’s largest electronics parts maker, was located in Noksan Industrial Park, while related companies were relocated to Busan or newly established factorie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Busan Metropolitan or Government’s policy for promoting electronic ceramics related fileds, the Electronic Ceramic Center for Community Contribution was established and carried out a national project by establishing an innovative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y using electronic ceramics. A total of three national project were carried out: the Regional Research Center project, th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project, and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through these state-run projects, the Electronic Ceramics Center project, and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하원정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편입생이 편입과정에서 느끼는 다양한 경험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 편입생의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대학 편입생이 편입과정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 과정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지 6개월 이내인 남·여 대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방법을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문헌고찰, 심층면담, 분석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의 절차를 거쳐 패러다임 모형과 정형화된 이론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에서는 연구 참여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분석과정을 거쳐 77개 개념, 35개 하위범주, 14개 범주로 나누었다. 둘째, 축 코딩에서는 개방코딩에서 구성한 14개의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에 재배열하였다. 셋째, 선택 코딩에서는 축 코딩의 절차에서 구성한 범주와 내용을 중심으로 ‘편입 전’, ‘편입 준비’, ‘편입 후’의 일련의 시간 흐름에 따라 나타냈다. 또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의 유형으로 ‘원하는 전공으로 편입 성공형’과 ‘학위를 높여 편입 성공형’으로 나누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이 편입을 고려하게 되는 동기와 편입을 준비하는 과정, 편입을 성공한 이후 대학생활까지 일련의 시간 순으로 연구 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학 편입생들의 편입 동기를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다양하게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들이 편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보 부족, 많은 공부의 양으로 인해 외로움과 소외감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편입시험에 합격하고 편입에 성공한다는 것을 밝힌 것에 의미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들이 Gottfredson(1981)의 ‘제한-타협 이 론’을 바탕으로 전적대학을 포기하고 타협을 경험하여 편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제한을 경험한다는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이정희 외(2018)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을 바탕으로 개개인별로 탐색하였고 어려움이 있었지만 극복하여 잘 적응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및 의의를 바탕으로 종합하여 향후 과제를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소수의 학생들의 경험을 통해 자료를 구성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적 범위를 넓혀 대학생활적응 경험 탐색을 통한 고등교육기회 확대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사편입을 경험한 대학 편입생을 대상으로 미비하여 추수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학 편입생을 추가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따라서 추수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자료를 추가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넷째, 본 연구의 심층면담 질문지가 대학 편입생의 경험을 일련의 시간 순으로 이루어졌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편입 전과 편입 후의 경험을 분리하여 어느 시점에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등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는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제도와 정보제공의 역할을 기대하였지만, 체계적인 지침이 부재하여 실제적 활용에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학교 및 학과 차원의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ous experiences transfer students in college have in the transfer process, and to explore what college transfer students should do to successfully adjust themselves to new college life.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do transfer students experience in the transfer process? (2) How do college transfer students adjust themselves to the lives of new schools? This study used in-depth interviews to 9 respondents who were attending 4-year university, or who were less than 6 months after graduating from such a university. This stud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Adopting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1998), this study built a paradigm model and stylized theory through the procedure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pening coding,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to 9 participants were under continuous and repetitive analyses, and classified them into 77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Second, 14 categories constituted in open coding were rearranged in the paradigm model. Third, in selective coding, the categories and contents of them constituted by the procedures of axial coding were expressed by the flow of time: 'before transfer', 'preparation for transfer', and 'after transfer'. In addition, the typ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of college transfer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type of students who succeeded in transferring to the majors they wanted' and 'the type of students who succeeded in moving up to higher degrees'. Finally,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analyzed individual experiences of interview participants in the time order from the motivation to consider transfer, preparation for transfer, to college life after being transferred to new schools.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motivating them to consider transferr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preparing for transfer, while those students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like loneliness and sense of alienation, they feel happy when they are accepted in new universities. Plus, based on the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theory of Gottfredson (1981), this study could offer the evidence that they forgive previous school, experience compromise, and select and maintain transfer. It also explored the degrees of adjustments of college transfer students to new schools using the scale offered by Lee, Jeong-hee et al. (2018), and found out that they could overcome difficulties and adjust themselves to new school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nd discussions, this study want to suggest the followings for future studies. First, this study created data from interviews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better to expand the number of interviewees in more diverse regions to know their experiences of adjusting to new schools. Second, this study only dealt with students who transferred to get bachelor's degree.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desirable to include various types of transfer students. Third, interviewees in this study narrated their experiences in time flows.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desirable to add some sources which allow researchers to objectify interviewees. Forth, the questionnaire of the in-depth interview allowed interviewer to ask interviewees to narrate their experiences in temporal order.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desirable to separate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ransfer, and ask interviewees what they specifically experienced in each stage. Finally, while this study wishes that the findings will serve as the basic source to establish policies or institutions for transfer students, the use of them can be limited because they were created without systemic guideline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upporting systmes should be prepared in the levels of university and department.

      • 대학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 설계

        배주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secure an organization’s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and long-term preservation. And yet, in small-to-medium-sized organizations lik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it is not easy to operate the system because of system installation costs and various internal/external circumstances. Thus, this study would introduce a shared drive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that can be utilized when an organization would systematically manage records produced in the organization, design and present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records management.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ses of the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overseas records management and reviewe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review the limitations of the utilization of the shared drive for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designed the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reviews on the shared drive, this study investigated preceding studies at home and abroad and assessed the concept and types of the shared drive and the fields of its utilization through them. Unlike overseas, in South Korea, there are few cases of the utilization of the shared drive for records management, but it was noted that leading institutions in foreign countries utilized the shared drive as an alternative to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theoretically reviewe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understood that there might be major limitations in security and audit trail when the shared drive would be use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in advance. Moreover, to design the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records management in foreign universities using the shared drive. The cases of York University, Canada; Curtin University, Australia; and the University of Wisconsin, the U.S, a case of public institution United Nations and a case in Tasmania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were 16 main components of the guidelines: ‘responsibility’, ‘access and security’, ‘disposal’, ‘education’, ‘file renaming’, ‘shared drive structure’, ‘file plan’, ‘existing or legacy data’, ‘monitoring’, ‘inventory category setting’, ‘folder and sub-folder mapping in CRS’, ‘maintenance’, ‘searching and browsing’, ‘email management’, ‘migr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rules.’ Of them, excluding the items that each institution applied suitably for its individual circumstances, including ‘folder and sub-folder mapping in CRS’, ‘existing or legacy data’, ‘setting up inventory category’ and ‘maintenance,’ 12 remaining items were drawn as the main components of the design of the guidelines. Especiall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that might occur when the shared drive would be utilized in records management, as assessed in the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this study designed the items, ‘disposal’, ‘access and security’, ‘searching and browsing’ and ‘email management,’ supplementing them as the items related to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in the guidelines designed in this study, the 12 main components consisted 24 sub-items of ‘responsibility’; 13 of ‘disposal’; eight of ‘access and security’, ‘shared drive structure’ and ‘file plan’ each; 17 ‘file renaming’; six of ‘information management rules’; three of ‘education’; two of ‘monitoring’; seven of ‘searching and browsing’; five of ‘email management’ and lastly, four of ‘migration.’ The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 useful reference when the shared drive would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to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the basis for the transfer of archives without difficulty can be prepared by managing the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temporarily but systematically, which may be neglected due to the absence of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when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would be introduced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e shared drive is not a system optimized for records management, it cannot completely substitute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apparently, there would be technical limitations in preserving archives for a long time, maintaining the reliability, integrity, authenticity and availability of them. 조직의 체계적인 기록물 관리와 장기적인 보존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 도입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과 같이 중소규모의 조직에서는 시스템 도입 비용과 다양한 내외부적인 상황으로 인해 시스템 운용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하지 못한 국내의 대학이, 조직 내 생산되는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대안 기술로 공유드라이브를 소개하고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을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국외의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 사례를 조사・분석하였고 그러한 활용의 한계를 검토하기 위해 전자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을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과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유드라이브에 대한 이론적, 기술적 검토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공유드라이브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활용 분야를 파악하였다. 국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활용 사례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지만 국외 유수 기관들에서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대안으로 공유드라이브를 활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요건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기록물 관리 분야에서 공유드라이브를 활용할시, 보안과 감사증적에 주요한 한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사전에 파악하였다. 그리고 대학의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을 설계하기 위해 국외의 공유드라이브를 이용한 대학의 기록물 관리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대상으로는 캐나다 요크 대학교(York University), 호주 커틴 대학교(Curtin University),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와 추가로 공공기관인 유엔(United Nation)과 타즈매니아 주정부(Tasmania)의 사례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이드라인의 주요 구성항목은 ‘책임’, ‘접근 및 보안’, ‘처분’, ‘교육’, ‘파일 명 변경’, ‘공유드라이브 구조’, ‘파일 계획’, ‘기존 또는 레거시 데이터’, ‘모니터링’, ‘인벤토리 범주 설정’, ‘폴더 및 하위폴더를 CRS에 매핑’, ‘유지’, ‘검색 및 탐색’, ‘이메일 관리’, ‘마이그레이션’, ‘정보관리 규정’의 16개로 나타났다. 이 중 각 기관이 개별적인 상황에 맞게 적용시킨 항목인 ‘폴더 및 하위 폴더를 CRS에 매핑’, ‘기존 또는 레거시 데이터’, ‘인벤토리 범주 설정’, ‘유지’를 제외한 나머지 12개의 항목을 가이드라인 설계의 주요 구성항목으로 도출하였다. 특히 이론적 검토 및 사례분석에서 파악된 공유드라이브를 기록물 관리에 활용할시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처분’, ‘접근 및 보안’, ‘검색 및 탐색’, 그리고 ‘이메일 관리’ 항목은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요건의 관련된 항목들로 보완하여 설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이드라인은 12개 주요 구성항목에, ‘책임’은 24개, ‘처분’은 13개, ‘접근 및 보안’, ‘공유드라이브 구조’, 그리고 ‘파일 계획’은 각 8개, ‘파일 명 변경’은 17개, ‘정보관리 규정’은 6개, ‘교육’은 3개, ‘모니터링’은 2개, ‘검색 및 탐색’은 7개, ‘이메일 관리’는 5개, 마지막으로 ‘마이그레이션’은 4개의 세부항목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대학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은 전자기록관리시스템 대안으로 공유드라이브를 활용하고자 할 때 유용한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전자기록관리시스템 부재로 인해 방치되고 있을 대학 기록물 관리를 임시적이겠지만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추후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할 시 기록물들을 어렵지 않게 이관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공유드라이브는 기록물 관리에 최적화된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완전히 대신할 수 없고 기록물의 신뢰성, 무결성, 진본성 및 이용가능성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존하기에는 분명히 기술적 한계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