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간 칫솔 교육이 초등학생의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이하나

        이하나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치간 칫솔 교육이 초등학생의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 M초등학교와 C초등학교를 편의 선정하여 6학년 학생 총 50명으로 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이였다. 사전 조사는 2012년 11월 16일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게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2012년 11월 19일부터 12월 10일까지 1주 간격으로 1회에 20분씩 총 3회의 치간 칫솔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치간 칫솔 교육을 받으면서 총 3주동안 하루 3번씩 치간 칫솔질을 하도록 체크리스트를 주어 체크하게 하였다. 치간 칫솔 교육에 사용한 수업 자료들은 Shin(2011), Jho(2009), Kim(2003)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치간 칫솔 사용 방법 및 관리 방법 등의 내용으로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사후 조사는 2012년 12월 16일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사전· 사후 조사는 점심 식사 후 잇솔질 직후에 바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x²-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 검정을 한 결과 두 군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의 동질성 검정을 한 결과 두 군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3. 치간 칫솔 교육이란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에 양치질 횟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양치질 횟수의 동질성 검정을 한 결과 두 군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4. 치간 칫솔 교육 후 치간 칫솔 사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에게 3주동 안 하루 3번씩 총 63번의 치간 칫솔질 횟수를 체크 한 결과 실험군의 치간 칫 솔질은 3주동안 최소 60회에서 최대 63회를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간 칫솔질 의 이행률을 분석한 결과 총 63회중 95.23%의 이행률은 보인 학생은 실험군에 서 12%, 96.82%의 이행률을 보인 학생은 8%, 98.41%의 이행률을 보인 학생은 4%, 100%의 이행률을 보인 학생은 73%로 나타났다. 5. 제 1가설 검정 ‘치간 칫솔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치면 세균막 지수가 감소 할 것 이다.’ 는 치간 칫솔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실험 전, 후의 치면 세 균막 지수 차이가 유의하게 더 크게 감소하여(t=5.78, p=.000) 지지되었다. 6. 제 2가설 검정 ‘치간 칫솔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취 정도가 감소 할 것이다’.는 치간 칫솔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실험 전, 후의 구취 정도 차이가 유의하게 더 크게 감소하여 (t=4.49, p=.000)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제공된 치간 칫솔 교육은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er dental brush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ntal plque index and degree of halitosis. The study was performed 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6, 2012 to September 16, 2012.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50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ere25 students foam M elementary school in Gangwon-do D city. and The control group were 25 students foam C elementary school in Gangwon-do D city. Which was similar to M elementary school in general characteristics;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inter dental brush education, which were progressed 20-minute times per week for 3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periment, the two group were compared by dental plaque index, degree of halitosis for two times; pre-test, post- test in one week after education. Both Pre-test and post-test a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lunch and brushing one's teeth.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done by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x²-test, t-test , using a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5). 2. Homogeneity test of dental plaque index and degree of halitosi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efore the treatmen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5). 3. Homogeneity test of the check number of brushing one's teeth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5) The check number of brushing one's teeth was used to prevent from acting variable. 4.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participated in inter dental brush education would have lower dental plaque index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5.78, p=.000). 5.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participated in inter dental brush education would have lower degree of halitosi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4.49, p=.000).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nter dental brush education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dental plaque index and degree of halitosi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DHD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 부적응 행동에 관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이하나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ADHD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소아 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받은 B시에 거주하는 만 7세의 초등학교 1학년 남아를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아동의 학교 부적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M발달연구소 미술치료실에서 주 1회~2회 50분간 총 34회기가 개인 미술치료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위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김아영(1997)이 Bandura의 효능이론을 근거로 개발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대상 아동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후 자기효능감 검사와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객관적 검사인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 List : K-CBCL)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투사검사인 집-나무-사람검사(HTP),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적용 전·후 심리 상태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진행과정에서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서술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부모, 교사관찰기록을 통해 프로그램 전·후 아동의 행동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아동의 학교 부적응 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아동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ADHD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켜 학교적응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단일사례이므로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화하여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과 내용 분석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관점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조손가정 아동의 적응유연성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이하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손가정 아동의 적응유연성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지방(충북)의 사회복지관과 초등학교 4곳의 5,6학년 아동 총 68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적응유연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대처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조손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보다 적응유연성(부정적 감정 인내, 자기효능감, 통제력, 긍정적 지지)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조손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교사지지를 높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손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가족지지와 친구지지를 상대적으로 낮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손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보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 추구적인 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고, 공격적인 대처행동과 소극적인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들의 관계에 대한 결과 조손가정 아동의 적응유연성은 친구지지와 가족지지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적응유연성은 소극적인 대처행동과 공격적인 대처행동 및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행동에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조손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적극적인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 및 사회적 지지추구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조손가정 아동의 적응유연성과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조손가정 아동은 긍정적 지지와 자발성이 높을수록 친구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인 감정인내와 통제력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소극적인 대처행동, 사회적 지지추구 행동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손가정 아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조손가정 아동의 치료적 개입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조손가정 아동을 위한 예방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아동의 적응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e study object was a total of 686 persons of fifth and sixth-year students at a social welfare center and 4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Chungbuk Province.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and technological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If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i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between children of skipped-generation families and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showed lower resilience(patience of negative emotion, self-efficacy, control and positive support) than the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Also, it appeared that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re getting high support of a teacher than the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and it appeared that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re getting relatively lower family and friends support than the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And it appeared that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use action seeking social support in a stress situation more than the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and use aggressive and negative coping behaviors more than the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Second, as a result of relations between factors, the resilience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friends support and family support, and the resil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negative coping action, aggressive coping action and coping action for seeking social support.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sitive coping action and aggressive coping action & social support seeking.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influence of betwee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it appeared that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sense friends support highly as their positive support and spontaneity get higher. Also, it appeared that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use positive coping action as their negative emotion endurance and control get higher, and it appeared that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use negative coping action and action for seeking social support as their self-efficacy gets lower. The present study suggested valuable materials giving a help in therapeutic involvement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by clarifying relationships of between factors enhancing understanding about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nd affecting resilience. Also, the present study has a meaning in a point that the importance of a preventive program for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is suggested and basic materials of adaptability improvement program's development of the children are provided.

      • Leroy Anderson의 음악을 활용한 유아 음악 감상 지도방안 : 만 5세 유아를 중심으로

        이하나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 현장에서 일하는 음악전문 강사인 본 연구자가 유 아에게 효과적인 음악 감상 지도방법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제시 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는 유아들이 음악의 표제성 및 움직임을 유발하거나 반복성을 지닌 음악곡들에 많은 호기심을 보이며 즐겁게 참여하는 존재라는 특성을 인지한 가운데 연구자가 특별히 유아들의 음악활동에 활기를 불어넣 기에 효과적인 음악으로 작곡가 Leroy Anderson의 음악을 많이 사용하여 왔 음에 착안하여 Leroy Anderson의 음악을 활용하여 유아들을 위한 음악 감상 지도방안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현장의 교사들에게 바람직한 음악 감상의 기 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Leroy Anderson의 음악을 활용한 효과적인 유아 음악 감상의 지도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연구자는 준비단계로서 유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되짚어보고 유아 음악 감상 지도와 관련하여 유아들과의 효과적인 음악 감상을 위한 지도방안 및 활동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기초로 Leroy Anderson의 음악의 특성을 분류하고 구체적인 수업 안의 구성을 위해 지도방안의 목적 및 목표, 그리고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과 평가의 체계를 지닌 효과적인 유아 음악 감상의 지도 방안을 구성하였다. 특별히 Leroy Anderson의 음악을 활용한 유아 음악 감상을 위한 지도방안 의 구체적인 교수전략으로 특정한 목적 없이 단순히 배경음악으로만 막연하 게 듣게 하거나 음악의 작곡가나 작품의 배경 등과 같이 음악의 배경지식을 가르치던 기존의 감상활동에서 벗어나 말 리듬과 노래 부르기를 활용해 주제 멜로디 속에 이야기의 흐름을 통하여 유아들이 음악을 더욱 집중하고 효율적 으로 들을 수 있도록 도우며 놀이, 신체표현, 악기연주, 소품을 이용한 활동 등으로 확장하여 음악을 감상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유아가 여러 음악의 요 소를 경험하고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고 음 악을 생활화 하는 것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지도방안으로 표출된 교육적 효과는 비록 타당한 수준의 실험 검 증을 거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유아에게 음악 감상은 주변에서 들리는 다양한 소리를 그냥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주의 깊게 듣는 기술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함으로 음악 을 경청하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eroy Anderson의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수업으로 주제 멜로디에 이야기 식으로 접근하여 친숙하게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였고 말 리듬, 게임, 신체표현을 통해 음악을 감상하며 유아가 다소 복잡한 리듬도 어려워 하지 않고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셋째, Leroy Anderson의 음악을 그 주제에 맞게 이야기를 설정하고 노래 부르기, 게임하기, 신체표현하기, 소품활동하기 등의 활동을 했을 때에 좀 더 흥미를 가지고 소리를 듣고 경청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그룹으로 이루어진 음악활동을 통하여 유아는 음악 감상을 즐거운 놀이로 받아들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또래와 함께 노래하고 활동하 는 일을 소중하고 즐거운 일이라 여기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Leroy Anderson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곡가들의 음악들 또한 유아들의 수준에서 음악을 듣고, 지각하며, 음악의 효과를 느끼고, 반응 하고, 이해하고, 즐기는 음악적 경험을 통해 심미적인 경험을 축적해 나갈 수 있는 효율적인 음악 감상 지도방안으로 모색되어지기를 기대해본다.

      • 미용계열 여고생의 가치관에 따른 외모 추구혜택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하나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in the age of information, female students are easily exposed to beauty management and behavior which were supposed to be known to adult women on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ept this kind of social change and build an environment in which adolescents are allowed to engage in these beauty-related activitie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ppearance benefits sought by high school girls with a cosmetology-related major on beauty behavior by their values. This study is aimed to establish guidelines and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rational appearance management and beauty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with a cosmetology-related major, expand the beauty market for consume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appearance benefits sought as well as beauty behavior by their values. First, according to an analysis on beauty behavior factors by appearance benefits sought by values, the values included physical, self-esteem, relation-oriented, practical, and pleasure-oriented values while appearance benefits sought included sociality, self-development, expression of personality, and social awareness. In addition, beauty behavior included cosmetic behavior, skin care, and hair care.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value factors by group, they were divided into the practical group, social achievement group, and material ostentation group. According to an analysis on differences among the appearance benefits sought by value group, sociality and self-display were the highest among the appearance benefits sought in the social achievement group. In the practical group, sociality and self-display were the lowest. In the material ostentation group, personality was the lowest. Four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differences among beauty behavior by value group, all beauty behavior factors (body shape management, cosmetic behavior, skin care, and hair care) were high in the social achievement group. In the material ostentation group, skin care was the lowest. In the practical group, body shape management and hair care were the lowest. Fifth, when the effects of the appearance benefits sought on beauty behavior in the social achievement group were examined, the appearance benefits sought had an effect on self-display in cosmetic behavior and on self-display and personality in hair car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appearance benefits sought on beauty behavior in the material ostentation group, in terms of the effects of appearance benefits sought on body weight management, they had an effect on sociality in beauty behavior, social awareness in cosmetic behavior, and self-display in skin care.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appearance benefits sought on beauty behavior in the practical group, self-display factors had an effect on cosmetic behavior and skin care among beauty behavior factors. In hair care, self-display and personality were influential.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appearance benefits sought by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cosmetology. In modern times, beauty behavior—which was meant to be known to adult women only—has been exposed to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there should be a study on beauty-related information and narcissism amongst adolescents in the era of smart technology. It is hoped that a further study will be perform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situations and inner and outer beauty through appearance values. 미용계열 여고생의 가치관에 따른 외모추구혜택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청소년들은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성인 여성들에게만 해당되던 뷰티에 관한 관리와 행동들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접하게 된다. 급격한 사회변화에 맞게 청소년들도 아름다워지려는 욕망을 신분에 맞게 개성을 강조하면서 자연스럽게 뷰티행동을 꾸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용계열 여고생의 가치관에 따른 외모 추구혜택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여고생의 가치관 집단별에 따른 외모 추구혜택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계열 여고생의 합리적인 외모관리나 뷰티행동에 관련된 지침, 시사점을 마련하고 미용계열 여고생의 가치관에 따라 외모추구혜택, 뷰티행동의 실태를 조사하여 소비자를 위한 뷰티 시장 확대와 마케팅 전략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첫째, 가치관에 따른 외모 추구혜택이 뷰티행동의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치관은 물질주의 가치, 자아존중 가치, 관계지향 가치, 실리주의 가치, 즐거움지향의 가치. 외모 추구혜택은 사회성, 자기개발, 개성표현, 타인의식. 뷰티행동은 체중관리, 화장 행동, 피부 관리, 헤어관리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가치관 요인을 집단으로 유형한 결과- 실용주의 집단, 사회성취 집단, 물질적 과시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셋째, 가치관집단별 외모 추구혜택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사회성취 집단에서는 외모 추구혜택 중 사회성과 자기과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용주의 집단에서는 사회성과 자기과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물질적 과시집단에서는 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가치관집단별 뷰티행동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사회성취 집단에서는 뷰티행동요인인 체형관리, 화장행동, 피부 관리, 헤어관리가 다 높게 나타났다. 물질적 과시 집단에서는 피부 관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실용주의 집단에서는 체형관리, 헤어관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성취 집단의 외모 추구혜택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보면, 외모 추구혜택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자기과시, 헤어관리에서는 자기과시와 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적 과시집단의 외모 추구 혜택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보면, 외모 추구혜택이 뷰티행동 요인 중 체중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사회성, 화장행동에서는 타인의식, 피부 관리에서는 자기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주의 집단의 외모추구 혜택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보면, 뷰티행동 요인 중 화장행동, 피부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자기과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헤어관리에서는 자기과시와 개성이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미용 여고생의 가치관에 따른 외모 추구혜택이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인 여성들만의 뷰티산업으로 여겨졌던 뷰티행동이 현대사회에선 점차 10대 여성 청소년들에게로 관심이 옮겨왔다. 특히 스마트한 시대에 발맞춰 청소년들에게 뷰티와 관련된 정보와 매개체가 자기애성향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외모가치관을 통해 심리적 상황, 내 외적의 미를 추구하는데 더 이해할 수 있는 연구가 모색되길 바라는 바이다.

      • The Effect of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eligibility change in 2014 on working poor's labor market outcomes

        이하나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 of the policy change in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eligibility in 2014 on the beneficiaries’ labor market outcomes. To this end, Waves 5-14 (2009-2018)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data are used to conduct a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ITC achieved its new policy objectives put forward in the program revision in 2014. In the full sampl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getting a job by 8.68%p and the annual working hours by 264.5 hours after the policy expansion and revision. Overall, the policy change in 2014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ITC beneficiaries. However, this study finds mixed effects depending on different specifications. Among female beneficiaries, the policy change in EITC eligi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annual working days and hours. Among male beneficiaries,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daily working hours, their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 소셜 미디어에서 선택적 정보 이용의 정치적 효과에 관한 연구 : 통합적 정치커뮤니케이션 모형의 제안

        이하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 이용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선택적 정보 이용을 선택적 노출과 교차 노출, 선택적 회피로 구분한 뒤 세 가지 선택적 정보 이용의 정치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는 선택적 정보 이용이 어떠한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선택적 정보 이용이 개인의 정치적 태도와 부정적 감정, 나아가 정치적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선택적 정보 이용의 원인과 결과를 아우르는 통합적 정치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제안하고자 했다. 먼저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정보 이용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선택적 정보 이용의 선행 요인으로 네트워크 특성과 정보 다양성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셜 미디어 친구들과의 정치적·사회적 동질성과 네트워크 규모는 선택적 정보 이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용자가 소셜 미디어에서 우연히 접할 수 있는 정보의 다양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선택적 정보 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는 SNS 뉴스피드나 카카오톡 채팅방을 통해 소셜 미디어 친구로부터 내용적으로 풍부한 정보와 함께 이슈에 대한 찬성과 반대 의견 중 일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선택적 정보 이용이 이루어지는 구조적·환경적 요인으로 네트워크 특성(네트워크 동질성, 네트워크 규모)과 함께 정보 환경의 다양성(뉴스 다양성, 의견 균형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세 가지 선택적 정보 이용이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정치적 태도나 부정적 감정, 나아가 정치적 참여 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선택적 노출이나 선택적 회피와 같은 확증 편향적 정보 이용과 함께 이견에 대한 노출이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태도 극단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편 소셜 미디어에서 정치 정보의 공유를 통해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이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선택적 정보 이용이 특정 이슈에 대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분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선택적 정보 이용은 정치적 태도나 분노 이외에 정치적 참여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태도 극단성과 분노를 통해 간접적으로 정치적 참여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정치적 참여 행동을 소셜 미디어 활동, 온라인 정치 참여, 오프라인 정치 참여로 구분하고 세 가지 선택적 정보 이용이 미치는 직접 효과와 태도와 분노를 경유한 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소셜 미디어에서 이루어지는 선택적 정보 이용 과정이 이용자의 개인내적(intrapersonal) 특성인 이슈 관여도와 이념 극단성, 관용과 이용자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들의 조절효과에 대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개인내적 특성은 확증 편향적 정보 이용이나 이견에 대한 수용과 관련이 있는 개인의 고유한 특성으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적 특성이 선택적 정보 이용에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검토해 보고자 했다. 이와 같은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만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선택적 정보 이용의 정치적 효과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나 이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SNS와 카카오톡 이용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이슈(‘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이슈,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의 방역 대책’ 이슈)와 관련된 정보 이용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종류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이슈를 이용해(2 매체 X 2 이슈) 총 4개의 케이스를 구성한 뒤, 각 케이스의 분석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다중 매개효과 분석, 다집단 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케이스에서 네트워크 특성 중 네트워크 동질성은 뉴스 다양성을 매개해 선택적 노출과 교차 노출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선택적 회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음으로 태도에 대한 선택적 노출의 긍정적인 영향과 교차 노출의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 활동과 온라인 정치 참여에 대한 선택적 노출의 긍정적인 영향과 모든 정치적 참여 행동에 대한 선택적 회피의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태도 극단성과 분노 중에서는 이슈에 대한 분노만이 소셜 미디어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슈와 매체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정파적 이슈인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이슈와 관련 있는 케이스에서 의견 균형성은 교차 노출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선택적 노출은 분노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비정파적 이슈이자 공중보건 이슈인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의 방역 대책’ 이슈와 관련된 케이스에서 의견 균형성은 선택적 회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교차 노출은 분노와 오프라인 정치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SNS에 한하여 의견 균형성에 대한 네트워크 동질성의 부정적인 영향, 선택적 회피에 대한 네트워크 규모의 긍정적인 영향이 발견되었다. 다음으로 조절 효과에 대해 보면, 이슈 관여도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이슈 관련 케이스에서 네트워크 동질성과 교차 노출의 관계를 조절하였고, 카카오톡 관련 케이스에서 선택적 회피와 온라인/오프라인 정치 참여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 극단성은 정파적 이슈 관련 케이스에서 교차 노출과 태도의 관계를 조절하였고, 관용은 SNS 관련 케이스에서 뉴스 다양성과 선택적 노출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령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이슈 관련 케이스에서 선택적 노출과 교차 노출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 효과가 있었으며, SNS 관련 케이스에서 선택적 회피와 소셜 미디어 활동의 관계에 조절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개인이 속해 있는 소셜 미디어의 네트워크 특성과 네트워크로부터 비롯되는 정보 다양성, 그리고 정보 이용 이후 행동과 같은 반응이 일어나기 이전 단계에서 형성되는 이용자 개인의 태도 및 분노, 나아가 행동으로 드러나는 정치적 참여에 이르기까지 선택적 정보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 간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동안의 선택적 정보 이용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덜 강조되었던 이용자의 네트워크 특성이 지닌 의미에 대해 확인하였다. 네트워크 동질성은 언제나 뉴스 다양성을 매개해 선택적 노출과 교차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또한 정보 다양성 역시 선택적 정보 이용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하며, 특히 교차 노출에 있어 의견 균형성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했다. 정치 참여와 관련하여 전체 케이스에서 공통적으로 정치 참여 행동을 예측하는 것은 선택적 노출이나 선택적 회피와 같은 확증 편향적 정보 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슈 관여도, 이념 극단성, 관용, 연령이 소셜 미디어의 선택적 정보 이용 과정에서 서로 다른 경로에 조절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이론적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본문에 서술하였다. Social media users selectively use information from the media that is consistent with their political views to reduce cognitive dissonance through defensive avoidance. They also experience cross-exposure to political information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ir views because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ective use of political information on social media and aimed to explore the political effects of three types of selective use of information: selective exposure, cross-exposure, and selective avoidance. First, we looked at network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diversity as predictors of the use of selective information since it takes place within the social media networks. Social media users receive political news and opinions on political issues from their friends' newsfeeds on social media platforms or messenger rooms. Therefore, the diversity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such as news diversity and balanced viewpoints, along with network characteristics such as network homogeneity and network size as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selective use of information by social media users were considered. This study validated the direct effects of the political and social homogeneity of social media friends and network size on the selective use of informatio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on diversity that users might unintentionally encounter on social media. Furthermore, the study assumed that selective use of information affects not only political attitudes and negative emotions of social media users but also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Use of information by selective exposure or selective avoidance based on confirmation bias can further strengthen the individual's attitude, whereas cross-exposure can weaken the intensity of the attitude toward the issue.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selective use of information affects users' feelings of anger toward issues because sharing political information on social media can spread negative feelings. Moreover, it ca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attitudes and anger on issues. Political participation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ocial media activities,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t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selective information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their attitude and feelings of anger. Moreover, the moderated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ideological extremity, issue involvement, tolerance, and age, on selective information use and political influence on social media were also analyz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n online survey of adults aged 20-60 year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elective use of information and political views varied depending on the media platform or issues, we asked users of Kakao Talk and SNS whether they had used information on two specific issues: one political and one health-related. With these two issues and the two social media platforms, we had a total of four cases to examine. To examine the full structural model of integrated political communic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also conducted multiple mediation, multi-group,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four cases network homogeneity had an indirect impact on selective exposure and cross-exposure through news diversity, and a direct impact on selective avoidance.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selective exposure and negative effects of cross-exposure on attitudes. Selective exposure positively affected social media activities and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elective avoidance also positively affected political participation. Only attitude and anger had a positive impact on social media activities. The difference between issues and social media platforms are as follows: In the political issue (issue 1), balanced viewpoi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ross-exposure, and in the health-related issue (issue 2) balanced viewpoint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ective avoidance. Moreover, for issue 1, selective exposure had a positive effect on anger, and for issue 2 cross-exposure had a positive effect on anger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Finally, the negative impact of network homogeneity on balanced viewpoints and the positive impact of network size on selective avoidance were found only in cases related to SNS. As for the moderating effect, issue involv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homogeneity and cross-exposure in the case of issue 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ve avoidance and online/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case of Kakao Talk. Moreover, ideological extrem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oss-exposure and attitude in the case of issue 1, and toler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ws diversity and selective exposure in the case of SNS. Finally, age moderated the effect of selective and cross-exposure on anger in case of issue 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ve avoidance and social media activity in the case of SNS. The study is useful as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s that individuals are exposed to, the information diversity provided from network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involved in the use of selective information, ranging from user attitudes and anger to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recognized the role of networks based on the use of information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Although network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effects on information diversity and selective use of information depending on media, network homogeneit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selective and cross-exposure by mediating news diversity regardless of media or issue. It is noteworthy that the balanced viewpoints have an impact on exposure to different opinion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mediation effects of anger, depending on the type of issue.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ssue engagement, ideological extremity, tolerance, and age have different moderating effec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프랭크 게리(Frank Gehry)작품을 중심으로

        이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Deconstruction is a theory which rejects the closed world for getting over structuralism limitation and pursues the opened world. Formal order, to enforce the existing reality of the trend of the world, there is no pretense that sort of criticism began as a form of civilization is an exercise class. This deconstruction has been debated since 1960 so far, it is a strong powerful cultural theory in various fields such as painting, architecture, and fashion. This deconstruction has been debated since 1960 so far, it is a strong powerful cultural theory in various fields such as painting, architecture, and fashion. In this study, as reflected in architectural design and fashion design, architecture and fashion deconstructive tendencies were described,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design shown in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architecture and fashion deconstruction deconstructionism deconstructionist conception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to apply for fashion design is significant to the design. In addition to the typical fashion of deconstructionist architect for the reinterpretation of the relative lack of research deconstruction of Frank Gehry's architectural aesthetic of fashion design, aims to capitalize on. Architecture and fashion have a connection in esthetic modeling activity for human. Even though they are also artificial arts what human made, they cannot be existed from the reality and are one of ways to show about life culture and spirit in that time. In this study, architecture and fashion such a study based on the formalization of the linkage seongyiraneun generally atypical, rather than a building, mass fragmentation, three-dimensional spatial configuration, such deconstructivism jungcheopseo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ing was to use in fashion design. There are some results from the research about fashion design applied to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econstruction architecture First, the study showed various clothing expression applied to formative and physical beauty in deconstruction architecture Second, I could know that I can recreate fashion to express the inventive design and the deconstruction formative beauty of Frank Gehry known well as deconstruction author. Third, I had help in applying to subjective fashion design grafted with deconstruction fashion expression way and utilizing Deconstructivism plasticity atypical, fragmentation of the mass, incompleteness, jungcheopseong, three-dimensional spatial configuration by searching the authors’ worlds of subjective works who are tried to show their expressions through some examples about deconstruction architecture. 해체주의는 구조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닫힌 세계를 거부하고 열린 세계를 추구하는 데리다 이론이다. 정형적 질서를 강요하는 기존의 경향을 현실성이 없는 가식의 세계라고 비판하면서 시작된 일종의 반 문명 양식운동이다. 해체주의는1960대 이후 논의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회화, 건축, 패션 등 여러 분야에 있어 강렬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문화 이론이다. 건축과 패션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미적 조형 활동이란 관점에서 연계성을 가진다. 또한 인간이 만들어 낸 인위적인 예술이지만 현실을 떠나 존재할 수 없고 그 시대의 생활문화와 정신을 잘 나타내는 수단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디자인과 패션디자인에 반영된 해체적 성향을 알아본 후 건축과 패션 디자인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동시대적 상황에 나타난 해체주의 건축과 패션의 해체주의 개념을 정립하고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패션 디자인의 표현 모티브로서 활용하고자 함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랭크 게리의 해체적 건축의 조형성을 분석 연구하여 패션에 있어서 건축적 해체주의의 접목과 그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한 자료를 바탕으로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첫째로 해체주의 건축에 관한 고찰을 한다. 해체주의 건축에 관한 고찰로는 해체주의 건축의 개념 및 등장배경을 알아보고 해체주의 건축과 작가에 대한 조사와 분석하였다. 또한 프랭크 게리 건축의 특징과 프랭크 게리의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성을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둘째로는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에 대한 고찰로 해체주의 패션의 발생과 전개와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의 유형 및 특징을 조사 분석 하였다. 또한 해체주의 경향의 현대 패션디자인의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정형화 된 건축 보다는 비정형적, 매스파편화, 탈구 성, 탈 중력, 중첩 성,미완성, 전위, 이접적 표현, 미완성, 등의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성과 특성을 패션디자인에 응용 하여 총 8점의 작품을 제작 하였다.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체주의 건축에 나타나는 독특한 형태미는 패션디자인의 풍부한 표현 모티브가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성, 즉(비정형성, 매스의 파편화, 탈구 성, 탈구 성 전위, 이접적 표현, 미완성, 중첩 성을 패션에 있어서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요소를 제공해 줌으로서 패션디자인의 표현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해체적 특징의 하나인 이질적 소재의 사용은 유사 색의 저 채도 색조로 색채 조정한 결과 통일된 조화로움과 고급스러움을 표출 시킬 수 있었다. 넷째. 프랭크 게리의 해체적 특징 중 매스의 파편화의 응용(각 쉘의분해)과 이접적 표현을 옷의 패턴의 해체와 위치, 방향의 치환을 통해 재구성 함으로 서 패션디자인의 다르게 보이기 효과(자유로운 형태창출)로의 응용이 가능함을 제시해 주었다. 다섯째. 프랭크 게리 작품의 미완성적 특징을 옷의 안감과 겉감을 구분 없이 사용하고 스티치 선을 노출하고 원단의 마감처리를 하지 않음으로써 열린 사고를 통해 패션디자인의 탈 구성적인 효과와 자유로운 형태를 창출 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섯째. 프랭크 게리의 중첩성의 특징과 비정형성을 기본형의 머슬린에 주름을 잡아 비틀림, 변형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을 자유롭게 얹어서 만들어진 형태를 통하여 프랭크 게리의 우연성과 연감의 창조적 디자인 개념을 패션디자인에서 표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건축과 패션의 연계성이라는 일반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해체주의 건축의 형태적 특징을 패션디자인으로 재해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표적인 해체주의 건축가들 중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프랭크 게리의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적인 요소를 패션에 다양한 접근과 기법을 통해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제시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1950∼60년대 ‘대한민국’의 문화재건과 영화 서사

        이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examines how the Republic of Korea (ROK) in the 1950s and 1960s formed its own identity through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nation-state and how this narrative was utilized as the central factor in creating narratives in the ROK's cinema. This dissertation pursued the following research themes. First, the keyword of the 1950s and 1960s was 'reconstruction' (jaeg.n) and I examine the actual meaning of the word as well as its use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ROK. Second, the narrative tropes and governmental policies surrounding the cinema are analyzed in terms of how the framework of cultural reconstruction (munhwa jaegun) supported national reconstructionby harnessing culture as an active force of this change. Third, the roles and contents of films in enlightening the people and serving as an instrument of propaganda are examined - within the overall direction of national reconstruction- by analyzing propaganda films (mounhwa younghwa) made directly by the state. Finally, the wide range of narratives within popular films ( Daejung younghwa) is analyzed for their support as well as their critique of the governmental agenda to advance national reconstru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above, this dissertation has reached the followingconclusions. First, although the ROK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clam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government, its identity was not determined from its inception but rather,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ROK was gradually formed through the very process of reconstruction. Specifically, theROK's national identity was eventually determined through the symbol of a modern, capitalistic ROK encompassing a national territory limited to the southern half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ncluded only the people in the South. The ideas of reconstruction were determined by the four narratives of 'the nation' (minjok), 'anti-communism,' 'capitalism,' and 'the people' (gukmin). These four narratives were present in the cinema in a dynamic manner that at times worked harmoniously in support of reconstruction while at other times worked against each other to question reconstruction altogether. Second, culture was swept into the overall goals of national reconstruction and within the framework of cultural reconstruction, the enlightenment and propaganda aspects of the cinema were emphasized. In rebuilding the film industry, the government promoted domestically produced films to stabilize the structural soundness of the film industry. More importantly, the state used censorship,penalties, and rewards to harmonize cinematic narratives and content to support the themes of national reconstruction. Third, the state directly produced films as well as choosing or rewarding privately produced films to utilize the instrumental value of the cinema. For example, munhway.nghwa, films directly produced by the state, repeatedly displayed symbols of the nation like the national land (gukt'o), then ational flag (gukki), the national anthem (kukka), and the national flower (gukhwa). These symbols were used as the four main narratives although emphasis on particular themes varied according to the period. Fourth, historical dramas and 'anti-communist films' (bangong younghwa) were, in popular film form, answers to the questions of 'who are 'we'?' and 'who are 'the others'?' -- central questions that determined the makeup of the new ROK's national identity. In many historical dramas, the ideas of 'the nation' (minjok) and 'anti-communism' (bangong) were fused together in the narrative. Nevertheless, there were many instances when the concepts of the nation and anti-communism created contradictions and frictions within a film's narrative. The exemplary films of this period and this dynamic were the films that while harmonizing with the state's agenda simultaneously could be read as equally contradicting the stte's very agenda. Finally, the identity-forming questions of “what do we want?' and 'what do we want to become?' were explored in film narratives dealing with the reappearance of everyday life and the reformation of subjectivity. Through these films, the fervent desires of the masses ( daejung) for an escape from poverty or to attain economic independence were described at times in terms of adaptability or at other times in terms of limitations or boundaries. This range of narrative choices confirmed the people's complex feelings and ambivalence toward capitalism. The masses were repeatedly depicted as modern, awakened, and anidealized people (gukmin) that reconstructed their families and the national community (gukka gongdongch'e) by pursuing economic independence and modernization in line with the goals of the nation. Within this narrative, one can also read the existence of wandering and drifting individuals who were out of step with the state as well as citizens who practiced passive resistance. Within cultural reconstruction directed toward national reconstruction, films had a special place in mass culture and the use of the symbol of the state could be seen through the form of 'narrative' (story). The symbols that appeared in films reflected what the state wanted to exhibit and what the people wanted to see. For this reason, a close examination of the period through films will not only show the reality but also the desires and aims of the people in the period as well. The anxieties of the state and the desires of the masses were at times in harmony but at times conflicted. This complicated process appeared most clearly through the mass medium of the cinema. The dual character of mass culture between the internalization of the system and the indirect expression of the resistance were represented in the film narratives of the ROK throughout the 1950s and 1960s. The leadership of the intellectuals championed the enlightenment and education of the people in the 1950s but these tasks were monopolized by the state in the 1960s. Numerous possibilities were precluded and 'National Reconstruction' was accelerated. Through the 1960s, and the proclaimed end to national reconstruction in the late 1960s, films became increasingly standardized and rigid. The films that described the greatest existential desires of the individual, however, reflected the feelings of the masses to break away from the state. The reason why reconstruction eventually resulted in statism and dictatorship lies in the absence of a 'democracy' that protects political freedoms and ensured economic justice -- the very essence of the people's desires and definition of 'democracy.' If we question the nature of the reconstructed ROK, then this period stands as the age that prepared the nation for the next step where mass culture and narratives of resistance aiming at democracy and reunification became the dominant narrative concern. 이 논문은 1950~60년대 대한민국이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국가의 ‘재건’ 과정으로 파악하고, 이를 구성하는 담론들이 어떻게 영화의 서사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몇가지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1950~60년대를 관통하고 있는 키워드로서 ‘재건’이 가진 실질적인 의미, 곧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재건을 문화면에서 혹은 문화적으로 지지한다는 의미의 문화재건의 맥락에서 당시 영화를 둘러싼 담론과 정책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국가가 직접 생산한 문화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의 재건 방향 속에서 영화가 對국민 계몽과 선전의 도구로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그 내용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넷째, 상업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대중영화에 나타난 국가의 재건 방향을 영화 서사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대중영화의 지향이 국가를 재건하고자 하는 정부나 권력의 지향과 때로는 일치하기도 하고 때로는 어긋나기도 하는 역동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몇가지 결론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헌법의 공포와 정부의 수립으로 건설된 대한민국은 처음부터 정체성이 확고했다기 보다는 일련의 재건 과정을 통해 점차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나갔으며, 한반도 남쪽을 국토로 하고 남쪽 주민들만을 국민으로 하는 근대자본주의국가인 대한민국의 像이 점차 구축되어 갔다. 이때 재건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민족’, ‘반공’, ‘자본주의’, ‘국민’의 네가지 담론으로서 이들은 때로는 결합하기도 하고 때로는 모순을 일으키고 갈등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양상이 서사와 이미지를 통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이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둘째,문화를 국가 재건의 지향에 발맞추어 재구축하는 문화재건의 맥락에서 영화의 계몽성과 선전성이 강조되었으며, 영화재건은 국산영화를 진흥하고 영화산업을 안정화시키는 구조적 재건과 검열과 처벌, 그리고 보상을 통해 영화의 내용을 재건방향에 일치시키려는 서사의 재건, 두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셋째, 국가는 영화를 직접 생산하거나 상업영화에 선 택과 보상을 가함으로써 영화의 도구적 가치를 활용하고자 했으며, 특히 국가가 직접 생산한 문화영화는 國土, 國旗, 國歌, 國花 등 국가를 표상하는 상징물을 빈번하게 노출함과 동시에 위의 네가지 담론을 주요 테마로 하면서도 시기별로 강조점을 달리하여 생산되었다. 넷째, 역사극과 ‘반공영화’는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각각 ‘우리는 누구인가’와 ‘우리가 아닌 것은 누구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대중영화의 화답이라 할 수 있다. 많은 역사극에서 ‘민족’과 ‘반공’의 결합 서사가 나타나는 반면에, 오히려 ‘반공영화’에서는 ‘민족’과 ‘반공’이 서로 모순과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가장 체제 친화적으로 보이는 영화가 때로는 가장 反체제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다섯째, 정체성을 구성하는 주요한 축인 ‘우리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혹은 ‘우리는 무엇이 되고 싶은가’와 관련한 서사를 일상성의 재현과 주체 재건에 관한 영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빈곤탈출, 경제자립에 대한 대중의 열망과 동시에 때로는 적응해야 하는 대상으로 때로는 경계의 대상으로 묘사되었던 자본주의에 대한 대중의 복합감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중들이 근대적으로 각성된 모범적 국민으로 거듭남으로써 가족 및 국가 공동체를 재건하고 나아가 경제자립과 근대화를 이루려는 국가의 욕망과 함께 이러한 국가에 부적응하고 방황하며 아직은 표류하고 있는 개인들, 소극적이나마 저항의 가능성을 갖고 있었던 시민의 존재를 읽을 수 있었다.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가 재건과 궤를 같이 하는 문화재건, 그 중에서도 당시 대중문화의 총아라 할 수 있는 영화가 ‘이야기’라는 형식을 통해 어떻게 국가의 像을 그려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영화에서 드러나는 표상들은 국가가 보여주고 싶어하는 것과 대중이 보고 싶은 것 모두를 반영하기 때문에 영화를 통한 시대상의 규명은 그 시대의 현실뿐만 아니라 욕망과 지향을 모두 드러낸다. 곧 국가의 욕망과 대중의 열망이 때로는 일치하기도 하고 때로는 어긋나기도 하는 복잡다단한 과정을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것이 영화라는 대중매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체제의 내면화 과정으로서의 대중문화와 저항의 간접 표출로서의 대중문화라는 대중문화의 두가지 성격은 1950~60년대 대한민국을 표상하는 영화의 서사에도 그대로 관철되고 있다. 1950년대 국민 계몽과 교육의 주체였던 지식인들의 리더쉽이 1960년대에는 국가에 의해 전유됨으로써 다양한 가능성들이 차단당하고 국가의 재건은 일관된 방향으로 가속화되었다. 재건의 완성을 선포한 1960년대 말로 갈수록 영화는 정형화, 경직화되는 양상을 보이거나 개인의 실존적 고민이 극대화되어 묘사되는데, 이는 국가로부터 이탈한 대중 의 심성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재건의 완성이 결국 국가주의와 독재로 귀결되고 마는 것은 국가의 재건 방향에 대중이 열망하는 주요한 요소, 곧 정치적 자유와 경제적 평등이라는 ‘민주주의’의 요소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이 시기는 재건된 ‘대한민국’에 의문을 제기하며 민주주의와 통일을 지향하는 저항의 담론과 대중문화가 표출되기 시작하는 다음 시기를 예비하는 열망의 시대였다.

      • 항공사 고객의 불량행동이 객실승무원의 감정고갈, 서비스 사보타주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조절변수로

        이하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the negative perception of some social leaders and customers' dysfunctional behavior has been publicized and mass-produced, resulting in the term "Abuse of power", which refers to unfair retaliation by customers. In the past, the management policy of Korean service companies, which cried "Customers are the king," put the priority of service direction as "maximizing the customer's needs" and the customer-first policy close to "unconditional" It was a driving force. However, this kind of corporate policy presupposes the neglect of the personalities and rights of the service workers. And the voice of the self-reflection is rising with the social interest and rights of 'The weak'. Among them, the cabin crew, who is selected as the first rank in the emotional labor occupation, experiences considerable emotional exhaustion due to the culture of 'Korean crew' who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ervice workers and accepts the necessary requirements. Due to the nature of work, airline cabin crews who work in a special cabin environment with limited space and time, irregular schedule have high levels of job stress due to emotional labor to meet customer needs. Although the influence of 'Abuse of power' influenced by emotional workers has a great effect on job stress and emotional depletion, the study of the effects of customer bad behavior and the emotional labor of cabin crew has been carried out by few scholars.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bad behavior and emotional lab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reduce the intensity of emotional exhaustion caused by bad behavior of customer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bin crews to improve their own control ability. In other words, if an empirical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powerment is presented in relation to customer bad behavior and emotional exhaustion,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drawn to reduce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emotional depletion felt by the airline cabin crew due to customer bad behavior, and if it is verified whether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given to the cabin crew can be controlled, do. Also, we tr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cabin crew by checking whether service sabota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affected by emotional exhaus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hypotheses wer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sample of the study was analyzed by 360 flight attendants of domestic and overseas airline cabin crews, and analyz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bad behavior and emotional exhaus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ustomer bad behavior, rude behavior, neglected attitude, rude behavior of insulting language and insulting languag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The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because the neglect attitude, which is one of the three sub - factors of customer bad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for emotional exhaustion. Second, as a result of emotional exhaustion and service sabotage influence, emotional exhaustion, cynicism, decrease of occupational efficacy among the thre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exhaustion were not significant for service sabotage, The hypothesis 2 was partially adopted because it was proved that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decrease of occupational 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service sabotage. Third, as a result of emotional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motional exhaustion, job - efficacy decrease, and cynicism were significantly (+) affected by three sub - factors of emotional exhaustion. Fourth, hypothesis that customer bad behavior had a differe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ccording to psychological empowerment level showed that emotional exhaus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ly among sub - factors of emotional exhaustio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s of bad behavior of airline customers on the feeling of exhaustion of cabin crew, service sabotage,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sychological factor management of service employees And suggests the need for emotional worker 's emotional protection. 최근 일부 사회 지도층과 고객의 비상식적인 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공 론화되고 양산되며, 이에 정당하지 못한 고객의 보복행위를 일컫는 ‘갑질’이라는 용어가 탄생했다. 과거 ‘고객은 왕이다’를 외쳤던 우리나라 서비스 기업의 경영방 침은 ‘고객의 니즈를 최대한 맞추는 것’을 서비스 방향의 최우선에 두었고, ‘무조 건’에 가까운 고객우선방침은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의 질을 높이는 큰 원동력이 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업 방침은 결국 서비스 노동자의 인격과 권리를 등한 시한 것을 전제했으며, 이는 일부 비양심적인 고객에게 ‘갑질을 해야 대접 받는 다’라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주는 결과를 낳았고, 이로 인한 기업의 피해사례 또한 늘어났고, 이에 ‘을’의 인격과 권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자성의 목소리 또 한 높아지고 있다. 그 중 감정노동 직업 1순위로 뽑힌 항공기 객실승무원은 대표 적인 서비스직의 하나로, 웬만한 요구 사항은 들어주는 ‘한국형 승무원’ 문화로 인해 상당한 감정 소진을 경험한다. 업무 특성상 불규칙한 생활과 제한된 공간·시 간이라는 특수한 기내환경에서 근무하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은 고객의 욕구를 충 족시키기 위한 감정노동으로 인해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이 높다. 감정노동자가 느끼는 ‘갑’의 횡포는 직무스트레스와 감정고갈에 큰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이나 고객불량행동과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몇몇 학자들에 의한 소수 연구만이 진행되고 있어 아직까지 미미한 편이므로 따라서 고객불량행동과 감정노동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고객의 불량행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고갈의 강도를 줄일 수 있는 요소를 파 악하고, 이를 통해 객실승무원이 스스로의 통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에 대한 제공도 필요하다. 즉, 고객불량행동과 감정고갈 관계에서 임파워먼 트의 조절효과에 대한 실증연구가 제시된다면, 감정노동의 강도를 줄일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불량행동으로 인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느끼는 감정 고갈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객실승무원에게 주어진 심리적 임파 워먼트가 조절역할을 할 수 있는지의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한 연구의 의의가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감정고갈로 인해 서비스사보타주와 조직몰입이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여, 객실승무원의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연구 의 표본은 국내외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는 총 360부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다 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고객불량행동과 감정고갈의 영향관계 검증결과, 고객불량행동의 하위요인 중 무례한 행동, 무시하는 태도, 모욕적인 언어 중 무례한 행동과 모욕적인 언어 는 감정고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객불량행동의 3개 하위요인 중 하나인 무시하는 태도는 감정고갈에 대한 유의성이 확보되지 않 아 가설 1은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감정고갈과 서비스 사보타주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감정고갈의 3개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 냉소주의, 직업 효능감 감소 중 직업효능감 감소는 서비 스 사보타주에 대한 유의성이 확보되지 않았고, 정서적 고갈과 직업 효능감 감소 는 서비스 사보타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2는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감정고갈과 조직몰입의 영향관계에 대한 검증 결과, 감정고갈의 3개 하위 요인인 정서적 고갈, 직업 효능감 감소, 냉소주의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라 고객불량행동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 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에서 감정고갈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고갈에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사 고객의 불량행동이 객실승무원의 감정고갈, 서비스 사보타주, 조직몰입,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 고 있고, 서비스 종사원의 심리적 요인관리에 대한 기업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감정노동자의 감성보호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