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외계층 학습자 대상 초등 영어 음운 인식 및 어휘 지도

        서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소외계층 학습자들의 언어적 환경의 부족은 언어 경험의 부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는 언어 읽기의 기초 과제인 음운 인식 능력 부족 및 어휘력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소외계층 학습자들의 영어학습의 현황을 파악하고, 어휘 지도 시 학습자들의 영어능력 향상과 정의적 영역의 발달 양상을 탐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한다: 1. 소외계층의 학습자들과 다른 학습자들의 실제 영어 교육 격차 현황은 어떠한가? 2. 소외계층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 지도 시, 학습자들의 음운 인식 능력, 어휘 능력, 영어 학업 성취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3. 소외계층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 지도 시,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변화는 어떠한가? 4. 소외계층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 지도 시, 학습자들의 교수 학습 양상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초등영어 학습자 중 교육복지대상 학습자 22명을 대상으로 어휘 수업을 실시하였다. 어휘 학습은 매주 2차시 수업으로 실시하였고 14주간 28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현황은 심층 면담과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음운 인식 평가, 어휘 평가, 학업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각 평가의 내용은 통계 분석 및 내용 분석을 하였다. 질적 분석으로 설문조사 자유 응답과 교사일지, 관찰 일지, 심층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소외계층의 학습자의 영어 학습 시간, 학습 유형은 개인별로 달랐으나 대체로 영어 학습 시간, 유형의 다양성이 많이 부족했다. 다른 학습자들에 비해 영어 학습 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이다. 또한 영어 격차는 경제적 취약계층 학습자들 간에도 존재하였다. 소외계층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 지도 시 학습자들의 음운 인식 능력 및 영어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어휘력 향상에 대한 효과는 높지 않았다. 특히 개념이 추상적이고 철자가 어려운 단어의 경우 학습자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느꼈다. 소외계층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 프로그램의 투입으로 인해 영어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의 큰 변화는 없었다. 이후 긍정적인 영어 수업 경험이 계속 누적될 경우 이들의 언어 학습에 대한 흥미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소외계층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 지도의 교수 학습 양상은 가정 및 개인 특성에 따라 학습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기초 어휘력이 부족하고 학습 결손이 있는 학습자들이 있었다. 또한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고 자신감이 매우 부족하였다. 이 같은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초 어휘 지도 및 음운 인식 지도와 같은 영어교사의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담임교사, 다른 학습자 등의 다른 주체들과의 협력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소외계층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현황 및 환경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관심을 높이고 심화되고 있는 영어 교육 격차에 대한 문제의식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을 위한 음운 인식 및 어휘 수업을 강조한 공교육 강화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영어 격차를 줄이며 보다 내실 있는 영어 공교육 현장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underprivileged students have insufficient materials and a poor language environment that leads to a shortage of language experience. Also, the insufficient language experience is not a proper environment to boost their phonemic awareness and vocabulary acquisition. According to these circumstances, the underprivileged students need help to improve their vocabul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w SES students’ language environment, their improvements in vocabulary, and English proficiency through deliberate vocabulary teaching. The current study also examines their attitude changes toward English during their vocabulary learning. The questions addressed by this research are stated as follow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privileged students’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2. By teaching vocabulary for underprivileg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hat improvements are made in phonemic awareness, vocabulary, and English proficiency? 3. In teaching vocabulary for underprivileg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how much change is there in the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4.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for the underprivileged students? The study involved 22 underprivileged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Students participated in two vocabulary classes in a week during regular English classes. The research project lasted for 14 weeks for 28 sessions in total. These data were collected: Phonemic awareness pre- and post-tests, vocabulary pre- and post-tests, English proficiency pre- and post-test, pre- and post-surveys about affective aspects, a teacher’s journal, a teacher’s observation log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The phonemic awareness tests, vocabulary tests, English proficiency test results, and closed survey item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open survey items, interviews, the teacher’s journal, and the teacher’s observation log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ee major findings were drawn based on the data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underprivileged students have short English studying time and limited studying methods. They do not have any better conditions than other students. The English learning gap exists among low SES students. Second, deliberate vocabulary teaching for the students showed positive improvements in post phonemic awareness tests and English proficiency tes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tests of vocabulary. Third,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is dependent on personal traits and home traits. Some subjects don't have basic vocabulary, enough language experience, proper social skills, and have weak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To overcome these barriers, these were applied: teaching basic vocabulary, focus on phonemic awareness, cooperation with homeroom teachers, peer teaching, and proper seating. This study encourages the English educational field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English divide regarding underprivileged students and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It can also influence the teachers and policy makers to develop ways to enhance public English education proficiency.

      • 인천 도서지역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박정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국 문 요 약 인천 도서지역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박 정 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정 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낙후된 영어교육 환경과 다양한 영어체험 기회의 부재 속에 살고 있는 도서지역 중학생들의 영어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현재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인천시 내의 도시지역과 도서지역 간의 학력격차 현상을 해소하고자, 인천 도시지역 중등 영어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학교선정기준의 등급에서 교육환경 및 생활환경이 가장 취약한 지역임을 뜻하는 가지역에 속한 백령중학교ㆍ대청중학교ㆍ연평중학교를 선정해 인천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와 각 학교의 웹사이트를 통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각 중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가 백령중학교에서 4주간 학교현장실습을 하며 도서지역 교사와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고, 도서지역의 중학교 및 교육환경을 직접 관찰하였다. 아울러 지역 간의 교육격차 및 학력격차 요인을 보다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인천시의 도시지역 중 연수구ㆍ부평구ㆍ남동구의 중학교 각 한 곳씩 세 곳을 선정해 동일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천 도서지역의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을 결론적으로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 3단계로 나눠 수준별 영어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도시지역 중학교들과 달리 도서지역의 중학교는 교실 수급, 교사 수 등의 문제로 인해 수준별 영어수업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영어수업 및 영어학습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도서지역 학생들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학습방법 연구와 개선방안이 절실하다고 판단되었다. 2) 도서지역에의 가정 내 영어교육과 학교 밖 영어교육 환경은 도시지역에 비해 매우 열악하며 큰 격차를 갖고 있었다. 게다가 모든 도서지역 학생들은 밤 9시 또는 9시 30분까지 학교에 남아 야간 자기주도학습을 하지만 이 역시도 체계적이거나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도서지역의 학교에서는 대부분의 방과 후 수업과 야간 자기주도학습의 감독까지도 모두 수업교사가 하고 있어 도서지역 교사들의 업무 과중도 염려되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야간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이용하여 외부 영어강사 영입을 통한 보다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영어학습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수업교사들의 업무 과중을 해결해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새로운 학습 방법과 분위기를 접하게 하여 영어학습에 대한 새로운 자극과 동기를 주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당국과 지자체의 영어전문인력 유인정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3) 셋째, 원어민 영어수업에서의 도서지역 간 격차 역시 해결해야할 문제였다. 다른 두 중학교에 비해 학생 수가 비교적 더 많은 백령중학교 학생들은 절반만이 원어민 영어수업을 받고 있는 데 반해, 대청중학교와 연평중학교의 모든 학생들은 일주일에 적어도 2번, 많은 경우 3번 이상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도서지역의 영어교육을 위한 인력을 파견할 시에는 먼저 도서지역 중학교의 규모와 학생 수를 고려해야할 것이다. 또한 교통편과 생활환경이 도시지역에 비해 매우 열악한 도서지역으로 영어전문 인력이 원활한 생활을 하며 영어교육에 매진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을 통한 주거 대비책 등을 마련해야한다. 4) 도서지역 학생들은 자신의 영어능력을 낮게 평가하고 자신감 역시 결여되어 있었으며 자신들이 살고 있는 도서지역의 특성이 영어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욱 더 많은 학생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영어교육 시설 및 환경과 도서지역이 가진 고립성과 폐쇄성, 그리고 다양한 경쟁상대의 부재가 자신들의 영어학습에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다. 따라서 도서지역만의 지역적 상황을 고려해, 도서지역 학생들을 위한 영어체험 시설 등 체계적인 영어교육지원 정책이 수립하고자 학교와 교육당국, 지역사회까지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도시지역 학교들과의 교류를 확대하여 도서지역 학생들이 다양한 선의의 경쟁을 통하여 영어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Remote Islands in Incheon A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Jung-Mi Par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jor in English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Jung-Tae Kim) This study focused on increasing awareness of the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the remote islands in Incheon area and mak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wo ways: one is a direct observation approach and the other is a survey. All the students of Baengnyeong Middle School, Daecheong Middle School and Yeonpyeong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designed to understand w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think about various aspects of English education. For comparison, the same survey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of Inche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iceable differences and problems of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the remote islands of Incheon a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are difficult to take their level-based English class due to a lack of English teachers and classrooms in the schools. Therefore, considering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and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various and proper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make them study in an English class suitable for their level. 2)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remote islands and urban areas of Incheon is the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out of school.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have various ways to supplement their English lesson such as English language institutes. However,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have few helpful people or facilities for their studying. Although they stay in the school until 9 or 9:30 PM everyday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y are not able to use the time efficiently by themselv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make a greate effort to invite a lot of outside English experts into the islands for the systemic and well-organized after-school English courses. 3) A gap among the three middle schools in the remote islands is also a serious problem. Every student of Daecheong and Yeonpyeong Middle School takes the 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two or three times a week. However, only a half of Baengnyeong Middle School students are able to meet their English native teacher once or twice a week. Therefore, in order to correct the imbalance,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consider the number of students of each middle school in the remote islands before assigning the teachers. 4)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most of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evaluate their English skills low by themselves, and have little self-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lso, most of the students in both areas think that regional features in remote islands have negative influence upon the English study owing to a lack of English education facilities, proper competition, etc.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the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in the remote islands, as well as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o formulate appropriate policies to support the students who live in relatively poor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김수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11

        기존의 지배계급이 그들의 계급적 지위를 재생산하기 위해 합법적이고 은밀한 방법으로 교육을 사용했듯이,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짧은 계급 형성의 역사를 가진 한국 사회에서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재생산을 위해 교육, 특히 영어교육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사회의 영어 중시 풍토와 영어 사교육 팽창, 외국어 고등학교로의 입시전쟁 등의 영어 만능주의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 중 학생들의 개인적 속성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영어 학업성취도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 어머니들이 자녀들의 교육적 성취를 위해서 헌신적으로 가정의 물적·인적 자본을 투입하는 현상을 한국인들의 ‘가족성취중심의 성취’라는 특징에 기반하여 이해해 보았다. 즉 어머니들에게 있어서 아들의 성공적인 성취는 집안의 핵심적인 지위 상승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의미로 다가갈 것이며, 딸의 성공적인 성취는 자신이 이루지 못한 사회적 성공에 대한 보상으로 대변될 것이다. 이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활동 확대, 가정 내에서의 지위 상승 등의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 저변에 깔린 유교문화의 남성주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이루는 하위변인 중 어떤 변인이 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이루는 하위변인들의 영향력에는 변화가 있는가. 셋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로 구분한 상위지위 집단과 하위지위 집단에 속하는 학생들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 중 어떠한 변인과 유의미한 관계에 있는가.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시 소재의 4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우선 각 항목별 단순빈도 분포와 백분율을 계산하여 표본의 일반적인 성향을 살펴본 후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 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이루는 변인 중 모-직업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학생들의 영어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라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는 차이가 있는데, 남학생의 경우는 부-학력과 모-학력과, 여학생은 모-학력, 월소득, 부-직업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모-학력이 남학생과 여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구분한 상위지위 집단과 하위지위 집단에 속한 각각의 학생집단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도 차이가 있었다. 상위지위 집단 학생들의 영어 학업성취도는 가정의 월소득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며, 하위지위 집단은 부모의 교육수준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는 가정 배경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 그 중에서도 기존의 연구들이 종합적인 학업성취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간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밝힌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영어 학업성취도에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가장 유의미한 변인이었다는 연구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어머니의 학업수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녀의 영어 교육 현상과 영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나름대로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오늘날 안정된 사회적 지위와 특권을 재생산하는 데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이 영어 교육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영어 교육열은 조기영어교육, 각종 연수와 유학 프로그램, 사교육 시장의 팽창과 외국어 고등학교로의 입학 전쟁 등의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영어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교육의 효과를 전무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에 앞서 가정의 물적, 인적 자본의 영향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자녀의 영어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아낌없이 투자를 하는 한국 부모님들에게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규정짓는 인적·물적 자본을 확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사회자본,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영어성적의 구조적 관계

        이주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 형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농촌지역 초등학교의 영어교사와 학생사이에 형성된 사회자본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및 영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교 내 사회자본으로 대표되는 교사와 학생사이의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촌지역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영어교사와 학생의 사회자본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및 영어 성적에 어떤 영향을 발휘하는지 분석하였다.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학교 내 사회자본 형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어교사와 학생사이에 형성된 사회자본은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흥미와 자신감을 매개로 하여 영어성적을 향상시키는 높은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사와 학생사이의 사회자본이 심각해져 가는 영어교육격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으며, 도·농간 영어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지역 초등학교의 영어교사와 학생사이의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 영어 시작 단계 초등학습자의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 분석

        이윤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00575

        본 연구는 영어 시작 단계 초등학습자의 영어 교육환경 실태를 조사하고 기초 리터러시 능력을 진단하여 그 격차 및 원인을 분석하고 기초 리터러시 능력의 격차 해소에 활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 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탐구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시작 단계 학습자들의 영어 교육환경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영어 시작 단계 학습자들의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는 어떠한가? 셋째, 영어 시작 단계 학습자들의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의 원인은 어떠한가? 제시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B 광역시 G 지역에 소재한 G 초등학교 2학년 학생 16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기초 조사 설문과 기초 리터러시 진단 검사를 진행하였다. 신뢰성을 위하여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 아동 6명과 3학년 영어전담교사,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연구 대상 아동의 영어 교육환경 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아동이 영어 정규교육과정 이전에 영어에 노출되거나 학습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어를 학습하고 있는 아동 중 과반수의 아동이 영어를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있었으며 영어학습 방법으로는 사설 영어 학원과 공부방 및 영어 방과 후 학교를 통해 학습하는 연구 대상 아동이 전체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기초 리터러시 능력에서 결과적으로 알파벳 능력, 파닉스 능력, 읽기 유창성 능력 모두에서 격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읽기 유창성 능력의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읽기 유창성 능력에서 벤치마크 목표점수에 도달한 아동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그에 비하여 위험 수준 커트라인에 해당하는 아동의 비율이 다른 두 영역에 비해 높았다. 셋째, 리터러시 능력 격차의 원인은 영어 정규교육과정 외에 이루어지는 영어학습의 시기와 기간, 아동의 가정환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기초 조사 설문 분석 결과 연구 대상 아동들은 대부분 부모님의 권유로 영어를 시작하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면담 결과 3학년 영어전담교사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모두 영어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의 원인으로 사교육과 가정환경을 꼽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의 기초 리터러시 능력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교육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적합한 기초 리터러시 진단 도구를 통해 구체적인 영어 능력을 진단하고 적절히 피드백한다면 학습 격차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어 시작 단계 아동의 영어 정규교육과정 시기 및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결정적 시기에 아동이 영어를 접할 수 있도록 영어 정규교육과정 시기를 재조정하고 관련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이 자기 주도적으로 영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지원이 필요하다. 아동이 진단 결과와 교사의 피드백을 통하여 자신의 리터러시 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교사와 가정의 도움을 받아 주도적으로 영어를 학습하게 되면 전체적인 영어 실력 향상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며 사교육 의존도도 크게 줄 것이다. 또한 학교 교육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실행되기 어려운 수준별 학습도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 리터러시 능력 격차 해소를 위해 연구 대상을 초등학교 2학년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으나 해결보다 예방에 목적을 둔 다양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