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학교 국어교과서 '소단원 도입 활동' 개선 방안 연구
‘소단원 도입 활동’은 학습자로 하여금 능동적 학습이 가능하게 돕는 장치다. 학습에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배울 내용에 대한 사전 지식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폭넓은 이해를 돕기도 한다. 소단원 도입 활동은 7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 ‘시작 – 발전 – 확장’의 단계로 변천되어왔다. 소단원 도입 활동은 ‘읽기 전에’라는 명칭으로 ‘문학, 읽기’ 영역에서만 제시되었던 것이 전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2009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14종에 제시된 소단원 도입 활동은 편찬자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지만, 같은 역할을 하고 있었다. 영역별로 장르성이 같은 성취기준을 학습 목표로 삼은 소단원 도입 활동을 분석한 결과 ‘학습 동기 유발, 학습 목표 확인, 배경지식 활성화’의 세 유형으로 나타났다. 실제 소단원 도입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진행한 현직 교사 대상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소단원 도입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수·학습에 가장 도움이 되는 유형을 선택하는 문항에서 교과서에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배경지식 활성화 유형이 아닌 학습 동기 유발 유형을 선택하였다는 점과 읽기 영역에 가장 도움이 되는 유형으로 배경지식 활성화 유형을 선택했음에도 실제 교수·학습 상황을 고려한 경우 학습 동기 유발 유형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교사 인식, 교수·학습 상황, 교과서’ 간 불균형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교과서에 제시된 소단원 도입 활동이 학교 현장과 유리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선이 필요한 지점이다. 이와 같은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세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실생활과 유리되지 않은 학습 동기 유발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단어, 친숙한 방법'을 사용하고, 구체화된 주제에 대해 묻는 학습 동기 유발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학습 현실과 유리 되지 않은 읽기 영역 소단원 도입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수업 상황의 시간적 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소단원 제재의 재선정을 통해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이 실생활과 유리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소단원 구성 개선에 따른 소단원 도입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기존 읽기 활동 중심 교과서의 소단원 구성 방식을 개선하여, 실제 듣고, 말하고, 쓰는 활동을 소단원 구성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그에 맞게 소단원 도입 활동을 개선한다면 단순한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만이 아니라 교사의 인식을 반영한 학습 동기 유발 활동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수시 개정 현실에서 계속되는 교과서 개발에서 소단원 도입 활동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 소단원 도입 활동에 대한 집필자의 이해와 관심을 높여, 보다 다양하고 발전인 의견이 모아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아울러 이 연구는 차후 교과서 개발과 연구를 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갖는다. The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is a device that helps to make the learner's active learning possible. It stimulates learning motivation so that learners can participate actively with interest in learning, and it provides preliminary knowledge about the contents to learn, which helps the learner's broad understanding.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has been changed from the period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o the period of the revision of the 2009 curriculum to the stage of beginning - development - expansion. It was expanded to the whole area, which had been presented only in literary and reading areas under the title "Before Reading".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presented in 14 kind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howed a variety of names according to the compiler, but they played the same role. As a result of analyzing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of the same genre considering achievement standards as the learning objectives, three types of motivation were found -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goal confirmation, activ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of current teachers which was conducted to refer to the opinions of the school field under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However, in the question that asked to choose the most helpful type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type of learning motive induction was chosen rather than the type of background knowledge activation mostly appeared in the textbook, and the type of background knowledge activation was chosen as the most helpful type for reading, but in case of considering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e type of learning motive induction was chosen. This shows that there was an imbalance between teacher recognitio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is means that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presented in the textbook is separated from the school field, and it is a point that needs to be improved. To resolve this imbalance, three improvements have been proposed in this paper. First, the learner's real life and nonseparated learning motive induction should be suggested. In order to do this, learning motivation inducing activities that learners use 'familiar words and familiar methods', and ask them about specific subjects should be suggested. Second, introduction activities of reading area should be presented, in which the re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s not available. Efforts should be made to overcome the time constraints of the classroom situation, and through the re-selection of the subsection subject, the background activation activitie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real life. Finally,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subsection should be presented. This is because by improving the method of subsection composition of the existing reading-oriented textbooks, and actively reflecting the activities of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in the subsection to improve the subsection activity according to it, there would be a variety of activities of learning motivation reflecting teachers' awareness not simply the background activating activities. This study will start discussing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of textbooks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reality of the continually revised curriculum, and will try to make the cause of more diverse and developmental opinions by increasing the textbook writers' interest of Subsection Introduction Activity to make collect opinions for development. Besides, this study has an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future textbooks.
경력단절여성 취업프로그램의 학습효과 :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중심으로
이주은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최근 경력단절여성들이 취업을 하기 위해서 취업프로그램에 참석하면서 어떤 학습 효과를 나타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활성화를 위한 취업프로그램의 학습효과 분석에 앞서 경력단절여성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 경력단절여성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직업훈련기관인 새일 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취업프로그램이 얼마나 학습효과를 내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학습효과를 분석하고자 연구에 필요한 경력단절여성 취업프로그램의 학습효과를 통계적 기법에 의해 진로 및 직업변화, 정의적 발달요인, 사회성 발달로 나누었고 참여자의 학습 효과를 학력별, 연령별 하위개념을 구분하여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 취업프로그램을 진로 및 직업 변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 후 얻어진 효과 중 자기소개서 및 면접방법, 기술 습득, 수료증 또는 자격증 취득 등 취업에 관한 [진로 및 직업]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면, 60대 이상과 40대의 경우에 4.11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0대는 3.98로 낮게 나타났으나, 연령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 후 얻어진 효과 중 취업에 관한 [진로 및 직업]의 변화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 후 얻어진 효과 중 자기소개서 및 면접방법, 기술 습득, 수료증 또는 자격증 취득 등 취업에 관한 [진로 및 직업]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면, 대학원 이상 4.13, 고졸이하 4.1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3년제 대졸이나 4년제 대졸은 상대적으로 낮은 4점대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취업교육프로그램 후 학습 효과 중 진로 및 직업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계수값 B=2.85로 나타나,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5). 이러한 결과는 취업교육프로그램 후 학습 효과 중 자기소개서 및 면접방법, 기술 습득, 수료증 또는 자격증 취득 등 진로 및 직업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경력단절여성 취업프로그램을 정의적 발달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 후 얻어진 학습 효과 중 [정의적 발달]에 관한 변화에서 ‘미래에 희망과 행복감을 갖게 되었다.’ 의 경우에 30대와 50대가 3.9전대로 높게 나타났으며, 20대는 3,25으로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전체적으로 정의적 발달의 경우에는 연령별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다. 학력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 후 얻어진 학습 효과 중 [정의적 발달]에 관한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면 ‘시대변화 흐름을 보는 안목이 넓어졌다’의 경우에 고졸이하가 4.12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면, 2~3년제 대학졸업은 3.73점으로 낮게 나타났다.(p<.05).‘ 자신이 필요로 하는 분야의 전문지식이나 기술 및 정보를 습득하게 되었다.’의 경우에 4년제 대학 졸업 3.85전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이상 3.2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p<.01). 취업교육프로그램 후 학습 효과 중 정의적 발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계수값 B=1.50로 나타나,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5). 이러한 결과는 취업교육프로그램 후 학습 효과 중 논리적, 분석능력 향상, 두려움 탈출, 희망, 행복감진로 목표와 방향, 자신감, 의욕향상, 잠재능력 향상 등 정의적 발달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력단절여성 취업프로그램을 사회성 발달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별 학습 효과 중 [사회성 발달]의 변화에 대한 정도에 대하여 살펴보면, ‘직장 예절과 사교성을 알게 되었다’의 경우에 50대가 3.9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0대 3.48점으로 낮게 나타났다(p<.05). 학력별 학습 효과 중 [사회성 발달]의 변화에 대한 정도의 경우에 ‘직장 예절과 사교성을 알게 되었다.’의 경우에 고졸이하가 3.98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은 3.57점으로 낮게 나타났다(p<.05). '어떤 모임(밴드, 카페, 블로그등)에 가입하게 되었다.'의 경우에 4년제 대학졸업 3.82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고졸이하는 3.43점으로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타인에게 자기소개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의 경우에 2-3년제 대학졸업의 경우에 4.1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은 3.57점으로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취업교육프로그램 후 학습 효과 중 사회성발달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계수값 B=.09로 나타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취업교육프로그램 후 학습 효과 중 대인관계, 사교성증진, 자기관리, 인맥형성 등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정책 제도적 관점에서 경력단절여성 취업프로그램사업의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참여율 또한 이전보다는 점차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지역적으로도 경력단절여성의 현황과 특성에 따라 직업훈련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경력단절이 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라고 밝히고, 여성의 임신‧출산‧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예방하기 위해 가족 친화적 기업문화 확산, 남성의 육아 참여 확대,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등 근로시간 유연화로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을 지원하고, 아이 돌봄 서비스 확대를 통해 맞벌이 부부 등의 자녀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할 계획”이 가장 적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며 중점을 두어야 하겠다.
Rhizopus stolonifer의 미토콘드리아 DNA 추출과 제한효소 pattern
이주은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발효능이 뛰어나 여러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Rhizopus stolonifer는 응용분야 에 비하여 세포학적인 연구나 유전학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total DNA를 추출한 후 bisbenzimide- CsCl 밀도구배 초원심분리를 하여 미토콘드리아 DNA를 추출하는 방법과, 미토콘드리아를 분획한 다음 미토콘드리아 DNA를 추출하는 방법, 그리고 미토콘드리아를 intact하게 추출하여 그대로 agarose에 embedding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사 용하여 이 균주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DNA의 purity와 양을 비교하였다. Rhizopus stolonifer외 미토콘드리아 DNA는 total DNA를 추출한 후 bisbenzimide-CsCl 밀도구배 초원심분리를 하여 미토콘드리아 DNA를 추출하는 방법과, 미 토콘드리아를 분획한 다음 미토콘드리아 DNA를 추출하는 방법을 전기영동을 통해서 비교하 였을 때 Purity와 양은 비슷하지만 추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나 경제적인 면에서 미토콘드리 아를 분획한 다음 미토콘드리아 DNA를 추출하는 방법이 전기영동을 통해서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를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1% agarose gel상에서 전기영동을 하였 을 때 EcoRI으로 절단 하였을 때는 6개, HindⅢ는 11개, XbaI은 8개, PvuⅡ는 3개의 절 편으로 나타났다. 이 때 size marker로는 lambda HindⅢ digest marker와 φX-174 HaeⅢ digest marker를 사용하였다. 이들을 종합하여 Rhizopus stolonifer의 미토콘드리 아 DNA의 크기는 약 25 kb로 추정되었다. Because of their outstanding fermentational function, the Rhizopus stolonifer has been utilized on the various fields of industry, but rarely achieved about the study of cytology and genetics as compared with applied fields. So we investigated in, at first, the mitochondrial DNA of the genus Rhizopus. To compare the purity and the quantity of mitochondrial DNA, mitochondrial DNA were extracted from total DNA by bisbenzimide-CsCl gradient ultracentrifuge, from fractionated mitochondria, and then agarose-embedded mitochondria after fraction. It was the best method that mitochondrial DNA from fractionated mitochondria in way of time and economy. Mitochondrial DNA of Rhizopus stolonifer was digested with restriction enzymes and electrophoresis on 1% agarose gel. As a results, 6 figments by EcoRI digestion, 11 by HindⅢ digestion, 8 by XbaI digestion, 3 by PvuⅡ digestion were separated. Using lambda HindⅢ digest marker and ΦX-174 HaeⅢ digest marker as the size marker, it might be estimated about 25 kb.
1인 가구 중년남성의 졸혼 전·후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 형태의 ‘졸혼’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중년 남성들의 ‘졸혼’ 전·후의 경험에 관하여 그 본질적 의미를 살펴보고, 그들을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자녀가 있는 15년 이상의 결혼생활을 했었고, 현재는 1인 가구 형태의 ‘졸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중년 남성 10명이다. 대상자 모집은 의도적 목적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동시에 활용했고, 자료 수집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혼’ 전 단계에서의 경험은 어긋난 채 시작된 결혼, 가족 내 부정적 갈등 경험, 환경으로 인한 갈등, 졸혼의 선택으로 나타났다. 어긋난 채 시작된 결혼으로 인해 가족 내에서 부정적인 갈등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되었으며, 환경적인 갈등까지 더해져 졸혼을 선택하게 되었다. 둘째, ‘졸혼’ 이후의 경험으로는 결혼생활의 긍정성 인식, 자아 성찰과 자기 계발의 기회, 졸혼 생활에서의 긍·부정적 정서 경험, 졸혼 생활에 대한 부정성 인식, 졸혼의 조건 인식, 졸혼 이후의 계획 등으로 나타났다. 졸혼으로 인해 오히려 결혼생활의 긍정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자아 성찰과 자기 계발의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졸혼 생활에서 긍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정서가 모두 경험 되기도 하였다. 또한 졸혼 생활에 대하여 부정적인 면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어떠한 조건을 가지고 졸혼을 하는 것이 필요 한지에 대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삶에 대하여 새로운 삶을 살아가거나 혹은 가족과의 재회를 꿈꾸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혼 생활 경험을 통해 자아 성찰과 자기 반성의 기회가 가능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중년 남성의 전통적 가치관에 대한 집착과 원 가족의 미 해결 된 과제들이 가족 갈등을 심화시켜 졸혼 생각을 촉발 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셋째, 졸혼에 대한 장단점은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넷째, 가족 간의 가치관의 차이가 가족 갈등을 심화시켜 졸혼을 생각을 부추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부부 간 성적 사이클의 부조화가 성적 갈등을 심화시켜 외도로 이어지고 이 상황이 졸혼 생각을 촉발 시킬 수 있다는 점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sential meaning of middle-aged men's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done-marriage' and to provide practical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them.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10 middle-aged 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more than 15 years with children and are currently living in a single-person household. For the recruitment of subjects, intentional target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were used simultaneously,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21 to July 2022,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in the pre-marriage stage was found to be a marriage that started out of alignment, experience of negative conflicts within the family, conflicts caused by the environment, and the choice of single marriage. Due to the marriage that started out of alignment, she continued to experience negative conflicts within her family, and environmental conflicts were added to make her choose a late marriage. Second, experiences after 'event marriage' include recognition of the positivity of married life,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and self-developmen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in single marriage life, perception of negativity in single marriage life, recognition of the conditions of single marriage, post-marriage It appeared as a plan. Because of their late marriage, they rather came to recognize the positivity of married life and had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and self-development.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experienced in single life. In addition, they came to recognize the negative aspects of single marriage life, and came to have an awareness of what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have a single marriage. Lastly, about their future lives, they dreamed of living a new life or reuniting with their famili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are possible through the experience of single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men's obsession with traditional values and unresolved tasks of their family of origin could deepen family conflicts and trigger thoughts of getting marri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os and cons of single marriage can vary depending on the period.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values between families intensified family conflicts and encouraged the idea of getting married. Fifth, it was found that disharmony in the sexual cycle between husband and wife deepens sexual conflict, leading to extramarital affairs, and this situation can trigger thoughts of getting married.
리튬함유 폐액으로부터 전기투석법에 의한 리튬의 농축 연구
폐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유가금속 회수 후 발생한 리튬함유 원료용액(추출여액)에 3.2 g/L 가량 포함되어 있는 리튬을 농축 및 회수할 수 있는 고효율 공정 개발의 일환으로 전기투석을 적용하였다. 1쌍의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막이 포함된 연속식 전기투석장치(Batch test용 Cell)를 통한 batch test와 10쌍의 이온교환막이 포함된 회분식 전기투석장치(Electro Dialyzer)를 이용한 공정으로 원료용액으로부터 리튬을 효과적으로 농축 및 회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온교환막으로는 NEOSEPTA CSE․ASE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실험을 위해 교환막이 1쌍 포함된 3개의 액실을 가진 batch test용 cell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원료용액 내 총 이온농도가 적을수록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이온의 이동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리튬을 효율적으로 농축시키기 위해서는 용액과 막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음극용액 및 양극용액으로 HCl 및 Na2SO4를 농도에 따라 사용하여 Li+, Na+, SO42-의 이동거동을 알아보았고 1.0 M HCl을 사용했을 때 SO42-의 이동속도가 느려졌으나 이외에서는 모든 원소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Na2SO4를 사용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전압을 알아 본 결과 농도가 낮을수록 전압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극용액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선 최소 0.1 M 이상의 농도를 사용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Batch test의 결과와 문헌자료를 토대로 리튬 농축을 위해 전기투석장치(Electro Dialyzer)를 사용하였고 인가전압에 따른 경향을 알아보았으며 전기투석에 소요되는 시간, 물 회수율, 평균 유량의 측면에서 10 V가 최적조건이었다. 이 때 물이 투과되는 현상에 의해 농축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희석용액과 농축용액의 부피 비의 조절 또는 다단농축 등의 추가적인 조작이 요구된다. 8, 10 V에서 농축용액의 부피를 고정하고 희석용액과 농축용액의 부피 비를 4:1까지 조절하여 실험 한 결과 인가전압 10 V, 부피 비 4:1일 때 4.4 g/L까지 리튬이 농축되었다. 더 큰 부피 비 조절에 의한 리튬의 농축을 알아보기 위해 총 원료용액의 부피를 고정하고 희석용액과 농축용액의 부피 비를 10:1까지 조절하여 실험 한 결과 부피 비가 증가할수록 리튬의 농축율은 증가하다가 삼투압 현상에 의해 감소하였다. 농축율과 평균 유량 그리고 에너지 소비량을 고려하였을 때 3:1 조건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5.3 g/L의 리튬 농축율을 보였다. 상기 실험들을 통하여 다단농축 등의 추가적인 조작에 의해 더 높은 농도의 리튬 농축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lectrodialysis was used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of a highly efficient process for concentrating and recovering lithium containing 3.2 g/L of lithium containing raw material solution that is generated after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a waste lithium ion battery. A batch test that used continuous electrodialysis unit (batch test cell) and contains a pair of ion exchange membranes and an electrodialysis using an Electro Dialyzer with 10 pairs of ion exchange membranes was used to concentrate lithium from lithium containing raw material solution effectively. NEOSEPTA CSE․ASE was used as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a batch test cell with 3 baths and a pair of ion exchange membrane was fabricated and used for the batch test. When the total ion concentration in the raw material solution was less, the migration behavior of ions could be confirmed in a short time. To efficiently concentrate lithium,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olution and membrane is necessary. The migration behavior of Li+, Na+ and SO42- was investigated using HCl and Na2SO4 as anolytes. When 1.0 M HCl was used, the migration rate of SO42- was slower, but all elements exhibited similar behavior. Moreover, Na2SO4 used should be of least 0.1 M or higher in order to be used as an electrolyte, because the voltage rapidl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Na2SO4 de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batch test and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paper, we used an Electro Dialyzer for analyzing lithium concentration and investigated the resulting behavior of applied voltage. The optimum condition was 10 V in terms of the time required for electrodialysis, water recovery rate and average flux. Considering that the concentration rate decreased due to osmotic pressure that caused water migration, further manipulation, such as an adjustment in the volume ratio of dilute and concentrate solutions or multi-step concentration was required. The effect of volume ratio on dilute and concentrate solutions was investigated and adjusted to 4:1 at 8 V and 10 V respective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lithium ions was up to 4.4 g/L at an applied voltage of 10 V and volume ratio of 4:1.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of lithium based on large volume ratio, the total volume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was fixed, and the volume ratio of the dilute solution to the concentrate solution was adjusted to 10:1. Thus, concentration of lithium was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due to the osmotic phenomenon. When the concentration ratio, average flux, and energy consumption were considered, the 3:1 condition was most efficient and the concentrated lithium was 5.3 g/L. Through these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obtaining a higher lithium concentrate solution is possible through further operation such as multistage concentration.
이주은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최근 도시경관 계획에 있어서 자연을 도시공간으로 끌어들이려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는 급속도로 이루어진 건물과 인구의 고밀화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과 인간과 자연의 소외현상에 대한 반성으로 자연과 함께하는 삶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인 것이다. 이러한 관심은 자연을 토대로 한 조형예술의 한 장르인 화예디자인 역시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전통적 개념의 조형성, 심미성, 상징성의 경계를 넘어 현대인의 도심 속 삶의 공간에 대한 자연친화적 공간창출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확장된 의미를 경관화예디자인으로 개념화하고자 했으며 화예와 경관과 관련짓기를 전개하기 위해 공간비평가인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의 현상학적 지리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경관화예라는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으로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해 밝히고 있다. 2장에서는 공간, 장소, 경관을 개념적 시점으로 고찰하고 현상학을 기반으로 공간과 장소성의 본질을 파악하였다. 장소는 공간적 실체와 인간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총체적 개념이며 인간에 의해 의미가 부여된 장소들의 연속체는 곧 도시경관을 형성함을 설명하고 있다. 3장에서는 화예와 경관을 관련짓기를 전개하기 위해 공간비평가인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론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장소론을 통해서 첫째, 공간의 유형과 장소적 의미, 둘째, 경관을 형성하는 기본 요소인 장소 정체성의 두 가지 구조를 가지는데 ‘외부’와 구별되는 ‘내부’의 장소 경험을 통한 수직적 구조와, 장소 이미지의 주체에 따라 수평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화예디자인의 개념과 접근방법에 따른 다양한 범위를 살펴보고 특히,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범위의 확장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경관화예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5장에서는 장소론을 통한 경관화예디자인의 현상학적 해석이 이루어진다. 수평적 장소 이미지로서 공간적 범위에 대한 사례를 분류하고 분류된 사례는 두 가지의 해석 기준을 둔다. 첫째, 수직적 장소이미지의 내부성과 외부성의 관점으로써의 기준이며 둘째, 경관화예디자인의 특성으로써 기준은 경관화예디자인의 물리적 환경과의 맥락성, 체험적 공간성, 소재의 소멸성 수용방식에 따른 시간성, 휴먼스케일의 5가지이다. 6장 결론에서는 각 장에서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시경관에서의 경관화예디자인의 현상학적 해석내용을 정리하여 그 방법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경관으로서의 화예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화예디자인의 확장된 개념으로써의 경관화예디자인의 표현 방법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최근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경향인 ‘공공화예디자인’ 혹은 ‘외부환경에서의 화예디자인’의 심미적 선호도 조사에 관한 연구들과 함께 도시환경의 미적질을 높이는 좀 더 심층적이고 새로운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Today, We have thrilling city scape design that nature be into the city space. In this city scape design is not only self reflection about pollution came from speedy made, densely populated city and disparate phenomenon between human and nature, but also awareness about importance of value of life with nature. This attentional design bring about a change floral art and design based on nature. This change also lead to attempt modern people’s nature creation of space which break traditional formativeness, mental esthetics, and symbolism. This study’s process. First, Phenomenological model of Concept of landscape and landscape analysis. Second, Theoretical Study and understanding of character about space, place, and landscape based on Relph's phenomenological theory of place. Third, Contemplation of floral art and design concept and diverse ranges. Study of floral art and design as land scape. Last,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landscape floral art and design based on Relph's phenomenological theory of place This study is carried out for development of floral art and design with realization of floral art and design landscape plan’s possibility. This study show expression and meaning of landscape floral art and design as a widen floral art and design with realization of floral art and design importance as true landscape. I had disparately and generally studied about my study focus on context and harmony between surrounding nature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look forward to mental esthetic study raising city environment of aesthetic quality including aesthetic research preferences of today’s floral art and design trend, Public floral art and design or floral art and design in outer environment.
빅토리안 회화의 인물상을 통해 본 근대 영국 사회의 특성
이주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이 논문의 시대적 범위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재임기인 1837년에서 1901년까지로서, 영국이 본격적으로 근대의 장을 열었던 시기이다. 근대성이란 과거에서 미래로 진행하는 단계에서 변화의 요소가 사방에 편재해 있음에 대한 동시대인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사회 변화가 인간의 경험과 의식에 미친 복합적인 양상을 일컫는다. 이 논문은 근대성의 양상 중에서도 인간에 대한 재현이라고 할 수 있는 인물상에 초점을 맞추며, 빅토리아 시대의 인물상을 통해 드러나는 생활양식과 삶에 대한 태도를 통해 근대 영국의 사회와 미술을 연결 짓고 있다. 본문 II장에서는 영국 회화의 역사에서 인물상과 당대 문화의 연결 구조를 살펴본다. 귀족문화가 지배적이던 무렵에는 타문화로부터 자신을 차별화하는 성격의 그림이 인물상의 중심이 되며, 도덕적이고 검소한 시민 문화가 자리를 잡게 되면서부터는 기성 체제를 풍자하는 성격의 그림이 주도적인 것을 볼 수 있다. 왕립미술원의 등장으로 미술은 다시 귀족주의적으로 돌아선다. 하지만 영국의 아카데미즘은 점차 부르주아적인 근성에 부응하고 영합하면서 부르주아 국가의 이데올로기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18세기 이래 영국에서는 신분사회적인 요소가 남겨진 채 부르주아가 추구하는 도덕적이고 실용적인 가치관이 뿌리내리고 있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미술을 사회에 대한 반응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때는 부르주아적 이상주의, 그 도덕적 이상과 자본주의에 물든 현실의 절충, 그리고 그러한 절충의 저속함과 위선에 대해 반항하는 정신적 귀족주의라고 하는 세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문 III장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염두에 두면서 인물상의 그룹 활동별 특징을 살펴본다. 본문 IV장에서는 인물상의 주제별 분류를 통해 근대 부르주아 사회의 이상과 현실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여기에서는 사회변화에 대한 예술적 반응이 대부분 양가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A절, 기회의 평등을 누리는 군중의 모습 속에는 자본주의 시스템이 새롭게 만들어 놓은 복합적인 층위의 개별 인간 유형이 존재한다. B절, 물질적 번영 역시 자부심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잃어버린 꿈과 인간다움의 상실을 상징하기도 한다. C절, 근대사회의 성역할은 부르주아적인 핵가족 사회의 이상 하에 설정되어 있지만, 이는 ‘젠틀맨’으로 대표되는 엘리트주의의 지배를 받기도 하는 것이다. D절, 이상적인 개인상 역시 자유롭고 외향적이면서도 다른 차원에서는 철저히 내적으로 고립됨을 추구한다. 결국 근대 영국 사회를 틀 지운 것은 한편으로는 부르주아적인 자유와 평등 그리고 진보 개념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오히려 부르주아의 가치체계에 반항하는 정신적 귀족주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후자의 반부르주아적인 엘리트주의라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부르주아적인 세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성격의 것이다. 19세기 영국의 근대성은 예술이라는 미적 이상이 대중적 삶과 절충되거나 대중 사회의 현실을 보완하는 복합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빅토리아 시대의 회화, 그 중 특히 인물의 재현은 미술적 독자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전개되었다기보다는, 근대성이 바탕으로 삼는 상극적인 요소들이 공존하는 사회적 현실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면서 형성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analyses the figure images depicted in the British paintings during the Victorian age (1839-1901) from the modernity perspective. Modernity, in this context, means the perception of the ubiquitous existence of changes in the transitional phase from the past to the future. Such social changes exert complex influences on human experience and thought. In this study, art and society during the Victorian Era are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confrontational and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namely: the popular versus the exclusive, the extrovert vs. the introvert, the typical vs. the idiosyncratic, materialism vs. idealism, and idolatry vs. anti-idolatry. The main players in the art world during the Victorian era were the newly self-determined middle class and the Royal Academy of Arts. The expansion of the middle class was a complex consequence from both the collapse of hierarchical order by birth and the modern spirit of the citizenship centered on the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The Royal Academy was playing the pivotal role in art education and distribution, as the professional art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state. It also had a unique role to play as the producer of the cultural norms for the forementioned middle class citizens. From Chapter 3 on, the Victorian paintings are analyzed in depth based on the 19th-century social issues. The earlier narrative expressions were phased out, while the actual sit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tself started to draw attention. Under the Aestheticism, the naturalistic tendency that was the starting point transformed gradually into conceptual and abstract characters. The paintings in the Victorian era pursued, on the one hand, the contemporaneity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earnest depiction of everyday life of that period, and on the other hand, the artistic resistance by offering decorative attempts away from social realism. In the continental Europe, these two trends converged in the works of Manet and other Impressionists and progressed into post-impressionism and symbolism. By contrast, in Victorian England, the two trends didn't cross with each other, and in the late 19th century, developed into naturalism and symbolism respectively. In Chapter 4, the following four criteria are use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figure images in order to know how the modernity in the British society was represented: First, in features of mass society, collective orderliness was discus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b images in the public places and of the leisure scenes on weekends. Secondly, contrast between nature and civilization deals with discussions about people's fervent wish for a simple life and negative aspects about modernization. The countryside portrayed in the paintings are viewed as the lost past as well as the utopia of anti-civilization, while the city is understood as the capitalized present that is obtained at the expense of rustic simplicity. Thirdly, I studied how the ideal womanliness and manliness in the modern society are concretely set forth. These gender roles were established under the idealistic society based on modern, nuclear family. Furthermore, a sense of patronizing superiority in which the characters of imperialistic citizenry are justified can explain such gender view. Fourth, in the ideal personality section, the bourgeois concept according to the real world value system and the pursuit of pure, anti-materialistic values are discussed respectively. In 19th-century England, the art played the role of supplementing the spiritual void caused by high-speed progress in the industries, on one hand, and it constituted a psychological compensation to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industri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 this regard, the Victorian paintings didn't solely pursue the pure form per se, but functioned as a medium for advocating moral values, or had much greater tendency to remain as the unchanging spirituality in the midst of social mutations. It is often considered that the Victorian paintings can hardly be linked to Modernism. The reason is tha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of painting in the Victorian period show inconsistency and ambiguity, due to what this study has found: the art in Victorian England had a peculiar status in the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dissertation lies in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Victorian paintings was rearr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ty in the British society, thus finding the art in 19th-century England in line with modernism.
양금은 19세기 후반기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유입된 이래 풍류방에서 풍류객들이 애호하던 악기로 당시 풍류방의 음악을 기록한 양금악보는 현재 거문고악보 다음으로 많은 수가 전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전 양금악보에 실려 있는 풍류방의 대표적인 기악곡인 영산회상 전 9곡을 대상으로 선율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현전 양금악보의 존재 양상을 악보의 편찬 시기와 기보법의 활용 및 악곡의 수록 양상에 따라 세 절로 나누어 고찰하였으며, Ⅲ장에서는 그 검토 결과를 토대로 현전 양금악보의 영산회상을 경제와 향제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선율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Ⅱ장에서 현전 양금악보의 존재양상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전 양금악보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19세기 전기의 악보는 2종이고, 19세기 후기의 악보는 9종이다. 그리고 20세기 전기의 악보는 16종이며, 20세기 후기의 악보는 6종으로, 20세기 전기에 편찬된 악보의 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현전 양금악보에 어떠한 기보법이 사용되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크게 음고기보법과 시가기보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음고기보법으로는 육보, 율자보, 차용보 등 3종이 사용되었는데, 시대에 따라 차용보, 육보, 율자보의 순으로 활용되었다. 다음으로 시가기보법으로는 삼조표, 간격보, 장단보, 정간보 등 4종이 사용되었다. 삼조표가 가장 비중있게 사용되었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삼조표, 간격보, 장단보, 정간보의 순으로 활용되었다. 셋째, 현전 양금악보의 악곡 수록 양상을 살펴본 결과, 현재 연주되는 영산회상, 가즌회상, 별곡의 악곡 구성은 19세기 후기에 이르러 오늘날과 같은 형태가 갖추어지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영산회상은 1879년경에, 가즌회상은 1884년경, 별곡은 1886년경에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완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 현전 양금악보의 영산회상 선율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전 양금악보의 영산회상을 장 구분과 선율 유형을 통하여 경제 및 향제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19세기 전기의 2종은 경제와 향제로 분화되기 이전으로 보이고, 19세기 후기의 8종은 향제이고, 나머지 1종은 경제로 보인다. 다음으로 20세기 전기에는 향제가 9종, 경제가 5종이며, 경·향제의 구분이 어려운 것이 2종이다. 그리고 20세기 후기에는 경제를 수록한 악보가 다수이고, 향제 역시 독자적인 전승 공간을 확보하고 향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산회상의 양금선율이 초기에는 경·향제의 구별이 보이지 않았으나, 시대가 지남에 따라 향제 성격의 음악이 성행하였고, 이후 경제 성격의 음악이 활발하게 연주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경제 및 향제의 음악이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구라철사금자보?? 무렵의 단일 계통 음악에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향제의 음악이 나타나다가, 이왕직아악부와 경제 위주의 음악교육이 이루어지면서 현재와 같이 경제의 음악이 주도적인 흐름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현전 양금악보 중 경제 영산회상의 특징을 보이는 악보를 시대별로 살펴본 결과, 그 선율은 19세기 후기 이후 크게 변화하지 않았음이 드러났다. 단, 음역이 부분적으로 낮아진 점, 악곡의 종지선율에 ‘?’을 사용한 점, 간음의 생략과 동일음의 탈락으로 선율이 축소된 점, 동일음 반복의 경우는 간음의 추가로 순차적인 진행을 하는 점, 옥타브의 선율이 활용된 점 등이 기존에 비해 달라진 부분이다. 셋째, 현전 양금악보 중 향제 영산회상의 특징을 보이는 악보를 시대별로 살펴본 결과, 양금 선율이 19세기 전기 이후로 크게 변화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향제 역시 경제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변화가 있었을 뿐이다. 즉, 일부분에서 음역이 낮아진 점은 경제와 같으나, ‘潢’이 ‘無’로 변화한 점, 간음의 추가와 동일음의 반복으로 선율이 확대된 점 등은 독자적으로 변화된 부분이다. 이처럼 기보법과 선율을 토대로 현전 양금악보의 영산회상을 살펴본 결과, ??구라철사금자보??와 ??유예지??는 같은 체제로 된 악보임을 알았다. 그리고 ??서금보??와 ??양금보(일사)??의 체제와 내용이 같았으며, ??양금보(이보형)?? 역시 이 두 악보와 매우 비슷한 구성의 악보였다. 또한 ??양금주책??과 ??장금신보??가 내용상 거의 같은 악보이며, ??창하유필??은 향제 중에서도 ??이리향제줄풍류??의 가락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고찰 결과 현전 양금악보의 영산회상 선율은 ??구라철사금자보?? 이후 지금까지 크게 변화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는데, 영산회상의 양금 선율은 선율의 변화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가야금, 거문고 등 여타 악기의 영산회상 전승과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양금 선율의 변화가 많지 않은 까닭은 양금이란 악기가 풍류방에서 전문가 집단이 아닌 율객 등의 비전문가들에 의해 주로 연주되어 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만약 양금이 전문가들에 의해 연주되었다면 그들의 음악적인 창의성과 독창성이 결부되어 현재의 양금선율보다는 음악적인 다양성이 강화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