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특성과 감정노동 및 직무소진간의 관계 연구

        이주은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to examine the levels of job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recognized by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investigating into the differences made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the features of food place, and finding the correlation among job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It also aims at investigating the present measures to enhance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finding the ways to decrease job burnout and offering the basic data for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job efficacy and the effective accomplishment of the goals of school food service. As th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329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 Province , and among the collected 292 sets of responds(collection rate 88.8%), a posi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to the valid samples with 232 sets of responds (analysis rate 70.5%). The data was processed through SPSS 19.0 statistics packag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Varimax, and χ2-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obel Tes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employment typ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groups, and to find out the mutual relation and mediation effects of the factor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level of job characteristics(following the standard of 5 points criterion) was higher in the order of task diversity(4.3)>time pressure(3.64)>feedback(3.56)>and task autonomy(3.41).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was 5.36(following the standard of 7 points criterion) and internal emotional labor(5.36) was followed by > interactive emotional labor(5.00). The level of burnout was 3.69(following the standard of 7 points criterion) and higher in the order of emotional exhaustion(4.95)>cynicism(3.19)>and job efficacy(2.95), which showed that the research subjects' food service was consisted of diverse tasks, they were pressed by time when working, and they were emotionally very tired. Second,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ask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depend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the features of school food service. All the targets of investigation were females, and their average age was 38.67. The higher the age is, 'time pressure' was high(p<.01) of job characteristics elements, and ‘job efficacy’(p<.05) was high of the job exhaustion factors. Regarding the marital status, a single person's 'cynicism'(p<.05) of job exhaustion elements made a bigger meaningful difference than that of married ones. With regard to the employment type, school nutrition teachers accounted for 56.9%, and school dietitians 43.1%. School nutrition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job autonomy(p<.01)' of job characteristics factors compared to school dietitians.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verage years of working experiences were 12.31 years. The longer they had worked, the more they recognized 'feedback'(p<.01) of job characteristics factors, and those with more monthly wage had a meaningfully higher level of ‘work autonomy’(p<.05). As for the types of schools, national and public schools constituted 88.8%, and the research subjects in the national and public schools displayed bigger 'job autonomy'(p<.05) than those working at private schools. The types of food service consisted of 55.1%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types and 44% of urban types, and those working at the urban types recognized ‘feedback’(p<.05) more of the job characteristics factor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ird, it was proved that 'time pressure' of the job characteristics factors was high commonly at high school food places and the schools where the actual working hours were more than 41 hours a week, three meals were offered a day, and meals were given during vacation, too. It was also concluded that when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at the food places,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were caused. Therefore, the time pressure on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caused by dissatisfaction with food service facilities will be able to decrease when the nutritionists who should offer two or three meals a day can get the provision of human resources, modernized kitchens , replacement of old food service machines and tools and active support of administration offices for the management of food service facilities. Fourth, when the correlation of the job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was examined,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and job burnout according to emotional labor were partially occurred. When the level of 'job autonomy' was high, that of 'the whole factors of job burnout' and all of its sub factors was low. With more 'time pressure', all of the degrees of 'the whole factors of job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and 'exhaustion of job efficacy' were high. The bigger 'time pressure' and 'task diversity' became, the more 'the whole emotional labor', 'interactive emotional labor', and 'internal emotional labor' were recognized, and the more 'job autonomy' they had, the less they recognized 'the whole emotional labor', and 'interactive emotional labor'.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it was found out that as 'emotional labor' became heavier, 'the whole job burnout' is also high. Moreover, 'time pressure' of the job characteristics elements was concluded to play the role of a partial medium that affected job burnout indirectly through emotional labor. Fifth, as the work improvement plan, the papers related to food service need to be simplified, assistant nutritionists are necessary to support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for the school food service offering more than two meals, and proper standard of support for the food plac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while the amount of work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results above are integrated, it was proved that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were occurring due to the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job characteristics, and they were found to be affected partly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chool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the features of food place. To meet users' needs for the quality of school food on the whole and to accomplish the goals of school food service effectively,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of the team leaders at school food places, that is, of school food service, should be decreased, and for which, their tasks need to be improved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into their task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식 영양(교)사가 인지하는 직무특성, 감정노동, 직무소진의 수준을 조사하고,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개인적 특성, 급식소 특성에 따른 차이 파악 및 직무특성, 감정노동, 직무소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양(교)사들의 직무개선을 위한 개선 방안 실태를 조사하고 직무소진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 영양(교)사들의 직업효능감 및 학교급식 목적의 효율적 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학교급식 영양(교)사 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92부(회수율 88.8%) 중 232부(분석율70.5%)의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9.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베리맥스(Varimax)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고용형태와 집단간의 차이분석 및 요인의 상관관계 및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χ2-test,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피어슨(Pearson)의 상관관계, Sobel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직무특성 수준(5점 척도 기준)은 과업다양성(4.3)>시간압박(3.64)>피드백(3.56)>직무자율성(3.41) 순으로 나타났고 감정노동 수준은 5.36(7점 척도 기준)으로 내부감정노동(5.36)>상호감정노동(5.00)이며 직무소진 수준은 3.69(7점 척도 기준)로 감정적탈진(4.95)>냉소(3.19)>직업효능감(2.95)의 순서로 나타나 급식업무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고 업무수행에 있어 시간압박을 받고 있으며 정서적으로 많이 지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양(교)사들의 개인적 특성, 학교급식소 특성에 따른 직무특성·감정노동·직무소진에 관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는 100%여성이며 평균연령은 38.67세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특성 요인 중 ‘시간압박’(p<.01)이 높았고 직무소진 요인 중 ‘직업효능감’(p<.05)이 높았으며 결혼유무에서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직무소진 요인 중 ‘냉소’(p<.05)요인이 더 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고용형태는 영양교사가 56.9%, 학교회계직영양사는 43.1%였고 영양교사가 학교회계직 영양사보다 직무특성 요인 중 ‘직무자율성’(p<.01)이 높았고 학교급식영양사 총경력은 평균 12.31년으로 경력이 많을수록 직무특성 요인 중 ‘피드백’((p<.01)을 더 높게 인식하였으며 월평균 급여가 높을수록 ‘직무자율성’((p<.05)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학교설립형태는 공·국립이 88.8%로 공·국립이 사립보다 ‘직무자율성’(p<.05)이 더 높았고 급식형태는 농·어촌형 55.1%, 도시형 44%로 도시형이 농·어촌형 보다 직무특성 요인 중 ‘피드백’(p<.05)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주당실제 근무시간 41시간이상, 고등학교 급식소, 1일 3식 학교, 방학 중 급식실시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직무특성 요인 중 ‘시간압박’이 높게 나타났고 급식시설 만족도에서 불만족인 경우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이 유발된다는 결과가 나와 2·3식 학교에 대한 영양사의 인력지원과 조리장 현대화, 노후화된 급식기계·기구의 교체 및 행정실의 급식시설관리의 적극적 지원 등으로 영양(교)사들의 시간압박 완화와 급식시설 불만족에서 오는 감정노동, 직무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직무특성, 감정노동, 직무소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직무특성에 따른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및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소진이 부분적으로 발생하였다. ‘직무자율성’이 높으면 ‘직무소진 전체’와 직무소진 하위요인 모두 낮고 ‘시간압박’이 클수록 ‘직무소진 전체’, ‘감정적 탈진’, ‘직업효능감 소진’이 모두 높았으며 ‘시간압박’과 ‘과업다양성’이 클수록 ‘감정노동 전체’, ‘상호감정노동’, ‘내부감정노동’을 높게 인식하였고 ‘직무자율성’이 높을수록 ‘감정노동 전체’, ‘상호감정노동’은 낮게 인식하였다.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는 ‘감정노동’이 클수록 ‘직무소진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특성 요인 중 ‘시간압박’이 감정노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다섯째, 직무개선방안으로 급식 관계 서류의 간소화가 필요하고 2식이상의 학교급식에서는 영양(교)사의 인력지원으로 보조영양사가 필요하며 초·중·고에 따른 조리원 지원기준은 업무량을 감안하여 적정기준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양(교)사들의 직무특성에 따른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들은 개인적 특성, 급식소 특성에서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학교급식 품질 전반에 대한 수요자의 만족도 충족 및 학교급식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소 팀장인 영양(교)사들의 감정노동, 직무소진을 낮추기 위하여 체계적인 직무 분석을 통과 직무개선이 필요하다.

      • 상사의 코칭 행동이 사회적 실재감과 교육 몰입을 매개하여 가상업무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신입사원 비대면 교육을 중심으로

        이주은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work environment using technologies that had previously hesitated, such as telecommuting and non-face-to-face learning, has rapidly sprea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process of new employees adapting while previous face-to-face interactions were limited due to these situations. First, it was examined whether the behavior of the supervisor inside the organiz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aptation process even in the virtual work environment, and the role of learning was verified in this process. This study analyzed 263 new employees within 3 years of service with virtual work and non-face-to-face learning experience, and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Process macro and Amo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pervisor’s coaching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virtual work adaptation of new employees, but it influenced the virtual work adaptation through social presence and educ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more the supervisor coaches the new employees, the better the sense of social reality, which is the perception of the existence of others in the curriculum, which increases the intrinsic motivation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so that they can be more immers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more immersed you are in education, the better you learn the curriculum, which can lead to virtual work adap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 were presented. COVID-19 상황으로 인해 재택근무, 비대면 교육 등 이전에는 주저하던 기술 을 이용한 업무 환경이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들로 인해 이전의 대면 상호작용이 제한되는 가운데, 신입사원이 적응하는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조직 내부 상사의 행동이 가상업무 환경에서도 적응 의 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았으며, 이 과정에서 교육의 역할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업무와 비대면 교육 경험이 있는 재직기간 만 3년 이내의 신입사원 26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검 증을 위해 Process macro와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코칭행동은 신입사원의 가상업무 적응에 유의미한 직접효과 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사회적 실재감 및 교육 몰입을 매개하여 가상업무 적응 에 영향을 미쳤다. 즉, 상사가 신입사원에게 코칭행동을 할수록 신입사원이 교 육 과정에서 느끼는 타인의 존재에 대한 지각인 사회적 실재감이 향상되며, 이 는 교육 상황에서의 내재적 동기를 높여 교육 과정에 더욱 몰입하도록 한다. 또한 교육에 몰입할수록 교육 과정을 더 잘 학습하게 되며 이는 가상업무 적응 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이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한국 EFL 학습자들의 교실 밖 온라인 영어 학습 활동 및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의 자기조절 능력에 관한 연구

        이주은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및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코로나-19로 인해 학습자들이 교실 밖에서 ICT 기술을 통해 영어 관련 활동들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EFL 환경의 학습자들에게 온라인 환경은 교실 밖에서 영어를 사용하고 다양한 영어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며, 교실 밖에서의 영어 활동은 학습자의 영어능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교실 밖에서 스스로 목표 언어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자기조절 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온라인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 자기조절전략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보다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하는 교수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어떻게 자신의 학습경험을 조절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에서도 4차 산업시대와 온라인 원격 수업이 본격화 되어 중 ·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교실 밖에서 자율적으로 영어 온라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이 교실 밖 온라인 환경에서 영어 학습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하며, 이러한 활동에서 어떤 전략들을 사용하는지 탐색해 볼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새로운 수업 도구와 매체로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집중하고 있으며, 교실 밖 영어 온라인 활동과 관련한 연구는 소수에 그친다. 이들은 또한 주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중 ·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온라인 영어 활동에 대해 밝히고 있는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교실 밖 온라인 활동 현황과 학습자들의 ICT 기술의 자기조절적 사용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영어 능숙도에 따른 교실 밖 온라인 활동과 ICT 기술의 자기조절적 사용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교실 밖 온라인 활동과 자기조절 능력에 대한 이해에 접근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117명의 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교실 밖 온라인 영어 활동에 대한 참여는 낮으며, 그 다양성에 있어서도 주로 영어 노래 듣기와 번역기 사용으로 매우 한정되었다. 둘째, 온라인상에서의 학습자들 자기조절전략의 사용 역시 매우 낮았다. 이는 학습자들의 ICT 기술에 대한 자기 조절 능력의 부족이 온라인 영어 활동의 낮은 참여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교실 밖 온라인 영어 활동과 ICT 기술의 자기조절적 사용에서 모두 영어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들이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을 보여주었고, 특히 정서요인과 자원요인, 문화요인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들이 교실 밖에서도 자기 주도적으로 온라인상에서 영어를 학습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영어 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또한 이를 교실 수업에서 미리 경험해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온라인에서의 자기조절 능력을 기르기 위해, 온라인 교육과정 속에 자기조절 훈련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영어 능숙도가 낮은 학습자들에게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동기와 감정을 조절하며, 다양한 언어 자원을 탐색하고 이용하며, 목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해줄 필요가 있다. With the advance of ICT and the internet technology, out-of-class online language activities provide language learners with the opportunities for authentic language use and exposure. Learners should entail autonomous learning and self-regulatory skills in their online language activities to exploit learning opportunities outside the classroom.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applying technology as a new teaching method and medium and only a few efforts were made to understand online English activities out of classroom and self-regulatory strategies within the online context. Therefore, the study explores and understands Korean EFL learners’ online English activities and self-regulatory skills in online settings by investigating Korean highschool students’ online activities and self-regulated use of technology. The date wa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given to students (n=117) at a high school in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For analyzing of the data,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were used. The findings show tha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arely engage in online English activities outside of classroom except listening to English songs and using Google Translate or Papago. They also reveal that students’ level of self-regulated use of technology is low, which could be related to low participation in online English activities. Lastly, students with higher English proficiency get involved in online activities and use self-regulated skills significantly more than lower proficiency level students. The prominent differences are found in affective, resource and cultural regar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experience various online English activities for different purposes in class. Teachers should also include practices and training in their online instruction and course design to promote students’ self-regulatory strategies. Especially for lower proficienc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support focused on affective, resource and cultural regulation.

      • '사이' 인식을 통한 잠재적 풍경의 표현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이주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jectively examine aspects of the theories and practices composing my work, and by so doing recognize the latent meanings thus revealed on multiple levels. In addition, this paper makes clear that such meaning-based analyses and explanations of works concretely demonstrate the aesthetic attitude that has permeated my daily life and efforts. My work begins from a diverse world that bears certain latencies and interesting items showing multiple folds. The world is not a uniform system, but rather a manifold one and its objects contain latent facets longing to be unfolded like the pleats on a skirt and read by us. If we view the world through the jaundiced eye of the intellect, we will only perceive what we expect to see and will never discover that which is not clearly visible. Therefore, rather than approaching an object from the outside like a scientist, for our preferred method of approach we must crack it open to enter and experience it firsthand, as though by intuition. This is the only course to discover the value of latent things. Breaking into an object and striving to empathize with the very core of its existence―this act offers us the opportunity to uncover more of the diverse aspects lying dormant within ourselves. My work also focuses on ‘meaning of sight.’The sight directed towards the center misses much. If you shift it outward toward the peripheries that are imperceptible to a center-oriented eye, you will be met with a newness, as if you had breached a firmly locked box and revealed an entire other world inside. To discover the latent diversity ensconced within everything existing in the world, we need to free ourselves from concepts. This means shifting away from the center. Adjusting one’s line of sight to recognize peripheral values while also never imposing a distinct division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s in Derrida’s notion of the ‘parergon’ helps us observe trivial regions which had been invisible with a fixed line of sight. In this manner, if we transfer our gaze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ies and observe the world, we are able to see what is ‘in between’. The in-between is a space that connects us to the world and a spot where we can find unrevealed latencies. The in-between is a middle zone that enables us to unshackle ourselves from the dichotomous mode of thinking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it is an intermediate area of contemplation and a zone of manifolds where a blending of differences reigns. Being aware of such an in-between allows one to release latencies as if decoding hieroglyphics. In that case, there needs to be direction to guide us to such features. In other words, to learn how to find the spot that can create a manifold and how to unfold it and to make it my own, I have pursued the contemplation of the in-between. Like Henri Bergson’s notion of ‘attention to life,’ this contemplation of the in-between requires one to readily focus on and precisely observe intrinsically myriad and protean phenomena as they are. Its aim is to find―not through conjunctions indicative of causation such as ‘thus’ or ‘therefore,’ but rather through Gilles Deleuze’s notion of ‘and’―not externally fixed meanings, but fluid significance intended for creation. As a conjunction of diversity, ‘and’ exhibits the symptoms of creation. Its vision of the world is not of a vertical hierarchy like a tree with its roots serving as its core, but rather―through a process of contemplation that resembles an expanding continuum of grass―a vision that converges towards an open system of manifolds that exist in-between objects. Such a process of contemplation awakens seemingly uneventful objects, ones that lie dormant beyond any indifference to objects. With such meaning as its foundation, my work focuses on teasing out the multifariousness inherent in latency and in folds, making it perceptible as well as discovering and realizing the positive distinctions within the everyday. By distinctions, I am referring to differences that permit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 peculiarities and make manifest equality amongst varieties. These distinctions spawn fissures in the quotidian of uniform sensitivities; transform the commonplace into something worthy of observation and pursuit, attracting glances of eager curiosity; and enable one to discover and make manifest the various layers of indistinguishable daily lives. In order to discover latency, I have used the medium of photography to collect objects based on coincidental encounters and given form to the coincidental traces that approximate the photographs throug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resin, thereby attempting to discover even deeper layers of latency within existing objects. I bring to light the landscape of in-betweens that emerges as a result of shifting my line of sight away from the center and towards the peripheries; refined attention by placing objects within a deserted space of ‘nothingness’ and actualized works of art through a contemplation of the ‘in-between,’a space as unfettered as a field of grass. Also, through enlargement and segmentation, I have encountered hitherto undiscovered potentials in the existing objects and allowed trivialities to proudly reveal themselves through an elevation of the object. This is how, through encountering and exploring the minutest of objects, I have expanded my capacity of contemplation, beginning from triviality and transitioning on to contemplating humanity, existence, and at times relationships, and eventually made all of this manifest. The expression of the latent landscape through an awareness of the in-between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fixed or completed. So is my work. As my reflections evolve, my work pursues a ceaseless generation of latent expressions through diverse methods and images. 본 연구에서는 본인의 작업세계를 이루고 있는 이론과 실행에 있어서의 다양한 측면들을 객관적으로 고찰하고, 그를 통해 여러 층위로부터 드러나게 될 잠재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그러한 의미를 기반으로 한 작품 분석 및 설명이 그동안 본인의 일상과 작업 속에 용해되어 있던 미학적 태도를 구체적으로 드러낸 것임을 밝히고 있다. 본인의 작업은 우선 ‘잠재적인 것’을 지닌 다양한 세상과, ‘접혀져 있는 면’이 많은 흥미로운 사물들에서 시작한다. 세상은 단일한 체계가 아닌 다양체로 이루어져 있고, 사물은 접고 펼치는 ‘주름(Le Pli)’과 같이 우리가 읽어주기를 바라는 잠재적인 면을 지니고 존재한다. 우리가 색안경을 낀 지성의 눈으로 이러한 세상을 바라보면, 보고자 하는 면만 보이고, 보이지 않는 면은 발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과학의 방식처럼 대상을 외부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직관과 같이 내부로 들어가 사물을 직접 체험하는 보는 방식에 균열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잠재적인 것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이다. 대상의 내부로 들어가 실재와 공감하고자 하는 것, 이것은 우리에게 잠재되어 있는 더욱 다양한 것들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본인의 작업은 ‘시선’에 관심을 갖는다. 중심을 보는 시선은 놓치는 것이 많다. 이러한 중심에서 잡히지 않는 영역으로 시선을 돌리면, 열리지 않았던 상자를 열고 상자안의 세계를 보는 것과 같은 새로움과 만난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가진 잠재적 다양성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이것은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주변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마치 데리다의 '파레르곤’(parergon)'처럼 안과 밖의 구분을 명확하게 짓지 않는 시선의 변화는 고정된 시선으로는 발견하지 못했던 사소한 곳을 볼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중심에서 주변으로 이동하여 세상을 바라보면 ‘사이’가 보인다. ‘사이’는 우리와 세상을 연결해주는 공간이며 드러나지 않은 잠재적인 것들을 찾을 수 있는 지점이다. ‘사이’는 이분법적 편 가르기에서 벗어나는 중간지대이며 사유의 중간지대, 차이들이 섞여있는 다양체의 지대이다. 이러한 ‘사이’를 인식한다는 것은 상형문자를 해독하듯이 잠재되어 있는 것들을 풀어놓게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것들을 찾기 위한 방향이 필요하다. 즉, 어떻게 다양체를 생성할 수 있는 지점과 만나며, 어떻게 그것을 펼쳐서 본인만의 고유한 것으로 생성할 수 있는가를 찾기 위해 본인은 ‘사이에서의 사유’를 추구한다. ‘사이에서의 사유’는 베르그송의 ‘attention’과 같이 먼저 주의를 기울여 내재적으로 다채롭고 변화무쌍한 현상을 그 자체로 잘 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은 인과관계를 지시하는 접속사들 ‘그러나 혹은 그러므로’가 아닌 들뢰즈가 제시하는 ‘그리고(et, and)’를 통하여 외연적으로 고정화된 의미가 아닌 생성을 위한 유동적인 의미를 찾는 것이다. ‘그리고’는 다양성의 접속사이며, 창조의 징후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수목(樹木)처럼 중심에 뿌리를 둔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시스템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계속 연결되어 퍼져나가는 풀과 같은 사유로 사물의 사이에서 다양체들의 열린 체계를 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유의 과정은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사물들, 사물들에 대한 무관심에서 벗어나 잠들어 있는 사물을 깨운다. 이러한 의미들을 기초로 한 본인의 작업은 잠재성과 주름이 지니고 있는 다양성을 이끌어내 가시화하며 일상의 긍정적 ‘차이’를 발견 및 구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여기서의 차이란 각각의 특이점들을 공존하게 하면서 평등한 ‘다양성’을 볼 수 있는 차이이다. 이것은 감성이 획일화되고 일상에 균열을 일으키며, 일상을 바라볼만한 것이자 찾아볼만한 것으로 변모시켜 호기심어린 시선으로 보게 만들고, 또한 동일한 일상에 다양한 층위를 발견하고 구현하게 한다. 본인은 잠재성을 발견하기 위해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한 우연한 마주침으로 사물을 수집하고, 레진이라는 재료의 특성으로 사진과 일체화되면서 우연한 흔적을 형성하여 기존의 사물에서 또 다른 잠재성을 발견한다. 본인은 중심에서 벗어나 주변으로 시선을 돌리므로 발견되는 사이의 풍경을 가시화하며, 사막화 된 ‘없음’의 공간에 사물을 배치함으로써 주의를 기울이고, 풀과 같은 자유로운 ‘사이’에서의 사유를 통한 작품을 구현한다. 또한 확대와 분절을 통하여 기존의 사물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힘을 발견하고 하찮은 것들로 하여금 사물의 비상을 통하여 당당하게 그 존재가 드러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인은 가장 작은 사물과의 만남과 탐색을 통해 사소함에서 시작하여 인간에 대하여, 존재에 대하여, 때로는 관계에 대한 것으로 사유의 폭을 넓혀가며 그것을 가시화한다. 사이의 인식을 통한 잠재적 풍경의 표현은 고정되거나 완결되는 것이 아니다. 본인의 작업도 마찬가지다. 사유의 성장과 함께, 본인의 작업은 또 다른 방식과 형상으로 끊임없이 생성되는 잠재적인 표현을 추구한다.

      • 甲骨文을 통하여 본 商代 家族文化 탐구 : 婚姻과 祭禮를 중심으로

        이주은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먼저 甲骨文 자형을 통하여 가족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父, 母, 兄, 弟, 祖, 妣 등의 자형과 그 형태를 통하여 살펴 볼 수 있는 古代 家族文化와 이를 통해 현재 우리가 계승해 나가야 할 부분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생각해 보고, 甲骨文을 통하여 婚姻文化와 祭禮文化 또한 살펴보고자 하였다.제1장에서는 연구 동기와 목적 및 선행 연구 검토, 연구 범위와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였고, 제2장에서는 中國 古代家庭의 歷史 및 發展過程에 관해서, 제3장에서는 家族制度 및 親屬關係에 관해서 논하였다.우선, ‘父’의 의미에 있어서는, 母系中心社會에서 父系中心社會로 옮겨 오면서, 經濟權을 남자가 장악하게 됨으로 인해 아버지의 威嚴과 權威가 더욱 중요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女’의 의미에 있어서는, 단지 남편과 시부모님에게 시중들고 복종하는 의미에서 벗어나 가족을 섬기며, 순종하는 ‘좋은 의미의 순종’으로 승화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 같다. ‘婦’의 의미에 있어서도 여자가 빗자루를 들고 단순히 집안일을 한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가족 내 역할 분담에 있어서 남편이 바깥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게 생각되어 지듯이, 부인 또한 집안 내에서 가사 역할이 중요함을, 즉 능력의 차이가 아닌 역할 분담의 차이로 본다면 여자를 폄하하는 의미에서 벗어나 더욱 좋은 의미로 재해석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제3장 갑골문을 통하여 본 고대 가족 윤리에서는 이혼율 급증과 자녀 출산율 저조 등의 현 사회적인 흐름과 세태 속에서 우리의 모습들을 되돌아보며, 갑골문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당시의 고대 가족 윤리관 속에서 우리가 본받고 계승해야 할 부분은 어떠한 내용이 있는지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제4장에서는 혼인과 관련된 자형과 혼인문화에 관해서 살펴보았는데, 당시의 문화와 관련해서 여러 가지 의미로 다양하게 해석하고 추론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혼인의 ‘婚’자가 어두워 졌을 때, 신부를 납치해서 데리고 오는 약탈혼을 반영하고 있다는 의미로 보는 것이 아니라, 밤에 신방을 예쁘게 꾸며 놓고 신부를 맞이하며 술을 건네는 의미로 보는 것 등이다.제5장에서는 갑골복사에 나타난 제례문화에 관해서 살펴보았는데, 과연 갑골복사라는 것이 당시 왕과 같은 지배 계급의 점을 치기 위한 수단으로써만 사용되어진 것이고, 소위 말하는 일반 평민 계급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었는지 그러한 부분도 한번 쯤은 재고해 볼 여지가 있는 것 같다.특히 ‘漢字文化學’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갑골문을 통한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 내지는 문화상을 살펴보고,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은 수용하며,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중국 문자학’ 이라는 학문의 분야가 ‘갑골문’ 이라는 最初이자, 最古인 한자 자형의 해석과 분석 위주에서 벗어나 어학과 문학을 넘나들며, 문화학과 문헌학까지 그 연구 범위가 확장되어 나아가는 폭 넓은 연구 분야로 도약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침지용액과 저장기간에 따른 신선편이 수박의 향 활성 화합물 변화

        이주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장기간에 따른 수박의 향 활성 화합물을 동정하고 침지용액에 따른 저장 중 향미 특성 변화를 비교하면서 신선편이 수박의 향미 품질관리 기술로서 침지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박피 및 절단 등의 최소가공처리를 거친 수박은 0.5, 1, 2%로 농도를 달리한 ascorbic acid, calcium chloride, calcium lactate 그리고 citric acid 수용액으로 수박을 3분간 침지 처리 후 10분간 탈수하여 PP컵에 담아 신선편이 컵 과일의 형태로 밀봉하여 4℃의 저온에서 10일간 저장하며 관찰하였다. 저장 중 수박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법으로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를 통해 분석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른 수박의 향미 특성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 (SAFE)법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GC-O-AEDA)를 이용하여 향 활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박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총 함량은 증가 추세를 보였고 C9 alcohol 및 aldehyde류 화합물이 전체 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수박의 향기성분은 linolenic acid 또는 linoleic acid로부터 lipoxygenase에 의해 급격한 속도로 생성이 이루어지며 저장 중 alcohol dehydrogenase 및 (Z)-3:(E)-2-enal isomerase에 의해 반응된 화합물이 신선한 수박의 향 특성에 변형을 가져온다. 위 과정 중 하나로 신선한 향 특성을 가진 C9 aldehyde가 alcohol로 분해되어 본래의 향 강도가 약해지거나 cucumber-like한 향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aldehyde류 화합물의 함량이 높아지면서 waxy, fatty한 향이 강해진다. 그에 따라 신선한 수박이 가지는 fresh watermelon-like, melon-like 그리고 sweet한 향 특성이 약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저장 중 수박의 변향에 기여한다고 판단되는 향 활성 화합물은 (Z)-3-nonen-1-ol (E,Z)-3,6-nonadien-1-ol, (E)-2-nonenal 그리고 (E,Z)-2,6-nonadienal로 C9 alcohol 및 aldehyde류 각각 2종으로 총 4종이었다. 위 4종의 화합물은 신선편이 가공 시 ascorbic acid, calcium chloride 그리고 calcium lactate 등을 이용해 침지 처리를 실시한 수박에서 그 함량이 저장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신선한 수박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증감의 추세가 완만한 형태 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itric acid 침지 신선편이 수박에서 4종의 화합물 함량은 신선한 수박과 비교하여 낮은 함량을 유지하면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citric acid는 효소 저해 환경을 조성해 휘발성 향기성분 생성을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citric acid는 저농도 처리 시에도 신맛이 강하여 관능적으로 기대한 효과를 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으며 신선편이 수박의 침지 처리 시 citric acid 사용은 적절치 못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수박을 가공하여 신선편이 수박 제조 시 ascorbic acid, calcium chloride 및 calcium lactate 등을 이용한 침지 처리는 신선편이 수박의 품질관리 기술로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저장 중 수박의 향미 특성 변화를 향 활성 화합물 분석을 통해 보다 명확히 구명하고 신선편이 수박의 향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품질관리 기술로서 침지의 효과를 전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아가 신선편이 수박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인자 관련 선행 연구가 함께 뒷받침된다면 본 연구가 신선편이 제품의 품질관리 기술의 개발 또는 최적화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dentified aroma-active compounds of watermelon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nd compared the change in flavor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dipping solution to confirm the effect of dipping as a flavor quality control technology of fresh-cut watermelon. Watermelon with minimal processing treatment such as peeling and cutting was observed by dipping watermelon in aqueous solution of ascorbic acid, calcium chloride, calcium lactate, and citric acid at concentrations of 0.5, 1 and 2%, draining it for 10 minutes, and storing it in a PP cup at 4℃ for 10 days.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watermelon during storage were isolated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 (SAFE) method was used to compare changes in flavor characteristics of watermelon according to storage period, and the SAFE extract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GC-O-AED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tal content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watermelon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showed an increasing trend, and C9 alcohol and C9 aldehyde compounds accounted for most of the total content. Watermelon's volatile flavor compounds are changed at a rapid rate by alcohol dehydrogenase and (Z)-3:(E)-2-enal isomerase during storage, which lead to changes in the aroma characteristics of fresh watermelon. As one of the above processes, C9 aldehydes with fresh watermelon aroma are reduced into alcohol, which weakens the original watermelon aroma intensity. Also, the content of aldehyde compounds affecting the cucumber-like flavor increased, which strengthens the waxy and fatty flavor. As a result, fresh watermelon-like, melon-like, and sweet aroma characteristics of fresh watermelon are thought to be weakened. C9 alcohol and C9 aldehyde compounds, such as (Z)-3-nonen-1-ol, (E,Z)-3,6-nonadien-1-ol, (E)-2-nonenal, and (E,Z)-2,6-nonadienal are considered to be aroma-active compounds that contribute to the change of aroma characteristics of watermelon during storage. These four compound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rend of increase or decrease in fresh-cut watermelon, which was dipped using ascorbic acid, calcium chloride, and calcium lactate during the storage period. This suggests that treatment with ascorbic acid, calcium chloride, and calcium lactate will be suitable for maintaining aroma quality of fresh-cut watermelon.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citric acid is not appropriate as a technology for maintaining the flavor quality of fresh-cut watermelon because of a strong sour taste. In conclusion, when manufacturing fresh-cut watermelon by processing watermelon, dipping using ascorbic acid, calcium chloride, and calcium lactate is suitable for quality control technology. Furthermor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r optimization of quality management technology of fresh-cut watermel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