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日本の開化期に於ける女性誌名の語彙論的硏究 : 박정미

        박정미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63

        これまでの考察結果から次のような結論を得た。啓蒙開化期の女性誌においてはいくつかの特徴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 1)誌名では圧倒的に漢字語の使用が多かったのに対し、他の文字の使用が少ないのが分かった。 2)主要な誌名は語彙の側面から従来は⌜女學⌟⌜婦人⌟⌜女子⌟⌜女性⌟の四つから出来ていると言う指摘があるが、調査した範囲では⌜婦女⌟⌜淑女⌟⌜女⌟⌜をんな⌟なども存在しているのが分かった。開化期には女性誌の誌名に「女性」の命名は一例もないのが特徴的だ。更に⌜〜世界⌟⌜〜友⌟⌜〜倶楽部⌟は他の語よリは多少多いが、一般化していたとは言えない。また⌜〜報⌟より⌜〜誌⌟の方が多く使われている誌名であることが分かる。これはおそらく當時「magazin」の日本語訳が雑誌という情報概念の伝達と言う点と意味表記を合わせ持ったところから広範に使われ出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 3)語構成の面から見ると、命名の側面から中心となる語である⌜女學⌟⌜女子⌟⌜婦人⌟⌜女性⌟が先項要素としては「女學雑誌」「女子文藝」「婦人世界」があり、後項要素としては「家庭女學」「明治女子」「婦人畫報」などが見られる。 4)女性誌の意味で⌜女學⌟が使われだしたのは『日本之女学』(1887)からと言われている。これは新しい近代化の流れの中で、女性教育の時代的必要性に応じて登場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その後、女性誌の誌名の主流は⌜婦人⌟や⌜女子⌟に取って代わられた。現代女性誌の呼称として一般的な⌜女性⌟の漢語が誌名に表われた事例は明治の開化期には一例も見られなかった。ここからも誌名と時代の相関関係は時代の社会的文化的影響を強く受けていると考えられるのである。また意味的な面から1889年『國之もとゐ』、1901年『國のはな』1893年『御国の母』のようなナショナリズムを高揚させる誌名を持った女性誌も現われた。 5)開化期の女性誌の誌名とその文字色に目を向けると、黒の使用が誌名の文字の色の80%の高頻度であり、誌名の文字以外の表紙文字の色でも86%と更に高い頻度を示している。黒の次は白が使われているが、誌名の文字の色17%、誌名の文字以外の表紙文字の色で0.8%しかなく、黒色主体の色彩空間の時代であったと言える。 6)開化期の前期は女性誌の誌名が表紙の顔となり、他のモチーフとして用いるものはなかった。その後1885年から女性像を用いるものが現われだした。その他のモチーフとして用いられているものは、草木、草花、風景、小鳥、額縁模様、単純模様が多用され、いかにも自然主義的で自然と共に生きる日本人と言うイメージを連想させるような構図となっているのが特徴的だ。また、1904年の女性像の洋服のように、西洋欧化の流れが現われたものや1905年の和服の女性像のような伝統的な日本を連想させるものもあるが、いずれにしてもメデイアの表に女性がイメージとして登場してきたということが開化期を象徴する具体的事例として大切なことである。 現代社会では女性の社会進出が活発に行われ続けているが、開化期Ⅲ當時は社会を構成しているシステムは男性支配の社会的基盤の上になり立っており、この流れは今も残存している。女性進出の機会のはるかに少なかった時代において、西欧化の波の中で新たな日本の女性像を造り上げていく姿は女性誌の世界にも顕著に反映していた.これからも詳細に研究していくつもりだ。 계몽 개화기의 1868년부터 1913년의 여성잡지에 있어서의 특징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그 고찰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지명에서는 압도적으로 한자어의 사용이 많았다. 2) 어휘의 측면에서, 종래에는「女學」「婦人」「女子」「女性」 네 가지로부터 되어있다고 하는 지적이 있지만, 조사한 범위에서는「婦女」「淑女」 등도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화기에는 여성잡지의 지명에「女性」의 명명은 한 예(一例)도 없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지명을 붙임에 있어서 「~보」보다 「~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것은 아마도 당시의 「magazin」의 일본어 번역이, 잡지라고 하는 정보 개념의 전달이라는 그 목적이었다는걸 알 수 있었다. 3) 말의 구성의 면에서 보면 「女學」「女子」「婦人」「女性」이 선항요소로서 쓰여졌다는 것은「女學雑誌」「女子文藝」등을 보면 알수 있고, 후항 요소로서는「家庭女學」「明治女子」등을 보면 알수가 있었다. 4) 여성잡지의 의미로「女學」 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日本之女學』(1887)로부터라고 일컬어진다. 이것은 새로운 근대화의 흐름 중에서, 여성 교육의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등장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 후, 여성잡지의 지명의 주류는「婦人」이나「女子」에게 교체되었다. 여기서 살펴보면, 지명과 시대의 상관관계는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또 1893년『御國の母』과 같은 내셔널리즘을 고양시키는 지명을 가진 여성잡지도 나타났다. 5) 개화기의 여성잡지의 지명과 그에 사용된 문자색을 살펴보면, 흑의 사용이 지명의 문자의 색의 80%의 고빈도를 차지하며, 흑색 주체의 색채 공간의 시대였었다고 말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여성의 사회 진출이 계속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지만, 개화기 당시는 사회를 구성해 있는 시스템은 남성 지배의 사회적 기반 이어서 이 흐름은 지금도 잔존하고 있다. 여성 진출의 기회가 훨씬 적었던 시대였고, 서구화의 물결 속에서 새로운 일본의 여성상을 완성시켜 가는 모습은 여성잡지의 세계에도 현저하게 반영되고 있었다.

      • 학급 웹사이트의 게시판 기능을 활용한 국어과 학습 효과 분석

        박정미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our society has changed from an industrial society to an information society, the educational paradigm has shifted from a teacher-centric one to a student-centric one. The Change of like this educational paradigm bring many change in teaching-learning method, one of alternative method is web cooperative-learning. Web cooperative-learning is superior connectivity to the internet, captivated students who have received information via mass media and have concerned in multimedia like sounds, movies, and animations. It is also enhanced that the ability of social interaction and the faculty of critical and analytic thinking. In this thesis, it attracted student's attention with applying the bulletin board of class web site via learning medium. And by means of it was made the database of the text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book, students became possible to do the self-directed learning at home. It is to practice upon an advantage that it was able to connect in the internet at any time. In addition, writing of students were published at web notice board by oneself and were replied by other students. Students would be induced to monitor the other's publication and to interaction analytically and critically one another.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tudents became to do the active and self-directed korean language learning by means of it was apply the database of the text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book to do preparation and review at home. 2. Students cultivated a critical sense and self-confidence by means of writing of students were published at web notice board by oneself and replied by other students. 3. Students were familiar with to use the web, technology application and were improved the faculty of Hangeul typewri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using class web site bulletin board is able to help students better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ability when using a national language.

      •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 구조모형 : 계획된 행위이론을 중심으로

        박정미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 구조모형 : 계획된 행위이론을 중심으로 박정미 지도교수: 강경숙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시도된 구조방정식 모형구축 연구이다.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를 설명하는 요인은 문헌고찰과 Ajzen(2005)의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이론적 기틀로 하여 임상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적합도와 변수들 간의 경로를 검증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근접오류 보고 태도, 수간호사와 동료의 태도, 근접오류 보고 장애,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외생잠재변수로, 근접오류 보고 의도, 근접오류 보고 행위를 내생잠재변수로 하여 총 12개의 가설이 설정되었다. 연구 대상은 임상경력 1년 이상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23년 11월 13일부터 11월 27일까지 G광역시와 C도 소재 2개 대학병원 간호부를 방문하여 허락을 받고,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연구 승인절차에 따라 동의를 받고 시행하였다. 구글 온라인 설문에 358명의 참여자가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지 22부(6.1%)를 제거하고 총 33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는 SPSS 26.0를 이용하였고,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정과 가설검정은 SmartPLS 4.0.8.4을 이용하여 경로가중치 방법(path weighting scheme)으로 분석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으로 50,000회 re-sampling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2.4세이었고, 총 근무경력은 평균 8.1년이었으며, 현 부서에서의 근무경력은 평균 4.0년이었다. 대상자가 지각한 근접오류 보고 태도는 평균 3.52±0.58점이었고, 근접오류 보고에 대한 수간호사와 동료의 태도는 평균 3.68±0.67점이었으며, 근접오류 보고 장애는 2.48±0.57점이었다. 또한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평균 3.56±0.47점이었고,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평균 3.51±0.66점이었으며, 근접오류 보고 행위는 평균 3.26±0.82점이었다. 2. 구조모형의 평가결과 예측 적합성을 나타내는 Q2값은 모두 0보다 커서 예측 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LS 구조방정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3. 구조모형의 평가결과 결정계수는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36으로 중간기여도, 근접오류 보고 행위는 .35로 중간기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모형적합도 SRMR 값은 .07로 적합하였다. 5. 가설모형의 효과크기는 수간호사와 동료의 태도(f2=.07, p<.001), 근접오류 보고 장애(f2=.07, p<.001)가 근접오류 보고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접오류 보고 의도(f2=.27, p<.001)는 근접오류 보고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설검정 결과, 12개의 가설 중 6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1) 근접오류 보고 의도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에서는 가설 2: 수간호사와 동료의 태도는 긍정적으로 인지할수록 근접오류 보고 의도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B=.25, p<.001). 가설 3: 근접오류 보고 장애는 근접오류 보고 의도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B=-.29, p<.001). 2) 근접 오류 보고 행위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에서는 가설 6: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근접오류 보고 행위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B=.51, p<.001). 가설 8: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근접오류 보고 행위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B=.18, p=.033). 3) 근접오류 보고 의도를 매개변수로 하는 가설에서는 가설 10: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수간호사와 동료의 태도가 근접 오류 보고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B=.13, p<.001). 가설 11: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근접오류 보고 장애가 근접 오류 보고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B=-.14, p<.001). 결론적으로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수간호사와 동료의 태도가 높을수록(B=.25), 근접오류 보고 장애가 낮을수록(B=-.29)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접오류 보고 의도가 높을수록(B=.51),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B=.18) 근접오류 보고 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각된 수간호사와 동료의 태도와 근접오류 보고 장애는 근접오류 보고 의도의 선행변수이고, 근접오류 보고 의도와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근접오류 보고 행위의 선행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환자안전사고 예방과 환자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간호사와 동료 간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들이 자발적으로 근접오류를 보고할 수 있도록 보고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접오류 보고 장애를 최소화하고, 근접오류 보고의 중요성 교육, 근접오류 보고율이 반영된 병원 정책 및 피드백 시스템의 구축, 간호사와 예비간호사 대상의 근접오류 보고 역량강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 <<爾雅>>의 사의에 관한 연구 : 釋고, 釋言, 釋訓을 중심으로

        박정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23572;雅》是中&#22269;最早的一部&#35757;&#37322;&#35789;&#20041;的&#19987;著,也是第一部大致按照&#35821;&#20041;系&#32479;和事物分&#31867;而&#32534;&#31713;的&#35789;典。《&#23572;雅》共分十九篇,前三篇<&#37322;&#35778;>,<&#37322;言>,<&#37322;&#35757;>&#35757;&#37322;普通&#35789;&#27719;,后十六篇&#35757;&#37322;&#20851;于&#20146;&#23646;,建筑,山川,&#40479;,&#20861;,&#34411;,&#40060;等事物的&#19987;用&#35789;&#27719;。 第一章&#20889;了&#30740;究《&#23572;雅》的目的和方法,&#36824;&#20889;了&#36807;去的&#30740;究&#21160;向。&#36807;去的&#30740;究只着重了&#23545;《&#23572;雅》的注&#37322;。但是,本文着眼的&#21017;是&#35821;&#20041;&#23398;的&#35266;点。 第二章考察了《&#23572;雅》的作者,&#26500;成的&#20869;容,性格和特点等的《&#23572;雅》的&#20307;制,&#36824;考察了&#35757;&#37322;&#35789;和被&#37322;&#35789;之&#38388;的&#20851;系和《&#23572;雅》的&#32534;排&#20307;例上的&#20307;系性。 第三章考察了前三篇的<&#37322;&#35778;>,<&#37322;言>,<&#37322;&#35757;>的意&#20041;&#20851;系。&#36825;些的&#35789;&#20041;由&#23427;所&#23646;的&#35821;&#20041;&#22330;&#26469;&#20915;定。因此根据&#36825;些&#35821;&#20041;&#22330;,分析&#35789;&#20041;&#20851;系。在分析&#35789;&#20041;&#20851;系的&#36807;程中,&#36824;考察了"二&#20041;同&#26465;"的同&#20041;多&#32452;性。 第四章考察了在《&#23572;雅》中&#21457;&#29616;的同源&#35789;的&#35821;&#20041;&#20851;系。有同意&#20851;系的&#35789;&#32452;里,&#35757;&#37322;&#35789;和被&#37322;&#35789;,被&#37322;&#35789;和被&#37322;&#35789;之&#38388;&#21457;&#29616;同源&#20851;系。&#22768;音相近而意&#20041;又相似的&#35789;往往是同源&#35789;。 如上所述,&#36825;些&#20851;于《&#23572;雅》的意&#20041;&#20851;系的&#30740;究&#24456;有用于了解&#36807;去的&#35821;言。我&#20204;&#36824;可以得到&#20851;于古代的重要&#36164;料。所以,&#36825;些&#30740;究在&#29616;代&#35821;言&#23398;和&#35821;&#27719;&#23398;等方面上&#24456;有意&#20041;和&#30740;究的价&#20540;。

      •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 지도교수: 강경숙 남부대학교보건경영대학원 간호학과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노인환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과 J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와 요양보호사 166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윤리의식은 정희자(1995)가 개발한 간호사 윤리의식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강진숙(2012)이 개발한 윤리의식 도구를,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윤숙희 등(2013)이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인식 도구를,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강현경(2017)이 개발한 환자안전활동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7월 13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LSD 사후검정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윤리의식은 4.27점,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95점,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4.31점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1일 평균 근무시간(t=3.2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현 시설에서의 근무경력(F=2.77, p=.043), 1일 평균 근무시간(t=3.2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상자의 윤리의식(r=.41 p<.001)과 환자안전문화 인식(r=.79, p<.001)은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하위요인인 조직시스템(β=.45, p<.001), 직무태도(β=.36, p<.001), 관리활동(β=.12, p=.020), 일반적 특성 중 현 시설에서의 근무경력(β=.10, p=.027)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68.4%이었다(F=90.21, p<.001).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노인요양시설의 돌봄 서비스종사자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주요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위해 근무경력, 조직시스템, 직무태도 및 관리활동과 관련하여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고양하는 환자안전관리 활동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이 필요하며, 향후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윤리의식과 환자안전 관련 연구의 시행으로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주요어 :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 윤리의식,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관리 활동

      • Effect of Cytokinin Concentration on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In vitro Cultured Moss Brachythecium plumosum

        박정미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st optimal cytokinin treatment concentration for fast growth and mass propagation of in vitro cultured moss Brachythecium plumosum which is valuable as a new plant material for urban greening. For experiment, kinetin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cytokinin in previous study wa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 non-kinetin supplemented control, 10-8 M, 10-7 M, 10-6 M, 10-5 M, and 10-4 M of kinetin, and 10-5 M kinetin + 10-5 M IAA. Also with kinetin treated time, experiment process was divided into two. kinetin treated before bud formation in protonema in experiment 1 and kinetin treated after bud formation in experiment 2. As a result, in both experiment 1 and 2 control and 10-5 M kinetin + 10-5 M IAA treatment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protonema and longest protonema. The number of protonemata and protonema elongation was smallest in 10-8 M and 10-7 M kinetin treatments. However the largest number of buds, gemma and leafy bud which is the early phase of leafy gametophyte was formed in 10-8 M and 10-7 M kinetin treatments. The number of buds tends to increase with 10-8 M and 10-7 M of kinetin concentration. Bud size wa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buds. The biggest bud was produced from 10-8 M and 10-7 M kinetin treated media and the size of bud was smallest in control. The result of experiment 2 was generally better than experiment 1 both in protonema growth and bud development.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cytokinin treatment method for fast mature and mass propagation of in vitro cultured Brachythecium plumosum was treating 10-8 M to 10-7 M of kinetin in 2 weeks after germination when bud occurred. 도시 녹화의 새로운 재료로서 가치가 있는 날개양털이끼를 대상으로 포자로부터 기내 배양 시 빠른 생장과 대량 번식에 가장 적절한 사이토카이닌 처리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처리는 사이토카이닌의 일종인 키네틴 농도에 따라 키네틴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control과 10-8 M, 10-7 M, 10-6 M, 10-5 M, 10-4 M의 키네틴, 그리고 10-5 M의 키네틴에 10-5 M의 IAA를 혼용한 처리로 구분하여, 키네틴의 처리시기에 따라 원사체에서 눈이 형성되기 전에 키네틴을 처리한 실험 1과 눈이 형성된 후에 키네틴을 처리한 실험 2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 1과 2 모두에서 control과 10-5 M의 키네틴과 옥신을 혼용한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원사체가 만들어졌고 원사체의 길이도 가장 길었다. 그리고 10-8 M과 10-7 M 농도의 키네틴 처리구에서 원사체의 수가 가장 적었고 길이도 가장 짧았다. 하지만 눈에서는 이와 반대로 10-8 M과 10-7 M 키네틴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수의 눈과 무성아, 그리고 배우체의 초기 단계인 엽 눈이 만들어졌고, 눈의 수는 키네틴의 처리 농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눈의 길이도 눈의 수와 비례하여 10-8 M과 10-7 M 키네틴 처리구에서 가장 큰 눈이 만들어졌고 control 배지에서 눈의 크기가 가장 작았다. 그리고 실험 1과 실험 2를 비교해 본 결과, 눈이 형성된 후에 키네틴을 처리한 실험 2가 눈이 형성되기 전에 키네틴을 처리한 실험 1에 비해 전체적인 원사체의 생장과 눈의 발달 모두에서 더 효과가 좋았다. 결론적으로 날개양털이끼의 기내 배양에서 빠른 성숙과 대량번식을 위해서는 10-8 M에서 10-7 M까지 농도의 키네틴을 포자 발아 2주 후 눈이 만들어진 뒤에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 달맞이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합 연구

        박정미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간소화된 삶을 추구하는 미니멀라이프 (minimal-life) 는 삭막해 보일 수 있는 생활환경에 자연물 또는 이와 비슷한 인테리어 소품을 활용하여 시각적인 안정감과 편안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공간지각적인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자연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달맞이꽃을 소재로 전통적으로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 도자 합을 실용성과 심미성을 부여해 제작하였다. 달맞이꽃은 밤에 꽃이 피고 아침에 지는 일주기성을 특징으로 갖고 있으며 현대인들이 공감 할 수 있는 그리움과 사랑, 애틋함을 꽃말로 가지고 있다. 달맞이꽃의 구조적인 형태와 꽃이 모여 있는 모습에서 시각적인 재미를 줄 수 있는 특징을 부각해 꽃이 간직한 꽃말을 합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꽃에 구성 요소들의 표현 방법은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예시로 알아보았고, 합의 시대적인 흐름을 분석해 현대합의 형식을 살펴보았다. 현대의 합은 작가의 개성과 의미를 담고 있으며 사용과 기능에 제약이 없어 장식적이고 조형적인 합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작품 제작에 있어, 합의 크기는 현대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합들을 인터넷을 통해 조사하고, 한 손에 들어오는 외경으로 대, 중, 소의 크기를 정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가압성형을 이용하였으며, 소지는 고백자를 사용하였다. 디자인은 달맞이꽃의 구성요소인 꽃과 꽃잎, 줄기, 잎사귀, 암술과 수술, 꽃봉오리를 단순화하고 특징만 부각해 상회 안료로 채색하였다. 채색은 꽃의 4가지 색상인 분홍, 노랑, 하양, 초록색만 사용하여 농담을 조절하면서 꽃의 정교함과 꽃말의 이미지를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합의 외경을 한 손에 들어오게 만들면서 손잡이의 모양이나 크기에 제약이 없어 장식성을 높일 수 있었으며 채색과 손잡이의 크기, 위치로 달맞이꽃이 지닌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가압성형으로 합을 제작할 때 생긴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다양한 기법의 활용에 더욱 깊이 있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렇듯 본 연구는 달맞이꽃의 이미지를 담고자 다양한 표현법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흔히 접할 수 있는 소재의 관심을 촉진시키고 조형성을 다시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음을 기대한다.

      • 아동이 지각한 부모공감능력이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 수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공감능력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S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남학생 102명, 여학생 119명 학생에게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부모공감 질문지, 자아존중감 질문지, 또래관계 유능성을 통해 측정하였다. 세부적인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변수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동의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자아존중감, 또래관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공감이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자아존중감, 또래관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공감이 자아존중감, 또래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공감능력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부모가 자녀의 눈높이에 맞게 공감하며 자녀를 이해하고 정서를 올바르게 지각하는 반응을 잘 표현해 준다면 자녀는 부모에게 깊이 있는 이해를 받는다는 생각을 할 것이고 또한 자신은 가치 있는 존재라고 여겨 또래관계에서도 유능하게 잘 활용해 나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나 사회적 지지체제등을 통하여 부모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병행된다면 아동의 공감능력과 함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도 동시에 유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parental empathy and peer relationship affect the child's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measured in the 5th and 6th graders in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questionnaire, and peer related questionnaire questionnaires. Parents used parental empathy developed by Cho Yong-ju to measure parental empathy. For measures to measure self-responsibility, the measure of privacy was used by Choi Boo-gyu and Jeon GwI-yeon, who studied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e like. To measure the age of children's peer, Park Joo-hee used the scale of peer power developed by Lee Joo-hee and Lee Eun-hae. Detailed analysis details include :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ied. Second, a coefficient of cronbach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ird, the independent sampl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ain variable, and the independent sample t -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gender and grades of the child. Fourth,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 empathy, self 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Fifth,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parental perception on peer relationships and self-realization.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 empathy and pe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ed relationships have shown that parental empathy is correlated with peer esteem, pe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Therefore, the study showed that parents 'empathy affects the child's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herefore, if parents sympathize with their children and underst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 correctly, they will think that they will recei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ir parents ' perception of their parents '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interests and are able to use them well in their own interests.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develop a sense of competence and peer relationship with a child's empathy and peer relationship, with the ability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enhances parental empathy through elementary and social support systems, and enables students to enhance their self-esteem and enhance their self-esteem.

      • 청소년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소진(burnout) 간의 구조모형 검증

        박정미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자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소진(burnout) 간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청소년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상담자 25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행변인으로서 청소년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매개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보이지 않고 다만,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탄력성은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상담자의 자아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소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소진예방을 위한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상담자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청소년상담자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