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전문성인식 차이 및 관계분석

        심순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differ according to internal/external individual variables. This study also aimed to analyze 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Does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differ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variables? 1-1. Does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differ according to their internal individual variables (job experiences, ages, marital status)? 1-2. Does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differ according to their external individual variables (levels of certificate, levels of salaries, types of child care center, ages of children)? 2. Does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differ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variables? 1-1. Does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differ according to their internal individual variables (job experiences, ages, marital status)? 1-2. Does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differ according to their external individual variables (levels of certificate, levels of salaries, types of child care center, ages of children)? 3.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74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in two cities (K and G), who are in charge of 0~2 year aged children. Levels of job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by Katz's classification, that is, survival stage (less than 1 year of job experiences), consolidation stage (2~3 years), renewal stage (3~5 years), and maturity stage (more than 5 years). Teachers' age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by the 5 years. Levels of salari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both the minimum wages for child care employees by payment standards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first class salary by governmental funded and/or corporate facilities. For the measurement of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modified versions of Jorde-Bloom's survey tools were used, while modified version of Lindsay and Lindsay's tools for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Al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above procedu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independent two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s fo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individual variables,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job experiences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2~3 years and those with less than 1 year of job experiences. Teachers with first level of child care certificate displayed greater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second or third level of certificate, while teachers earning more than 1400,000 Korean won per month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1200,000~1400,000 and with less than 1200,000 won per month. With regard to ages of children, teachers for 2-year-old children showe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teachers for 1-year olds, and 0-year olds.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three variables, teachers' ages, marital status, and types of child care center, respectively. Second, in terms of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job experiences showed higher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han those with 2~3 years and those with less than 1 year of job experiences, while teachers with first level of child care certificate showed the greatest perception, followed by those with second and third level. Teachers with more than 1400,000 and 1200,000~1400,000 won monthly salary displayed higher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han those with less than 1200,000 won per month.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and the four variables, teachers' ages, marital status, ages of children, and types of child care center, respectively. Thir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implies that providing higher job satisfaction inspiring working environments could be needed in improving child care teachers' job professionalism.

      • 영아보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소재 국ㆍ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김춘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어린이집의 운영현황을 알아보고, 영아보육 활성화를 위한 영아보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집단은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어린이집 509곳 중 「1999년도 보육사업안내(서울특별시 1999, 267-278)의 주소록을 참조하여, 영아보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200곳을 무작위 표본추출하였다. 설문 방법은 200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질문지에 응답을 받거나, 우편으로 질문지를 우송하여 회수하는 우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162부로 81%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부적합한 15부를 제외하여 147부의 질문지를 통계 패키지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① 영아보육교사의 일반적 사항, ② 영아보육시설 현황, ③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 및 등원·귀가, ④ 영아를 위한 시설, ⑤ 영아급식에 관한 사항, ⑥ 영아보육프로그램, ⑦ 영아보육교사, ⑧ 영아의 건강·안전관리, ⑨ 영아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 등 총 4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보육교사의 일반적 사항을 보면, 영아보육교사 배경수준은 양호한 편이었다; 영아보육교사의 연령은 20-30대가 87.8%로 젊은편이었고, 70.1%가 전문대학 이상을 졸업하였으며, 85.0%가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졌다. 또한, 영아보육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영아의 연령은 대부분(94.6%) 1-2세아로 0세아는 극소수였다. (2) 영아보육시설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본 결과, 0세반 담당 보육교사 등 영아를 위한 인력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집의 운영체는 84.4%가 종교단체·종교법인, 사회복지법인이었으며, 시설면적은 50-150평이 전체 시설의 37.4%(무응답 제외시 68.8%)였다. 영아반 운영은 1세(110곳) 2세(130곳) 영아반 위주로 편성되어 있었다. 담당교사 1인당 영아수는 1세반(90.7%), 2세반(83.5%)의 경우 「영유아보육법」의 기준을 대체로 준수하였으나, 0세반의 경우 48.5%만이 기준을 준수하였다. 영아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 수는 응답시설의 57.8%가 6-10명으로 소규모였으며, 보육교가는 57.8%가 6-10명이었다. 전체 영아보육시설에서 원장과 보육교사를 제외한 인원 현황은 취사부 (93.9%), 양호교사(21.8%), 영양사(6.1%), 관리인(12.9%), 사무원(21.1%), 기타(8.2%) 등이었다. (3)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 및 등원·귀가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부모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은 42.9%가 실시하였으며, 영아보육시설의 부모교육프로그램 운영방법은 71.4%가 원장 또는 담임교사가 어린이집에서 실시하였다. 영아들의 등원·귀가 방법은 대부분(95.2%)이 부모가 직접 데리고 오고 데리고 간다고 응답하였다.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가장 큰 바램은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4) 영아를 위한 시설에서, 영아만을 위한 필요시설 및 영아의 건강에 관계되는 몇가지 비품은 확보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아를 위한 영아보육시설의 시설 확보률은 실내미끄럼들(90.5%), 낮은 식탁(83.7%) 등만이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으며, 영아를 위한 비품 확보율은 개인사물함(99.3%), 시계(98.0%), 이불·이불장(95.9%), 모빌(85.0%), 의류·기저귀보관통(85.0%) 등이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5) 영아급식에 관한 사항에서,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영양사의 확충과 균형있는 급식을 위한 재정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아급식 식단 작성자는 원장(시설장)(41.5%), 영양사(22.4%), 외부전문가(19.0%)였으며, 영아급식 운영에서 가장 큰 애로점은 영아급식에 대한 자료(정보) 부족(25.2%)과 전문지식 부족(22.4%), 균형있는 급식을 위한 재정 부족(21.1%) 등으로 조사되었다. (6) 영아보육프로그램에서,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영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과중한 업무(업무시간·담당아동수)를 줄여주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작성자는 90.5%가 담임교사였으며, 작성시 참고자료(개발된 교재)로 사용하는 교재는 보건복지부 영유아보육프로그램 42.2%, 영유아 보육에 관한 각종 전문서적 26.5%, 서울특별시 영유아보육프로그램 23.2% 등을 사용하였다. 영아 보육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교재연구를 위한 시간 부족(3.15점/4점기준),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2.65점/4점기준) 등으로 나타났다. 영아보육계획시 비중의 중요도는 0세 영아의 경우 영아가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지도하기(5.49점/6점기준), 1세 영아의 경우 신체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기(4.79점/6점기준), 2세 영아의 경우 신체활동이 왕성한 시기의 아이들에게 안전훈련 지도하기(6.03점/7점기준) 등이었다. 영아보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는 영아의 안정과 정서발달(4.52점/5점기준)로 나타났다. (7) 영아보육교사에서, 영아보육교사의 학력의 적정선은 전문대졸 이상이었으며, 「영유아보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육인원을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보육교사의 자질향상 을 위한 연수교육기회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교사로 가장 적합한 연령층은 30대(83.1%)였으며, 학부모들이 영아를 영아보육시설에 보내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직장문제(96.6%)였다. 영아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관하여, 영아에 대한 따뜻한 사랑(3.65점/4점기준)이었으며, 영아보육교사의 학력 적정선은 전문대졸 이상(81.6%)이었다. 「영유아보육법」에 의한 보육교사 대 아동(영아) 비율에 대한 보육교사의 입장에 관하여, 1인당 0세 2명, 1세 3명, 2세 5명(91.6%)이었으며, 영아반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문제점으로 전문지식·경험부족(77.5%) 등이었다. 영아반 보육교사를 위한 연수교육 기회가 현장실무에 대부분 도움이 된 것(76.6%)으로 조사되었으며, 영아반 운영에 있어서의 애로점은 학부모의 인식 부족(3.58점/5점기준) 및 시설·설비 부족(3.45점/5점기준)이었으며, 어린이집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보육교사 및 시설(92.1%)이었다. 또한, 영아보육에 대한 의견으로는 가정양육이 가장 바람직하지만(4.25점/5점기준), 영아보육시설의 질적수준에 따라 가정양육보다 지능지수가 높을 것이라(4.51점/5점기준) 생각하고 있었다. (8) 영아의 건강·안전관리에서, 영아의 체온측정의 정기적 점검이 필요할 것이며, 영아가 아플 경우를 대비하여 응급약품의 구비와 응급처치요령 등 교육을 통하여 영아의 안정적인 보육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의 체온측정(영아의 건강 체크) 시기는 몸이 아플 때 실시(63.9%)하였으며, 0세아(12개월 미만) 입소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영아의 감염유무(4.52점/6점기준) 및 병력(4.34점/6점기준)이었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들의 건강·안전관리에 비중을 두는 부분은 위생적이고 안전한 보육환경의 정비·점검(4.91점/6점기준)과 개개 영아들의 신체적인 상태 파악(4.66점/6점기준)이었다.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의 신체검사(신장, 체중) 측정은 대부분 연 2회 이상 실시(93.2%)하였으며, 영아보육기관에서 영아가 아플때 조치 사항으로는 부모에게 연락(61.2%)하거나 시설의 응급약·응급처치를 이용하는 조치(27.2%)를 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9) 영아보육의 질적 수준을 위한 정책에서, 정부가 우선적으로 수행할 사항을 재정지원확대 측면과 교사자질향상 측면으로 구분하여 조사(3점기준)한 결과, 재정지원확대 측면은, 영아보육교사의 보수와 영아보육프로그램 및 교재·교구지원의 현실화(2.13점), 영아보육시설 개선(2.10점), 교사 1인당 영아 비율 축소(1.77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자질향상 측면은, 영아보육교사에 대한 정기 연수교육의 확충(2.65점), 영아보육프로그램 연수 전담교사제 실시(2.31점), 연간보육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1.05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유아교육에 비하여 짧은 역사를 가진 영아보육에 일선 영아반 교사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불편한 시설개선과 영아보육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수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전제로 어린이집의 미래에 대해서 보다 더 효율성을 지닌 통합교육·전인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정부 보육정책의 개선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어린이집에서 여러 연령층의 영아가 생활하므로 각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를 고려한 보육의 분화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여 영아의 연령에 맞는 다양한 영아보육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함은 물론 시설장 및 교육담당자에 대한 재교육 및 시설·비품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예산이 지원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법적·제도적 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2) 건강한 시민양성을 위한 최초의 사회기관으로서 영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교사 1인당 영아수를 적정 수준으로 줄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린이집은 부모와의 긴밀한 유대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영아와 가장 가까운 부모교육에 예산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며, 점차 그 지원범위를 확대해 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the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infant day-care policy. Out of 509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200 randomly sampled for subjects by making reference to the day-care center directory of the day-care center's. With 200 questionnaires either researcher's visiting to centers or mailing method was used. By 81 percent of return rate 16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47 questionnaires excluding 15 were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s a result of analysis more efficient integrated education for future day-care centers requires improvement on government policies for infant education as follows: Due to infants of different age groups are living together, government policy should consider budget for specialized day-care programs. Also, these programs are included teacher reeducation, development of facility and equipment. Apparently, it needs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infant per teacher needs to be reduced moderate level for confor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this, government ought to increase the financial support.

      •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진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727

        영아보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아 보육교사의 전문적인 자질향상은 중요한 관건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영아 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영아 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3] 영아 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영아 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영아 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효능 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영아 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교사의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영아 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태 및 요구 조사를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여 J도에 있는 영아 보육교사 480명에게 배부하고 그 중 378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할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토대로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시안을 영 유아 보육 전문가와 현장교사들에게 적합성 검증과정을 2차에 거쳐 실시하여 수정․보완한 후 최종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 2]에서는 개발된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J시에 소재한 영아 보육교사 27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10년 6월 5일부터 7월 17일까지 7주에 걸쳐, 총 40시간의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G광역시에 소재한 정부위탁 기관에서 실시하는 영아 보육교사 연수에 참여한 27명의 영아 보육교사로 2010년 4월 10일부터 5월 8일까지, 5주 동안 총 40시간의 교육을 받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교수 효능 감 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 STEBI)를 유아교육기관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타당화한 신혜영(2004)의 교사 효능 감 검사도구와 김현정(2007)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통합교육 연수 만족도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의 효능 감 자료는 실험처치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공 변 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연수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교사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저널 및 비형식적 면담자료를 Bogdan과 Biklen(1991)이 제시한 질적 분석의 일반적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아담당 교사들에게 영아기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영아를 위한 보육과정 운영능력과 실제 지도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영아 보육교사로서의 효능 감과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선정된 교육내용은 영아보육의 기초적 이해, 영아보육과정 계획과 운영․평가, 영아보육을 위한 환경구성과 놀이․놀 잇 감, 의사소통영역의 활동지도, 사회관계영역의 활동지도, 예술경험영역의 활동지도, 자연탐구영역의 활동지도, 신체운동영역의 활동지도, 영아의 건강 및 안전관리, 영아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지도, 영아관찰 및 평가, 특별한 요구를 지닌 영아지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등이다. 교수-학습 방법은 성인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강의를 비롯한 토의, 현장견학, 발표, 워크샵, 역할놀이, 실습 등의 방법을 포함하였다. 평가는 형성평가의 의미로 프로그램 진행 과정 중 2회에 걸쳐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방법 등의 프로그램 평가와 연수 중간 중간에 점검 표를 활용하여 교사 자신의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점검해보는 교사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총괄평가의 의미로 프로그램 종료 시 전반적인 연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교사들의 전체 교사 효능 감 및 그 하위 영역인 일반적 효능 감과 개인적 효능 감을 모두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교사들의 만족도가 비교집단 교사들의 만족도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실험집단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평가저널 및 면담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에 대한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영아의 존재와 영아보육과정에 대한 시각의 변화, 영아 보육교사로서의 반성적 자세로의 변화, 영아 보육 교사 직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되는 신념의 변화 등 긍정적인 방향으로 인식의 전환이 일어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은 교사의 효능 감을 증진시켰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으로서의 현장적용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영아반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자기돌봄이 영아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김현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영아반 교사 20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영아반 교사가 인식하는 근무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이지연(2021)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돌봄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남심과 송승민(2019)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진숙(2009)이 개발한 척도를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영아반 교사가 인식하는 근무환경은 보통 수준을 보였으며, 합리적 규정, 교사사기, 기관상호작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기돌봄의 정도는 대인관계, 영적성장, 건강책임감, 스트레스관리, 영양섭취, 신체활동 순으로 높았으며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아동최선의 이익은 하루일과 존중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근무환경, 자기돌봄,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시간에 따른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차이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경력, 학력, 직위, 기관 유형, 담당 연령, 수입,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자기돌봄,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환경의 하위요인인 교사 사기, 합리적 규정, 기관상호작용의 하위요인과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기돌봄의 하위요인인 건강책임감, 신체활동, 영양섭취,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가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근무환경과 자기돌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배경 변인 중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근무시간을 비롯하여 근무환경, 자기돌봄이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근무시간이 증가하면 영아권리존중 보육은 감소하여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과 자기돌봄은 모두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다섯째, 근무환경의 하위요인과 자기돌봄의 하위요인이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자기돌봄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가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다양한 배경 특성 중에서도 근무시간이라는 특성과 근무환경의 인식, 자기돌봄의 정도가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영아반 보육교사에게 근무시간을 준수하고, 교사의 사기를 증진하며, 기관의 운영과 제도에 있어서 합리적인 규정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근무환경을 제공해야 하고, 교사가 스스로를 돌보며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적, 실천적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정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대한 수준을 조사하고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영아보육교사직이 전문직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과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아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소재 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으며 영아반(0~만 2세)을 담당하는 영아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최종 회수되어 처리된 설문자료는 173부이다.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s Alpha,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ANOVA),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은 차이가 있다. 연령은 많을수록, 미혼보다 기혼이, 재교육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전문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연령, 경력, 결혼 유무에 따라서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력과 재교육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영아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 다섯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 공정성, 직업윤리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은 상관관계가 있고,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아보육교사의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제도적 뒷받침으로 인한 영아보육교사의 처우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vels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for infants and disclos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so that we should be able to search for the ways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and prepare for the environment where the position of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make a steady and stable one as a professional job. The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at the goals of study. First. how was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at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recognized so far? Second, what was the difference i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at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recognized so far depending upon factors of background? Third, How does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have had so far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of the test were 200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who were in charge of infants classes(aged under 2) and were working for nursing institutes or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Bucheon City, Gyeeonggi-do. A total number of questionaries returned and processed was 173 copies. The data that were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progressed using SPSS 12.0 program.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unitary dispersion analysis(one-way ANOVA), Pearson's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were used. These were summaries of the said results. First,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at the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recognized so far proved general high.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professionalism that the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recognized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married they were rather unmarried, and the more re-training they participated in,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proved to be. Third, as a result of finding ou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for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career, marital status.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academic background and re-training. Fourth, the co-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at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recognized so far proved passive. Fifth, it proved that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f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seemed to affect job satisfaction, influencing sub-factors of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n the order of self-discipline, fairness, vocational ethics. As a result of above research, there was co-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and it proved that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f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great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reform treatment of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as an institutional measure together wit change in social recognition of nursing teachers for infants.

      •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지민 신한대학교 생활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교사 19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Maslach 소진 척도(Maslach Bumout lnventory: MBI)를 이재일(2011)이 교사를 대상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Ryff, Lee와 Na(1993)가 보완하고 조명한과 차경호(2001)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를 위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김아령(2015)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소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영아보육교사가 미혼인 경우, 근무경력이 3년 이상 5년 미만일 경우, 월 평균 급여가 적은 경우, 학급 운영 형태가 복수일 경우 소진을 느끼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는 소진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은 삶의 목적, 자아 수용, 정서적 지지, 환경 통제력의 순으로 유의하게 예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종사하는 보육교사 중 영유아의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인 영아보육을 맡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처우개선과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Participants were 194 infant care teachers who work at infan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Infant care teacher psychological burnout was assessed b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Maslach & Jackson, 1981; revised by Lee, 2011),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b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Ryff, 1989; revised by Cho & Cha, 2001) an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Kim, 2015; revised by Bak, 1985). Dat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burnout in terms of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s and classroom operation type. It showed that the high burnout rate of infant care teachers who were single, if their work experience was between 3 and 5 years and if they had double classroom duties. Second, Infant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Thir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was the purpose of life of infant care teachers, the second influential factor was their self-acceptance, the third influential factor was their emotional support, and the last influential factor was their environmental contro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emotional support from social relationship network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prevent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Keywords: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신희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in on variables affecting role performance of infant care teachers and aims at developing quality care service by means of role performance of infant care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50 infant care teachers in nurseri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 The scale employed in this study was a revised and complimented version of the tool developed by Heegyeong Lee and Seongsu Kim (2000). To underst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tudy employed WLEIS(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and adopted by Jihyeon Han and Taeyong Yoo (2005). For organizational culture, the study revised and complemented a scale developed by Insook Jo (2005) and Jina Kim (2008).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와 ANOVA, post posteriori test (Scheffé),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y age when the effect of infant care teachers’ demographical variables o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role performance was examined. As for educational level, there was a difference in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a subordinated factor in role performance. As for care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ducation and teaching activity’ a subordinate factor of role performance. As for working facility type,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infant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ir role performance. It means th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y have, the better role performance they carry. Third, as for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that effects on infant care teachers’ overall role performance and subordinate factors, ‘care and basic life guidance’, ‘education and teaching activity’,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study and reflective practice’, ‘relational role’ – subordinate factors of performance –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overall role performance from the highest order had significant variables. The impact on individual variables was higher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both in subordinate factors of role performance and overall role performance.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로 영아보육교사가 역할수행을 통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로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알아보기 위해 이희경, 김성수(2000)가 개발한 도구를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Wong과 Law(2002)가 개발하고 한지현과 유태용(2005)이 번안한 WLEIS(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사용하였다. 조직문화는 조인숙(2005)과 김진아(2008)의 척도를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t-test와 ANOVA, 사후검증(Scheffé),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사의 정서지능, 조직문화,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과 ‘관련적 역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시설유형에서는 정서지능과 조직문화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조직문화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위해서는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조직문화를 높게 지각할수록 역할수행을 높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전체와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을 살펴 본 결과,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 ‘교육 및 교수활동’, ‘상담 및 정서적 지원’, ‘연구 및 반성적 실천’, ‘관련적 역할’과 역할수행 전체에서 정서지능, 조직문화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개별변인에 대한 영향력은 역할수행 하위요인과 역할수행 전체 모두에서 정서지능과 조직문화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유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좀더 나은 영아보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어떠한가? 1-1.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경력, 학력, 전공에 따라 어떠한가? 1-2.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사의 근무하고 있는 시설유형, 담당학급, 월평균 보수, 전체학급수, 근무시간, 재교육 여부에 따라 어떠한가? 2.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 2-1.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경력, 학력, 전공에 따라 어떠한가? 2-2.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근무하고 있는 시설유형, 담당학급, 월평균 보수, 전체학급수, 근무시간, 재교육 여부에 따라 어떠한가? 3.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영아보육교사 291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한 질문지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각 하위요인별 평균과 표준편차, 순위를 구하였다. 영아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과 직무 스트레스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교사의 결혼 여부와 시설유형 변인에 따른 차이는 t검증을, 그 외의 변인에 따른 차이는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LSD로 분석하였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전문성 인식 정도는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가장 전문성 인식이 높은 것은 사회적 필요성이었고, 사회 경제적 지위는 다른 하위요인들에 비해 매우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문항별로 평균과 전체 순위를 산출한 결과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전문성 인식 문항은 영아를 보호·교육하는 일의 중요성이었고, 반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같은 학력으로 가질 수 있는 타 직업에 비해 보수가 좋은 편이다는 문항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지위 요인에 해당하는 3문항 모두가 전문성 인식에 관한 총 27문항 중 25, 26, 27 순위로 나타나 매우 낮은 점수를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여부, 경력, 근무시간, 월보수, 재교육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력, 전공, 담당학급, 시설유형, 전체학급수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영아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보다 낮은 정도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순위는 경제적 안정, 원아들과의 활동, 학부모관련, 업무관련, 행정지원, 개인관련, 동료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영아보육교사들이 느끼는 중요 스트레스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문항별로 평균과 전체 순위를 산출한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직무스트레스 문항은 임무와 책임에 비해 낮은 보수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의 문항은 월급 급여일 변동의 문제였다. 영아보육교사들이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시기는 학부모관련 스트레스로 영아가 다쳤을 때 학부모의 항의로 인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그다음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는 부모의 태도로 인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영아 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신입원아의 적응기간, 영아가 아플 때. 영아의 수가 많은 것,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문제행동 있는 영아지도로 인한 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업무관련 스트레스에서는 보육시간에 보육활동보다는 잡무로 인해 바쁠 때, 퇴근시간이 늦어질 때, 교사 자신을 위한 휴식 및 휴가시간의 부족, 행사로 인한 스트레스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연령, 경력, 전공, 시설유형, 근무시간, 월보수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결혼여부, 학력, 담당학급, 전체학급수, 재교육에 따라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보면 전체적으로 부(-)의 상관이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사회·경제적 지위 요인에 가장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 봉사성에서 의미있는 상관을 보였으나 사회적 필요성, 공정성, 전문적 기술과 지식, 전문직 단체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infant nursing by improving professional recognition of infant nursing teachers and their working environment through understanding their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job stress, and verify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 The issue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were as follows. 1. How much did infant nursing teachers understand about their professional? 1-1. How did the recognition of their professional differentiate depending on their age, marital status, experiences, education and major? 1-2. How did the recognition of their professional differentiate depending on their working facilities, class in charge, monthly payment, the total number of classes and working hours? 2. How stressed were infant nursing teachers from work? 2-1. How did their job stress differentiate depending on their age, marital status, experiences, education, major and status of reeducation? 2-2. How did the does their job stress differentiate depending on their working facilities, class in charge, monthly payment, the total number of classes, working hours and status of reeducation? 3. What kind of interrelation did it exist between of infant nursing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 and their job stress? 291 of infant nursing teachers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from Seoul city nursing facilities. The survey used in this research was written out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books written related to professional recognition of teachers and job stress and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underst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f infant nursing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frequency of each question, percentage, average of each reason, standard deviation and the rank were drawn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job stress depending on different circumstance factors of infant nursing teachers, T-test for differences depending on marital status and facility types, ANOVA for other differences, LSD for further examination were per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 of the infant nursing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the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professional recognition degree of infant nursing teachers appeared to be over average in overall.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social need was the most highly recognized in their professional, and social and economic status showed very low marks compared to other subordinate factors. And the result of calculating average and the rank for each question showed that the question about professional recognition which had the highest marks indicated importance of protecting and educating infants. 3 questions, however, about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including the question that "The payment is pretty good for the same education level", which had the lowest marks, were ranked as 25, 26, 27 with very low marks out of 27 questions. The result from examining professional recognition in terms of circumstance factors of the infant nursing teach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experiences, working hours, payment and status of reeducation in overall, where as indicated no difference depending on education, major, class in charge, facility type and the total number of classes. Secondly, job stress the infant nursing teachers feel appeared to be lower than average. The rank of subordinate reasons showed economic stability, activities with the infants, relation to their parents, work relation, administrative support, personal relation, relation to colleagues in order. The result from calculating the average and the total rank for each question to analyze major stress in detail that infant nursing teachers had showed that the highest ranked question about job stress was due to low payment compared to their duty and responsibility, and the lowest ranked question was due to change of payment date. The times when the teachers were the most stressed were firstly due to parents' complaints about infant injuries, and next due to the parents'attitude that they do not recognize the teachers'professional. In infant related stress, the rank showed adaptation time of new infants, their sick time, a great deal of infants, instructing basic life manners and instructing troublesome infants in order. In work related stress, the rank showed when they are busy with other matters rather than nursing activities during nursing time, when they cannot finish in time, lack of resting and holiday time for themselves and stress from events. The result from examining job stress in terms of circumstances factors of the infant nursing teach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experiences, working hours, payment in overall, where as indicated no difference depending on education, major, class in charge, facility type, the total number of classes and status of reeducation. Thirdly, the 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job stress had negative relation in, general. job stress was the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next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 control, work ethics and social service, whereas it was in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need, special skills and knowledge, specialty groups.

      •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남연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의 문항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의 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 영유아교사 전문성, 보육교사 전문성, 영아교사 전문성에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였고,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는 구성요인으로 전문적 지식과 이해, 전문적 기술, 전문적 태도의 3범주와 발달 및 학습에 대한 지식, 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식, 가족의 이해 및 상담에 대한 지식, 보육과정 계획・실행, 일상적 돌봄, 동료·부모·기관·지역사회와의 관계, 영아보육교사 인성 및 윤리, 자기이해 및 자기계발이 설정되었다. 초기에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된 예비문항은 118문항이었으며, 3차례에 걸친 유아교육 및 보육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85문항으로 조정되었다.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친 85문항으로 최종문항을 구성하고 도구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현재 영아반을 맡고 있는 보육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도구의 적합성 검증은 총 569명의 응답결과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의 양호도, 변별도, 탐색적 요인분석, 구성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간 내적 합치도인 Cronbach의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자기평가 도구는 지식적 능력, 인성적 자질, 돌봄 능력, 협력적 능력, 보육과정운영 능력의 5요인으로 구성되며, 지식적 능력 21문항, 인성적 자질 20문항, 돌봄 능력 15문항, 협력적 능력 7문항, 보육과정운영 능력 7문항으로 총 70문항이었다. 지식적 능력은 초기에 구성된 전문적 지식과 이해에 관련된 문항이었으며, 인성적 자질은 전문적 태도에 관련된 문항이었다. 끝으로, 돌봄 능력, 협력적 능력, 보육과정운영 능력은 전문적 기술과 관련된 문항이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의 문항이 양호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의 반응분포와 문항의 변별도를 확인하였다. 문항별로 반응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의 평균은 3.54~4.57의 범위로 나탔으며, 정규분포를 벗어난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전체 상관 역시 .30 미만이 되는 문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문항 변별도를 확인하기 위해 85개 각 문항에 대해 상·하위 집단을 각각 30%로 구분하고, 각 집단 간 평균의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상위집단의 평균이 하위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의 문항은 전문성이 높은 영아보육교사와 낮은 영아보육교사를 잘 변별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측정도구의 양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이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의 전체 변량을 51.6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의 설명력 순으로 제시하면, 가장 설명력이 높은 요인 1은 ‘지식적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적 능력’은 전체 변량의 14.1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2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전체 변량의 13.68%를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인성적 자질’이며, 요인 3은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전체 변량의 10.05%를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돌봄 능력’이었다. 요인 4는 전체 변량의 6.82%를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협력적 능력’이었으며, 요인 5는 전체 변량의 6.97%를 설명하는 요인으로서‘보육과정운영 능력’이었다.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자기평가 도구의 하위요인이 구성요인으로서 타당한지 확인하기 위해 각 하위요인의 평균과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전체 평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별로도 상관계수 .50-.76 사이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보육교사 전문성의 총점과 하위요인간에는 .87~.88로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 하위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하나의 구인을 형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요인구조가 다른 표본에서도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측정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χ=470.29(df=142), TLI=.97, CFI=.97, RMSEA=.05(.05~.07)로 모든 지수가 권장 부합도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자기평가 도구의 모델은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문항 내적 합치도 계수인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 신뢰도는 .98이었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지식적 능력 .95, 인성적 자질 .95, 돌봄 능력 .93, 관계적 능력 .88, 보육과정운영 능력 .9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아보육교사용 전문성 측정도구가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타당하고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임을 검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충분히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념과 영아보육의 특성을 반영한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그동안 보육교사의 전문성 측정 영역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보육교사의 인성, 윤리와 같은 정의적 태도까지 포함하고 있어서 영아보육에서 필요한 보육교사의 능력과 자질을 폭넓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을 의미 있게 평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도구는 영아보육교사 개인적 차원에서는 스스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보육교사 양성기관에는 영아보육교사의 능력과 자질 함양을 위한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effective instrument that could evaluate the level of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o explore factors constituting their professionalism. To do so, the study was set up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is the item construction of professionalism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2. What is the validity of professionalism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3. What is the reliability of professionalism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Items of the professionalism scale were composed on the basis of reviewing literatures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ism, infant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nfant-toddler teachers' professionalism, surveys conducted to examine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Based on this process, as component factors of evaluating the professionalism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three categorie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professional skills and professional attitudes were made, and knowledge of development and learning, knowledge of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knowledge of family's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Planning and practice of child-care curriculum, routine car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parents,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ies, personality and ethics of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and self-understanding and self-development were selected. Also, 117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e content validity about preliminary items had been tested three times by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Based on the expert’s opinion, 85 items were finally selected. In order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item on professionalism,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569 child-care teachers in Infant-toddler Classe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Daejeon province. Collected data had proved construct validity through quality analysis, discrimination analysis,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verified construct validity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 factors and total average of professionalism. Also, the scale's reliability was assessed by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hich was shown as a value of Cronbach’s alph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t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fessionalism self-evaluation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consisted of five sub factors and 70 items. Specifically, those factors were: 1) Knowledge-based competence with 21 items; 2) Personality quality with 20; 3) Caring ability with 15; 4) Cooperative ability with 7; and 5) Ability to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with 7. Knowledge-based competence was related to profess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personality quality was related to professional attitudes. Finally, caring ability, cooperative ability, and the ability to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were related to professional skill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items of the professionalism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were of good quality, we analyzed their response distribution and discrimination. As a result, the average of all items ranged from 3.54 to 4.57, and there were no items out of the normal distribution. There was no question that the total correlation was less than .30. In order to confirm the items discrimination, the upper and lower groups were classified as 30% for each of 85 item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tested.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which the average of the upp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group was found in all the items. It was confirmed that the items of the professionalism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consisted of contents that could distinguish the highly specialized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from the low ones. In order to confirm the goodness of the scale's quality, the applicant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occupied 51.65% of the total variables. As for the explainability of the factors, Factor 1(Knowledge-based competence) had the highest explainability of 14.14%; Factor 2(personality quality) with 13.68%; factor 3(caring ability) with 10.05%; Factor 4(cooperative ability) with 6.82%; Factor 5(ability to operation of child care curriculum) with 6.97%. Besides, the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that five sub factors were proper to organize professionalism drew the result that ranged from .87-.88 between five sub factors and total average related in high positive correlation as well as .56 to .76 among each sub factor in positive correlation. This result confirmed that each sub factor had an organic relationship and formed a single job. O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in this study was consistent with other samples, the fit factor index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χ2 was 470.29 (df=142), TLI was .97, CFI was .97, and RMSEA was .05 (.05~.07), and all indices were found to meet the recommended compliance level. The model of the professionalism self-evaluation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Third, th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alpha) of the scale was measur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and of its factors. As a result, the overall reliability of five factors was .98, and by sub-factor, it appeared that knowledge-based competence was .95, Caring ability .93, relational ability .88, and ability to operation of child care curriculum .92. With above results, it concluded that the professionalism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reliable and valid. With this, It turned out that the professionalism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uable and reliable in evaluating their professionalism. About this study, there is significance to develop a scale that reflects the concept of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toddler care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scales to measure the professionalism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In addition,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s not only the knowledge and the technical aspects having discussed in the field of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but also the positive attitudes such as their personality and ethics,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a wide range of the ability and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professionalism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 meaningful evaluation of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is scale can help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improve their own professionalism and contribute child-car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setting up the direction for raising the abilities and qualities of the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

      • 가정어린이집 영아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과 대처방안 분석

        박정자 신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어린이집 영아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영아보육교사의 대처방안을 알아봄으로써 보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가정어린이집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가정어린이집 영아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유형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가정어린이집 영아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영아보육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는 선행연구(신혜영, 2004; 양안숙, 2008)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육전문가 1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아 예비조사를 거쳐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아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스트레스의 대처방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Feitler와 Tokar(1981)가 개발한 것으로, 이를 번안하여 사용한 김병만(2009)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육전문가 1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아 예비조사를 거쳐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영아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의 차이는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그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에서 평균 2.82로 보통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 관련 스트레스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으로는 심리적 대처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부정적 대처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아보육교사의 연령, 결혼유무, 경력, 근무시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아보육교사의 연령, 근무시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혼유무, 경력,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by identifying the level of job‐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to the job‐stress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of infant nursing teachers in home childcare cent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are the job‐stresse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infant nursing teachers in home childcare centers? Second. Is there difference in job‐stress type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infant nursing teachers in home childcare centers? Third. Is there difference in the coping strategies to job‐stresses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infant nursing teachers in home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206 infant nursing teachers working in hom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job‐stresses of infant nursing teachers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Shin Hye‐young, 2004; Yang An‐suk, 2008) modifying and supplement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the validity test of a childhood education expert and the preliminary survey. For the tool measuring stress countermeasures perceived by infant nursing teachers, the tool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study by Kim Byung‐man (2009) which translated the tool developed by Feitler and Tokar (1981)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the preliminary survey with the contents validity test of a childhood education expert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statistics program SPSS 15.0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in job‐stress type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infant nursing teachers was verified via t‐test and one‐way ANOVA.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job‐stress of infant nursing teachers was lower than average as 2.82 out of 5 and parent related stress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The most frequently used response of infant nursing teachers was psychological countermeasures and the least frequently used response of infant nursing teachers was negative response. Secon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job‐stress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infant nursing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marital status, job experiences and working hour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 Thir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coping strategies to job‐stresses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infant nursing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and working hour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job experiences, an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