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유진의 졸업작품 「동행」 해설

        김유진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3곡의 자작곡과 1곡의 편곡곡을 분석한 것이다. 각각의 곡들에 사용된 음악적 기법들을 소개하고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음악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다시마 전처리가 넙치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비 처리군, 이물질을 제거 후 다시마로 넙치를 감싼 ‘다시마 전처리군’, 이물질 제거한 다시마를 식초로 전 처리한 후 넙치를 감싼 ‘식초로 전 처리 한 다시마군’의 세 가지 보관방법을 달리한 넙치육의 전처리를 통해 시간의 경과와 환경에 따른 수분, pH와 총균수, 아미노산 측정 등의 방법을 통하여 감칠맛과 texture를 증가시키는 숙성과정에서 어떠한 성분변화와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수치화된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저장시간에 따른 수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수분 함량은 저장시간이 질어질수록 수분 함량은 증가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수분 함량이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냈다. 저장시간에 따른 pH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pH는 저장 초기에 6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시간이 지날수록 pH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이 다시마 전 처리군과 비 처리군인 일반적인 넙치 보다 pH가 높게 나타난 것은 생선회를 일반적으로 저장하면 효소류의 작용과 미생물의 번식으로 암모니아와 염기성 물질에 의하여 pH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적정산도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적정산도는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적정산도는 증가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적정산도는 일반적인 비 처리군 넙치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다시마의 첨가로 변질로 인한 산도의 증가율이 낮아진다 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시마의 첨가가 생선회의 저장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glutamic acid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는 저장 4시간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이후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같은 경향으로 비 처리군과는 다른 경향으로 나타나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다. 분석 결과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 전처리 넙치의 glutamic acid 함량이 비 처리군보다 저장시간이 높게 나타난 것은 다시마의 glutamic acid 성분이 넙치 근육에 흡수되어 증가한 것으로 보이고 시간이 지나면서 근육자체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식초처리의 유기산으로 인하여 육성분이 분해된 결과로 보여 지며 이결과는 넙치 생선회 맛에 감칠맛을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장시간에 따른 texture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경도는 저장시간 8시간에 경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경도는 일반적인 비 처리군 넙치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응집성은 저장 8시간에 증가하였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 다시마군의 응집성은 저장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탄력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처리군의 탄력성은 비 처리군 넙치의 탄력성과 같은 경향으로 저장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탄력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점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점성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비 처리군 넙치의 씹힘성은 저장시간 8시간에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씹힘성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넙치 생선회를 냉장 저장 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응집성, 경도, 씹힘성, 탄력성이 감소한 현상은 생선의 어종에 따라 콜라겐 및 근섬유의 용적 등 성질과 함량의 차이에 따라 근소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총균수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넙치인 비 처리군의 총균수는 저장 2시간까지는 2.0×102CFU/g 수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는 가장 높게 나타나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 전처리군은 같은 조건일 때 2시간까지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같은 조건일 때 저장 6시간까지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는 3.4×102 CFU/g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염처리 한 다시마가 총균수 증식을 억제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다시마의 알긴산 성분으로 인해 다시마로 감싼 넙치가 비 처리군인 일반적인 넙치회 보다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는 적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관능적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비린 냄새, 감칠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4시간에 질감과 뒷맛은 저장 2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다시마 전처리군의 비린 냄새와 감칠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6시간에 질감과 뒷맛은 저장 4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일반적인 넙치 보다 다시마로 처리한 넙치의 저장성 및 기호도가 2시간 연장 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화학적 품질특성, 미생물 특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을 종합해 보면 일반적인 넙치 보다는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이 생선회의 품질을 알 수 있는 수분함량과 pH가 적게 나타났으며 생선 회의 감칠맛인 glutamic acid와 texture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시마로 처리한 넙치가 일반적인 넙치 보다 저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서도 비 처리군 보다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 우리나라에서 인기 있는 생선회인 넙치회를 먹을 때 일반적인 넙치 보다는 다시마로 처리 하는 방법이 위생적이면서도 감칠맛과 texture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glutamic acid and texture were measured by moisture, pH, total viable counts, and glutamic acid measurement according to storage time through pretreatment of flounder with control, non-acid kelp and acid kelp. And elucidate the quantitative data on what kind of composition change and action in aging proces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with the storage time, and the moisture contents was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moisture contents was the lowest in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acid kelp at 8 hours storage time. The pH of the flounder of control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was the lowest at the beginning of storage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acid kelp increased with storage time. In this study, the pH of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was high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and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It was considered that the pH of the raw fish was increased by ammonia and basic substances due to the action of enzymes an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The analysis of the titratable acidity with storage time, the titratable acidity of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titratable acidity of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ere similar to those of normal flounder of control.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with storage time. Thi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kelp decreased the rate of increase of acidity due to alteration. The addition of kelp may be effective for the storage stability of sashimi. The result of glutamic acid with storage time, The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until 4 hours storage time, but began to decrease with storage time. The amount of glutamic acid of the flounder at 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flounder at acid kelp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s same tendency,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flounder of 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lutamic acid content of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as high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It indicated that the glutamic acid content of kelp was increased by absorption into the flounder muscle. Over time, it was produced either in the muscle itself or as a result of the degradation of the muscle component due to the organic acids in the vinegar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lutamic acid was increased in the flounder sashimi. The analysis of texture with storage time, the hardness of flounder of control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hardness of the texture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was the same as that of the pretreatment of the non-acid kelp and the pretreatment of the flounder at acid kelp. The cohesiveness of acid kelp was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Pretreatment of flounder at non-acid kelp showed the same springiness as flounder of control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the flounder of control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was the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pretreated group showed the same tendency as that of the flounder of control. It was the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viscosity of flounder of control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viscosities of pretreatment of non acid kelp and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with same tendency. The chewiness of flounder of control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chewiness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flounder at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It was considered that the decreasing phenomena of cohesiveness, hardness, chewiness and elasticity with storage time of flounder in cold storage depended on fish species and the content of collagen and muscle fib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total viable count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the total viable count in the flounder of control was not detected at 2.0×102CFU/g until 2 hours of storage and was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total viable count increased.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was not detected until 2 hours at the same condition and showe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was not detected until 6 hours after storage at the same conditions and was 3.4×102 CFU/g at 8 hours storage tim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can inhibit the growth of total viable count. It was considered that the total viable count of the kelp wrapped flounder was lower than of control due to alginic acid of kelp as the storage time longer.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storage time showed that fishy odor, glutamic acid and overall-acceptability of flounder of control shwed high preference in 4 hours storage time and texture and after-swallowing taste were high in 2 hours storage time. In the 6 hours storage time, the fishy odor, glutamic acid, and overall-acceptability And at the 4 hours storage time, the texture and after-swallowing taste showed a high preference in the pretreatment with kelp. The preference of pretreatment of flounder at kelp was 2 hours longer than that of flounder of control. Therefore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those of pretreatment of flounder and of control. In the moisture and pH value which are quality of sashimi,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ere low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And in the glutamic acid and texture, they were higher respectively. Pretreatment of flounder at kelp was more hygienic than that of flounder of control. It was more preferable in sensory evaluation than flounder of control. It was judged that pretreatment with kelp was hygienic rather than the common flounder, and it was a method to increase the texture and glutamic acid of the flounder, most popular sashimi in Korea.

      •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 비교 연구 : 7학년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김유진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음악교육은 인간이 삶을 살아가면서 음악을 사랑하고 즐기며 음악의 심미적 체험을 통해 미적 가치에 대한 판단을 길러주고 정서적이고 창조적인 면을 형성해주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미적 가치의 발견은 감상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감상교육은 음악교육에서 그 근본을 이루는 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감상교육은 현재 대부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감상곡을 비교 · 연구 하여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감상곡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감상영역을 분석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충실하게 부합하는지와 그 외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음악 교과서 감상곡 선정에 있어서 하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에 앞서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점사항을 살펴본 후 관련문헌을 통해 음악 감상교육의 중요성과 의의를 알아보았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감상곡을 분석하였는데 분석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영역을 대상으로 감상영역이 차지하는 비율과 감상곡 내의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이 차지하는 비율, 감상곡 수록현황을 알아보았으며 감상곡을 시대별, 작곡가별, 장르별, 연주형태별로 나누어 각각의 비율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 교과서에서는 전통음악의 비중이 증가하였고 그 외에도 보다 다양한 시대, 장르의 감상곡들이 제시되었으며 창작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분석을 통해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의 발전된 모습 외에 부분적인 문제점들을 파악 할 수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감상 영역 안에서 각각의 영역들이 차지하는 감상곡의 비율이 전체적으로 어느 한 영역으로 치우쳐 있었고 교과서별 차이 역시 현저히 나타났으며 둘째, 전통음악의 비중이 증가한 반면 그에 대한 심도 있는 자료나 부연 설명이 부족하였고 작곡가에 대한 정보가 실려 있지 않은 교과서도 있었다. 또한 감상곡 선정이 잘 알려진 곡들로 이루어져 다양하지 못하였고 감상곡과 연관된 정보들이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교사는 스스로 선정한 학습목표에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선택한 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해 나갈 때 그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보다 심미적인 감상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음악감상 교육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의 부족한 부분들을 개선함으로서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교육이 더욱 조화롭고 균형 있게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Music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process that enables us to love and enjoy music as we live our lives. It also helps us develops our sense of artistic value through the beauty of music and form the emotional and creative aspect in us. Discovery of the artistic value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through appreciation so the appreciation education is a fundamental element in music education. Such appreciation education is currently carried out in most of the textbook. In this paper, the music contents in the textbook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was comparatively analyzed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s, if any,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lso, the appreciation part was analyzed to see if it satisfies the suggested contents specified in the 7th curriculum, and other areas were examined so that the paper can be used as one of th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select music for the future music textbook. Before the analysis, the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curriculum revision and the pivotal points of the 7th music curriculum. Also, the study looked into importance and meaning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relevant literary works and theories. The analysis was done with the appreciation of the music textbook for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study looked into the ratio of the music appreciation part in the textbook and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in the appreciation music as well as the list of the appreciation music. Also, the study categorized the appreciation music by time, composer, genre and performing style in order to analyze the ratio and the cont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music of different times and genres can be noticed and more stress is put on the creative music. However, other than the advanced parts of the music textbook of the 7th curriculum, the analyses showed partial problems of the textbook such as the followings . First, the ratio of each field of appreciation music generally showed an inclination to one field in the music appreciation field, and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from one textbook to another. Second,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increased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insufficient in-depth information and expatiation for the music. There were some textbooks that did not even have information on the composers. Also, most of the appreciation music was well-known by people so the list was not diverse, and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usic was insufficient.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able to select a textbook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ir lesson plans, and they are advised to collect and apply various information for better aesthetic appreciation education. Also, they should improve the insufficient parts of the textbook that is the basic sourc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for harmonious and well-balanced music education.

      • 한국 웹툰의 젠더 재현 연구

        김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Korean webtoon, which have built their own narrative structure on the basis of popular support, actively explore the identity questions of individuals and become a place of discourse related to gender issues. Around 2015 when feminism discourse have been popularly re-created, a number of Korean webtoon not reproducing the traditional gender norms have appeared. These works have readability in terms of feminism by interactive potential through the web and expression of cartoon genre. This study emphasized the questions of gender ideology which was invisible in the previous studies on webto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scourses and implications of the representation of non-normative gender in Korean webtoon. In this context, gender representation is defined as the reflections of gender identity, ideas of gender, and perceptions related to gender performance constructed within social discourses to be expressed and presented in a narrative as a sociocultural structure. With the references to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by Judith Butler, and the model of universalizing view versus minoritizing view by Eve Kosofsky Sedgwick, this study concretely analyzed how non-normative gender performance in Korean webtoon generated the relevant discourses. The chapter 2 of this study dealt with the narratives of the webtoon by focusing on the disturbance between sex and gender.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 character at the center of non-normative gender performance, this chapter categorizes the gender violation characters into two types: ‘sex mismatch type’ and ‘performance mismatch type’, which wa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axes: sex as biology, gender identity as social construction and the self-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 and gender performance revealed in the process of social gender-role performance. The sex-mismatch type characters reinforce the perception that it is natural that sex, gender identity, and gender performance are consistent with the logic of norm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in webtoon showing non-normative performances through appearance, taste, and occupation among the performance-mismatch types and showing the gender role reversals in a virtual world maintain the gender performance which is inconsistent with sex and gender identity. This study called the latter a ‘genderqueer’ character. The boundary feature of genderqueer characters is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 sex and gender identity is male or female. Their performances not coherent with sex and gender identity are distinctive through the taste in case of male genderqueer characters and the gender role reversals in case of female genderqueer characters. The Chapter 3 applied the model of model of universalizing view versus minoritizing view by Eve Kosofsky Sedgwick to analyze the way of shaping genderqueer characters. The male genderqueer characters are romanticized through a universalizing viewpoint that emphasizes the potential nature of human life, not through their distinguished features. They repress their own tastes by social criticism and learn the repulsive gaze inherent in the criticism. However, an encounter with a savior character leads them to be liberated from the oppression and stand against the discrimination together. As a result, they acquire an ideal sanctuary based on the solidarity of minorities. The female genderqueer characters are represented ambivalently through the minoritizing viewpoint that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First, there are characters used as instruments irrespective of narrative context through metonymy composition. They become interesting tools for the subject of the works in the process of positively forming the fragmented body image. Meanwhile, the characters that become subjective through the metaphorical composition in the virtual world of the works visualize the contradiction of the binary oppositional society. At this point, the virtual world expands into the field where the oppressed struggle, and the female gender queer characters actively resist norms through separatism. The chapter 4 clarified the roles and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formation in the way of shaping genderqueer character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e resistance to gender norms shaped as gender queer characters in Korean webtoon enlarges the webtoon as simulation spaces in a basis of the real world. Although gender queer characters have not been able to reach the overturning of the foundation itself, they actively make meanings of ‘queerness’ and leave the possibilities as an alternative space to reflect and produce the problems and discourses of the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대중적 지지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서사 문법을 구축한 한국 웹툰이 개인의 정체성 문제를 적극적으로 탐구하며, 젠더 이슈와 관련된 담론 형성의 장으로 자리 잡고 있음에 주목한다. 한국 웹툰에는 페미니즘 담론이 대중적으로 재형성된 2015년 전후를 기점으로 전통적인 젠더 규범을 재현하지 않는 작품들이 다수 등장했다. 한국 웹툰은 웹을 통한 상호작용성과 만화 장르의 표현을 통해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독해 가능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웹툰 연구에서 가시화되지 못했던 젠더 이데올로기 문제에 집중한다. 본 연구는 한국 웹툰에 나타난 비규범적 젠더 재현에 집중하여 담론과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때 젠더 재현이란 사회 담론 속에서 구성된 젠더 정체성, 젠더에 대한 관념, 젠더 수행과 관련된 인식이 사회문화적 구조물인 서사체에 반영 및 표현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를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과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윅의 보편화 대 소수화 모델과 연관하여 한국 웹툰의 비규범적 젠더 수행이 어떤 담론을 발생시키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2장에서는 섹스와 젠더 간의 교란을 중심으로 서사를 진행하는 웹툰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비규범적 젠더 수행의 중심에 캐릭터가 있다고 전제하고, 젠더 위반적 캐릭터를 생물학적 성인 섹스, 사회적으로 구성된 성이자 캐릭터가 스스로를 정체화하고 있는 젠더 정체성, 사회적 성 역할 수행 과정에서 드러나는 젠더 수행의 세 가지 축을 기준으로 ‘섹스 불일치 유형’과 ‘수행 불일치 유형’의 두 가지로 분류한다. 섹스 불일치 유형 캐릭터들은 정상화의 논리를 통해 섹스, 젠더 정체성, 젠더 수행이 일치하는 경우를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인식을 강화한다. 반면 수행 불일치 유형 중 외모, 취향, 직업 등을 통해 비규범적 수행을 보이는 경우와 가상적 세계에서의 성역할 반전을 그린 작품들은 섹스, 젠더 정체성과 일치하지 않는 젠더 수행을 유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를 젠더퀴어 캐릭터로 명명한다. 젠더퀴어 캐릭터의 경계적 성격은 섹스와 젠더 정체성이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따라 그 양상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남성 젠더퀴어 캐릭터의 경우 취향을 통해, 여성 젠더퀴어 캐릭터의 경우 성역할 구분의 역전을 통해 특징적으로 섹스, 젠더 정체성과 일치하지 않는 수행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3장에서는 세즈윅의 보편화 대 소수화 모델을 적용해 젠더퀴어 캐릭터의 형상화 방식을 분석한다. 남성 젠더퀴어 캐릭터는 변별적인 특징이 아닌 인간 삶에서 잠재적인 성질을 강조하는 보편화 관점을 통해 낭만적으로 재현된다. 이들은 사회적 비난에 의해 스스로의 취향을 억압하고, 비난에 내재한 혐오적 시선을 학습한다. 그러나 이후 구원자 캐릭터와의 조우를 통해 억압에서 벗어나 함께 차별에 대항한다. 결과적으로 남성 젠더퀴어 캐릭터들은 소수자간의 연대를 통해 이상적인 안식처를 획득한다. 여성 젠더퀴어 캐릭터는 여성이 가진 특징을 강조하는 소수화 관점을 통해 양가적으로 재현된다. 먼저, 환유적 구성을 통해 서사의 맥락과 무관하게 도구화되는 캐릭터들이 있다. 이들은 파편화된 몸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작품의 주제를 위한 흥미로운 도구로 전락한다. 반면 작품 속 가상세계에서 은유적 구성을 통해 주체화되는 캐릭터들은 이항 대립적 사회의 모순을 가시화한다. 이때 가상세계는 억압받는 이들이 투쟁하는 장으로 확장되며, 여성 젠더퀴어 캐릭터들은 분리주의적 저항 방식을 통해 적극적으로 규범에 저항한다. 4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젠더퀴어 캐릭터의 형상화 방식이 가지는 담론 형성의 역할과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한국 웹툰에서 젠더퀴어 캐릭터로 형상화된 젠더 규범에 대한 저항은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한 모의실험의 공간으로 웹툰을 확장시킨다. 젠더퀴어 캐릭터들은 토대 자체를 뒤집는 전복에 다다르지 못했으나 퀴어함을 적극적으로 의미화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문제와 담론을 반영, 생산하는 대안적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남긴다.

      • MBC 무한도전 팬덤 연구 : 프로그램 팬덤의 참여 양상을 중심으로

        김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tar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ndom phenomenon of the MBC ‘Infinite Challenge’, a longevity entertainment program that consisted and maintained a large scale fandom. From content planning and production to distribution, competition in all media fields has become so fierce that it has become meaningless if content does not spread.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spreadability’ of content in order to adapt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way from the paradigm of the past. ‘Infinite Challenge’ Fandom is an extension of existing fandom and, at the same time, is in convergence culture. ‘Infinite Challenge’ Fandom creates a natural research environment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from community-based fandom to SNS-based fandom of convergence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fandom participation pattern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in the convergence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through the method of in depth interviews with the virtual ethnography.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content that fandom likes to understand entertainment programs program fandom. Therefore, <Research Question 1> focused on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asked "What is the driving force of the ‘Infinite Challenge’ Fandom?” The ‘Infinite Challenge’ gives viewers a sense of happiness and emotion through constant challenge to the new realm, and a lesson to viewers by bringing social messages into the entertainment program with laughter and emotion. The harmony of the members of the ‘Infinite Challenge’ gives the fans a pleasure even with the trivial conversation contents because it was a longevity program for 13 years, the ‘Infinite Challenge’ naturally grew with the viewers. Through this, ‘Infinite Challenge’ fans became physically and socially related with the members and felt the closeness to them. The crew responded sensitively to chang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actively used SNS to communicate with fandom. Next, in <Research Question 2>, we focused on the participation of ‘Infinite Challenge’ fans as the subject of cultural practice in the convergence culture explained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the entertainment program fandom phenomenon which is conspicuous in the convergence culture. The ‘Infinite Challenge’ Fandom participates in the extended ‘viewing’ method of viewing, creating, and sharing content, participating in programs, using viewer bulletin boards, communicating through SNS, voting, and applying for stories. Based on thi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meaning of watching and fandom changed in the convergence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team and the fandom. In the last <Research Question 3>, we examined the change in phenomenon of fandom participation program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which is prominent in the convergence culture. The meaning of the audience, the change of the meaning of the fandom, and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producer and the fandom. First, the meaning of ‘watching' changed in the convergence culture as the number of platforms for viewing one image content again increased and the types of contents enjoyed for each platform varied. It is not only viewing content, but also creating fan creations, sharing with other platforms, and making comments by viewers press the ‘Like’ button on the content. Second, as the way of enjoyment changes, the range of fandom that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fan’ becomes more flexible and the category of fan has expanded. Fans contributing to ‘diffusion’, which is the core of convergence culture as well as fanatics who produce active audience or fan creations are also in the category of convergence fandom.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producer fan has changed in the fandom, and the fans who produce the fan creative remake the contents in the middle of the production team and the fan, and the fans spread their content on social media and appreciate them have. Lastly, 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the activation of SNS have increased th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fans and production cr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ers and the fans has become a mutual relation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first study of fandom study in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and a rich understanding of the change of fandom participation in program which can be observed in convergence culture.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cultural study topography of domestic fandom research by discussing fandom which is an important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of modern society. 본 연구는 대규모 팬덤을 형성하고 유지하며 꾸준히 방영된 장수 예능 프로그램 MBC 무한도전의 팬덤 현상에 주목하며 시작되었다.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단계에서부터 배급하는 단계까지 모든 미디어 분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이제는 콘텐츠가 퍼지지 않으면 의미 없는 시대가 되었다. 시청률만 중시하던 과거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맞게 콘텐츠의 ‘확산성(spreadability)’을 중시해야 한다(Jenkins et al, 2013). 무한도전 팬덤은 기존 팬덤의 연장 선상이면서 동시에 컨버전스 문화 속에 있기에 본 연구에서 주목하였다. 무한도전 팬덤은 커뮤니티 기반 팬덤에서 컨버전스 문화의 SNS 기반 팬덤으로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연구 환경을 마련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버전스 문화에서 예능 프로그램 팬덤 참여 양상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상민속지학과 질적 심층 인터뷰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능 프로그램 팬덤을 이해하기 위해서 팬덤이 좋아하는 대상인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은 필수이다. 따라서, <연구 문제 1>은 프로그램 내용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무한도전 팬덤의 참여 원동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무한도전은 새로운 영역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모습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웃음과 감동을 전하고, 사회적 메시지를 예능 프로그램 속에 웃음과 감동으로 담아냄으로써 시청자들에게 교훈을 준다. 무한도전 멤버의 조화는 사소한 대화 내용만으로도 팬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13년이라는 장수 예능 프로그램이었기에 무한도전은 자연스레 시청자들과 함께 성장했다. 이를 통해 무한도전 팬들은 멤버들과 의사사회적 관계를 맺어 친밀감을 느끼고 동일시하게 되었다. 무한도전 제작진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팬덤과 소통하고자 노력하였다. 다음으로는 <연구 문제 2>에서는 컨버전스 시대에 문화적 실천의 주체로서 무한도전 팬들의 참여에 초점을 두고 컨버전스 문화에서 두드러지는 예능 프로그램 팬덤 현상의 참여 행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무한도전 팬덤은 콘텐츠를 시청하고 창작하고 공유하는 확장한 ‘시청’ 방식의 참여를 하며, 프로그램에 출연하거나 시청자 게시판 활용, SNS 소통, 투표, 사연 신청과 같은 활동을 통해 참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컨버전스 문화에서 시청과 팬덤 의미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그리고 제작진과 팬덤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해석하였다. 마지막 <연구 문제 3>으로는 컨버전스 문화에서 두드러지는 예능 프로그램 팬덤 참여 현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청 의미의 변화와 팬덤 의미의 변화, 그리고 제작진과 팬덤의 상호 교류적 관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다시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많아지고, 플랫폼마다 즐길 수 있는 콘텐츠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컨버전스 문화에서 ‘시청’의 의미가 변하였다. 콘텐츠를 보는 것은 물론이고 팬 창작물을 제작하는 것도, 다른 플랫폼으로 공유하는 것도, 그리고 콘텐츠에 ‘좋아요’ 버튼을 누르고 댓글을 다는 것도 의미 있는 ‘시청’이다. 둘째, 즐기기 방식이 변하면서 ‘팬’이라는 개념이 설명할 수 있는 범위의 기준이 유연해지고 팬덤 범주가 확장하였다. 적극적 시청자 혹은 팬 창작물을 제작하는 팬덤뿐만 아니라 컨버전스 문화의 핵심인 ‘확산성’에 기여하는 팬들 역시 컨버전스 팬덤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팬덤 내에서는 제작자 팬의 지위가 변하였는데, 팬 창작물을 제작하는 팬들은 제작진과 팬 중간의 위치에서 콘텐츠를 재가공하며, 팬들은 이들의 콘텐츠를 SNS에서 확산하고 이들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SNS가 활성화로 인해 팬들과 제작진이 소통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무한도전 제작진과 팬덤의 관계는 소통하는 상호 교류적 관계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예능 프로그램 팬덤 연구의 첫 시도이자, 컨버전스 문화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예능 프로그램 팬덤 참여의 변화를 풍부하게 이해하는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궁극적으로 현대사회의 중요한 사회문화적 현상인 팬덤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국내 팬덤 연구의 문화 연구적 지형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 안심귀가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설계

        김유진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강남역 묻지마 살인 사건과 같은 무차별적인 범죄에 대한 불안은 점점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불특정 대상을 공격하는 상해 및 폭행뿐만 아니라 성추행 및 성폭행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경찰과 시·도청에서는 순찰을 강화하고 범죄를 막기 위한 특별 치안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하지만 이는 개인정보 유출, 시간제한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근처에 있는 안심지킴이집, 즉 편의점으로 안내하는 안심귀가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먼저, 위치측위기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었으며, 적은 기반시설과 낮은 비용으로 구축이 가능한 RFID 기반 측위, 적외선 신호를 읽어 접근성에 기초한 시스템인 적외선 기반 측위, 펄스신호를 생성하고 펄스신호를 통해 통신을 행하는 전송기술인 CSS, CSS를 기반으로 하며 주로 실내나 제한된 공간 등의 근거리에서 주로 사용되는 RTLS, 이동통신기지국을 이용하는 위성항법장치, 즉 GPS 등을 기반으로 하는 측위 기술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였다. 또한, 스마트 폰 상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인 Google Map API V2와 Open API로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시작 노드부터 가장 적은 거리의 합을 갖는 노드를 다음 노드로 선택하여 목표 노드까지 반복하며 진행되는 Dijkstra 알고리즘과 인접한 노드를 비교하여 출발 노드부터 목표 노드까지 가장 낮은 비용의 경로를 찾는 A* 알고리즘과 같은 경로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Open API를 활용하여 구글 지도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위치정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Google Map에 현재 위치를 표시하고, 최단거리 경로 추천 알고리즘인 Dijkstra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여성안심지킴이 집으로 안내하도록 구현하였다.

      • 방류벽 overtopping 저감에 대한 CFD 시뮬레이션

        김유진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학물질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부터 산업현장에서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현장에서는 누출 사고에 의한 피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화학물질 누출에 의한 피해는 누출된 물질이 증발되어 확산되었을 때의 농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 증기 발생량은 액체의 표면적에 비례한다. 화학물질이 넓게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류벽을 설치함으로써 피해를 저감할 수 있다. 방류벽은 화학물질 관련 법령인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 방류벽에 관한 최소 기준을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저장시설 내부의 물질이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catastrophic failure 사고가 발생할 때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Catastrophic failure는 순간적인 방출로 인해 내부 물질이 방류벽 외부로 넘치는 overtopping 현상을 발생시키며, 방류벽에 의한 피해저감 효과가 줄어든다. 따라서 법에서 정하고 있는 최소 기준으로는 피해를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어려우므로 추가적인 안전장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 전량 누출 시 overtopping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지 장치로서 deflector plate가 고려된 방류벽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전산 유체 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프로그램인 ANSYS FLUENT 19.1을 사용하였으며, 표면 추적 기법을 통해 다상 유동을 해석하는 VOF(Volume of Fluid) 모델을 사용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방류벽 설계에 대한 overtopping 저감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Deflector plate가 설치된 방류벽이 overtopping 현상을 저감하는데 굉장히 효과적이었으며, 30°의 deflector plate보다는 45°의 deflector plate가 더 낮은 overtopping fraction 보여주었다. 하지만 catastrophic failure 발생 시의 액압을 견디기 위해서는 방류벽과 deflector plate 사이의 접합부에 추가적인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우울한 노인과 대학생의 정서적 정보처리과정 : 주의편향과 기억편향

        김유진 한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has been recently highlighted as one of the mechanisms associated with occurrence, maintenance, and relapse in depression. Depressed young adults (YA) showed the "negative bias" which states YA is more likely to pay attention to the negative information and remember it consistent with their current mood. However, the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in depressed older adults (OA) is far from clear yet. OA generally showed the "positivity effect" which refers OA is more likely to process the positive information than the negative ones. Then, do depressed OA would show the negative bias even with positivity eff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pressive mood in the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of Korean OA. A total of 51 YA(26 normal, 25 depression) and 51 OA(25 normal, 26 depress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depression group and control (normal) group based on CES-D. All OA subjects completed the health screening questionnaire and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To measure attention and memory biases, computer-administered dot probe task and recognition task were used. Neutral and emotionally-charged words and faces were presented on the scre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A had a significantly greater attention and memory biases for positive stimuli than negative or neutral ones, whereas YA showed the negative bias in attention and memory. OA were more likely to disengage attention from negative stimuli. That is, affective optimization focusing on positive affect and ignoring negative one was observed in O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OA show the "positivity effect" for attention and memory, like the elderly in western cultures. Second, depressed OA as well as depressed YA had a significantly greater attentional bias for negative stimuli compared to positive or neutral on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entional bias between depressed OA and depressed YA. The result suggests that depressive mood exerts a negative information processing bias regardless of age.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pressed OA have a negative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bias in attention and memory like depressed YA, although affective optimization is a universal characteristic in OA despite sociocultural differences. 우울증의 발생, 유지 및 재발과 관련된 기제 중 하나로 정서적 정보처리과정의 문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우울한 젊은 성인들은 자신의 기분과 일치하는 부정적인 정보에 주의를 두고 더 잘 기억해내는 부정적인 정보처리 편향을 나타낸다. 우울한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극히 드물고 그나마도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노화를 겪고 있는 노 인들은 미래의 시간이 한정되어 있다고 느끼고 현재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정보에 주의를 두고 더 잘 기억해내는 긍정성 효과(positivity effect)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우울한 노인들은 우울한 젊은 성인과 달리 우울함에도 불구하고 긍정성 효과를 보일 것인가, 아니면 우울한 젊은 성인과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정보처리 편향을 보일 것인가?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노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울한 정서 상태가 정서적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학생 51명(정상 집단 26명, 우울 집단 25명)과 노인 51명(정상 집단 25명, 우울 집단 2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우울집단은 한국판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에서 16점 이상을 받은 사람들이었고, 노인의 경우 건강 선별 설문지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에서 정상인의 기준에 해당되는 노인들이었다. 주의편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탐침 탐사 과제(Dot probe task)를 실시하였고, 기억편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탐침 탐사 과제에서 제시된 자극을 재인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두 과제는 한국 노인의 실정에 맞도록 수정하여 컴퓨터로 제작하였고, 긍정적/부정적 정서가(valence)가 있거나 중립으로 구성된 단어와 얼굴표정 자극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집단은 긍정적인 자극에 더 주의를 두고 더 잘 기억해 낸 반면, 대학생 집단은 부정적인 자극에 주의를 두고 더 잘 기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노인 집단은 부정적인 자극으로부터 주의를 철수하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이는 한국노인들도 서구 사회의 노인들과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정서의 경험을 줄이고 긍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려는 “정서 최적화(affective optimization)”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정서적 정보처리과정에서 긍정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우울 집단은 부정적인 정보에 대한 주의편향과 기억편향을 보였다. 특히, 우울한 노인 집단의 경우 우울한 대학생 집단과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자극에 더 주의를 두는 것으로 밝혀졌고, 부적 편향의 정도에 있어 우울한 노인과 우울한 대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 또한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노인이 정서 최적화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울한 노인들은 우울한 기분 상태와 일치하는 부정적인 정서가의 정보들에 선택적 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더 잘 기억해내는 부정적인 정보처리 편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주의편향과 기억편향에 있어 긍정성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정서최적화 특성이 사회문화적인 요인과 관련없이 노인의 보편적인 정서적 특성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우울한 노인도 우울한 젊은 성인과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정보처리 편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우울한 노인의 정서적 정보처리편향에 대해 밝혔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좁은 반치폭의 청색 발광 OLED 소재의 개발

        김유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OLED는 액정표시장치(LCD)와 비교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능력, 백라이트가 필요 없으며, 넓은 시야각, 높은 대비,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제작 가능성 그리고 구부릴 수 있는 기질 등의 잠재적인 특성으로 인해 유기 광전자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LCD display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단가, 소비전력, 수명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OLED 소자의 안정적인 구동과 효율, 수명을 증진하기 위해 host materials의 높은 열 안정성과 발광층으로 균형적인 전하 주입을 위한 bipolar 특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12H-benzofuro[3,2-a]carbazole (IN_FUR)과 5-pheny l-5,12-dihydroindolo[3,2-a]carbazole (IN_CAR)에 3-(3 –bromophenyl) pyridine (Py-Br) 수용체를 통합하여 두 개의 bipolar host materials을 설계 및 합성하였다. 합성된 12-(3-(pyridin-3-yl)phenyl)-12H –benzofuro [3,2-a]carbazole(Py-IN_FUR)과5-phenyl–12-(3-(pyridin-3-yl) phenyl)-5,12 -dihydroindolo[3,2-a]carbazole (Py-IN_CAR)은 우수한 열적 안정성과 좋은 bipolar 특성을 나타냈다. 장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녹색 및 청색 인광 OLED device를 제작하였다. 이 두 host materials은 우수한 발광 및 높은 양자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have drawn attraction much in organic optoelectronics due to their potential characters such as, ability to actively emit light, lack of back light requirement, wide viewing angle, high contrast, and possibility of fabrication in flexible, stretchable, and bendable substrate.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OLED technology has many ad vantages over LCD displays, it has problems in products of unit price, consumption power and product life. To promote stable operation, efficiency and life of OLED devices, high thermal stability of host materials and bipolar characteristics for balanced charge injection into emissive layers are need.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synthesized two bipolar host materials by incorporating 12H-benzofuro[3,2-a]carbazole (IN_FUR) or 5-phenyl-5,12-dihydroindolo[3,2-a]carbazole (IN_CAR) donors with 3-(3-bromophenyl)pyridine (Py-Br) acceptor. Synthesized 12-(3-(pyridin-3-yl)phenyl)-12H-benzofuro[3,2-a]carbazole (Py-IN_FUR) and 5-phenyl-12-(3-(pyridin-3-yl)phenyl)-5,12 -dihydroindolo[3,2-a]carbazole (Py-IN_CAR) showed excellent thermal stabilities and good bipolar characteristics. To investigate the device performances, green and blue phosphorescent OLEDs were fabricated. These two host materials confirmed excellent luminescence and high quantum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