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에 담긴 상담요소 분석

        정미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조상들의 삶에 대한 가치관, 태도, 생활양식 및 표현방식 등을 상담학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현대 상담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내어 현대의 한국인에게 알맞은 한국적 상담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조선시대 실학자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을 통해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과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담기법으로 체계화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연구방법은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적 특징을 제시하며 상담학적 의미를 찾아보았고, 연암의 삶과 사상 속에 담긴 상담적 요소를 바람직한 삶의 원리, 관계 형성의 원리, 인간변화의 구체적 전략으로 나누어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한 상담적 요소가 현대상담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 연암에게 배울 수 있는 상담자의 모습과 상담전략으로 나누어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 상담자의 관계 형성 및 유지 능력, 바람직한 성장을 돕는 상담 기법 등으로 나누어 체계화 하였다. 연암은 영조 13년(1737년) 2월 5일에 태어나 1805년 69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일생을 가식과 꾸밈이 없는 진솔된 모습으로 부모, 친구, 목민관의 위치에서 모범이 되는 삶을 살았고, 공감적 이해를 기본으로 진정성과 수용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만남과 관계 형성을 통해 상대방의 변화와 성장을 도왔다. 실학자로서 연암은 연행을 통해 배운 이용법을 백성을 위해 실천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이용후생의 사상을 실천하였고, 유통경제의 활성화와 상업 활동의 자유, 농업과 토지개혁 등을 주장하며 나라와 백성들의 생활이 윤택해질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교육받은 인간상으로 ‘선비’를 제시하며, 참다운 선비는 학문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을 삶의 보람과 기쁨으로 삼아야 한다고 가르치며, 일상생활을 통해 참다운 선비의 모습을 잃지 않고 다른 사람을 돕는 삶을 실천하며 살았다. 연암의 삶과 사상 속에는 많은 상담적 요소가 담겨 있다. 연암의 삶과 사상을 통해 크게 바람직한 삶의 원리, 관계 형성의 원리 그리고 인간 변화의 구체적 전략을 찾아 볼 수 있다. 연암은 의리에 따라 살기, 겉치레하지 않기, 자신의 직무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철두철미하게 일처리 하기, 유머감각 잃지 않기, 선을 추구하기, 다른 사람을 돕는 삶을 즐기기, 독서하고 배움을 즐기기, 혼자 머물지 말고 함께 어울리며 세상 경험 쌓기, 청빈하기, 효제하기 등을 바람직한 삶의 원리로 삼고 실천하며 살았다. 그리고 자기 중심성의 탈피, 공감적 심정의 발휘, 진정성을 통한 신뢰 형성,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 존중하기 등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였다. 또한 연암은 상대방의 변화와 성장을 돕기 위해 감동법, 설득법, 호통을 통한 개입,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통한 가르침, 풍류와 재기가 넘치는 유머와 우스갯소리, 상대방의 수준에 맞추어 성장하도록 돕기 등 인간변화의 구체적 전략을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연암의 삶과 사상 속에 담긴 상담요소를 토대로 연암에게 배우는 상담자의 모습과 상담전략을 체계화하였다. 연암에게 배우는 상담자의 모습은 다시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과 상담자의 관계 형성 및 유지 능력으로 나누었고, 상담전략으로는 바람직한 성장을 돕는 상담 기법을 구성하였다. 연암에게 배우는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으로는 삶의 원칙을 세우고 실천하기, 에너지를 집중시켜 일처리 하기, 평생 공부하기, 함께 어울리며 하나 되기, 유머 감각 키우기, 다양한 경험 쌓기 등을 들 수 있다. 연암에게 배우는 상담자의 관계 형성 및 유지 능력은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나를 보기, 나를 잊고 다른 사람이 되어 보기, 진정성을 바탕으로 신뢰 형성하기, 다른 사람의 의견에 귀 기울이기를 통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연암의 인간변화의 구체적 전략을 통해 배울 수 있는 바람직한 성장을 돕는 상담 기법으로는 감동주기, 사고의 폭을 넓혀가는 대화하기, 삶을 즐기는 방법 전수하기, 성장에 초점 맞추어 꾸중하기, 이야기 자료 활용하기, 유머 활용하기, 창의적인 방법 활용하기, 특성과 역량에 맞추어 성장시키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연암의 삶과 사상을 통해 상담자의 바람직한 모습과 청담자의 성장을 돕기 위한 구체적 상담기법을 찾아내어 현대 상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좀 더 지속적인 연구와 검증을 통해 보다 가치 있는 상담 지식으로 발전시키고, 상담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연암 상담법이 완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aditional values, attitudes , the methods of expression by a counseling view and to develop Korean-style counseling.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s to systematize counselor's good attitude and counseling strategy through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Park Ji Won who had been a realist in the Chosun Dynasty. This study found the value of counseling in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Park Ji Won and extracted the counseling elements - the principle of life and human relationships, and the concrete strategy for helping other people - through his life and philosophy. Finally, this study found how to apply the counseling elements to modern counseling and systematized them as the counselor's good attitude, the counselor's ability for human relationships and the counseling strategy for helping other people. Yeonam was born in 1737 and died at the age of 69 in 1805. Yeonam was honest man who didn't act pretentiously. And he was a role model for children, friends and all the people and he had established and maintained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empathic understanding, congruence and acceptance in his life. A realist Yeonam practiced his philosophy 'I-Yong-Hu-Saeng' as he helped the people with kiln, bricks, ondol, cart which he learned in YeonKyeong. And He insisted on reinvigoration of distribution industry, the freedom of commercial activities, agriculture and land reform and he studied for the wealth and power of a nation He presented 'SeonBi' as the educated ideal image and insisted that SeonBi has to help all the people with his learning. And he had helped all the people, keeping a good image as Seonbi in his life. There are a lot of counseling elements in Yeonam's life and Philosophy. We can find the principle of life, the principle of human relationships, the concrete strategy for helping other people. Yeonam had practiced the principle of desirable life - to live by loyalty, to do without the formalities, to be perfect in his duties, to be with a good sense of humor, to pursue virtue, to take delight in helping other people, to take delight in reading and learning, to be with other people and have varied experience , to be poor but honest, to do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etc. Yeonam had established and maintained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not self-centered, empathic understanding, congruence and acceptance other's opinion, etc. Yeoanam had made use of the concrete strategy - to give a deep impression, to persuade, to give a good scolding, to teach with variety cautionary topic, to use a good sense of humor, to mature at the level of their ability, etc - for helping other people. This study systematized counselor's attitude and counseling strategy based on counseling elements in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The counselor's attitude divided into counselor's good attitude and the counselor's ability which establishes and maintains human relationships. The counseling strategy was constituted of the counseling methods for helping other's desirable change and growth. The counselor's attitude which we can learn from Yeonam are to make and practice a principle of life, to concentrate his energy on work, to study in his life, to be with other people, to develope a good sense of humor, to have varied experience. The counselor's ability which establishes and maintains human relationship that we can learn from Yeonam is to look at myself through other's eyes, to get rid of myself and become others, to build up trust with congruence, to pay attention to other’s words. Lastly, the counseling methods which we can learn from Yeonam are to give a deep impression, to converse making other's thought to expand, to initiate other people into the way of enjoying life, to scold for other's desirable change and growth, to use various cautionary topic, to make use of a good sense of humor, to make use of a creative methods, to make other people to mature in their abilit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ystematized the counselor's good attitude and counseling strategy which are able to be used in modern counseling through the life and philosophy of Yeonam. In the future, it can be developed into more worthy counseling knowledge which can be used in reality through continuous study and verification.

      • 연암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

        이성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Yeonam Park Ji-won(1737~1805) adopted the basic framework of the ideal of an educated man, educational ideology, and educational goals, content, and systems and maintained the framework. That investigation approach played a part in the systemization of his educational thoughts by employing a macroscopic perspective, but the old macroscopic research style has its limitations with applying his educational thoughts to fresh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s. In an effort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this study raised a banner of "Educational thoughts are even further highlighted when having fitnes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educational elements revealed across his books and check whether they could be specifically applied to modern education. For the purposes, the study first categorized his educational thoughts into the goals, subjects, objects, and methods of science for inquiry. The study then identified educational elements found across his books and also the areas of education in which they could be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There were five areas of education identified, and it was found that his educational thoughts could be applied to the modern field of education in a useful way. Yeonam's educational thoughts can be divided into the goals, subjects, objects, and methods of science. The goals of science started with the subject "I" and were extended to the people and nation in the spatial scope. First, the primary goal was to suppress the selfish interests and desires of the body, which effort was to establish the individual identity. Second, the secondary goal was to make the lives of the people affluent. Yeonam maintained that the process of science should lie in its practical application. Application is expressed in promotion, which can lead to public welfare. Finally, the ultimate goal of science was to build a world where virtues would stand right(正德). The subjects of science were classical scholars. Yeonam denied the ideology of the times, which made "noblemen equal to classical scholars" and discussed the definition and duties of classical scholars, who belonged to the same category as farmers and artisans downwards and became friends with kings and dukes upwards. It established the concept of classical scholars by raising the status of the common people and lowering that of kings and dukes, arguing that both kings and the common people could be classical scholars. The duty of classical scholars was to pursue science, whose goal was to provide welfare to the people. Classical scholars should therefore do practical science, a science of promotion of public welfare. Yeonam categorized the methods of science into four: the first one was non-discriminatory question method, which means that one should ask questions even to women and servants if they know more; he second one was Beopgochangsin(法古創新), which means that one can deal with the present by emulating the old and keep his or her current sophistication by making anew; the third one was Seonjihuhaeng(先知後行), which means knowing first, and acting later; and the final one was to use pictur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cience. The educational elements identified in Yeonam's books were applicable to five areas of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reading education, integrity education, five senses educa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in schools. First, the proposition that "My friend is second me" implied in Yeonam's theory on friendship defined friends as a community in one's independent space rather than objects as others. It helps the students renew their perceptions of friends and encourages them to practice the importance of friends in schools where the risk of school violence is growing. The investigator diagnosed field fitness for education to prevent school violence by defining the significance of friends, who had been neglected in schools, anew and re-illuminating Yeonam's life. Second, the investigator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his reading method, mindset, and attitude to reading education. Finding the goal of reading in realization and discussing reading methods for realization in three stages, which include the stage of emptiness, which involves getting rid of selfish interests and desires and emptying the mind, the stage of summary, which involves grasping the gist of text well and focusing on what is important, and the stage of realization, which involves attaining a realization through the concentrated gists. It was noteworthy that Yeonam discussed the mindset and attitude of reading. Third, his honest living and thoughts of money can be applied to integrity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integrity was defined as "discarding one's private interests and fulfilling the publicness of the organization and public interest." After limiting the scope of private interest to money, the investigator discussed the applicability of his thoughts of money to integrity education designed to implement publicness and public interest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his thoughts of money. Fourth, the study also stated the importance of balanced uses of the five senses through Yeonam's discourse about "seeing and listening." Five senses education claims enough values at a time when there are concerned with potential problems with education focused on advanced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such as smart devices, which have been employed in full scale in school lessons. Finally, Yeonam's eyes always remained between, and he always thought between. The present study pulled a concept of "between" in his writings, diagnosed its creative values, and discussed that the proposition of "thinking between" could be a thesis to be made good use of in creativity education activities taking place around the school. Sophistication found across Yeonam's thoughts increases their applicability to modern education. His thoughts were examined in five categories in the present study and are expected to be more diversified and content-rich in future studies.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암 박지원(1737~1805) 교육사상 논문들의 연구는 교육적 인간상, 교육이념,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제도 등을 기본 골격으로 하여 그 틀에 맞추어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방식은 거시적인 관점을 취해서 연암의 교육사상을 체계화시키는 데 한 몫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거시적 연구방식으로는 학교현장에서 행하여지는 생생한 교육활동에 연암의 교육사상을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육사상은 교육현장에서 적합성을 가질 때 더욱 빛을 발한다’ 라는 명제를 기치로 내걸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연암 저서 전반에서 드러나는 교육요소들을 가려내어 현대 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여지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연암의 교육사상을 학문의 목적, 학문의 주체, 학문의 대상, 학문의 방법으로 분류하여 규명하였다. 다음으로는, 연암 저서 전반에서 보이는 교육요소를 추출하여 미시적인 관점에서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교육 분야를 찾았다. 그 결과 5가지 교육 분야로 나눌 수 있었고, 연암의 교육사상이 현대 교육현장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암의 교육사상은 학문의 목적, 학문의 주체, 학문의 대상, 학문의 방법 등 4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학문의 목적은 ‘나’라는 주체에서부터 시작하여 백성과 나라에 이르기까지 공간적인 범위를 확장시켜갔다. 첫째, 1차적 목적은 내 몸의 사욕을 누르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개인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일이기도 하다. 둘째, 2차적 목적은 백성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것이다. 연암은 학문의 과정은 실천적인 응용에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응용은 이용으로 표현되니 이용을 하면 후생이 된다. 셋째, 학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덕이 바로 선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학문의 주체는 선비이다. 연암은 ‘양반=선비’라는 시대적 이데올로기를 부정하고 선비의 정의와 임무에 대해서 논하였다. 선비는 아래로 농․공과 같은 부류에 속하고 위로는 왕공과 벗이 된다. 이는 상민의 지위를 올리고 왕공의 지위를 낮추어 선비의 개념을 정립한 것으로 왕과 평민이 모두 선비가 된다. 선비는 학문을 하는 사람이다. 학문의 목적은 백성들의 후생에 있으므로 선비는 이용후생학문인 실학을 하여야한다. 연암의 학문방법은 4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차별 없는 질문법으로서 나보다 많이 아는 자가 계집과 종일지라도 지체하지 말고 물어보아야한다. 둘째, 법고창신의 방법으로 옛것을 본받으면서 현재와 변통할 수 있고, 새롭게 만들면서 현재의 세련됨을 잃지 않음이다. 셋째, 먼저 알고 행하는 선지후행의 방법이다. 넷째, 학문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그림을 이용한 방법이다. 연암의 저서에서 추출한 교육요소는 학교현장에서 학교폭력예방교육, 독서교육, 청렴교육, 오감교육, 창의성교육 등 5가지 교육 분야에 적용 가능하였다. 첫째, 연암의 우정론 속에 함의되어있는 ‘붕우는 제 2의 나’라는 명제는 친구를 타인으로서의 객체가 아니라 나의 주체적 공간속에서 함께하는 공동체로 정의하였다. 이는 학교폭력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이 친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친구의 소중함을 몸소 실천하도록 독려한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소홀히 다뤄졌던 친구에 대한 의미를 새로이 규정하고 연암의 삶을 재조명함으로써 학교폭력예방교육에 대한 현장 적합성을 진단하였다. 둘째, 연암의 독서방법과 독서하는 마음가짐과 자세를 통해서 독서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연암은 독서의 목적을 깨달음으로 보고, 깨달음을 위한 독서 방법을 세 단계로 나누어 논하였던 바, 사심을 없애고 마음을 비우는 허(虛)의 단계, 글의 핵심을 잘 파악하여 중요한 내용에 집중하는 약(約)의 단계, 집중되어진 핵심들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오(悟)의 단계이다. 또한, 특기할 만한 것은 연암이 독서하는 마음가짐과 자세에 대해 논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연암의 청빈한 생활과 돈에 대한 사상은 청렴교육에 적용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청렴을 ‘사적인 이익을 버리고 조직의 공공성과 공익을 실현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사적인 이익을 돈에 국한 시킨 다음, 연암의 돈에 대한 사상을 이론적 토대로 삼아 공공성과 공익을 실현하기 위한 청렴교육에의 적용 가능함을 논하였다. 넷째, 연암의 ‘보고 들음’에 대한 담론을 통해서 오감의 균형적인 활용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학교현장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과 같은 고도화된 시청각교재 위주의 교육에서 드러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우려의 시각에서 오감교육이 가지는 가치는 충분하다. 다섯째, 연암의 시선은 항상 사이에 머물러 있었고, 사이에서 생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암의 글에서 ‘사이’의 개념을 끌어내었고, ‘사이’가 가지는 창의적 가치를 진단해보았다. 그리고 ‘사이에서 생각하기’라는 명제가 학교현장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성 교육활동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테제가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연암의 사상 전반에 흐르는 세련됨은 현대교육에 적용가능성을 높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5가지로 한정하여 다뤘지만, 향후에 이뤄질 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화되고 내용면으로 풍부해질 거라 기대한다.

      • 연암 소설의 교재화 방안 연구

        조은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당시 사회의 현실을 직시했던 연암 박지원은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앞에 놓인 사회의 모습에 대하여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찾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연암의 신념은 그의 작품을 통하여 고스란히 구현된다. 본 논고에서는 연암 박지원의 작품들 중에서 한문 단편 소설에 논의를 한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암 박지원의 소설들이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방향으로 교과서에 수록되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연암의 소설의 교재화 방안에 대하여 고민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연암 박지원은 글을 쓸 때에는 존재하는 사실에 대하여 아무 꾸밈없이 쓰기를 언급하였다. 즉, 자신의 생각이 담긴 문장으로 자신만의 글을 쓰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념은 자서(自序)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작가에 대한 소개나 글의 내용에 대한 소개에 그치는 대부분의 자서(自序)들과는 달리 연암 박지원은 그 안에 당시 사회를 바라보는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였다. 연암의 소설은 학습자에게 교육적 가치를 제공한다. 연암의 평생의 고민은 친구에 대한 것이었다. <마장전>에 나타난 친구 사귐의 문제는 현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에게도 충분히 공감이 가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연암 소설의 또 다른 교육적 가치는 연암 문학 속에 나타난 근대성을 들 수 있다. 연암은 자신이 양반임에도 양반 사회의 부도덕성과 위선을 고발한다. <양반전>을 통하여 연암은 자기 성찰에 대한 화두를 학습자에게 던져준다. 또한 평범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현실 참여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광문자전>은 광문이라는 거지를 통하여 비록 거지이지만 광문의 삶을 긍정하며 새로운 인간상에 대하여 조망하고 있다. 조선 사회는 여성에게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열녀함양박씨전>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을 통하여 여성 또한 남성과 같은 인격체라는 것과 여성에게 강요된 희생에 대하여 생각하는 계기를 제공해준다. 또한 새로운 열녀관을 제시하여 학습자에게 교훈을 준다. 본고는 5차 교육과정기부터 2011교육과정기까지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연암의 한문 단편 소설들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연암 소설의 교재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 연암 박지원 작품을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

        강인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 입시 논술이 공교육에서 준비되기 어려운 현실적 상황에 대하여 문제 의식을 갖고, 연암 박지원의 작품을 활용하여 학교 수업 시간 중에 시도해 볼 수 있는 논술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국어 수업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수많은 작가의 문학 작품 중 연암 박지원의 작품을 본 연구에서 선택한 것은 연암 박지원 작품이 가지는 여러 장점 때문이다. 우선 연암 박지원의 작품은 당대는 물론 지금에 이르기까지 최고로 꼽힐 만큼 훌륭하다고 인정 받고 있어 논술 교육을 위해서가 아니고서라도 이미 국어 수업 시간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교사나 학생 모두에게 따로 수업 준비를 하거나 새롭게 읽고 이해해야 한다는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연암 박지원의 작품에는 논술에서도 관심을 가질 만한 비판적․창의적으로 생각할 거리가 많아 학생들의 사고력을 충분히 자극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이런 이유 때문에 여러 고전 텍스트 중에서도 연암 박지원의 글은 주요 대학의 논술 제시문으로 기출 빈도가 매우 높은 편이기도 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연암 박지원의 여러 작품 중에서 <허생전> 및 <일야구도하기>와 <능양시집서>를 논술 지도를 위한 주요 제재로 삼았다. 우선 <허생전>은 작품 속에 드러난 작가의 문제 의식의 폭이 넓고 깊기 때문에 학생들이 논술적 시각을 키워 나가기에 적절한 작품이다. 또한 <일야구도하기>와 <능양시집서> 두 작품은 주제 면에서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기 때문에 함께 언급하고자 하는데, 대학 입시 논술에서 자주 기출되는 ‘인간의 경험과 인식’이라는 논제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관련 배경 지식을 심화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다. 이에 좀더 자세히 <허생전> 및 <일야구도하기>와 <능양시집서>가 논술 제재로서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실제 대입 논술 기출 문제를 분석하였다. 먼저 <허생전>은 조선 후기의 모순된 현실에 대하여 문제 의식을 느낀 연암 박지원의 비판 정신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작품의 내용은 허생의 상행위를 통한 부 축적 과정, 허생이 축적한 부를 사용하여 사회 활동을 벌이는 과정, 허생의 시사삼책 제시로 세분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이 작품에는 매점매석 문제, 도적이 된 빈민의 구제와 같은 분배의 문제가 나타나며, 빈 섬 이야기가 나오는 부분을 통해 이상 세계의 요건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다. 허생이 시사삼책을 제시하고 받아들여지지 않는 모습을 통해 당대의 문제적 실상을 꿰뚫어 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일야구도하기>와 <능양시집서>에서는 인간의 경험과 인식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일야구도하기>는 연암이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너면서 느낀 감회를 적었는데, 이를 통해 마음의 판단에 따라 동일한 사물이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고 하면서 인간의 인식이 지닌 주관성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능양시집서> 역시 사물을 인식함에 있어 고정 관념이나 선입견에 사로잡혀 있는 태도의 문제를 지적하며 편견에서 벗어나 대상의 다양한 측면을 다각도로 살피려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작가의 견해가 나타난다. 이와 같은 작품 분석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논술 지도 모형을 구안하였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가지고 실제로 지도한 사례 역시 아울러 보여주었다. 지도 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며, 논술 지도 모형의 학습 단계는 ‘작품의 이해 및 감상’, ‘배경 지식 활성화’, ‘주제별 토론’, ‘실전 논술 쓰기 및 논술문 평가’로 구성된다. ‘작품의 이해 및 감상’ 단계에서는 일반적인 문학 작품에 대한 수업에 준하여, 작품을 읽고 내용 파악을 하는 시간을 가졌고, ‘배경 지식 활성화’ 단계에서는 작품에 내재된 논술 주제와 관련하여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주제별 토론’ 단계에서는 앞선 시간에 다루었던 주제 중 1~2개를 골라 모둠별 토론 및 대표 토론을 함으로써 근거를 마련하고 입장을 정리하면서 논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었다. ‘실전 쓰기 및 논술문 평가’ 단계에서는 연암 박지원의 작품과 관련된 대학 논술 기출을 변형하여 논술 문제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논술문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그에 대해 첨삭 및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실전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는 데 힘썼다. 대부분의 학교 현장에서 논술 교육의 기회는 특정한 몇몇 학생에게만 주어지고 있으며, 혹은 아예 학교가 아닌 사교육 기관을 통해 논술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논술 교육의 이런 현실에 대해 문제 의식을 느꼈기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국어 시간에 수업할 수 있는, 연암 박지원 작품을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을 구안했으며, 이를 실제로 시행해 봄으로써 수업 시간 중에 충분히 논술 교육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더욱 많은 학생에게 논술 교육의 혜택이 주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연암 박지원 작품만을 놓고 논술 지도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미흡함이 있고, 수업 시수 및 여건의 부족으로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다. 이는 관련 연구자들이 더욱 분발하여 다른 문학 작품을 통한 시도, 혹은 새로운 방법론을 통한 연구를 계속함으로써 극복해 나갔으면 한다.

      • 燕巖 朴趾源의 漢文短篇 硏究 : 여성인물의 특성과 역할을 중심으로

        김정주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암 문학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논의가 이루어져왔으나 여전히 밝혀져야할 분야가 여러 부분에 남아 있다. 그 중에서 한문단편과 관련된 부분은 제일 먼저 문헌자료의 정확한 해석이 부족해 제대로 작품을 이해하기 어렵고 연암의 작품 자체에 대한 분석 보다는 주변 탐색에 치우쳐 연암의 사상에 가려진 논의가 더 많아 다양하고 본격적인 작품론이 필요하다. 연암의 한문단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연암의 실학사상과 연결지어 연구되어왔다. 특히 작가의 작품 자체 보다는 외부적 시대상황과 연암의 사상에만 치우친 연구가 많아 연암 작품이 갖는 주제, 특징, 구조를 다양한 각도에서 볼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동안 연암의 한문단편 연구 중 전체를 위한 일부분으로 잠깐 언급되거나 아예 논의되지 않은 여성인물에 촛점을 두고, 연암의 한문단편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한문단편 전체에서 그들의 특징과 역할을 먼저 조명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여성인물이 등장하는 한문단편을 연행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인물의 특성과 세계관을 드러내주는 가치갈등 구조 속에서 여성인물들의 역할과 특징을 주제별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작품 전체에서 그들은 부분적으로 등장할 뿐이고, 글의 주인공만큼은 주동적이고 입체적인 인물들로 그려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그 당시 종래의 소설들이 그려내고 있는 여성인물의 모습보다는 파격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는 12편의 한문단편(그 중〈鳳山學者傳〉과〈易學大盜傳〉은 작품명만 남아 있다)을 통해 그 당시 위선적인 유학자들의 행위와 모순을 파헤치고 비판할 뿐만 아니라, 능력은 있으되 사회에서 쓰이지 못하고 소외된 인물들의 삶과 행적을 소개하였으며, 특히 사회에서 미천하다고 손가락질 받는 인물들을 등장시켜, 그들의 성실하고 정직한 삶이 가장 가치있는 삶임을 입증함으로써,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을 예언하고 있다. 비록 그 사용문자가 한자이기는 하나, 그 안에 담겨 있는 실제적인 사회비판과 고발 및 풍자적인 수법 등은 그 당시 소설과 달리 처음부터 끝까지 사회에 대한 모순 및 본질과 실제의 이중성에서 오는 모순을 비판하고 있다. 특히 ‘양반계급’을 향해 내뱉는 표현은 지극히 날카롭다. 이런 점들은 그의 작품이 서민을 향한 글을 썼다기보다는 글을 읽고 이해?비판할 수 있는 기득권을 겨낭하였음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한문 사용에 대해 ‘언어적 습관’과 ‘현실적 한계성’에 원인을 찾는 것 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보여주고, 들려주고 싶은 대상을 향해 쓴 글이기 때문에 그의 생각을 가장 익숙하게 잘 나타낼 수 있는 한문으로 쓰여져야만 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연행이전의 작품으로는〈마장전〉,〈穢德先生傳〉,〈廣文者傳〉,〈閔翁傳〉찾아 볼 수 있다. 이들 작품 중에서 여성 등장인물이 나오는 작품을 살펴보면,〈馬?傳〉은 본처와 첩,〈廣文者傳〉은 雲心,〈閔翁傳〉은 민옹처가 등장하고 있다.〈穢德先生傳〉에는 여성 등장인물이 나타나지 않고,〈金神仙傳〉에는 첫 문장에 김홍기의 처가 잠깐 언급되고 있으나 등장인물이라고 분류 될만큼 작품 속에서 역할과 특징이 없기 때문에 이 두작품은 제외시켰다. 그리고 燕行 以後의 작품으로는〈虎叱〉,〈許生傳〉,〈烈女咸陽朴氏傳〉이 있는데, 이들 작품 속에 나오는 여성인물로는〈虎叱〉의 ‘동리자’,〈許生傳〉의 ‘허생처’,〈烈女咸陽朴氏傳〉살아있는 나이든 과부와 죽음을 선택한 어린 과부가 있다. 인물의 심리나 인물 간의 감정과 의지가 서로 얽혀있는 갈등이란, 이야기의 무의미한 나열과 습관적인 반복에서 벗어나 이야기를 재미있게 얼크러지게 하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고 세계관과 가치관의 대립양상을 드러내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갈등은 인물들 사이의 대립, 자아와 세계와의 상충, 인물 내부의 감정이나 가치관의 충돌을 통하여 플롯에서 긴장감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여성인물의 가치갈등은 여성인물의 행동과 생각에 ‘중요성’, ‘가치’을 부여함으로써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찾게해 여성인물의 특성과 역할을 확인하며 간접적으로는 이들을 통해 연암의 생각을 알 수 있다. 연암의 한문 단편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은 연암의 글로 형상화된 사람들로, 그들은 사회 안에서 인간으로서의 이중성과 모순을 갖고 갈등을 겪으면서 그 갈등을 말로 표현하기도 하고 행동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이들의 이런 표현 형태는 한문단편을 흥미롭게 하는 연암의 주제의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마장전〉의 처와 첩,〈廣文者傳〉의 운심은 믿음과 사람다움이 가치전도된 모습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고,〈閔翁傳〉의 민옹처와〈兩班傳〉의 양반처 그리고〈許生傳〉의 허생처는 현실인식을 못하는 양반인 남편을 지적하는 동시에 나라의 인재등용의 문제점를 간접적으로 꽤뚫고 있다. 또한〈虎叱〉의 이중적인 동리자와〈烈女咸陽朴氏傳〉의 두 과부의 모습은 인간 본능을 무시한 강요된 열녀제도의 모순을 흥미롭게 제시하고 있다. 〈放瓊閣外傳〉실려있는 연암의 초기 한문단편은 燕行 전, 연암이 20, 30대에 쓰여진 작품들로 아직 문장을 공부하며 세상을 보는 눈을 넓히고 있는 문장 수학기에 쓰여진 작품이다. 이 때 등장하는 여성인물은 가치갈등의 측면에서 객관적이고 대외적인 사회모순을 전체적으로 드러내기 보다는 개인의 사적인 비판의식을 직설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는 다양한 인물을 등장시켜 양반의 모습보다 성실하게 자신의 직분을 다하는 사람들, 능력이나 권력을 가진 기존의 양반 보다 더 탁월한 사람들을 등장시켜 양반으로써 의무와 바람직한 삶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가치갈등의 형태도 주로 개인 내부의 가치갈등과 개인과 개인 간의 가치갈등의 형태가 대부분으로 그들의 가치갈등은 확장되어 집단 대 집단의 갈등으로 사회 문제화 되지 못하는 구성의 단순함을 볼 수 있다. 이 때 연암의 여성인물은 넓은 식견으로 이중성과 사회 모순을 지적하기 보다는 단순히 양반의 모순, 이중성을 촉급하게 드러내려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들은 이용후생학으로 대표되는 연암의 실학사상이 아직 정립되기 이전의 작품들로써 조선후기 봉건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그것으로 말미암은 현실의 윤리 도덕성의 타락에 대한 비판의식이 팽배해 있던 연행 전 젊은 시절의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을 통해서 우리는 연암 실학사상의 초기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즉 그의 이용후생학을 근간으로 한 실학사상은 그가 살았던 조선후기 사회가 내포하고 있었던 구조적 모순에 대한 현실적 인식에 바탕을 둔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때 등장하는 여성 등장인물들은〈마장전〉의 처와 첩,〈閔翁傳〉의 민옹처,〈兩班傳〉의 양반처,〈廣文者傳〉의 운심이라는 기생이 있다. 여러계층의 모습으로 등장하지만 이들은 사회적으로 존재 내적으로 소외된 계층이고, 사회 안에서도 기득권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그들은 작은 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나 남들이 하고 싶지만 못하는 것을 말하고 행동함으로써 한문단편 속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을 스스로 발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연행이후 연암의 한문단편은 연행 전〈放瓊閣外傳〉에서 인간사회의 윤리?도덕적 측면에 더 큰 관심을 보였던 것과는 달리 한 단계 더 나아가 실학의 완숙한 경지에 이르렀을 때의 작품이기에 이용후생의 실학사상이 더욱 세련되게 작품화 되어 사회체제의 모순까지 이끌어내고 있으며 모순에 대한 대안까지 찾아보고 있다. 북학파의 기본이념이라 할 수 있는 이용후생사상은 더욱 강하게 연행 이후 그의 한문단편 속에 드러나는 동시에 20·30대 한문단편에 마구 쏟아지던 울분의 형태는 더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나타나는 모습을 찾을 수 있다. 한층 더 현실 사회를 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사실적인 글을 써 자신들의 역할을 잊고 민중을 뜻을 돌보지 않는 양반의 이중성을 꼬집고, 나아가 그런 양반들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사회와 약자가 여전히 힘든 제도의 모순까지도 자신의 글 속에 담아내는 포괄성을 보여준다. 〈虎叱〉,〈許生傳〉,〈烈女咸陽朴氏傳〉은 30대를 거쳐 다져진 실학사상과 연행 이후 갖게 된 확고한 그의 세계관이 함께 맞물려 쓰여진 글이기에 초장기에 쓰여진 글들 보다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시각과 방법으로 내부적 모순에서 사회제도의 모순까지 한문단편 안에 끌어들이고 있다. 즉 초기 한문단편의 울분에 찬 직설적 제시 방법 보다는 인물의 입을 통한 간접적 제시가 많아지고, 독자 스스로가 인물과 사건을 비교?대조해 자신의 의중을 간접적으로 판단하게 하는 장치까지 마련해 두고 있다. 여전히 많은 말을 등장인물의 대화를 통해 한꺼번에 쏟아놓는 모습이 보이고 있지만, 연행 전 한문단편에서 보다는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넓은 눈으로 관조적인 자세에서 사건을 직시하고 있다. 이런 자세는 삶의 이중성과 사회모순에 대한 여성인물들의 가치갈등 범위가 연행 전의 개인 내적, 개인과 개인 관계에서 벗어나 개인 대 집단, 집단 대 집단의 범위로 확대되고 모순과 갈등을 ‘사회 문제화’하는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연암의 한문단편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흐르는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삶의 본질이 무엇이냐’하는 것이다. 안과 밖이 순리대로 자연스럽게 일치하지 세상, 알고 있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같은 사람들, 해야만 하는 것과 하고 있는 것이 타당한 가치관을 가지고 살기에 그가 살았던 조선후기 사회는 너무 많이 변해 있었다. 끊임없는 이중성의 현실은 그를 우울하고 방황하게 하였으며 ‘우언과 우스갯소리’로 둘러대게 만들었다. 태어나서 자랄 때까지 모범된 사람의 본성과 삶의 지침을 강조하는 性理學을 바탕으로 자란 그가 본 조선후기 사회는 그동안 공부한 학문을 그대로 적용시키기엔 무리가 있을 만큼 많은 모순을 가진 사회였다. 이처럼 그의 한문단편 속에는 끊임없이 모순을 찾고 제대로 서고 싶어하는 조선시대의 한 선비의 모습이 역력히 비춰지고 있다. 그러나 순탄치 않은 그의 삶이나 한문단편 속에 나타나는 인물들은 현실의 모순과 갈등을 알고 있지만 움직일 수 없는 인물들이고, 움직이지 않으려는 인물들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움직이지 않으려는 이중성을 지닌 인물들 속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흐름을 파악해 조금씩 독특하게 움직이고 있는 인물들이 바로 연암의 한문단편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이다. 연행 전 보다 연행 이후 연암의 한문단편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은 양적으로 많아지며, 복잡한 갈등구조는 이야기를 소설의 단계로 이끌만큼 질적으로 깊이있게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그들은 고전소설의 등장인물들처럼 천부적인 재능을 지닌 특별한 사람도 아니고, 그 시대에 모범시 여기는 窈窕淑女도 아닌, 양반의 요구를 무시하는 기생, 남편을 윽박지르는 몰락 양반의 처, 제도에 얽매인 과부들로 자신들의 갈등 문제를 가진 특색있는 인물들일 뿐이다. 그러나 이들은 연암의 시각 속에서 남들이 보지 못하는 시대의 모순을 보고 찾으며 문제의 대상을 향해 문제의 원인을 한문단편 속에서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Like the writer himself who lived a life that was full of ups and downs, characters in his short stories in Chinese have unchangeable personalities or resist being changed. Unlike most of characters with dual personality that resist being changed, however, women characters in Yeonam's short stories in Chinese change themselves little by little in keeping with the fast changes of social stream. This study focuses on women characters appearing in Yeonam's short stories in Chinese, about whom brief comments have been made just for the presentation of the whole or comments have not been made at al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whole of Yeonam's short stories in Chinese, their characteristics and roles in the stories are examined first. For the purpose, Yeonam's short stories in Chinese with women characters are classified into two parts, before and after "Yeonhaeng" and how they responded to the conflicting values is examined by themes. Throughout the whole of Yeonam's short stories, women characters are partially depicted and don't take leading and particular parts. Compared to women appearing in stories by other writers at that time, however, Yeonam's depiction of women is really unconventional. Majang's wife and mistress in 'The Life of Majang', and Unsim in 'The Life of Gwangunja' are the example of those who behave against the expectation of the people. Minong's wife in 'The Life of Minong', a yangban's wife in 'The Life of A Yangban' and Huhsaeng's Wife in 'The Life of Huhsaeng' rebuke their husbands for failure to adapt to realities and indirectly point out the problem with the system to engage men of ability to state affairs. Dongrija in 'Hojil', who has a strong dual personality, and two widows in 'The Life of A Woman of Virtue in the Family of Hamyang Park', reveal the absurdity of forced chastity against human nature in a funny way. These women criticize the men of upper class for inability and failure to perform their duties. They also criticize the closed society of Joseon which failed in engaging able men Women characters increase in number in Yeonam's short stories grow complicated enough to make them a novel, reflecting the society at the time by developing inner problem of an individual into a problem between classes.

      • 연암 산문의 글쓰기 방식 이해와 교육적 활용

        김진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선인들의 글쓰기론을 이해하고, 그 글쓰기 방식을 한문 산문 문학 교육에 적용하여 한문 문학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암의 작품을 기본 텍스트로 설정하고, 작품 속에 보이는 연암의 글쓰기 사유 방식과 표현 방식을 이해하여, 실제 한문 교과의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다. 표현 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지만, 현재 한문 산문 문학과 관련된 글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는 텍스트 연구와 교수-학습법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인들의 글쓰기 이론을 텍스트를 통해 밝혀내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시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함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현대의 글쓰기 이론 중 범교과적 글쓰기에 대한 논의를 통해, 글쓰기가 학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고, 선인들의 글에 나타난 전통적 글쓰기 방식이 현대 글쓰기 이론과 상통하는 면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현행 한문 산문 문학 교육 방법에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 이를 위해 연암의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연암의 글쓰기 특징은 크게 사유 방식과 글쓰기 방식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사유와 표현이 무관하지 않듯이, 연암의 글쓰기에서 사유방식은 글쓰기 방식의 기틀이 된다. 연암은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고 그 자체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존재 가치에 의미를 부여한 주체성을 가지고 아울러 상대방의 개성을 인정하는 상대주의적 인식을 한다. 이러한 인식은 현실에서 그 의의를 찾고, 작가의 창조적 작업을 통해 재생된다고 여겼다. 이는 연암의 글쓰기론에 그대로 드러나게 되는데, 즉 변화와 발전을 인식하고 있는 주체가 상대적 시각에 의거해 모범적 글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며 현실에서 글감을 수집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표현해 내는 것이다.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연암은 구조상의 파격을 보이기도 하고, 문답법이나 대화법, 비유와 우언(寓言), 권위적이고 보편적인 논거 활용을 구사하여 자신만의 개성적인 글쓰기를 여러 작품에서 보여준다. 다만, 연암의 개성적인 글쓰기가 애초에 개성적으로 쓰기 위함이 아니라, 자신의 사고를 충실히 드러내다 보니 개성적인 글이 되었음은 유념해야 될 사실이다. 글을 쓸 때, 글 쓰는 이가 자신의 뜻을 드러내는데 충실한 것은 현대의 글쓰기론도 주장하는 바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한문 고전 산문이 글쓰기 자료로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연암 글쓰기의 특징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 접목을 시도하였다. 중학교 2․3학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지도안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의 반응 자료를 살펴보았다.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백자증정부인박씨묘지명(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초정집서(楚亭集序)」, 「허생전(許生傳)」 등 작품에 나타나는 다양한 글쓰기 요소를 모방하여 글을 쓰는 ‘모방적 글쓰기’와 더 나아가 문제 해결적 요소를 접목시킨 ‘창조적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의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한문 산문 문학 원전 자료 교육에 글쓰기 교육을 도입함으로써, 원전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한문 산문 문학 교육에 새로운 교육방식을 접목시켰다는데 의의를 둔다. 다만,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한문 원전 자료의 번역 문제와 관련하여, 한문 원전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하고, 본 연구도 학습자의 원전 독해 능력과 관련하여, 좀 더 다양하고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법을 시행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앞으로 한문 고전 자료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고전 자료를 활용한 교육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放璚閣外傳"의 서사 구조와 문장 기법 연구

        심은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4

        본고는 "방경각외전"의 각 작품별 서사 구조와 문장 기법을 분석하여 연암이 당 대의 현실을 고발하고 포폄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시도한 실험 정신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먼저 2장에서는 연암의 문장론 및 문장 기법의 일반적인 특징을 개괄하고 "방경 각외전"의 ‘自序’를 통해 입전동기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방경각외전"각 작 품의 문학적 특성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로 삼는 동시에 연암의 일반적인 문장론 및 문장 기법이"방경각외전"에도 통용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다. 3장에서는 연암은 "방경각외전"에서 다양한 문학적 서사 구조를 실험하였다. 필 자는 "방경각외전"에 실험된 서사 구조의 양상을 ‘문답식 구조의 실험’, ‘장면 극화 방식의 실험’, ‘탐문과 장르 혼합 방식의 실험’으로 삼분하여 고찰하였다. ‘문답식 구조의 실험’은 <馬駔傳>, <穢德先生傳>, <閔翁傳>에서 두드러진다. 먼저 <마장전>은 벗 사귐의 도와 그 너머의 진실, 즉 군자지교와 세리지교를 대비 시키면서 ‘의론-서사-의론’의 결합 구조를 보여준다. 관찰자 시점의 서술자가 주 제를 장악하면서 의론을 강화하기 위해 서사를 동원한다는 데 구조적 특징이 있다. 전개부에 삽입된 서사는 ‘조탑타:덕홍-송욱’의 대화 구도 속에서 연쇄적 토의 기 법이 활용되며, ‘분위기 환기, 화제 전환, 주제 진입, 소신 발언’등에서 기승전결 의 과정을 보여준다. 조탑타에게 초점을 맞추어 독자의 집중력을 환기시키면서 그 의 소신 발언을 통해 반전의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주제적으로는 벗 사귐의 정신을 강조하여 권세와 이익을 추구하는 세태를 풍자하는데 작가의 집필 의도가 있다고 보았다. <예덕선생전>은 인간적 가치의 재발견 측면에서 시정지교와 도의지교를 대비시키 면서 논쟁을 심화시켰다. 인물 간의 대화에서 서사 본연의 대결과 긴장감이 고조되 고 있고, 서술 기법에서는 일반적 주제 제시에 가까우나 상대방이 스스로 깨닫기를 유도하는 열린 구조를 지니고 있다. 문장 기법으로는 문답식 대화 속에 인물 형상 화와 전형적인 설득이 구사되고 있다. 주제적으로 당대 양반들의 올바른 벗 사귐과 경제생활을 촉구했다고 보았다. <민옹전>은 비범한 이인을 통해 진정한 가치를 탐구하되, 벽서를 통한 연대기나 수수께끼와 문자 유희 등의 다양한 기법을 동원하였다. 서술자의 화제 전환에서는 주요 대목 제시는 물론 대화의 연결, 만가 삽입, 심리 추적 등으로 서사적 변화를 꾀하고 있다. 주제적으로는 민옹의 포부 실현이 좌절된 안타까움과 당대 현실에 대 한 비판 의식 표출 및 대안 제시 등을 표출하는 동시에 서술자의 우울한 심리를 치 유하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형상화하는데 작가의 집필 의도가 있다고 보았다. ‘장면 극화 방식의 실험’은 <兩班傳>, <廣文者傳>에서 두드러진다. <양반전>에 서는 신분과 계급의 교환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매매 과정을 장면화 함으로써 조선 후기 사회 현실과 양반의 실태를 폭로하고 풍자하였다. ‘정선양반-천부-군수’의 인물 대립에 따른 서사 구조의 억양적 변화가 나타나며, 등장인물 간의 상황 설정 및 그에 따른 기법이 활용되면서 변화 과정이 긴장감 있게 표현되고 있다. 특히 답 문을 대체한 문권의 활용이 특징적이다. 1차 文券에서는 양반의 필독서를 활용한 해학 및 나열 기법과 2차 文券에서는 4언구 반복과 변화 등이 핵심적이다. 주제적 으로는 당대의 사회 문제로 대두된 지방의 몰락한 양반과 경제적으로 성장한 시민 계급 등을 목도하며 양반의 정체성을 비판하는 데 특징이 있다고 보았다. <광문자전>은 일화의 중첩을 통해 인물 성격을 창조하면서 이면적 진실을 발견하 도록 유도하고 있다. ‘광문’과 거지패, 약국주인, 기생 운심 등의 장면 및 심리묘 사는 입전인물의 성격과 인품을 드러내는 일화의 중첩이며 서술자는 후지에서 소극 적으로 개입할 뿐이다. 주제적으로는 광문을 민간 질서의 담당자로서의 가치 있는 인물로 구현함으로써 양반 독자층을 향한 반성을 촉구하는 의도로 파악하였다. ‘탐문과 장르 혼합 방식의 실험’은 <김신선전>, <우상전>에서 두드러진다. <김 신선전>은 탐문의 반복된 실패를 통해 입전 인물을 신비화하고 그로 인한 심리적 간절함을 나타냈다. 주요 장면의 대화 기법, 탐문자별 기법의 변화 등을 통해 탐문 과정의 긴장감을 확보하여 궁금증을 유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선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시도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우상전>은 시문의 결합을 통한 이언진의 문학적 재능을 극대화하고 구체적인 증 거를 제시한 특징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입전 인물에 대한 서술자의 애정과 심리를 솔직담백하게 그려냈다. 특히 도입부는 우상에 대한 국외의 문학적 평가를 나열하 고, 전개부와 결말부에서는 문학 작품을 통해 입전 인물의 개성을 부각시켰다, 그러 나 대부분 축약하거나 서술자가 개입하여 의론 및 억양, 일화, 독백, 논평 등의 기 법을 두루 활용하면서 우상의 문학성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방경각외전"의 문장 기법 가운데 주류를 이루는 나열 기법을 중심으 로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단순 나열, 대구 나열, 전고 나열로 나뉘어 고찰하여 3장에서의 논의를 보충하였다. 단순 나열 기법으로는 <예덕선생전>에서 엄행수 노 역 활동과, <민옹전> 도입부의 ‘壁書’ 행위와 <우상전> 도입부를 고찰하였다. 대 구 나열 기법으로는 <마장전>에서 도입부와 결말부의 의론을, <양반전>에서 1, 2차 문권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고 나열 기법은 <예덕선생전>, <우상전>을 중심으 로 분석하였다. 연암의 문학은 서사 가운데 의론을 구사하는 夾敍法을 자주 활용하여 지식인으로 서 사회적 정의를 촉구하는 교술적 성향을 띤다. 이러한 주제적 특징은"방경각외전"에서 나열 기법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측면에서도 두드러진다. 문장 기법의 관 점에서는 표면적 사실 뒤에 감추어진 이면적 진실의 발견을 유도하는 방식이라 하 겠다. 5장에서는 앞 장들에서 다룬 내용을 종합하여 본고의 의의를 고찰하면서‘자서’ 에서 작가 스스로 천명한 주제와 각 작품의 실상을 대비하였다. "방경각외전"의 서 사 구조 및 문장 기법의 특색을 작품별로 일괄하여 전체를 비교해 본 것이다. 그 결과 긴장감이 유지되는 다양한 서사 구조와, 나열 기법을 위주로 한 문장 기법이 구체적인 주제 의식으로 표출됐다는 문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연암은 서술자와 주도적 대상 인물의 정서적 교감을 통해 당대의 미래 인물상을 형상화하 여 제시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가론적으로 연암은 "방경각외전"을 통해 다양한 문학적 구조와 문장 기법을 실 험함으로써 이후 문학적 지향의 토대를 공고히 구축할 수 있었다. 표면적 사실 너 머 이면적 진실을 깨닫게 하는 반전과 역설, 해학과 풍자를 통한 문학적 성취는 연 암 문학의 전반적 특성이자 미학으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방경각외전"에 드러난 사회적 문제의식과 그 대안을 전달하고자 하는 연 암의 글쓰기 방식과 작가 정신을 확인하는 연구 작업이었다. 이로써 연암 문학을 분석하는 면밀한 방법론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추후 연암의 다른 작품들의 분석에 도 적용하여 연암 문학을 이해하는 데 일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燕巖小說에 나타난 諷刺性 硏究

        김선정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91

        본 논문의 목적은 연암소설에 나타난 풍자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그럼에 있어서 먼저 풍자의 개념과 풍자소설의 전통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연암소설에 풍자가 발생하게 된 배경을 작가 개인적 상황과 시대적 상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것을 바탕으로 연암의 대표적 한문소설 작품 3편을 선정하여 그 속에 나타난 풍자의 양상을 작품의 구조분석과 풍자에 쓰인 표현기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자란 당대의 사회나 인간의 모순·결함·부조리·어리석음 등을 지적하고 조소하여 골계적 효과를 산출하는 문예의 한 방법으로서, 그 이면에는 반드시 시정을 바라는 작가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2) 풍자소설의 전통성은 寓話, 假傳體 등으로부터 시작하여 壬·丙 兩亂을 계기로 활기를 띠게 되고 연암소설에 이르기까지 한국적 풍자의 특성이 전승되어 오고 있다. (3) 연암소설에 풍자가 나타나게 된 개인적 상황은 연암이 어려서부터 가난하게 생활하면서 당시 모순된 사회상을 보고 實學에 관심을 두게 된 것, 중국여행으로 실질적이고 폭넓은 견문의 체험을 한 것, 晩年의 관직에서 外職의 잦은 이동으로 여러 문학적 체험을 쌓은 것, 특히 당쟁에 휩쓸리지 않는 非黨人意識을 가지게 된 점등이다. (4) 연암소설에 풍자가 나타나게 된 시대적 상황은 영·정조 시대가 새로운 질서가 싹트기 시작한 시대로, 신분질서의 동요와 실학의 발생, 자본주의 발생에 따른 서민경제의 발전 등의 변화가 있었고 이는 곧 평민문학의 발달로 이어졌으며 사실적이고 풍자적인 산문문학이 발생하게 되었다는 점 등이다. (5) 「虎叱」은 범의 叱責을 통해 위선적인 道德君子의 이중성과 더 나아가 인간세계의 추악함을 풍자한 작품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은 아이러니와 풍자의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 ② 「호질」에서는 자연의 일반에서 벗어난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태도의 풍자를 보이고 있다. ③ 이 작품은 단순히 北郭先生이나 東里子의 속물근성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지니는 위선과 이중성을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다. (6) 「兩班傳」은 무위도식하는 양반계급의 형식적이고 위선적인 생활의 모습을 통해 양반의 무능력과 부패를 해학적으로 비판 풍자한 작품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은 抑揚과 對照의 반복, 肯定과 否定이 교차시키는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 ② 賤富를 풍자의 주체로 내세워 당시 부정적인 鄕班들의 모습을 풍자하고있다. ③ 이 작품은 조선후기 신분질서 동요를 풍자했다. (7) 「許生」은 실천적 지성인인 ‘許生’을 통하여 당대 사회의 전반적인 면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면서, 연암의 실학사상을 나타낸 대표작으로 그 풍자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① 이 작품의 풍자는 몇 단계를 달리하는 다른 톤을 갖고 있다. ② ‘허생’의 상행위를 통해 買占에 의한 폭리가 가능했던 현실을 비판하면서 교통기관의 발달과 외국과의 무역을 주장하는 등 경제문제를 풍자했다. ③ ‘허생’과 北伐論의 상징인 ‘李浣大將’과의 문답을 통해, 인재 등용의 모순과 북벌론의 허구성 비판 등 정치문제를 풍자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satire in Yeon-am's novels. First, I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satire and the tradition of satire novels, researched the motivation and the reason to emerge the satire novels in his own life and the social situation of that age. I selected the three works of the Yeon-am's novels for this study. By analyzing the plot and using expressional technique, I attempted to discover the aspects of the satire.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1) The satire is the method and art of literature to output humorous effects by indicating and laughing at the contradiction·absurdity·stupidity in human beings or the social situation of the same time. An author's intention to reform them certainly is included in them. (2)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satire novels had formed from fables, Gajonche("an old narrative") etc., and is flourished with two Wars against Japan and Chung China. It is succeeded in the property of Korean traditional satire in his novels. (3) The individual and conditional motivation express the satire in his novels is that he interested in Silhak, the Practical science. Living poor in childhood he had seen the phase of the contradictory society. At those days, traveling China, he gained much experience. Frequently being moved in his official position he builded up various literary ability, especially he became the neutral in the result. (4) The social situation of the motivation expressed in his satirical novels is formed because a new spirit was budded from King of the Yoengjo and Joengjo Dynasty, the hierarchy status started to fall down and raised Silhak. Capitalism appearing, the people's economic life was changed. Thus, all of theses were reason for connecti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popular literature, and the realistic and prosaic literature took place. (5) Through a Tiger's rebuke he satirized the moral aristocratic's duality and hypocrisies, furthermore the vices of human beings in Hojil. There is satirical property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① It used expressional method of the irony and satire ② His critical and negative attitude of satire showed up, because he express the irrational man to deviate from general human beings. ③ This work is showed simply not only snobbery of Pukguak or Tongryja but also the hypocrisy and the duality man have. These are regarded as the targets of satire. (6) Yangban-jon is a story to satirize and criticize the aristocratic's by emphasizing their idle, formalistic and hypocritical life. Its satirical property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① The using expression technique is to repeat the intonation and the contradiction,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method. ② The negative aristocratic's reality is figured by satirizing the overnight millionaire. ③ Breaking the hierarchy of the classes is represented at the post Chosun Dynasty. (7) The general situation of that time is expressed satirically in Huhsang-jon, by showing the sophisticate person Huhsang, who is practice. The novel is revealed Yean-am's Silhak, the practical science of spirit. Its satirical property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① There is the various tone of the satire, according to the phases. ② Through the Huhsang's commercial business, he criticized the economic issues, which was facts of the social condition that monopoly was possible, and persisted the transportation and the trade system to progress. ③ Yoen-am satirized the political problem by the dialogue between Huhsang and the General Yiwan, that is to say, the inconsistency of enlisting the officials and the impossibility to conquer The Chung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