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교과와 기술·가정교과의 중복 및 연계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전기분야를 중심으로

        김세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Comparative Analysis on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 With Reference to Electricity - Kim Sei-Ki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o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the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specially focused on the learning contents of electricity part. We have used four 8th garde science textbooks, five 9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six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o analyze the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the contents of these two subjects. The detail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extbooks are ① list of contents about 'electricity' section in published 8th grade science textbooks, ② list of contents about 'how current works' section in published 9th grade science textbooks, ③ list of contents about 'fundamentals of electricity and electrical wiring', 'electrical lightening', 'safe usage and inspection of electricity', etc. sections in published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④ over all ordering of detail contents in electricity, and ⑤ rationality of learning order and redundantly overlapped contents among textbooks between two subjects. The analyzed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In order to find the rationality of learning order we have investigated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bout electricity part in the subjects of both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The sequence of 8th grade and 9th grad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bout electric power, voltage, resistance, voltmeter, ammeter, Ohm's law, series/parallel connection of resistance, and 9th grad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bout the electrical wiring, electrical lighting, appliances and safe types of usage and inspection, and finally leading to real life applications of electricity, etc is appropriate in the point of view of the learning order apparently. 2. The analysis of detail contents in both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hows that science subject is more emphasized on the basic theory of scientific disciplines to study clearly regarding demonstrating the significant and loyal to the basic concepts.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s more emphasized on the techniques being used in real-life consumer safe use of equipment and also including inspection and repairing electrical appliances comparatively. 3. Although the 8th grade students have learned the fundamental theory of electricity, the 9th grade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to learn the electricity par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e reason might be due to a semester gap period between 8th grade science subject and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with reference to electricity part. 4. The detail analysis between contents of all textbooks for both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s show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title of sections of among textbooks but the detail contents of each textbook are very faithful and consistency without missing concepts and basic theories of electricity reflecting every attribute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From the above results our suggestions to overcome such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on the electricity part for both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8th grade science curriculum about the electricity may be fine, but the 9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hould be continue without a long-term break from the 8th science subject to avoid losing concepts of electricity during the break and direct connecting the basic concepts to its' applications. Secondly, in order to link teaching and learning these two subjects more effectively the overlapped basic theories of electricity in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can be omitted to save the teaching time. Thirdly, the cooperation between two subjects are very important to keep students' interest on the electricity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daily life of their future. 초록 과학교과와 기술·가정교과의 중복 및 연계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전기 분야를 중심으로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김 세 기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과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 2학년 4종, 3학년 5종과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6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 3학년 과학 교과와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내용 중에서 전기 관련 내용들을 비교 분석하여 중복 및 개선할 점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각 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① 2학년 과학 교과의 ‘전기’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② 3학년 과학 교과의 ‘전류의 작용’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③ 3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전자 기술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④ 교과별 전기 관련 세부적 내용 순서 나열, ⑤ 교과별 이수 순서의 합리적 여부 및 중복의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학습 시기에 따른 순서상 문제점 고찰 결과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의 기초 이론인 전원, 전압, 저항, 전압계, 전류계, 옴의 법칙, 저항의 직렬·병렬 연결 등을 배우고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과 전기 배선과 조명, 가전 기기의 종류 및 안전한 사용법, 점검 등 실 생활의 응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학습 순서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과학 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 분야 내용을 검토한 결과 과학 교과는 기초 이론을 명확하게 학습하도록 기본 개념들에 충실하였음을 보여주고 있고, 기술·가정 교과에서는 기초 이론보다는 실생활에 사용하고 있는 가전 기기들의 안전한 사용법, 점검 및 수리 등 응용 전기 분야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학생들이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을 학습하였음에도 3학년 기술·가정 교과에서 전기 응용 분야의 내용을 어려워하는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이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을 학습한 후 한 학기만큼의 전기 분야 학습의 공백 기간이 지나서 전기 응용 분야의 학습을 하는 것이 이유인 것 같다. 4. 교과별 전기 분야의 각 교과서의 세부 내용들의 차이점들에 대한 분석 결과는 중단원들의 제목은 교과서마다 특성 있게 사용되었지만 세부 내용들은 기본 이론에서 벗어나거나 누락된 것이 없이 모든 교과서들이 충실하게 내용수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이 전기 분야의 학습을 어렵게 대하지 않고 학습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의 기초 이론 학습은 현행대로 기 본 개념을 습득하도록 진행하고, 바로 긴 공백 기간 없이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 응용 분야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연계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과학 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의 연계 학습이 이루어지면 기술·가정 교과에서 중복되어 나오는 전기 기초 이론은 삭제하여 학생들의 비효율적인 재학습 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셋째, 미래는 현재보다 더 많은 전기가 사용될 것이 명백함으로 전기 분야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두 교과는 깊이 있게 협조하여 학생들의 전기 분야 학습에 최선을 다 하여야 할 것이다.

      • 고교 한문교육에서의 『대동기문』활용방안 연구

        오정호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고교 漢文敎育에서의 『大東奇聞』활용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오정호 한문교육은 그동안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서 많은 부침을 거듭하여 왔다. 1972년 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중ㆍ고등학교에서 한문 교과가 독립교과의 지위를 가지게 되고, 더욱이 각 대학의 한문교육과나 한문학과에서 정규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교사로 배출되어 중등학교의 한문교육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현행 수학능력시험 이전에 대학입시제도였던 학력고사에 한문 문항이 1984년부터 1992년까지 모두 118 문항이 출제되면서 중흥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제 7차 교육과정에서 한문교과는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선택을 받아야만 하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로에서 학생들이 한문교과를 선택하기위해서 현직의 교사들은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중의 하나가 쉽고 흥미가 있으면서 교육적 주제가 뚜렷한 자료를 수업의 보조자료로 활용하는 것인데, 본고에서는 『大東奇聞』을 중심으로 한문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연구ㆍ수록해 보고자 한다. 『大東奇聞』은 일종의 野談集이다. 220여종의 出典과 근 900여편의 방대한 한문 기록을 가지고 있는 우리 문화의 소중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正史가 아닌 野談, 野史의 기록이라고 하여 그 문화적, 교육적 가치가 低評價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야담, 야사는 그 내용이 흥미롭기도 하거니와 교육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상당수 있으며, 어느 글은 사실에 가까운 글도 많이 있다. 또한 풀이가 쉽도록 懸吐가 되어 있고, 내용으로 보아도 단락이 짧으면서도 몇 개의 典故만을 안다면 해석이 용이하며, 더 나아가 선인들의 사상을 탐구해보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大東奇聞』의 성격을 분석하여 밝히고,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의 『大東奇聞』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인성교육 차원에서 한문교과서가 차지하는 역할과 수업 보조 자료의 필요성을 모색하며, 나아가 『大東奇聞』에서 교육적으로 유용한 독해자료와 읽기자료를 주제별로 선정하여 고등학교 한문에서의 활용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7차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는 학생들이 어렵고 힘들게 느끼는 한문 교과목에 대하여 『大東奇聞』이라는 한문 典籍을 통하여 한문수업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하며, 다양하고 많은 한문 문장들을 접하고 익히면서 한문과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교육 자료로서 『大東奇聞』을 활용해 보려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大東奇聞』원문에서 다음의 세 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독해자료와 읽기자료를 가려 뽑아 제공하여 교육적 활용을 시도하였는데, 첫째로, “忠ㆍ孝의 교육”에 관한 것이다. 이 절에서는 예로부터 “百行의 根本”이라는‘孝’의 중요성과 효의 외면적 승화 윤리인 ‘忠’에 대하여 개괄을 하고, 현대적인 충ㆍ효의 실천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나아가 10개의 독해자료와 3개의 읽기자료를 본문에 수록하여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다음으로 滑稽ㆍ詩話ㆍ재능의 교육에 관한 것이다. 이 절에서는 우리 선조들의 재능과 창의성이 집약된 詩話, 골계류의 작품들을 개괄하고 12개의 독해자료와 5개의 읽기자료를 수록하여, 우리 민족의 자긍심과 재치를 느끼게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勉學ㆍ敎訓ㆍ淸白吏의 교육에 관한 것이다. 이 절에서는 우리 선인들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자세를 수록하여 현대를 사는 청소년들에게 교훈이 되게 하였으며, 청백리의 정신을 강조하였다. 11개의 독해자료와 4개의 읽기자료를 수록하여 교육 자료로 제공하였다. 교육 자료의 선정에는 필자의 주관에 따라 선정하였으며, 독해자료와 읽기자료 공통으로 자료선정에서 유의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의 선정에 있어서는 청소년 교육에 중점을 두어 윤리의식 고취와 인성함양에 도움을 주는 내용들을 선정하였다. 한문교육이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영역이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인성교육이며 이는 윤리교육을 비롯하여 모든 교과와 유기적인 관계 하에 이루어지는 가치 있는 교육이어야 한다. 교육은 올바른 인간을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의 청소년들의 인성교육 자리에 컴퓨터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교과서 및 수업 보조 자료를 이용한 교육에서 인성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이 한문 수업시간 만이라도 다량으로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비교적 짧으면서도 주제가 뚜렷하여 학생이 한문 문장을 풀이해 보거나 제공된 읽기자료를 읽어 보아 흥미를 느끼는 내용들로 구성하여 한문은 배우기 어려우면서 내용도 어렵다는 선입견을 拂拭할 만한 자료를 선정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어려운 내용은 재편집하였다. 『大東奇聞』본문에는 주인공의 本貫, 字, 號, 과거 급제 여부 등을 글의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하여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해 놓았다. 그러나 한자가 너무 어려워 학생들의 교육에 어려움을 주거나 교육내용의 전개에 지장을 주는 부분은 부분적으로 원문을 생략하여 재편집하였다. 넷째, 아무리 흥미 있는 내용이라 할지라도 교육적이지 않은 내용은 배제하고 삶의 의욕을 고취하는 희망적인 내용과 불의를 극복하는 강한 자신감을 가지는 내용 등을 가려 뽑았다. 다섯째, 어려운 일을 해결해 나가는 선인들의 재치와 천재성이 드러난 글들을 다루어 창의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여섯째, 독해 자료는 될 수 있는 한 교육용 기초한자 내의 글을 가려 뽑았으나 교육자료 선정에 어려움이 있어 어쩔 수 없이 포함된 교육용 漢字 이외의 漢字는 밑줄을 그어 표시를 하였다. 일곱째, 본문의 기록을 正史로 오인하여 그릇된 역사인식을 가질 우려가 없는 자료를 선정하였다. 고등학교 한문 교육에서 『大東奇聞』을 이용한 수업은 직접적인 수업교재로 쓸 경우도 있겠지만, 한문 산문의 교수ㆍ학습 모형의 경험수업모형에서 학생들에게 유관 내용을 제시해 줄 때나, 주제 발표 및 토론의 장에서도 읽기 자료나 생각하기 자료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야담이나 야사를 교육적으로 활용한다는 발상은 매우 조심스러운 접근을 요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다음의 몇 가지 점에서 『大東奇聞』은 충분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이 된다. 첫째는, 한문으로 원문이 작성되고, 懸吐가 되어 있는 수많은 자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大東奇聞』은 우리나라가 일제의 침략을 받고 있는 어려운 시기에 민족의 자존심을 살리고자 하는 독립운동의 일환으로서 편찬한 책이라는 점이다. 셋째, 흥미 있는 내용을 많이 내포하고 있어 한문 교육이 어렵다는 선입견을 줄여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학생들의 인성 교육에 도움을 주는 내용이 주제별로 많이 실려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학생들의 원문 해석에 도움을 준다. 여섯째, 당시의 사대부들에 의하여 지어진 글로 설화적인 요소와 사실적인 요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어 문학적인 감성과 역사적인 지식을 동시에 기를 수 있다. 『大東奇聞』은 이처럼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닌 좋은 교육 자료이지만, 고등학교의 한문교육현장에서는 다음 사항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본고의 자료는 교과서의 보조 자료이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많은 검증과 교육부의 검정을 거친 현행 교과서를 『大東奇聞』이 대신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것이며, 한문의 학습이 단순하게 흥미 위주로 계속적인 진행이 되어서도 안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고의 자료를 수업시간에 이용할 때에는 시간 배분에 유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너무 과다하게 보조 자료를 사용한 관계로 主客이 바뀐다면, 올바른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ABSTRACT A study on how to use "Dai Dong Ki Mun" for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in high schools Oh, Jeong Ho Dep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istic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in, Yong Ho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o pick out various kinds of interesting educational training aids from the "Dai Dong Ki Mun", and to have the students get rid of the difficulty in learning traditional chimes characters in high schools applied to their 7th educational course. This study was processed by following two phases. First, the Dai Dong Ki Mun's general outline and its symbolic elements of the story was revealed, furthermore the usage examples of Dai Dong Ki Mun in high school's text book was analyz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age of Dai Dong Ki Mun was tested by following three topics: First, royalty and filial duty education Second, brightness, poetic conversation, and talent education Third, diligence, example lesson and integrity education The analysis of on-going high school's text books shows a lack of human character educational material. We believe, if using the "Dai Dong Ki Mun", it will be very good educational training aids for encouragement of human character in high schools.

      • 人性敎育의 發展 方案에 關한 硏究

        이존구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人性敎育의 發展 方案에 關한 硏究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國民倫理敎育專攻 李存九 본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는 학급원의 모델링은 물론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바른 인성함양을 위하여 담임교사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해야 한다. 둘째, 인성교육은 인간교육의 기본이며 학교교육의 핵심이어야 하며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 학교 여건 등을 고려하여 실천위주의 인성교육을 자리 매김 해야 하겠다. 셋째, 인성교육은 전 교과, 전 교사의 지도로써 가능하다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며 인성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은 도덕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넷째, 특별활동은 각각의 영역에 따라 바른 인성함양을 위한 체험학습, 과제학습, 현장학습, 행사, 대회, 발표회, 토론, 조사탐구, 봉사활동 실천적 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7차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재량활동은 지식 편중의 교육을 보완해주는 제도적 장치로 인성관련 교육은 교육적 제도 속에서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학생들의 관심 부족, 지도자료의 부족, 교사의 전문성 등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본 연구가 중학교에 눈높이를 두고 이루어졌으며, 7차 교육과정 적용 초기에 이루어진 연구로 제시된 프로그램의 구체성, 적용방안의 다양성 면에서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본다. 또한 현장교사들의 의견이나 관련기관의 쟁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관계로 편협된 연구로써 학문적 가치를 논하는데 부족함을 인정하며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밝힌다. ABSTRACT A Study on Practical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Lee John-gu Major in Eth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 J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Heung-so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ractice-orient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be implemented in the current educational condition or discretionary class newly introduc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a. For that purpose, the concepts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redefined, and the history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reviewed to prove that good character has been the pivotal object of school education since the 1990s. If character education is defined as cultivating moral human beings who are worthy of the name, it's also the very object of moral education. Therefore, the role and accountability of moral instruction were emphasized in this study as the core of personalty education, and the oughtness of reinforced character education was explained in personal, social, national, moral education and legal aspects to be in line with the revised moral educ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What problems the current personality education faced at school, home and society and what problem was caused by the older generation were examined, and in which direction it should move forward was explor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which was the main task of the study, proven or applicabl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ere presented in a practical manner to find out what implications they had for future character and moral education. But since the example materials and lesson plan included in this study we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they should fully be reviewed, modified or supplemented in accordance with student level, school size and local circumstances.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homeroom teachers should act as a good role model for their students, interact with them and make every possible effort to help them build up character. Second, character education is the basis of human education, and that should be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 Besides, it should focus on practice, and carefully be mapped out in response to student needs and in consideration of school circumstances. Third, a change of mind-set is called for.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it could be successful when every subject and every teacher try to deal with it, and moral education should play a central role for that. Four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provide diverse kinds of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to help students have good personality. The type of activities that could incite them to do something on their own should be utilized, such as experience learning, task learning, on-the-spot learning, school events, contests, presentation, discussion, inquiry or volunteer services. Fifth, it's very encouraging that the 7th national curricula introduced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to correct knowledge-centered educ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offer character education. But since students aren't interested in it and there aren't 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sustaine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medy the situations and elevate teacher expertise.

      • 초등학교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분석

        심재성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문초록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심재성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체육을 지도하는 일선 교사들에게 체육지도의 방향을 제시하여 문제점을 추출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 목표 분석은 Bloom, Bucher, Barrow, Nash, Stoodley, Brownell & Hagman, Hetherington, Irwin, Willgoose의 목표분류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단원 목표 분석은 Bloom, Bucher, Barrow의 목표 분류 기준과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PCF)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제 6차와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 목표 분석 (1) Bloom의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는 지적 영역이 2, 정의적 영역이 2, 심동적 영역이 4로, 심동적 영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Bucher의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는 신체적 발달 영역이 2, 운동의 발달 영역이 2, 지적 발달 영역이 2, 사회적 발달 영역이 2로, 각 4개 영역이 모두 2가지씩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진술 용어로 보아 Bucher의 분류 기준과 Bloom의 분류 기준이 유사성이 많아 그 결과의 분포도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Barrow의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는 기관의 발달 영역이 2, 심리·운동적 발달 영역이 2, 정의적 발달 영역이 2, 지적 발달 영역이 2로, 각 4개 영역이 모두 2가지씩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2) Nash, Stoodley, Brownell & Hagman, Hetherington, Irwin, Willgoose 등의 분류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도 역시 각 영역의 용어 진술이 고루 나타나 있어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체육과의 목표의 일관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기능적, 학문적, 규범적 성격을 공유하는 종합 교과의 성격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단원 목표 분석 (1) Bloom의 분류 기준에 의한 3~6학년 전체 단원에 진술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진술된 용어는 심동적 영역의 기본운동, 지적 영역의 운동의 방법, 심동적 영역의 운동기능으로 나타났다. 심동적 영역의 ‘기본운동’ 용어의 분포가 많은 것은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이 움직임 교육 모형에 기초를 두고 있어 기본 운동의 신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보며 학생들의 다양한 신체 활동과 움직임 욕구 실현을 위한 운동의 수행을 위하여 운동의 방법과 운동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2) Bucher의 분류 기준에 의한 3~6학년 전체 단원에 진술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진술된 용어는 운동의 발달 영역의 운동기능, 운동의 발달 영역의 기본운동, 지적 영역의 운동의 방법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이 움직임 교육 모형에 기초를 두고 있어 운동의 발달 영역의 ‘운동기능’과 ‘기본운동’ 용어의 분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신체 활동과 움직임 욕구 실현을 위한 운동의 수행을 위하여 운동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3) Barrow의 분류 기준에 의한 3~6학년 전체 단원에 진술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진술된 용어는 지적 발달 영역의 건강 및 양호한 신체동작 운동의 원리에 대한 이해, 심리 운동적 발달 영역의 스포츠 기능, 사회적 발달 영역의 태도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하위 목표 중 다양한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운동 기능과 체력 및 심신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건강 및 양호한 신체동작 운동의 원리에 대한 이해력을 바탕으로 스포츠 기능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운동의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4)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PCF)에 의한 3~6학년 전체 단원에 진술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보면, 환경의 극복, 사회적 상호 작용, 개인적 발달 영역에서 각 개념 요소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이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성격처럼 학생들에게 지식 위주나 정의적 어느 한 영역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체육 활동을 통하여 움직임의 실현 및 건강의 유지·증진, 정서 순화, 사회성 함양이라는 외재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함으로써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공헌하는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진술된 용어의 분포에서 가장 많이 진술된 용어는 환경의 극복 중 공간적 정향 개념의 인지, 개인적 발달 중 생리적 효율성 개념의 신경 근육 효율성, 환경의 극복 중 공간적 정향 개념의 관련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별로 ‘이해(앎)’와 ‘적용(실천)’의 두 가지 개념으로 진술되어 있음을 뜻하고 움직임 욕구의 실현을 위한 지식의 습득을 강조한 이해력 증진과 다양한 운동에 참여해 체력 및 건강 유지 및 증진, 운동 기능의 향상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육과정이 움직임 교육 모형에 기초를 두고 있어 기본운동인 이동, 비이동, 조작운동이 공간과의 관계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움직임을 강조하고 있다. 3) 초등학교 제 6차와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1) 교육과정 문서 형식으로 제 7차에서는 그동안 지적되어온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년간을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으로 설정하여 국민 공통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도록 하였으며, 고등학교 2, 3학년은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2) 제 6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전학년에 걸쳐 움직임 교육 모형에 기초한 것이 현행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3, 4학년의 경우에는 ‘움직임 교육 모형’과 ‘발달 교육 모형’을 적용하되 비이동, 이동, 조작 움직임 관련 주제에 기초한 ‘기본 움직임’과 각 영역별 다양한 활동에 기초한 ‘활동’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5, 6학년의 경우에는 ‘움직임 교육 모형’을 기본으로 하되 ‘발달 교육 모형’과 ‘이해 중심 게임 모형’에 기초하여 다양한 운동 경험을 꾀하는 ‘활동’ 내용으로 구성함으로써 절충형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3) 교육과정 체제는 제 6차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체제를 제 7차에서도 같은 체제로 구성하였으나, 단지 ‘방법’을 제 7차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바꾸어 진술함으로써 교수·학습시 필요로 하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4) 교육과정 목표로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체육이 체, 지, 덕의 세 가지 범주와 기능적(심동적), 이론적(인지적), 태도적(정의적) 측면을 포함하여 가르칠 수 있는 종합 교과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여 진술하고 있으며 체육의 목표는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하여 움직임 욕구를 실현하고 기능과 체력을 증진하며, 운동과 건강에 관한 지식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태도를 함양하는 데 중점(교육부, 1998)을 두고 있다. (5) 교육과정 내용으로 제 7차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제 6차에서 사용되던 ‘운동’이란 용어 대신에 ‘활동’이란 용어로 바꾸어 사용하여 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가짐으로써 중학교와의 연계성과 차별성 및 통합성을 동시에 충족시켰다고 본다. 3, 4학년은 4개 영역(체조활동, 게임활동, 표현활동, 보건)으로, 5, 6학년은 6개 영역(체조활동, 육상활동, 게임활동, 표현활동, 체력활동, 보건)으로 구성하였으며, 학년별 ‘지도 내용’을 선정하고 있으며, ‘지도 내용’선정에 있어서 ‘필수 내용’과 ‘선택 내용’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지역별, 학교별, 교사별, 학생별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활동을 선택하여 재구성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6)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살펴 보면, 먼저 ‘교수·학습의 기본 방향’과 ‘교사’ 항을 신설하여 교수·학습은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선정된 학습 내용을 학생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하고, 교사는 교수·학습을 효율적으로 진행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7) 평가로 제 7차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평가는 매우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평가의 다양화, 객관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다소의 문제점도 없지 않다. 내용 영역별 평가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 영역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기능에 대한 평가는 학기당 영역별로 최소 1개 종목씩 선정하여 실시하도록 한 것은 6차에 비해 5, 6학년은 평가 영역이 늘어남으로써 교육과정 내용의 최적화에 역행하는 일이다. 4) 초등학교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의 최적화’와 제 6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차별화’의 관점에서 체육과의 내용 영역 선정은 분화(differentiation)보다 통합(integration)의 관점에 기초하되, 학년이 높아질수록 점진적으로 분화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과의 내용 체계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은 제 6차와 구성 체계가 비슷하나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선정된 학습 내용을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제시되면서 과거의 ‘방법’을 ‘교수·학습 방법’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2)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체육이 체, 지, 덕의 세 가지 범주와 기능적(심동적), 이론적(인지적), 태도적(정의적) 측면을 포함하여 가르칠 수 있는 종합적인 교과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여 진술하였다. (3)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설정에 따라 제 6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학교 급별 내용 구성 체계에서 벗어나 학습 내용을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 내에서 계열성있게 선정하여 조직한다. 체육과 학습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체육과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교육 내용을 최저 필수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함으로써 학습 분량을 최적화하였다. (4) 3, 4학년은 4개 영역(체조활동, 게임활동, 표현활동, 보건)으로, 5, 6학년은 6개 영역(체조활동, 육상활동, 게임활동, 표현활동, 체력활동, 보건)으로 구성하였으며, 학년별 ‘지도 내용’을 선정하고 있으며, ‘지도 내용’선정에 있어서 ‘필수 내용’과 ‘선택 내용’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지역별, 학교별, 교사별, 학생별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활동을 선택하여 재구성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교과 목표 및 단원 목표에 나타난 용어의 분포를 살펴볼 때 제 6차 체육과 교육과정과는 달리 고른 영역에 걸쳐 용어의 분포가 나타나 체육과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일치하고 있다고 본다. 특히 ‘창의력’ 요소와 ‘협동심’ 요소의 강조는 현재의 흐름인 창의성 교육과 개인주의적이고 이기주의적인 풍토를 협동적인 놀이와 게임을 통하여 인간 중심의 인성교육을 강조하여 지도해야 할 것이다. 2) 5, 6학년의 경우에는 ‘움직임 교육 모형’을 기본으로 하되 ‘발달 교육 모형’과 ‘이해 중심 게임 모형’에 기초하여 다양한 운동 경험을 꾀하는 ‘활동’ 내용으로 구성함으로써 절충형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체육 전공자도 아닌 현장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적용의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 모형 적용을 위한 수업 방법이나 기술에 대한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계절 및 민속 운동의 강조는 이론상으로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시설 및 여건이 갖추어진 학교가 거의 드문 현실에서 체육 지도 교사가 다양한 계절 운동의 지도력을 고루 갖추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들은 선택 위주의 활동으로 배치하고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계절 및 민속 운동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학교 및 지역의 실정이 너무나도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학교 및 지역 실정에 알맞은 내용이 재구성되도록 교육과정에 많은 탄력성과 융통성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nalysis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im, Jae Seo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Park, Chan H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o help understand the curriculum, to present the course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etect problems to be a help to the next curricular revision. After analysis on this research, I got the conclusions as follows ; First, the subject objectiv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of objective classification by Bloom, Bucher, Barrow, Nash. Stoodley, Brownell & Hagman, Hetherington, Irwin, and Willgoose. Second, the unit objectiv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of objective classification by Bloom, Bucher, Barrow, and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 Third,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u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urth, the content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about analysis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 First, by the standard of objective classification of nine scholars as Bloom, Bucher, Barrow and so on, we can understand same distribution of term statement about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this shows a unity of obj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The standard of objective classification as Nash, Stoodley, Brownell & Hagman, Hetherington, Irwin, Willgoose, etc. shows same term distribution, and this reflects the character of synthetic subject which shares functional, scholastic, prescriptive character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Second, in the analytical conclusion by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Bloom, the terms stated best are basic exercise of psychomotor domain, exercise method of cognitive domain and exercise function of psychomotor domain. Many term distributions in the 'basic exercise' of psychomotor domain are because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etting the basic in the moving education simulation, and emphasize a method and function of exercise to take shape various moving desire of students. In the analytical conclusion by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Bucher, the terms stated best are a motor function of developmental domain of exercise, a basic exercise of developmental domain of exercise, a method of exercise of cognitive domain.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based on moving education simulation, and show up many term distributions about 'motor function' and 'basic exercise' of developmental domain of exercise. The method of exercise is emphasized to take shape various physical activity and moving desire. In the analytical conclusion by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Barrow, the terms stated best are a understanding about the health of cognitive developmental domain and principal of good physical motion exercise, sports' function of developmental domain of psychological exercise and attitude of social developmental domain. The subordinate objective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emphasize a motor function that participate actively to various exercise, and improve sports function with a background about understanding of principal of health and good physical moving exercise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emphasize desirable motor attitudes. In the analytical conclusion by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and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PPCF), the terms stated best are conquest of environment, social interaction and individual developmental domain, and each conceptional element has same distribution so as character prescribed in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don't emphasize only one domain, cognition or affective domain but pursuit external value, that is, realization of moving and healthy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affective refinement, social cultiv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o contribute to improve quality for life of the human. Third, the conclusions of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the sixth curriculum and the seventh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re nearly same, but the seventh curriculum is presented to nation common basic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ounding elementary, secondary school. And the 'method' section is divided a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a standard of textbook's development and discussion, and the standard of textbook's development and discussion that undertakes a important responsibility to practice of curriculum was presented newly. The contents are organized by objective and affective domain.

      •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이광균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교육방송전공 이광균 21세기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생활에서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교육에서의 변화에 대한 요구도 증가해 왔다. 정보화, 지식화의 물결은 전 세계를 지식 정보사회로 변모시키며 정보의 공유와 새로운 지식의 생성이 국가 발전의 사활을 가늠하는 기준이 되어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지식 정보화를 국가의 목표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많은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교육의 현장에도 많은 교수 기기가 보급되면서 학생들의 학습 효과의 증진을 위해 다양한 교수매체의 제작과 활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실태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교수 매체 제작 및 활용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의견을 조사 분석하였다. 다양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에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실태를 성별, 교육 경력별, 학교 소재별로 분석해보고, 교사의 인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지역은 충청남도 보령시의 초등학교 교사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120부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기기의 보유상황이 만족한 상태로 나타났으나 더욱 다양한 교수 기기를 확보하여 다양하고 적절한 교수매체를 제작 활용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교육 행정가들은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겠다. 둘째, 교사들이 교수매체를 인터넷에서 많이 찾고 있으나 자료를 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자료를 찾았다 하더라도 활용하는 교사의 구미에 맞지 않을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교육당국에서는 통합된 일정한 공간에 교육자료를 수정 가능한 파일로 제작하여 탑재함으로써 자료를 쉽게 찾아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매체 정보를 체계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수매체 활용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매우 만족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교수매체를 활용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서 활용의 어려움이 많으므로 교사에 대한 교수매체의 이론적 지식과 제작 및 활용기능 교육을 강화하고 각종 연구회와 연수의 기회를 늘려 교사의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수매체의 투입이 아동의 학습 활동에 많은 흥미에 느낀다. 그러므로 교수매체를 제작하는 교사나 매체 제작자들은 아동의 흥미와 학습효과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매체를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방송이 교육적으로 활용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나 EBS 인터넷 교육방송의 VOD서비스를 잘 모르고 있다. 시간, 공간적 제약과 수업시간과 맞추기 어려워서 활용효과가 낮은 교육방송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EBS 인터넷 교육방송의 VOD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업 시간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와 활용방법의 안내가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and The Perception on Its Application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e, Kwang-Kyoun Major in Educational Broadcas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Information K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Lim, Jae-Suk Ph. D In the 21st century, the change in lifestyle is accelerat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emands on the change in education have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it. The flow of information-orientation and knowledge-orientation are transforming the whole world into a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and the ownership of information and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have become a standard that discerns the life-or-death of the development of a country. Therefore many countries of the world have selec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orientation to be the aim of the country and investment on this field is not being spared. As many teaching equipments have been provided in the education field, the production of various teaching mediums and its application have become necessary in increasing the studying-effects of students. Accordingly,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application and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inion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application and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studying the production of various teaching mediums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x, experience in education, location of schools of the teachers, a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Boryeong city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120 survey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there was satisfaction in possessing teaching equipments but production of diverse and appropriate teaching mediums and its application have to be provided by securing diverse teaching mediums.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education administrators should not be spared. Secondly, teachers are searching for teaching mediums in the internet but it takes up lots of time, and there are cases when it does not meet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Therefore,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roduce and load education materials that can be modified in an integrated and fixed space, so that materials can be found easily, processes and utilized. In other words, information on education mediums has to be systematical. Thirdly,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on the necessity and the effect of applying education medium were very satisfactory. However, as there is much difficulty in its application, as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s in applying education mediums theoretical knowledge, production and application function of education mediums for teachers have to be strengthened. And, various societies for research and training opportunities have to be increased for teachers to educate students continuously. Fourthly, int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built the interest of children on their studies. Therefore, teachers or producers who produce teaching mediums have to carefully produce teaching materials with consideration on the studying effects and the interests of children. Fifthly,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broadcasting to be greatly effective but they were not too familiar with VOD service of EBS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In order to increase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broadcasting- which has low effects in application, as it is difficult to fit the class period and has time and spatial limitations- EBS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should utilize VOD service and restructure it to fit class periods to apply to classes, and publicizing and information on the method of application is necessary.

      • 교육경력과 국어전공 여부에 따른 초등교사의 국어과 듣기·말하기 평가에 대한 인식과 수행

        김용선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논문은 교육경력과 국어전공 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교육의 듣기․말하기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수행과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교육경험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듣기․말하기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였고 그 실태와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듣기․말하기 평가와 관련된 교육과정의 요구와 기존 연구자들의 논의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를 듣기․말하기 평가 현장과 비교해 볼 때 둘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제 수업장면을 분석하고 수업한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교사의 듣기․말하기 평가의 수행과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듣기․말하기 수업에서 평가에 대해 그리 많은 고민을 하고 있지 않았고, 평가 장면에서도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원인으로는 듣기․말하기 평가와 관련된 현장에서의 연수 부족, 국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 부족 등이 있었다. 설문을 통하여 듣기․말하기 평가의 수행에 교사의 경력과 국어교육전공여부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경력이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평가 의도와 방법을 잘 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국어를 전공한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경력이나 국어교육전공여부에 상관없이 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이 듣기․말하기 평가가 정량화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듣기․말하기 평가의 질이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의 국어교육의 전공여부에 따라 차이나지 않고 현장에서의 연수나 교사 스스로의 노력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사를 비롯한 국어교육과 관련된 교육자들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국어를 전공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듣기․말하기 평가를 더 잘 이해하고 수행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질 높은 듣기․말하기 평가를 위해 교사들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듣기․말하기 평가를 잘 수행하기 위한 현장 친화적인 교육환경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연구

        김현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제 7 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김현주 제7차 고등학교 음악과 8종의 교과서 중 창작영역에 관한 내용을 교육과정 창작영역의 내용과 비교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8종 교과서 수록 내용을 분석한 결과 그 백분율은 가창 34.13%, 감상 25%, 이해 20.13%, 기악 8.38%, 창작 8.25% 순이었는데 이는 가창, 감상, 이해 부분의 내용과 기악, 창작 내용의 비율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각 영역의 균등한 교수-학습 구성에 적합하지 않은 비율이라 하겠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제시된 학습요소인 즉흥적으로 표현하기, 여러 유형으로 변주하기, 형식에 맞춰 가락 짓기, 음색을 선택하여 표현하기, 지은 곡을 듣고 평하기의 내용이 각각 교과서마다 대체로 고르게 수용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교과서가 있었고, 특히 음색을 선택하여 표현하기는 세광출판사와 현대출판사를 제외한 6개의 교과서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그리고 각 교과서마다 ‘여러 유형으로 변주하기’는 전통음악 변형장단 만들기의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즉흥적으로 표현하기’는 ‘메기는 소리를 즉흥적으로 표현하기’의 내용이 주를 이루어서 이 두 영역은 다양한 학습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제시된 학습요소 이외의 내용들이 수록되었는데 특히 ‘편곡하기’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수록되어 있고, 이는 창작영역 학습의 접근 방법으로 좋은 효과를 가졌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넷째, 창작영역의 활동이 다른 영역의 통합적 활동으로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구 교육과정 교과서와 다른 점이었다. 특히 두산 판에는 ‘통합 학습’과 ‘영역별 학습’의 두 항목으로 나누어 편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제7차 고등학교 음악과 8종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내용 및 특징을 대체로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로 평가되나 일부 교과서들은 몇 개의 학습요소들이 제외되었는가 하면, 수록 내용도 타 영역보다 미흡함이 있어 현직교사로 하여금 보완하고 재구성하여 교수-학습 안을 구성하는 후속 조처가 요구된다. ABSTRACT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mposition of Music Presented in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Dept.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University Kim, Hyoun-ju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in the field of the composition of Music presented in 8 High School Textbooks and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make us reach this conclusion: First, the percentage of the contents in 8 High School textbooks are 'singing songs 43.1%, appreciation 25%, comprehension 20.13%, instrumental music 8.38% and composition 8.25%. This show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field of singing, appreciation and comprehension, and that of instrumental music and composition. And this also shows an inadequate percentage in the sense of synthetic music education. Second, 'extempore expression', 'change of rhythm in various style', 'making melody according to regular rules', 'selecting tone to express', 'listening music composition and valuation', which are presented in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re evenly accepted in most textbooks, but not all. In particular, the field of 'selecting tone to express' is not presented in 6 textbooks except two publishing companies, Sekwang and Hyundai. And in all textbooks, 'change rhythm in various style' is mainly filled with the contents of 'change Korean traditional rhythm'. And 'extempore expression' is mainly filled with extempore expression of lead song, and these two fields don't present various ways of learning. Third, an arrangement, the conten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7th Edition is presented in most textbooks, which is helpful to study the field of composition. Fourth, in many cases, composition is presented as a synthetic music activity, and this is different from former Edi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s. In particular, 'Dusan's textbooks divide the content into synthetic study and spherical study. The study of 8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7th Edi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shows that most textbooks reflect the right path of reform and characteristic of the 7th Edition, but a few don't reflect all the studying points, and the contents of some textbooks are not satisfactory. So it is recommended for the teachers to rearrang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t parts.

      •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 의식주 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정용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the 3rd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Living Culture Curriculum to Foster Multi-Cultural Citizenship Focus on Basic Living Elements (Clothes, Food, Housing) Jeong, Young Ji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3rd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foster citizenship, which is required in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society has recently turned into a multi-racial and cultural society without cultural and educational preparation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of migrant workers and those who have come because of marriage. It is desirable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multi-culture has changed. The government, which has been supportive, has also helped multi-cultural families adjust to Korean society, and most students understand and support it. However, it is only a one-time program and is not even included in the history curriculum. Becau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3rdgrade traditional living culture curriculum has been described as a typical stereotype of Korean tradition and homogeneous culture, it can not present the point that traditional culture has constantly changed by accommodating other cultures and that it continues to chang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discuss citizenship, which is required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with a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to construct new elementary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t is because the curriculum that has been setup as traditional living culture was compl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class which focuses on the though t of it belonged to us. This denies the newly created traditional living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which gives a negative feeling about accepting other culture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3rdgrade living culture textbook and teacher’s guide with a multi-cultural and integrated perspective so that the curriculum can be reconstructed.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citizens to acquire knowledge about various cultures, to have an attitude of existing together with many ethnic groups and nations, and an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To bring up this citizenship issue, the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must consist of integrating thematic issues like traditional culture, place and environment, consistency and change, and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Key words: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homogeneous culture,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citizenship.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 - 의식주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 정 용 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학과 논문 요약 이 논문은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성을 육성하기 위해 초등 3학년 사회과의 전통문화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향에 관해 탐색한다. 최근 한국사회는 문화적, 교육적 준비가 없는 상태에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민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다종족,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다문화 교육의 방향이 다문화 가정과 그 가정의 학생들을 한국 사회에 적응을 위한 지원 사업에서, 다수 학생들이 다문화 가정의 문화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으로 나가고 있음은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 다문화 이해 교육이 일회성 프로그램에 머물러 있고, 역사과 교육과정 속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초등학교 3학년 전통생활문화사에서는 여전히 정태적 전통관과 단일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어 전통문화라는 것이 끊임없이 다른 문화를 수용하여 변화하여 온 것이고, 오늘날도 계속 변화해 나가는 것이라는 관점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성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역동적 전통관과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전통문화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전통생활문화를 조선 후기에 완성된 것으로 설정하고, 그것을 우리만의 고유한 것으로 생각하게 한 수업은 조선 후기 이후에 새롭게 생성된 전통생활문화를 부정하는 것이 되고, 또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에도 부정적인 관점을 주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역동적이고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교사의 눈으로 재구성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사회는 여러 인종이나 민족 및 다양한 문화들을 비교 이해하고, 그들과 상호작용하며 공존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다문화사회의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시민의 자질을 요구한다. 이런 다문화적 시민성을 기르기 위해 초등 사회과의 전통문화 교육내용은 ‘문화’ 주제에서 전통생활문화를 다루고, 전통생활문화를 ‘장소와 환경, 지속성과 변화, 다른 국가와의 상호관계’라는 주제와 연결해 통합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 생활 이야기로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을 타 교과와 수평적으로 연계해서 구성해야 한다. 주요어: 다문화사회, 다문화교육, 전통문화교육, 단일문화주의적 관점, 다문화주의적 관점, 다문화적 시민성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분자의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 개발

        유의순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분자의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 개발 유의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 지도교수 류 해 일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분자의 운동’ 단원에 포함된 실험 중에서 중단원 단위로 3개의 실험주제를 선정하여 기본·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학습능력에 맞는 수준별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기초·기본 교육을 충실히 하고, 과학 탐구능력을 향상시키고, 개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을 지향하며, 제7차 과학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준별 학습자료 부족 문제로 인한 교사들의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 기본·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를 개발하여 봄으로써 수준별 실험안내서 제작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의 운동’ 단원의 3개 주제의 실험에 대한 기본·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를 개발하기 위해 현행 중학교 1학년 과학 8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기본형 실험안내서를 작성하였고, 기본 실험내용을 보충·반복하는 내용으로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이 스스로 쉽게 실험할 수 있는 보충형 실험안내서, 기본 실험내용을 보다 심화시키는 내용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의 사고력과 탐구력을 높이는 심화형 실험안내서를 개발하였다. 각 주제에 대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는 학생용과 교사용으로 나누어 개발하여 일선 현장에서 적용할 때 교사가 준비할 사항, 실험시 주의점, 실험결과, 발전학습 문제 풀이를 제시하여 자세한 지침서가 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개발한 자료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수정·보완한 다음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중학교 1학년 학급 중 4개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개 학급은 기본형 실험안내서를 수업시간에 적용하였고, 나머지 2개 학급은 기본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한 후에 학습자의 적성, 희망을 고려한 자율적 선택과 교사의 판단을 절충한 심화·보충과정 대상자를 구분하여 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인 4개 학급의 학습자한테 탐구 능력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료가 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로서 타당한가를 t검증하였다. t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두 집단 즉 기본형 실험안내서만 적용한 집단(비적용반)과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한 집단(적용반)은 동질집단으로 밝혀졌다. 2. 개발한 자료를 적용한 후에 적용반이 비적용반보다 과학 탐구 능력 향상도가 크게 나왔다. 3. 적용반 내에서 남녀별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4. 적용반 내에서 과학 탐구 능력 사전 검사의 평균점수보다 높은 집단(상위 수준)과 낮은 집단(하위 수준)사이에 과학 탐구 능력 향상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료가 남녀별, 수준별 집단과 관계없이 모든 학습자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을 가져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시간에 관망자였던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이 쉽게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기본내용을 보충·반복학습하는 계기가 되어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반면에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단순한 실험내용보다 심도있는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발전학습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고력과 성취감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중단원별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가 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로 타당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수준별 학습자료를 적용하는 것이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몇 가지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새로운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전에 다양하고 질 높은 교사들의 충분한 연수가 이루어져 교육과정을 이해한 상태에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2.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관련 지침(시기, 횟수, 수업 방법 등), 수준별 집단 편성을 위한 객관적 기준, 충분한 과학실 확보, 과학실 실험 보조원이 필요하다. 3. 수준별 수업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교사의 기본 수업 시수 축소와 업무 부담 감축이 필요하며, 창의적재량활동을 확보하여 수준별 교육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4. 학생의 수준을 잘 아는 교사가 직접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로 어려움이 많이 따르므로 교과별 모임, 학교간 자료 교환, 인터넷 등에 탑재되어 있는 자료를 재구성하여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5. 심화·보충 학습내용 기준, 수준별 집단 구분 기준의 구체적인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6. 새로운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도입되기 전에 시·도 교육청 및 연구기관에서 수준별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현장의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The Development of Basic,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Experimental Guides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for the Unit of the Motion of Molecule in Middle School Science for Grade 1 Yu, Eui Soon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basic,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experimental guides for three selected themes in the unit of the motion of molecule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for grade 1 in a bid to help make a differentiated experiment in a manner to suit student learning capabilities. It's ultimately meant to solidify fundamental education, improve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and provide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his attempt was additionally expected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the production of differentiated experimental guides and alleviate teachers' difficulties caused by the shortage of level-oriented teaching materials in implemen- ting the 7th differentiated science curricula. After the current eight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grade 1 were analyzed, basic,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level-oriented experimental guides were prepared about three selected themes for the unit of the motion of molecule. The supplementary experimental guide was designed to help underachievers make an experiment on their own, and two kinds of enrichment guides were developed separately for student and teacher in order to boost the thinking faculty and inquiry process skills of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These guides gave a detailed explanation about what should be prepared by teacher and kept in mind, and described possible experimental results and how to solve applied problems.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modified after their content validity was tested. The subjects were the students in four different classes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grade classes in middle school where this researcher has worked. The four classe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two-class control group made the basic experiment only, and the students in the two-class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courses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hope and by the teacher's judgment, and then they were separately engaged in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experiments. All the classes took pretest and posttest in inquiry process skills, and t-test was employed to check out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ateri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two groups turned out to be homogeneous. 2. The experimental group made a greater progress in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did, after th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applied. 3.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gap in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between the boy and gir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between its two subgroups of different level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aterial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er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of every learner, regardless of gender and original level. The underachievers who had been onlookers in the past took active part in the experiments and had a chance to make up for fundamental learning deficit, and they eventually had a more active learning set. The students with higher achievement improved in thinking faculty and their sense of achievement became greater in the course of making a deeper experiment, analyzing the results and solving the applied problems. Th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valid as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experimental guides, and these types of level-oriented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put to use to make the differentiated curricula successful.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1. A wide range of quality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before new curricula are implemented. 2. It's required to secure differentiated instruction guidelines for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courses, which will offer information about proper time and frequency of instruction, teaching methods, objective criteria for homogeneous ability grouping, laboratories, and assistant for scientific experiment. 3. To put differentiated setting class on the right track, teacher's teaching load and workload should be reduced. 4. It's needed to further meetings between teachers in charge of the same subject matter and interschool information interchange, and how the Internet materials could be utilized should be studied. 5. More specific criteria for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instructions and homogeneous ability grouping should be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