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진숙의 <The day> for solo violin and orchestra 분석연구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omposition of Jinsook Kim's The Day for solo violin and orchestra (2004). The composer created this piece during her study at Yonsei Graduate School. It is a violin concerto, created through modern techniques in musical composition, focusing on the image of daytime.The violin and orchestra each play a role producing both harmony and discord. The composer includes an independent violin solo, as well as an orchestra of various instruments,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a violin concerto.The image of daytime, both warm and intense, is portrayed through the violin solo, the sharp and precise rhythm of the orchestra, the harmony and discord of both the violin solo and orchestra, and the mild, but tense, dissonant tone created by the interval structure of the perfect 4th and minor 2nd.The piece is composed of one movement divided into 3 sections. In part A, the violin leads the orchestra. In part B, the motif is played by the orchestra, forming harmony with the violin solo. In the coda, elements of both parts A and B are merged together. Each section is characterized by distinct motif, tonal center, uniform rhythm, role change of violin, and various combinations of orchestral instruments. The perfect 4th and minor 2nd appearing throughout the piece and the rhythm of triplet give unity to the piece.As has been stat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logic of each s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mposer's intention in presenting the daytime image. 본 논문은 김진숙의 <The Day> for Solo Violin and Orchestra (2004)에 대한 분석연구이다. 이 작품은 작곡가가 연세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에 작곡한 것으로 낮에 대한 이미지를 현대적 작곡기법으로 형상화한 바이올린 협주곡이다.독주 바이올린과 2관 편성의 오케스트라가 각각의 역할을 조화와 대립을 통해 발전시키고 독주 바이올린이 자유롭게 독주를 하거나 오케스트라를 다양한 악기군으로 조합시킨 의도는 바이올린 협주곡 형식의 특색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낮의 따스하고도 강렬한 이미지를 음악화한 이 작품은 독주 바이올린의 자유로운 연주와 오케스트라의 날카롭고 치밀한 리듬, 독주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의 조화와 대립, 완전4도와 단2도의 음정구조가 이루는 온화하면서도 긴장감 있는 불협화음 등을 사용하여 표제음악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구조적으로는 하나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주로 독주 바이올린이 오케스트라를 이끌어가는 A부분과 이와는 대조적으로 오케스트라가 동기를 연주하며 독주 바이올린과 조화를 이루는 B부분, 그리고 A부분과 B부분의 요소를 조합하여 사용한 코다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각 부분은 동기와 중심음, 리듬의 수직적 구조, 독주 바이올린의 역할 변화, 오케스트라 악기군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서 뚜렷이 구분되며 작품 전체에서 나타나는 완전4도, 단2도의 음정구조와 리듬적으로 축소, 확대되어 응용된 3연음은 작품의 통일성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와 같이 낮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고자 한 작곡가의 의도와 연관 지어 각 부분의 논리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nother concern was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uch variables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o solve these questions, total 524 college students(male, 297; female, 227) in Cheongju were sampled. Five different scales to measu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22.0.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were set up and analyzed, and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model was a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on career adaptability. The competition model was a fully mediation model in whic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outcome expectation on career adaptability. The final model was analysed using total data.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gender differences of structural weights in the final model were examined through multiple group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wo exogenous(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variable and two endogenou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variables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career adaptabil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a direct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ecedes outcome expectation. social capital have an indirect effects on the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rough outcome expect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weights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might have a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at it woul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rovide much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er adaptability.
김진숙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In order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having the advanced accounting system is an obligatory for any listed company but in an unliste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related complementary measures have to be taken instead. In this paper, the impeding factor of transparency is investigated and the plan for improving the accounting practice is presented. Research methodology includes a study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expert's book, research report, survey and the expert's opinion are done.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ology and structure of the research. Chapter 2 examines, as previous study, the concept of accounting transparency, type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accounting irregularities(fraud). Chapter 3 shows the characteristics, accounting environmen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logistics firms and factors impeding th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Chapter 4 describes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accounting transparency. Chapter 5 summarizes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e research. Major findings to improve the accounting transparenc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securing accounting transparenc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ncentives should be introduced to secure accounting transparency. Second, governmental support such as reduction of an external audit cost burden is required for SMEs to strengthen their accounting transparency. Third, legal accountability shall be reinforced to prevent from financial irregularities such as tax evasion and other fraud. Fourth, professionalism of the accounting personnel and ethical education of accounting shall be given to avoid committing accounting fraud.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external capital financing too. Improving accounting transparency will enable the investors to understand the flow of capital more easily and to invest. The loan model for a medium and small-sized firm through deregulation on credit loan is to be created.
장관 내 국소 섭취증가 병소의 감별에 있어 추가 지연 18F-FDG PET/CT의 임상적 유용성
Purpose: F-18 FDG can be accumulated in the liver, bowel, kidney, urinary tract, and muscles physiologic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 of dual time point F-18 FDG PET/CT imaging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lonic focal uptake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hirty two patients (M:F=77:55, Age 62.8±11.6 years) underwent F-18 FDG PET/CT at two time points, prospectively: early image at 50-60 min and delayed image at 4-4.5 hours after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F-18 FDG. Focally increased uptake lesions on early images but disappeared or shifted on delayed images defined a physiological uptake. For the differential evaluation of persistent focal uptake lesions on delayed images, colonoscop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ere performed. SUVmax changes between early and delayed images were also compared. Results: Among the 132 patients, 153 lesions of focal colonic uptake were detected on early images of F-18 FDG PET/CT. Of these, 72 (47.1%) lesions were able to judge with physiological uptake because the focal increased uptake disappeared from delayed image. Among 81 lesions which was showed persistent increased uptake in delayed image, 61 (75.3%)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malignant tumor and 14 (17.3%)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benign lesions including adenoma and inflammatory disease. Remaining 6 (7.4%)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physiological uptake because there was no particular lesion in the colonoscopy. In the malignant lesions, the calculated dual time point change for SUVmax (Δ%SUVmax) was 20.8%±18.7%, indicat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SUVmax between the two point (p<0.01). In contrast, the change in SUVmax for the non-malignant lesions including benign lesions and physiological uptake was -13.7%±24.2%.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malignant and non-malignant focal colonic uptake lesions, Δ%SUVmax was the most effective parameter, and the cut-off value using -5% provided the bes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Conclusion: The dual time point F-18 FDG PET/CT imaging with SUVmax change evaluation could be an important noninvasive method for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and benign focal colonic uptake lesions including physiologic uptake.
2007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1학기 사회과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 분석
2007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1학기 사회과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 분석 학교 교육현장에서 교과서는 기본적인 학습활동의 도구가 되고 있으므로 교과서에는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가 잘 반영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학습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한 예로 충분한 시각자료의 제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상당부분은 이미지화된 삽화와 보조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 삽화는 글 속에 삽입되어진 그림들로서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고 이해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과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요구가 반영된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졌다. 그 동안 초등학교에서 역사영역은 6학년 한 학기 동안 배워왔으나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5학년 1, 2학기에 배우게 되어 1년에 걸쳐 다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 교과서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고 교과서의 개선 내용과 관련하여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의 다양성이나 유형별 제시 경향, 그리고 새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7개정 교육과정 5학년1학기 교과서의 삽화 및 보조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초등학교에서의 역사교육의 의미와 교육과정 안에서 사회과의 역사 교육 목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삽화 및 보조자료의 개념과 종류를 파악하고 역사교육에서 그 자료의 교육적 기능과 자료의 선택 기준을 알아보았다. 이어 2007개정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여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및 개정의 기본 방향과 중점내용을 살펴보고 교과서의 내용 체계와 편집 구성을 파악했다. 또한 역사분야를 다루고 있는 5학년1학기 사회과 교과서에 게재된 삽화 및 보조자료들을 단원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게재경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과서에서 단원별로 제시한 삽화 및 보조자료의 수량을 분석하고 유형별 제시 수량 및 시대별 수량을 분석했다. 이어 유형별로 제시된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의 변화 모습과 제시방법 및 본문과의 적절성을 살펴보았으며 편성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2007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목표는 7차 교육과정과 동일하지만 단원 목표는 내용상의 변화에 따라 서술 형태가 달라졌다. 즉, 학년별 내용에서 단원의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와 관련된 목표를 문단의 형태로 제시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교육과정 대강화에 따라 대단원 아래의 소주제가 삭제되어 단원 목표가 상세하게 진술되고 있다. 특히 역사 교육의 강화 방침에 따라 역사 내용이 6학년에서 5학년으로 이동하여 편제되고 기존의 한 학기 분량을 두 학기로 확대하여 구성되었다. 이것은 역사교육의 시계열성을 고려한 것이며 생활사, 문화사, 인물사 중심으로 우리나라 역사를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내용이 조직되었다.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는 학습자에게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여 학습활동에 적극성을 보이도록 하고 지속성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선정 ․ 조직되는 것이다. 삽화와 보조자료는 학습과정에서 직관적인 사고를 돕는 가장 가까운 자료이며 교과서에 실린 삽화자료는 교과내용의 전달을 명확하게 해 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삽화 및 보조자료는 본문내용의 요구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하며 교과내용과 시대적 배경이 일치하고 교과내용의 전개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조직되고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맞는 자료로 선정해야 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게 다양한 자료를 여러 가지 방법과 형태로 균형있게 제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근거가 확실하고 주제 및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명확해야 한다. 개정교육과정 5-1 교과서의 삽화 및 보조자료를 시대별로 분석하여 보면 자료의 유형에 따라 한 시대에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지도, 표, 사료, 사진, 그림 등의 제시방법과 유형별 적절성 등을 검토해 보면 많은 사진이나 그림이 새로운 자료로 제시되었고 본문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삽화자료 단독으로 주제를 이해하도록 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또한 과거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생활사, 문화사적 측면의 자료들이 많이 제시되어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내용들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개정교육과정 5학년1학기 사회과 교과서의 삽화 및 보조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의 삽화자료는 시대별, 영역별, 유형별로 전체적인 균형과 적절성이 제고되어야 하며 본문과 관련하여 표현 내용이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해야 하고 학습자의 발달단계와 수준을 고려한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삽화 및 보조자료의 명칭, 해설 등 기본 설명도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자료의 크기나 위치 등은 실물의 크기, 규모, 본문과의 상관성 속에서 고려되고 결정되어야 한다. 현장에서는 교과서에 실린 삽화 및 보조자료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교육적 기능이 수업에서 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지도 방법에 대한 개발과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s in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Textbooks are the basic tools for lear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hus, the curriculum must reflect the nature and goals of learning itself and also should be able to learning activities. In this respect, one of the ways to meet those suggestions can be presentation of a variety of visual aids. Those textbooks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composed of qualified illustrations. Illustration refers to pictures in a book or magazine; it activates learner's motivation and promotes learner's comprehension. According to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intended to have emphasi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reflecting learner's interest and needs. Accord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 6th grade students have learned history for one semester so far but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requires 5th grade students to learn history for both of 1st and 2nd semester, a year. In this regard, a study on is required. In this respect, it is required an analysis on structures and contents of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and a study on how various and adequat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and also what kinds of types illustration are presented regarding with amended aspects in the textbook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s in revised textbook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the primary meaning and goals of histor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defin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e concepts and types of illustrati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s, and the standard to select those materials. Also,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y education being considered, it was investigated the background theory, primary direction and major aspects of the curriculum and the structures and compilation of the textbooks. Moreover, the illustration and sub-materials in the textbooks dealing with history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chapters and types in order to review tendency of publication of those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s. First, the number of illustrations in each chapter of the textbooks was count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ypes and era. Secondly, it was analyzed how the illustrations have changed according to each curriculum, how appropriate and relevant it is to the body; based on this analysis,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proposed. The goals of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re the same as those 7th national curriculum except for how to describe those goals due to changes on the content. In other words, it is still similar to provide goals as forms of a paragraph related with knowledge, skills, value and attitude in each chapter for each grade, but lesson goals are stated in detail since lesson objectives that are entailed to the goals were removed due to simplification of the curriculum. Especially, in relation with strengthened history education, themes of history were organized in 5th grade curriculum moving from 6th grade and volume was expanded for two semesters than it used to be for one semester. The series of the history bing considered, the themes of Korean history were organized mainly with life history, cultural history and person history to handle with it easily. Textbook illustrations are selected and organized in order for learners to be engaged in learning actively, providing them with interest and motivation. Illustrations helps learner think intuitively and comprehend the content clearly. Thus, illustration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requirements of each chapter and selected and organized referr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stages of the themes. In addition, they should be selected and considered with learners' developmental stages, and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ways to activate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 Moreover, those illustration must be based on well grounded background and clearly express its content and topic.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being analyzed, there was a tendency to be biased in one era related with types of materials. However, the manner to present and the adequacy of types of maps, tables, historical records and pictures being considered, a lot of photos and pictures are presented as new information and helps learners to comprehend and supplement the content. Also, the emphasis of the curriculum is reflected well with a variety of materials of life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which hadn't been presented in previous textbooks. The results of analysis on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 in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are as following. First, illustrations should be re-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overall balance and adequacy in relation with era, section and types. Basic descriptions of illustrations such as titles, interpretation, etc should be clearly presented and also the size and location of illustrations should be selected with regard to the size, scale and relevance to the original objectives. Further research and studies on teaching method are required in order for educational function to properly perform in class through a broader understanding of effective use of illustrations in the real context.
교육은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한 국가의 선진국에로의 진입은 예외 없이 교육의 선진화로부터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교육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 없이 우리는 국가의 발전을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 지식기반 사회로 정의되는 21세기에는 그 어느 때보다도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정보화·세계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는 대학교육의 경쟁력을 키우지 않고는 대학의 존립은 커녕 국가의 존립도 위태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인식의 토대 위에 세계 각 국은 2 1세기에 대한 준비와 국가발전의 핵심을 '교육개혁' 운동과 연계시키고 있다. 이러한 교육개혁의 핵심은 교육이 이른바 정보화로 상징되는 사회의 요청에 부응하고,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동안 실시되었던 정부 교육개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졸업정원제 도입 등 중요한 교육개혁의 내용이 정부의 정치적 통제 과정에 의해 결정됨으로써 정부를 비롯한 권력의 핵심부에서 현장에 대한 배려와 관심이 부족한 가운데 교육개혁이 이루어지고, 추진과정 역시 교육부를 중심으로 하는 정부에 의해 상의하달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정부 통제적인 교육개혁은 학교, 특히 대학의 자율성을 배제하고, 이는 곧 정치적인 사안과 맞물려 대학교육의 공공성도 퇴색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기존의 교육개혁 정책은 정치적인 목적과 결부되어 정부의 치적으로 인식됨으로써 정원의 확대나 국제대학원의 증설과 같은 외형상의 변화는 추진되었지만 다변화되어 가는 사회적 수요에 입각한 대학별 특성을 살린 전문화·집중화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교육의 개혁, 특히 개방화·세계화 시대의 교육개혁은 지금까지 행해져왔던 정부 주도의 통제적 대학개혁을 지양하고, 각 대학의 특성과 대학이 위치한 지역의 특성을 살려 그에 맞는 자율적인 학교 운영을 통해서 각 대학이 처해 있는 여건에 맞춰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대학이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적응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대학 재정은 대학 교육 활동의 경제적 기반을 조성하므로 대학교육의 기회 확대 및 교육의 질적 향상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대학 재정 확보를 위하여 지적 재산권이나 연구용역 지원 등을 통한 학교 수입원 확충, 대학시설 활용을 통한 사용료 수입 확대, 동창회 등 지원단체의 지원금을 늘리기 위한 대학의 자구적 노력이나 모금활동 활성화, 합리적인 대학 재정정책 재검토, 우리 사회의 기부관행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 전개, GNP의 5%에 해당하는 교육예산 확보 등의 방안이 검토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학 재정 확보 노력은 대학 자체의 전문성 강화·특성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추진되어야 한다. 세계 속의 교육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대학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도 공동 노력을 기울여 대학의 위기를 슬기롭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김진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n respect toward life by children to become helpful in developing life respecting program in the aspects of change awareness and life educ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on respect toward life after performing a nature experience activity of five year old children at the kindergarten. The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y at the kindergarten have effect on respect toward life by children? 1-1 Is there difference in the respect toward lif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that has performed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y at the kindergarten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has not performed the activity? 1-2 Is there difference in the life respecting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that has performed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y at the kindergarten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has not performed the activity? 1-3 Is there difference in the life respecting activ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that has performed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y at the kindergarten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has not performed the activity? 2. Does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y at the kindergarten have influence on respect toward lif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hild? 2-1 Does the respect toward life by the experiment group that has performed kindergarten nature experience activity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hil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56children consisted of 28 children from each of two classes of five year old children attending G Kindergarten located in Gangdong-gu, Seoul. The instruments have been used after finding out the validity of details from 2 specialists by making corrections and improvements to be appropriate for the children's level based on the life respecting attitude survey questionnaire by Bai, Yong Cheol (2003) and the survey tool on life respecting attitude of children by Lee, Hee Ok (2005). The statistical analyses related to proposed problems were calculated using SPSS Win 15.0 program and performed post verification Scheffe after processing with ANOVA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subcategories with post scores of experiment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on the effect of nature experience activity on respect toward life by children, all factors were shown as having significant effect on the awareness of respect toward life. We can see that it has positive effect on the life respecting attitude, knowledge and activity that are subcategories of respect toward life. Second, as a result of finding out whether the respect toward life by the experiment group has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fter performing nature experience activity, both male and female were shown as having same effect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respect toward life by female children. Through the results shown above, the positive effects of nature experience activity on respect toward life by children have been demonstrated. Therefore, the teachers would have to perform various forms of constructiv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in educational scenes to make children value nature, know how to cherish it along with showing changes in their behavior as well as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reating life. 본 연구는 만5세 유아들이 유치원에서의 자연체험 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들에게 생명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생명존중 유아교육을 위한 의식의 변화와 생명교육의 관점에서 생명존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에서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유치원에서 자연체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 하지 않은 비교집단 사이에 생명존중 지식에 차이가 있는가? 1-2 유치원에서 자연체험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사이에 생명존중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1-3 유치원에서 자연체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사이에 생명존중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에서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생명존중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유치원 자연체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생명존중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G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 두학급의 어린이 각각 28명씩 56명을 대상으로 5주간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생명존중 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배용철(2003)의 생명 존중태도 검사 질문지와 이희옥(2005)의 유아의 생명존중 태도에 관한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유아의 수준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전문가 2인으로부터 내용의 타당도를 알아보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연구에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집단 간 또는 집단 내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사후 점수를 가지고 하위 영역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로 처리하고 사후검증 Scheffe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아의 생명존중 인식에 모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존중 하위 요소인 생명존중 태도, 지식,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연체험 활동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의 생명존중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남, 여 모두 동일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아들의 생명존중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들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자연체험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유아들이 자연을 소중히 여기고 사랑할 줄 알며, 더불어 모든 생명을 대하는 지식과, 태도 뿐 아니라 행동에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문장제에 대한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연구
김진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실린 문장제가 6차 교육과정의 목표인 실생활 문제해결에 알맞는 문제인가를 분석하고 대안적인 문장제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문장제는 "실생활 소재를 이용하여 일반 언어로 설명한 수학 문제"로 제한한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차 교육과정 전학년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 24권의 1944개 문장제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문장제를 구성하는 요소로 구문론, 의미론, 소재, 문제해결전략의 네가지를 제시한다. 문장제 분석의 기준은 다음 두가지로 구분되며, 구성요소에 각각 포함된다. 1) 문제해결에 이상적인 문제의 조건으로 자료제시와 계산순서의 불일치, 불필요한 정보, 개방형(open-ended) 질문, 문제의 재진술, 다단계(multi-step)연산의 구체적 조건이 있다. 2) 교과서 전체 분포에서 문제해결에 이상적인 문제의 조건으로 문제의 길이, 문법적 깊이, 연산의 유형, 소재와 문제해결전략에서의 다양성 조건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의 문장제에는 전체적, 학년별, 여러 가지문제 와 기타 단원별로 어떠한 구문론, 의미론, 소재, 문제해결 전략별 특성이 있는가를 분석한다. 둘째, 현행 교과서 문장제의 대안으로서 문제해결을 위해 이상적인 구문론, 의미론, 소재, 문제해결 전략별 특성과 그에 따른 문장제 사례는 무엇인가를 제시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교과서 문장제를 분석한 뒤 SPSS-PC 통계 프로그램의 기초통계와 교차분석에 의해 구성요소별 빈도와 분포상의 특성을 밝히고, 선행연구와 교과서 분석결과를 참조하여 대안적인 사례를 제시하는 방법을 취한다. 연구결과 중 첫째 현행 교과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문론의 측면에서, 문제 길이의 경우, 1개 문제에 포함된 문장의 수가 2개인 문장제가 2학년 이후 전체적, 학년별로 39 - 56%로 가장 많이 나타난다. 하위질문수에 있어서는 하위질문을 동반하지 않은 문장제가 전체적, 학년별로 68 - 80%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여러가지 문제단원에서는 하위질문의 수가 3개 이상인 문장제가 27%로, 기타 단원에 비해(11%) 더 많이 제시되고 있다. 문장의 문법적 복잡성을 드러내는 문제 깊이(depth)의 경우, 1학년에서는 Yngve지수 2.0미만의 단순한 문장으로 된 문장제가 60%를 차지하고 있으나 2학년부터 지수 2.0이상 3.0사이의 보다 복잡한 문제들이 전체적으로 38 - 58%의 범위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수치자료의 제시 순서와 문제해결의 순서가 일치하지 않는 문장제는 전체적, 학년별로 3 - 9%의 범위로 나타나며, 여러가지 문제단원에서 불일치된 문제는 12%로 기타 단원에 비해 많은 편이다. 불필요하거나 불충분한 수치정보를 포함하는 문장제는 전체적, 학년별로 1 - 3%의 범위로 나타나며, 여러가지 문제 단원의 경우도 2%로 유사하다. 어림을 포함하거나, 일정한 답이 없거나, 다양한 해가 가능한 개방형 질문의 문장제는 전체적, 학년별로 3 - 10%이며, 6학년과 여러가지 문제단원에서는 10%, 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문제의 재진술을 요구하는 문장제는 전체적, 학년별로는 4 - 10%이며, 2학년과 여러가지 문제단원에서 10%, 1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2) 의미론의 측면에서, 비연산과 연산구조여부를 분석한 결과 영역에 관계없이 연산을 요구하는 문장제가 90%정도로 나타난다. 연산 단계수를 분석한 결과 1-step 연산구조의 문장제가 전체적, 학년별로 52 - 88% 범위로 가장 많이 나타나며, 4-step이상의 다단계 문제 빈도는 2학년 이후 전체적으로 1 - 4%로 매우 적다. 연산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곱나눗셈 연산이 40%로 가장 많고, 덧뺄셈 문장은 31%, 혼합산이 10%이다. 덧뺄셈 문장제를 14가지 의미론적 유형으로 분류하면 전체적으로 결합 1 유형이 26 - 44%로 가장 많고, 변화 1, 변화 2, 비교 1 유형이 각각 9.7 - 28%, 5.5 - 28%, 4 - 18%의 범위이며 나머지 10개 유형은 0 - 7%의 매우 적은 빈도로 분포되어 있다. 곱나눗셈 문장제를 3가지 의미론적 유형으로 분류하면 전체적으로 mapping rule 유형이 82 - 99%의 범위로 가장 많으며, 곱셈적 비교유형은 0 - 11.3%, 순서쌍 유형은 0 - 6%범위로 나타난다. 3) 문장제의 소재를 분류한 결과, 총 665개의 실생활관련 어휘가 소재로써 사용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 665가지 소재는 대부분 단순 실생활 소재이며, 학년별로 크게 색다른 소재는 없고, 대부분이 1 - 2회 사용되며, 몇가지 한정된 소재들만 6년동안 반복적으로 교과서에 등장한다. 초등학교 6년 전체를 통해서 가장 지속적으로 사용된 소재는 남녀학생수, 물통에 물담기, 우유 마신 양 구하기, 몸무게, 철사 자르기, 색테이프자르기, 용돈 나누기이다. 통합교과적인 내용으로는 국어, 사회, 과학,체육 관련 소재가 소수 있다. 4) 문제해결전략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전략은 식 만들기전략이다. 식 만들기 만 단독으로 제시된 모범답안이 전체적, 학년별로 36%이며, 실제로 해보기, 도표나 그림만들기, 표 만들기, 단순문제나 유사문제의 해결, 단순기억이나 직관, 단순번역와 함께 제시된 것 까지 합하면 전체적, 학년별로 식만들기 전략이 약 70%로 가장 많다. 두가지 전략을 한 문제에서 소개한 문제는 전체적으로 25.2%였다. 문장제의 구성요소별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가장 전형적인 문장제는 2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위 질문이 없으며, 문법적 깊이는 2.0 - 3.0로 다소 높고, 불필요한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수치자료의 제시 순서는 문제해결 순서와 일치하고, 개방형 질문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문제의 재진술이 없고, 의미론에서 mapping rule 유형의 1-step 곱셈연산이며, 소재는 단순 실생활 소재이고, 가장 전형적인 문제해결전략은 단독으로 사용되는 식만들기인 것으로 나타난다. 연구결과중 둘째 대안적인 문장제의 사례는 구성요소별로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현행 교과서 분석결과에 대해 대안적인 문장제의 형태로 구문론적으로는 하위질문수가 적어도 한 개이상 존재하고 전체 문장의 수는 3개 이상이며, 문법적 깊이에서는 지수 3.0 미만의 문장, 자료제시순서는 문제해결 순서와 불일치하며, 개방형질문이 포함되어 있고, 문제의 재진술이 있는 형태를 제안한다. 의미론적으로는 비연산구조, 다단계문제, 혼합산문제, 덧뺄셈의 경우에는 변화 3 - 6번, 결합 2번, 비교 2 - 6번 유형, 곱나눗셈의 경우에는 곱셈적 비교와 순서쌍 유형을 제안한다. 소재에서는 실생활관련이면서 타교과와의 통합적 소재, 혹은 실생활 관련은 적어도 타교과와의 통합을 위한 소재를 제안한다. 문제해결전략으로는 식만들기 이외의 패턴찾기, 모든 가능성에 대한 고려, 추측하고 해보기, 거꾸로 해보기, 필요한 정보를 구체화하기, 단순문제나 유사문제의 해결, 관점의 변환, 논리적 추론등 전략을 한 문제안에 2개 이상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제안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과서의 문장제는 문제해결을 가르치기에 적합한 것인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문장제는 문제해결을 위한 조건들에 맞지 않으며, 구문론, 의미론, 소재, 문제해결전략에 있어 간단하면서 서로 유사한 형태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결과를 볼 때 현행 문장제의 대부분은 문제해결을 목표로 하기보다 계산 연습을 위한 도구이며, 학습자로 하여금 "즉시 얻어질 수 없는 것을 얻는" 혹은 "풀이 방법을 모르고 도전해보는" (Polya, 1981; Husen, 1995) 문제해결의 대원칙을 배우게 하는 것이 아니라, 배운 대로 똑같이 풀이하는 수동적 태도를 배우게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현행 교과서 체제가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에 맞게 되어 있는가에 관한 문제가 제기된다.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육목표는 실생활 문제해결이다. 교육내용은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므로 문제해결은 모든 영역에서 과제 수행을 통해 학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에서 교육내용으로서의 문제해결은 수, 연산, 도형, 측도, 관계라는 5개 영역 중 관계영역의 일부로 포함되어 각 학기마다 두 개의 여러가지 문제 단원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게 되어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 단원의 문장제도 문제해결을 위해 이상적인 조건에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렇게 특정 단원에서만 문제해결을 위한 내용을 다루려는 시도가 과연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에 맞는 것인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셋째, 수학교육과정의 영역에 따라 실생활 관련 문장제의 비율에 큰 차이가 있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을 각 영역별로 보면 도형영역의 경우 문장제 비율은 학년별로 10% 미만의 범위로 분포되어 있다. 도형 영역에서 실생활관련 문장제가 전혀 소개되지 않은 경우도 1학년 1,2학기, 2학년 1학기, 4학년 2학기, 5학년 2학기, 6학년 1학기등 6개 학기나 된다. 수 영역 또한 학년별로 문장제 비율이 1 - 10%범위 밖에 되지 않은 학기가 2학년 1,2학기, 3학년 1,2학기, 4학년 2학기, 6학년 1,2학기등 7개 학기이다. 도형과 수 영역에서 문장제의 비율이 낮다는 것은, 도형 영역의 경우 실생활과 유리된 추상적인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수 영역의 경우 수개념의 소개에 있어 실생활과의 관련이 부족함을 나타내준다. 넷째, 현행 교과서에서 몇가지 제한된 소재만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소재들은 실생활과 관련하여 볼 때 현실성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는 것들이다. 가령 남녀 학생수, 물통에 물 담기, 누가 우유 몇 l마셨는가를 자주 실생활에서 따져보는 일은 없을 것이다. 다섯째, 몇가지 덧뺄셈 유형, 곱나눗셈 유형이 높은 빈도로 반복적으로 제시됨으로써 개념적 지식(knowing-that)보다는 절차적 지식(knowing-how)에 대해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덧뺄셈의 유형의 대부분은 변화 1번과 결합 1번에 치중해 있다. 이 유형들은 굳이 교과서에서 많은 비중으로 할애하지 않아도 학생들이 잘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일 수 있다.(De Corte & Verschaffer, 1991) 그렇다면 교과서는 조금만 다루어주어도 학생들이 잘 맞출 수 있는 유형의 문제들에 많은 비율을 할애하면서 정작 학생들의 정답률이 낮은 문제들 즉 교과서에서 여러번 다루어 주어야 할 문제들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로 소홀히 다루어준 것일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곱나눗셈의 유형 역시 mapping rule 에 심하게 치중되어 있다. mapping rule유형은 곱셈을 덧셈의 연장선에서 이해하는 초보적인 유형이다.(Teubal & Nesher, 1991) 곱나눗셈이 유리수 도입의 시발점임에도 mapping rule을 강조함으로써 유리수의 연산에서 학생들이 자주 보이는 자연수 규칙적용의 오류 현상들, 예컨대 1/3 + 3/4의 계산을 4/7라고 해버리는 것의 원인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Behr외 3인, 1983; 유현주, 1995) 여섯째, 여러가지 문제 단원에서 문제해결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타당한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여러가지 문제단원에서는 문제해결 전략을 가르치려는 의도에서 하위 질문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 문제해결전략을 가르치기 위해 하위 질문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각 하위 질문에서는 오히려 폐쇄적인 질문이 많다. 이것은 문제해결을 가르치려는 의도로 학생들에게 문제해결전략과 문제해결의 단계에 대해서 가르치는 것(teaching about problem-solving)이 일반적으로 수학문제해결 능력 신장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Lester, 1994)를 참조하면, 시정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 제언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생활 문제해결이 교육 목표라면, 이를 위한 문제들이 교과서 체제의 전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단지 여러가지 문제와 같은 문제해결관련 단원을 확대하고, 전체적으로 문장제의 양을 늘린다 하더라도, 문제해결에 바람직하지 못한 단순 문장제를 대부분의 단원에서 제시하고, 여러가지 문제단원에 와서 새롭게 문제해결을 위한 문장제를 제시하려는 현 교과서의 체제는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전체 단원과 영역에서, 단원에서는 도입문제부터, 문제해결에 적합한 문장제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어떠한 목표를 성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내용을 학습과제에서 계속 제공해야 하며 교육과정 구성요소간의 내적 일관성을 기할 때 의도한 목표의 달성가능성이 커진다는 교육과정의 적절성의 원칙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교과서 개정의 시사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수학을 다른 교과와 통합하는 방안으로서 문장제의 활용도를 강구해야 할 것이다. 현행 교과서에서 문장제는 다른 교과와의 통합적 요소로서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문장제의 소재는 실제 수학이 사용되는 생활 장면에서의 상황을 제시하거나 생활과 직접 관련이 없다 하더라도 다른 교과 지식과 만날 수 있는 통합적 요소의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요소이다. 셋째, 학습자의 문장제 수행에 대한 연구, 예컨대 구문론, 의미론의 형태에 따른 효과라든가 소재 유형별 흥미와 인지도 조사, 문제해결에 사용하는 학생들의 전략에 대한 분석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문제해결이 학습자에게 의도한 바대로 경험되었는가는 교과서의 분석만으로는 예측할 수 없으며, 이에 관련된 수많은 변수들을 교과서 연구에서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교육과정은 실행과정에서 사람들의 실제가 변화될 때 진정한 학교 개선에 기여한다는(Hord등,김경자 역, 1993) 진리를 떠올리게 하는 부분이다. 넷째, 이 연구의 분석대상이 실생활 관련 문장제라는 조건 때문에 현행 교과서의 문제들 중에서는 배제된 문제들 예컨대, 문장으로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문제제기형(problem-posing) 문제, 순수 수학적인 소재의 문장제이면서 문제해결에 이상적인 문제들이 있다. 또한 문제해결을 위해 단순 수식제 문제들과 문장제와의 균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들도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의 분석대상 문장제를 포함하여 전체 교과서 문제의 형태를 포괄하는 문제해결 연구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identifying "word problems"(story prblems, verbal problems, etc.) which have been used as the tool of the problem solving in mathemai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ord problem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to present an alternative forms of word problems appropriate to the objective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problem solving in real life situations". In the study the definition of the word problem is "the mathematics problem explained in natural language and whose topic is real life rel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1944 word problems in the current 6th Korean curriculum 12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12 workbooks, Ikhimchaik.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lements of the word problems are proposed as the syntax, the semantics, the topics, and the problem-solving strategies. The criteria of analyzing word problems for problem solving are as follows and each are included in the elements of the word problems: 1) The concrete criteria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der of data mention and the order of using it, the insufficient and unnecessary information, the open-ended questions, the re-statement of the questions, the multi-step operations. 2) The diversity criteria in the whole textbook is the length of the problem, the depth of the problem, the kind of operation or non-operation, the meaning structure(operation types), topics,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The questions investigated in the study are specifi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yntactic, semantic, topical and strategic characters of the word problems in the current textbooks on the whole, by grades and by the various kinds of problems units and the other units? Second, what are the alternative ideal syntactic, semantic, topical and strategic characters of the word problems for the textbooks?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process the data analysis by SPSS-PC statistics programs, and to present the alternative forms and examples of the word problems. The results of the first questions are as follows: 1) As for the syntax, the most frequent length of the problems is 2 sentences in 1 word problems(39-56%, from 2nd to 6th grade). The frequent number of sub-questions is zero(68-80% in all grades). In the various kinds of problems units, the word problems comprising more than 3 sub-questions are more frequent(27%) than other units(11%). The most frequent depth of the word problems is from 2.0 to 3.0 Ynve number (38- 58%) after 2nd grade. The number of the problems comprising differences between the order of data mention and the order of using it is 3-9% on the whole, 12% in the various kinds of problems units. The number of the problems comprising insufficient and unnecessary information is 1-3% on the whole, 2% in the various kinds of problems units. The number of the problems comprising open-ended questions is 3-10% on the whole, 10% in the 6th grade, and 9% in the various kinds of problems units. The number of the problems comprising restatement of the questions is 4-10% on the whole, 10% in the 2nd grade, 14% in the various kinds of problems units. 2) As for the semantics, the problems requiring operations are 90%. Among the problems requiring operations, 1-step problems are most frequent(52-88%). The multi-step problems whose number of operation steps are over 4-steps are 1-4% on the whole. With regard to the kind of operations, multiplication-division problems are 40%, addition-subtration 31% and the mixture 10%. Among the 14 meaning structures of addition-subtraction problems, Combine 1 type is most frequent(20-44%) on the whole and Change 1, Change 2, Compare 1 are 9.7-28%, 5.5-28%, 4-18% and the other 10 types are few(0-7%). Among the 3 meaning structures of multiplication-division problems Mapping Rule type is most frequent(82-99%) on the whole, Multiplicative Compare type is 0-11.3%, and Cartesian Multiplication type is 0-6%. 3) As for the topics, the 665 real-life related words are discovered. Most topics are simple real-life related topics and they are used once or twice. Several topics are continuously found on the all textbooks as follows: The number of boys and girls, Bottling water, Measuring the amount of milk, The weight of the body, Cutting the wire, Cutting the colored tapes, Distributing pocket money. The integrative topics are very few and they are language, social sciences,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related. 4) As for problem-solving srategies, the most frequent strategy is Making Expression. The use of more than 2 strategies is 28.2%, which uses Act it out, Make a Drawing or Diagram, Look for a Pattern, Construct a Table, Guess and Check, Work Backword, Solve a Simpler or Similar Problem with Making Expression strategy. The syntax of typical word problem forms in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s 2 sentences, no sub-questions, 2.0-3.0 depth, dont include insufficient or unnecessary informations, whose order of data mention agree with the order of using it, dont include open-ended questions and re-statement of questions. The semantics of typical word problem forms is 1-step operations, multiplication-division, Mapping Rule type problem. The topics of typical word problem is simple real-life related. The prblem-solving strategies of typical word problem is single use of Making Expression. The results of the second question are as follows: Accord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ent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syntax of an alternative form of word problem is more than 3 sentences and 1 sub-question, less than 3.0 depth numbers, whose order of data mention doesnt agree with the order of using it, which includes insufficient or unnecessary informations, open-ended questions, and re-statement of questions. The semantics of an alternative form of word problem is non-operation, if it is operation, multi-step, Change 3-6, Combine 2, Compare 2-6 types in addition- subtractions, and Multiplicative Compare, Cartesian Multiplication types in multiplication-divisions are proposed. The topics of an alternative form of word problem are real-life related and integrative with other subjects. The problem- solving strategies of an alternative form of word problem is more than 2 strategies in one word problem.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of mathematics curriculum is the "problem solving in real life situations", so all the mathematics curriculum areas should deal the problems for problem-solving. In spite of having increased the number of word problems, in the current textbooks most word problems proved not to be appropriate to problem solving. Second, to integrate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s, the word problems should be used as the tool. The topic of the word problem can be the core of the integration. Third, the studies on problem-solving, i.e., learner performance in solving word problems, the effects by the forms of the syntax, the semantics, the topics, and the problem-solving strategies of the word problems should be made. Fourth, the problem solving studies comprising all problems in mathematics textbooks should b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