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지역축제 개선점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사례 분석

        조은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local government devotes itself heart and to increase the income holding active development all its energies and event of cultural industry which represent the local and revitalize the economy since the fundamental local government act in 1995. Be transformed by a be jumping on ostentation festival in a result standardization similar of shortage of preparation to be thorough of a festival and a program, fall and the fashion of contents in quality at parts about local festivals to have increased for a great number of local festivals to be annually held at the current our country every place to this, and a local resident is getting hurt by the outside to visitors. If get from blame called "property culture of a tradition festival", and the negative results that cannot but be a waste are said, and thorough advance inspection regarding a local festival and evaluation after the fact become finally execution, the opinion that is increasing. But, the local of Chongju inherits the history, cultural original form to the contemporary to revitalize of craft industry of chongju. It has been five times in 2007 since 1999. As the local festival, this research has the aim of itself to present a development plan for the local festival. Therefore, the investigator supposed the international crafts biennale is a case of local festival and tried to call for further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next, the investigator studied about chongju international crafts biennale and analyzed the general condition in real and represented development object of the local festival. they were represented the seven stipulations as the local festival of development object. The first is creative, and shall develop positively a program discriminated. Shall suit with the subject that a festival aims at, and achieve a local tradition or cultural characteristics, natural environmental and artificial flower, and be creative, and development of a discriminative program shall become. The second, Shall develop an experience program. Plan a creative program, and get development done, and shall go further forward to considering the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arbitrariness entrances that a local enemy characteristic was highlighted that various, and was discriminated. The third, Shall develop a profit commodity. Development of a commodity is multilateral, and development of a profit commodity shall consist of a symbol result public information effect of profit securities and a festival through various ideas because of the periods. The fourth, Shall make well the whole kindness public information strategy. As public information takes charge of important role of success of a festival, shall attempt various public information effects besides the advertising strategies that utilized media. The thing that is important like too advance public information is rear activity. Action public information is important after standing in order to approach once the festival that is easy to be over into anger by continuous a few festival. The fifth, Shall secure professionalized be organized manpower. A plan to be practical of a back installing special educational courses and a special organization educating the festival person concerned shall be groped more for anything for successful holding of a festival per a festival wall as a preface manpower security is important. The sixth, Shall lead aggress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ggress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s a necessary condition to let you maximize an effect of a local festival in local festivals. Therefore, the master of a festival just needs widely known effort to thing called local resident through education regarding local festival commercialization a local autonomy group. Finally the seventh, Shall achieve globalization of a local festival. Shall endeavor in order connect, and to develop by an international festival while making an international each nation and an active cultural exchanges as grope for a plan. As a researcher was not able to participate to members of direct crafts biennale in this study. Refer to past data, leave having had to stop to analyzing and the unsatisfactory which were not able to present more a evolutive alternative about development directions of a local festival. From now on, the researcher whom was supplemented comprehensively will go out, and see more clever for activation of a local festival. 지역축제의 한 예로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의 사례를 분석해 보고 앞으로 지속적인 지역축제의 발전을 위해 축제에 필요한 발전방안을 7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적극 개발해야 한다. 둘째,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수익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사전·사후의 홍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전문화된 조직 및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여섯째,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곱째, 지역축제의 세계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 성인학습자를 위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커리어 미래 적응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조은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들의 커리어 미래 적응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첫째,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은 성인학습자의 커리어 미래 적응성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둘째,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은 성인학습자의 자아개념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셋째, 성인기 자아개념과 커리어 미래 적응성의 하위변인들간의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은 생애주기 연장에 따른 내부 커리어 재설계의 목적을 가지고 내적 성찰, 동기부여, 변화를 돕는 전환학습을 이끌어내어 학습자의 통찰과 적응성을 높이도록 구성하였으며 지나온 커리어를 반추하며 의미 찾기, 자신감 회복하기, 정체성 찾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의 종합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과 기존의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고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실험절차는 커리어와 관련된 성인학습에 참여하여 훈련을 받기를 원하는 40대 이후 남녀 성인학습자 3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 비교집단 각 17명에게 사전검사로 ‘커리어 미래 적응성 검사’, ‘성인용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는 총 10회기 24시간 교육훈련을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후 프로그램 사전-사후 효과와 비교집단과의 검증을 통한 자료처리 및 분석(T-test, ANCOVA, 상관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Windows 20.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은 커리어 미래 적응성 향상과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생애주기의 연장 및 변화에 따른 커리어 미래의 적응성을 향상시키고 스스로 커리어 관리를 해나가는 데 가장 핵심적인 요인인 커리어 주체성은 단기간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의 투입을 통해서 향상될 수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비록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의 단기간 처치의 특성으로 인해 본 실험에서는 성인기 자아개념이 향상되지는 않았지만, 성인의 자아개념과 커리어 미래 적응성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 한 바, 하위요인별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에의 적용 시사점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 effects of social support program, which influence the career future adaptability and self-concept of adult learners. Therefor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do social support programs have an effect on improving the career future adaptability of adult learners? Second, do social support programs have an effect on improving the self concept of adult learners? Thir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self-concept that influence one’s career adaptability? Afterwar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swer the questions. Social support programs are aimed at inner career redesign in line with life cycle extension. In this study, it was designed to boost the insights and adaptability of learners through transformative learning that inspires introspection, motivation, and changes. The program features various contents such as ‘finding a meaning,’ ‘restoring self-confidence,’ and ‘discovering self-identity’ through career reflec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a social support program was recreated based on the results and existing ones. It was verified through an experimen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34 adult learner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career-related learning and training.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with 17 subjects in each group. As a pre-test, ‘career future adaptability inventory’ and ‘self concept inventory’ for adult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24-hour education and training were conducted for 10 sessions. After the experiment,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T-test, ANCOV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verifying the results with the comparative group. It was done through t-test, ANCOVA, and a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s 20.0, a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ocial support program helped improve their future adaptability and self concept. In particular, career agency, a key factor in boosting future adaptability in line with extension and changes in life cycle and managing one’s career, can be improved through short-term social support program.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s aimed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self concept as an empirical study. To that end, a standardized test on self concept was utilized. Also, this study has utilized a career future adaptability inventory that can be utilized for career counseling and goal-setting.

      • 함평 조간대 내부 온도 변동 특성과 예측에 관한 연구

        조은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라남도 서해안에 위치한 함평만은 전체 면적의 약 절반이 조간대로 구성되어 있고 해안선이 복잡한 반 폐쇄된 만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간대 내부 온도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지온예측과 검증을 위하여 2005년 1월 11일부터 2005년 11월 28일까지 함평만조간대에서 각 계절별로 약 45일 동안 노출률이 다른 4개 정점에서 조간대 내부 7개의 층에서 지온을 관측하였으며, 동시에 조간대 지면 5cm 위에서 수온을 관측하였다. 기상자료는 목포기상대에서 관측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관측된 내부 온도는 표층 2 cm에서 약 -2.7~39.6 ℃의 변화를 보이고 저층 44 cm에서 약 2.2~28.5℃ 보인다. 조간대는 조석에 따라 노출 시 대기와 열 교환을 하고, 침수 시에는 해수와 열 교환을 한다. 따라서 조간대 내부온도는 노출 시에는 기상조건(일사량, 기온, 습도 등)에 침수 시에는 수온의 영향을 받는다. 조간대 퇴적물 열용량은 표층에서는 3.48×10^(6) J/m^(-3)K^(-1), 저층에서는 3.06×10^(6) J/m^(-3)K^(-1) 이며 열확산계수는 8 cm에서는 약 0.63×10^(-6) m^(-2)s^(-1), 32 cm에서는 약 0.98×10^(-6) m^(-2)s^(-1)이다. 관측된 온도를 경계조건으로 열 확산방정식을 이용해 해석해와 수치해 두 가지 방법으로 내부 온도를 예측하였고 그 결과를 관측된 지온과 비교하였다. 수치해 방법은 해석해 방법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조건만으로 실제 내부 온도 변화를 유사하게 구현하였다. 조석에 따라 조간대 표면이 노출 시에는 대기와의 열 교환양을, 침수 시에는 해수와의 열 교환양을 계산하여 이를 경계조건으로 사용해 수치해 방법을 이용하여 조간대 내부 온도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관측된 각 층별 지온과 비교하였다. 예측된 조간대 내부 온도는 실제 관측한 온도와 비교하여 결정계수(R²)가 0.8~0.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상자료와 수온자료만으로 조간대의 내부 지온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Hampyong Embayment, a semidiurnal tide-dominated bay,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Korea has a well-developed macro intertidal fla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vertical sediment temperature change and its prediction of vertical thermal structures. Four intertidal stations with different exposure rates were selected. Vertical sediment temperatures were measured for forty five days in each season (from Jan. 2005 to Oct. 2005). Meteorological data were measured at the Mokpo meteorological station. Sediment temperature fluctuates from -2.7 to 39.6℃ at a 2 cm layer and from 2.2 to 28.5℃ at a 44 cm layer. Intertidal flat exchanges heat with air during exposure and with sea water during inundation. Consequently, vertical sediment temperatures were changed by atmospheric conditions (i.e. solar radiation,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exposure and by sea water temperature during inundation. A finite difference model (FDM) is used to predict vertical soil temperatures. Further, the temperatures calculated by FDM are compared to those calculated by an analytical model (AM). The predicted sediment temperatures by FDM using simple conditions show better results than those by AM. The volumetric heat capacity used was 3.48×10^(6) J/m^(-3)K^(-1) at the surface layer and 3.06×10^(6) J/m^(-3)K^(-1) at the low layer and the thermal diffusivity used was 0.63×10^(-6) m^(-2)s^(-1), ×10^(-6) m^(-2)s^(-1) at the 8 cm layer and 0.63 at the 32 cm layer. The surface boundary sediment temperature is calculated by the amount of heat exchange between tidal flat and air and tidal flat and sea water during exposure and inundation. The vertical soil temperatures are also predicted by FDM the using calculated surface boundary soil. The predicted vertical soil temperatur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soil temperatures (R²>0.8~0.9). Therefore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vertical soil temperature profile from observed meteorological data and sea water temperature data.

      • 약용식물 추출물의 biofilm 생성억제 효과

        조은주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biofilm problem caused by microorganism infection has been focused by many researchers. In Korea, many medicinal herbs were used to control or reduce phlegm developed in bronchus after bacterials infection, which were mostly found to be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coccus pyogenes. Using these medicinal herb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medicinal herbs on the biofilm developed by E. coli(DH5α), S. aureus and S. pyogen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ptimum microorganism culture conditions were NB nutrient medium, 37℃ and 24 hours with the addition of 0.2% glucose in the medium. 2. Water extracts from Baegbugeun, Baegseonpi, Sasam appeared to have antibiotic effects on the all three bacteria tested, S. aureus and S. pyogenes and E. coli. Water extracts of Banha and Jeonho were effective only on E. coli, but not on the other bacteria. Water extracts of Cheonnamseong and Hodu were effective only on S. pyogenes. 3. On the all three tested bacteria, diethyl ether extracts from Geumeunhwa, Banha, Baegbuja, Sasam, Cheonnamseong, Cheonhwabun, Paemo, Haengin and Hodu showed antibiotic effects, especially Baegbuja and Sasam extracts had promin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S. aureus and S. pyogenes. 4. Water extracts from Baegbugeun, Paemo and Heangin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biofilm formation in all three tested bacteria. Extracts of Sasam and Jeonho were effective only on the E. coli, Geumeunhwa and Hodu on S. aureus and Haengin on S. pyogenes, respectively. 5. Diethyl ether extracts from Gwaruin, Baegbuja, Sanyag and Hodu showed the inhibitory effects of biofilm formed by S. aureus and S. pyogenes, especially Gwaruin extracts showed prominent efficacy. 산업의 발달로 인해 파생적으로 늘어나는 오염과 더불어 biofilm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biofilm 제거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iofilm 생성 억제의 한 방법으로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기관지․천식 질환자의 객담에서 분리되는 S. aureus, S. pyogenes와 E. coli를 대상으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균성과 biofilm 생성 억제에 대한 연구수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

      • 계급형성의 미시적 과정에 관한 연구 : 호텔노동자들의 파업을 중심으로

        조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개별 노동자들이 하나의 집합적 행위자로 전화되는 계급형성 과정의 미시적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A호텔을 중심으로 국내 특1급 호텔 노동자들의 파업에 관한 질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참여관찰과 심층면접, 수기 분석 등 기층노동자 및 평조합원들(rank-and-file)로부터 출발하여 그들의 계급형성 과정에 접근하는 "아래로부터의" 접근방식을 취함으로써, 이 연구는 주로 거시적 수준의 논의에 편중되어 왔던 계급형성 연구 및 조사(survey) 방법에 한정되어 왔었던 계급의식 연구 등과 방법론적 차별성을 지닌다. 이 연구의 이러한 차별적인 접근방식은 계급의식의 잠재적 차원과 맥락의 특수성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하며, 계급의식의 과정적 측면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이끈다. 또한 이 연구에서 취한 "아래로부터의" 접근방식은 파업을 통해 노동자들이 무엇을 경험하게 되며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그 과정에서 어떠한 해석과 이해들이 새롭게 등장하며 어떠한 변화들이 이루어지게 되는가, 그리고 노동자들이 그것을 어떻게 언어화하며 또한 언어화되지 않는 형태로 존재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의 문제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이 연구의 방법론적 차별성은 이론적 주장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것이기도 하다. 생산관계 내에서 일정한 위치를 점유하는 집단으로서의 계급(즉자적 계급)과 역사적 행위자 또는 변혁주체로서의 계급(대자적 계급)이라는 이중적 계급개념은 맑스주의 이론에서 전통적으로 전제되어 왔던 계급개념의 두 가지 상이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지금까지 맑스주의 계급론은 이러한 두 층위의 계급개념 사이에서 진동해 왔으며, 이는 곧 맑스주의 계급론 내부에서 이루어져왔던 이론적 논쟁의 핵심적 원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맑스주의 계급론의 쟁점들이 계급개념은 물론 접근 영역 및 접근 방식 등에서 일관되게 이분법적 가정을 함축하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계급형성 연구를 통해 이러한 이분법을 넘어서는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전통적으로 전제되어왔던 계급구조→계급형성→계급투쟁의 도식을 비판하고 계급투쟁의 한 형태로서의 파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계급형성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데, 이는 특히 파업이라는 특수한 계급투쟁의 국면에서 진행되는 계급의식의 형성과정이야말로 개별 노동자들이 하나의 노동자 계급으로 전화되는 계급형성의 미시적 과정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주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이 연구는 계급형성 과정의 핵심적 요소는 바로 노동자들 자신의 "경험"임을 밝힐 수 있었다. 특히 계급형성 과정에서 경험은 ①객관적·구조적 차원과 주관적·해석적 차원을 연결시키면서 동시에 ②정치경제학적 접근과 문화적 접근을 매개시키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경험 개념을 매우 모호하고 불분명하게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핵심적 중요성을 오히려 탈각시키는 경향을 보여왔다. 이 연구는 경험 개념을 ①즉각적 경험과 주관적 경험 ②작업장에서의 경험과 파업에서의 경험이라는 두 수준에서 각각 분석적으로 구분함으로써, 경험 개념 속에 포괄되는 상이한 차원들이 변증법적으로 결합되는 메커니즘을 보다 명료하게 규명할 수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노동자들의 경험(즉각적 경험)은 해당 산업부문의 구조적 성격이나 생산관계의 규정력과 같은 객관적·구조적 차원들로부터 조건지어지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즉각적 경험은 그 자체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매순간 끊임없이 해석되고 재해석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즉각적 경험에 대한 노동자들 스스로의 주관적·해석적 차원(주관적 경험)은 노동자들의 경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②이처럼 작업장에서의 일상적인 노동자들의 경험을 즉각적 경험과 주관적 경험의 차원으로 구분해볼 때, 파업에서와 같은 특정한 문화적 경험-새로운 문화와 언어의 공유, 새로운 상징과 재현의 등장, 공동체의식의 형성 등-은 작업장에서의 경험(즉각적 경험)을 노동자들 스스로 해석하고 인식해 나가는(주관적 경험)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계급의식의 형성과정은 바로 작업장에서의 경험이 파업에서의 경험과 결합되면서 노동자들 자신에 의해 해석되고 인식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계급의식을 계급정체성의 형성, 계급대립의 인식, 계급총체성의 인식이라는 상이한 차원들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계급의식의 단계적 발전을 전제하거나 단선적 경로를 함축하는 것이 아니라 계급의식 형성 메커니즘을 분석적이고 명료하게 밝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첫째, 계급정체성이 파업에서의 경험과 같은 상징적·문화적 차원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지만 이는 작업장에서의 경험이라는 분명한 물질적 기초 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보임으로써 포스트 맑스주의의 이론적 전제를 비판하며, 둘째, 작업장에서의 일상적인 경험을 노동자들 스스로 착취 의 경험으로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이해와 자본의 이해가 서로 대립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 즉 계급대립에 대한 인식이 이루어지게 됨을 밝히고, 셋째, 그러한 해석의 과정을 통해 노동자들이 자기자신의 경험의 총체성 및 노동자들 일반의 경험이 지니는 총체적 성격을 인식하게 되면서 계급총체성의 인식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인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이 연구는 노동자들이 구체적으로 계급관계를 경험하는 실질적 장소이자 계급형성의 미시적 기초로서의 작업장에서의 경험을 부각시키고, 이를 통해 "아래로부터의" 접근과 정치경제학적 접근의 결합 가능성 및 그것의 중요성을 제기하며, 즉자적 계급과 대자적 계급, 계급구조와 계급투쟁, 필연성과 주관성, 구조와 행위, 객관과 주관 등 기존의 사회학이나 맑스주의 이론에서 흔히 이분법적으로 파악되어 왔던 상이한 차원들의 변증법적 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What makes individual workers "the workers"? This study examines the micro-mechanisms of class formation through which individual workers are changed into collective actors. I used qualitative methods to examine a hotel workers' strike in A hotel, taking a bottom-up approach that begins with the rank-and-file. This study, therefore, is methodologically distinct from class-formation studies that emphasize macro level processes or class-consciousness studies that are generally limited to survey research in Korea. My methodological approach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eoretical argument of this study. Marxist theory has premised a dual concept of class: class-in-itself which signifies the group that occupies a certain position in relations of production and class-f or-itself which signifies a self-conscious historical actor or revolutionary agent. Actually, Marxist class theory has oscillated between these two concepts of class, and the problem of class definition is the origin and kernal of much of Marxist theoretical debate. I argue that the dual concept of class creates a dichotomy in the definition of class, the field and the way research is conducted. And I emphasize that it is possible to study class-formation beyond this dichotomy. So this study criticizes the traditional formulation of class structure, class formation, and class struggle and analyzes the mechanism of class 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 strike, a form of class struggle. My research reveals the concrete micro-processes of class formation through which individual workers are changed into a collective actors. Through thi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his thesis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workers themselves is the core factor in the class formation process. The experience has a particular meaning as it connects the objective-structural with the subjective-interpretational sphere, and combines the political economic with the cultural approach.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experience is analytically divided into two levels: (i)the instant experience and the construed experience, and (ii)the experience-in-workplace and the experience-in-strike. These forms of experience are dialectically related: (i)That the workers experience instant experience is conditioned on the objective-structural sphere such as the character of industry or the force of productive relations. But this experience is also certainly interpreted by workers themselves, as all experience becomes construed experience. (ii)As the usual experience-in-workplace is divided into the instant experience and the construed experience like this, a specific cultural experience like the experience-in-strike such as the new common culture and language, appearance of particular symbols and representations,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and so on affects the processes through which workers construe and interpret the experience-in-workplace. This process is that of class-consciousness formation indicating particular levels of class identity, class opposition, class totality. (This doesn't imply or premise the escalating stage of class-consciousness.) So, this study emphasizes several points: First, class identity is formed through the symbolic and cultural process like the experience-in-strikes, but this is based on the material foundation, the experience-in-workplace. Second, workers become aware of the class opposition as they construe their usual experience-in-workplace as the experience of exploitation. Third, class totality is perceived as a worker recognizes the totality of his or her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whole experience of general workers. To conclude, this study highlights the experience-in-workplace as the micro-foundation of class formation and the essential place in which workers experience class relations in the concrete. And I emphasize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combine the bottom-up approach with the political economic approach, and furthermore, to clarify the dialectic relationship that has been regarded as dichotomous in sociology or Marxist theory: between class-in-itself and class-f or-itself , class structure and class struggle, necessity and agency, structure and behavior, objective and subjective.

      •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래 사회는 4차 산업혁명으로 새로운 질서가 확립되고 있으며 기존의 직업 체계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상이 달라지고 있다.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창의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창의성이 내포하는 다양한 사고 능력과 창의적 사고 과정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미술교육에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창의적 발상과 창의적 사고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술 활동이 요구된다. 마그리트 작품은 일상의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게 하고 사고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으며 마그리트의 작품 제작과정에서 볼 수 있는 사색적 드로잉은 창의적 사고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마그리트 작품에 나타난 데페이즈망 기법은 다양한 창의적 발상의 방법을 나타낸다.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교육은 창의성과 연계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러나 기존의 마그리트 작품 관련 연구는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오브제의 탐구, 사색적 드로잉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가? 둘째, 마그리트의 창의적 사고를 활용한 미술 활동은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이다. 2020년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9차시에 걸쳐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방안을 1차 예비 프로그램으로 실행한 후 1차 예비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2021년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2차시로 구성된 2차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설문지, 연구일지, 수업 녹취 자료, 활동지, 학생 작품, 개인 심층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창의성의 구성요소 중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측면에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창성 측면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학생들이 생성하는 아이디어의 수가 늘어났다. 마그리트 작품 과정에서 볼 수 있는 드로잉 활동을 적용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사색적 드로잉으로 표현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이전 차시와 비교하였을 때 아이디어를 드로잉으로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학생이 줄어들었으며 더 많은 수의 아이디어를 드로잉으로 표현하였다. 사색적 드로잉으로 표현된 아이디어가 또 다른 아이디어를 자극하여 아이디어의 수가 늘어났다. 둘째, 융통성 측면에서 한 가지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이종 간의 결합’ 활동에서 학생들은 두 가지 사물을 전체와 부분으로 나타내고, 사물의 장소를 바꾸었다. 또한 이질적인 사물을 결합하여 새로운 대상을 만들고 의인화하여 표현하기도 했다. ‘사물의 속성 흩뜨리기’ 활동에서 사물의 속성을 여러 범주를 기준으로 변화시켜 새로운 관점의 사물로 바꾸었다.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한 대상의 모양, 크기, 장소, 감각 등을 바꾸었다. 학생들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대상에 대한 고정적인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유연하고 새로운 속성을 생각하였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사고를 전환하였다.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을 통해 여러 가지 다양한 범주의 아이디어를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독창성 측면에서 기존의 사고와 다른 독특하고 신선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낼 수 있게 되었다. 12차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을 통해 창의성이 길러졌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사후 설문 및 면담에서 ‘그렇다’라고 답변한 학생이 대부분이었다. 학생들은 창의성이 길러졌다고 생각한 이유에 대한 질문에 평소 생각할 수 없었던 생각을 하게 되었다, 생각하기 어려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게 되었다, 상상하지 못한 부분까지 상상하게 되었다 등의 답변을 하였다.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으로 인하여 새롭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에 따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프로그램에 다양한 또래 활동을 포함하여 적용한다면 조금 더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4학년 학생들이 마그리트 작품 속에 내포된 철학적 사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감상 활동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드로잉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프로그램 이전에 실시하면 보다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 학생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발상을 이끌어내고 창의성 요소 중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발상과 창의적 사고 과정을 위한 미술 활동이 미술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공유경제서비스 이용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조은주 호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공유경제는 최근 생태계 및 환경보존 등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ICT기술의 발전 그리고 모바일과 인터넷 및 스마트 환경의 확산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경제 패러다임을 형성하며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유경제서비스를 사용 또는 참여하는 국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소비자 지각 요인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비자 지각요인으로 서비스에 대한 유용성과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주관적 규범, 스스로의 효능감에 대한 행동통제, 공유경제에 기반하는 환경적 신념인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지향성으로 보았다. 소비자 지각 요인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소비자 가치가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하여 연구하였으며 아울러 소비자 가치가 행동의도로 가는 경로에서 지각된 위험이 조절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 지각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공유경제서비스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접효과 분석 결과 개인은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감성적가치를 느끼고 이를 통해 행동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유경제서비스의 마케팅 전략에는 유용성을 통해 감성적으로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요소가 충분히 고려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실무적으로 시사하였다. 또한 공유경제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점차 지대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주변의 인식은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역시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기수용자 집단에 대한 우호적 분위기를 형성하여 사회적 영향력 확산을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도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학문적으로는 소비자의 행동의도를 설명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검증함으로써 공유경제서비스의 행동의도를 분석하는 이론적 틀로 적절함을 확인하고 소비자 가치의 매개역할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자기기입방식의 설문으로 인한 표본통제의 어려움과 표본 집단의 한계로 일반화에 대한 어려움의 한계를 가지며, 공유경제서비스의 분야를 특정하지 않고 전반적 조사하여 연구의 결과가 실무적으로 차이를 보일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앞으로 공유경제서비스의 국내 성공과 실패 사례를 연구하고 영향요인들을 견고히 검증하는 등의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이를 통해 공유경제서비스가 우리 사회에 유익한 방향으로 확대되고 발전되어지길 기대한다. The shared economy is growing rapidly,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issues such as ecosystem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and the creation of an innovative economic paradigm based on the proliferation of mobile. internet and smart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al intention of domestic consumers using or participating in shared economic service, focusing on consumer perception factors. eficial direction for our Consumer perceptions were perceived as usefulness to services, subjective norms of social influence, behavioral control over self-efficacy, and environmentalist beliefs on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shared economics. Consumer perceptions were predicte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path of affecting behavioral intention, and consumer value predicted that perceived risk would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path of 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perceived consumer factors influenced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he shared economic service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the individual felt the emotional value through the perceived usefulness. Therefor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marketing strategy of shared economic service should fully take into consideration the elements that can feel emotional value through usability. In addition, as the interest in shared economic services becomes increasingly widespread, perceptions around them will be an important determinant of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In this study, subjective norms of social influence were also identified as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Therefore, a marketing strategy that emphasizes the diffusion of social influence by forming a friendly atmosphere for early adopter group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shared economic services by verify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re is significance to it.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difficulty of sample control due to the questionnaire of on-line self-enrollment method and the difficulty of generalization due to limitations of the sample group. It does not specify the field of shared economic service, It has limitations that can be seen.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research on domestic successes and failures of shared economic services and robust verification of influential factors will continued. In addition, we hope that the shared economic service will be expanded and developed into a society.

      •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조은주 경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두 가지 유형을 제시한 DAPCS(The Dependency-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Scale)를 번안하여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 이를 이용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두 가지 유형이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우울 및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창원시 및 김해시 소재 6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남녀학생 7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문항으로 구성된 한글판 DAPCS를 개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의존지향 심리적 통제 4문항과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4문항으로 단축하였으며, 2요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의존지향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자기비하와 승인욕구, 그리고 우울 및 불안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의존지향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자기비하와 승인욕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존지향 심리적 통제는 승인욕구에,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는 자기비하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와 모의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자기비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의 의존지향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불안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승인욕구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의 심리적 통제가 승인욕구를 통해 우울과 불안에 이르는 경로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존지향 심리적 통제,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자기비하, 승인욕구)을 강화시켜 이를 통해 우울 및 불안 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우울 및 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상담 및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DAPCS(The Dependency-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Scale) presenting two type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ter being translated in Korean. By using it, this study researched how the two type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ould affect adolescents' irrational belief and depression and anxiety, and whether or not adolescents' irrational belief would play a role of mediation in the relation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To do this, the materials of 759 students were used subsequent to the survey on the first and second grade boy and girl students from six academic high schools around Changwon and Gimhae, Gyeongsang south province. The important results from this study go like this. First, I developed 17 item-DAPCS in Korean, which was abbreviated to 8 item-DAPCS (dependa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4 items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4 item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I made sure of the validity of 2 factors. Second, parental dependa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olescents' self-downing and need for approval, and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parental dependa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positively affect adolescents' self-downing and need for approval. Relatively dependa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makes more effect on need for approval while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makes more effect on self-downing. Fourth, adolescents' self-downing mediates between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And adolescents' need for approval mediates between mother's dependa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anxiety. However, there is no way wher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can reach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need for approval. Through this study, I can fin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dependa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not only enforces adolescents' irrational belief(self-downing, need for approval) but also affects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thi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in counsel and consultation with adolescents who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anxiety caused b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