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버가정학습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진숙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ABSTRACT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e-Home Study Kim, Jin Sook Major in Commercial Informa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are the main participators of e-home study in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and to suggest some solutions. This is intended to reduce the overspending of the private educational payment, causing the social conflict and antagonism in Korea, and finally to support the public education. In order to pursue the purposes and obtain all the pertinent data, a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involving review, survey. For the survey, I revised the questionnaire in part for the current study. The survey participants consisted of 214 students excluding papers with wrong answers.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with SPSS 14.0. The eight factors were drawn by factor analysis, such as learning attitude, self-regulated learning, visibility, subjective norms, usefulness, learning contents, perceived ease of use, interaction. For data handl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see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ing attitude and self-regulated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visibility, subjective norms an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hird, learning content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fulness. But interaction had not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It is because that most of the students in this study use EBSi program which is produced by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As it were, EBSi is a large scale program, so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interaction. In conclusion, I'm able to find various positive effect of the e-home study from the study. Students expressed that e-home study is a complement to the school's learning and reduces the overspending of the private educational payment. So I recommend the program should be proceeded continuously. However, it has some problems related to interaction in large scale program such as slow feedback, unsatisfactory contents, poor record of using. At the end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사이버가정학습의 Q & A 분석 : 서울, 경기, 충북, 전북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를 중심으로

        김경숙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 환경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이버가정학습의 보다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년 3월 1일에서 2009년 8월 31일 까지 서울, 경기, 충북, 전북 등 네 개 지역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의 Q & A에 게시된 질문과 답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의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에 올라 온 질문의 영역과 그에 따른 질문 수는 어떠한가?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에 올라 온 질문들은 본 취지에 맞게 질문되고 있는가? 넷째, 사이버상담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사이버가정학습의 메뉴 구성은 학습하고, 평가하고, 물어보고,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것으로 틀은 같았지만 해당하는 메뉴의 이름이라든지 화면의 배치, 배너 구성 등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분석 기간에 올라 온 질문의 수는 서울 7423건, 경기 5161건, 충북 267건, 전북 4596건으로 각 지역 간에 질문 수의 차이를 보였고, 질문의 유형은 교과의 경우 교육과정에서 정한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질문 수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에 올라 온 질문들은 서울(2%)을 제외하고는 경기(83%), 충북(92.9%), 전북(34.5%)의 경우 각 게시판의 특성에 맞는 질문을 하는 것보다는 시스템 오류나 이용방법에 대한 질문들이 많았다. 넷째, 아동의 질문에 대한 교사의 답변 건수는 서울이 99.8%, 경기가 95.6%, 충북이 73.8%, 전북이 98.6%로 상호작용이 되어 지고 있음이 보여지고 있으나 아동의 반응에 대한 피드백이 교사에게 제공되지 않아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답변 형식 또한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의 내용을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의 자율학습콘텐츠의 경우 내용은 동일하였으나 교수설계영역면에서 차이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에 따라 의사소통에 대한 차이도 나타났으므로 의사소통이 저조한 지역의 경우 교수설계영역면에서 개편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둘째, 지역 간에 질문의 내용, 수준 및 양적인 차이를 보였다. 지역적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시스템 오류를 줄이고 이용 방법을 간소화 하여 학생들이 사용하기 불편함이 없도록 개발해야 할 것이다. 넷째, 아동의 질문에 대한 교사의 답변 형식이 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문자로만 하는 언어소통이기에 교사의 전문적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하고 아동의 질문에 대한 교사의 답변이 아동에게 어떻게 작용했는지에 대해 교사에게 피드백될 수 있는 메뉴 구성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정부에서 사이버 가정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지침이 내려오고 있는 상황이지만 교실 현장에서의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홍보와 안내는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홍보 및 안내를 통해 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지역간의 차이를 없애기 위한 방편을 마련하도록 하며 언어적으로 의사소통되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상담교사의 전문적인 의사소통의 기술을 습득하고 학생의 답변에 대한 반응이 교사에게 피드백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다면 의사소통의 활성화로 인해 사이버가정학습은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비를 경감하는 등의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for effective 'Cyber Home Schooling' by analyzing interactions in Cyber Home School systematically. To achieve this purpose, 'Q & A's uploaded from March 1, 2009 to August 31, 2009 in 'Cyber Home Schooling' sites of Seoul, Kyunggi, Chungbuk, and Chunbuk province were analyzed. Specific research qeu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Home School' in terms of its structure and contents? Second, How many questions are upload and what types are they? Third, Are the questions uploaded appropriate? Fourth, How well do the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Cyber Home School implemen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nu of 'Cyber Home Schools' investigated was similar in main structure, while some differences were found in its name, arrangement, and banners. Second, Seoul's question number(7423 each) is a large number of any other region. For make progress, a difference of region should be narrowed. Third, except for seoul's questions which are suitable in notice board. another region's questions are almost system fault and use method on cyber home school for make progress, try for reduce system fault and simplify use method. Fourth, teacher's answer number are quite affimative. this is not enough. For make progress, affirmation system which teacher's reply whether sufficient and sincere or not would develop. Besides, preceeding information and conduct about cyber home school.

      • 사이버가정학습의 인지적 정의적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이항녕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인지된 학습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태도, 만족도 등으로 인식되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사이버가정학습의 영향요인들 가운데 인지적․정의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도출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맥락에서 더욱 효과적인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인지적 영역(학업성취도, 인지된 학습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성은 학습자 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효과성(학습태도, 학습만족도)은 학습자 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사이버가정학습 체제에서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요인 및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비춰볼 때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적합한 학습방법의 제공,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학습전략의 개발, 학습자가 사이버가정학습에 자주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가정에서는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of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uch as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influential to the academic achievement, repercep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enhancem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domain(academic accomplishment levels, percep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enhanc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bout the Cyber Home Learning depending on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affective domain(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ory level) on the Cyber Home Learning depending on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3. What are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are a number of recommendation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To begin with, the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which is appropriate to their personality types. Next, they should develop 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lso, the learners should be given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often come in contact with the Cyber Home Learning. Finally,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the parents' wholehearted interest and active support at home.

      •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동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수업이 농촌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이버 가정학습 활용 연구를 통해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농촌 학습환경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사이버 가정학습이 가능한 활용여건 조성 및 수업설계를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사이버 가정학습 활성화를 위한 연구에 기초자료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수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가? 둘째,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수업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가? 셋째,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수업이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에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공통적으로 사이버 가정학습 자율형학급을 운영하였고, 주 1시간 사이버 가정학습 학습활동이 가능하도록 컴퓨터실 학습여건을 조성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를 활용한 수학과 교실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수학과 교실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공통적으로 방과후 가정에서의 사이버 가정학습이 가능하도록 강좌개설 및 활용을 독려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전/사후 설문조사결과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하였고, 학업성취도는 기초학력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실험이 이루어진 사후검사결과를 종속변인으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는 사전/사후 설문조사결과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수업이 농촌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하위요인인 자신감 요인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수업이 혼합계산(자연수의 연산) 영역에서는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사이버 가정학습을 심화・보충학습으로만 학습하도록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보다 수업 중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참여를 확대하는 것이 혼합계산(자연수의 연산)에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수업이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 가정학습을 수업중・후 직접 활용한 학생들이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학습환경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사이버 가정학습을 수업시간에 교과내용과 연계해서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은 학생들의 실질적인 활용실적 개선,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사이버 가정학습을 방과후 보충학습이라는 고정관념으로 인식하여 가정에서의 학습을 독려하는 것으로 한정된 인식에 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사이버 가정학습의 컨텐츠는 교육과정 개정과 병행하여 지속적으로 보완하며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방과후 보충학습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를 교실수업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강좌 설계에 대한 고민과 연구가 뒷받침된다면 교실수업과 방과후 학습을 지원하는 공교육 학습 플랫폼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농촌 학습환경 학생들에게는 사이버 가정학습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히 조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농촌 초등학교라는 제한된 학습환경에서 학생들이 사이버 가정학습을 교실수업 중‧후 직접 활용하게 되면서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온 연구결과와 같이 사이버 가정학습의 교실수업 활용전략에 대한 연구가 사이버 가정학습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높다고 생각한다. 학력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농촌 초등학생들을 위해 사이버 가정학습 도입 초기의 목적이 흔들림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사이버 가정학습 교실수업 활용방안에 대한 후속 및 보완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중학교 1학년 생물영역의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평가

        정윤영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onent and characteristic of the 7th grade biology basic content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which provided by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by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eb sites. In this study, ‘Cyber Home Learning System Contents Quality Control Tool’ which is par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E-learning Quality Control Guideline(Ver. 2.0)’ by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is used. This study is searched by the evaluation of 9 categories: needs assessment, instruction design, learning contents, teaching & learning strategy, interaction, supporting system, evaluation, ethicality and copy right which focused on the 7th grade biology basic content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tents have advantage in detailed learning goal, useful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ctivities by level, and various learning parts material, but lack in evaluation method tool for personal learning by level and the latest learning material. Various evaluation methods are not used for the contents and the feedback of evaluation standard and evaluation questions do not use for the evaluation of contents. This study infers that students should control the speed during using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suitable other web sites should be linked to get for learning contents. And it is needed that cyber home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methods and method tool development by level. It is necessary for the most efficiency learning contents that learning contents including the latest information and trends, development and popular of various cyber home learning contents, the way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blended with school education, active public relation about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uld be searched further on. Based on th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barrier of the efficient learning contents should be searched for the comple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management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에 공동으로 탑재되어진 중학교 1학년 과학(생물영역) 자율학습 기본과정 콘텐츠를 선정하여 콘텐츠의 구체적인 구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의 ‘초·중등교육 이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er.2.0)’에서 제시한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품질관리 도구’를 적용하여 자율학습용 중학교 1학년 기본과정 과학교과의 생물영역 중심으로 콘텐츠에 대해 요구분석과 교수설계, 학습내용, 교수학습전략, 상호작용, 지원체계, 평가, 윤리성, 저작권의 9개 평가영역으로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구체적인 학습목표 제시와 편리한 학습환경 제공,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학습활동 제공, 다양한 학습요소자료 제시 등 많은 이점이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 스스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 도구가 없었고, 최신의 정보 및 경향을 반영하는 학습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욱이 콘텐츠의 평가 방법에 있어 다양한 형태의 평가방법을 사용하지 않았고, 평가 기준과 문항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콘텐츠 학습 시 속도를 조절하고, 학습 내용과 관련된 유익한 사이트를 링크시켜 학습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측정 도구 개발 및 수준별 과정 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학습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최신 정보 및 경향을 포함한 학습내용으로의 수정 및 보완,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 사이버가정학습과 교실수업의 연계 방안 모색,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등 다양한 방안에 대한 추가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학습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소들에 대해 지속적인 보완과 추가 연구가 진행된다면, 향후 콘텐츠 개발 시 양·질의 과학(생물영역)교과 자율학습용 콘텐츠의 개발과 보급 및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적인 운영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 사이버가정학습 과학과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정인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개정교육과정에 맞추어 새롭게 제공되는 사이버가정학습 과학과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분석해봄으로써,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 과학과 콘텐츠의 더 나은 교육 서비스가 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이버가정학습 4학년 과학과 보충형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동기유발, 학습내용, 화면구성, 학습의 도움정도, 만족도 및 기타 등 5개영역 19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등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분석하였고 또한 학생들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의 동기유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호기심을 유발하는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응답을 한 학생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사진자료와 동영상을 활용한 것은 좋았지만 좀 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도입부분에서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실생활과 관련된 정보, 게임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의 학습내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학습 내용이 이해하기 쉬웠다라는 항목과 평가 문제의 난이도의 적절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의 화면구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화면의 글씨크기 및 동영상, 사진의 크기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상대적으로 메뉴의 위치 및 편리성에서는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화면 구성시 학생들의 편리를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사이버가정학습의 학습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학습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평가 문항의 오답에 대한 자세한 풀이과정이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을 준 것이라 판단된다. 다섯째, 사이버가정학습의 학습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해 친근하고 효과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나 물론 짧은 기간이었지만 사교육비 대체 및 경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인식이 많았다.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더 많은 홍보가 이루어져 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하여 사교육을 대체할 수 있을 만한 콘텐츠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여섯째, 보충형 콘텐츠를 가지고 모든 학생들이 공부했을 때 학생들에게 대체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으나 ‘상’ 수준의 학생들은 지루함을 느끼는 경우가 나타났으나, ‘중’의 수준의 학생과 ‘하’의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개인 간의 수준차를 고려한 수준별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동기유발 유지 전략이나 학습자 관리 전략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학습에 흥미를 갖고 사이버가정학습에 몰입하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며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유용한 방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사이버가정학습 과학과 콘텐츠를 개발․운영하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기존의 콘텐츠가 학생들에게 긍정적 인식을 갖는 것으로 평가 되었지만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어 넣을 수 있는 동기유발 자료 개발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메뉴 체계에 대해 학생들이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므로 활용이 편리할 수 있는 메뉴 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의 가장 큰 목표는 사교육비의 절감이다. 꾸준한 홍보로 교사와 학생이 모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사이버가정학습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성평가에 관한 연구

        이지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21세기의 감성정보사회에서의 인터넷 환경은 디자이너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그 주체가 달라지며, 사용자의 니즈(needs) 역시 정신적, 심리적 만족감을 중시하여, 감성만족의 중요성은 증대되었다. 본 논문은 사이버가정학습 인터페이스의 디자인과 관련한 학생들의 감성적 니즈(needs)를 추출하기 위하여 감성공학의 방법과 사용성(Usability)평가 방법 중 휴리스틱평가법을 활용하였다. 사이버가정학습 인터페이스의 감성평가에 적합한 감성만족도 요소와 디자인 적합성 측면의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사이버가정학습 인터페이스를 감성평가 하였다. 웹 그래픽 디자인은 레이아웃, 컬러, 그래픽, 아이콘, 타이포그래피 등의 디자인 요소들이 함께 만들어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자인 요소들이 만들어 내는 감성적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사이버가정학습 초기 화면의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사이버가정학습 인터페이스 디자인요소와 감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감성요소는 SD법을 응용하여 감성형용사를 수집하고 대표형용사를 선정하였으며, 그 대표형용사의 중요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요인분석하여 감성만족도 요소를 도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 14개 요소로 선정되었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요소는 미술의 조형원리와 제이콥 닐슨 등의 웹 사용성에 관계된 이론을 활용하여 28항목의 디자인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평가 실험에서는 전국 지역교육청별 16개의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를 연구대상 범위로 선정하였으며, 사이버가정학습을 사용하는 학습자들에게 인터뷰와 설문조사 방법, 전문가에게 휴리스틱 평가기법을 활용하였다. 실험 후, 각 사이트 인터페이스들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16개의 사이버가정학습 인터페이스에 대한 감성만족도의 순위와 각 감성요소별 순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감성만족도 평가에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받은 것은 서울 사이버가정학습이었다. 둘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휴리스틱 평가는 짧은 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어떤 문제가 있으며,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었다. 휴리스틱 평가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은 부산 사이버가정학습이었다. 셋째, 종합적인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해서 16개 사이트의 상대적 감성평가 순위를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감성만족도 평가와 전문가의 휴리스틱 평가를 종합한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은 부산, 서울, 울산, 제주 사이버가정학습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이버가정학습 인터페이스 감성평가 방법은 웹 디자이너만의 생각으로 디자인하던 인터페이스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용도가 낮은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학습자의 이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e Internet environment of the 21th century's emotional information society, the designer-centered subject has changed into user-centered one, and as the needs of users concentrates on ment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satisfaction has increased than before. This study applied heuristic assessment among the method of sensibility ergonomics and usability, to deduce the emotional needs of students who relates to the design of Cyber Home-Learning System(CHLS) interface. It came up with the emotional satisfaction factors which is for sensitivity evaluation of CHLS interface and evaluation factors for the aspect of design and then conducted emotional assessment on CHLS interface. Web graphic design is composed of design basis; layout, color, graphic, icon, typography and etc. This study implemented research based on the early drawings of CHLS interface as to analyze the emotional image created by these design elements. First of all, the design elements of CHLS interface and emotional elements were selected. For emotional elements, SD(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applied to collect emotional adjective and selected representative adjective among them. And then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importance of representative adjective, and sorted out elementary satisfaction elements by the factor analysis of the result came out from the survey.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and fourteen elements were selected. For the interface design elements, it deduce 28 items of design check list by using the plastic principle of painting and the theory related to web usage including Jakob Nielsen. In the experiment for evaluation, sixteen CHLS of the nation's local education offices were chosen as the range of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interview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learners who uses CHLS and applied heuristic evaluation by the expert. After the evaluation, the result of each interface was analyzed. The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order of emotional satisfaction with 16 CHLS interfaces and the order of each emotional elements through the interview and survey done through the response of the learners. The one marked the highest average of the sensitivity evaluation of learners was Seoul CHLS. Secondly, the heuristic evaluation on professionals only required short period of time and was done at a low cost, but it was appropriate enough to know what kind of problems lies in each interface and how to improve them. By evaluating each CHLS through the list made up by heuristic evaluation, Busan CHLS marked at the top. Finally, through the final analysis on the evaluation result, the sensitivity satisfaction of learners and the design suitability heuristic evaluation on professionals for each interface were analyzed and the relative sensitivity evaluation ranking of sixteen interfac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bined result of learners evaluation and professionals evaluation, Busan, Seoul, Ulsan, Jeju CHLS was ranked at the top. The method of CHLS sensitivity evaluation provided by the research is going to be helpful to make a web designer concentrated interface changed into a learner concentrated interface. Also, the problem of low utilization of CHLS sites would be defined and improved to reach the higher level of utilization of CHLS sites.

      •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초등 영어교과 활성화 방안 연구

        김아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order to make public education substantial and thereby reduce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04. In fact, Korean students, who lear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re able to be given English learning contents for 24 hours at any internet accessible places. In this aspect, Cyber Home Learning System seems to be an effective English learning tool. Therefore, to mak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learning more effectiv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learners’ participation into the system, thei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thus explore something to be improved.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made as follows. What is the status of elementary English learning through Cyber Home Learning System utilized by learners, and thei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what is the plan to facilitate elementary English learning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o address the issues, this researcher first investigated e-learning which is a basi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then explor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yber Home Learning System. After that, for pre-survey, fourteen 5th year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are interviewed. And then, the survey of questionnaire prepared based on the interview was conducted on two hundred and five 5th year students of the school. Moreover, for more details, ten students and two English teachers are interviewed after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s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learning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were found low.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with English course through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as considerably lower than one with the public English education. Also, the questionnaire survey indicated that although students certainly wanted interesting contents and new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textbooks,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ailed to provide enough contents suitable for their requirements. In addition, as shown in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use rat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by students is low, and their rate of participation into private education is high. This implies that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has been not yet placed as a learning tool to replace privat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hown earlier, something to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contents reflecting learners’ requirements should be provided. More than anything else, the interesting contents learners want should be offer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which feature amusement aspects, with the balanced use of Edutainment (Education & Entertainment) effects, rather than simply repeated contents. Moreover, as shown in students’ opinions,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textbooks should be provided. Under the EFL environment where students have few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other than in regular English class, if new contents going beyond the textbooks’ contents are provided, it would be possible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and help learners get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interestingly of their own. Lastly, efficient operation being a match for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is required. The current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is provided for those who are more than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The survey result presented that most students already experienced prior learning before becoming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who formally learn English in schools. Accordingly, i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expanded to low-year elementary students, it would be possible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for prior learn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roper learning compensation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motivation for learning. Given the fact that children going to elementary schools have weak motivation, it is considered that applying such an attractive learning compensation system to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ould positively influence their participation into learning. 사이버가정학습은 공교육을 내실화하여 사교육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2004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특히 영어를 제 2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우리나라의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에서든지 스물네 시간 학습 콘텐츠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이버가정학습은 효과적인 영어학습도구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더욱 효과적인 초등영어 사이버가정학습을 위해 학습자들의 참여 실태와 만족도 및 선호도를 연구하여 그에 따른 개선점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학습자들의 사이버가정학습 초등 영어에 대한 활용실태와 만족도 및 선호도는 어떠한가? 이에 따른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초등 영어학습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의 기본이 되는 이러닝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사이버가정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후 사전조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설문지로 해당학교의 5학년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세부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 후 학생 10명과 영어교사 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초등영어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도와 만족도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이버가정학습 영어과목 만족도는 공교육의 만족도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조사결과 학생들은 분명하게 흥미위주의 콘텐츠와 교과서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콘텐츠를 원하고 있었지만 사이버 가정학습에서는 이와 같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조사에서 밝혀진 학생들의 저조한 사이버가정학습 이용률과 높은 사교육 참여율은 영어과목 사이버가정학습이 아직 사교육을 대체할만한 학습 도구로 자리잡지 못하였음을 시사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영어학습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의 개선방향 제언하자면, 먼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사이버가정학습에 학습자들이 원하는 흥미로운 콘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단순한 반복에만 그치는 학습 콘텐츠가 아닌 에듀테인먼트 (Education & Entertainment) 효과를 균형있게 활용하여 오락적 측면에 비중을 둔 콘텐츠를 가미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의견에 따라 교과서와는 다른 차별화된 내용의 콘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학교의 정규 영어 수업시간 이외엔 영어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EFL환경에서, 교과서의 내용을 넘어선 새로운 내용의 콘텐츠를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사교육의 비중을 줄이면서 학습자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교육시장과 대적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현재 사이버가정학습 영어학습은 초등 3학년부터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조사결과 많은 수의 학생들이 영어 교과가 정식 도입되는 초등 3학년 이전부터 사교육을 통해 선행학습을 진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사용자 범위를 초등 저학년을 확대한다면 선행학습에 투입되는 사교육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이기 위한 적절한 학습 보상 체제 운영이 필요하다. 특히 초등연령의 어린이는 학습에 대한 동기가 약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매력적인 학습 보상체제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제공한다면 학습 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의식 조사

        이춘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recognition o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executed at junior high schools through school home pages for efficient service operating and institutional support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How much do teachers make use of ICT by teachers' features? 2. How about teachers' opinion on the service operating of cyber home learning at junior high schools by teachers' features? 3. How about the teachers' role on cyber home learning by teachers' features` This research surveyed 450 teachers in 13 junior high schools around kang-buk area in taegu.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for window Version 12.0 statistical program,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Chronbach α,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aking use of ICT according to the teachers' features, most of teachers understood e-learning, and they showed their information literacy were on an average level. Also, teachers who are young and the teachers who had made use of materials on the internet often showed more need. Second, in the service operating of cyber home learning through school home page, teachers said materials made by themselves would be used frequently. However, they felt their stress of extracurricular work. Therefore, service operating of cyber home learning through school home page will be improved to help teachers make their materials easily, and to reduce their stress of extracurricular work. Also, they thought they could share various materials and informations with their students on the school home page. In addition to, they expected to improve thei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y being connected with lessons in a classroom. Third, in the teachers' role and teachers' training on cyber home learning, Most of teachers showed ability to stimulate students' learning motive,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and feed-back should be done.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별로 실시하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율적인 운영과 제도적인 지원 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ICT 활용 준비도는 어떠한가? 2.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 운영 시스템에 대한 견해는 어떠한가? 3.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의 사이버선생님 역할과 연수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서부교육청 산하 강북지역 13개 학교에 근무하는 45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 활용 준비도에서는 e-러닝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이 잘 이해하고 있었고, 본인들의 정보 활용 능력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연령이 낮을수록, 홈페이지 활용이 많은 교사일수록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의 필요성에 높게 반응하였다. 둘째,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에서 교사가 직접 제작한 자료가 가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가로 가중되는 과외 업무를 부담스러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손쉬운 콘텐츠 제작과 과외 업무로 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홈페이지를 통해서 학생들과 다양한 자료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서 사이버가정학습이 수업 보조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고, 온라인 가정학습과 오프라인 교실수업을 연계할 수 있어 수업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단위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사이버선생님 역할과 연수에 대한 반응으로는 온라인 학습 동기 부여 능력 및 정보 활용 능력, 평가 및 피드백 관리 부분 모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만족도

        고복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성화를 위해 운영의 핵심이 되는 교사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운영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사이버가정학습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사이버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 71명과 참여한 경험이 없는 교사 4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권성호(2006)의 2005년도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분석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 목적에 맞게 개발하였다. 설문 구성은 응답자의 배경변인으로 응답한 전체교사의 배경 특성과 사이버교사의 배경 특성을, 사이버가정학습의 인식은 사이버가정학습의 현황과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로 구성하였다.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콘텐츠 부분, 기능적 부분, 수업관련 부분, 교육청 지원 부분, 기타 활동과 관련한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수당, 학부모 참여방법에 대한 문제를, 개선사항으로는 사이버교사의 역할, 콘텐츠, 시스템, 정책, 기타, 제주특별자치도의 특화사업 등의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에서 교사들에게 적극적인 홍보나 연수는 물론, 교사 자신도 노력이 요구됨이 나타났다.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인식을 보면 참여할 의사가 없는 교사보다 참여의사가 있는 교사가, 참여의사가 있는 교사보다는 참여경험이 있는 교사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만족도 분석은 콘텐츠, 기능적 측면, 수업관련, 정책지원, 기타 활동의 다섯 가지 하위 영역으로 분석하였는데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성화 방안에서는 사이버교사에게 주는 인센티브로는 가산점․연구점수가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했으며, 개선사항으로 사이버교사는 가산점이나 수당을 받기 위한 형식적 참여보다는 학교의 담임처럼 성실하고 책임감을 느끼며 해당 과목에 전문가적 소양을 갖춰야 된다고 하였다.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수준별 자료의 개발과 더 많은 학생이 한꺼번에 접속해도 가능할 정도로 용량을 늘려 자주 다운되는 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또한 학생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충분한 홍보가 필요하며 사이버교사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업무 경감 대책이 교육청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의 성공은 많은 교사들이 그 효과를 알고 교실수업에서 활용할 때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교사들이 참여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 효율성의 체계적인 질적 연구방법에 기초하여 대상을 선정한 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체계적으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이 인터넷을 통한 학습이라는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과 그 대책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cyber home study, and suggest ways to increase degrees of satisfaction for revitalization of the cyber home stud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randomly selected 71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cyber home school, and 445 teachers who had not.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Kwan(2006) and consisted of three parts: teachers' perceptions on the cyber home study, teachers' satisfaction of the cyber home study, and ways to revitalize the cyber hom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the cyber home study to teachers, an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cyber home study thought the cyber home study more positively. Second,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yber home study. Third, as an incentive for participating in the cyber home study, teachers preferred to provide scores for the promotion or transfer. Also, teachers replied that computer systems should be expanded to increase data processing capacities, and the district office should provide incentives and lessen workloads for the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cyber home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yber home study could be effective when teachers understand its' effect on students, thus it is needed to increase teachers' participation. Second, the effect of the cyber home study is need to be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rd, the cyber home study is done through the internet, thus we should consider its reverse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