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의회제 국가의 내각안정성 형성경로에 관한 경험적 비교연구: 영국 · 일본 교차사례 분석

        吳守珍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Cabinet Stability under the Parliamentary Systems: An Empirical Cross-cases Analysis of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This study attempts to delineate the causal impact of political as well as economic factors(independent variables) upon the stability of cabinet(dependent variable) under the parliamentary systems. For this purpose, a series of cross-cases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cases of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OLS multiple regressions and path analysis to detect the causal structures among the operating variables. The analysis shows that (a) parliamentary fractionalization is the sole factor affecting the level of cabinet stability both in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and (b) 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unemployment rate or the inflation rate do not produc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impact upon the cabinet stability, neither directly nor indirectly.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 that parliamentary fractionalization is the only factor which affects the cabinet stability both in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suggests a new hypothesis that it may operate as a ‘general cause’ of the governmental as well as political stability under the parliamentary systems, regardless of regional or cultural diversities. Secondly, the statistically negligible impact of economic factors found in this research, which outrightly defies the empirical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may generate a new hypothetical perspective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of parliamentary government in industrial democracies has been gradually losing its political leverage upon the governmental stability. Finally, the fact that both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have maintained the stable constitutional monarchy indicates that a specific pattern of parliamentary system may operate as an initial condition under which parliamentary fractionalization produces significant effect upon the cabinet stability.

      • Bruner, Dalcroze, Kodăly, Orff 의 이론을 적용한 창작지도 연구 :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오수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Bruner, Dalcroze, Kod&#259;ly, Orff 의 이론을 적용한 창작지도 연구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오수진 음악은 여러 시대를 걸쳐 이루어진 창작품들을 중심으로 학습되어지며 이러한 학습을 통해 인간에게 있어 미적인 경험을 하게 해주어 정서적인 면에 큰 도움을 주는 동시에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교육은 여러 시대에 걸쳐 축적된 창작물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이루어지며, 피교육자는 모방과 재창조를 통해서 창의성을 습득한다. 우리나라 교육은 7차 교육과정과 7차 개정 교육 과정에서 “21세기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을 목표로 삼았으며, 이는 음악 교육이 가진 창의성 습득의 장점과 부합한다. 특히 음악의 교육 활동 중 창작활동은 예술적 영감과 창작자 내면의 표출 방법 습득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창의력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인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창위주의 학습이 진행되어지고 있는 현 교실 상황에서 감상활동 이외에 창작수업이 비중 있게 다루어 져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였으며, 창작지도 수업을 좀 더 원활히 진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Dalcroze, Kod&#259;ly, Orff의 학습방법을 도입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7학년을 설정한 이유는 7학년이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습득한 음악적 기본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악적 개념이 미비한 초등학생보다 연구 대상으로 삼기에 용이하다고 설정하였으며, 7학년이 아직 고등교육의 첫 단계이기 때문에 새로운 교육 방식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의 관찰이 다른 표적군 보다 뚜렷하기 때문이다. 많은 교육학 연구가 중 Dalcroze Kod&#259;ly, Orff의 학습방법을 연구의 주제로 잡은 이유는 Dalcroze Kod&#259;ly, Orff의 학습법이 난이하지 않으면서 학생들의 창의성 배양에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세웠기 때문이다. Dalcroze Kod&#259;ly, Orff의 학습법은 모든 연령층에 교육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쉽고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과목과 연계 방식을 수업에 도입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교육에 흥미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창작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창작 진행유형과 그에 해당되는 작품들을 분석 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제제곡 중심의 기존 학습법 보다 개념적 접근법 중심의 Bruner의 개념적 접근법이 적합하며, 단계적으로 학습목표에 접근하는 나선형 접근법이 창작의 개념이 아직 초기단계에 있는 중학교 한국 학생들의 음악 교육실정에 부합한다고 생각하여 연구에 비중을 두었다. 각 장별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서론으로 연구의 내용과 연구내용에 따른 결과,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활동의 분석을 바탕으로 살펴본 교육과정에서 창작활동의 의미, Bruner, Dalcroze, Kod&#259;ly, Orff 접근법을 적용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Bruner, Dalcroze, Kod&#259;ly, Orff 접근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학교에서 적용 되어질 수 있는 창작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모색하였다. Ⅲ장에서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창작활동을 세분화하여 학교에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창작활동의 종류, 작곡활동 지도방안, 창작활동 교수·학습 지도가 실제로 이루어질 때에 창작활동의 학습 요소와 학습 목표를 선정하고,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였으며 이와 같은 창작 지도가 이루어졌을 때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음악발달의 가능성을 이 교육을 통해 예상되는 음악적 발달 효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창작지도가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 제고되어져야 하는 부분들에 대한 언급과 더불어 앞서 언급한 접근법들을 이용한 가창, 율동, 감상과 기악활동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In the human history, people have learnt the music with the siecles accumulated master pieces. It has been a great source of esthetic experience and has developed emotional part of our life. In consequences, the music has played a role of enriching human life.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made a slogan "Foster Korean students as 21th active, and creative leaders", in 7th educational session and 7th reformed session. This slogan suits to music education's virtue, "Acquiring creativity". Especially creative composing activity in music education leads students to accept the creative composing as a part of their life, by learning ways of expressing of creator's inside and the ways of expressing art inspirations from the life. This study shows why we have to give more weight to the creative composing activity than the present singing centered music education. The study proposes adopting of <Dalcroze, Kod&#259;ly, Orff's method> as a methodology of creative composing. the study chose 7th grade students as a target of the experiment. Because they have better notion of musical knowledge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is group is more remarkable in the result of educational experiments than the others as a first step students of high level music education. The consideration of this adopting in the subject is based on the hypotheses that <Dalcroze, Kod&#259;ly, Orff's method> is not difficult but efficient of raising student's creativity. Because <the Dalcroze, Kod&#259;ly, Orff's method>is easy and well structured enough to applicate music lessons to various generations, for example, we can expect students' concentration and interest in the lesson by introducing other art classes. Firstly, the study emphasized on "Bruner's conceptional approach", which is regarded as suitable approach in Korea middle school musical education, for the creative composing activity which demands to students to analyze about composing process and corresponding musical pieces. Secondly, the study tried to adopt spiral approach, because this methode approaches to the academic goal by stage, therefore, easier to begging lever students than material music centered existing style. Details of each chapter is described as mentioned below. As an introduction, the chapter Ⅰ resumed the study and result, also explained the effect of middle school textbook's opus analyse in creative composing, and the reason of <Dalcroze, Kod&#259;ly, Orff's method>'s adoption in teaching. The chapter Ⅱ described about <Dalcroze, Kod&#259;ly, Orff's method study>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in creative composing lesson. The chapter Ⅲ subdivided creative composing lessons in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and chose composing teaching strategies, educational elements and goal of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argeted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presented prospected musical development from adoption of suggested methode. The last chapter mentioned additional necessary efforts for effective teaching in creative composing lessons and the need of continuous study of previously suggested approaches on diverse musical activities.

      • 뇌졸중 생존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오수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뇌졸중 생존자의 스티그마, 회복탄력성 및 삶의 질의 정도를 확인하고, 뇌졸중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J도 S시에 소재한 3개 병원의 신경과와 재활의학과 외래에서 통원치료 중인 뇌졸중 생존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8월부터 9월까지였다. 연구도구는 Molina, Choi, Cella 와 Rao(2013)의 Stigma Scale for Chronic Illnesses 8, Conner 와 Davidson(2003)의 CD-RISC , Williams, Weinberger Harris, Clark와 Biller(1999)의 SSQOL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은 149.42±40.04점, 스티그마는 15.72±7.29점, 회복탄력성은 54.69±23.54점이었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성별(t=-2.66, p=.009), 연령(F=5.55, p=.001), 교육수준(F=3.61, p=.014), 배우자 유무(t=3.38, p=.001), 직업 유무 (t=-2.08, p=.038), 흡연 여부 (F=8.43, p<.001), 음주 여부(F=7.05, p=.001)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뇌졸중 질병유형(F=4.52, p=.012), 발병기간(F=8.68, p<.001), 마비여부(t=3.56, p<.001), 통증여부(t=2.55, p=.012), 통증정도(F=9.2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상자의 통증정도와 삶의 질은 부적 상관관계(r=-.26, p=.002),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67, p<.001). 대상자의 삶의 질은 스티그마(r=-.61, p<.001)와는 부적 상관관계, 회복탄력성(r=.71,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마비여부(β=-.13, p=.004),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β=.41, p<.001), 스티그마(β=-.21, p<.001), 회복탄력성(β=.38, p<.001)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뇌졸중 생존자의 삶의 질을 75.3% 설명하였다(F=28.82,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뇌졸중 생존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높이고 환자가 지각하는 스티그마를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수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on their job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step up the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effects do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have on their job ability? 2. What effects do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hav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0 teachers in pubic kindergarten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to find 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s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was Choi So- young(2003)'s questionnaire that was based on the Korean Federation of Education Association(1983)'s Questionnaire of Teacher Awareness of the Teaching Profession whos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wo experts. Kang Kyung-seok and Kim Young-man(2006)'s questionnaire that was based on Lee Nan-sook(1991)'s inventory and Yoon Hong-joo(1996)'s inventory was employed to assess their job ability. And Lee Chang-sook(2007)'s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evaluate their job satisfaction, which was based on Rho Jong-hee(2001)'s 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the motivations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o job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Besid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by using an enter metho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ir motivations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on job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ptitude, social respect and possibility of self-realization, which were three subfactors of the motivations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job ability, and incident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job ability. As for the motivation subfactors affecting job ability,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motivated to choose the teaching profession in consideration of their aptitude or the possibility of self-realization had better job ability. Second, aptitude, social respect and possibility of self-realiza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Concerning the motivation sub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more affected by incidental motivation, less affected by job stability and more affected by possibility of self-realization expressed better job satisfactio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internal motivation such as aptitude and possibility of self- realization was found to have an effects on the job ability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en they chose the teaching profess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eachers who chose the teaching profession due to a stronger internal motivation get to perform their job more efficiently, which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job ability. Second, even those who chose the teaching profession due to incidental motivation expressed a lot of job satisfaction when they were appointed a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motivation of job stability had no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job satisfaction. Besides, the motivation of the possibility of self-realization exercised the larges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it's consequently required to take measures to facilitate the self-realiza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o boost their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직무능력과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공립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직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대상은 인천․경기지역에 소재하는 270명의 공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연구 자료로 삼았다. 검사 도구로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조사와 교직선택동기 검사를 위해 전문가 2인의 내용타당도를 거쳐서 대한교육연합회(1983)가 제작한 ‘교사의 교직의식에 관한 설문지’를 토대로 사용한 최소영(2003)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직무능력 측정 검사도구는 이난숙(1991)과 윤홍주(1996)가 작성한 것을 토대로 사용한 강경석과 김영만(2006)의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노종희(2001)가 개발한 교사직무만족질문지(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 TJSQ)를 사용한 이창숙(2007)의 질문지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으며,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직무능력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Enter 방식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선택동기 중 교직적성,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 가능성은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직선택동기 중 우발적 동기와 직무능력은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선택동기의 하위 요소를 살펴보면 교직적성, 자아실현 가능성 동기가 높을수록 직무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적성,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 가능성은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선택동기의 하위 요소를 살펴보면 공립유치원교사들은 교직선택동기 중 우발적 동기가 높을수록, 직업적 안정성 동기가 낮을수록, 자아실현가능성 동기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교직선택시 교직적성 동기와 자아실현 가능성 동기와 같은 내적 동기가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교직 선택 시의 내적인 동기가 강하면 의욕적이고 능률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직무능력도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우발적 동기로 교직을 선택하였을지라도 공립 유치원교사로 임용되었을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직업적 안정성 동기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는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아실현 가능성 동기는 직무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출산 의향에 대한 정치적 요인 분석 : 한국-일본 교차사례 분석

        오수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출산 의향에 대한 정치적 요인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리보다 앞서 저출산 현상을 경험하고, 대응 정책을 수립해온 일본의 사례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가 나아가야 할 정치문화 및 정책 방향에 대한 함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개인과 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임을 고려할 때, 개인의 가치관 및 정치행태는 자신이 속한 사회의 정치체제, 정치시스템, 정치문화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출산은 이러한 개인의 가치관 및 정치행태에 의해 결정된 행위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우리사회의 심각한 저출산 현상과 관련한 연구에서는 정치적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저조했고, 이 같은 저조한 관심은 정치학에서의 연구 공백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주목한 요인들 외에 정치적 요인의 영향력에 주목하여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일부 메우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5개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우선 저출산 대응 정책을 각 국가별·시기별로 비교분석하고, 다음으로는 주요 정치적 변인을 포함하여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국가의 정책 분석과 경험적 분석을 함께 시도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각한 저출산을 겪고 있는 사회의 국민으로 살아가면서 출산을 결정하기까지는 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상정한 변인들 외에도, 출산으로 유인하는 저출산 대응 정책이 자신에게 얼마나 혜택을 가져다 주는지에 대하여 비용-편익을 계산하게 된다. 즉, 출산과 육아에 따르는 경제적 비용에는 행위 자체에 대한 비용-편익뿐 아니라, 출산 이후 육아 과정에서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사노동분배, 자신의 커리어 유지 등에 대한 비용-편익도 계산하게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출산을 기피하는 이들을 유인할만한 정책이 공급되고 있는지, 즉 각 정책이 주 타겟으로 삼는 수혜자에게 실효성있는 정책이 공급되고 있는 것인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한국과 일본에서 비슷한 시기에 수립한 저출산 대응 정책이 어느 대상에게 공급되고, 공급의 형태는 무엇인지 총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에 따라 상정한 주요 정치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세계가치조사(WVS, World Value Survey)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련의 분석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정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는 일본에 비해 향후 결혼 및 출산의 가능성이 있는 미혼 청년에 대한 정책이 부족하였고, 출산 및 보육에 대하여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하는 정책이 많았다. 이 같은 경제적 지원에 있어서도 일부 정책에서는 소득 수준에 따라 대상을 한정하고 있었다. 또한 과거 대비 여성의 사회진출 및 맞벌이 부부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가정 양립 관련 정책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일본에서는 저출산 대응 정책 수립 초기에 문화 조성 및 인식 개선 부문에 초점을 맞추었다가 점차 제도적 지원으로 초점을 옮긴 반면, 한국에서는 재정지원에 초점을 맞추었다가 제도적 지원으로 초점을 옮겼다. 최근 출산율이 소폭 반등한 일본과 달리 여전히 감소세인 한국의 상황으로 볼 때, 이처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 양국의 정책 대응 방향이 출산 의향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경험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논문에서 주요 정치적 요인으로 상정한 변인들 중 한국에서는 남녀가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고 생각할수록, 자신이 속한 국가가 민주적으로 통치되고 있다고 여길수록, 국가 자긍심이 높을수록 출산 의향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본의 경우, 남녀가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는 데 동의하는 정도 즉 양성평등 인식만이 부분적 설명력을 확보하였다. 요컨대 한국과 일본에서는 시기별로 설명력을 확보한 정치적 요인이 달랐으며, 한국에서는 일본 대비 정치적 요인이 출산 의향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사회가 저출산의 덫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정치적 요인들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치학적 의의를 갖는다. 첫째,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비단 인구경제적 요인뿐 아니라 정치적 요인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둘째, 출산이라는 개인의 선택 및 결정에는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개인의 가치관은 사회 내 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경제적 상황뿐 아니라 사회의 정치적 상황에도 영향을 받음을 고려할 때, 정부에서 정치문화 및 정치환경의 안정성 담보에도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출산 현상에 대하여 정치학적 접근을 시도한 본 연구는 향후 정부가 저출산 대응에 있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 정치학 영역에서도 관련 논의를 보다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olitical factors on fertility inten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se of South Korea and Japan, which have experienced and formulated countermeasures for low fertility ahead of other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obtain implications for political culture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Considering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ndividuals' values and political behavior are shaped by the political system, political regime, and political culture of their society. Furthermore, childbirth can be viewed as a behavior influenced by these individual values and political behavior. However, previous research on the serious issue of low fertility has shown limited interest in the influence of political factors, creating a research gap 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artially fill these gaps by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political factors in addition to the factors emphasized i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presents five hypotheses, which are then test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low fertility countermeasures across different countries and time periods. It conducts empirical analysis, incorporating key political variables. The rationale for undertaking both policy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for each country is twofold. First, it becomes necessary to calculate the cost-benefit of low fertility counter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s themselves, considering variables that affect individuals living in societies with low fertility. This includes evaluating the economic costs associated with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s well as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chores related to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maintaining one's own career while raising children. It is important to examine whether effective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incentivize those who are postponing childbirth and whether these policies are targeting the intended beneficiar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target groups and forms of policy supply provided by low fertility countermeasures in Korea and Japan during a similar period. Second, it uses survey data from the World Values Survey (WVS) to verify the influence of key political variables identified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erie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ies in both countries reveals that Korea has fewer policies specifically targeting unmarried young people with potential for future marriage and childbirth compared to Japan. Korea has more policies that offer simple financial support for childbirth and childcare, with some policies limited to certain income levels. Additionally, despite the increasing social advancement of women and dual-income couples over time, the proportion of policies related to work-family reconciliation decreases. In contrast, Japan initially focuses on cultural development and raising awareness during the early stages of formulating low fertility countermeasures, gradually shifting the focus to institutional support. Considering that Japan has experienced a slight rebound in the birth rate while Korea's birth rate continues to declin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different policy responses in both countries have influence fertility intentions. Secondly,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s that among the key political factors assumed in this study, in Korea, higher levels of belief in equal rights between men and women, perception of democratic governance, and national pride are associated with greater influence on fertility intentions. In Japan, only agreement with equal rights between men and women, or gender equality awareness, shows partial explanatory power. In summary, the pol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fertility intentions vary by period in Korea and Japan, and it is found that politic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fertility intentions in Korea compared to Japan. This suggests that overcoming the challenge of low fertility in society requires attention to political factors that have not been emphasized in the past.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demonstrates the need for governmental efforts to overcome low fertility not only from a demographic-economic perspective but also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Second, the choice and decision of childbirth, as an individual's choice,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Recognizing that individuals' values are influenced by both economic situations and the political environment as members of society,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e stability of political culture and t he polit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demographic-economic efforts. This study, which takes a political approach to the issue of low fertilit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irection that governments should pursue and contributes to expanding relevant discussions 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 문자디자인을 활용한 중등 미술수업 방안 연구

        오수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자디자인을 활용한 미술 수업이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문자디자인은 문자와 마찬가지로 정보를 전달한다는 의미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더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표현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이를 충족하는 문자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문자 구조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목적과 조건을 분석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표현 방법을 선택해야 했다. 또한, 문자와 활용되는 이미지의 적절한 조화가 이루어지는 독창적인 디자인이 되도록 유의해야 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문자디자인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문자 자체의 요소를 조절하거나 이미지를 활용하고, 또는 문자를 이미지의 요소로 활용하는 등 표현 형식에 있어 차이를 가지는 모습을 보였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문자디자인을 표현하는 매체 또한 발전해왔다. 오직 손으로 직접 표현하는 캘리그래피와 문자도가 있는 반면에, 인쇄를 위한 활자의 서체로 사용되었지만 현대에 와서 디자인에 관여되는 모든 것에 응용되는 타이포그래피까지 문자디자인은 그 범위를 넓혀왔다. 포스터, 책 표지, 상품 패키지, 간판, 심지어 패션까지 그 영역이 넓혀진 만큼 문자디자인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자디자인은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과서에도 관련 내용이 수록되어있다. 그러나 독자적인 장르가 아닌, 서예 등의 포괄적인 유형 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탓에 문자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쌓기에 부족함이 있었으며, 문자디자인을 소개하는 데 그치고 있었기 때문에 미술의 경계 밖으로 인식하기 십상일 것으로 보였다. 때문에 문자와 이미지를 결합하는 표현활동을 통하여 학습자의 관념 속에 자리잡힌 미술의 경계에 대하여 물음을 던져보았다. 문자디자인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의 목표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과역량에 두었다. 문자디자인 표현활동을 통해 변화하는 시각문화 속에서 이미지와 정보, 시각 매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이를 활용한 미술 활동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시각적 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미술 활동 과정에 타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을 연계, 융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창의·융합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교육적 가치를 목표로 교과서의 한계점을 보완한 수업의 결과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자디자인이라는 장르를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을 통해 문자디자인이 가지는 효과를 학습할 수 있다. 둘째, 문자디자인의 조형요소와 원리를 이해함으로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이에 적합한 표현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셋째, 문자디자인을 감상하며 이에 활용된 조형요소와 원리를 찾아낼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문자디자인의 영역이 점점 넓어짐에 따라 미술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문자디자인을 미술교육에서 부각 시키고자 하였다. 이와같은 연구로 현장에서 학생들은 타 영역과 연계한 미술 표현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범람하는 시각 이미지와 올바르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educational values offered by arts class using letter designs to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and suggest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n, it also aims at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into the actual sites. Letter design has similarity to deliver information like letters, and in order to do so more effectively, there have been various expressional methods. It has been necessary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letter structures, analyze the purposes and conditions, and to choose expressional methods for raising readability, to express the letter design for satisfying it. In addition, it has been necessary to consider creative designs with proper harmonies between the letters and images to be us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letter design has had differences in expressional forms such as adjusting element of letters' own, using images, or utilizing letters as those of images. According to development in the technologies, the media expressing letter designs have also been developed. There had been handwritten caligraphy and hand-painted Munjados while typography had been used for font in printing, and yet it is utilized for everything related to the designs in the contemporary time, widening the scope of the letter designs. Including posters, book covers, product packages, board, as well as fashion, as its scope is broadened, the letter design is not easily shown in daily life. The contents related to these letter design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in schools. However, they are dealt within the comprehensive contents such as caligraphy not as an independent genre, it is insufficient to have the comprehensive knowledge about letter designs, and it just introduces to letter designs only, making it recognized out of the boundaries of arts. Therefore, the questions about the boundaries of arts in learners' perception was made by expressional activities combining letters and images. The contents related to these letter design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in schools. However, they are dealt within the comprehensive contents such as caligraphy not as an independent genre, it is insufficient to have the comprehensive knowledge about letter designs, and it just introduces to letter designs only, making it recognized out of the boundaries of arts. Therefore, the questions about the boundaries of arts in learners' perception was made by expressional activities combining letters and images. As a result of classes supplementing limits of the textbook with the goals of the suggested educational values, the students learnt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they can recognize the genre of letter design, and its effects through its utilization in various areas. Second, they can think of creative ideas, understanding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of letter designs and choose proper expressional methods. Third, they can appreciate letter designs and find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used in them. As the scope of letter designs have been broadened, this study tries to emphasize the letter designs in arts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s of art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s onsite will have interests in artistic expressional activities related to the other field, participate actively in them, suggest creative ideas, and improve abilities to communicate rightly with the overwhelming flow of visual images.

      • 프렌드십 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울 · 경인권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오수진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원 조직 내 프렌드십 수준과 유형을 알아보고, 프렌드십 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병원경영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도구를 활용하였고, 서울․경인권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 24개에 근무하는 간호직, 행정직 및 의료기술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회수한 17개 병원의 40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렌드십 수준 및 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 부하와의 프렌드십 수준이 가장 높았고, 상사와의 프렌드십 수준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프렌드십 유형에 있어서는 본인을 가슴형이라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상사 및 업무 성과에 도움을 주는 유형은 머리형이, 동료 및 평생친구로 함께 하고 싶은 유형은 가슴형이 많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프렌드십 수준과 유형, 조직성과를 측정해 본 결과, 상사와의 프렌드십 수준에서는 성(sex)에 따라 여성보다는 남성이 상사와의 프렌드십 수준이 높았고, 부하와의 프렌드십 수준에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외향적인 성향일수록 부하와의 프렌드십 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외향적인 성향일수록, 연령이 적을수록, 미혼의 경우에 동료와의 프렌드십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프렌드십 유형에 있어서는 병원 근무기간과 고용형태와 무관하게 머리형보다 가슴형이 많았다. 조직성과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고학력일수록 조직성과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행정직의 조직성과가 가장 높았고, 간호직이 가장 낮았다. 셋째,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별 프렌드십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상사와의 프렌드십 수준만이 프렌드십 수준과 조직성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넷째, 계층별․직종별 프렌드십 수준의 차이와 조직성과, 즉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원의 경우에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스트레스 간에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상사․부하․동료와의 프렌드십 수준과 유의한 관계에 있었고, 초급관리자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서, 중간관리자는 직무만족에서 동료와의 프렌드십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즉, 계층이 낮을수록 상사와의 프렌드십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스트레스와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종별로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스트레스에서 행정사무직과 의료기술직이 간호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사와의 프렌드십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간호직의 경우에는 상사보다는 부하 및 동료와의 프렌드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는데, 이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동료 및 부하 간의 팀워크가 중요시 되는 간호직 업무의 고유한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프렌드십 수준과 유형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이들을 종합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의 경우, 상사․부하와의 프렌드십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향상되었고, 머리형보다는 가슴형의 경우에서 직무만족이 더 높았다. 조직몰입의 경우에는 상사․부하․동료와의 프렌드십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으나, 프렌드십 유형에 있어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무스트레스에 있어서는 상사․동료와의 프렌드십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머리형보다는 가슴형의 경우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낮았다. 그리고 이들을 종합한 조직성과의 경우, 상사․부하․동료와의 프렌드십이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향상되었고, 가슴형의 경우에서 조직성과가 더 높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근간으로 판단해 볼 때, 조직 내 프렌드십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등 조직성과 요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조직의 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선행요인에 해당하는 프렌드십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상사와의 프렌드십 수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사와의 프렌드십의 수준이 부하․동료와의 프렌드십 수준보다 낮다는 문제에 관심을 모아야 한다. 위계질서의 강조 속에 지시․통제․감시중심의 경영스타일을 유지하거나 부하직원과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상사와의 프렌드십이 좋아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보다는 상사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구성원간의 공유가치를 확산시켜 팀 의식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사와의 긍정적인 프렌드십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구체화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며 문제를 해결해 가려는 개방적인 자세가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병원조직의 입장에서는 상사가 부하직원과 바람직한 프렌드십을 형성하는가 못하는가를 리더십 역량 평가의 요소로 관리하는 것도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될

      • 외국 브랜드 네임 번역의 차이 연구 :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오수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다양한 다국적 기업들이 들어 오고 있는 실정에서 한국에서는 외국 브랜드 네임을 외래어 표기법에 입각하여 그대로 소리 나는 대로 표현하는 반면 중국은 브랜드 네임에 따른 음뿐만 아니라 의미 또한 신경 써서 표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엔 외래어 표기법을 따라 이국화적인 브랜드 네임을 수용하고 있고, 중국은 뜻과 음을 활용하여 자국의 언어로 브랜드 네임을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수용 양상을 바탕으로 차이가 생겨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들을 수 있다. 첫째, 언어적인 차이이다. 즉 한글의 경우에는 표음문자이고 중국어의 경우에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은 표의문자이다. 둘째, 외래어에 대한 정서적인 차이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영어교육에 대한 열풍과 외국 문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그래서 외래어에 대해서 심각하게 한글을 침투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사상적으로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살아왔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중국이라는 것을 바탕으로 중국어 표기를 고수하고 있는지 모른다. 여러 조사를 거쳐 나타난 결론은 언어적 차이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우리말은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영어 발음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스프라이트’의 경우에 영어의 경우 1음절이지만 우리말의 경우에는 5음절이 된다. 이는 정확히 음을 빌려오는 형태라고 볼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어의 경우에는 한 음에 대해서도 다양한 뜻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런 다양한 뜻이 존재한다면 사람들에게 의미적으로 긍정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단어를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국표기를 조사하면서 음역이라고 표기를 했지만 의미가 있는 음역이었다. 그리고 브랜드 네임을 넘어서 다른 표기를 살펴보면 우리말도 의역을 하는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한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한자를 사용하여 의역하는 양상도 살펴볼 수 있었다. 결국 외래어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음역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영어와 해당 언어의 음운체계를 잘 비교해서 통일성 있는 표기법을 개발하는 것이 언어 사용자의 혼선을 피하는 바람직한 방안이라고 사려된다. Currently many multinational corporations cross over geographical boundaries, influencing other countries in the area of culture, business, and even language. In Korea foreign brand name is declared orthography of loan words which stresses the original sound value of the foreign brand name. On the other hand, China uses the mixture of pronunciation and meaning. Korea adopts foreign brand name following orthography of loan words and then China adopts making brand name using their own language. Under the circumstance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ses of these two countries proposes two assumptions. First, there is linguistic difference. Korean alphabet is phonetic symbols and Chinese is semantic symbols one and only in the world. Second, there is recognition difference about English and Foreign language. In Korea English is very important in many everyday situations;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college entrance exam, employment exam, promotion exam, etc. In China they have lived with the highly valued ideal of “Sinocentrism”. It means that China is the center of the world. So they may persist in making new brand name in Chinese. After I have researched many related cases, I have concluded that what is important is linguistic difference. Because Korean alphabet is based on phonetic symbols, it has advantage of accepting same pronunciation without much difficulty. But the case of “Sprite” is one syllable in English while “스프라이트” is five syllables in Korean. This is not actually accepting the same pronunciation in phonetics. On the other hand, Chinese characters have multiple meanings in one pronunciation. So they select good meaning word. While researching the use of foreign brand name in China I expressed transliteration but it had also meaning. And Korea sometimes adopts meaning translation besides these cases because Koreans use Chinese character in the language. For example Los Angeles is “로스앤젤레스” and “나성(羅城)” in Korea. Finally, the case of transliteration should develop orthography of unity comparing English language system with correspond to other language system. This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confusion in the use of the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