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방미 대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초 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성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인 자아분화 수준 향상과 효과적인 성교육의 방향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는 대구와 경북지역 소재 남녀 중ㆍ고등학생 2,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지에 포함된 내용은 학생의 성별, 학년, 성적과 부모의 학력, 주거상태, 직업 등의 일반적 사항과 함께 자아분화, 성의식 관련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방법은 자아분화 수준과 성의식 간 차이, 성의식 유형 및 군집 분석, 자아분화와 성의식 유형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분산분석, 공통요인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 군집분석, 로짓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전체 자아분화를 살펴보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분화수준이 다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별로 비교한 결과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적이 높을수록 분화수준도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청소년의 부모의 학력별로 비교한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자아분화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성의식 유형의 성별에 따른 성의식 분포를 분석한 결과는 동거허용, 결혼지향, 생명존중, 동성애수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유형은 본질추구, 동거허용, 순결지향이다. 학교성적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유형은 본질추구, 결혼지향, 동성애수용이 모두 해당된다. 부의 학력별 성의식 분포는 여섯 개 중 본질추구, 동거허용, 동성애수용만 부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학력별에 따른 성의식 분포를 분석한 결과 본질추구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분화 유형과 사회인구학적 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의 학력과 모의 학력 간의 상관계수는 0.661로 가장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가족정서단절과 가족퇴행, 인지정서기능과 가족투사과정도 정적변화 관계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에 비해 가족투사과정과 가족정서단절), 가족투사과정과 가족퇴행, 인지정서기능과 가족퇴행은 부적 변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성의식 유형과 사회인구학적 요인 간의 상호변화 관계를 살펴보면 본질추구와 동성애 수용, 본질추구와 동거허용, 결혼지향과 생명존중이 정적 상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비해 결혼지향과 동성애 수용, 동거허용과 순결지향, 순결지향과 동성애 수용은 다른 유형에 비해 부적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전체 자아분화가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자아분화와 성의식은 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성의식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을 말해 준다. 자아분화가 성의식 유형 중 본질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자아통합과 가족퇴행은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가족정서단절은 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동거허용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정서기능은 부적인 영향, 자아통합과 가족정서단절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혼지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인지정서기능 외에 자아통합, 가족투사, 가족정서단절, 가족퇴행 등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유형들이 모두 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순결지향 또한 결혼지향과 같은 분포로 나타났다. 생명존중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정서기능, 가족투사, 가족퇴행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성애 수용과는 자아통합, 가족정서단절은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족퇴행 분화와는 부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자아분화와 성의식 유형이 성의식 집단 분류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3개의 군집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1은 개방적 집단을 반영하고, 군집 2는 보수적 집단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집 3은 본질추구 집단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사회인구학적 요인별로 성의식 군집 분포를 비교해 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개방적 집단과 본질추구 집단과도 비슷한 경향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학생이 더 많았고, 반면 보수적 집단 비율은 여학생이 월등히 더 높았다. 학년의 경우 중학생은 개방적 집단, 보수적 집단, 본질추구 집단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으나 고등학생은 개방적 집단 비율은 가장 높았다. 학교성적의 경우 성적이 낮을수록 개방적 집단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보수적 집단은 개방적 집단과는 정반대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성적별 본질추구 집단에 속하는 비율도 성적이 높을수록 동 집단에 속하는 비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학력에 따라 성의식 유형별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개방적 집단에는 부모의 학력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적 집단에 속한 비율은 부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질추구 집단에 대한 인식은 부의 학력이 낮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아분화 수준이 성의식 군집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정서기능의 경우,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개방적 집단이 더 높았다. 자아통합은 개방적 집단과 본질추구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이 두 집단과 보수적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투사과정은 보수적 집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본질추구 집단, 개방적 집단의 순이다. 가족의 정서적 단절 수준은 개방적 집단이 가장 높았고 보수적 집단이 가장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가족퇴행 수준 역시 개방적 집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본질추구 집단이며 보수적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성의식 집단 간에 자아분화 수준 차이가 뚜렷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여섯째, 로짓모형에서 성의식 함수-1의 결과는 자아분화 유형 중 인지정서기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Wald 통계치가 가정 높은 자아분화 요인은 가족정서단절이며, 가족투사과정, 가족퇴행, 자아통합 순으로 나타났다. 자아통합, 가족정서단절, 가족퇴행은 성의식과 부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가족투사과정은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투사 분화가 강한 청소년 일수록 보수적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데 비해 가족정서단절 및 가족퇴행 분화가 낮은 청소년은 개방적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말해 준다. 성의식 함수-2에서는 자아분화 요인 중 가족퇴행이 가장 영향력이 크고 그 다음이 가족투사과정, 자아퉁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분화 유형들 중 가족투사과정 뿐 아니라 가족퇴행도 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투사와 가족퇴행 분화 수준이 높은 청소년 일수록 본질추구 집단보다 개방적 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나 자아통합은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통합 수준이 높을수록 본질추구 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정서적으로 올바른 관계형성을 하고 건전한 성문화 확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청소년의 교육 및 상담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과 유형별로 중점적으로 교육을 강화해야 할 영역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과 교육의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는 것에 연구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성의식유형의 관계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성장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성문제와 자아분화 과정에서 부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행동을 파악하여 예방할 수 있는 방안 제시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학문적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자아분화, 성의식, 본질추구, 동거허용, 결혼지향, 순결지향, 생명존중, 동성애수용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self-differentiation on gender perception of adolescents. In this study, self-differentiation by Bowen’s theory is the core concept and it was assumed that self-differentiation is related to gender perception. Differentiation refers to how one functions in response to one’s level of various dimensions. It assumes that the more differentiated a self, the more or the less an adolescent can be related with certain gender perception patterns. The concept of differentiation is best understood in contrast to its opposite counterpart of emotional aspects in connection with gender perception of adolescents. This research has formalized that the dimensions of self-differentiation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perception patterns. Thus, this research looks into what gender-perception patterns are, how it is constructed, and what kind of attributes it have. Afterwards, it discuses about how adolescent’s gender perception is associated with the dimensions of self-differentiation.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middle to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Daegu and Gyungbuk areas between May to June 2014. For the analysis, total 2,140 sample data were applied. The common factor and cluste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ulticollinearity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verified by variance inflation factor.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gender perception items, it was categorized into 6 factors; nature oriented, cohabit acceptance, marriage oriented, homosexual love, virginity oriented, and life respect pattern. Those gender perception patterns perceived by adolescent had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ith their self-differenti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with gender perception as a whole. The finding of analyzing by the dimensions of self-differentiation and patterns of gender perception indicate different results from the using variables as a whole. For nature oriented pattern, self-integration, family emotional discontinuity, and family regression were significant. Among the dimensions of self-differentiation, emotional function, self-integration, and family emotion discontinu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dimension of cohabit acceptance. Considering marriage as well as virginity oriented pattern of gender perception, self-integration, family tracing, family emotional discontinuity, and family regression were significant. Among the dimensions of self-differentiation, all other dimensions except self-integr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life respect pattern. In this study,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group adolescents based on the corresponding proximity of the confirmatory factor scores in the five gender perception patterns. To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s, it is useful to draw a dendrogram, which shows structure of the clusters. Ward's method was used to obtain the dendrogram. In the fusion coefficient graph, the number of clusters was measur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fusion coefficient was measured on the vertical axis. The dendrogram results indicated that the data contained three distinctively different groups of gender perception types. In other words, from cluster one to three, distinctive jumps were found as indicated by the steep slope. That is, the slope of the line was steep up through the first two clusters. However, for the rest of the cluster, the jump was very small; i.e., the slope of the line was very gradual implying that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s is three. Therefore, the sample was grouped into three clusters : conservatism. progressivism, and naturalism. Logit analysis was appli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s of self-differentiation and gender perception types, i.e., cluster membership. The results of logit analysis show that self-integration, family tracing, family emotion discontinuity, and family regression determine gender perception types of adolescents. Emotional function was not significant. The coefficient of family tracing was positive and significant for the gender perception function 1, indicating that adolescents with conservatism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is function than those with progressivism. Self-integration, family emotion discontinuity, and family regression were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in gender perception function 1. It implies that the likelihood of being in this function was higher for adolescents with progressivism than for those adolescents with conservatism. For gender perception function 2, self-integration was significant and positive in explain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in the function 2, holding other factors constant. It indicates that the likelihood of being in this function was higher for those adolescents with naturalism. than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i.e., adolescents with progressivism. The coefficients for family tracing and family regression were negative, implying that those adolescents with progressivism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is function than those with naturalism.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perception and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are provided. *Key words : self-differentiation, gender perception, nature oriented, cohabit acceptance, marriage oriented, virginity oriented, life respect pattern, homosexual love

      • 가구분화에 따른 주택공급 방안 : 1~2인가구를 중심으로

        강성호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통계청 주거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하고 가구수도 증가율이 둔화되면서 2030년경에는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로 핵가족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저출산, 고령화, 여성가구주증가, 초혼연령상승 등의 가구분화 요인으로 인하여 1~2인가구의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구분화 추세와 1∼2인가구 증가 현상은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즉 그동안 주택수요의 큰 비중을 차지했던 이른바 베이비붐세대의 경우에는 3∼4인가구가 중심이었기 때문에 3∼4인가구에 대응한 주택유형과 정책 중심으로 주택공급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베이비붐세대의 은퇴가 이루어지고 새로운 주택수요층으로 1~2인가구 유형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변화에 대응한 주택공급 및 정책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 주택의 양적 부족 시기에 3∼4인가구를 표준으로 하는 대량공급 정책은 점차 그 유효성이 약해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다양한 수요계층에 대응한 주택유형과 공급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 것이다. 2008년 주거실태조사에 의한 1~2인가구주 들의 거주형태로는 도시지역에 다가구용 단독주택이나 소형 아파트에 전세나 월세로 전용면적 33~65㎡의 규모에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이 향후 이사 시 고려사항 으로는 아파트 유형에 주택규모는 40∼60㎡이하의 소형주택을 선호하였고 거주희망 지역으로는 대부분 수도권 서울, 경기 등 도심지에 교통이 편리하고 직장과 가까운 곳에 거주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국내 주택시장은 1990년대 이후 전반적인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중대형 주택 선호에 의한 획일적인 아파트 위주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소형주택 건설비중의 감소와 재건축·재개발등에 따른 1~2인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다가구용 단독주택의 멸실로 소형주택의 재고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소형주택에 대한 낮은 수익성으로 신규공급이 저조하고 소규모로 건축되고 있어 열악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현재의 주택공급 제도는 기본적으로 다인가구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1~2인가구는 임대주택 공급의 기준이 되는 청약가점제 에서 우선순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가구분화에 따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1∼2인가구에 대응한 주택공급 방안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며, 이러한 1∼2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소형주택 공급 및 정책방향 으로는 낮은 수익성으로 소형주택 건설을 회피하는 현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책으로는 도심지내 유휴 국·공유지(철도부지, 환승주차장등)등의 양질의 토지를 소형주택 공급업체에 지원하고 임대주택 입주자격등 1∼2인가구를 대상의 정책지원 및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1∼2인가구의 분화와 고령화 등을 고려하여 그 수요의 특성에 맞게 주택의 가격, 규모, 유형에 대한 맞춤형의 주택을 공급하여야 한다. 시시각각으로 급변하는 경제상황과 주관적인 생각이 많이 작용하는 주택 수요자들의 심리상황을 파악해야 되는 어려운 한계점도 있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앞으로 가구분화에 따른 주택수요 변화는 현실적이며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주택정책에 관한 보다 활발한 연구가 계속 이어지길 희망하며 1~2인 가구분화로 인해 주택부문에 주거여건과 주택유형 등의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란 점을 본 논문은 시사하고 있고,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매우 시의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가 적절하게 활용된다면 1~2인가구의 주택공급 활성화를 통해 주택시장 발전과 1~2인가구의 주거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주제어 : 가구분화, 주택공급, 1~2인가구, 주택유형, 소형주택. According to the Housing-status results survey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fter the peak-population spot in 2018, Korean population begins to go down. The survey also shows that the current upward trend of the housing-figures changed to the downward trend around 2030. According to population survey by Korean Statistical Office, Korean population, predicted to begin to decrease in the peak years of 2018 and showed slowdown in growth of housing-figures to decline in 2030, is expected to be converted downward-trend. The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lso constantly made to the nuclear family. By upward social trend due to factors such as low child-birth, aging, female head of household and the rising age of marriage household, differentiation of 1~2-person household is showed rapid growth. Differentiation of these household trends and increasing 1~2-person household is expected to give a big impact on the housing market. Meanwhile, because the demand for household once occupied for a large proportion of population, so-called baby boomers, has been dominated in 3~4-person household, types of house supply and housing policy have been implemented with focus on 3~4-person household. However, corresponding to rapid increase of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coming up a new demand in 1~2-household type, housing supply and policy should have been changed in a switch. In quantitative housing shortage days, a large supply policies for the standard 3~4-person household gradually weakens the validity and, corresponding to relatively various household classes, demands for housing types and supplies are much higher. In 2008, Housing Status Survey said that the types of 1~2-household in urban, paid monthly (or chartered so called “jeonse” in Korean), have been lived in as single-households or small apartments with 33~65㎡ in net sizes. As their future considerations on move-in, they favored to stay a compact size of apartments such as the scale of less than 40 ~ 60㎡ and metropolitan area such as Seoul and GhyungGhi Province that have convenient transportation to downtown or near work place. Since the 1990s, as improving the overall income level, the domestic housing market has been supplied mid-to-large monolithic apartments. In addition, as proportion of the reduction in a rate of compact housing construction and as proportion of the decrease for 1~2-household due to reconstruction, redevelopment, supply of compact housing is constantly decreasing over all. Because of low profitability, for compact housing, as shrinking new supply and minimizing construction, a hostile environment is creating. Because the current housing system is dominated by 3~4-person households, 1~2-households cannot ensure priority of additional points system for purchasing housing application so called “cheongyakgajeomje”. Depending on the differentiation households, with rapidly increasing 1~2-households, housing supply measures are very important issues. As the compact housing supply and policy direction for 1~2-households, understanding the reality when it comes to construct compact house with the low profitability, various support programs of the government must be needed. The government support programs is included in support an idle state • common land (railway premises, transit parking spot and so on) to suppliers of compact household construction and is needed in policy support and improvement for 1~2-households such as given a moving-in right for rental house. Thus, considering differentiation of 1~2-households and aging trend, house should be supplied with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ice, size and type. Aware there is difficult limitations lack of feeling that In an environment with constantly changing economic conditions and a lot of subjectiv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housing situation, it is very hard to accept the limitations that are lack of aware of consumers’ psychological effects. Over the next years, changes in housing demand with the housing differentiation would be real and it is hope to prepare them more active research on housing policy together. This report shows that there are many variations in housing conditions and types due to differentiation of 1~2-households. For this reason, appearance of this study could be apt to and if the study is properly utilized, it is hope to be an opportunity of housing developments and stabilities for 1~2-household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housing market. Key words : household differentiation, housing, 1~2-household, housing types, compact house.

      • 자아분화수준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미치는 영향

        윤선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자아분화 수준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 소재한 OO대학교 내 재학생 450명의 학생들에게 자아분화, 한국판 대인관계문제, 진로사고검사를 묶은 설문지를 배포하여 실시하였다. 그 중 304부가 회수되었고, 이 가운데 무성의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3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아분화 수준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자아분화 수준이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대인관계가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에 사용한 변인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적 합치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면 연구에 사용한 변인들 간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전체 자아분화 수준이 대인관계와 역기능적 진로사고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아분화수준의 하위요인들 중 어떠한 요인이 대인관계와 역기능적 진로사고 각각에 더 영향을 많이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준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 수준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전체 자아분화수준은 대인관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분화 수준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정서인지분화, 자아의 통합, 가족 투사, 가족 퇴행이 대인관계에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단절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인지분화가 높을수록, 자아의 통합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 투사가 높을수록, 가족 퇴행이 높을수록 대인관계에서의 문제가 적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아분화 수준이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전체 자아분화 수준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분화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아의 통합, 가족투사, 가족 퇴행이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정서인지 분화와 정서적 단절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즉, 자아의 통합이 높을수록, 가족투사가 높을수록, 가족 퇴행이 높을수록 역기능적 진로사고 수준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대인관계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전체 대인관계는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에서 문제가 많을수록 역기능적 진로사고 수준이 더 낮았다.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비주장성이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비사교성, 과배려성, 지배성/성마름, 냉담성/의심, 정서억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비주장성 수준이 높을수록 역기능적 진로사고 수준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들이 대인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이 낮은 반면에 자기가 태어난 가정과 정서적으로 단절될수록 대인관계에서도 건전한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더 많이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신념을 가지고 진로를 결정하고 행동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적게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아분화가 잘 되지 않아서 원가족으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할수록 건전한 대인관계를 맺기 어렵다는 것과 내담자가 진로결정과 행동에서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 가족의 영향이 크고, 또한 자신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는 점에서 자아분화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수록 진로를 결정하고 행동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호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원가족내에서 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할수록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과 내담자가 진로결정과 행동에서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 가족의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거나 진로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원인으로 가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낄수록 진로를 결정하고 행동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아분화 수준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발생하는 문제와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어 대학생들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대학생들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줄이고 자신의 특성에 맞는 진로를 결정하고 행동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유아 정서지능의 차이

        윤희진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글초록 :본 논문은 가까운 관계의 속성이 한 세대에서 다음세대로 전이된다는 Bowen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어머니의 과거 출생가족(family of origin) 영향력에 대한 중요성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수준과 과거 출생가족 영향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수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2-1. 어머니의 정신내적분화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2-2. 어머니의 대인관계분화에 따라 유아의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과거 출생가족 영향력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3-1. 어머니의 삼각화 수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3-2. 어머니의 정서적 단절 수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3-3. 어머니의 가족투사 수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만 4, 5세의 유아기 자녀들 둔 어머니들 205명과 그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로 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 수준과 과거 출생가족 영향력과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Bowen의 이론에 기초한 문희선(1995)의 설문지와 Salovey와 Mayer(1996)의 이론에 기초한 이병래(1997)의 ‘유아용 정서지능 검사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자아분화 설문지와 유아용 정서지능 설문지 모두 각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검증하고 각각 수정ㆍ보완하여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고 상관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 수준은 어머니의 과거출생가족의 영향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과거 출생가족 영향력인 삼각화, 가족투사의 분화수준 정도에 따라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는 유아의 정서지능인 자기인식표현 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에 차이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아분화의 연구는 극소수인 것도 문제지만 삼세대의 전이과정이 될 수 있는 정서지능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거 출생가족의 경험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주며,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수준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들의 정서 및 자이분화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나아가 긍정적인 가족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머니 개인의 자아분화 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The) mechanism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 Homer2/3, humanin, sestrin2

        강남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RANKL) induces osteoclastogenesis by induction of Ca2+ oscillation, calcineurin activation and translocation into the nucleus of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type c1 (NFATc1). Homer proteins are scaffold proteins. They regulate Ca2+ signaling by modulating the activity of multiple Ca2+ signaling proteins. However, to date, whether and how the Homers are involved in osteoclastogenesis remains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Homer2 and Homer3 roles in Ca2+ signaling and NFATc1 function dur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were investigated. Deletion of Homer2 and Homer3 (Homer2/3) markedly decreased the bone density of the tibia, resulting in bone erosion.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s greatly facilitated in Homer2/3 double-knockout (DKO) bone marrow-derived monocytes/macrophages (BMMs) due to increased NFATc1 express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However, these findings did not alter RANKL-induced Ca2+ oscillations. Of note, RANKL treatment inhibited Homer proteins interaction with NFATc1, but it was restored by cyclosporine A treatment to inhibit calcineurin. Finally, RANKL treatment of Homer2/3 DKO BMM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ormation of multinucleated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omer2 and Homer3 regulate NFATc1 function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calcineurin to regulate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and bone metabolism. Humanin (HN) is a mitochondrial peptide that exhibits cytoprotective actions against various stresses and diseases. HN has been shown to induce the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which is a negative regulator of RANKL. However, the role of HN in osteoclastogenesis or other skeletal disorders remains unknown. Here, whether HN regulates osteoclastogenesis via AMPK activation using BMM cultures was examined. Results show that HN inhibited RANKL-induced osteoclast formation and reduced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osteoclastogenesis. Moreover, HN increased the levels of phosphorylated AMPK protein; compound C, an AMPK inhibitor, recovered HN-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addition, H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RANKL-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in BMMs. Sestrin2 (Sesn2), an autophagy inducer, interacts with p62 and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 1 and prevents oxidative stress. In addition, previous reports showed that p62 interacted with TNF receptor–associated factor 6 (TRAF6) and leads to the activa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However, the role of Sesn2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s poorly understood. Here, the effects of Sesn2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were investigated with Sesn2 knockout (KO) mice. The bone mass of Sesn2 KO mice increased more than that of wild type (WT) mice by micro-computed tomography (µ-CT) analysis. Also, the number and function of multinuclear osteoclasts were inhibited in Sesn2 KO mice in vivo and in vitro.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in osteoblast differentiation between WT and KO. Furthermore, NFATc1 and osteoclastogenesis-related gene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diminished in Sesn2 KO mice dur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Sesn2 deletion did not affect RANKL-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Ca2+ oscillation. Moreover, the interaction of p62 and TRAF6 also decreased in Sesn2 KO mi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esn2 regulat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p62 and TRAF6. In conclusion, Homer2/3 modulate RANKL-induced NFATc1 signaling in osteoclastogenesis and bone metabolism. HN suppresses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via AMPK activation. Sesn2 regulat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via the interaction with p62 and TRAF6. These findings suggest a novel potent mode of bone homeostasis regulation through osteoclasts differentiation. 골을 구성하는 세포 중 골생성을 담당하는 조골세포와 골흡수를 담당하는 파골세포의 균형을 통해 골개조가 이뤄지는데, 둘 간의 불균형이 생기게 되면 다양한 대사성 골 질환을 초래한다. 따라서 뼈에 있어서 골개조의 균형유지는 매우 중요하고 이에 따른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omer 단백질은 스캐폴드 단백질로, 그 중 Homer2와 Homer3 (Homer2/3)가 비활성 세포인 T 림프구에서 칼시뉴린과 경쟁하여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type c1 (NFATc1)와 상호 작용을 하고 T 세포 활성화를 조절한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파골세포에서도 Homer2/3가 NFATc1과 작용하여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Homer2/3 유전자가 결손된 double knockout (DKO) 마우스에서 골밀도는 감소하였지만, 조골세포에 의한 골형성과는 무관하였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RANKL) 처리 후 Homer2/3 DKO 파골세포에서 NFATc1의 발현량과 핵으로의 이동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면역침강반응을 통해 대조군에 비해 RANKL을 처리하였을 때 Homer2/3와 NFATc1의 상호작용이 감소한 것을 확인했고, 칼시뉴린의 억제제인 시클로스포린 에이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둘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DKO에서 파골세포의 형성과 골흡수 기능이 더 많았고, 결과적으로 Homer2/3가 칼시뉴린과 경쟁하여 NFATc1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파골세포 분화를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umanin (HN)은 질병, 노화와 같은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미토콘드리아에서 유리되는 펩타이드로 다양한 질병의 치료표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뼈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HN이 파골세포 분화과정 중 상위에 있는 TNF receptor–associated factor 6 (TRAF6)를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기 때문에 파골세포와 연관지어 실험을 착수하였다. 파골세포 분화 중에 HN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분화가 감소하였고, 파골세포 연관된 유전자들의 발현량도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HN을 처리한 세포에서 인산화 된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결과적으로 외부에서 처리한 HN은 AMPK를 활성화시켜 이를 통해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estrin2 (Sesn2)는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 1-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경로를 통해 항산화제로서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Sesn2에 p62라는 단백질이 결합한다. p62는 파골세포 분화과정 중에 TRAF6와 결합한다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파골세포 분화에서 TRAF6-p62와 연관되어 Sesn2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Sesn2 유전자가 결손된 KO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KO 생쥐에서 골밀도가 증가하였고, 조골세포 대조군과 KO에서 분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파골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KO 세포에서 분화와 기능이 감소하였다. 또한 파골세포 분화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량도 대조군에 비해 KO에서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Sesn2가 파골세포 분화과정 중 p62와 TRAF6간의 결합에 영향을 주어 파골세포 분화를 조절하는지 단백질 간 결합을 확인해 본 결과, RANKL을 처리하고 둘 간의 결합이 대조군에 비해 KO에서 감소하였고, 결론적으로 Sesn2가 TRAF6와 p62간의 결합을 조절하여 파골세포 분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Homer2/3가 칼시뉴린과의 경쟁을 통해 NFATc1과 상호작용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조절하고, 파골세포 외부에서 처리한 HN은 AMPK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파골세포 분화를 조절한다. 또한 Sesn2는 TRAF6와 p62사이에서 상호작용하며 파골세포 분화를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 세 가지 요인들이 각자의 파골세포 분화조절 기전을 통해 골질환 치료에 있어 새로운 표적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미혼 남녀의 자아분화수준과 용서에 대한 신념이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휘수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to refresh importance of forgiveness belief on increasing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by verifying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belief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It is expected tha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for promoting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mong unmarried men and women who experience dis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extracted research data depending on convenience sampling by utilizing offline and online surveys. Excluding participants who had not answered survey sincerely, this study selected 106 adult couples as research subjects. The survey includes questionnaire items that estimate self-differentiation, forgiveness belief,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by utilizing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of each sub-factor of self-differentiation and forgiveness belief, negative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lief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other hand, self-handicapping and positive result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self-differentiation. Second,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he forgiveness belief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negative resul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forgiveness belief,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research result issues that recognizing that results of forgiveness behaviors would be negative is an effective method to promote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rd, in order to research effects of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negative results of forgiveness belief o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at, this study foun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served 6.3% for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it foun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served 9.2% by mediating the negative resul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forgiveness belief. This result means that since the negative result of the forgiveness belief mediates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partially, if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is equal, the more a couple recognize that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haviors would be negative the more the couple satisfies their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a limitation point of self-differentiation changes, this study researched effects of the forgiveness belief, by considering it as a factor, which has relatively a few perspectives as a factor to Effect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until now.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ove that the negative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lief could be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this study approached forgiveness in multi-perspectives and in depth. It has a significance that although existing studies, related to forgiveness, have focused on forgiveness behaviors and changes of satisfaction levels after that, this study researches the forgiveness belief, which precedes forgiveness behaviors. Also, it has a significance that only positive things of forgiveness have highlighted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couples should have integrated cognition not only for positive sides of the forgiveness but also for negative sides.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rs should invent and develop programs that examine individual awareness on forgiveness in counseling and studies for couples in romantic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is study issues that it is important to treat that a person should examine own forgiveness belief in the program development, which promotes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he or she could recognize counterpart’s perception on forgiveness belief, and then they share each of their cognition on forgiveness belief. 본 연구는 자아분화수준과 이성관계 만족 사이에서 용서에 대한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성관계 만족 증진에 있어서 용서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성교제 만족에 어려움을 겪는 미혼 남, 녀의 관계만족을 위한 효과적 상담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자료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편의표본 추출하였다.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연구 참여자를 제외한 현재 연애중인 성인 남, 여 106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자아분화, 용서에 대한 신념, 이성관계 만족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간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와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 중 부정적인 결과가 자아분화와 정적(正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자기 손상과 긍정적인 결과는 자아분화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용서에 대한 신념과 이성관계 만족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변인인 부정적 결과가 이성관계 만족과 정적(正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용서 행동의 결과가 부정적일 수 있다는 인식이 이성관계 만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자아분화가 이성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과 용서에 대한 신념의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분화가 이성관계 만족을 유발하는 데 6.3%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분화와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결과를 매개로 9.2%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용서에 대한 신념의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자아 분화수준이 같은 경우, 용서 행동의 결과가 부정적일 수 있다는 인식을 할수록 이성관계 만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아분화의 변화에 한계점에 주목하여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요인으로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관점이 적은 용서에 대한 신념이라는 변인을 고려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 중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 사이에서 매개요인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용서에 대한 다각적이면서 심층적인 접근을 하였다. 기존의 용서와 관련된 연구들은 용서의 행동과 그 이후에 따른 만족도에 변화에 대한 초점을 맞춰왔다면 본 연구는 용서행동보다 선행되는 용서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용서가 긍정적인 부분만 강조되어 왔는데 본 연구를 통해서 용서의 긍정적인 부분뿐 아니라 부정적인 부분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이성관계 중인 커플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및 연구에 있어서 각자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용서에 대한 인식들을 점검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성관계 만족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에서 용서에 대한 자기의 신념을 점검하고 상대의 용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서로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게 다뤄줘야 함을 시사한다.

      • 분화된 인간 신경모세포종 SH-SY5Y 세포주에서 산화아연 나노입자 유발 신경독성에 대한 후코이단 및 방어 화합물의 보호 효과

        송우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Zinc oxide nanoparticles (ZnO NPs) are widely used in pharmaceuticals, biotechnology, food additives, and cosmetics including sunscreens, and their usage is increasing year by year. The reason that the risk of nanoparticles is greater compared to general particles is that even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size of the particles decreases, the surface area increases exponential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rticles and cells increases, and the activity of the particles increases. Zinc oxide nanoparticles are neurotoxic due to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large surface area and small enough size to be absorbed into the brain through the olfactory nerve fibers located in the olfactory epithelium or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BBB). It is known to cause it. Also, Fucoidan is a constituent of mucus on the surface of brown algae and has pharmacological functions such a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in a form in which polysaccharides such as sulfuric acid group (-SO4) and fucose are combin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neurotoxicity of zinc oxide nanoparticles and the protective effects of fucoidan and protective compounds in SH-SY5Y cell lines differentiated by treatment with Retinoic acid (RA).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were cultured for 7 days by adding 1% Fetal Bovine Serum (FBS) and 10 μM Retinoic acid to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ulture to induce differentiated human neuroblastoma SH-SY5Y. It was confirmed that successfully differentiated SH-SY5Y cells had more branches than SH-SY5Y cells that did not induce differentiation and showed the appearance of early epithelial cells with an expanded neuronalized phenotype. In addition, cytotoxicity by zinc oxide nanoparticles was confirmed through LDH (Lactate Dehydrogenase) Assay,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cell damage in the cell culture medium. Phase contrast micrographs confirmed the form of cell damage caused by the zinc oxide nanoparticl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caused by the zinc oxide nanoparticles was reduced by treatment with fucoidan (30-100 μg/mL).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performed on differentiated SH-SY5Y cells treated with zinc oxide nanoparticles, as a result of inflammatory reaction cytokines IL-1β and TNF-α, and NF, which is a protein that regulates inflammation A significant level of increase was observed in -kB (***, p <0.001), which was decreased to a significant level by fucoidan treatment (###, p <0.001). The antioxidant enzymes CAT and GPx-1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by zinc oxide nanoparticle treatment (***, p <0.001), which was confirmed to increase to a significant level again by fucoidan treatment (###, p <0.001).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protective compounds can protect the differentiated SH-SY5Y cell line during the zinc oxide nanoparticle-induced cytotoxicit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sculetin, known as a selective lipoxygenase inhibitor, contributes to the survival of differentiated SH-SY5Y cell lines, but Celecoxib, a cyclooxygenase-2 inhibitor, did not exert such an effect. The protective effect of BAPTA Acetoxymethyl ester (BAPTA/AM), an intracellular calcium ion chelator against neurotoxicity induced by zinc oxide nanoparticles, was confirmed, but treatment of Nimodipine, known as an L-type calcium channel blocker, confirmed cytotoxicity at high concentrations. NAC (N-acetylcystine), known as a glutathione precursor, and MCC 950, an NLRP3 inflammasome inhibitor, alleviated cytotoxicity caused by zinc oxide nanoparticl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fucoidan and protective compounds have neuroprotective effects that contribute to relieving oxidative stress and neuro inflammation induced by zinc oxide nanoparticles in differentiated SH-SY5Y cells. 산화아연 나노입자 (Zinc oxide nanoparticles, ZnO NPs)는 의약품, 바이오 공학, 식품첨가물 그리고 자외선 차단제를 비롯한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 입자와 비교하여 나노입자의 위해성이 더 큰 이유는 동일 물질이라 할지라도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면 그 표면적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입자와 세포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입자의 활성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후각상피에 위치한 후각 신경섬유를 통해 뇌로 흡수되거나 혈액-뇌 장벽 (Blood-Brain Barrier, BBB)을 통과할 수 있는 충분히 작은 크기와 넓은 표면적과 같은 이화학적 특성에 의해 신경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후코이단 (Fucoidan)은 갈조류 표면 점액질의 구성성분이며 황산기(-SO4)와 후코스 (Fucose) 등의 다당류가 결합된 형태로 항염증 및 항산화와 같은 약리학적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etinoic acid (RA)를 처리하여 분화된 SH-SY5Y 세포주에서 산화아연 나노입자의 신경독성과 후코이단 및 방어 화합물의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간 신경모세포종 SH-SY5Y 세포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양액에 1%의 Fetal Bovine Serum (FBS)와 10 μM의 Retinoic acid를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함으로써 분화된 인간 신경모세포종 SH-SY5Y를 유도하였다. 성공적으로 분화된 SH-SY5Y 세포는 분화를 유도하지 않은 SH-SY5Y 세포보다 분지가 많아지고 확장된 형태의 뉴런화 표현형의 초기 상피성 세포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배양액에서 세포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LDH (Lactate Dehydrogenase) Assay를 통해 산화아연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위상차 현미경 사진을 통해 산화아연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손상 형태를 확인하였으며 산화아연 나노입자에 의해 야기된 지질 과산화 수준의 증가가 후코이단 (30-100 μg/mL) 처리에 의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처리한 분화된 SH-SY5Y 세포에서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실시한 결과, 염증반응 사이토카인 IL-1β, TNF-α와 염증반응 조절 단백질인 NF-kB에서 유의적 수준의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 p < 0.001) 이는 후코이단 처리에 의해 유의적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 p < 0.001). 항산화 효소인 CAT, GPx-1 역시 산화아연 나노입자 처리에 의해 유의적 수준의 감소가 확인되었고 (***, p < 0.001) 이는 후코이단 처리에 의해 다시 유의적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 < 0.001). 추가적으로 다양한 방어 화합물이 산화아연 나노입자 유발 세포독성 시 분화된 SH-SY5Y 세포주를 보호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선택적 리폭시게나아제 억제제로 알려진 Esculetin은 분화된 SH-SY5Y 세포주의 생존에 기여함을 확인하였지만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 억제제인 Celecoxib는 그러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산화아연 나노입자 유발 신경독성에 대한 세포 내 유리칼슘 이온 킬레이터인 BAPTA Acetoxymethyl ester (1,2-bis(2-aminophenoxy)ethane N,N,N’,N’-tetracetic acid acetoxymethyl ester)의 보호 효과는 확인하였으나 L-type 칼슘 채널 차단제로 알려진 Nimodipine의 처리는 고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글루타치온 전구체로 알려진 N-acetylcysteine (NAC)와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인 MCC 950은 산화아연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독성을 완화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후코이단 및 방어 화합물이 분화된 SH-SY5Y 세포에서 산화아연 나노입자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 및 신경 염증 완화에 기여하는 신경보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남일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측정도구로는 자기분화 척도(제석봉, 1989)와 대인관계(김창대, 김수임, 2001)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척도(김아영, 1994)를 사용하였다. 자기분화, 대인 관계,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분화,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자기분화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자기분화수준이 낮을수록 대인관계가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분화는 전반적인 자기효능감의 수준과 긍정적 의미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자기분화가 높아질수록 자기효능감도 높아짐을 나타내며,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속에서 겪는 문제에 대해 느끼는 불안을 감소시키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대인 관계 속에서 겪는 문제에 대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분화와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과 높은 상관을 나타낸 결과는 자기효능감은 관계적 변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기분화,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간의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대학생의 자기분화 수준이 높으면 대학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이 향상되고, 대인관계 수준이 모두 높은 것으로 볼 수 있고, 자기분화 수준이 낮으면 대학생활에 부적응하여 자신감이 떨어지고 대인관계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분화는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적용하였을 때 대인관계에 대한 영향력이 더욱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자기효능감의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 요인의 경우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에 있어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 요인은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자기분화 수준은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이 직접적으로 대인관계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의 능력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 조절효능감이 높으며, 대인관계를 더 잘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성과 감정의 균형, 타인으로부터 독립하길 원하면서 대인관계 안에서는 인정과 소속을 이루려고 하는 욕구 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인 자기분화 수준을 높이고, 어떤 문제에 대한 자신감과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대인관계를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자기분화는 장기간에 걸쳐서 형성되는 만큼 변화하기가 쉽지가 않으므로, 변화가 가능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왔던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자기효능감 향상을 통해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대인관계문제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로 하여금 가족이나 친구, 이성, 선후배 등의 주변에 있는 관계적 변인을 충분하게 탐색하게 하고, 자신의 분화수준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이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경험적 연구로 밝혔다. 이로써 대인관계 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를 뒀으며, 추후 연구에서 연구되어야 할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335 college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e measurement tools, the self-differentiation scale (Je Seok-bong, 1989),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Kim Chang-dae, Kim Su-im. 2001), and the self-efficacy scale (Kim Ah-yeong, 1994)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eps present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low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the low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overall self-efficacy, showing that the higher the self-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lower the anxiety about the problems arising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ing the attitude of positive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And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uld become higher. Also, the results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high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show that self-efficacy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relational factors. From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college student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s high, the level of self-efficacy in the process of college life is enhanced, and the level of 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considered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s low, self-confidence becomes lower because of mal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comes lower.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se results show that self-differenti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when self-efficacy is applied as a parameter its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further enhanced. From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self-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fidence of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self-efficacy factors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factor of self-efficacy has no mediating role i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makes self-confidence and self-controlled efficacy have effects not onl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rectly but also on self-efficacy indirectly, changing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persons with high self-efficacy have high self-confidence in their own abilities and high self-controlled self-efficacy and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se results imply that raising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which is the ability to achieve the balance between rationality and emotion, the balance between the desires to achieve recognition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 sense of belonging while wanting to be independent from others and enhancing self-confidence about certain problems and self-efficacy to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are important factors for helping to be good 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ince self-differentiation, however, takes a long time to be formed and is difficult to change, it is necessary to enhance self-efficacy which can be chang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at can enhance self-confidence and self-controlled self-efficacy which are the subordinate factors of self-efficacy which had a mediating effect i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alternative to enhance self-efficacy can be presented, and it can help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solve the problems through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t is important to make college student clients who complain of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explore the relational factors around them such as family members, friends, relationships, and senior-junior relationships sufficiently and understand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s. In this research,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examined and it was established that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by doing so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preparing the ways of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college student clients who complai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the subjects on which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were discussed.

      • 자기분화에 따른 신앙의 발달단계에 관한연구 : Bowen의 자기분화이론과 Fowler의 신앙의 발달단계이론을 중심으로

        공하경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dissertation is a research of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 and a self.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 and a self may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is that the faith affects self-formation or maturation, and the second type is that a characteristic of a self affects the faith. The established style of research in Christianity has been focusing on how the faith affects self-formation or maturation. However, theses patterns of research may overlook the negative effect of an immature self on the faith and an opportunity to mature the faith by attaining maturity of a 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s of a self affect positively or negatively on faith.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 self on faith, two theories have been implemented : the Bowen's Self-differentiation theory which investigates the maturity level of a self, and the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which looks into the level of faith. First, the Bowen's Self-differentiation theory explains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s of a self so it is feasible to identify and determine the maturity level of a self. On the other hand, as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systematically displays the matureness of faith based on age, the theory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mature faith and the mature faith and also reports on when these characteristics surface. In general, as one ages, he or she becomes more differentiated and, shows higher level of faith. Through this correlation, it is predicted that self-differentiation through the process of aging has an influence on the level of one's faith. On a contrary, there are cases where one's level of faith stays low unaffected by aging. I think this is caused by one's immaturity, an indication of low self-differentiation. In this case, due to low self-differentiation, one may be expected to demonstrate a dysfunctional characteristic through an act of faith. Thus, if he or she is undifferentiated, even a grown-up would showcase a low level of faith and functionality. In comparison, if a grown-up is differentiated, the person would indicate more developed faith and high functionality. In order to prove this, I have studied, by basing Fowler's classification, how the process of aging results in one's differentiation, and how that differentiation level influences one's faith. In addition, when a grown-up is on the certain level of differentiation, how the feature of faith is and the functionality is. As a result, the closer one was to the phase zero, the lesser of a differentiated self and a differentiated faith one appeared. As opposed to the phase zero, the phase six was indicative of more mature characteristic in faith due to the high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case of a grown-up when one'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s low considering the age, one would behave with an immature level of faith which would cause the acts of dysfunctionality. Thus the low self- differentiation level leads to the immature and dysfunctional level of faith and the high self-differentiation level leads to the mature and functional level of faith. Through such observations, it may be witnessed that the level of faith is being influenced by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When the emphasis is solely placed upon the influence of faith on a self in the faith-self relationship, the matters caused by an undifferentiated self will not be settled. Although the basic differentiation level already takes it's shape in the early relationship, as one is being raised it is possible to improve in self- differentiation with personal efforts. Consequently, in order to cure the pathological faith or to mature one's faith, it requires efforts and discipline to develop the high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