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직과정이 설치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비교·분석 : 교사의 자질 관점으로

        최혜선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미용관련고등학교의 현황과 교원확보율을 조사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의 기준에 따라 교사의 자질을 인격적인 교사, 전문적인 교사, 선도적인 교사로 분류하고. 교직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사가 가져야 하는 자질을 양성하는데 적합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 비교 ·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용과목 교사상 중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이 내용에 맞게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24개학교 26개학과 중 5개 학과(19.23%)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건양대학교 의료뷰티학과로 나타났다. 직업윤리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4개 학과(15.4%)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학생이해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1개 학과(42.3%)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공동체 협력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8개 학과(69.2%)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의 평균 개설수는 4과목으로 평균 이상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는 총 13(50%)개 학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은 피부교과목이 2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목이 24%, 화장품과 메이크업 교과목이 22.7%, 교과교육론 교과목이 9.5%, 네일미용 교과목이 5.8%, 미용학개론 교과목이 4.9%, 공중보건학 교과목이 4.3%, 해부학 교과목이 3.2%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중부대학교 화장품과학과, 청운대학교 화장품과학과는 기본이수과목 중 일부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었고, 중등임용시험에 필요한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선도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을 비교 · 분석한 결과 국제화 영역에서는 호원대학교 뷰티미용학과를 제외한 25개(96.2%) 학과에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정보화 영역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은 학과는 총 13개(50%) 학과로 나타났다. 산학연계 영역에서는 12개(46.2%)학과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교직이수가 설치된 4년제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들은 대체로 미용교사상에 맞게 잘 편성되어 있으나 특정 대학교에서는 임용시험에 대비한 몇몇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어 미용교사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부족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과목 편제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육내용의 실제 분석을 병행하지 못했으며 앞으로는 학교별 교과목들의 구체적 내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ducation curriculum at 4-year beauty school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find if it is properly operated to train qualified teachers. This is done through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securing percentage of teachers at beauty related high schools, and also categorizing the teachers’ qualifications into three of respectful, professional, and initiative according to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First, Univercity opened properly for the whole personal teachers training are 5 out of 24(26 Department).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at Konyang University has the most related. Vocational ethics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4 departments (15.4%) and Student understanding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11 departments (42.3%). Also, Collaborative learning courses are not set in 18 departments (69.2%). The number of Departments majors for the respectful teachers training course are average 4 courses, and about 13 departments (50%) have the courses more than average. Second, major course for the professional teachers training has the most skin courses of 25.6%, and also 22.7% of cosmetic and makeup courses, 9.5% of education courses, 5.8% of nail beauty courses, 4.9%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courses, 4.3% of Public Health courses, and 3.2% of anatomy courses. Especially, department of cosmetics pharmacology at Daegu Hanui University, department of cosmetic science at Jungbu Univeristy and at Chungun University had only few of required courses and did not have others despite the necessity of the courses to pass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middle school beauty teachers. Third, subject matters for the pacessetting teachers training, 25 departments (96.2%) except the department of Beauty at Howon Univeristy have internationalization courses, and 13 departments (50%) did not have informatization courses. For school-work links courses, 12 departments (46.2%) did not have. Most of univercity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re forming proper class for the beauty teachers qualification, but some specific universities has only few class for the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They need to improve this by opening more required class. Also,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analyzing the subject table of organization so that could not cover the analysis of actual education class or contents. Hopefully, further study on the more details of the class and contents of each school should be composed in the future.

      •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유호 건양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bette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by analyz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the features of each program. Each university has committed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Universities changed and departmentalized form of programs to adapt hiring method that companies required. Thus, I look around the issue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hat K University implemented to keep pace with these changes and propose improvements. Recently youth unemployment is not readily be recovered after financial crisis and the severe cold wave of employment. Government,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ry to solve through employment policies and a variety of business and universities charged and operated the government’s employment- related business, or tried to struggle for student’s career and job searching activities by preparing own fund. But comparing with majors of university, university’s employment support program do not operate systematically and show inefficient operating modes by short term operation of the program. Awaring of these issue, this study aim to set up improvement plan by looking at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local and foreign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issue was set as follows. First, How do university students fo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recognize? Second, How do university students for the operating status of program and problem recognize? Finally, What is the improve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aware of the support program for employ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mplete by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his study and were questionnaire after the pilot test was performed.

      •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백내장 수술환자의 주관적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조혜원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백내장 수술 환자의 주관적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주관적 불안과 통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백내장 수술 환자의 불안과 통증을 줄이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가 정보제공 영상을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건양대학교 병원 안과 백내장 수술에 대한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검토 및 표준 지침을 기반으로 비디오를 만들었다.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외래에 내원하여 국소마취하에 백내장 수술을 받을 예정인 40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동의서에 서명하고 설문지에 응답했다. 실험군은 시청각 자료를 제공받았고 대조군은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군에게는 스마트폰으로 시청각 자료를 제공하여 백내장 수술에 관해 친숙하게 하였다. 결과: 수술 중 상태불안 수준은 실험군이 평균 1.63±1.30점, 대조군이 4.10±2.25점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통증 정도의 차이는 2.75±2.06점이었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평균 3.83±2.40점 낮았다(p<0.05). 실험군(Pearson correlation=0.452, p=0.014)은 불안과 통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실험군 =0.205, 설명력 20.5%, β=0.452(p<0.05)로 수술 중 불안이 나타나 수술 중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수술 후 통증의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청각 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중 상태 불안과 통증 수준이 낮았다. 또한 실험군의 수술전 불안이 수술 중 통증과 상관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정보 제공은 백내장 수술 중 상태 불안과 통증을 줄이는 효과적인 중재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provision using audiovisual data on subjective anxiety and pain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xiety and pain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duce anxiety and pain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he investigator working as a nurse in Ophthalmology Department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produced a video of information provision. The researcher made the video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standard guidelines for cataract surgery in Ophthalmology Department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composed. For subjects over 40 years of age who visited the ophthalm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Konyang University Hospital and were expected to undergo cataract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All subjects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 signed the consent form and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audiovisual material, and those in control group were not. To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udiovisual material was provided by their smartphone so that they could be familiar with it Results: The level of state anxiety during surgery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an average of 1.63±1.30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10±2.25 points in the control group (p<0.05).The difference in pain level was 2.75±2.06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3.83±2.40 points in the control group(p<0.05). The experimental group (Pearson correlation=0.452, p=0.014) show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pain(p<0.05). In the experimental group =0.205, 20.5% explanatory power, β=0.452(p<0.05), indicating anxiety during surgery,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in during surg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ain increased after surgery.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audiovisual information had lower levels of state anxiety and pain during surger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audiovisu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istical value that the preoperativ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rrelated with and had an effect on the pain during surgery.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said tha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using an audiovisual materia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state anxiety and pain during cataract surgery.

      • 사이버대학교 졸업생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 사이버대학 뷰티학과를 중심으로

        임옥진 건양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s beauty major graduates on job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at mediate this, to improve job competency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s and work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performance. To conduct the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 total of 137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by selecting a beauty major graduate of K Cybe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and conduc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Crombach a coefficient was checked to verify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question, and the basis for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mean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Statistics were conducted, an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a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the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Beauty at K Cyber Univer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not only in self-efficacy, but also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ersonal factors,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are expected to actively act to achieve their goals, make more effort than those with low self-efficacy, and continue to work even if they have difficulties. Thir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not only job satisfaction but also job characteristic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ad a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among al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K Cyber University's beauty department graduate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an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important parameters.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ing graduates improves job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an important facilitating factor in enhancing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continuously providing training courses based on practical competency to target subjects, but also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programs that can maximize job-related self-efficacy tailored to adult learners as well as technolog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asures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lthough it was intended to help the cyber university’s graduates in hair and beauty industry find positive ways for their job performance, there wa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results of beauty-related graduates of all cyber universities in Korea. In future research, the need for continuous and long-term empirical analysis and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for cyber university graduate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experts with various cyber universities as research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는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을 통한 직무능력 향상과 이에 따른 직무성과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전․충청권에 위치하고 있는 K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을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총 13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문항의 내적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mbach a 계수를 확인하였으며, 응답자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평균에 대한 기초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학습 만족도와 직무성과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성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수행성취와 개인적 요인에서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목표성취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어려움이 있더라도 과업을 지속적으로 할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직무특성도 매개 효과가 있었다. 넷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병렬 매개 효과가 있었고 모든 변인들 간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직무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등의 변인들이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를 높이고, 자기효능감이나 직무만족이 현장에서의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촉진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들에게 실무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직무 만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성인학습자 맞춤형으로 직무관련 자기효능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및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통하여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직무성과를 위한 긍정적인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나 연구 결과 모든 사이버대학의 뷰티 관련 졸업생의 결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지역별, 학교별, 전공별로 다양하게 접근하며,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 및 관찰 등의 다양한 조사 방법을 병행하는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심화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한국어 중급 교재 어휘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조일효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한국어 중급 교재 어휘를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에게 중급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각 장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1장에서 연구의 필요 성과 목적, 연구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어휘 교육에 대한 앞선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어휘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볼 때는 한국어 어휘의 특징으로 한자어가 많다, 유의어가 많다, 이철자 동음이의어가 많다는 등 세 가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한국어 어휘교육에 있어서 기본어휘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서울대 3>, <성대 3>, <경희대 3>, <이대 3>, <건양대3> 다섯 권의 중급 교재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였고, 어휘를 어종별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한자어가 차지하는 어휘 수가 제일 많았고, 다음에는 고유어이고 마지막에 외래어이다. 다섯 권의 교재에서 나타난 한자어와 고유어 빈도수를 제시하였고, 외래어 어휘도 제시하였다. 어휘 빈도 분석은 어휘를 교육할 때 어휘를 선정하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4장에서는 이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들를 위한 어휘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에 먼저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어휘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대상은 건양대학교 어학원 중국연수생과 일반 중국대학생 등 총 40명이다.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의 인식과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중국학습자들은 한자어 어휘를 이해하는 것이 제일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외래어 어휘는 영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중 고유어 어휘를 익히는 것이 제일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분석 결과에 따라 중국학습자들의 한자어-고유어 대응 학습 방안을 살펴보았다. 한자어는 중국어와 발음이 비슷한 어휘가 많기 때문에 학습할 때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해하기 어려운 고유어 어휘와 의미가 비슷한 한자어 어휘를 같이 대응 학습하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 권의 교재에서 나타난 한자어-고유어 유의어를 선정하고 의미를 파악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도 살펴보았고, 마지막 어휘 교육 수업 방안으로 한자어-고유어 대응 관계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만들어 제시한 후에 외래어 교육을 방안을 제시하였다. 어휘 제시 방법에 따른 어휘 확장 교육 방안을 명사류와 동사류 두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어휘 교육함에 있어서 학생들이 스스로 이해하기 어려운 고유어를 익히게 하기 위해 한자어-고유어 대응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수법과 학습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와 현장에서 가르치는 교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크다고 본다. 그러나 한국어 어휘 중 한자어-고유어 대응 학습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다른 어휘 학습 목록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어휘 선정, 어휘 교육 방안 개발 등 여러 면에서 어휘 교육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help Chinese learners learn intermediate level vocabulary then to form educ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medium level Korean language textbook. First, I will clarify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earch, explain the research methods, for the reference of vocabulary education. Secondly, I will use examples to clarity the feature of Korean vocabulary.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learners, Korean words which can be parted into Chinese words are many, many similar words, many words having the same pronounciationbut having different meanings, these three characters. Through pre-research, I will categorize the necessary words in Korean education, through topic exams, I will analyse intermediate level words in the topic. Thirdly, I will select intermediate education textbooks from five universities in Korea, analyse according to different language category, namely, Chinese character words, intrinsic words, words from other countries. Result shows that, Chinese character words is the majority, intrinsic words place second, words from other countries last. I will show the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intrinsic words in graph from five universities, also using the examples of words from other countries. Analysis of each frequency is to have the reason to choose specific word in the education of vocalbulary. Fourth, as this paper is centered around Chinese people learning Korean words, we will analyze Chinese learners’learning process. My subjects are 40 Chinese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from KonYang University. I will do the research from thei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words, intrinsic words and words from other countries. Result shows Chinese student understand Chinese character words most, easier to learn words from other countries through English, difficult to learn intrinsic words. After analysis of the results, for Chi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we should us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intrinsic words first, as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words from other countries will help them understand intrinsic words. Then I will make plans for the education of words from other countries. Following is the expanding education of word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category. Finally, this thesis is the education plan for Chinese learners learning Korean language. Hopefully, it will function as reference for the future vocabulary education. The plans showed in this thesis have some advantages as well. I will continue to do research in the topic of education plan to have a better result in the near future.

      • 대학 교육서비스품질이 강의서비스 만족 및 추천ㆍ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이권익 건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사회는 세계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국경의 의미가 희박해지고 WTO 체제의 등장과 더불어 전 세계는 단일시장화 지향과 함께 경쟁에 입각한 생존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국경 없는 무한경쟁 상황은 대학교육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현대 사회에서 비영리조직인 대학교도 경쟁시대를 맞아 국경을 넘어 학생유치의 필요성이 절감하다. 학생들은 자신의 장래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한국에서 외국으로 유학가는 학생들이 점점 많아짐과 동시에 외국에서 한국에 유학오는 외국인 학생들도 늘고 있다. 대학의 수요자인 학생 수의 감소와 대학 설립의 용이함으로 공급자인 대학의 수가 많아지면서 대학들 간 학생유치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과거에는 보기 어려웠던 교육 서비스 품질 제고의 필요성이 중요한 시점에 와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인 연구로서 교육을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학생유치를 위해 각 대학 간 치열한 경쟁이 빚어지는 현실 속에서 교육서비스의 주요 고객인 유학생들의 강의서비스만족에 대한 요인을 추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전․충남지역 국립대학교와 사립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 유학생들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수들의 교수법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었다. 둘째, 교수의 평가 공정성이 유학생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한국어 능력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강의실 교육환경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소속 대학 장학제도가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었다. 여섯째, 한국 학생들과의 교류활동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유학생의 개인요소 즉 유학동기, 아르바이트 등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이 추천ㆍ수강 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결과는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결과와도 마찬가지로 만족한 고객이 재 구매로 이어지고 다른 고객으로 추천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강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국땅에 와서 공부하는 유학생들의 유학생활 만족, 대학 만족, 강의 만족을 향상시키려고 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고 학생만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진들의 강의에 대한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학생들을 위한 교육환경의 개선, 폭 넓은 장학제도와 같은 복지요인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을 시사한 연구이다. 이러한 요인들을 충분히 보완한다면 유학생들의 대학 강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며 이에 따라 부가 활동들이 더욱 활발해짐으로서 대학은 시장에서 더욱 강력하게 유학생들의 유치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이서정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남녀 대학생들이 건강한 대인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을 하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성숙하기 위해서 어떤 조력이 필요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남녀학생 총 35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18명(남 147명, 여 171명)에 대한 자료가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측정도구로는 자기분화를 측정하기 위한 자기분화 척도(제석봉, 1989)와 대인관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창대, 김수임(2001)이 번안한 대인관계능력검사,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하기 위한 대학생활적응척도(권혜진, 2007)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종속변인과 독립변인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18.0을 사용하여 단순회귀분석을 하였으며,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대학생의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 상황에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특히 자아를 통합하고 정서적으로 인지분화를 하고 있으며, 가족퇴행이 낮을수록 대인관계 문제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즉,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에서의 문제가 적고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대인관계에서 갈등을 많이 경험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학생활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자기분화 수준이 낮으면 정서적 과정에서 지적 과정이 분화되지 못하고 융합되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과정보다 주관적인 감정과정에 의존하여 환경을 지각하고 대처하려 하기 때문에 현실에 올바르게 적응하지 못하고 갈등이나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면 쉽게 부적응에 빠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대학생들이 다양한 인간관계를 통해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때 대학생활 적응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 해결능력도 높고,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다는 서로 상관있는 결과를 나타낸다. 끝으로 대학생의 건강한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을 위해 자기분화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논의 및 추후 연구되어야 할 내용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대학생의 원가족 심리적 특성과 성별이 결혼태도 및 자녀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현 건양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 모와의 애착관계가 개인이 가진 미래의 결혼태도와 자녀태도에 대해 비교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부권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95부를 분석하였다. 결혼태도와 자녀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윤미라(2006)가 보완한 결혼관과 자녀관을 사용하였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척도는 Grych와 그의 동료들(1992)이 개발한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CPIC: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Grych et al., 1992)를 손혜미(2007)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 모와의 애착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척도는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옥정(1998)이 번안하여 수정 및 보안한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 개정본(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 IPPA-R)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T-test,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 여 대학생에 따라 결혼필요성, 자녀필요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 여에 따라 결혼필요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필요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결혼태도에 부와의 애착관계, 모와의 애착관계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녀태도에는 부와의 애착관계가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모와의 애착관계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혼태도와 자녀태도, 원가족 심리적 특성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부와의 애착관계가 결혼태도를,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자녀태도를 설명한다. 셋째, 여학생의 결혼태도에 부와의 애착관계가 정적인 상관,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모와의 애착관계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녀태도에는 부와의 애착관계와 모와의 애착관계가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결혼태도와 자녀태도, 원가족 심리적 특성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결혼태도와 자녀태도 모두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s and attachme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with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child-rearing in the future, then find the influencial variables. The survery was carried out over university in the mid-north district of Korea. 295 subjects were chosen as the final data in this study. 윤미라(2006)'s supplementary edition was used to test the attitude of marriage and child-rearing. The scale of CPIC(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Grych et al., 1992) IPPA-R(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Armsden and Greenberg, 1987) were also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necessity of marriage and no meaningful difference with the necessity of child-rearing. Second, male students' attitude of marriag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her and mother's attachment relationship.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her's attachment relationship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arental conflicts. The multiple stepwise analysis results of attitude of marriage and child-rear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mily-of-origin showed that th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father influence the marriage attitude and the perceptional interparental conflicts affect the children. Third, female students' attitude of marriag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ttachment relationship of father, an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al interparental conflicts. The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also with mother. the multiple-stepwis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of marriage and child-rearing affect the perceptional interparental conflicts. In the end, this study showed the suggestion and discussion with the afterward research.

      • 한국어 축약어의 교육 방안 연구

        도파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한국 사람들과 교류하기 위해서는 한국어가 필수적이다. 한국어에는 한국어 고유어 외에 외래어 및 축약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의미를 분명하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필자는 건양대학교에서 공부하는 중국 유학생들(어학반 학생, 학부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축약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유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건양대학교 일부 중국 유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 있어서 그 한계점이 있음을 부인하지 못한다. 하지만 실제로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면서 생활하는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것은 나름대로 의의가 있으며, 또한 한국어 축약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축약어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축약어에 대한 이해 정도가 많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전파하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생활 속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축약어 교수방안을 마련하였다. 한국어 축약어와 중국어 축약어의 유형과 그 특성을 조사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별하였고, 한국어 축약어에 대한 더욱 좋은 교수효과를 얻기 위하여 한국어 축약어를 중심으로 교안을 마련하면서 중국어 축약어를 참고 자료로 사용하여 비교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어 축약어를 쉽게 익힐 수 있게 배려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축약어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함으로써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어를 통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축약어는 의사소통의 편리함을 위해 단어를 간략히 하여 만든 말이다. 그러므로 축약된 단어는 원어와 똑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축약어의 조성법에는 줄임법, 생략법, 단축법, 혼성법, 총괄법 등이 있다. 줄임법은 대부분 고유어 축약어에서 많이 쓰이는데, 주로 한글의 음소와 음절을 줄여서 조성하는 방법이다. 생략법은 고유어뿐 아니라 한자어, 외래어에도 존재하고 있는데, 주로 형태의 일부분을 생략해서 조성되거나, 또는 어근이나 어근의 일부의 생략에 의하여 조성하는 방법이다. 단축법은 외래어 축약어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주로 단어의 결합에 있어서 각 단어의 첫 음소를 뽑아 조성하는 방법이다. 혼성법은 외국어와 한국어의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혼성된 단어에서 고유어나 한자어의 생략에 의하여 조성하는 방법이다. 총괄법은 주로 한자어 축약어에서 자주 사용하는데, 구조가 같은 병렬 구에서 원어 중의 같은 단어나 형태소를 취해서 이의 앞에 그 원어와 같은 숫자를 넣고 다른 부분을 생략하는 방식이다. 축약어의 유형으로는 고유어 축약어, 한자어 축약어, 외래어 축약어 혼성 축약어 등이 있다. 이는 어휘의 어원에 근거하여 유형화한 것이다. 중국어 축약어 조성법에는 한국어 축약어 조성법 중 줄임법이 없다. 이러한 특성을 잘 파악하여 한국어 축약어에 대한 교육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 논문에서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이재옥 건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대전과 충남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하여 총 464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Cook(1987)이 개발하고 이인숙, 최해림(2005)이 번안, 타당화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Aitken(1982)이 개발하고 박재우(1998)가 번안한 학업지연행동 척도(API), Garnefski(2001)가 개발하고 김소희(2004)가 번안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CER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적응적 전략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지연행동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변인별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긍정적 재평가, 계획 다시 생각하기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본 연구에 대한 제언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thesis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from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study used 464 questionnaires in total for the final analysis, targeting college student’s in Daejeon·Chungnam. The study used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developed by Cook(1987) adopted and validation by Choi Hae-Rim and Lee In-Sook(2005),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API) developed by Aitken(1982) and adopted by Park Jae-Woo(1998),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developed by Garnefski(2001) and adopted by Kim So-hee(2004).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ver. 24).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ternalized shame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anifes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internalized shame and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anifes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a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to be a partial medium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each of the lower factor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um for positive refocusing and refocus on planning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elf blame, blaming others and catasrophizing of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ed a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Lastly, the study outlines a proposition about significance, limitation and follow-up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