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인의 부모애착불안과 부모애착회피 및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하나님애착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명연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부모애착이 현재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애착, 정서인식명확성, 하나님애착 및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정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과 하나님에 대한 애착 정도가 부모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른 상담적 개입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우선, 기독 성인의 부모애착불안과 부모애착회피, 정서인식명확성, 하나님애착 및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둘째, 기독 성인의 부모애착불안과 부모애착회피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명확성과 하나님애착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셋째, 기독 성인의 부모애착불안과 부모애착회피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명확성과 하나님애착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청, 전라, 경북, 경남, 부산 및 해외 소재의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683명을 온라인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5개를 제외한 678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을 위한 측정도구는 초기부모애착 척도, 특질 상위기분 척도, 한국판 하나님애착 척도 그리고 한국인 대인관계 유능성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불안이 정서인식명확성, 하나님애착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회피는 정서인식명확성과 하나님애착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인관계 유능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정서인식명확성이 하나님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으며, 하나님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애착불안과 부모애착회피 및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하나님애착은 각각 부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불안과 부모애착회피 및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하나님애착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독교인의 교육적·상담적 개입을 위해부모애착의 불안정성이 선재적으로 검토될 것과 정서인식명확성의 향상 및 하나님과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이 기독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별히, 하나님애착이 기독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 증진을 위한 매우 의미 있는 변인으로 검증되었다는 점과 하나님애착 안정성 향상을 위한 정서인식명확성의 영향을 검증한 것은 본 연구가 갖는 의의로 볼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 및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xiety, parent attachment avoidance, emotional clarity, attachment to God,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ult Christians.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s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s over the age of 18 who are currently attending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and the early parent attachment scale, the trait meta mood scale, the attachment to God inventory, an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Furthermo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total of 88 question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surveys from February 22 to March 25, 2022. 678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cleaning, and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0 and AMO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odness-of-fit of the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parent attachment anxiety, parent attachment avoidance, emotional clarity, attachment to God,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ult Christians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rect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 parent attachment anxiety, parent attachment avoidance, emotional clar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rect effect between parent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emotional clarity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to parent attachment anxiety, parent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dditionally, attachment to God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to parent attachment anxiety, parent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t had also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to emotional clar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lso, emotional clarity and attachment to God had a sequential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to parent attachment anxiety, parent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is the result of verifying that promoting the stability of attachment to God has becom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nd consequently improves interpersonal competence. It is also an empirical verification that emotional clarity must be improved in order to bolster the stability of attachment to G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counseling approaches to enh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adult Christia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that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ill continue. Key words: Adult Christian, Parent Attachment,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Clarity, Attachment to God

      •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효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 Attachment, Dysfunctional Attitude, Ego-Identity,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Early Adolescence. 교육학과 김 효 은 지도교수 김 종 운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은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역기능적 태도는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다섯째,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가? 여섯째,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14개 지역구의 초등학교 1개교씩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그 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789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애착 척도, 역기능적 태도 척도, 자아정체감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우울 척도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은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하고 측정모델과 구조모델로 나누어 모델의 적합도와 경로계수의 효과검증을 하였으며 다중집단분석을 위하여 측정모델과 구조모델의 동일성 검증 후 남녀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은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효과가 있다. 둘째, 역기능적 태도는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효과가 있다. 셋째,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직접효과가 있으나, 자아탄력성은 우울에 직접효과가 없다. 넷째,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없다. 다섯째,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다. 여섯째,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는 성별에 따라 다르다. 남자집단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있으나, 여자집단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없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기 청소년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 불안정 부모애착과 역기능적 태도를 감소시키는 것도 필요하지만 자아정체감을 중요하게 다루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주요어: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우울, 구조방정식모델

      •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대학생의 내재적 동기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민경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대학생의 내재적 동기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전시에 소재하고 있는 P대학교 4계열전공(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재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무응답 비율이 높은 12부와 수거되지 않은 설문지 8부를 제외하고 23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부모애착 측정도구는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를 옥정(1998)이 번안하고 수정한 개정본(IPPA-R)에서 또래 애착을 제외한 부모 애착문항만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내재적 동기 척도(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는 Ryan(1982)가 개발한 것으로 과제수행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진훈(2007)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학업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Baker와 Siryk(1989)이 개발하고 정은희(1993)가 수정 보완한 대학생활 적응 질문지(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Ver.2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검증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측정요인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부모와의 애착관계와 내재적 동기, 학업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대학생의 내재적 동기와 학업적응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애착, 내재적 동기, 학업적응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의 차이에서 여학생의 부모애착이 남학생의 부모애착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년과 전공계열의 차이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와의 애착, 내재적 동기, 학업적응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부모애착과 내재적 동기의 각 하위 변인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고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부모애착과 학업적응의 각 하위 변인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고 강한 정적 상관,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내재적 동기와 학업적응의 각 하위 변인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고 강한 정적 상관,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내재적 동기와 학업적응 간의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대학생의 내재적 동기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대학생의 내재적 동기와 학업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인 내재적 동기와 학업적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학교생활, 상담 환경에서 내재적 동기와 학업적응을 향상시켜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환경과 상담 개입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For the study, 250 students studying four major field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y P located in Daejeon were recruited for a survey. Excluding 12 barely answered survey sheets and 8 unreturned, 230 were used for a final analysis. During the analysis, the following scales were used: For attachment to parents, the questions on parent attachment except for those on peer attachment were employed from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 developed by Armsden and Greenberg (1987) and then adapted and modified by Ok Jeong (1998) (IPPA-R). As for intrinsic motivation, the scale of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developed by Ryan (1982) and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oi Jin-hoon (2007) was utilized. In order to measure the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daptation,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developed by Baker and Siryk (1989) and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ung Eun-hee (1993)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22 program. The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a frequency analysis,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riteria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In addition, a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n the differences in attachment to par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revealed a difference in attachment to parents according to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ttachment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grade or the field of major. Second, the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achment to parents and each sub-variable of intrinsic motivation, showing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Additionally, attachment to parents and each sub-variable of academic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trong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intrinsic motivation and each sub-variable of academic adapt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trong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In other word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was identified.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we can see that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niversity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n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is closely related to the important factors for university students’ school life -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systematic measur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university students can enhance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in their school life and counseling environment in order to help them improve school life.

      • 부모가 청소년의 인터넷 의존 및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성희 고려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나친 인터넷 사용에 따른 청소년의 유해정보 접근성과 의존율 그리고 그에 따른 각종 비행발생율은 높아지지만,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에 있어 윤리의식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율은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애착 및 감독이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및 의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감독 즉 자녀가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아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는 청소년 자녀의 불건전한 행위를 통제시켜주는 주요한 요인이 되며, 부모의 애착 즉 자녀에 대한 수용, 인정, 확신을 나타내는 부모의 애정은 청소년의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나 선생님과 같은 청소년의 행동에 감시자가 존재하지 않는 인터넷 사용 장소에서의 청소년의 높은 인터넷 의존과 긍정적이지 못한 이용을 통해 부모의 보다 적극적인 자녀에 대한 관심과 통제가 청소년의 비행적인 인터넷 이용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성격강점 덕목에 미치는 영향 : 교우관계의 매개효과

        안계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덕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애착, 교우관계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부모애착이 교우관계를 매개로 성격강점 덕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성격강점 덕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모애착과 교우관계가 중요함을 알리고, 효과적인 상담 개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교우관계, 성격강점 덕목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교우관계는 부모애착이 초등학생의 성격강점 덕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는가? 이 연구를 위해 부산 지역 소재 초등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교우관계, 성격강점 덕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Sobel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교우관계, 성격강점 덕목의 상관분석 결과 부모애착, 교우관계, 성격강점 덕목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초등학생이 부모애착이 높다고 지각할 경우 이들의 교우관계의 질과 성격강점 덕목(지혜와 지식, 용기, 인간애, 정의, 절제, 초월)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우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성격강점 덕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이 성격강점 덕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우관계가 매개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우관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의 애착이 높을수록 교우관계를 잘 형성하고, 이러한 교우관계는 성격강점 덕목 발달을 도움으로써 교우관계는 부모애착과 성격강점 덕목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초등학생의 긍정적인 성격강점 덕목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교우관계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효과적인 상담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부모애착 및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수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여성 수도자들을 대상으로

        심종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한국의 천주교 여성수도자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수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부모의 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특히 여성수도자의 수가 감소하고 있는 한국교회 내의 현실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수도생활에서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중요성을 지닌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국에 있는 천주교 수도회의 여성수도자 319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독립변인의 측정을 부모애착 질문지, 정서표현 양가성 질문지로 하였고, 종속변인의 측정은 심리적 안녕감 질문지와 수도생활 만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그리고 정서표현 양가성이 낮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둘째, 수도생활의 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으나, 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경향성은 뚜렷하였다. 그리고 부애착×모애착×정서표현 양가성의 3원 상호작용도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즉, 모애착이 높을 때는 부애착과 무관하게 정서표현 양가성이 낮을수록 수도생활 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모애착이 낮을 때는 부애착이 높을 경우 만족도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공동체 생활만족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부애착, 모애착, 정서표현 양가성의 세 가지 주효과가 뚜렷한 경향성을 보였다. 즉, 애착은 높을수록 정서표현 양가성은 낮을수록 공동체 생활에 만족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도생활을 지망하는 성소자의 발굴과 일단 수도회에 입회한 수도자들의 양성과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지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도성소식별 과정에서는 부모애착 정도, 정서표현 양가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일단 입회한 후 수도자 양성 과정에서는 정서를 표현하는 훈련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그런 맥락에서 결과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in religious life of Korean Catholic women religious. In particular, seeking a plan that can raise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life within the reality of decreasing numbers of women religious in the Church in Korea, actually has importanc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 studied 319 Catholic women religious as subjects from around the country. I used a questionnaire on parental attachment and a questionnaire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o measure the independency; I used a questionnair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questionnair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religious life to measure the dependency. A summary of results received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 the higher parental attachment was and the low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econdly, there was a clear tendency to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maternal attachment was, but I could not obtain any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religious life. The clear tendency to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triad paternal attachment, maternal attachment an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hown. That is, when maternal attachment was high, there was a tendency for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religious life the lower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unrelated to paternal attachment; when maternal attachment was low and paternal attachment was high, the level of satisfaction showed a more or less high tendency. Thirdly, the main effect of the three paternal attachment, maternal attachmen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clear tendency,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community life. That is, the tendency to satisfaction in community life was high the higher attachment was and the low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I think these research results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discovery of vocation prospects aspiring to religious life an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ose religious who have already entered religious communities. It will be desirable in the process of vocation discernment to consider the degree of parental attachment an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ness, and I judge that in the formation process of religious after they have entered, training in emotional expressiveness will be important; it is within that context that I discussed the results.

      •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행수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와의 애착과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부와의 애착과 모와의 애착 각각들이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진로지도를 위한 상담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둘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와의 신뢰, 부모와의 소원정도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 셋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와의 신뢰, 부모와의 소원정도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성별에 따른 차이 등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 각각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1,2,3,4학년에 재학 중에 500을 대상으로 집단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3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이들에게 제공된 설문지는 부모애착,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측정도구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진로미결정 점수와 진로준비행동의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부모와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을 예언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와 모와의 관계가 세부적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와 모와의 애착의 하위요인들을 예언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는 모와의 애착보다는 부와의 애착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역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는 부와 모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의 영향을 보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는 부와의 소원함과 모와의 신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진로준비행동에는 남학생의 경우에만 모와의 의사소통과 부와의 소원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발달과정에 아버지와의 부정적 관계, 어머니와의 긍정적 교류 정도에 의해 중요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nfluence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 efficac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specially it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attachment of a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considering influences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to prepare the definite plan of counseling for the college students’ career. The study subjects to be verified through this research are firstly the influence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 efficac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ly relative influences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reliance on the parents, estrangement from the parents, and subalternate factors of the self efficacy; general and social self efficacy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irdly differences of the influences according to gender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reliance on the parents, estrangement from the parents, and subalternate factors of the self efficacy; general and social self efficacy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perform th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ere massivelyconducted with 500 college students among the freshma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from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yeonggido, K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and data of the 436 students was analyzed. The questionnaires was composed as the measurement of the attachment to the parents, self efficacy, undefined care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confirm the research subjects, the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scores of the undefined care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attachment of the parents and self 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and mother on the specific features, the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of the father and mother as in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firstly for the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the attachment to the father was more important rather the mother, and the self efficacy likewise gave an important influence. Nevertheless,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mother did no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econdly, for the influences of the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the parents, the estrangement from the father and reliance on the mother were influenced on the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and estrangement from the father were influenced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ly in case of male students. As a conclusio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llege students was importantly influenced by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and how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was. Through the research result, limitation of the study and upcoming project were discussed.

      • 부모애착과 청소년 비행 관계에서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

        이수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애착과 또래동조성, 청소년의 비행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애착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에서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중학교, 1개 인문계 고등학교, 1개 특성화 고등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애착 신뢰감 영역은 비행과 직접적인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의사소통 영역은 부적 상관을, 소외감 영역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 신뢰감 영역과 의사소통 영역은 또래동조성과 부적상관을, 소외감 영역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애착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에서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는 신뢰감 영역과 소외감 영역에서는 간접 매개 효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보완적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 비행을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해서 청소년과 부모 간 긍정적인 애착 형성을 돕는 것도 중요하지만, 또래동조성이라는 청소년기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 또한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parental attachment, peer conformity, adolescent delinquenc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eer conformity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adolescent delinquency. For this study, 365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and one academic high school and one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in Busan were responded to the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rust area in parental attachment haven’t significant correlation. but the communications and alienation area in parental attach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analysis for mediating effects verification, mediation effect of peer conformity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adolescent delinquency was revealed as follows. Peer conformity have indirect mediation effects on trust and alienation area in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conformity have a complementary mediation effect on communication area in parental attachment. Overall,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adolescent delinquency, helping form positive parental attachment is important, and seeking the solutions that focused on the adolescent characterization of peer conformity is also important.

      • 부와 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 및 여대생의 성인애착

        신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대생의 성인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의 영향을 알아보고, 그들의 부모자녀관계를 통하여 여대생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성인 초기 부모자녀관계의 어려움에 실질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소재의 대학교 재학중인 여대생 6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용한 각각의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부모와의 애착을 알아보기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하여 유은희(1991)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을 측정하기 위해 Hoffman(1984)이 제작하고 정은희(1993)가 번안·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여대생의 성인애착을 알아보기 위해 Collins와 Read(1990)가 제작하고 김은정과 권정혜(1998)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의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s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에 대해 부모와의 애착 중 부모 모두와의 애착이 유의한 영향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여대생은 부모의 인정과 지지를 받으며 정서적으로 친밀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고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대생의 성인애착에 대해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중 부모 모두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울수록, 여대생은 성인애착을 잘 형성해갈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를 통하여 여대생의 성인애착에 대한 부모와의 애착 및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여대생의 성인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반적으로 부모와의 애착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중 갈등적 독립이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모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그리고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울수록, 여대생은 성인애착을 잘 형성해갈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관계를 맺어가는데 있어서 친구나 이성과 같이 중요한 타인을 신뢰하고 필요시에 기댈수 있으며, 가까워지는데 어려움이 적고 친밀한 관계를 편안하게 느끼며, 상대방이 떠나거나 자신이 버림받을지도 모른다는 불안이 낮음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와의 애착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및 여대생의 성인애착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부모와의 애착은 부모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에 의해 매개되어 여대생의 성인애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와의 애착은 각각 어머니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에 의해 매개되어 여대생의 의존에 영향을 미쳤고, 아버지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에 의해 매개되어 여대생의 친밀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 모두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에 의해 매개되어 여대생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의 애착이 잘 형성된 여대생의 경우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갈등적 독립을 통하여 친구나 이성처럼 중요한 타인에게 성인애착을 잘 형성해 나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and adult attachment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b) to advance in our understanding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early adulthood, and also (c) to help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For this,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601 female undergraduates of universities which is in Seoul and GyeongGi.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Parent Attachment Inventory,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and Adult Attachment Scale. Thu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 Cronbach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the each research question,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it demonstrated that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influenced on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Also, both paternal and m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 among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influenced on adult attachment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us, parental attachment influenced more than conflictual independence among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on adult attachment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it presented that parental attachment was mediated by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influenced on adult attachment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ore concretely, parental attachment mediated the path from m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affected in depend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mediated the path from p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affected in closen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mediated the path from both paternal and m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affected in anxie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predicted adult attachment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